KR20210144045A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045A
KR20210144045A KR1020200060777A KR20200060777A KR20210144045A KR 20210144045 A KR20210144045 A KR 20210144045A KR 1020200060777 A KR1020200060777 A KR 1020200060777A KR 20200060777 A KR20200060777 A KR 20200060777A KR 20210144045 A KR20210144045 A KR 20210144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resource
computing devic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962B1 (ko
Inventor
김홍구
Original Assignee
웹케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웹케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웹케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0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96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 G06F8/24Object-orie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6Software re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61Saving or restoring of program or task con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3User-generated data transfer, e.g. clipboards, dynamic data exchange [DD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 Architecture; MSA)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은,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저장 서버에 서비스 및 리소스(resource)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장치; 및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연관된 서비스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저장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저장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상기 MSA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을 이용하면, 모든 클래스(class) 및 리소스(resource) 정보를 저장 서버에 저장하고 컨테이너(container)별 실행 시점에 필요한 정보를 받아 와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모노리틱 아키텍처(monolithic architecture)에 기반하여 개발된 서비스를 MSA 형태로 서비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BASED ON MICROSERVICE ARCHITECTURE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 Architecture; MSA)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들은 외부 서버에 모든 클래스(class) 및 리소스(resource) 정보를 저장하고 컨테이너(container)별 실행 시점에 필요한 클래스 및 리소스 정보를 받아 와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모노리틱 아키텍처(monolithic architecture)에 기반하여 개발된 서비스를 MSA 형태로 서비스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모노리틱 아키텍쳐(monolithic architecture)는 기존의 전통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 형태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패키징(packging) 파일 내에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기능에 관련된 컴포넌트들 및 이를 처리하기 위한 로직 등이 전부 포함되는 서비스 형태를 의미한다. 모노리틱 아키텍쳐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은 각 컴포넌트들이 함수를 이용하여 상호 간에 호출하도록 구성된 구조를 갖는다.
모노리틱 아키텍처에 의하면 전체 애플리케이션이 하나로 처리되기 때문에, 개발 프레임워크(framework) 상에서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배포 및 테스트 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반면, 규모가 큰 애플리케이션을 모노리틱 구조로 개발하는 경우, 특정 컴포넌트나 모듈에서의 성능 문제나 장애가 다른 컴포넌트에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개발 시 전체 시스템의 구조를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컴파일(compile) 및 배포,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한 서버의 기동 등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특정 컴포넌트가 수정된 경우에도 애플리케이션 전체를 재배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용량 웹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모노리틱 아키텍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 Architecture; MSA)가 정의되었다. MSA에서 각 컴포넌트는 서비스의 형태로 구현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이용하여 다른 서비스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0-2027749호는 MSA의 각 서비스 간에 발생하는 통신에 대한 제어와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모노리틱 아키텍처에 기반하여 개발된 서비스를 MSA 형태로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 간의 종속 관계 또는 각 서비스에서 호출하는 리소스(resource)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종래에는 모든 정보를 각 서버에 저장하여 각 서버에서 어떠한 서비스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MSA로서의 장점이 없어지고 단순히 서버 수를 늘리는 구성이 되는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27749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의 저장 서버에 모든 클래스(class) 및 리소스(resource) 정보를 저장하고 컨테이너(container)별 실행 시점에 필요한 클래스 및 리소스 정보를 받아 와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모노리틱 아키텍처(monolithic architecture)에 기반하여 개발된 서비스를 MSA 형태로 서비스할 수 있는 MSA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 Architecture; MSA)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은,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저장 서버에 서비스 및 리소스(resource)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장치; 및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연관된 서비스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저장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저장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을 상기 저장 서버에 전송하기 전에,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상기 컴퓨팅 장치의 내부 저장소에서 검색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container)를 구성하며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상기 저장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개발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위한 저장 서버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및 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상기 컴퓨팅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정보 반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저장 서버에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 서버가, 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서버가, 상기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상기 컴퓨팅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상기 컴퓨팅 장치의 내부 저장소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은,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저장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시예들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 Architecture; MSA)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모노리틱 아키텍처(monolithic architecture) 방식의 서비스 구동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저장하고, 컨테이너(container) 구동 시 커스텀 클래스로더(custom class loader) 등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구성하고 BCI(Byte Code Insertion) 등을 통해 리소스(resource) 접근을 제어함으로써, 모노리틱 아키텍처에 기반하여 개발된 서비스를 MSA 형태로 서비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 Architecture; MSA)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개발 프레임워크(framework)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발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컨테이너(container) 배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MSA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에 의한 MSA 컨테이너의 실행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MSA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의 저장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 Architecture; MSA)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한 개발 프레임워크(framework)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테이너(container)를 이용하여 MSA 서비스 형태를 가지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MSA 컨테이너는, MSA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및 이의 소프트웨어 구동 수단을 통칭한다. 예컨대, MSA 기반 애플리케이션은 가상화 서버 상에서 실행되는 도커(docker)에서 이미지를 불러와 실행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MSA 컨테이너는 이러한 가상화 서버 등 컴퓨팅 장치와 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수단을 개념적으로 지칭한 것이다.
MSA 컨테이너는 가상화 서버에 의하여 실행되며,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개발자의 사용자 장치(1)와 통신하는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이 이러한 가상화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MSA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을 설명한다. 그러나, MSA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가상화 서버는 사용자 장치(1) 또는 다른 임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컴퓨팅 장치는 도 1의 사용자 장치(1),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MSA 컨테이너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가상화 서버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특정 장치 또는 시스템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은 사용자 장치(1) 및/또는 외부의 저장 서버(2)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개발자가 사용자 장치(1)를 통해 입력한 소스(source) 정보를 이용하여 모노리틱 아키텍처(monolithic architecture) 또는 MSA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들에 따른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 및 이와 통신하는 각각의 시스템, 장치, 서버 및 이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module)", "서버", "시스템", "플랫폼",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는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하는 개발자가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에서 사용자 장치(1)는 노트북 컴퓨터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사용자 장치(1)는 스마트폰(smartphone) 등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컴퓨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을 위한 셋톱박스(set-top box) 등 임의의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은 개발자가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에 소스 정보를 입력하고 개발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키텍처 형태 등의 입력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한 컨테이너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platform)의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은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에 접속한 사용자 장치(1)상에 표시되기 위한 관리화면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application service serv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발자가 사용하는 장치인 사용자 장치(1)와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이 별개의 장치로 도시되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과 사용자 장치(1)가 별개의 장치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 자체가 개발자의 사용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은 저장부(30), 입출력부(31), 소스(source) 분석부(33) 및 컨테이너(container) 구성부(3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은 컴파일(compile)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은 송신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 부(30-35)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을 이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각 부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부가 다른 부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의 각 부(30-35)는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입출력부(31)는 사용자 장치(1)를 통해 개발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상응하는 처리 결과를 사용자 장치(1)에 제공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입출력부(31)는 개발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소스 정보는 자바(JAVA) 언어에 기반한 애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를 예시로 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 따른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출력부(31)는 개발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컨테이너 생성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컨테이너 생성 요청은 애플리케이션의 아키텍처 형태에 대한 입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파일부(32)는 개발자가 입력한 소스 정보를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형태(예컨대, 바이너리 파일 또는 중간언어 파일 등)로 변환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는 종래의 컴파일러(compiler)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소스 분석부(33)는 컴파일부(32)에 의해 변환되는 소스 정보를 분석하여,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사이의 호출 관계에 연관된 관계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소스 분석부(33)의 동작은 코드 상의 주석을 통해 문서를 생성하는 독시젠(doxygen)이나, 소스 코드 내의 함수 호출을 그래프로 변환하는 그래프비즈(graphviz) 등 공지된 소프트웨어 도구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서비스는 공통의 라이브러리(library)를 제외하고는 상호 간에 직접 호출을 금지하도록 소스 정보가 구성된다. 즉, 애플리케이션의 각 서비스 사이의 호출은 사전에 정의된 입출력 도메인(domain)을 이용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호출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소스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소스 정보의 각 서비스 사이의 호출 관계가 관계정보로서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소스 분석부(33)는 생성한 관계정보를 저장부(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개발자가 기존의 소스 정보를 수정하여 호출 관계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소스 분석부(33)는 새로 생성된 관계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부(30)에 기 저장된 관계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관계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각 서비스와 관련하여 해당 서비스의 동작에 필요한 클래스(class), jsp 파일 등 서비스 정보 및 리소소(resource) 정보들을 정의하는 패키지(packag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구성부(34)는, 개발자로부터 특정 서비스 또는 기존에 생성된 특정 패키지 정보에 대한 컨테이너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저장부(20)에 저장된 관계정보를 토대로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컨테이너는 컴퓨팅 장치의 운영체제 등과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되며, 요청에 상응하는 객체를 생성하고 이를 인자로 한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생성, 반환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도커(docker) 등이 이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컨테이너 구성부(34)에 의해 컨테이너를 구성한다는 것은, 새로운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패키지 정보와 관계 정보를 기준으로 기존의 컨테이너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때 관계정보를 기초로 서비스의 동작을 위한 서비스 정보 및 리소스 정보 등이 추출되어 자동으로 컨테이너에 포함된다.
송신부(35)는, 컨테이너 구성부(34)에 의해 구성되는 컨테이너가 MSA 컨테이너인 경우, 서비스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외부의 저장 서버(2)에 저장하여 이를 해당 컨테이너의 실행 시 로드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서비스 정보는 클래스 파일, jsp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리소스 정보는 서비스의 동작에 필요한 txt, xml 등의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35)와 저장 서버(2)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컨테이너 배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컨테이너 배포 과정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개발자가 사용자 장치(1)를 이용하여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에 소스 정보를 커밋(commit)하면(S21),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의 컴파일부(32)는 이를 클래스 파일 등으로 컴파일할 수 있다(S22). 컴파일 도중 문법 오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컴파일부(32)는 오류 정보를 개발자의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할 수도 있다(S23).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의 소스 분석부(33)는, 소스 정보의 컴파일이 이루어지는 것과 동시에 또는 컴파일 후에 소스 정보를 분석하여, 서비스 사이의 호출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4). 이는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해 해당 서비스에서 호출하는 다른 서비스들을 식별하고, 해당 서비스 및 호출된 서비스들의 동작에 필요한 서비스 정보 및 리소스 정보 등을 정의하는 패키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기능들의 집합적인 단위(예컨대, 사용자 관리, 게시판 등)를 지칭한다.
만약 소스 분석 도중 오류가 탐지되는 경우, 소스 분석부(33)는 사용자 장치(1)에 검증 오류 정보를 전송하여 개발자가 오류 발생 사실을 알게 할 수도 있다(S25). 이때 검증 오류란, 특정 서비스에서 호출하는 다른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거나, 특정 서비스에서 호출하는 패키지 또는 클래스가 존재하지 않는 등, 서비스 간의 호출 관계를 생성하는 것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를 지칭한다.
관계정보가 생성되면, 소스 분석부(33)는 관계정보를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의 저장부(30)에 저장할 수 있다(S26). 한편,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의 저장부(30)에는 관계정보 외에도 개발자가 커밋한 소스 정보 자체나, 해당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기존에 생성된 컴파일된 파일, 서비스 정보, 리소스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의 송신부(35)는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을 통해 개발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연관된 서비스 정보 및 리소스 정보 등을 저장 서버(2)에 전송하여 이들 정보가 저장 서버(2)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S27).
한편, 개발자는 자신이 개발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형태를 정의하는 관리 정보를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에 입력할 수 있다(S28). 이는,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이 제공하는 관리화면을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형태를 모노리틱 아키텍처 또는 MSA로 정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관리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28)가 별도의 단계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형태를 지정하는 것은 소스 정보의 커밋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개발자로부터 서비스 형태가 입력되면,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의 컨테이너 구성부(34)는, 저장부(30)에 저장된 관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구성할 수 있다(S29). 예를 들어, 서비스 형태가 모노리틱 아키텍처인 경우, 컨테이너 구성부(34)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 예컨대, 공통 라이브러리, 서비스 정보 및 리소스 정보 등이 하나의 컨테이너에 포함되도록 컨테이너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새로운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것 또는 기존의 컨테이너에 정보를 배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형태가 MSA일 경우, 컨테이너 구성부(34)는 각 서비스가 호출하는 다른 서비스와 이의 동작을 위한 정보들이 하나의 컨테이너에 포함되도록 컨테이너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에 연관된 클래스 정보가 갱신되었을 경우, 컨테이너 구성부(34)는 클래스 정보가 갱신된 서비스를 호출하는 다른 서비스들에 상응하는 컨테이너를 관계정보의 패키지 정보로부터 확인하고, 패키지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서비스를 호출하는 다른 서비스들에 관련된 각 컨테이너에 정보를 배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의 입출력부(31)는 컨테이너 구성에 대한 처리 결과를 개발자의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S30).
이상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모노리틱 또는 MSA 중 어느 하나로 서비스 형태를 지정할 필요가 없으며, 관리화면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아키텍처를 지정하면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이 서비스 간의 호출 관계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모노리틱 컨테이너 또는 MSA 컨테이너를 구성한다. 따라서, 서비스 형태의 변경이 용이하고 MSA 형태의 서비스 개발에 익숙하지 않은 개발자라 하더라도 MSA 서비스 개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MSA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에 의한 MSA 컨테이너의 실행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MSA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의 저장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MSA 기반의 애플레이케이션을 실행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를 이용하여 MSA 컨테이너(4)에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S41). 이때 MSA 컨테이너(4)는 MSA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화 서버 등 컴퓨팅 장치 및 이의 소프트웨어 구동 수단을 통칭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사용자 장치(1) 또는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3),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가상화 서버가 이러한 컴퓨팅 장치로서 저장 서버(2)와 함께 MSA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MSA 컨테이너(4)에서는 요청된 서비스의 동작에 필요한 서비스 정보(예컨대, 클래스 파일, jsp 파일) 및 리소스 정보(예컨대, txt, xml 파일 등)를 저장 서버(2)에 요청하고(S43), 저장 서버(2)에서는 요청된 서비스 및 리소스 정보를 MSA 컨테이너(4)에 반환할 수 있다(S44).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저장 서버(2)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MSA 컨테이너(4)의 서비스 동작을 위한 서비스 및 리소스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21)와, MSA 컨테이너(4)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된 정보를 반환하는 정보 반환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MSA 컨테이너(4)는 저장 서버(2)에 정보를 요청하기 전에 MSA 컨테이너(4)의 내부 저장소(즉, 내부 캐시)에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만 필요한 서비스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저장 서버(2)에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MSA 컨테이너(4)는, 저장 서버(2)의 정보 반환부(22)로부터 서비스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S45). 또한, MSA 컨테이너(4)는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의 수행 결과를 사용자 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S46).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MSA 컨테이너(4)는 외부에서 수신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커스텀 클래스로더(Custom ClassLoader)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MSA 컨테이너(4)는 바이트 코드(byte code)로 컴파일된 클래스 파일에서 외부의 리소스 정보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바이트코드 삽입(Byte Code Insertion; BCI) 등의 방식으로 리소스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토대로 응답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에 모노리틱 형태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MSA 형태로 구현하는 경우 각 MSA 컨테이너가 실행되는 가상화 서버에 모든 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없으며, 기존 모노리틱 서비스를 위한 모든 정보가 저장된 저장 서버(2)로부터 각 MSA 컨테이너가 필요한 정보를 불러 와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MSA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순서도들에 도시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 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저장 서버에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장치; 및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연관된 서비스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저장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저장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더 구성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을 상기 저장 서버에 전송하기 전에,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상기 컴퓨팅 장치의 내부 저장소에서 검색하도록 더 구성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구성하며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상기 저장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개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
  4.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 및
    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상기 컴퓨팅 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정보 반환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위한 저장 서버.
  5. 저장 서버에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정보 및 리소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 서버가, 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서버가, 상기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상기 컴퓨팅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및 리소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상기 컴퓨팅 장치의 내부 저장소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저장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서비스 정보 및 상기 리소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60777A 2020-05-21 2020-05-21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37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77A KR102337962B1 (ko) 2020-05-21 2020-05-21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77A KR102337962B1 (ko) 2020-05-21 2020-05-21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45A true KR20210144045A (ko) 2021-11-30
KR102337962B1 KR102337962B1 (ko) 2021-12-10

Family

ID=7872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777A KR102337962B1 (ko) 2020-05-21 2020-05-21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087B1 (ko) 2022-09-16 2023-01-09 오픈나루 주식회사 Msa에서의 호출관계 추적 및 이에 따른 로그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535011B1 (ko) * 2022-10-14 2023-05-26 주식회사 플랜티넷 마이크로서비스 기반 네트워크 디바이스 설정 적용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749B1 (ko) 2019-02-08 2019-10-02 아콘소프트 주식회사 마이크로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6316A (ko) * 2018-10-24 2020-05-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 및 통합 요청 처리 방법
KR102109461B1 (ko) * 2020-02-17 2020-05-12 주식회사 제이윈파트너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sa) 기반의 프로젝트 자동화 지원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316A (ko) * 2018-10-24 2020-05-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사용자 요청 처리 방법 및 통합 요청 처리 방법
KR102027749B1 (ko) 2019-02-08 2019-10-02 아콘소프트 주식회사 마이크로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09461B1 (ko) * 2020-02-17 2020-05-12 주식회사 제이윈파트너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sa) 기반의 프로젝트 자동화 지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962B1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1687B2 (en) Delivery of instructions in host applications
EP2798494B1 (en) Virtual channel for embedded process communication
US94546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unifying configuration descriptors
US8307058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20060271911A1 (en) Generating executable objects implementing methods for an information model
US11556348B2 (en) Bootstrapping profile-guided compilation and verification
US9189223B2 (en) Connec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component included in an application with an external service
CN109240697B (zh) 调用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200901447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on compiler services based on an open services gateway initiative architecture
KR102337962B1 (ko)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EP2685376B1 (en) COBOL reference architecture
US9996344B2 (en) Customized runtime environment
US9830307B1 (en) Ahead of time compilation of content pages
US7543019B1 (en) Methods and apparatus providing backward compatibility for applications that access a changing object model
US10394610B2 (en) Managing split packages in a module system
KR101418390B1 (ko) 원격 응용 프로그래밍 디버깅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37961B1 (ko) 모노리틱 아키텍처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모두 지원하는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 시스템, 이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070073902A1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00089831A (ko) 관리 자바빈 객체들의 생성 및 관리
EP3872630B1 (en) Reques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7111904B (zh) 用于将Web应用自动转换成无服务器函数的方法和系统
US20240143340A1 (en) Hybrid multi-tenant framework for reconfiguring software components
CN117667304A (zh) 网关系统扩展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934123A (zh) 一种客户端逻辑更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Vincent Scripting Web Services Prototypes: As web services become increasingly sophisticated, their practitioners will require skills spanning transaction processing, database management, middleware integration, and asynchronous mess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