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811A - 센서가 존재하는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센서가 존재하는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811A
KR20210142811A KR1020200059422A KR20200059422A KR20210142811A KR 20210142811 A KR20210142811 A KR 20210142811A KR 1020200059422 A KR1020200059422 A KR 1020200059422A KR 20200059422 A KR20200059422 A KR 20200059422A KR 20210142811 A KR20210142811 A KR 20210142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sk
user
mask body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연
Original Assignee
조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연 filed Critical 조재연
Priority to KR1020200059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2811A/ko
Publication of KR2021014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8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내면과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호흡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 상기 호흡공간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마스크 본체를 경유한 공기가 내부에 채워지는 공기 주머니, 및 들숨때 상기 공기 주머니 내부의 공기를 상기 호흡공간으로 공급하고 날숨때 상기 호흡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동작되는 공기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가 존재하는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pollutants with sensors}
본 발명은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두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 또는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 외부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 주머니를 별도로 구비하여 들숨때는 상기 외부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날숨때 발생되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호흡시 외부 오염물질의 흡입을 방지하면서도 마스크 착용에 의한 호흡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 황사, 미세 먼지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질이 호흡기 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용되는 환경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는 주로 오염물질 여과용 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부를 덮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마스크는 여과용 천이 사용자의 입이나 코와 같은 호흡기에 밀착되어 호흡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의 투과가 쉽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캡 형태로 형성된 외피 내에 필터용 부직포와 같은 내피가 융착된 구조의 마스크가 개발되었으나, 이와 같은 마스크의 경우 착용자가 호흡시 외피 상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해 내피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한 후 날숨을 마스크 내로 배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흡입공기와 배출공기가 상호 혼합됨으로써 마스크의 내부에서의 산소농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마스크 외부로 날숨이 배출이 원할하지 않아 호흡을 원할하게 유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하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의 전면이나 측면 부근에 방진용 필터를 장착하여 상기 방진용 필터로 걸러진 공기만을 사용자가 흡입하는 구조의 방진 마스크가 개발되었으나, 상기 방진 마스크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형상 자체가 방독면과 유사한 형상이기 때문에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은 가능할 수 있겠으나 일반 사용자들이 야외 활동이나 운동을 즐기기 위하여 착용할 경우 활동성을 지나치게 구속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목적은 테두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 또는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 외부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 주머니를 구비하여 들숨때는 상기 외부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날숨때 발생되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도 호흡시 외부 오염물질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 내부에서 흡입공기와 배출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마스크 착용에 의한 호흡불편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내면과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호흡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 상기 호흡공간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마스크 본체를 경유한 공기가 내부에 채워지는 공기 주머니, 및 들숨때 상기 공기 주머니 내부의 공기를 상기 호흡공간으로 공급하고 날숨때 상기 호흡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동작되는 공기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안내부재는, 공기 주머니 내부의 공기를 상기 호흡공간으로 안내하거나 차단하도록 상기 공기주머니 일측에 설치된 흡기밸브와, 상기 호흡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거나 차단하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배기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기밸브는 들숨때 개방되고 날숨때 폐쇄되며, 상기 배기밸브는 들숨때 폐쇄되고 날숨때 개방되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주머니 내부에 설치되고, 들숨과 날숨때 상기 공기 주머니의 내부 체적이 변화되도록 공기 주머니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 단부는 상기 호흡공간과 연통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공기 주머니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공기 주머니의 내부 공간과 분리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형태로 구성되되, 들숨때 상기 공기 유로 내부의 공기가 호흡공간으로 배출되면서 지지력이 감소하여 상기 공기 주머니의 내부 체적을 감소시키고, 날숨때 상기 호흡공간의 공기가 상기 공기 유로 내부로 유입되면서 지지력이 증가하여 상기 공기 주머니의 내부 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주머니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면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부에는 사용자의 안면 굴곡에 따라 변형되면서 밀착될 수 있는 점착성의 밀착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를 사용자의 안면이나 머리에 착용하기 위하여 마스크 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착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주머니는 마스크 본체를 경유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내면과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호흡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면을 경유하여 외부 공기가 내부에 채워지는 공기 주머니, 및 들숨때 상기 공기 주머니 내부의 공기를 상기 호흡공간으로 공급하고, 날숨때 상기 호흡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동작되는 공기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는 테두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마스크 본체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형성되는 밀폐공간인 호흡공간 내부 또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 외부로부터 상기 마스크 본체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정화된 공기 또는 외부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 주머니를 별도로 구비하여 들숨때는 상기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날숨때 발생되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도 호흡시 외부 오염물질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는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호흡공간 내부에서 흡입공기와 배출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에 의한 호흡불편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는 호흡시 공기 주머니에 미리 채워져 있는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가 호흡기를 직접 커버하여 호흡시마다 마스크 본체의 통기공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해야 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와 대비할 때 마스크 착용에 의한 호흡불편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입 방지를 위한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내면과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호흡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 주머니, 및 들숨때 상기 공기 주머니 내부의 공기를 상기 호흡공간으로 공급하고, 날숨때 상기 호흡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동작되는 공기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스크 본체는 통상의 마스크와 마찬가지로 외부 공기에 포함된 황사, 분진,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직접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1차 필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통기성을 가지는 면, 부직포 등의 천 재질, 실리콘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기타 외부 공기 유입시 오염물질의 필터링이 가능한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테두리부가 사용자의 안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안면 굴곡에 따라 변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형상기억소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마스크 본체를 사용자의 안면이나 머리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끈, 고무밴드, 핀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착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부에는 사용자의 안면에 더욱 밀착시키기 위하여 밀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 내부의 상기 호흡공간은 외부(즉, 마스크 본체의 외부)와 분리되는 밀폐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주머니는 마스크 본체 내부, 즉 상기 호흡공간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상기 마스크 본체를 경유한 공기가 내부에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 주머니는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와 별도의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마스크 본체의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공기 주머니가 마스크 본체와 별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단순히 마스크 본체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공기 주머니가 개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사용시 공기 주머니가 불필요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면이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주머니의 일측면이 마스크 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마스크 본체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착탈 구조는 공기 주머니의 일측면 테두리부에 형성된 착탈부재와 이와 결합하는 마스크 본체의 내측면에 형성된 착탈부재(미도시)로 구성하였는데, 상기 착탈부재는 통상의 벨크로, 홈-돌기 구조의 끼움 결합 등 공지된 여러 가지 방식의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공기 주머니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경우 상기 마스크 본체는 위생을 위하여 세척가능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도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부에는 전술한 밀착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주머니는 마스크 본체를 경유한 공기에 포함된 잔여 오염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 재질(거름 종이, 부직포, 면, 매쉬 구조의 막 등)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공기 주머니는 마스크 본체를 경유하면서 1차 필터링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부 공기에 여전히 포함된 오염물질을 추가적으로 필터링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주머니는 착용시 사용자의 안면과 접하는 부분이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표면이 점착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착용 상태에서 운동 등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공기 주머니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밀착부재에 의한 호흡공간의 기밀성이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외부 오염물질의 흡입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기 공기 안내부재는, 공기 주머니 내부의 공기를 상기 호흡공간으로 안내하거나 차단하도록 상기 공기 주머니의 일측에 설치된 흡기밸브와, 상기 호흡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거나 차단하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배기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흡기밸브를 공기 주머니의 외측면에 설치하여 들숨때는 사용자 호흡기의 흡입력에 의하여 개방되고, 날숨때는 사용자 호흡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과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기밸브는 마스크 본체의 외측면에 설치하여 들숨때는 사용자 호흡기의 흡입력과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폐쇄되고, 날숨때는 사용자 호흡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흡기밸브와 배기밸브는 어느 정도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이나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기밸브는 들숨때 개방되고 날숨때 폐쇄되면서 공기 주머니 내부의 정화된 공기를 상기 호흡공간으로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시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배기밸브는 들숨때 폐쇄되고 날숨때 개방되면서 상기 들숨때 배출되는 공기가 호흡공간 내부에서 흡입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는 매우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호흡시 외부 오염물질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흡공간 내부에서 흡입공기와 배출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마스크 착용에 의한 사용자의 호흡불편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의 경우 들숨때에는 상기 공기 주머니 내부의 정화된 공기가 더욱 용이하게 상기 호흡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고, 날숨때에는 외부로부터 마스크 본체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 주머니의 내부에 더욱 용이하게 채워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주머니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들숨과 날숨때 상기 공기 주머니의 내부 체적이 변화되도록(구체적으로는, 들숨때 체적을 감소시키고 날숨때 체적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공기 주머니의 내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호흡공간과 연통되도록 개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공기 주머니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공기 주머니의 내부 공간과 분리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 형태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개방된 일측 단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일측 단부와 동일한 공기 유로로 연결되는 타측 단부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일예로서 하나의 일측 단부에 대하여 적어도 3개의 타측 단부가 공기 주머니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부재는 들숨때에는 상기 공기 유로 내부의 공기가 호흡공간으로 배출되면서 지지력이 감소하여 상기 공기 주머니의 내부 공간 체적을 감소시키고, 날숨때에는 상기 호흡공간의 공기(즉, 날숨때 사용자의 호흡기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공기 유로 내부로 유입되면서 지지력이 증가하여 상기 공기 주머니의 내부 공간 체적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날숨때 사용자의 호흡기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일부만 상기 공기 유로 내부로 유입되어 지지부재의 지지력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되고, 나머지 대부분은 배기밸브를 통해 마스크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부재는 공기의 유출입에 의하여 용이하게 지지력의 증감이 발생될 수 있도록 공압에 의한 체적 변화가 용이한 주름관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사용자의 호흡에 의한 상기 호흡공간 내부의 압력 변화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력이 변화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는 호흡공간 내부의 온도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 등 여러 가지 다른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공기 주머니가 마스크 본체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는 외주연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공기 주머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의 전체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언급하고 있는 "마스크 본체"라 함은 상기 공기 주머니의 구성 중 외부로 노출된 면이 이에 해당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가 착용부재에 의하여 사용자의 안면이나 머리에 착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마스크 본체를 캡 형상으로 구성하여 별도의 착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마스크 본체가 직접 사용자의 안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상기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밀착부재는 사용자 안면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리콘 재질 등과 같이 사용자의 안면 굴곡에 따라 변형되면서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유연성과 점착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스크 본체가 안면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을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착용시 사용자가 느끼는 무게감이나 부피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코부위만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모두 상기 공기 주머니가 마스크 본체의 내측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 상기 공기 주머니는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측(구체적으로는 외측면 방향)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 주머니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외부로 노출된 면을 통하여 유입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주머니가 필터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상기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흡기밸브는 공기 주머니의 일측 또는 마스크 본체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 상기 흡기밸브를 호흡공간 내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통공(미도시)이 마스크 본체에 형성되어야 하고 후자의 경우 상기 흡기밸브의 개방시 공기 주머니의 내부를 호흡공간과 연통시키기 위한 통공(미도시)이 공기 주머니에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개방된 일측 단부는 마스크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호흡공간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의 경우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의 구조에 관한 것이어서 오로지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서만 마스크의 착용여부, 마스크 본체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었는지 여부, 공기 주머니의 교체여부 등이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판단이 정확하기 않을 경우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오염물질을 사용자가 흡입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는 외부 대기의 상태를 센싱하는 오염물질 센서의 출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마스크의 착용여부, 마스크 본체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었는지 여부, 공기 주머니의 교체여부 등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상태를 측정하는 오염물질 센서와, 상기 오염물질 센서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염물질 센서는 꽃가루,황사,미세먼지와 같은 부유 미소입자, 질소산화물, 유황산화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유독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먼지센서, 가스센서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수단은 오염물질 센서의 출력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일예로서, 문자, 표시, 발광, 구성요소 일부의 색상 변화 등), 청각(일예로서, 경고음), 또는 촉각(일예로서, 진동) 등의 신호를 이용하여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단말기, 시계, 팔찌, 밴드, 고글, 이어폰, 헤드셋, 벨트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염물질 센서와 알림수단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이들이 블루터스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오염물질 센서에서 측정한 외부 공기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근거하여 마스크의 착용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오염물질 센서가 외부 공기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 설치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오염물질 센서는 사용자가 직접 흡입하는 공기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공기 주머니의 내부 또는 호흡공간의 일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흡입하는 공기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마스크의 착용여부 뿐만 아니라 마스크 본체가 안면에 바람직하게 부착되었는지 여부 또는 필터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 주머니 또는 마스크 본체의 교체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오염물질 센서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전술한 알림장치를 통해 외부(기상청, 방송국, 관공서 등)로부터 제공되는 공기 오염상태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음으로써 마스크의 착용여부 등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

  1.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내면과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호흡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상기 호흡공간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마스크 본체를 경유한 공기가 내부에 채워지는 공기주머니; 및들숨때 상기 공기 주머니 내부의 공기를 상기 호흡공간으로 공급하고, 날숨때 상기 호흡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동작되는 공기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1020200059422A 2020-05-19 2020-05-19 센서가 존재하는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20210142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422A KR20210142811A (ko) 2020-05-19 2020-05-19 센서가 존재하는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422A KR20210142811A (ko) 2020-05-19 2020-05-19 센서가 존재하는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811A true KR20210142811A (ko) 2021-11-26

Family

ID=7870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422A KR20210142811A (ko) 2020-05-19 2020-05-19 센서가 존재하는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28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648B1 (ko)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102333134B1 (ko) 센서를 구비한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101905431B1 (ko) 공기정화 마스크 시스템
TW201347804A (zh) 改良呼吸裝置
KR102173429B1 (ko) 산소 증강형 미세 먼지 제거 마스크
US11938352B2 (en) Filtering mask assembly
KR102035719B1 (ko)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KR102089657B1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GB2575985A (en) A filtering mask assembly
KR20160146341A (ko) 황사 마스크
CN111657605A (zh) 一种防护口罩
KR20090117678A (ko) 김서림방지마스크
KR102428122B1 (ko) 휴대용 공기공급장치
KR20020025908A (ko) 기능성마스크
KR20200023348A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2811A (ko) 센서가 존재하는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CN212697796U (zh) 一种防护口罩
CN110193150B (zh) 一种用于空气过滤的鼻罩
CN111887522A (zh) 拼接口罩
KR20200094523A (ko) 목도리형 공기정화장치
KR200496949Y1 (ko) 비강 및 구강 분리 호흡형 마스크
KR20190111204A (ko) 기능성 고분자 나노섬유필터를 포함한 호흡 마스크
KR102306165B1 (ko)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20040089827A (ko) 통기성 격벽이 있는 기능성 마스크
US20230381555A1 (en) Air fil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