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702A -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702A
KR20210143702A KR1020210158274A KR20210158274A KR20210143702A KR 20210143702 A KR20210143702 A KR 20210143702A KR 1020210158274 A KR1020210158274 A KR 1020210158274A KR 20210158274 A KR20210158274 A KR 20210158274A KR 20210143702 A KR20210143702 A KR 20210143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result
search
icon
map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1727B1 (ko
Inventor
박효정
장원달
손정한
윤동진
유혜림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ublication of KR2021014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Navig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주변 검색 방법은 전자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검색요청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상에 지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검색요청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도 화면상에 표시될 검색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지도 화면을 복수의 타일(tile)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타일들 각각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상기 분할된 타일들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의 검색 결과 아이콘으로 표시하되, 하나의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의 수에 따라 상기 분할된 타일들 각각에 표시될 검색 결과 아이콘들을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ARBY SEARCH SERVICE USING POI CLUSTERING TECHNIQUES}
아래의 설명은 검색 기술에 관한 것으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의 주변검색으로는 다양한 사용자의 검색 조건을 충족 시키기 어렵다. 또한 번화가 지역 혹은 식당/카페 등과 같은 밀집도가 높은 업종을 검색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POI(Point Of Interest)를 선택하기가 어렵다.
밀집도가 높은 지역 일수록 검색 결과의 위치가 중첩되어 일부 검색 결과가 모두 표출되지 못할 수 있으며, 또한 검색 결과들이 모두 표출되는 경우, 종래기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POI를 선택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현재의 주변검색기능으로는 다중 업종 검색을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식당이면 식당, 주유소면 주유소와 같이 한 가지의 업종 검색만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가 현재 위치의 근처에서 기름을 넣고 식사 후 차를 마실 계획이라면, 주변검색의 횟수는 3회 이상일 확률이 높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한 가지의 업종 검색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다양한 목적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또한 업종과 명칭의 조인 검색이 제공되지 않아, 일부 명칭만 알고 있다던가, 가려는 곳의 정확한 업종을 모르는 경우가 있을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를 찾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05642호는 업종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네비게이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검색 요청된 업종을 식별하고 식별된 업종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검색 결과의 밀집도를 사용자들이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검색 결과가 중첩되는 경우에도 지도에서 보기 쉬우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POI를 쉽고 간편하게 선택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과 명칭간의 조인 검색이 가능하며, 다중 업종 검색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주변 검색 방법에 있어서, 전자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검색요청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상에 지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검색요청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도 화면상에 표시될 검색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지도 화면을 복수의 타일(tile)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타일들 각각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상기 분할된 타일들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의 검색 결과 아이콘으로 표시하되, 하나의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의 수에 따라 상기 분할된 타일들 각각에 표시될 검색 결과 아이콘들을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의 수가 증가할수록 대응하는 검색 결과 아이콘의 크기가 커지도록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들을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나의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의 수의 범위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들을 위한 복수의 등급들이 기설정되고, 상기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등급의 검색 결과 아이콘이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를 갖도록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들을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들 각각은 대응하는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의 수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변 검색 방법은 상기 지도 화면상의 고정된 위치에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지도 화면상의 지도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지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도 화면에 표시된 검색 결과 아이콘이 상기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영역내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영역 내로 이동된 검색 결과 아이콘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검색 결과는 N(상기 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카테고리별로 분리되어 관리되고, 상기 검색요청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N개의 카테고리 중 M(상기 M은 상기 N 이하의 자연수) 개의 카테고리를 선택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자 기기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M 개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검색요청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검색요청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하나의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의 카테고리가 서로 상이한 경우 동일한 카테고리의 검색 결과의 수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카테고리의 카테고리 아이콘이 상기 하나의 타일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아이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검색요청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하나의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가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경우,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이 상기 하나의 타일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아이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검색요청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복수의 카테고리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검색어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복수의 카테고리와 상기 검색어를 이용한 조인 검색을 통해 검색 결과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이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를 방문한 방문 이력이 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방문 이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방문 이력에 따른 수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검색 결과가 포함된 타일에 대응하는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을 다른 검색 결과 아이콘과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주변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전자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검색요청정보를 확인하는 검색요청정보 확인부; 상기 전자 기기의 화면상에 지도 화면을 표시하는 지도 화면 표시부; 상기 확인된 검색요청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도 화면상에 표시될 검색 결과를 확인하는 검색 결과 확인부; 상기 지도 화면을 복수의 타일(tile)들로 분할하는 지도 화면 분할부; 및 상기 분할된 타일들 각각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상기 분할된 타일들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의 검색 결과 아이콘으로 표시하되, 하나의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의 수에 따라 상기 분할된 타일들 각각에 표시될 검색 결과 아이콘들을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검색 결과 아이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검색 시스템을 제공한다.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한 표출로 인해 밀집도를 한 눈에 확인 할 수 있으며, 중첩된 POI의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업종검색을 한 번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다. 주변검색이 실시된 상태에서 지도를 움직이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검색이 수행되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변 검색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변 검색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변 검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결과 아이콘이 표시된 지도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도의 이동과 검색 결과 아이콘의 선택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변 검색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변 검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테고리의 선택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명칭검색에 따른 업종 결과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변 검색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동작 환경의 일례로, 전자 기기(110, 120, 130, 140), 서버(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나타내고 있다.
전자 기기(110, 120, 130, 140)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110, 120, 130, 140) 각각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전자 기기(110, 120, 130, 140)와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또는 복수의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50, 160)는 전자 기기(110, 120, 130, 14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 기기(110, 120, 130, 140)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코드를 전자 기기(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고, 전자 기기(110, 120, 130, 140)는 전자 기기(110, 120, 130, 140)가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공된 코드에 따라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10, 120, 130, 140)는 서버(150, 160)를 통해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미리 다운로드 받아 저장해놓고, 저장된 데이터와 전자 기기(110, 120, 130, 14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하나의 전자 기기(110)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문서에 개시되는 기술적 사상은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자 기기(11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30)을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모듈(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기기 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프로세서(220)에서 발생한 요청 메시지가 통신 모듈(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 16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 160)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네트워크(170)를 거쳐 통신 모듈(230)을 통해 수신되어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전자 기기(110)가 더 포함하거나 또는 전자 기기(110)와 연계될 수 있는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장치로는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널,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출력 장치로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의 처리에 따라 구성된 주변 검색 서비스 화면(250)이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나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변 검색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변 검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변 검색 시스템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전자 기기(11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20)가 검색요청정보 확인부(310), 지도 화면 표시부(320), 검색 결과 확인부(330), 지도 화면 분할부(340) 및 검색 결과 아이콘 표시부(350)를 포함하도록 구현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도 4의 주변 검색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410 내지 450)을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통해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계(410)에서 검색요청정보 확인부(310)는 전자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검색요청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기기는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110)에 대응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게 검색요청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검색어를 검색요청정보로서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검색요청정보 확인부(3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검색어를 검색요청정보로서 확인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지도 화면 표시부(320)는 전자 기기의 화면상에 지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지도 화면은 전자 기기의 현재 위치와 연관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요청정보와 연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도 화면 표시부(320)는 전자 기기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지도 화면을 전자 기기의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기반으로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지도 화면을 전자 기기의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변 검색 시스템은 현재 위치의 주변을 검색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위치 주변을 검색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도 화면은 필요한 지도 화면을 서버(150 또는 160)를 통해 실시간으로 다운로드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고, 미리 서버(150 또는 160)를 통해 다운로드 및 저장하고, 필요한 시점에 로딩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430)에서 검색 결과 확인부(330)는 확인된 검색요청정보에 기반하여 지도 화면상에 표시될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검색요청정보는 사용자가 주변 검색을 위해 검색 결과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검색어 역시 검색 결과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의 일례가 될 수 있으며, 업종과 같은 카테고리 역시 검색 결과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의 일례가 될 수 있다.
이때, 검색 결과로서 제공될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관리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일실시예로 앞서 설명한 서버(150 또는 160)에 구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 결과 확인부(33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 또는 160)에 접속하여 검색요청정보를 전달하고 서버(150 또는 160)는 검색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전자 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데이터베이스는 전자 기기에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는 서버(150 또는 160)로부터 미리 검색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놓을 수 있다. 이 경우 검색 결과 확인부(330)는 전자 기기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요청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지도 화면 분할부(340)는 지도 화면을 복수의 타일(tile)들로 분할할 수 있다. 일례로 지도 화면 분할부(340)는 위도와 경도에 기반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 화면을 복수의 타일들로 분할할 수 있다. 이러한 지도 화면은 화면에는 표시되지 않도록 가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지도 화면의 분할에 따라 구획되는 각각의 영역들을 타일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일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지도 화면의 축척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지도 화면의 축적과 무관하게 항상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 타일들의 크기는 지도 화면에서 항상 일정한 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의 위도 n(상기 n은 양의 유리수)도와 경도 m(상기 m은 양의 유리수)도 단위마다 그리드(grid) 형태로 영역들이 기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지도 화면 분할부(340)는 단계(440)에서 기분할된 영역들과 지도 화면의 영역들간의 매칭을 통해 지도 화면을 복수의 타일들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타일이 항상 지도 화면의 동일한 면적에 대응하기 때문에 지도 화면에서의 타일의 크기(지도 화면에 표시되지는 않음)는 지도 화면의 현재 축척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 경우 동일한 타일에 포함되는 검색 결과의 수는 지도 화면의 축척 변화와 무관하게 동일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타일들의 크기는 전자 기기(110)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또는 해상도)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이 복수의 영역(일례로 그리드(grid) 형태)으로 기분할될 수 있다. 이때, 지도 화면 분할부(340)는 단계(440)에서 현재 화면에 표시된 지도 화면에 대한 타일들을 지도 화면과 기분할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영역간의 매칭을 통해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지도 화면의 축척이 달라지는 경우 하나의 타일에 매칭되는 지도 화면의 면적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타일에 포함되는 검색 결과들의 수가 지도 화면의 축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단계(450)에서 검색 결과 아이콘 표시부(350)는 분할된 타일들 각각에 포함된 검색 결과를 분할된 타일들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의 검색 결과 아이콘으로 표시하되, 하나의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의 수에 따라 분할된 타일들 각각에 표시될 검색 결과 아이콘들을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타일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 결과들을 그 개수와 무관하게 하나의 검색 결과 아이콘으로 표시함으로써 지도 화면상에 다수의 검색 결과들을 표시함에 따른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검색 결과의 수에 따라 표시되는 검색 결과 아이콘들이 차별화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직관적으로 검색 결과의 수가 많은 영역(타일)을 알아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타일에 5개의 검색 결과가 포함되고 제2 타일에 10개의 검색 결과가 포함된 경우 제1 타일에 표시될 검색 결과 아이콘과 제2 타일에 표시될 검색 결과 아이콘은 서로 차별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의 수가 증가할수록 대응하는 검색 결과 아이콘의 크기가 커지도록 차별화하여 표시한다면, 제2 타일에 표시되는 검색 결과 아이콘의 크기는 제1 타일에 표시되는 검색 결과 아이콘보다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눈에 제2 타일의 영역에 더 많은 검색 결과들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아볼 수 있게 된다.
검색 결과 아이콘들을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의 수가 증가할수록 대응하는 검색 결과 아이콘의 크기가 커지도록 검색 결과 아이콘들을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것이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의 서로 다른 수마다 검색 결과 아이콘의 크기를 달리하는 것보다는 수의 범위에 따라 검색 결과 아이콘들을 위한 복수의 등급들을 미리 설정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의 수가 1개인 경우에는 c등급, 2~40개인 경우에는 b등급, 41개 이상인 경우에는 a등급이 주어지도록 기설정하고, c등급의 검색 결과 아이콘보다 b등급의 검색 결과 아이콘이 더 크게 표시되고, b등급의 검색 결과 아이콘보다 a등급의 검색 결과 아이콘이 더 크게 표시되도록 검색 결과 아이콘들을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등급의 수 그리고 검색 결과의 수의 범위는 다양하게 기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결과 아이콘이 표시된 지도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지도 화면(500)은 복수의 검색 결과 아이콘들이 표시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주변 검색 시스템은 지도 화면(500)을 복수의 타일들로 분할하고, 타일들 각각에서 해당 지역내의 검색 결과의 밀집도(검색 결과의 수)를 측정하여 하나의 타일(하나의 지역) 내의 검색 결과들을 하나의 검색 결과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결과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하는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의 수를 나타내는 지시자(일례로, 제1 지시자(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시자(550)가 나타내는 숫자 '7'은 해당 검색 결과 아이콘들에 대응하는 타일에 검색 결과가 7개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검색 결과가 포함된 타일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아이콘에만 지시자가 포함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지도 화면(500)에 나타난 제1 검색 결과 아이콘(510), 제2 검색 결과 아이콘(520) 및 제3 검색 결과 아이콘(530)은 그 크기가 서로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a등급, b등급, c등급의 예에서 제1 검색 결과 아이콘(510)은 1개의 검색 결과에 대응하기 때문에 c등급으로, 제2 검색 결과 아이콘(520)은 18개의 검색 결과에 대응하기 때문에 b등급으로, 제3 검색 결과 아이콘(530)은 65개의 검색 결과에 대응하기 때문에 a등급으로 각각 설정되고, 그 크기가 c등급, b등급, a등급의 순서로 점점 더 커짐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3 검색 결과 아이콘(530)이 표시된 지역에 검색 결과들이 많이 밀집해 있음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540)는 검색 결과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환경의 디스플레이에 지도 화면(500)이 표시된 경우 지도 화면(50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드래그(touch & drag) 이벤트는 지도의 이동을 야기할 수 있다. 이때,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540)는 화면의 중앙 위치에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하나의 검색 결과 아이콘이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540)의 표시 영역에 위치하도록 지도를 이동시키는 경우 자동으로 해당 검색 결과 아이콘이 포함하는 검색 결과들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해당 타일의 지역에 대한 지도가 확대된 새로운 지도 화면이 구성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검색 결과 아이콘(530)이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540)의 표시 영역에 위치하도록 지도가 이동된 경우 주변 검색 시스템은 자동으로 제3 검색 결과 아이콘(530)에 대응하는 타일의 지역에 대한 새로운 지도 화면을 구성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지도 화면에는 제3 검색 결과 아이콘(530)에 대응하는 65개의 검색 결과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도의 이동과 검색 결과 아이콘의 선택 과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제1 화면(600)은 제1 검색 결과 아이콘(610)을 포함하는 두 개의 검색 결과 아이콘들과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620)가 표시된 지도 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제1 검색 결과 아이콘(610)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보기 위해 화살표(630) 방향으로 지도를 터치 앤 드래그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의 제2 화면(700)과 같이 지도가 이동되어 제1 검색 결과 아이콘(610)이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620)의 영역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검색 결과 아이콘(610)이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620)의 영역 내로 이동됨은 제1 검색 결과 아이콘(610)이 나타내는 위치(일례로, 대응하는 타일의 중심 위치)가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620)의 영역 내로 이동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검색 시스템은 제1 검색 결과 아이콘(610)이 포함하는 세 개의 검색 결과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자동으로(별도의 사용자 인터렉션 없이) 지도를 확대할 수 있다.
도 8의 제3 화면(800)은 제2 화면(700)에서 지도가 확대되어 제1 검색 결과 아이콘(610)이 포함하는 세 개의 검색 결과들에 대응하는 세 개의 검색 결과 아이콘들(810, 820, 830)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새로운 지도 화면은 복수의 타일들로 분할될 수 있고, 복수의 타일들 각각에 포함된 검색 결과들이 다시 하나의 검색 결과 아이콘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변 검색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변 검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변 검색 시스템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전자 기기(110)에 대응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220)가 포함하는 검색요청정보 확인부(310), 지도 화면 표시부(320), 검색 결과 확인부(330), 지도 화면 분할부(340) 및 검색 결과 아이콘 표시부(350)를 포함하고,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부(910), 지도 이동부(920) 및 추가 정보 제공부(930)를 더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부(910), 지도 이동부(920) 및 추가 정보 제공부(930)는 도 10의 단계들(1010 내지 1030)을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통해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계(1010)에서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부(910)는 지도 화면상의 고정된 위치에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1010)는 도 4의 단계(420)를 통해 지도 화면이 표시된 이후에 또는 지도 화면의 표시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단계(1020)에서 지도 이동부(9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지도 화면상의 지도를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1020)는 단계(1010) 이후에 사용자의 입력(일례로, 지도 화면에 대한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1030)에서 추가 정보 제공부(930)는 지도의 이동에 따라 지도 화면에 표시된 검색 결과 아이콘이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영역내로 이동되는 경우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영역 내로 이동된 검색 결과 아이콘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검색 결과에 대한 추가 정보는 리스트의 형태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지도를 확대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화면(1100)은 검색 결과 아이콘이 선택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영역내로 이동되는 경우에 검색 결과 아이콘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에 대한 추가 정보를 리스트의 형태로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리스트의 개별 정보들은 해당 검색 결과의 상세 정보 페이지로의 링크가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의 지도 화면에 다수의 검색 결과가 포함된다 하더라도 하나의 영역(하나의 타일로 분할된 영역)에 포함된 검색 결과를 하나의 검색 결과 아이콘으로 표시함으로써 지도 화면상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색 결과의 수에 따라 검색 결과 아이콘을 차별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직관적으로 검색 결과의 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지도를 이동시키는 것 만으로도 검색 결과 아이콘에 포함된 검색 결과에 대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검색 결과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검색 결과들은 N개의 카테고리별로 분리되어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도 3을 통해 설명한 검색요청정보 확인부(310)는 N개의 카테고리 중 M(M은 N 이하의 자연수) 개의 카테고리를 선택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자 기기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M 개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검색요청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테고리의 선택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화면 예(1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종에 대해 기설정된 21 개의 카테고리들 중 3 개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카테고리의 선택과 함께 검색어 "제주"를 입력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주유소에 들려서 주유를 한 후에 식사를 하고, 숙소를 찾아가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주유소를 찾고, 식당을 찾은 후 숙박업소를 찾을 필요 없이 도 1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하는 업종을 한번에 입력하여 검색 결과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제3 검색 결과 아이콘(530)에는 주유소와 식당 그리고 숙박업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음을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들을 이용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를 위해 검색요청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고, 도 3의 검색 결과 확인부(330)는 선택된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하나의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가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경우,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이 하나의 타일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아이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의 제3 검색 결과 아이콘(530)은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이 하나의 타일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아이콘에 포함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하나의 타일에 포함된 검색 결과의 카테고리가 서로 상이한 경우 동일한 카테고리의 검색 결과의 수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카테고리의 카테고리 아이콘이 하나의 타일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아이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검색 결과 아이콘(530)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들 중 식당에 대한 검색 결과가 가장 많은 경우 식당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아이콘만이 제3 검색 결과 아이콘(53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검색요청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검색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검색 결과 확인부(330)는 선택된 복수의 카테고리와 검색어를 이용한 조인 검색을 통해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어 "제주시"와 업종 "숙박업소"의 조인 검색을 통해 "제주시의 숙박업소"가 검색되어 검색 결과가 확인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명칭검색에 따른 업종 결과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제1 화면(1310)은 사용자가 검색어 "성산"을 입력함에 따라 검색어 "성산"을 포함하는 명칭을 가진 다양한 업종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 화면(1320)은 사용자가 리스트의 검색 결과 중 하나("삼대국수회관성산점")를 선택함에 따라 해당 검색 결과에 대한 상세 정보가 제공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POI 클러스터링을 통해 명칭과 업종(카테고리)간의 조인 검색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명칭을 통해 업종에 대해 분류된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변 검색 시스템은 서버(150 또는 160)가 수집하는 방문 이력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이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위치를 방문한 방문 이력이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들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들이 어떠한 위치를 방문했는가에 대한 방문 이력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도 3의 검색 결과 아이콘 표시부(350)는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방문 이력을 수신하고, 방문 이력에 따른 수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검색 결과가 포함된 타일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아이콘을 다른 검색 결과 아이콘과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이 자주 방문하는 검색 결과에 대해서는 검색 결과 아이콘의 색이나 크기 모양 등을 달리함으로써 해당 검색 결과가 사용자들에게 인기 있는 검색 결과임을 알려줄 수 있다. 기존에는 단순히 사용자들이 많이 검색했던 검색 결과나 파워 블로거 등과 같이 영향력 있는 사용자들의 리뷰를 활용했다면, 본 실시예를 통해서는 실제로 사용자들이 많이 방문한 검색 결과를 다른 검색 결과와 차별화하여 표시함으로써 보다 높은 질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한 표출로 인해 밀집도를 한 눈에 확인 할 수 있으며, 중첩된 POI의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주변 검색 시스템은 다양한 업종검색(3개)을 한 번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다. 주변 검색 시스템은 주변검색이 실시된 상태에서 지도를 움직이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검색이 수행되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지도에 대한 검색 결과 항목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검색 결과 항목들을 적어도 하나의 검색 결과 아이콘과 연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지도의 지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 화면은, 상기 전자 기기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하거나, 상기 검색어를 기반으로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은,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과 연관되는 검색 결과 항목의 수에 따라 상이한 형태를 갖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은,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과 연관되는 검색 결과 항목의 수가 증가할수록 더 큰 크기를 갖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은,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과 연관되는 검색 결과 항목의 수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항목들의 각각은 상기 지도의 POI인, 검색 결과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시키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검색 결과 항목들 중 상기 지도의 가상으로 분할된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제1 검색 결과 항목들을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1 검색 결과 아이콘과 연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검색 결과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지도 화면을 표시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은, 기 설정된 복수의 등급들 중에서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과 연관되는 검색 결과 항목의 수에 대응하는 등급에 해당하는 크기 또는 색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청 정보에 기반한 상기 지도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제공되는 상기 검색 결과 항목들은 상기 전자 기기와 통신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에 대한 선택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과 연관된 검색 결과 항목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는 상기 리스트가 포함하는 검색 결과 항목의 각각에 대한 상세 정보 페이지로의 링크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시키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검색 결과 항목들을 각 검색 결과 항목의 위치에 기반하여 클러스터링하여, 적어도 하나의 검색 결과 항목을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과 연관시키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
  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검색 요청 정보에 기반하여, 지도에 대한 검색 결과 항목들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검색 결과 항목들을 적어도 하나의 검색 결과 아이콘과 연관시키고,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지도의 지도 화면을 상기 전자 기기에서 표시하도록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지도 화면은, 상기 전자 기기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하거나, 상기 검색어를 기반으로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은, 상기 검색 결과 아이콘과 연관되는 검색 결과 항목의 수에 따라 상이한 형태를 갖는, 전자 기기.
KR1020210158274A 2015-03-13 2021-11-17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41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35301 2015-03-13
KR1020150035301 2015-03-13
KR1020150078232A KR102329545B1 (ko) 2015-03-13 2015-06-02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232A Division KR102329545B1 (ko) 2015-03-13 2015-06-02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702A true KR20210143702A (ko) 2021-11-29
KR102441727B1 KR102441727B1 (ko) 2022-09-13

Family

ID=571026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232A KR102329545B1 (ko) 2015-03-13 2015-06-02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0210158274A KR102441727B1 (ko) 2015-03-13 2021-11-17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232A KR102329545B1 (ko) 2015-03-13 2015-06-02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9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619B1 (ko) * 2018-03-12 2020-02-19 네이버 주식회사 위치기반 정보탐색 방법 및 시스템
CN110659337B (zh) * 2018-06-13 2022-09-2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电子地图显示方法和装置
KR102599270B1 (ko) * 2018-12-27 2023-11-07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oi 지도 표기 장치 및 방법
CN112379806B (zh) * 2020-11-27 2024-04-16 平安国际智慧城市科技股份有限公司 农事活动的标记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7553A (ko) * 2013-09-04 2015-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OI〔Point of Interest〕속성정보의 동적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POI 속성정보의 가시화 갱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6715B2 (en) 2009-11-30 2013-02-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ile mapping techniqu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7553A (ko) * 2013-09-04 2015-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OI〔Point of Interest〕속성정보의 동적 가시화 시스템 및 방법, POI 속성정보의 가시화 갱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545B1 (ko) 2021-11-25
KR20160110877A (ko) 2016-09-22
KR102441727B1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727B1 (ko)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0738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arby search service using POI clustering scheme
KR102268942B1 (ko) 맵 상호작용, 서치 및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서버 및 단말기
KR101434888B1 (ko) 위치 기반의 타깃 컨텐츠를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EP2748561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items on multiple floors in multi-level maps
CN104239396B (zh) 一种搜索电子地图上业务对象的方法和装置
US86886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ferred services in nomadic environments
KR101891582B1 (ko) 컨텐츠 내 하이라이트 댓글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02963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data based on block
EP31032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ing geofences
KR102128320B1 (ko) 주변 검색 결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603665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ambiguation of Location Entities Associated with the Current Geographic Location of a Mobile Device
EP3241158A1 (en) Permitted assignment user interface
KR20170030379A (ko) 사용자 선호에 맞춘 여행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718628B1 (ko) 지도 화면에서 벗어난 관심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EP3475849A1 (en) Database search optimizer and themed filters
KR20180056716A (ko) 지오펜싱 검색 결과에 기반한 통지 제공
JP2019016393A (ja) アイテム選択の曖昧性を解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30122424A (ko) 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3778209A (zh) 一种poi检索结果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160085332A (ko) 디지털 콘텐츠 리스팅의 제공 기법
JP2012242237A (ja) 経路沿い施設検索システム及び経路沿い施設検索方法
US10168166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US11880417B2 (e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map service, and file distribution system
KR101874049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