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257A - handheld weed mower - Google Patents

handheld weed m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257A
KR20210142257A KR1020200058860A KR20200058860A KR20210142257A KR 20210142257 A KR20210142257 A KR 20210142257A KR 1020200058860 A KR1020200058860 A KR 1020200058860A KR 20200058860 A KR20200058860 A KR 20200058860A KR 20210142257 A KR20210142257 A KR 20210142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weeds
ground
hook
mov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8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5030B1 (en
Inventor
정길
허수한
Original Assignee
정길
허수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 허수한 filed Critical 정길
Priority to KR102020005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030B1/en
Publication of KR2021014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2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5/00Machines for treating meadows or lawns, e.g. for sports gr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weeder capable of removing even the root of wee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eder comprises: a main body unit (100) having a driving unit (120) generating power and a grip unit (1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120) to be gripped by a user's hand; and a hook unit (200) provided to protrude by a certain length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unit (100) and moving back and forth by the driving unit (120) while providing traction force so that weeds grown on the ground are pulled out from the ground. The hook unit (200) includes: a fixed frame (210)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unit (100); a moving frame (22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xed frame (210) to move back and forth by receiving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120); and a plurality of hooks form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frame (220) to scrape the groun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220), thereby applying the traction force to the roots of weeds.

Description

잡초제거기{handheld weed mower}weed mower {handheld weed mower}

본 발명은 잡초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잡초를 흙으로부터 뿌리채 뽑아 제거하는 김매기가 가능한 잡초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ed remo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ed remover capable of weeding that removes weeds by rooting them from the soil.

일반적으로 농촌에서 잡초를 제거하거나, 성묘시 벌초작업을 할 때, 낫과 같은 도구를 사용 하였으나, 잡초를 적은 힘으로 많은 양를 제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동력으로 칼날이 회전되는 전동장치를 이용한 예초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In general, tools such as sickles were used to remove weeds in rural areas or when weeding at the time of weeding. This is increasing.

그러나, 종래 예초기는 칼날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며 잡초를 제거하기 때문에 잡초의 줄기를 잘라 제거할 뿐 잡초의 뿌리까지 제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lawn mower removes weeds while the blade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only the stems of weeds are cut and removed, but the roots of the weeds cannot be removed.

이에 농촌에서 밭에 생긴 풀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들이 호미나 손으로 직접 풀을 제거하는 김매기 작업을 수시로 수행하게 된다. In order to remove weeds from fields in rural areas, workers often perform weeding work to remove weeds with hoes or hands.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제10-2007-0121533호, "모터 구동식 예초기"Document 1.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21533, "Motor Driven Mower"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제10-2019-0101083호, "회전식 예초기"Document 2.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01083, "Rotary lawn mower"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잡초의 뿌리까지 뽑아 제거할 수 있는 잡초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ed remover capable of removing up to the root of the weed a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잡초의 제거를 위해 흙을 전후로 긁어 흙 내부에 공기와 수분이 잘 통하게 하는 갈이 작업이 가능한 잡초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ed remover capable of grinding the soil back and forth to allow air and moisture to pass through the soil well for removal of weed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잡초제거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잡초제거기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20)와, 상기 구동부(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부(130)를 갖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에 일정 길이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120)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며 땅에 자생하는 잡초가 땅으로부터 뽑혀지게 견인력을 제공하는 갈고리부(200)를 포함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by a weed killer. The weed rem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100 having a driving unit 120 for generating power, and a handle unit 1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120 to be gripped by the user's hand; It is provided to protrude a certain length in front of the main body part 100, and it moves back and forth by the driving part 120 and includes a hook part 200 that provides traction so that weeds that are native to the ground are pulled out from the ground.

여기서, 상기 갈고리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프레임(210)과;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상부에 상기 구동부(1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프레임(220)과; 상기 이동프레임(220)의 하부에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0)의 전후이동에 따라 땅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땅을 긁으며 잡초의 뿌리로 견인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갈고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hook part 200 includes a fixed frame 210 fixedly coupled to the body part 100; a moving frame 220 provided; A plurality of hooks that are formed to protrude a certain length from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frame 220 and scrape the groun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220 and provide traction to the roots of weeds. It is preferable to do

본 발명에 따른 잡초제거기는 이동프레임이 고정프레임을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이 때, 이동프레임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갈고리가 땅을 긁어 잡초를 견인하여 잡초의 뿌리가 흙으로부터 뽑히게 한다. In the weed rem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frame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fixed frame. At this time, a plurality of hook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frame scrape the ground and pull the weeds so that the roots of the weeds are pulled out from the soil.

이에 의해 잡초의 줄기만 제거하는 것이 아니고 잡초의 뿌리까지 흙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여 사람이 직접 김매는 작업을 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에 넓은 면적의 잡초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Thereby, not only the stems of weeds are removed, but also the roots of weeds ar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soil so that a person does not directly we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weeds in a large area in a short time.

또한, 본 발명의 잡초제거기는 이동수레에 적재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고랑이 형성된 밭의 잡초 제거시에 사용자의 체력적 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ed rem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loading it on a moving wagon, so that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reduce the physical burden of the user when weeding the field in which the furrow is form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잡초제거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잡초제거기의 구동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잡초제거기의 갈고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잡초제거기의 갈고리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잡초제거기의 이동수레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잡초제거기의 이동수레를 이용한 사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잡초제거기의 잡초 제거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eed rem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driving unit of the weed rem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ok part of the weed rem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hook part of the weed rem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with a moving wagon of the weed rem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of using a moving wagon of the weed rem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eed removal process of the weed rem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en it is said that any one component "includes" another component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invention, it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nly the compon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ther components are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ore may be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잡초제거기(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체부(100)와 갈고리부(2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잡초제거기(1)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에 결합되어 잡초가 흙으로부터 뽑혀 제거되게 하는 갈고리부(200)를 포함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eed remov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hook part 200 . As shown, the weed remov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00 and a hook part 200 coupled to the body part 100 so that weeds are pulled out of the soil and removed.

본 발명에 따른 잡초제거기(1)는 하부로 돌출된 복수개의 갈고리(223)가 구비된 갈고리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후로 이동되며 흙을 긁으며 섞어 흙에서 자생하는 잡초의 뿌리가 뽑히게 한다. 이에 의해 사람이 직접 호미 등을 이용해 김을 매지 않더라도 김을 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In the weed remov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part 20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oks 223 protruding downward is moved back and forth by receiving driving force from the body part 100, and grows natively from the soil by scraping the soil. causes weeds to be uprooted. Thereby, even if a person does not directly weed using a hoe or the like, the same effect as that of weeding can be exhibited.

또한, 이 과정에서 갈고리(223)가 겉흙을 뚫고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하며 흙을 섞게 되어 굳어진 겉흙을 부수어 공기가 잘 통하고 수분이 잘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사이갈이가 수행된 것과 같은 효과도 나타내게 된다. In addition, in this process, the hook 223 penetrates the top soil and moves back and forth in the inserted state to mix the soil and break the hardened top soil so that the air can pass through and moisture can be well maintained. effect will be shown.

본체부(100)는 갈고리부(200)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체부(100)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에 구비되는 구동부(120)와, 케이싱(110)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30)를 포함한다. The body part 100 is coupled to the hook part 200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and use it by hand. The body part 100 includes a casing 110 , a driving part 120 provided in the casing 110 , and a handle part 130 coupled to the casing 110 .

케이싱(110)은 구동부(120)와 손잡이부(130)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잡초제거를 할 수 있게 한다. 구동부(120)는 케이싱(110)에 결합되며 구동력을 발생시켜 갈고리부(200)의 이동프레임(220)이 전후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The casing 110 is coupled to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handle unit 130 so that the user can safely remove weeds. The driving unit 120 is coupled to the casing 110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moving frame 220 of the hook unit 200 can be moved back and forth.

구동부(12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21)와, 구동모터(121)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123)과, 구동축(123)의 회전구동력을 이동프레임(22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전동변환수단(125)을 포함한다. The driving unit 120 includes a driving motor 121 that generat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a driving shaft 123 that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21, and a driving shaft 123 as shown in FIGS. 2 and 3 . and an electric conversion means 125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into a linear motion of the moving frame 220 .

구동모터(121)은 케이싱(110)에 내부에 위치가 고정된다. 구동축(123)은 구동모터(12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이 때, 구동축(123)은 수직축이 아닌 일영역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의애 구동축(123)이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형태로 회전하게 된다. The driving motor 121 has a fixed position inside the casing 110 . The driving shaft 123 is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21 . At this time, the driving shaft 123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one region, not a vertical axis, is bent. Accordingly, the drive shaft 123 is rotat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전동변환수단(125)은 일단은 구동축(123)의 절곡영역에 결합되고, 타단은 이동프레임(220)의 전동수단결합공(227)에 고정된다. 전동변환수단(227)은 구동축(123)의 절곡영역의 회전반경에 따라 함께 이동되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220)이 전후로 직선운동하게 한다. 전동변환수단(227)이 구동축(123)에 결합되는 고리는 구동축(123)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축(123)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고 이동프레임(220)의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One end of the electric conversion means 125 is coupled to the bending area of the driving shaft 123 ,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electric means coupling hole 227 of the moving frame 220 . The electric conversion means 227 is moved toge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bending area of the driving shaft 123 and causes the moving frame 220 to linearly move back and forth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ring to which the electric conversion means 227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123 is rotatably coupled along the drive shaft 123 to enabl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220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23 .

구동부(120)의 구성은 이 외에도 구동모터(121)의 회전운동을 이동프레임(22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is,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120 may be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capable of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ing motor 121 into a linear motion of the moving frame 220 .

여기서, 구동축(123)의 절곡영역의 회전직경은 이동프레임(220)의 전후이동변위(d)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Here, the rotation diameter of the bending region of the driving shaft 123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displacement d of the moving frame 220 .

여기서, 구동부(120)는 구동모터(121)로 전원을 공급하는 엔진(미도시)을 더 포함하거나,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이 구비되거나, 구동모터(121)로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riving unit 120 further includes an engine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otor 121 ,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commercial power, or charging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otor 121 . It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not shown).

손잡이부(130)는 케이싱(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본체부(100)의 무게 때문에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양손으로 전방손잡이(135)와 후방손잡이(131)를 함께 잡고 사용할 수 있다. A pair of handle units 130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asing 110 , respectively. Since it may be difficult for a user to hold and use with one hand due to the weight of the body part 100 , the user can hold the front handle 135 and the rear handle 131 together with both hands.

후방손잡이(131)에는 사용자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버튼(133)이 구비된다. The rear handle 131 is provided with an input button 133 for receiving a driving signal from the user.

도 4는 갈고리부(2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땅에 자생하는 잡초가 뿌리채 뽑히게 한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configuration of the hook part 200 . As shown, the hook part 200 receives the driving force from the body part 100 so that weeds native to the ground are uprooted.

갈고리부(200)는 케이싱(11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프레임(210)과, 고정프레임(210)에 전후로 이동되는 이동프레임(220)을 포함한다. 고정프레임(210)은 일단은 케이싱(110)의 하부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연장형성된다. 고정프레임(210)의 판면에는 이동프레임(220)의 복수개의 갈고리(223)를 하부로 노출시키는 갈고리수용공(211)이 일정면적 형성된다. The hook unit 200 includes a fixed frame 210 fixedly coupled to the casing 110 , and a moving frame 220 that is moved back and forth to the fixed frame 210 . One end of the fixed frame 210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110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in the form of a free end. On the plate surface of the fixed frame 210, a hook receiving hole 211 for exposing the plurality of hooks 223 of the moving frame 220 downward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고정프레임(21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레일(213)이 구비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213)에는 이동프레임(220)의 측면가이드(221)가 끼워져 이동프레임(22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A pair of guide rails 213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frame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ide guides 221 of the moving frame 220 are fitted to the pair of guide rails 213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220 .

고정프레임(210)의 전방에는 상방향을 향해 곡면형태로 절곡형성된 이탈방지판(215)이 일정면적 구비된다. 이탈방지판(215)은 전방으로 이동된 이동프레임(22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이동프레임(220)의 흙배출공(225)을 통해 상방향으로 이동된 흙을 전방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 predetermined area is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fixed frame 210 with a separation prevention plate 215 bent upward in a curved shape.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215 serves to prevent the moving frame 220 moved forward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and to move the soil moved upward through the soil discharge hole 225 of the moving frame 220 forward. plays the role of emitting.

이동프레임(220)은 고정프레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이동프레임(22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측면가이드(221)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복수개의 갈고리(22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The moving frame 220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210 . A pair of side guides 22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frame 220 , and a plurality of hooks 223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이동프레임(22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변환수단(125)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후로 이동된다. 이동프레임(220)은 고정프레임(210)의 측면가이드(221)를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이 때, 이동프레임(220)이 고정프레임(210)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거리(d)는 도 4에서 갈고리수용공(211)의 전체 길이(W1)와 갈고리(223)가 형성된 영역의 길이(W2)의 차이에 대응된다. The moving frame 220 is moved back and forth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by the electric conversion means 125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moving frame 220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side guides 221 of the fixed frame 210 . At this time, the distance d at which the moving frame 220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fixed frame 210 is the total length W1 of the hook receiving hole 211 in FIG. 4 and the length of the area where the hook 223 is formed ( W2) corresponds to the difference.

도 8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220)은 구동부(1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측면가이드(221)가 가이드레일(213)을 따라 고정프레임(210)의 판면을 따라 이동된다. 이 때, 복수개의 갈고리(223)는 이동프레임(220)의 전후이동에 연동하여 갈고리수용공(211) 내부를 전후로 이동하며 땅을 긁게 되고, 이 과정에서 잡초(A)의 뿌리(B)를 흙으로부터 분리하여 잡초(A)를 제거하게 된다. As shown in (a) and (b) of FIG. 8 , the moving frame 220 receive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120 , and the side guides 221 follow the guide rails 213 to the plate surface of the fixed frame 210 . is moved along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hooks 223 move back and forth in the hook receiving hole 211 in conjunction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220 to scrape the ground, and in this process, the roots (B) of the weeds (A) It is separated from the soil to remove weeds (A).

여기서, 갈고리(223)는 지면으로부터 땅 밑으로 일정 깊이 박힌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갈고리(223)는 땅을 긁으면서 땅에 자생하는 풀을 견인하여 뽑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hook 223 is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in a state embedded at a predetermined depth under the ground from the ground. The hook 223 is preferably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pulled by pulling grass that grows on the ground while scratching the ground.

이를 위해 갈고리(2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절곡형성된 원호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로 꺽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hook 223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s shown, or formed in an arc shape bent backward as shown in FIG. 5 (a), or as shown in FIG. 5 (b) " It may be provided in a bent shape in the shape of "B".

경우에 따라 갈고리(223)는 삼각형 형태, 원호형태, "ㄴ"자 형태가 혼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In some cases, the hook 223 may be provided in a triangular shape, an arc shape, and a “L” shape mix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동프레임(220)에 갈고리(223)가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목적, 지면 또는 밭 등의 용처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 서로 다른 길이의 갈고리 중 목적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hook 22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ving frame 220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detachably coupled in some cases. The user can select and combine hooks of different shapes and different length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the ground or the field, etc.

한편, 이동프레임(220)의 판면에는 이동프레임(220)이 전후로 이동하며 흙을 파거나 긁을 때 흙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흙배출공(225)이 복수개 구비된다. 이 때, 흙배출공(225)은 크기가 작게 구비되어 뽑혀진 잡초나, 흙 내부의돌이 상부로 튀어오르지 못하게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late surface of the moving frame 2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oil discharge holes 225 that move the moving frame 220 back and forth and move the soil upward when digging or scraping the soil. At this time, the soil discharge hole 225 is provided with a small size and serves to prevent the pulled out weeds or stones in the soil from jumping upwards.

여기서, 본 발명의 잡초제거기(1)는 밭이나 땅에 자생한 잡초를 뿌리채 뽑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잡초제거기(1)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30)를 잡고 갈고리부(200)를 지면과 가까이 닿게 위치시켜 사용해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갈고리부(200)가 지면에 닿게 하기 위해 허리를 굽혀야 하므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허리와 손목 등에 부담이 가게 된다. Here, the weed remov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uproot weeds that are native to a field or land. For this purpose, the weed remover 1 should be used by the user holding the handle 130 and positioning the hook 200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is case, since the user has to bend the waist so that the hook part 2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a burden is placed on the waist and wrist when used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잡초제거기(1)는 이러한 사용자의 체력적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레(300)에 결합시켜 사용될 수 있다. The weed remov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moving wagon 300 as shown in FIG. 6 in order to reduce the physical burden of such a user.

이동수레(300)는 본체부(1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판(310)과, 결합판(310)의 하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이동바퀴(320)와, 결합판(310)의 상부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미는 가압핸들(330)을 포함한다. The moving wagon 300 includes a coupling plate 310 to which the main body 100 is detachably coupled,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320 provided under the coupling plate 310 , and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late 310 . It extends to include a pressing handle 330 that the user pushes by hand.

여기서, 이동바퀴(320)는 갈고리(223)가 지면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최대한 크기가 작은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수레(300)를 이용해 잡초제거를 하는 경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랑(E)이 형성된 밭(D)의 잡초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고랑(E)을 따라 이동수레(300)를 밀면서 갈고리부(200)가 밭(D)의 흙을 긁어 뒤집으며 잡초(A)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oving wheel 3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the smallest possible size since the hook 223 must be inserted into the ground. In the case of removing weeds using the moving wagon 300, it is preferable to use it to remove the weeds of the field (D) in which the furrows (E) are formed as shown in FIG. 7 .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pushes the moving wagon 300 along the furrow (E) while the hook unit 200 scrapes the soil of the field (D) and turns it over to remove the weeds (A).

사용자는 잡초를 제거해야하는 땅 또는 밭의 높이를 판단하여 손으로 본체부(100)를 잡고 사용하거나 이동수레(300)에 본체부(100)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The user can use the body part 100 by hand holding the body part 100 by determining the height of the land or field from which weeds need to be removed, or by coupling the body part 100 to the moving wagon 300 .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잡초제거기(1)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process of using the weed remov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잡초제거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에 갈고리부(200)가 결합된 상태로 준비된다. 사용자는 버튼(133)을 조작하여 구동모터(121)가 구동되게 한다. 구동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변환수단(125)이 회전되고, 이에 연동하여 이동프레임(220)이 고정프레임(210)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The weed remover 1 is prepared in a state in which the hook 2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1 . The user operates the button 133 to drive the driving motor 121 .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electric conversion means 125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21 , and the moving frame 22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fixed frame 210 in association with this.

사용자는 손잡이부(130)를 손으로 잡고 이동프레임(220)을 지면 가까이로 접근시킨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220)이 고정프레임(210)의 판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될 때, 이동프레임(220)의 하부로 돌출된 복수개의 갈고리(223)는 땅 밑으로 파고들어 이동프레임(220)과 함께 전후로 이동된다. The user holds the handle 130 by hand and brings the moving frame 220 closer to the ground. When the moving frame 220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plate surface of the fixed frame 210 as shown in FIG. It is moved back and forth together with the moving frame 220 by digging into it.

이 과정에서 땅에 자생하는 잡초(A)들의 뿌리(B)가 갈고리(223)에 걸려지고, 갈고리(223)가 전후로 이동할 때 발생되는 견인력에 의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뿌리(B)가 땅으로부터 뽑혀지게 된다. In this process, the roots (B) of the weeds (A) that are native to the ground are caught on the hook 223, and the root as shown in FIG. (B) will be pulled from the ground.

이에 따라 사용자가 호미를 이용해 직접 김매는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잡초제거기(1)를 이용해 빠르게 넓은 면적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프레임(210)에 의해 이동프레임(220)이 안내되며 전후로 이동되므로 뽑혀진 잡초나 돌멩이 등이 상부로 튀어오르는 것이 차단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잡초제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quickly remove weeds in a large area using the weed remov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weed using a hoe. In addition, since the moving frame 220 is guided by the fixed frame 210 and moved back and forth, the pulled weeds or stones are blocked from jumping upwards, so that the user can safely remove weeds.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랑(E)이 형성된 밭(D)의 잡초를 제거할 경우, 밭(D)의 높이에 맞게 이동수레(300)에 본체부(100)를 안착시켜 고정하고, 사용자가 가압핸들(330)을 천천히 밀어 갈고리부(200)가 밭(D)의 잡초(A)를 제거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서서 가압핸들(330)을 밀기만 하면 되므로 체력적 부담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removing the weeds of the field (D) in which the furrow (E) is formed as shown in FIG. 7, the body part 100 is seated and fixed on the moving wagon 300 to match the height of the field (D). , the user pushes the pressing handle 330 slowly, and the hook part 200 removes the weeds (A) of the field (D). At this time, since the user only needs to stand and push the pressing handle 330, the physical burde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잡초제거기는 이동프레임이 고정프레임을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이 때, 이동프레임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갈고리가 땅을 긁어 잡초를 견인하여 잡초의 뿌리가 흙으로부터 뽑히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weed rem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frame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fixed frame. At this time, a plurality of hook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frame scrape the ground and pull the weeds so that the roots of the weeds are pulled out from the soil.

이에 의해 잡초의 줄기만 제거하는 것이 아니고 잡초의 뿌리까지 흙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여 사람이 직접 김매는 작업을 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에 넓은 면적의 잡초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Thereby, not only the stems of weeds are removed, but also the roots of weeds ar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soil so that a person does not directly we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weeds in a large area in a short time.

또한, 본 발명의 잡초제거기는 이동수레에 적재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고랑이 형성된 밭의 잡초 제거시에 사용자의 체력적 부담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ed rem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loading it on a moving wagon, so that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reduce the physical burden of the user when weeding the field in which the furrow is formed.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viewed through the above several embodiment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It is apparent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variously modify or chang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ven if not explicitly shown or describe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including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f-evident, which still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1 : 잡초제거기 100 : 본체부
110 : 케이싱 120 : 구동부
121 : 구동모터 123 : 구동축
125 : 전동변환수단 130 : 손잡이부
131 : 후방손잡이 133 : 버튼
135 : 전방손잡이 200 : 갈고리부
210 : 고정프레임 211 : 갈고리수용공
213 : 가이드레일 215 : 이탈방지판
220 : 이동프레임 221 : 측면가이드
223 : 갈고리 225 : 흙배출공
227 : 전동수단결합공 300 : 이동수레
310 : 결합판 320 : 이동바퀴
330 : 가압핸들
A : 잡초
B : 뿌리
C : 땅
D : 밭
E : 고랑
1: weed remover 100: body part
110: casing 120: driving unit
121: drive motor 123: drive shaft
125: electric conversion means 130: handle part
131: rear handle 133: button
135: front handle 200: hook part
210: fixed frame 211: hook receiving hole
213: guide rail 215: escape prevention plate
220: moving frame 221: side guide
223: hook 225: soil discharge hole
227: electric means coupling hole 300: moving wagon
310: coupling plate 320: moving wheel
330: pressure handle
A: weed
B: root
C: land
D: field
E: furrow

Claims (4)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20)와, 상기 구동부(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부(130)를 갖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에 일정 길이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120)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며 땅에 자생하는 잡초가 땅으로부터 뽑혀지게 견인력을 제공하는 갈고리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갈고리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프레임(210)과;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상부에 상기 구동부(1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프레임(220)과;
상기 이동프레임(220)의 하부에 일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프레임(220)의 전후이동에 따라 땅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땅을 긁으며 잡초의 뿌리로 견인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갈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기.
a main body part 100 having a driving part 120 for generating power, and a handle part 13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part 120 to be gripped by a user's hand;
It is provided to protrude a certain length in front of the body part 100, and it moves back and forth by the driving part 120 and includes a hook part 200 that provides traction so that weeds that are native to the ground are pulled out from the ground,
The hook part 200,
a fixed frame 210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 moving frame 220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210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120;
A plurality of hooks that are formed to protrude a certain length from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frame 220 and scrape the groun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220 and provide traction to the roots of weeds. Weed remov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판면에는 갈고리수용공(211)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213)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22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13)에 끼워져 전후 이동을 안내받는 한 쌍의 측면가이드(221)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프레임(220)의 전후 이동거리는 상기 갈고리수용공(211)의 폭과 상기 복수개의 갈고리(223)가 형성된 폭의 차이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기.
According to claim 1,
A hook receiving hole 211 is formed through the plate surface of the fixing frame 210,
Guide rails 213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fixed frame 210,
A pair of side guides 22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frame 220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13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Weed rem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istance of the moving frame 220 corresponds to a difference between the width of the hook receiving hole 211 and the width in which the plurality of hooks 223 are form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223)는 삼각형, "ㄴ“자, 원호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기.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hook 223 is a weed remov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t least one shape of a triangle, "b", circular arc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본체부(100)가 안착되며 하부에 이동바퀴(320)가 구비된 이동수레(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레(30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기립한 상태로 손으로 파지하며 상기 이동수레(300)를 가압하는 가압핸들(3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제거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ody part 1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further includes a moving wagon 300 having a moving wheel 320 at the lower part,
Weed rem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wagon (30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handle (330) for pressing the moving wagon (300) while holding it by hand in an upright state.
KR1020200058860A 2020-05-18 2020-05-18 handheld weed mower KR102345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60A KR102345030B1 (en) 2020-05-18 2020-05-18 handheld weed m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60A KR102345030B1 (en) 2020-05-18 2020-05-18 handheld weed m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257A true KR20210142257A (en) 2021-11-25
KR102345030B1 KR102345030B1 (en) 2021-12-29

Family

ID=78745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860A KR102345030B1 (en) 2020-05-18 2020-05-18 handheld weed m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03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747A (en) * 1994-05-09 1995-11-14 Honda Motor Co Ltd Lawn mower
JPH104793A (en) * 1996-06-21 1998-01-13 Kubota Corp Cutter for seedling root
KR200349319Y1 (en) * 2004-02-17 2004-05-04 홍석운 a brush cutter of cart type
KR20070121533A (en) 2006-06-22 2007-12-27 이도오덴기가부시기가이샤 A motor-driven grass mower
KR20100057570A (en) * 2010-05-07 2010-05-31 권오성 Mow cut
KR101156477B1 (en) * 2009-11-25 2012-06-14 주식회사 나인티시스템 A robot for weeding
KR20190101083A (en) 2018-02-22 2019-08-3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Rotable type lawn mow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747A (en) * 1994-05-09 1995-11-14 Honda Motor Co Ltd Lawn mower
JPH104793A (en) * 1996-06-21 1998-01-13 Kubota Corp Cutter for seedling root
KR200349319Y1 (en) * 2004-02-17 2004-05-04 홍석운 a brush cutter of cart type
KR20070121533A (en) 2006-06-22 2007-12-27 이도오덴기가부시기가이샤 A motor-driven grass mower
KR101156477B1 (en) * 2009-11-25 2012-06-14 주식회사 나인티시스템 A robot for weeding
KR20100057570A (en) * 2010-05-07 2010-05-31 권오성 Mow cut
KR20190101083A (en) 2018-02-22 2019-08-30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Rotable type lawn m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030B1 (en)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1418A (en) Convertible, user-supported, garden cleaning implement for cutting/macerating weeds and like
US5765648A (en) Multipurpose garden tool
US4648464A (en) Cultivating tool
US8939226B2 (en) V-shaped weed cutting garden tool and edge trimmer
US4096915A (en) Ground working apparatus with tools to draw the apparatus forward
WO2012158853A2 (en) Hole digging tiller or cultivator
JP2010057436A (en) Grass remover
KR102345030B1 (en) handheld weed mower
US5555943A (en) Combined lawn aerating and weed remov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JP5213054B2 (en) Plowing weeder
US3458981A (en) Weeding tool
KR101652978B1 (en) A weed eliminator
US8079423B2 (en) Cultivating tool
JP3050027U (en) Weed excavator
CN205694295U (en) Electronic hand-held chain type mowing-apparatus
GB2296174A (en) Powered gardening implement
US2907395A (en) Electric power tool
US3173495A (en) Multipurpose gardening and agricultural implement
GB2352607A (en) Weeding fork
US1722293A (en) Cultivating implement
JP3217130U (en) Mower
JPH0650403U (en) Powered weed extractor
KR101493653B1 (en) Multipurpose Pickax
CN208273516U (en) A kind of cultivated level land farm implements of new-type electric environment protecting
US20240040942A1 (en) Multipurpose Garden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