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039A - 칫솔 살균기 - Google Patents

칫솔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039A
KR20210144039A KR1020200060765A KR20200060765A KR20210144039A KR 20210144039 A KR20210144039 A KR 20210144039A KR 1020200060765 A KR1020200060765 A KR 1020200060765A KR 20200060765 A KR20200060765 A KR 20200060765A KR 20210144039 A KR20210144039 A KR 20210144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electronic circuit
lower tube
toothbrush sterilizer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614B1 (ko
Inventor
최영준
박상근
Original Assignee
(주)비에네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에네스소프트 filed Critical (주)비에네스소프트
Priority to KR1020200060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614B1/ko
Priority to PCT/KR2020/010990 priority patent/WO2021235601A1/ko
Publication of KR20210144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칫솔의 칫솔모를 자외선 LED들에 의하여 살균시키는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인 특징은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통; 상기 하부통의 상부의 일측에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하부통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상부덮개; 상기 하부통의 힌지가 설치된 후방 측벽 쪽에 설치되어 자외선 LED 광을 전방쪽으로 발산하는 전자회로부; 바닥면과 바닥면의 테두리에 상향으로 형성된 측벽들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칫솔모가 삽입될 수 있도록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통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후방 측벽에 상기 자외선 LED 광이 통과하는 LED 표출부가 형성된 내통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칫솔 살균기{toothbrush sterilizer}
본 발명은 자외선 LED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칫솔을 살균하는 휴대형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여행 시에도 양치질은 구강위생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자외선을 이용하여 칫솔을 살균할 수 있는 휴대형 칫솔 살균기가 다양하게 생산되었다.
도 1a은 종래의 휴대형 칫솔 살균기의 사진이고 도 1b는 도 1a의 칫솔살균기의 상부 케이스 개방사진이고, 도 1c는 도 1b의 분해사진이고, 도 1d는 전자회로 설치케이스의 배면 사진이다.
도 1a은 현재 특정 사이트( http://display.cjmall.com/p/item/61509774?gclid=EAIaIQobChMIjPi5iemj6QIVWHRgCh1wWQFXEAQYAiABEgJkL_D_BwE)에서 판매되고 있는 칫솔살균기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22)와 하부 케이스(22)의 수용공간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전자회로가 설치되는 전자회로 설치케이스(23)와, 전자회로 설치케이스(23)의 상부에 힌지(230)에 의하여 결합되며, 전자회로 설치케이스(23)의 상부와 하부 케이스(22)의 칫솔모가 위치하는 공간을 덮는 상부 케이스(21)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 케이스(21)에는 투명창(211)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22)의 측벽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에는 칫솔대 삽입부(225)가 압입되어 설치되며, 칫솔대 삽입부(225)에는 하부 케이스(22)의 내부 공간에 칫솔모가 놓여지도록 칫솔대가 끼워지게 되며, 하부 케이스(22)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면이 은박으로 처리된 테이프(226)가 점착되어 위생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또한 전자회로 설치케이스(23)는 하부 케이스(22)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힌지(230)가 결합되어 있는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지점을 횡단하는 내측벽(250)과, 내측벽(250)의 상단으로부터 하부 케이스(22)의 측벽 상단까지 연결하는 상부면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벽(250)과 상부면이 이루는 내부공간에는 가시광 파장인 LED들과, 자외선 파장의 LEDrk 설치되고, 이러한 LED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배터리 및 충전부로 이루어지며 스위치(220)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기회로(31)가 수납되게 된다.
또한 전자회로 설치케이스(23)의 내측벽(250)에는 수평으로 분리된 4각형상의 개구부로 이루어잔 3개의 LED 표출부(222), (223), (224)가 형성되고, LED 표출부의 하부에는 충전 표출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자회로 설치케이스(23)와 하부 케이스(22)는 나사공(231), (232)에 결합되는 나사들에 의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부 케이스(21)와 하부 케이스(22)는 락킹 돌기(227)에 의하여 서로 개폐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칫솔 살균기는 칫솔 살균기에 의하여 살균되는 칫솔은 물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물기가 전자회로 설치케이스(23)는 내측벽(250)과 상부면에 의하여 전자회로(31)를 보호하고 있으며, 전자회로(31)의 하부는 직접 하부 케이스(22)의 바닥면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칫솔모의 수분이 전자회로 설치케이스(23)의 내측벽(250)을 통과하여 밑바닥으로 스며들어가 내부의 전자회로(31)에 합선등의 고장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칫솔살균기의 전자회로 설치케이스(23)의 내측벽에 형성된 LED 표출부(222), (223), (224)는 개별적으로 분리된 4각형상의 개구부로 이루어져 매우 넓은 공간으로 내부의 전자회로(31)에 수분이 유입되게 됨으로써 고장이 유발되게 된다.
또한 전자회로 설치케이스(23)의 내측벽(250)에 형성된 LED 표출부(222), (223), (224)보다 충전 표출부(221)가 하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칫솔모로부터 발생된 수분이 충전 표출부(221)에 유입되어 내부 전자회로(31)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칫솔살균기의 케이스 내부에는 수분이 케이스 외부로 배출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젖은 칫솔모가 수납되게 되면 축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위생상 불량한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적으로 전자회로와 칫솔모가 분리되어 있어 전자회로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LED 표출부와 충전 표출부의 구조를 수분방지가 용이하도록 하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칫솔살균기로 칫솔모를 살균할 때 칫솔살균기의 내부 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칫솔모가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위생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칫솔살균기의 내부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감지센서와 히터가 설치되어 기설정된 온도 이하에서는 히터가 동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내부에 수용된 칫솔의 칫솔모를 자외선 LED들에 의하여 살균시키는 칫솔 살균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통; 상기 하부통의 상부의 일측에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하부통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상부덮개; 상기 하부통의 힌지가 설치된 후방 측벽 쪽에 설치되어 자외선 LED 광을 전방쪽으로 발산하는 전자회로부; 바닥면과 바닥면의 테두리에 상향으로 형성된 측벽들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칫솔모가 삽입될 수 있도록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통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후방 측벽에 상기 자외선 LED 광이 통과하는 LED 표출부가 형성된 내통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내통의 후방 측벽의 상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상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자회로부는 상기 하부통의 바닥면과 상기 하부통의 후방 측벽과 상기 내통의 후방 측벽과 상기 내통의 후방 상면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회로부의 전자회로 기판이 상기 하부통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판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시광 LED들과, 파장이 200~280㎚인 UV-C LED와, 충전표시 수단이 횡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LED 표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시광 LED들과 상기 UV-C LED, 상기 충전표시 수단으로부터 발산된 빛이 통과되도록 상기 내통의 후방 측벽에는 횡방으로 절개되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통의 측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상단부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의 측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상단부에도 상기 요홈에 대응되게 형성된 요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통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에는 통풍구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내통의 바닥면에도 상기 하부통의 통풍구와 대응되게 통풍구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칫솔모가 수용되는 내통과 전자회로가 설치되는 전자회로부가 설치된 공간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내통으로부터 전자회로부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내통과 하부통의 구조가 칫솔모의 수분이 외부로 자유롭게 배출될 수 있어 칫솔모가 자외선에 살균될 뿐만 아니라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세균번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LED 표출부가 별개로 분리되지 않고, 최소한으로 개구된 횡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내통 내부의 수분이 전자회로부로 유입되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장치의 고장요인이 최소화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고, 수분감지시에 히터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강제적으로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고 있다.
도 1a은 종래의 휴대형 칫솔 살균기의 사진이다.
도 1b는 도 1a의 칫솔살균기의 상부 케이스 개방사진이다.
도 1c는 도 1b의 분해사진이다.
도 1d는 도 1a 전자회로 설치케이스의 배면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칫솔살균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3에 도시된 칫솔 살균기(300)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통(310)과 하부통(310)의 상부의 일측에 힌지(312)에 의하여 결합되어 하부통(310)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투명창(331)을 갖는 상부덮개(330)와, 하부통(310)의 힌지(312)가 설치된 후방 측벽 쪽으로 설치되며 전방을 향하여 자외선을 발산하는 자외선 LED 들이 설치되는 전자회로부(320)와, 바닥면과 바닥면의 테두리로부터 상향되게 형성된 측벽들에 의하여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삽입되되 후방측벽과 후방측벽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후방 상면부(355)로부터 이루어진 내통(350)으로 이루어지며, 전자회로부(320)는 하부통(310)의 바닥면과 후방 측벽과 내통(350)의 후방 측벽과 후방 상면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설치된다.
하부통(310)의 앞쪽에는 누름버튼(313)에 의하여 전, 후로 이동하는 걸림턱(314)을 갖는 개폐부가 설치되고, 뒤쪽의 상부에는 힌지(312)가 설치되고 힌지(312)와 결합된 상부덮개(330)가 하부통(310)의 상부를 개방시키거나 덮거나 하여 하부통(310)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킨다.
또한 하부통(310)의 뒤쪽 즉, 힌지(312)가 설치된 측벽 쪽에는 전자회로부(320)의 전자회로 기판(321)이 상하로 즉, 하부통(31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기판(321)의 전면에는 가시광 LED(411), 파장이 200~280㎚인 자외선 살균용 광을 발산하는 UV-C LED(412), 가시광 LED(413) 및 충전표시 수단인 충전표시 LED(414)가 횡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됨으로써 종래에 충전표시 LED 등이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기판(321)의 후면에는 앞에서 기재된 LED들을 구동시키는 전자회로, 스위치 동작회로 등 다양한 전자회로가 구현되어 있다.
또한 기판(321)의 전자회로는 제어회로가 내포되어 있고,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323), (324)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일 때에는 제어회로가 히터를 가동시켜 제습하도록 한다. 또한 기판(321)에는 하부통에 설치된 USB 코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회로는 USB 코넥터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였을 때 히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히터가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통(310)의 측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상단부에는 요홈(315)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축적된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반대편 측벽에는 칫솔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칫솔대 삽입부(316)가 설치된다.
또한 내통(350)은 하부통(310)의 측벽들과 기판(321)이 형성하는 공간에 수용되는 상부가 개구된 칫솔 거치공간부(351)를 형성하도록 바닥면(352)과, 바닥면(352)의 테두리로부터 상향되게 형성되는 측벽들로 이루어진다. 측벽들 중 전방에 형성된 전방측벽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전방 상면부(354)가 측벽들 중 후방에 형성된 후방측벽(353)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상면부(3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통(350)의 측벽은 하부통(310)의 내측에 삽입되되 내통의 후방측벽(353)과 하부통(310)의 후방 측벽 사이에 전기회로부(320)가 설치되고, 내통(350) 의 후방 상면부(355)는 전기회로부(320)의 상부를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통의 수분이 전자회로부(320)에 유입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방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통(350)은 칫솔모가 저장되는 칫솔 거치공간부(351)와 전자회로부(320)를 완전히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함으로써 칫솔 거치공간부(351)의 수분이 전자회로부(320)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내통(350)의 후방 측벽에는 횡방으로 절개되어 연통된 LED 표출부(356)가 형성되어 있다. LED 표출부(356)는 횡방향으로 절개되어 있어 전기회로부(320)의 가시광 LED(411), 자외선 발산용 UV-C LED(412), 가시광 LED (413) 및 충전표시 LED(414)의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되, UV-C LED(412)가 가장 크기 때문에 UV-C LED(412)가 설치된 위치와 대향되는 절개부위가 가장 크게 절개되어 있다.
또한 내통(350)의 전방 상면부(354)에는 개폐부의 걸림턱(314)이 통과되도록 관통구(357)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부의 측벽에는 칫솔대 삽입부(316)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358)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358)이 형성된 반대편 측벽에는 요홈(315)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 요홈(358) 형성되도록 하여 내부의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내통(350)의 후방 상면부(355)와, 상부 덮개(330)에는 각각 마그네틱 스위치(361), (36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이 접촉될 때 접촉신호를 전기회로부(320)에 공급하여 LED들의 살균기능을 개시하도록 한다.
또한 하부통(31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318)에는 원호 형상의 통풍구(319)가 복수개 형성되며, 내통(350)의 바닥면(352)에도 설치시에 통풍구(319)에 대향되는 통풍구(371)들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 내통(350)에 축적되는 수분이 통풍구들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300: 칫솔 살균기
310: 하부통
312: 힌지
313: 누름버튼
314: 걸림턱
315: 요홈
316: 칫솔대 삽입부
320: 전자회로부
321: 기판
330: 상부덮개
331: 투명창
350: 내통
352: 바닥면
354: 전방 상면부
355: 후방 상면부
361, 362: 마그네틱 스위치
319, 371: 통풍구

Claims (7)

  1. 내부에 수용된 칫솔의 칫솔모를 자외선 LED들에 의하여 살균시키는 칫솔 살균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통;
    상기 하부통의 상부의 일측에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상기 하부통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상부덮개;
    상기 하부통의 힌지가 설치된 후방 측벽 쪽에 설치되어 자외선 LED 광을 전방쪽으로 발산하는 전자회로부;
    바닥면과 바닥면의 테두리에 상향으로 형성된 측벽들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칫솔모가 삽입될 수 있도록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통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후방 측벽에 상기 자외선 LED 광이 통과하는 LED 표출부가 형성된 내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후방 측벽의 상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상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자회로부는 상기 하부통의 바닥면과 상기 하부통의 후방 측벽과 상기 내통의 후방 측벽과 상기 내통의 후방 상면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부의 전자회로 기판이 상기 하부통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판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시광 LED들과, 파장이 200~280㎚인 UV-C LED와, 충전표시 수단이 횡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LED 표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시광 LED들과 상기 UV-C LED, 상기 충전표시 수단으로부터 발산된 빛이 통과되도록 상기 내통의 후방 측벽에는 횡방으로 절개되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통의 측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상단부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통의 측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상단부에도 상기 요홈에 대응되게 형성된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통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에는 통풍구가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내통의 바닥면에도 상기 하부통의 통풍구와 대응되게 통풍구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부에는 상기 칫솔 살균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전기에 의하여 가열되는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전자회로부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값 이하일 때에는 상기 히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살균기.
KR1020200060765A 2020-05-21 2020-05-21 칫솔 살균기 KR102406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65A KR102406614B1 (ko) 2020-05-21 2020-05-21 칫솔 살균기
PCT/KR2020/010990 WO2021235601A1 (ko) 2020-05-21 2020-08-18 칫솔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65A KR102406614B1 (ko) 2020-05-21 2020-05-21 칫솔 살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39A true KR20210144039A (ko) 2021-11-30
KR102406614B1 KR102406614B1 (ko) 2022-06-08

Family

ID=7870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765A KR102406614B1 (ko) 2020-05-21 2020-05-21 칫솔 살균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6614B1 (ko)
WO (1) WO2021235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201B1 (ko) * 2021-11-26 2024-04-2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살균 칫솔
CN114158844A (zh) * 2021-12-08 2022-03-11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具有自动识别功能的口腔护理套装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507Y1 (ko) * 2004-01-19 2004-04-28 안병복 휴대형 칫솔 살균기
KR20140048790A (ko) * 2012-10-16 2014-04-24 황길하 휴대용 칫솔 살균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1519A (ko) * 2003-02-28 2003-04-21 이창화 벽걸이용 행주 살균건조기
KR200350321Y1 (ko) * 2004-02-11 2004-05-13 이레텍전자 주식회사 개인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20160066932A (ko) * 2014-12-03 2016-06-13 김성재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101965531B1 (ko) * 2018-04-23 2019-04-09 (주)엠테크윈 치약이 구비되는 자외선램프 설치 칫솔보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507Y1 (ko) * 2004-01-19 2004-04-28 안병복 휴대형 칫솔 살균기
KR20140048790A (ko) * 2012-10-16 2014-04-24 황길하 휴대용 칫솔 살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614B1 (ko) 2022-06-08
WO2021235601A1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614B1 (ko) 칫솔 살균기
KR200441777Y1 (ko) 양치질 유도용 칫솔 살균건조장치
KR200455929Y1 (ko)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적층형 조립식 신발장
KR20130021158A (ko) 자외선 살균 칫솔 뚜껑
KR100423950B1 (ko) 유에스비 포트를 내장한 휴대용 칫솔 살균 장치
KR200431597Y1 (ko) 휴대용 살균기
JP2005111034A (ja) 歯ブラシの滅菌装置
CN114504256A (zh) 牙刷杀菌器
KR20110063702A (ko) 칫솔 살균기
KR102501027B1 (ko) 자외선 led를 이용한 공기순환 칫솔살균기
KR100524125B1 (ko) 살균수단을 가지는 전동헤어커터기의 충전기
KR100919032B1 (ko)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200457189Y1 (ko)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102628677B1 (ko)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200419151Y1 (ko) 전동칫솔 살균건조 기능을 갖는 전동칫솔 충전 장치
KR200450264Y1 (ko) 스팀 살균기가 부착된 칫솔 건조기
KR20150011984A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피아노건반 덮개 살균기
KR200329200Y1 (ko) 위생 신발장
US11815302B2 (en) Sanit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EP4023971A1 (en) Air sanit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US20220205702A1 (en) Refrigerator
KR200324160Y1 (ko) 자외선 살균등이 부설된 수저통
KR20220058293A (ko) 자외선 칫솔 살균기
CN213428913U (zh) 牙刷座
KR20240000394U (ko) 듀얼파장을 이용한 자외선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