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3009A -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 - Google Patents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009A
KR20210143009A KR1020200059879A KR20200059879A KR20210143009A KR 20210143009 A KR20210143009 A KR 20210143009A KR 1020200059879 A KR1020200059879 A KR 1020200059879A KR 20200059879 A KR20200059879 A KR 20200059879A KR 20210143009 A KR20210143009 A KR 20210143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display
life jacket
vest
front plat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동민
Original Assignee
홍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동민 filed Critical 홍동민
Priority to KR1020200059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3009A/ko
Publication of KR20210143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087Body suits, i.e. substantially covering the user's body ; Immersion suits, i.e. substantially completely covering the user
    • B63C9/093Body suits, i.e. substantially covering the user's body ; Immersion suits, i.e. substantially completely covering the user using solid buoyant materi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판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절개부의 마주하는 단부에 지퍼가 봉제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지퍼를 채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되, 전판의 지퍼 측에 일정 폭을 갖는 띠 형 식별표시부가 일체로 봉제됨으로써 식별표시부에 대하여 전면에 상호를 프린팅한 방수천으로 적용하거나 식별표시부에 대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된 방수천으로 적용하면서 구명조끼 자체에 상호나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를 일체로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가 일체로 구현됨에 따라 조난시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Life jacket with identification display}
본 발명은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판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절개부의 마주하는 단부에 지퍼가 봉제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지퍼를 채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되, 전판의 지퍼 측에 일정 폭을 갖는 띠 형 식별표시부가 일체로 봉제됨으로써 식별표시부에 대하여 전면에 상호를 프린팅한 방수천으로 적용하거나 식별표시부에 대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된 방수천으로 적용하면서 구명조끼 자체에 상호나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를 일체로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가 일체로 구현됨에 따라 조난시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구명복 또는 구명조끼는 수영이 미숙한 사람을 물에서 안전하게 띄우거나, 수상 재난에 대비하고자 보트 등의 탑승자에게 의무적으로 착용시키는 등 안전 용품으로써 활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수상 레저 스포츠가 점차 대중화됨에 따라 모터보트를 이용하는 경우는 물론, 수상 스키 및 수상 놀이기구 등을 이용할 때에도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널리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구명복 또는 구명조끼는 크게 부력재의 성격에 따라 공기 또는 가스 팽창식과 성형부력재 삽입식이 있으며, 상기 공기 또는 가스 팽창식의 경우에는 평소 착용감은 좋으나 관리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작동이 되지 않을 위험성이 있고, 또한 구명복의 관리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상기 성형 부력재 삽입식의 경우에는 주로 비중이 낮은 폴리에틸렌(PE)이나 PVC, NBR, EVA 둥과 같은 성형 발포 폼(foam) 부력재를 사용하여 구명복을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구명복 또는 구명조끼는 단순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착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적절하지 못함은 물론, 일체형의 판 상으로 이루어진 등판 및 좌,우 전면판의 구조에 기인하여 착용자의 활동에 커다란 장애를 초래하고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여 착용자의 상체 움직임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영역별 성형라인을 부여함으로써, 구명복 또는 구명조끼의 착용감과 함께 활동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인체 공학적 활동성을 감안한 성형 구명복에 대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4338호에 알려져 있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중에서 부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내피와 외피의 사이 공간에 발포성형 부력재를 개재하여 등판, 우전면판, 좌전면판을 개별로 분할 형성시키며, 이때 상기 우전면판은 우팔활성라인(11), 우측면활성라인(12), 우하면활성라인(13) 및 우가슴활성라인(14)을 각각 만곡되게 핫프레스 가공 성형하며, 상기 좌전면판은 좌팔활성라인(31), 좌측면활성라인(32), 좌하면활성라인(33) 및 좌가슴활성라인(34)을 각각 만곡되게 핫프레스 가공 성형하여 독립적인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팔의 움직임, 어깨의 움직임, 가슴의 움직임, 옆구리의 움직임 및 복부와 허리의 움직임에 최적의 활동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체 공학적 활동성을 감안한 성형 구명복 역시 단순한 형상 및 구조에 의한 것이며, 상호나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띠형의 식별표시부를 별도로 부착하는 등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식별표시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다른 타입의 종래기술에 따른 구명조끼는 통상 부력재를 사용하여 전판과 후판을 봉제하여 조끼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서, 양측 옆구리부와 전판 중간부가 수직으로 절개형성되고, 이러한 절개부는 몸통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 연결부재로 연결되고 전판 절개부는 착탈이 용이한 지퍼가 봉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구명조끼는 착용자의 상체에 착용 후 전판 수직 절개부에 봉제 된 지퍼를 채운 후 길이조절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하여 착용함에 따라 착용자의 신체부와 일체화되어 안전사고 발생시 구명조끼가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물놀이나 수상레포츠 및 낚시 등과 같은 레저 활동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구명조끼, 역시 외부 면이 단순히 단색으로 적용되므로, 조난시 식별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호나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띠형의 식별표시부를 별도로 부착하는 등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식별표시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상호나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를 구현하기 위해 띠형의 식별표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호나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구명조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04338호 2014.05.29.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2872호 2002.01.18.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87250호 2016.07.21.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87139호2017.07.28.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8-0128298호 2018.12.03.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판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절개부의 마주하는 단부에 지퍼가 봉제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지퍼를 채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되, 전판의 지퍼 측에 일정 폭을 갖는 띠 형 식별표시부가 일체로 봉제됨으로써 식별표시부에 대하여 전면에 상호를 프린팅한 방수천으로 적용하거나 식별표시부에 대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된 방수천으로 적용하면서 구명조끼 자체에 상호나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를 일체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식별표시부에 대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된 방수천으로 적용하면서 구명조끼 자체에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를 일체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가 일체로 구현됨에 따라 조난시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는 외피와 내피 사이에 부력재가 내설되어 착용자의 신체를 감쌀 수 있도록 전판과 후판으로 봉제되어 조끼 형상의 조끼 본체로 제공되되, 조끼 본체에 대한 전판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절개부의 마주하는 단부에 지퍼가 봉제되며, 선택적으로 지퍼를 채워 착용할 수 있는 구명조끼에 있어서, 전판의 절개부 측 외피 단부에는 지퍼와의 사이에 띠 형의 일정 폭을 갖는 식별표시부가 더 개재되어 봉제를 통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식별표시부는 전면에 상호를 프린팅한 방수천으로 적용하거나 ㄹ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된 방수천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식별표시부 중, 전판의 절개부에 대한 마주하는 단부 중 어느 하나에 봉제되는 식별표시부는 전면에 상호를 프린팅한 방수천으로 제공되는 한편, 상기 식별표시부 중, 전판의 절개부에 대한 마주하는 단부 중 다른 하나에 봉제되는 식별표시부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이루어진 방수천으로 적용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조끼 본체는 외피와 내피 사이에 부력재가 내설되어 착용자의 신체를 감쌀 수 있도록 전판과 후판으로 봉제되어 조끼 형상으로 제공되되, 전판과 후판이 연이어지는 양측 옆구리에도 절개부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조끼 본체의 하부에 상기 조끼 본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끼 본체의 양측 옆구리에 수직 절개된 절개부를 착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길이를 횡으로 조절하는 길이조절 연결부재와, 상기 조끼 본체의 하단 양측 부분에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조정 가능한 끈 타입으로 구비되며, 착용자의 가랑이에 양쪽 다리를 감싸면서 고정하여 착용자의 상체로부터 상향 조끼 본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단부분을 구속하는 하부구속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끼 본체의 전판과 후판에 대한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 부분에 부력작용력을 위한 부력작용 면적이 확장되도록, 상기 외피는 전판과 후판에 대한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는 면 부분에 상하 및 좌우로 연이어 마름모 형상의 돌출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외피는 돌출부가 마름모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되, 표면이 상기 조끼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표피층 및 일정두께로 제공되되 일면에 상기 표피층의 상기 부력재와 대향되는 면인 이면이 접착수단을 통해 접착되는 부력재질로 형성되며, 마름모 형상의 프레스 가공을 통해 상기 표피층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성형되는 부력층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판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절개부의 마주하는 단부에 지퍼가 봉제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지퍼를 채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되, 전판의 지퍼 측에 일정 폭을 갖는 띠 형 식별표시부가 일체로 봉제됨으로써 식별표시부에 대하여 전면에 상호를 프린팅한 방수천으로 적용하거나 식별표시부에 대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된 방수천으로 적용하면서 구명조끼 자체에 상호나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를 일체로 구현할 수 있다.
둘째, 식별표시부에 대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된 방수천으로 적용하면서 구명조끼 자체에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를 일체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가 일체로 구현됨에 따라 조난시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구명조끼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를 나타낸 것으로, 길이조절 연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를 나타낸 배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의 요부 단면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를 나타낸 것으로, 길이조절 연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를 나타낸 배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의 요부 단면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예시도이다.
도 2 내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는 외피(110)와 내피(120) 사이에 부력재(130)가 내설되어 착용자의 신체를 감쌀 수 있도록 전판(100a)과 후판(100b)으로 봉제되어 조끼 형상의 조끼 본체(100)로 제공되되, 조끼 본체(100)에 대한 전판(100a)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절개된 절개부(140')가 형성되어 절개부(140')의 마주하는 단부에 지퍼(150)가 봉제되며, 선택적으로 지퍼(150)를 채워 착용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전판(100a)의 절개부(140') 측 외피(110) 단부에는 지퍼(150)와의 사이에 띠 형의 일정 폭을 갖는 식별표시부(500)가 더 개재되어 봉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식별표시부(500)는 전면에 상호를 프린팅한 방수천으로 적용하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된 방수천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식별표시부(500)는 전판(100a)의 절개부(140') 양측으로 대향되는 각 외피(110) 단부에 대하여 전면에 상호를 프린팅한 방수천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식별표시부(500)는 전판(100a)의 절개부(140') 양측으로 대향되는 각 외피(110) 단부에 대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된 방수천으로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식별표시부(500) 중, 전판(100a)의 절개부(140')에 대한 마주하는 단부 중 어느 하나에 봉제되는 식별표시부(500)는 전면에 상호를 프린팅한 방수천으로 제공되면서, 상기 식별표시부(500) 중, 전판(100a)의 절개부(140')에 대한 마주하는 단부 중 다른 하나에 봉제되는 식별표시부(500)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이루어진 방수천으로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식별표시부(500) 중 어느 하나는 상호가 프린팅되고 다른 하나는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구명조끼에 대하여 상호와 함께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에서, 상기 조끼 본체(100)는 외피(110)와 내피(120) 사이에 부력재(130)가 내설되어 착용자의 신체를 감쌀 수 있도록 전판(100a)과 후판(100b)으로 봉제되어 조끼 형상으로 제공되되, 전판(100a)과 후판(100b)이 연이어지는 양측 옆구리에도 절개부(1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력재(13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층의 얇은 부력재를 다수 개로 밀착시켜 접착된 부력재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단일의 두꺼운 부력재로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조끼 본체(100)가 외피(110)와 내피(120) 사이에 부력재(130)가 내설되어 착용자의 신체를 감쌀 수 있도록 전판(100a)과 후판(100b)으로 봉제되어 조끼 형상으로 제공되되, 전판(100a)과 후판(100b)이 연이어지는 양측 옆구리에도 절개부(140")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는 특히, 길이조절 연결부재(200)와, 하부구속 연결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길이조절 연결부재(200)는 상기 조끼 본체(100)의 하부에 상기 조끼 본체(100)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끼 본체(100)의 양측 옆구리에 수직 절개된 절개부(140")를 착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길이를 횡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길이조절 연결부재(200)는 띠 형 부재와 암, 수의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구속 연결부재(300)는 상기 조끼 본체(100)의 하단 양측 부분에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조정 가능한 끈 타입으로 구비되며, 착용자의 가랑이에 양쪽 다리를 감싸면서 고정하여 착용자의 상체로부터 상향 조끼 본체(1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단부분을 구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는 상기 조끼 본체(100)의 전판(100a)과 후판(100b)에 대한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 부분에 부력작용력을 위한 부력작용 면적이 확장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피(110)는 전판(100a)과 후판(100b)에 대한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는 면 부분에 상하 및 좌우로 연이어 마름모 형상의 돌출부(110a)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외피(11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출부(110a)가 마름모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되, 표면이 상기 조끼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표피층(111) 및 일정두께로 제공되되, 일면에 상기 표피층(111)의 상기 부력재(130)와 대향되는 면인 이면이 접착수단을 통해 접착되는 부력재질로 형성되며, 마름모 형상의 프레스 가공을 통해 상기 표피층(111)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10a)가 성형되는 부력층(112)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외피(110)를 포함하는 조끼 본체(10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피(110)와 내피(120) 사이에 부력재(130)가 내설된 상태에서의 외피(110)와 내피(120)의 둘레부분이 마감띠(미부호)를 통해 감싸진 상태에서 봉제를 통해 마감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외피(110)와 내피(120) 사이에 부력재(130)가 내설된 상태에서의 외피(110)와 내피(120)의 둘레부분이 마감띠(미부호)를 통해 감싸진 상태에서 봉제되되, 식별표시부(500)가 더 봉제를 통해 연결되는 부분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판(100a)의 절개부(140') 측 외피(110) 단부와 지퍼(150)와의 사이에 띠 형으로 일정 폭을 갖게 봉제를 통해 연결되는 식별표시부(500)의 지퍼(150) 측 단부에 대하여 내피(120)의 단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마감띠(미부호)를 통해 감싸진 상태로 봉제를 통해 마감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퍼(15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별표시부(500)의 지퍼(150) 측 단부와 내피(120)의 단부와 맞닿은 상태로 마감띠(미부호)를 통해 감싸진 상태로 봉제를 통해 마감된 부분의 내피(120) 측 외부로 노출된 면 상에 일정 폭만큼 중첩된 상태로 봉제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지퍼(150)는 서로 이가 맞물리도록 금속이나 플라스틱의 조각을 헝겊 테이프에 나란히 박아서, 그 두 줄을 고리로 밀고 당겨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든 슬라이드 파스너로 제공되는 것이며, 내피(120) 측의 외부로 노출된 면 상에 일정 폭만큼 중첩된 상태로 봉제를 통해 연결되는 부분은 고리로 밀고 당겨 여닫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의 조각을 헝겊 테이프에 나란히 박은 헝겊 테이프 부분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에 의하면, 전판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절개부의 마주하는 단부에 지퍼가 봉제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지퍼를 채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되, 전판의 지퍼 측에 일정 폭을 갖는 띠 형 식별표시부가 일체로 봉제됨으로써 식별표시부에 대하여 전면에 상호를 프린팅한 방수천으로 적용하거나 식별표시부에 대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된 방수천으로 적용하면서 구명조끼 자체에 상호나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를 일체로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식별표시부에 대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된 방수천으로 적용하면서 구명조끼 자체에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를 일체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을 위한 형광 또는 야광 등의 식별표시가 일체로 구현됨에 따라 조난시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조끼 본체
100a: 전판 100b: 후판
110: 외피 110a: 돌출부
111: 표피층 112: 부력층
120: 내피 130: 부력재
140', 140": 절개부 150: 지퍼
200: 길이조절 연결부재
300: 하부구속 연결부재
500: 식별표시부

Claims (6)

  1. 외피(110)와 내피(120) 사이에 부력재(130)가 내설되어 착용자의 신체를 감쌀 수 있도록 전판(100a)과 후판(100b)으로 봉제되어 조끼 형상의 조끼 본체(100)로 제공되되, 조끼 본체(100)에 대한 전판(100a)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절개된 절개부(140')가 형성되어 절개부(140')의 마주하는 단부에 지퍼(150)가 봉제되며, 선택적으로 지퍼(150)를 채워 착용할 수 있는 구명조끼에 있어서,
    전판(100a)의 절개부(140') 측 외피(110) 단부에는 지퍼(150)와의 사이에 띠 형의 일정 폭을 갖는 식별표시부(500)가 더 개재되어 봉제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시부(500)는 전면에 상호를 프린팅한 방수천으로 적용하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된 방수천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표시부(500) 중, 전판(100a)의 절개부(140')에 대한 마주하는 단부 중 어느 하나에 봉제되는 식별표시부(500)는 전면에 상호를 프린팅한 방수천으로 제공되는 한편,
    상기 식별표시부(500) 중, 전판(100a)의 절개부(140')에 대한 마주하는 단부 중 다른 하나에 봉제되는 식별표시부(500)는 전면에 형광 또는 야광 처리가 이루어진 방수천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 본체(100)는 외피(110)와 내피(120) 사이에 부력재(130)가 내설되어 착용자의 신체를 감쌀 수 있도록 전판(100a)과 후판(100b)으로 봉제되어 조끼 형상으로 제공되되, 전판(100a)과 후판(100b)이 연이어지는 양측 옆구리에도 절개부(140")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조끼 본체(100)의 하부에 상기 조끼 본체(100)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조끼 본체(100)의 양측 옆구리에 수직 절개된 절개부(140")를 착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길이를 횡으로 조절하는 길이조절 연결부재(200)와,
    상기 조끼 본체(100)의 하단 양측 부분에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조정 가능한 끈 타입으로 구비되며, 착용자의 가랑이에 양쪽 다리를 감싸면서 고정하여 착용자의 상체로부터 상향 조끼 본체(1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단부분을 구속하는 하부구속 연결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끼 본체(100)의 전판(100a)과 후판(100b)에 대한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 부분에 부력작용력을 위한 부력작용 면적이 확장되도록,
    상기 외피(110)는 전판(100a)과 후판(100b)에 대한 착용시 외부로 노출되는 면 부분에 상하 및 좌우로 연이어 마름모 형상의 돌출부(110a)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110)는 돌출부(110a)가 마름모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되,
    표면이 상기 조끼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표피층(111) 및
    일정두께로 제공되되, 일면에 상기 표피층(111)의 상기 부력재(130)와 대향되는 면인 이면이 접착수단을 통해 접착되는 부력재질로 형성되며, 마름모 형상의 프레스 가공을 통해 상기 표피층(111)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10a)가 성형되는 부력층(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
KR1020200059879A 2020-05-19 2020-05-19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 KR20210143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879A KR20210143009A (ko) 2020-05-19 2020-05-19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879A KR20210143009A (ko) 2020-05-19 2020-05-19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009A true KR20210143009A (ko) 2021-11-26

Family

ID=7870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879A KR20210143009A (ko) 2020-05-19 2020-05-19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3009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872Y1 (ko) 2002-07-10 2002-10-25 김관철 담배판매대 구조
KR101404338B1 (ko) 2012-10-16 2014-06-09 손미향 인체 공학적 활동성을 감안한 성형 구명복
KR20160087250A (ko) 2015-01-13 2016-07-21 홍창표 구명복
KR20170087139A (ko) 2016-01-20 2017-07-28 박의정 기능성 모자가 부착된 부력 및 구명조끼
KR20180128298A (ko) 2017-05-23 2018-12-03 박의정 그래픽이 전사된 구명조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872Y1 (ko) 2002-07-10 2002-10-25 김관철 담배판매대 구조
KR101404338B1 (ko) 2012-10-16 2014-06-09 손미향 인체 공학적 활동성을 감안한 성형 구명복
KR20160087250A (ko) 2015-01-13 2016-07-21 홍창표 구명복
KR20170087139A (ko) 2016-01-20 2017-07-28 박의정 기능성 모자가 부착된 부력 및 구명조끼
KR20180128298A (ko) 2017-05-23 2018-12-03 박의정 그래픽이 전사된 구명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6330B2 (en) Flotation swimsuit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US5759076A (en) Lightweight personal flotation device
US5516234A (en) Pressure compensating buoyancy jacket
US6231411B1 (en) Fashionable emergency flotation aid
US6659825B2 (en) Self-inflating child floatation device
EP2888161B1 (en) Splash-resistant automatically inflatable flotation device
US2897821A (en) Buoyant bathing brassiere
US1854378A (en) Life preserver
US2517748A (en) Garment or the like
US4131974A (en) Flotation stoles
KR20210143009A (ko) 식별표시부를 갖는 구명조끼
US4123814A (en) Flotation device
US3366984A (en) Life vest
US10472031B2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US6341921B1 (en) Self-adjusting lumbar support for buoyancy compensator vest
KR100783125B1 (ko) 구명복
JPH09136691A (ja) 浮揚体
EP0023430A1 (en) A safety garment
GB2261590A (en) A combined garment and swimming aid
US20180021631A1 (en) Inflatable swimwear
WO2008053439A1 (en) Safety inflatable floating device
KR200329487Y1 (ko) 레저스포츠용 안전 자켓
JPH02399Y2 (ko)
KR101966433B1 (ko) 구명조끼
US20210195966A1 (en) Body Pad for Suppor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