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271A - 자원 결정 방법, 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원 결정 방법, 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271A
KR20210143271A KR1020217034315A KR20217034315A KR20210143271A KR 20210143271 A KR20210143271 A KR 20210143271A KR 1020217034315 A KR1020217034315 A KR 1020217034315A KR 20217034315 A KR20217034315 A KR 20217034315A KR 20210143271 A KR20210143271 A KR 20210143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bandwidth
scheduling
unit
networ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궈위 장
친옌 장
즈요시 시모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43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원 결정 방법, 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는 대역폭 간격 자원이 대역폭 스케줄링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원 결정 방법, 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통신 기술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의 eLAA(enhanced licensed assisted access)에서는, 무허가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업링크 송신 메커니즘이 도입되었다. 점유 채널 대역폭(occupied channel bandwidth, OCB) 및 전력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um density, PSD)의 필요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인터레이스(Interlace)는 eLAA에서 업링크 송신 자원 할당의 기본 유닛으로 채택된다.
도 1은 LTE의 20MHz 대역폭에서의 인터레이스 구조의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인터레이스는 10개의 자원 블록(RB)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10개의 자원 블록들은 20MHz 대역폭에서 동일하게 스페이싱된다. 예를 들어, Interlace 0은 RB0, RB10, RB20,..., RB90으로 구성된다.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장비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업링크 스케줄링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장비에 하나 이상의 인터레이스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eLAA의 데이터 송신은 캐리어 결합(carrier aggregation)의 프레임워크에서 수행되는데, 즉 단말 장비는 먼저 허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액세스하고, 그런 다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허가 주파수 대역들의 캐리어들을 단말 장비에 할당하며, 각각의 캐리어는 캐리어 상에서 송신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스케줄링 제어 시그널링을 필요로 한다.
NR(New Radio)의 Rel.15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자원 할당의 유닛은 RBG(Resource Block Group)이다. 캐리어 대역폭에 포함되는 자원 블록들의 수에 따라, 자원 블록 그룹에 포함되는 자원 블록들의 수는 {2, 4, 8, 16}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고; 캐리어의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의 주파수 영역 위치에 따라, 대역폭 부분에 포함되는 RBG들의 수는 계산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배경의 상기 설명은 단지 본 개시의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 및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공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기술 솔루션은 그것이 본 개시의 배경에서 설명되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것이라고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자원 할당 및 스케줄링을 수행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장비의 (간격 대역폭 자원들(spacing bandwidth resources)과 같은) 일부 자원들이 스케줄링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이해들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따라서, 스펙트럼 자원들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질 수 없고, 자원 활용도는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없다.
상기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자원 결정 방법, 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단말 장비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비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단말 장비에 의해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결정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부 -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및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부
를 포함하는 자원 결정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장비에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는 단말 장비에 의해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단말 장비에 의해 적어도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에 따르면,
표시 정보를 단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표시 정보는 단말 장비에 의해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송신부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비에 더 송신하고,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단말 장비에 의해 적어도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자원 스케줄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제5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장비; 및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이점은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여 -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한다는 것에 존재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장비는 스펙트럼 자원들에 대한 합의를 이룰 수 있고, 자원 활용도는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상세히 개시되고, 본 개시의 원리 및 사용의 방식들이 표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용어들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들, 수정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 및/또는 예시되는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및/또는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동일한 방식으로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포함하다(comprise)/포함하다(include)"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지정하기 위해 취해진 것이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컴포넌트들 또는 그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도면 또는 실시예에 도시되는 요소들 및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추가 도면들 또는 실시예들에 도시되는 요소들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도면들에서, 비슷한 참조 번호들은 여러 뷰들에 걸친 대응하는 부분들을 지정하고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비슷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지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LTE의 20MHz 대역폭에서의 인터레이스 구조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NR Rel.15의 BWP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자원 결정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BWP 및 대역폭 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BWP 및 대역폭 유닛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BWP 및 대역폭 유닛의 추가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인터레이스 분할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인터레이스 분할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대역폭 유닛을 검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대역폭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BWP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BWP의 추가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BWP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자원 스케줄링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자원 결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자원 스케줄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 장비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의 이러한 양태들 및 특징들과 추가 양태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백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일부 방식들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상세하게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에 대응하는 범위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용어들 내에서 오는 모든 변경들, 수정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들은 상이한 요소들을 명칭들에 관해 구분하는 데 사용되고, 이러한 요소들의 공간적 배열 또는 시간적 순서들을 표시하지 않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들은 하나 이상의 관련되어 나열된 용어 중 임의의 것 및 그들의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포함하다(contain)", "포함하다(include)" 및 "갖는다"는 용어들은 명시된 특징들, 요소들, 컴포넌트들, 또는 어셈블리들의 존재를 나타내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컴포넌트, 또는 어셈블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a", 및 "the" 등의 단수형들은 복수형들을 포함하며, 넓은 의미에서 "일종의(a kind of)" 또는 "일 유형의(a type of)"로 이해되어야 하지만, "하나"의 의미로 정의되어서는 안 되고; "the"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단수형 및 복수형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에 따라"라는 용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 따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에 기반하여"이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 기반하여"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다음의 통신 표준들 중 임의의 하나를 만족시키는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및 고속 패킷 액세스(high-speed packet access, HSPA) 등.
그리고 통신 시스템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은 임의의 단계에서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다음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1G(genescalen), 2G, 2.5G, 2.75G, 3G, 4G, 4.5G, 5G 및 장래의 NR(new radio) 등 및/또는 현재 알려져 있거나 장래에 개발될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단말 장비를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시키고 단말 장비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음의 장비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BS), 액세스 포인트(AP), 송신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방송 송신기, 모바일 관리 엔티티(mobile management entity, MME), 게이트웨이, 서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등.
기지국은 노드 B(NodeB 또는 NB), 진화된 노드 B(eNodeB 또는 eNB) 및 5G 기지국(gNB)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RRU), 릴레이, 또는 (펨토(femto), 및 피코(pico) 등과 같은) 저-전력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그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기지국은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셀"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및/또는 그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고, 이는 서빙 셀(serving cell)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의 맥락에 따라 매크로 셀(macro cell) 또는 피코 셀(pico cell)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또는 "단말 장비(terminal equipment, TE) 또는 단말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수신하는 장비를 지칭한다. 단말 장비는 고정식이거나 이동식일 수 있고, 모바일 스테이션(MS), 단말(terminal),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 스테이션(station)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단말 장비는 다음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휴대폰, 개인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 머신형 통신 디바이스, 랩톱, 무선 전화기, 스마트 휴대폰, 스마트 워치, 디지털 카메라 등.
또 다른 예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등의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장비는 모니터링 또는 측정을 수행하는 머신 또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머신형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 MTC) 단말, 차량 탑재 통신 단말, D2D(device to device) 단말, M2M(machine to machine) 단말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측"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이라는 용어는 네트워크의 일측을 지칭하고, 이는 특정 기지국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측" 또는 "단말 측" 또는 "단말 장비 측"이라는 용어는 특정 UE일 수 있는 사용자 또는 단말의 측을 지칭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단말 장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시나리오들은 예들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로서,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예들로 취해지는 경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01) 및 단말 장비들(102, 103)을 포함할 수 있다. 단순화를 위해, 2개의 단말 장비들과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만을 갖는 예가 도 2에 개략적으로 주어지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기존 트래픽들 또는 장래에 구현될 수 있는 트래픽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와 단말 장비들(102, 103)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트래픽은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대규모 머신형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매우 안정적이고 레이턴시가 낮은 통신(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2개의 단말 장비들(102, 103)이 모두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의 커버리지 내에 있다는 것을 도시하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2개의 단말 장비들(102 및 103)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의 커버리지 내에 있지 않을 수 있거나, 하나의 단말 장비(10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다른 단말 장비(103)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의 커버리지 밖에 있다.
도 3은 NR Rel.15의 BWP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 블록 그룹 크기가 4RB인 캐리어에서, 대역폭 부분은 공통 RB 14부터 공통 RB 64까지 51개의 RB들을 포함하므로, 대역폭 부분은 총 14개의 자원 블록 그룹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자원 블록 그룹(RBG 0)은 2개의 RB들을 포함하고, 마지막 자원 블록 그룹(RBG 13)은 1개의 RB를 포함하고, 다른 자원 블록 그룹들은 4개의 RB들을 포함한다.
NR Rel.15에서, 2개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자원 할당 모드들(모드 0 및 모드 1)이 포함된다. 모드 0은 비트맵을 통해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의 RBG 스케줄링 조건을 표시하고, 모드 1은 자원 표시 값(resource indication value, RIV)을 통해 시작 RBG 및 복수의 스케줄링된 연속 RBG들에서의 RBG의 수를 표시한다.
3GPP RAN4의 90bis 회의에서, 무허가 스펙트럼에 대한 NR-기반 액세스가 20MHz보다 많은 대역폭을 갖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를 지원하는 것으로 합의가 이루어졌다(단일 캐리어 주파수의 대역폭은 복수의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들을 포함한다).
무허가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때, 간섭을 피하기 위해, 송신 디바이스는 채널 유휴 검출을 수행할 필요가 있고, 송신될 데이터가 위치되는 주파수 대역이 유휴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검출되는 때만(즉,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 스펙트럼을 점유하는 다른 디바이스가 존재하지 않음), 송신 디바이스는 이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송신 디바이스는 이 주파수 스펙트럼을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은, 예를 들어 송신 디바이스가 무허가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채널 유휴 검출을 위한 주파수-영역 유닛이며, 이는 예를 들어 20MHz일 수 있거나 20MHz의 정수 배일 수 있다.
도 4는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의 개략도이다. 단일 캐리어 주파수 대역폭의 20MHz를 초과하는 큰-대역폭 송신은 2개의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1이 사용될 때, 스케줄링 대역폭은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들의 채널들이 유휴인 것으로 검출되는 때만 데이터를 송신하고; 모드 2가 사용될 때, 데이터는 유휴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는 채널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대역폭 유닛들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들 중 일부만 유휴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면, 데이터는 유휴 상태인 것으로 검출되는 이러한 대역폭 유닛들 상에서 송신된다.
위의 2개의 모드들에 관하여, 대역 외 방사가 인접 주파수 대역들에 간섭을 야기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송신 대역폭의 양쪽에서 간격 대역폭(또는 보호 대역폭이라고도 지칭됨) 자원들을 비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방법 2의 경우, 실제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대역폭 유닛이 채널 유휴 검출 전에는 결정될 수 없으므로, 간격 대역폭 자원들은 각각의 대역폭 유닛의 양쪽에 비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간격 대역폭 자원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장비의 스케줄링 가능한 것인지 여부에 대한 이해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스펙트럼 자원들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질 수 없고, 자원 활용도는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없다.
무허가 주파수 대역의 자원들을 예로 들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허가 주파수 대역들의 자원들에 대해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여전히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1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자원 결정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단말 장비 측으로부터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자원 결정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501: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며,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502: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503: 단말 장비는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를 단지 개략적으로만 예시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실행의 순서가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고, 또한, 일부 다른 동작들이 추가되거나, 그 안의 일부 동작들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포함되는 것에 제한되는 것 없이,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는 또한 능력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할 수 있고, 능력 정보는 적어도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에 따라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할 능력을 갖는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위의 모드 2에서, 송신 대역폭은 채널 검출 직후에 조정되며, 이는 UE의 처리 능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기지국에 보고되는 능력 정보에서, UE는 채널 유휴 검출 결과에 따라 스케줄링 대역폭이 변하는 것을 UE가 지원하는지에 대한 능력 정보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서, 간격 대역폭 자원은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일 수 있거나, 간격 대역폭 자원은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 이외의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일 수 있다. 자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RBs), 또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 그룹들(RBGs),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subcarrier)일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자원 할당은 이하에서 먼저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은 단말 장비에 대해 구성되는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된다(다음의 설명은 부대역(subband)을 예로 들어 주어질 것이다).
실시예에서, 대역폭 부분(BWP)은 BWP의 시작 자원 블록 및 자원 블록들의 수를 표시하는 정보로 더 구성되며, 대역폭 유닛에 속하지 않는 BWP의 자원 블록들은 간격 대역폭 자원들로 취해진다.
예를 들어, BWP의 시작 공통 RB와 그 안에 포함된 공통 RB의 개수가 먼저 구성된 후, BWP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이 구성된다. BWP의 대역폭 유닛에 속하지 않는 RB들은 간격 대역폭 자원들로 간주될 수 있다. 표 1은 BWP 정보 요소(IE)의 예를 보여준다.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subband는 대역폭 유닛을 나타내고, locationAndBandwidth는 BWP의 시작 자원 블록 및 자원 블록들의 수를 표시한다.
BWP ::= SEQUENCE {
locationAndBandwidth INTEGER (0..37949),
subcarrierSpacing SubcarrierSpacing,
cyclicPrefix ENUMERATED { extended } OPTIONAL -- Need R
subband SEQUENCE (SIZE (1..maxsubband)) OF Subband
}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대역폭 유닛에 포함되는 자원 블록들은 BWP의 자원 블록들로 간주되고, 대역폭 유닛들 이외의 자원 블록들은 간격 대역폭 자원들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BWP에 포함되는 공통 RB들은 BWP의 구성 정보에서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이 구성되며, 구성 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에 포함되는 공통 RB들은 BWP에 포함되는 RB들이다. 2개의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공통 RB들은 간격 대역폭 자원들로 간주될 수 있다. 표 2는 BWP IE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며; 표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subband는 대역폭 유닛을 나타낸다.
BWP ::= SEQUENCE {
subband SEQUENCE (SIZE (1..maxsubband)) OF Subband
subcarrierSpacing SubcarrierSpacing,
cyclicPrefix ENUMERATED { extended } OPTIONAL -- Need R
}
실시예에서, 간격 대역폭 자원들의 구성 정보는 BWP의 구성 정보에 더 포함되고 임의적 구성으로 간주되며,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유닛 및/또는 구성된 간격 대역폭 자원들은 BWP의 자원들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BWP에 포함되는 공통 RB들은 BWP의 구성 정보에서 구성되고, BWP의 구성 정보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유닛에 더해, 간격 대역폭 자원들이 더 선택되고 구성되며, 그러면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에 포함되는 공통 RB들 및 간격 대역폭은 BWP에 포함되는 RB들이고;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이 BWP의 구성 정보에서 구성되고, 아무 간격 대역폭 자원도 선택되어 구성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의 공통 RB들은 BWP에 포함되는 RB들이다. 표 3은 BWP IE의 추가 예를 보여주고;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subband는 대역폭 유닛을 나타내고, guardband는 간격 대역폭을 나타낸다.
BWP ::= SEQUENCE {
subband SEQUENCE (SIZE (1..maxsubband)) OF Subband
guardband SEQUENCE (SIZE (1..maxguardband)) OF Guardband OPTIONAL
subcarrierSpacing SubcarrierSpacing,
cyclicPrefix ENUMERATED { extended } OPTIONAL -- Need R
}
실시예에서, 대역폭 유닛은 시작 자원 블록 및 자원 블록들의 수를 표시하는 정보로 구성되거나; 대역폭 유닛은 시작 자원 블록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다.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은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자원 블록을 포함할 수 있거나,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되는 임의의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은 동일한 자원 블록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작 공통 RB, 및 포함된 공통 RB들의 수가 구성될 수 있거나, 하나의 대역폭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을 포함하고, 하나의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에 포함되는 RB들의 수가 미리 정의된 값일 수 있다. 시작 공통 RB, 및 대역폭 유닛에 포함되는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들의 수(즉, 미리 정의된 값들의 수)가 구성될 수 있다. 표 4는 subband IE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고; 표 4에서 보여지는 같이, subband는 대역폭 유닛을 표시하고, locationAndBandwidth는 시작 자원 블록 및 subband의 자원 블록들의 수를 표시한다.
Subband ::= SEQUENCE {
locationAndBandwidth INTEGER (0..x),
}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BWP 및 대역폭 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BWP에서 구성되는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의 크기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또한,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은 동일한 공통 R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BWP 및 대역폭 유닛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BWP에서 구성된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의 크기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또한, BWP에서 구성된 임의의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은 동일한 공통 RB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대역폭 유닛은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이고, 하나의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에 포함되는 RB들의 수는 미리 정의된 값이고, 대역폭 유닛의 구성 정보는 대역폭 유닛의 시작 RB를 포함하고, 그러면 대역폭 유닛의 주파수-영역 위치는 RB들의 미리 정의된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표 5는 subband IE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고; 표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subband는 대역폭 유닛을 표시하고, StartingRB는 subband의 시작 자원 블록을 표시한다.
Subband ::= SEQUENCE {
StartingRB INTEGER (0..x),
}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BWP 및 대역폭 유닛의 추가 예시도이다. 표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BWP에서 구성된 어느 2개의 대역폭 유닛들도 동일한 공통 RB들을 포함하지 않고, 그 크기들은 동일하다.
자원 할당은 개략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고, 자원 스케줄링 유닛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에서, 대역폭 부분(BWP)의 미리 결정된 값의 주파수-영역 간격을 갖는 복수의 자원 유닛들은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으로 분할된다.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인터레이스를 예로 들면, 예를 들어, 대역폭 부분의 미리 정의된 값의 주파수-영역 간격을 갖는 서브캐리어 클러스터는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인터레이스)에 속하고; 여기서 미리 정의된 값은 RB들의 수 또는 서브캐리어들의 수이다. 서브캐리어 클러스터는 정수 개의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된 자원 유닛 또는 자원 블록일 수 있다. 서브캐리어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들의 수는 미리 정의된 값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인터레이스 분할의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클러스터는 RB이고, 미리 정의된 주파수-영역 간격 값은 9이다. 대역폭 부분은 인덱스 값들이 0, 1,..., 105인 106개의 RB들을 포함하므로, 9의 주파수-영역 간격을 갖는 RB들은 동일한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에 속하고, 대역폭 부분은 총 10개의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들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0은 RB 0, RB 10, RB 20,..., RB 100을 포함하고,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1은 RB 1, RB 11, RB 21,..., RB 101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대역폭 부분(BWP)의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은 각각 자원 스케줄링 유닛들로 분할되고, 하나의 대역폭 유닛의 미리 결정된 주파수-영역 간격을 갖는 복수의 자원 유닛들은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으로 분할된다.
위의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인터레이스를 예로 들면, 예를 들어,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유닛들은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들로 분할되고, 대역폭 유닛들의 미리 정의된 값의 주파수-영역 간격을 갖는 서브캐리어 클러스터들은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에 속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인터레이스 분할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대역폭 부분은 106개의 RB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주파수-영역 자원들 RB 0 내지 RB 50은 대역폭 유닛 1로 구성되고, 주파수-영역 자원들 RB 55 내지 RB 105는 대역폭 유닛 2로 구성되고, 주파수-영역 자원들 RB 51 내지 RB 54는 간격 대역폭 자원들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캐리어 클러스터는 RB이고, 미리 정의된 주파수-영역 간격 값은 9이고, 대역폭 유닛 1의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0은 RB 0, RB 10,..., RB 50을 포함하고, 대역폭 유닛 2의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0은 RB 55, RB 65,..., RB 105를 포함하고; 대역폭 유닛 1의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1은 RB1, RB11,..., RB41을 포함하고, 대역폭 유닛 2의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1은 RB 56, RB 66,..., RB 96을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간격 대역폭 자원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지원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간격 대역폭 자원들 내의 자원들이 속하는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으로 단말 장비를 구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가능한 자원이라는 것을 표시할 때,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에 속하는 간격 대역폭 자원들이 스케줄링된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도 10의 간격 대역폭 자원은 4개의 RB들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비는 인덱스 값들의 오름차순으로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들 1, 2, 3 및 4에 속하는 간격 대역폭 자원의 4개의 RB들을 각각 구성하는데, 즉, RB 51은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1에 속하고, RB 52는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2에 속하고, RB 53은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3에 속하고, RB 54는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4에 속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대역폭 유닛 1과 대역폭 유닛 2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가능한 자원이라는 것을 표시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3을 스케줄링한다면, 단말 장비는 간격 대역폭 자원의 RB 53도 동시에 스케줄링되므로 전송 블록의 크기는 스케줄링된 자원의 크기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고 간주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단말 장비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표시 정보를 단말 장비에 송신할 때, 단말 장비는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전에 스케줄링된 자원이 위치되는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의 채널 유휴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비는 모든 스케줄링된 자원들의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들이 유휴 상태에 있는 때만 스케줄링된 자원 상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케줄링된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대역폭 유닛을 검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대역폭 유닛의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들이 모두 유휴 상태에 있다면, 단말 장비는 스케줄링된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대역폭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 유휴 검출 대역폭 유닛이 유휴 상태에 있지 않다면(즉, 비지 상태에 있다면), 단말 장비는 스케줄링된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다.
자원 스케줄링 모드는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에서,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고, 활성화된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이다.
예를 들어, 한 번의 스케줄링에서, 기지국은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오직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유닛의 자원을 스케줄링한다. 기지국은 MAC CE 시그널링을 통해 복수의 구성된 대역폭 유닛들 중 하나를 활성화하고, 기지국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오직 활성화된 대역폭 유닛의 자원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DCI의 표시 필드를 통해, 스케줄링된 대역폭 유닛을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 필드에 포함되는 비트들의 수는 BWP에 구성된 대역폭 유닛들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4개의 대역폭 유닛들이 BWP에서 구성되면, DCI의 표시 필드는 2비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00'은 인덱스 값이 0인 대역폭 유닛을 표시하고, '01'은 인덱스 값이 1인 대역폭 유닛을 표시한다. 또는, DCI의 표시 필드에 포함되는 비트들의 수는 미리 정의된 값이고;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값이 3이면, BWP에서 구성된 대역폭 유닛의 최대 수는 8이고, 표시 필드의 값은 구성된 대역폭 유닛들의 인덱스 값들과 오름차순으로 일대일 대응할 수 있고, 즉, '000'은 인덱스 값이 0인 대역폭 유닛을 표시하고, '001'은 인덱스 값이 1인 대역폭 유닛을 표시하는 식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고,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이다.
예를 들어, 한 번의 스케줄링에서, 기지국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의 자원들을 스케줄링하고, 임의의 2개의 스케줄링된 대역폭 유닛들의 주파수-영역 자원들은 오버랩되지 않는다. 기지국은 MAC CE 시그널링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을 활성화하고,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된 대역폭 유닛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들을 스케줄링한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DCI의 표시 필드를 통해 스케줄링된 대역폭 유닛을 표시한다. 표시 필드는 자원 표시 값(resource indication value, RIV)을 표시할 수 있는데, 즉, 자원들의 시작 위치 및 자원들의 수는 삼각 이진 트리 코딩 모드의 자원 표시 값에 의해 결정된다. UE는 표시 필드의 값에 따라 복수의 스케줄링된 연속 대역폭 유닛들을 결정한다. 표시 필드는 또한 비트맵일 수 있으며, 비트맵의 각각의 비트는 구성된 대역폭 유닛에 일대일로 대응하고, 비트맵의 길이는 미리 정의된 값이거나 비트맵의 비트들의 수는 대역폭 부분에서 구성되는 대역폭 유닛들의 수와 동일하다.
실시예에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 자원은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거나;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과 오버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자원은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UE는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가능한 자원인 것으로 간주하고, 간격 대역폭 자원이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에 속하는 자원을 포함하면, UE는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에 속하는 간격 대역폭 자원 내의 자원이 스케줄링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간격 대역폭 자원이 2개의 인접한 스케줄링된 대역폭 유닛들 사이에 있지 않다면, 즉 간격 대역폭 자원에 인접한 자원이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는 대역폭 유닛을 포함할 때,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자원들은 간격 대역폭 자원 내의 자원들을 포함하지 않으며, UE는 간격 대역폭 자원 내의 자원들이 스케줄링되지 않는다고 간주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대역폭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기지국은 대역폭 부분 내의 대역폭 유닛 1 및 대역폭 유닛 2에서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0 및 1을 스케줄링한다. 대역폭 유닛 1 및 대역폭 유닛 2가 연속 대역폭 유닛들이기 때문에, UE는 간격 대역폭 자원들이 스케줄링 가능한 자원들인 것으로 간주하고,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0 및 1에 속하는 (RB 51과 같은) 자원들은 또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스케줄링된다. 그리고 대역폭 유닛 3이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0 및 1에 속하는 대역폭 유닛 2 및 3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들 내의 자원들은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는다. 따라서, UE는 스케줄링된 자원들의 크기들을 결정함으로써 전송 블록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는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들을 표시할 수 있고, 단말 장비는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따라 간격 대역폭 자원들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들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들의 유연한 조정을 지원하지 않으면, UE는 간격 대역폭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들에 포함되는 대역폭 유닛들에 따라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스케줄링된 대역폭 자원들이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을 포함하면, UE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들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과 오버랩되는 스케줄링된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자원은 전송 블록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간격 대역폭의 양쪽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이 동시에 스케줄링되지 않을 때, UE는 간격 대역폭이 스케줄링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시스템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들의 유연한 조정을 지원하지 않고 기지국이 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으로 간주될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유닛 및/또는 간격 대역폭을 활성화하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과 오버랩되는 스케줄링된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자원은 전송 블록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즉, 간격 대역폭이 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의해 활성화되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으로 간주될 것이고, 활성화되지 않으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E),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신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지국 및/또는 UE는 스케줄링 대역폭 적응(즉,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는 채널 유휴 검출 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을 채택할 수 있다. 그리고 UE는 기지국의 표시 정보에 따라 간격 대역폭 자원 내의 하나 이상의 자원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한다는 것을 결정한다.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한다는 것을 표시할 때, 단말 장비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스케줄링 대역폭 적응의 송신 또는 수신을 지원하지 않으면, UE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가능한 자원인지 여부를,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대역폭 유닛을 통해 결정한다.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은 스케줄링 가능한 자원이며; 그렇지 않으면, 간격 대역폭 자원은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UE가 스케줄링 대역폭 적응의 송신 및/또는 수신을 채택하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UE가 스케줄링 대역폭 적응을 채택하면, 간격 대역폭 자원은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고; UE가 스케줄링 대역폭 적응을 채택하지 않으면,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은 스케줄링 가능한 자원이고; 그렇지 않으면, 간격 대역폭 자원은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은 업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인터레이스를 예로 들어 주어지고, 다음의 설명은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RBG를 예로 들어 주어질 것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BWP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역폭 부분(BWP)에 포함되는 RBG들의 수는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RBG들의 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BWP의 추가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역폭 유닛들에 포함되는 RBG들의 수들은 각각 계산될 수 있고, 간격 대역폭 자원은 RBG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UE는 기지국의 표시 정보에 따라 간격 대역폭의 자원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이 스케줄링 대역폭 적응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지원하지 않으면, UE는 간격 대역폭이 스케줄링 가능한 자원인지 여부를,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대역폭 유닛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표시 필드가,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의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이 스케줄링되고, 간격 대역폭과 공유되지 않는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을 스케줄링하는 것이 포함된다는 것을 표시하면, UE는 간격 대역폭이 스케줄링 가능한 대역폭인 것으로 간주한다.
도 13을 예로 들면, UE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을 수신하며, 여기서 표시 필드는 RBG 0, RBG 1, RBG 13 및 RBG 15가 스케줄링된다는 것을 표시하며, 이는 대역폭 유닛 1의 간격 대역폭과 공유되지 않는 RBG 0 및 RBG 1, 및 대역폭 유닛 2의 간격 대역폭과 공유되지 않는 RBG 15를 포함하고, UE는 대역폭 유닛 1 및 2 사이의 간격 대역폭이 스케줄링 가능한 자원인 것으로 간주하고,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RBG 13 내의 모든 RB들은 스케줄링된다.
또 다른 예로, 간격 대역폭과 공유되지 않는 2개의 인접 대역폭 유닛들 중 하나의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UE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이 스케줄링 가능하지 않은 자원인 것으로 간주한다.
여전히 도 13을 예로 들면, UE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을 수신하고, 그 표시 필드는 간격 대역폭과 공유되지 않는 대역폭 유닛 1에 RBG 0 내지 RBG 12를 포함하지만 간격 대역폭과 공유되지 않는 대역폭 유닛 2에 RBG를 포함하지 않는 RBG 0-13이 스케줄링된다는 것을 표시하며, 그러면 UE는 대역폭 유닛 1과 2 사이의 간격 대역폭이 스케줄링 가능하지 않은 자원인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RBG 13에서 간격 대역폭에 속하는 RB 51 내지 RB 54는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고, 대역폭 유닛 1에 속하는 RB만이 스케줄링된다.
추가 예로,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표시 필드는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을 비트맵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표시 필드에 표시되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이 스케줄링되면, UE는 간격 대역폭이 이용 가능한 자원인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표시 필드 내에 표시되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UE는 간격 대역폭이 스케줄링 가능하지 않은 자원인 것으로 간주한다.
또 다른 예로,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표시 필드는 자원 표시 값을 표시함으로써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을 표시할 수 있다(자원 표시 값은 시작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 및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들의 수를 표시한다).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표시 필드가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의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들이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된다는 것을 표시하면, UE는 간격 대역폭이 이용 가능한 자원인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표시 필드에 표시되는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들이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에서 하나의 대역폭 유닛의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만을 포함하면, UE는 간격 대역폭이 스케줄링 가능하지 않은 자원인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스케줄링 대역폭 적응을 채택할지 여부를 RRC 또는 MAC CE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스케줄링 대역폭 적응이 채택되었다는 것이 표시되면,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표시 필드의 표시 범위는 간격 대역폭 자원을 포함하지 않는다. 비트맵 표시 모드가 사용되면, 비트맵에 포함되는 비트들의 수는 BWP의 대역폭 유닛들에 포함되는 RBG들의 수의 합과 동일할 수 있고, 자원 표시 값 모드가 사용되면, 자원 표시 값에 의해 표시되는 연속 RBG들의 수는 간격 대역폭 자원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BWP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기지국이 RBG 12부터 시작하는 4개의 RBG들을 스케줄링하면, 스케줄링된 RBG들은 간격 대역폭에 포함되는 RB 51 내지 RB 54를 포함하지 않는 RBG 12, RBG 13, RBG 14 및 RBG 15이다.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스케줄링 대역폭 적응을 채택할지 여부를 DCI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운링크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표시 필드에 의해 표시되는 자원 블록 그룹들의 총 수/범위는 위에서 분할된 자원 블록 그룹들의 총 수(즉, 간격 대역폭 자원들을 포함하는 RBG들의 계산된 총 수)이다. DCI가 스케줄링 대역폭 적응을 채택하도록 표시하면, UE는 간격 대역폭의 자원들이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 또는 DCI가 스케줄링 대역폭 적응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면, 이는 기지국이 스케줄링 대역폭 적응을 지원하지 않는 위에서 설명된 방법과 동일하다.
위의 구현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예시할 뿐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한 변형들이 이러한 구현들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현들은 개별적으로 실행될 수 있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은 결합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로부터,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며 -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한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장비는 스펙트럼 자원들에 대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고, 자원 활용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 2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설명될 자원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하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자원 스케줄링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160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장비에 표시 정보를 송신하고,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되고;
160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장비에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고,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적어도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실시예에서, 간격 대역폭 자원은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된 적어도 2개의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이거나, 간격 대역폭 자원은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 외부의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이다.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는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을 표시하고, 단말 장비는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따라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신된다: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한다는 것을 결정한다.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한다는 것을 표시할 때, 단말 장비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한다.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장비에 의해 보고되는 능력 정보를 수신하고, 능력 정보는 적어도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에 따라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할 능력을 갖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실시예에서, 단말 장비를 위해 구성된 대역폭 부분(BWP)은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으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대역폭 부분(BWP)은 BWP의 시작 자원 블록 및 자원 블록들의 수를 표시하는 정보로 더 구성되고, 대역폭 유닛에 속하지 않는 BWP의 자원 블록은 간격 대역폭 자원으로 간주된다.
실시예에서, 대역폭 유닛에 포함되는 자원 블록들은 BWP의 자원 블록들로 간주되고, 대역폭 유닛 외부의 자원 블록들은 간격 대역폭 자원들로 간주된다.
실시예에서, 대역폭 유닛은 시작 자원 블록 및 자원 블록들의 수를 표시하는 정보로 구성되거나; 대역폭 유닛은 시작 자원 블록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된 적어도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은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자원 블록을 포함할 수 있거나,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된 임의의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은 동일한 자원 블록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대역폭 부분(BWP)의 미리 결정된 값의 주파수-영역 간격을 갖는 복수의 자원 유닛들은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으로 분할되거나; 대역폭 부분(BWP)의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은 각각 자원 스케줄링 유닛들로 분할되고, 대역폭 유닛의 미리 결정된 값의 주파수-영역 간격을 갖는 복수의 자원 유닛들은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으로 분할된다.
실시예에서, 자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 또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 그룹,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이다.
실시예에서,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이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이다.
실시예에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을 표시하고;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 스케줄링된 적어도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자원은 송신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거나;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과 오버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자원은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 16이 본 개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만 예시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동작들의 실행의 순서는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고, 또한, 일부 다른 동작들이 추가되거나, 일부 동작들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 포함되는 것에 제한되는 것 없이,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의 구현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예시할 뿐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한 변형들이 이러한 구현들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현들은 개별적으로 실행될 수 있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이 결합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로부터,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며 -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한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장비는 스펙트럼 자원들에 대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고, 자원 활용은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 3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자원 결정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예를 들어 단말 장비일 수 있거나, 단말 장비에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또는 어셈블리일 수 있다.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들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자원 결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 결정 장치(1700)는 다음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부(1701) -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및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부(1702).
실시예에서, 간격 대역폭 자원은 대역폭 부분에서 구성된 적어도 2개의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이거나, 간격 대역폭 자원은 대역폭 부분에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 이외의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이다.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는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을 표시하고, 결정부(1702)는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따라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추가로 결정한다.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 다운링크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신된다.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결정부(170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한다는 것을 결정한다.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결정부(1702)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한다.
실시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 결정 장치(1700)는:
능력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부(170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능력 정보는 적어도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에 따라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할 능력을 갖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은 단말 장비를 위해 구성된 대역폭 부분에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대역폭 부분은 대역폭 부분의 시작 자원 블록 및 자원 블록들의 수를 표시하는 정보로 더 구성되며,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유닛에 속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은 간격 대역폭 자원으로 간주된다.
실시예에서, 대역폭 유닛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은 대역폭 부분의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으로 간주되고, 대역폭 유닛 이외의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은 간격 대역폭 자원으로 간주된다.
실시예에서, 대역폭 유닛은 시작 자원 블록 및 자원 블록들의 수를 표시하는 정보로 구성되거나, 대역폭 유닛은 시작 자원 블록에 대한 정보로 구성되고;
대역폭 부분에서 구성된 적어도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은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자원 블록을 포함할 수 있거나, 대역폭 부분에서 구성된 임의의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은 동일한 자원 블록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대역폭 부분에서 주파수-영역 간격이 미리 결정된 값인 복수의 자원 유닛들은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으로 분할되거나;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은 각각 자원 스케줄링 유닛들로 분할되고, 대역폭 유닛들 중 하나에서 주파수-영역 간격이 미리 결정된 값인 복수의 자원 유닛들은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으로 분할된다.
실시예에서, 자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 또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 그룹,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이다.
실시예에서,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되고, 활성화되는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이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되고,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된 대역폭 유닛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이다.
실시예에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 자원은 송신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거나,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과 오버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자원은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개시와 관련된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은 위에서만 설명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자원 결정 장치(1700)는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의 상세들에 대한 관련된 기술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순화를 위해,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 사이의 연결 관계들 또는 그 신호 프로파일들만이 도 17에 예시된다. 그러나, 버스 연결 등과 같은 그러한 관련된 기술들이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위의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은 프로세서, 메모리, 송신기, 수신기 등과 같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의 구현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예시할 뿐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한 변형들이 이러한 구현들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현들은 개별적으로 실행될 수 있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이 결합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로부터,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며 -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한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장비는 스펙트럼 자원들에 대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고, 자원 활용은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 4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자원 스케줄링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또는 어셈블리일 수 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실시예들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자원 스케줄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 스케줄링 장치(1800)는:
표시 정보를 단말 장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부(1801)를 포함하고,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송신부(1801)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비에 더 송신하고,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적어도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 스케줄링 장치(1800)는:
단말 장비에 의해 보고되는 능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부(180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능력 정보는 적어도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에 따라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할 능력을 갖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본 개시와 관련된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은 위에서만 설명되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자원 스케줄링 장치(1800)는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의 상세들에 대한 관련된 기술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순화를 위해,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 사이의 연결 관계들 또는 그 신호 프로파일들만이 도 18에 예시된다. 그러나, 버스 연결 등과 같은 그러한 관련된 기술들이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위의 컴포넌트들 또는 모듈들은 프로세서, 메모리, 송신기, 및 수신기 등과 같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위의 구현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예시할 뿐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한 변형들이 이러한 구현들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현들은 개별적으로 실행될 수 있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이 결합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로부터,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며 -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한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장비는 스펙트럼 자원들에 대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고, 자원 활용은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 5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도 2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실시예 1-4에서와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이용됨 -;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장비(102); 및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비(10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기지국일 수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더 제공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900)는 (중앙 처리 장치(CPU)와 같은) 프로세서(1910) 및 메모리(1920)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1920)는 프로세서(1910)에 결합된다. 메모리(1920)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1930)을 저장하고, 프로세서(1910)의 제어 하에 프로그램(1930)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10)는 실시예 2에서 설명되는 자원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10)는 다음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정보를 단말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됨 -;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적어도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됨 -.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900)는 트랜시버(transceiver)(1940) 및 안테나(19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의 컴포넌트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에서와 유사하고,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900)가 도 19에 도시된 모든 부분들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고,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1900)는 도 19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하고, 관련 기술이 참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더 제공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 다른 장비일 수도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 장비의 개략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비(2000)는 프로세서(2010) 및 메모리(2020)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2020)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세서(2010)에 결합된다. 이 도면은 예시일 뿐이고, 이 구조를 보충하거나 대체하고 통신 기능 또는 기타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유형의 구조들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10)는 실시예 1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자원 결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10)는 다음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비(2000)는 통신 모듈(2030), 입력 유닛(2040), 디스플레이(2050), 및 파워 서플라이(20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위의 컴포넌트들의 기능들은 관련된 기술의 기능들과 유사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단말 장비(2000)가 도 20에 도시된 모든 부분들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으며, 위의 컴포넌트들이 필수적이지는 않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단말 장비(2000)는 도 20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관련 기술이 참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에서 실행될 때 단말 장비가 실시예 1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자원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야기할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가 실시예 1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자원 결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야기할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실시예 2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자원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도록 야기할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실시예 2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자원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도록 야기할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위의 장치들 및 방법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와 결합하여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프로그램이 논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논리 디바이스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 또는 컴포넌트들을 수행하거나 위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방법들 또는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 DVD, 및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위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방법들/장치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도들 및/또는 기능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절차들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에 대응하거나 하드웨어 모듈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단계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하드웨어 모듈은,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사용하여 소프트 모듈들을 고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및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ROM, 또는 본 기술에서 알려진 다른 형태들의 임의의 메모리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메모리 매체는 프로세서에 결합될 수 있어서, 프로세서는 메모리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메모리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거나, 메모리 매체는 프로세서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 매체는 ASIC에 위치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모바일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플러깅가능한 모바일 단말의 메모리 카드에도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과 같은) 장비가 비교적 대용량의 MEGA-SIM 카드 또는 대용량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를 사용하면, 소프트 모듈들은 MEGA-SIM 카드 또는 대용량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면들에 있는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 및/또는 기능 블록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디바이스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들,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본 출원에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들로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는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도들 및/또는 기능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프로세서들, DSP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기타 이러한 구성과 같은, 컴퓨팅 장비의 조합으로도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위의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구현들에 관하여, 다음의 보충들이 추가로 개시된다.
보충 1. 자원 결정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단말 장비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 장비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단말 장비에 의해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결정 방법.
보충 2. 보충 1에 있어서, 간격 대역폭 자원은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된 적어도 2개의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이거나, 간격 대역폭 자원은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 이외의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인, 방법.
보충 3. 보충 1 또는 보충 2에 있어서, 표시 정보는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을 표시하고, 단말 장비는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따라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보충 4. 보충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방법.
보충 5. 보충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표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신되는, 방법.
보충 6. 보충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표시 정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 것을 결정하는, 방법.
보충 7. 보충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표시 정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방법.
보충 8. 보충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능력 정보를 단말 장비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능력 정보는 적어도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에 따라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할 능력을 갖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방법.
보충 9. 보충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은 단말 장비를 위해 구성되는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되는, 방법.
보충 10. 보충 9에 있어서, 대역폭 부분(BWP)은 대역폭 부분의 시작 자원 블록 및 자원 블록들의 수를 표시하는 정보로 더 구성되고,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유닛에 속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은 간격 대역폭 자원으로 간주되는 방법.
보충 11. 보충 9에 있어서, 대역폭 유닛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은 대역폭 부분의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들로 간주되고, 대역폭 유닛 이외의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은 간격 대역폭 자원으로 간주되는, 방법.
보충 12. 보충 9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역폭 유닛은 시작 자원 블록 및 자원 블록들의 수를 표시하는 정보로 구성되거나, 대역폭 유닛은 시작 자원 블록에 대한 정보로 구성되고;
대역폭 부분에서 구성된 적어도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은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자원 블록을 포함할 수 있거나, 대역폭 부분에 구성된 임의의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은 동일한 자원 블록들을 포함하지 않는, 방법.
보충 13. 보충 9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역폭 부분(BWP)에서 주파수-영역 간격이 미리 결정된 값인 복수의 자원 유닛들은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으로 분할되거나;
대역폭 부분(BWP)의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은 각각 자원 스케줄링 유닛들로 분할되고, 대역폭 유닛들 중 하나에서 주파수-영역 간격이 미리 결정된 값인 복수의 자원 유닛들은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으로 분할되는, 방법.
보충 14. 보충 9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자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 또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 그룹,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인, 방법.
보충 15. 보충 9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되고, 활성화되는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인, 방법.
보충 16. 보충 9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되고,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된 대역폭 유닛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인, 방법.
보충 17. 보충 9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 자원은 송신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거나,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과 오버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자원은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보충 18. 자원 스케줄링 방법으로서,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됨 -;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 표시 정보 및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적어도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단말 장비에 의해 사용됨 - 를 포함하는, 방법.
보충 19. 보충 18에 있어서, 간격 대역폭 자원은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된 적어도 2개의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이거나, 간격 대역폭 자원은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 이외의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인, 방법.
보충 20. 보충 18 또는 19에 있어서, 표시 정보는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을 표시하고, 단말 장비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따라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보충 21. 보충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방법.
보충 22. 보충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표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신되는, 방법.
보충 23. 보충 18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표시 정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지 않는 경우, 단말 장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 것을 결정하는, 방법.
보충 24. 보충 18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표시 정보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단말 장비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방법.
보충 25. 보충 18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 장비에 의해 보고되는 능력 정보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능력 정보는 적어도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에 따라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할 능력을 갖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방법.
보충 26. 보충 18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은 단말 장비를 위해 구성되는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되는, 방법.
보충 27. 보충 26에 있어서, 대역폭 부분(BWP)은 대역폭 부분의 시작 자원 블록 및 자원 블록들의 수를 표시하는 정보로 더 구성되며,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유닛에 속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은 간격 대역폭 자원으로 간주되는, 방법.
보충 28. 보충 26에 있어서, 대역폭 유닛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은 대역폭 부분의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으로 간주되고, 대역폭 유닛 이외의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은 간격 대역폭 자원으로 간주되는, 방법.
보충 29. 보충 26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역폭 유닛은 시작 자원 블록 및 자원 블록들의 수를 표시하는 정보로 구성되거나, 대역폭 유닛은 시작 자원 블록에 대한 정보로 구성되고;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된 적어도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은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자원 블록을 포함할 수 있거나, 대역폭 부분(BWP)에서 구성된 임의의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은 동일한 자원 블록들을 포함하지 않는, 방법.
보충 30. 보충 26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대역폭 부분(BWP)에서 주파수-영역 간격이 미리 결정된 값인 복수의 자원 유닛들은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으로 분할되거나;
대역폭 부분(BWP)의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은 각각 자원 스케줄링 유닛들로 분할되고, 대역폭 유닛들 중 하나에서 주파수-영역 간격이 미리 결정된 값인 복수의 자원 유닛들은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으로 분할되는, 방법.
보충 31. 보충 26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자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 또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 그룹,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인, 방법.
보충 32. 보충 26 내지 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되고, 활성화되는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인, 방법.
보충 33. 보충 26 내지 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되고,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된 대역폭 유닛은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인, 방법.
보충 34. 보충 26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 자원은 송신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거나,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과 오버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자원은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보충 35. 단말 장비로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보충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자원 결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장비.
보충 36.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보충 18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자원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Claims (20)

  1. 자원 결정 장치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부 - 상기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spacing bandwidth resource)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표시 정보 및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부
    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대역폭 자원은 대역폭 부분에서 구성된 적어도 2개의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이거나, 상기 간격 대역폭 자원은 대역폭 부분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이 아닌 하나 이상의 자원 유닛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을 표시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따라 상기 간격 대역폭 자원이 상기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더 결정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element) 제어 요소, 다운링크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송신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결정부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이 상기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또는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결정부는 2개의 인접한 대역폭 유닛들 사이의 간격 대역폭 자원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능력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능력 정보는 적어도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에 따라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할 능력을 갖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은 단말 장비를 위해 구성되는 대역폭 부분에서 구성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부분은 상기 대역폭 부분의 시작 자원 블록 및 자원 블록들의 수를 표시하는 정보로 더 구성되며, 상기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유닛에 속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은 상기 간격 대역폭 자원으로 간주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유닛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은 상기 대역폭 부분의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으로 간주되고, 상기 대역폭 유닛 이외의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은 상기 간격 대역폭 자원으로 간주되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유닛은 시작 자원 블록 및 자원 블록들의 수를 표시하는 정보로 구성되거나, 상기 대역폭 유닛은 시작 자원 블록에 대한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대역폭 부분에서 구성된 적어도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은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자원 블록을 포함할 수 있거나, 상기 대역폭 부분에서 구성된 임의의 2개의 대역폭 유닛들은 동일한 자원 블록들을 포함하지 않는,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부분에서 주파수-영역 간격(frequency-domain spacing)이 미리 결정된 값인 복수의 자원 유닛들은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으로 분할되거나;
    상기 대역폭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유닛은 각각 자원 스케줄링 유닛들로 분할되고, 상기 대역폭 유닛들 중 하나에서 주파수-영역 간격이 미리 결정된 값인 복수의 자원 유닛들은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으로 분할되는,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유닛은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 또는 하나 이상의 자원 블록 그룹, 또는 하나 이상의 서브캐리어(subcarrier)인,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되고, 활성화되는 상기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상기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인,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된 대역폭 유닛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활성화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된 대역폭 유닛은 상기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인,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원 스케줄링 유닛을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상기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 자원은 상기 송신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거나, 상기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과 오버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자원 스케줄링 유닛의 자원은 상기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18. 자원 스케줄링 장치로서,
    표시 정보를 단말 장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송신부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 장비에 더 송신하고, 상기 표시 정보 및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적어도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보고되는 능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능력 정보는 적어도 상기 단말 장비가 채널 유휴 검출 결과에 따라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의 크기를 조정할 능력을 갖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장치.
  20. 통신 시스템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표시 정보는 간격 대역폭 자원이 스케줄링 대역폭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됨 -;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 정보 및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전송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장비; 및
    상기 표시 정보 및 상기 자원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 장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217034315A 2019-04-30 2019-04-30 자원 결정 방법, 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2101432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85316 WO2020220314A1 (zh) 2019-04-30 2019-04-30 资源确定方法、资源调度方法以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271A true KR20210143271A (ko) 2021-11-26

Family

ID=7302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315A KR20210143271A (ko) 2019-04-30 2019-04-30 자원 결정 방법, 자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39105A1 (ko)
EP (1) EP3965490A4 (ko)
JP (1) JP7484934B2 (ko)
KR (1) KR20210143271A (ko)
CN (1) CN113711664B (ko)
WO (1) WO2020220314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5167B2 (en) * 2013-09-20 2019-05-0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resource allocation and transport block size determination over unlicensed spectrum
US9844072B2 (en) * 2014-09-26 2017-12-12 Qualcomm Incorporated Ultra-low latency LTE uplink frame structure
US9918302B2 (en) * 2014-12-12 2018-03-1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anaging transmissions in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10945274B2 (en) * 2016-05-13 2021-03-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bandwidth utilization
EP3327977A3 (en) * 2016-11-04 2018-08-2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 of guard bands supporting mixed numerology use in new radio
CN109392100B (zh) * 2017-08-04 2021-09-1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确定传输块大小的方法、装置及设备
CA3088465C (en) * 2018-01-10 2023-10-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efficient use of unlicensed spectr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20314A1 (zh) 2020-11-05
JP7484934B2 (ja) 2024-05-16
EP3965490A1 (en) 2022-03-09
EP3965490A4 (en) 2022-05-11
CN113711664A (zh) 2021-11-26
JP2022531212A (ja) 2022-07-06
CN113711664B (zh) 2024-04-05
US20220039105A1 (en)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6615B2 (en) Techniques for scaling bandwidth of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KR102593073B1 (ko)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들의 병렬 프로세싱
US11134523B2 (en) Uplink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284402B2 (en) Resource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40286170A1 (en) Method in a radio network node for controlling usage of rat and frequency bandwidth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11034287B (zh) 资源配置方法、确定方法及其装置、通信系统
US20210410182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US20190273600A1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Suppressing Interferenc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1012063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20190313418A1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56779A1 (en) Uplink signal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6121776A1 (ja) ユーザ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220256470A1 (en) Power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013018B2 (en) Data multiplex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737086B2 (en) Resource scheduling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588605B2 (en)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7454672B (zh) 一种配置子帧的方法和装置
US20220039105A1 (en) 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es thereof
CN115943602A (zh) 多时隙盲检测限制
CN114600517A (zh) 上行传输的发送方法、装置和通信系统
KR20220031090A (ko)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