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171A - 케라틴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가닥을 위한 조명 장치 및 관련 공정 - Google Patents

케라틴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가닥을 위한 조명 장치 및 관련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171A
KR20210142171A KR1020217034604A KR20217034604A KR20210142171A KR 20210142171 A KR20210142171 A KR 20210142171A KR 1020217034604 A KR1020217034604 A KR 1020217034604A KR 20217034604 A KR20217034604 A KR 20217034604A KR 20210142171 A KR20210142171 A KR 20210142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raining
branch
constraining
bundle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0584B1 (ko
Inventor
프레데릭 우드랜드
가뱅 빅
파브리스 오솔린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210142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Brushe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이 장치(110)는 제1 브랜치(14) 및 제2 브랜치(16)를 포함한다. 제1 브랜치(14)와 제2 브랜치(16)는, 다발(12)의 삽입을 위한 개방 위치와 다발(12)의 조명을 위한 캐비티(12)를 형성하는 다발(12)의 조명을 위한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캐비티(20)는 제1 측면 슬릿 및 제2 측면 슬릿에 의해 개방된다. 장치(110)는 실질적으로 제1 측면 슬릿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1 측면 슬릿 내에서 연장하는 제1 구속 부재(80) 및 실질적으로 제2 측면 슬릿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2 측면 슬릿 내에서 연장되는 제2 구속 부재(82)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속 부재(80, 82)는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조명 캐비티(20)를 광학적으로 폐쇄한다.

Description

케라틴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가닥을 위한 조명 장치 및 관련 공정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케라틴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다발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 제1 구속면을 형성하는 제1 브랜치;
- 제1 구속면의 맞은편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제2 구속면을 형성하는 제2 브랜치로서, 제1 브랜치 및 제2 브랜치는 다발의 삽입을 위한 개방 위치와 구속면이 다발의 조명을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다발의 조명을 위한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2 브랜치;
- 다발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캐비티 내의 다발의 조명을 위한 조립체.
본 장치는 특히 모발의 처리에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이동가능 클램프이다. 처리는 특히 모발의 변색을 생성하고 모발에 볼륨 효과를 주기 위해 세척을 견디는 외피를 모발에 부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WO 2017/108767, WO 2004/054527 및 WO 2007/04872는 모발에 적용가능한 미용 외장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이들 조성물은 광-교차결합 화합물(photo-cross-linking compound)을 포함한다.
모발 상에 외장 조성물을 적용한 후, UV-가시선 영역에서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LED)에 의한 조명 장치가 모발의 다발을 지나감으로써 광-교차결합 화합물을 교차 결합시키며 따라서 외장을 획득한다.
일반적으로, 방출된 광은 Joule/cm2 정도의 에너지 선량에서 UV-가시선 영역에 있다.
다른 경우에, WO 2015/165949에서와 같이 모발을 변색시키기 위해 광-산화(photo-oxidation)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 화학적 산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처리된 모발이 발광 다이오드에 의한 광의 적용을 받는다. 예를 들어 약 100 J/cm2 정도의 더 높은 강도의 조명을 생성하는 조명 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전술한 조명 장치는 모발의 다발의 효과적인 방사를 제공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방사 동안 광의 누출을 제한하거나 심지어 회피하기 위해 특히 광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개선이 여전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장치 외부로의 광의 누출을 크게 제한하거나 심지어 방지하면서 다발의 조명을 필요로 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케라틴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다발을 조명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제로, 전구 및 전구를 사용하는 장치의 광생물학적 안전성에 관련된 표준 IEC 42471의 맥락에서, 전술한 유형의 장치는 위험 장치로 분류된다(측정된 위험의 특성에 따라, 낮음 - 그룹 1 내지 높음 - 그룹 3). 그리고 이러한 분류는, 특히 표시 및 예방 측면에서 여러 규제 제약에 대한 주의를 수반한다. 따라서, 적절한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이러한 장치의 분류 그룹을 저하시키거나 또는 장치가 그룹 0(위험의 부재)으로 분류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케라틴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다발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며, 조명 장치는
- 제1 구속면을 형성하는 제1 브랜치;
- 제1 구속면의 맞은편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제2 구속면을 형성하는 제2 브랜치로서, 제1 브랜치 및 제2 브랜치는 다발의 삽입을 위한 개방 위치와 구속면이 다발의 조명을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다발의 조명을 위한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조명 캐비티는 조명 캐비티에 접근하기 위한 제1 측부 슬릿에 의해 조명 캐비티의 제1 측면 에지 상으로 그리고 조명 캐비티에 접근하기 위한 제2 측면 슬릿에 의해 조명 캐비티의 제2 대향 측면 에지 상으로 개방되는, 제2 브랜치;
- 280 nm 내지 700 nm, 특히 280 nm 내지 700 nm의 파장을 갖는 광으로 다발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캐비티 내의 다발의 조명을 위한 조립체를 포함하며, 조명 장치는
- 조명 캐비티의 제1 측면 에지 상에 있으며 제1 구속면, 제2 구속면, 또는 그 주변부로부터 나오는 제1 구속 부재로서, 제1 구속 부재는 실질적으로 제1 측면 슬릿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1 측방향 슬릿 내에서 연장되는, 제1 구속 부재와,
- 조명 캐비티의 제2 측면 에지 상에 있으며 제1 구속면, 제2 구속면, 또는 그 주변부로부터 나오는 제2 구속 부재로서, 제2 구속 부재는 실질적으로 제2 측면 슬릿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2 측방향 슬릿 내에서 연장되는, 제2 구속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구속 부재는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조명 캐비티를 광학적으로 폐쇄하는, 제2 구속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명 조립체는 특히 0.3 W/cm2 초과 또는 1 W/cm2 초과, 특히 0.5 W/cm2 내지 5 W/cm2의 조명 파워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높은 광학 파워를 필요로 하는 용례에서, 조명 조립체는 20W/cm2 초과 또는 30W/cm2 초과의 조명 파워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광학적으로 폐쇄한다"는, 구속 부재가, 조명 시스템에 의해 방출되는 파장에서, 조명 시스템에 의해 조명 캐비티 내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의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을 폐쇄 요소를 향해 나아가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광학적 폐쇄 특성은 장치의 그룹 0(위험 없음) 및 최대 그룹 1(낮은 위험)의 분류를 허용한다.
광학적 폐쇄는 예를 들어 표준 IEC 62471:2006 및 EN62471:2008에 의해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음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단독으로 고려하여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들)에 따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변형예에서, 구속 부재는 브랜치들 중 하나의 측벽으로부터의 구속면 중 하나의 주변부로부터 나오며 그리고/또는 제2 구속 부재는 브랜치 중 하나의 대향 측벽으로부터의 구속면 중 하나의 주변부로부터 나온다.
즉, 구속 부재의 삽입점은 구속면 상에 위치되지 않고 이들 면에 인접하는 브랜치의 일부의 외측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제2 변형예에서, 제1 구속 부재는 구속면 중 하나의 제1 측면 에지로부터 나오며 및/또는 제2 구속 부재는 구속면 중 하나의 대향 제2 측면 에지로부터 나온다.
양 변형예에서, 제1 구속 부재 및 제2 구속 부재는 동일한 브랜치로부터 나온다.
제1 선택지에서, 2개의 전술한 구속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하게는 200 nm 내지 800 nm 범위의 UV/가시광선에 불투명한 가요성 재료의 시트에 의해 형성된다.
가요성 재료로서, 알루미늄 같은 금속 시트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가 바람직하다.
제2 바람직한 선택지에서, 2개의 구속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강모 커튼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양 구속 부재는 강모 커튼에 의해 형성된다.
강모 커튼(들)은 제1 브랜치 및 제2 브랜치에 연결되는 하나의 에지 및 자유 에지를 가질 수 있으며, 강모 커튼의 자유 에지는 폐쇄 위치에서 다른 브랜치의 구속면을 지지한다.
장치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추가 구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장치는 폐쇄 위치에서 제1 구속 부재에 대향하여 위치결정되는 제1 추가 구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잇다.
장치는 또한 폐쇄 위치에서 제2 구속 부재에 대향하여 위치결정되는 제2 추가 구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추가 구속 장치는 주 구속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이들은 그것에 대면하는 구속 부재의 상대-형태(counter-form)를 형성하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광 누출의 위험을 더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폐쇄 위치에서, 주 구속 부재는 오목부의 바닥과 접촉하지 않고 상보적인 구속 부재를 형성하는 오목부에서 연장되며, 간극이 주 구속 부재와 오목부의 바닥 사이의 오목부에 형성된다. 이것은 광으로부터의 우수한 보호를 유지하면서 다발의 적절한 순환을 보장한다.
주 구속 부재는 제1 구속면 또는 제2 구속면으로부터 다른 구속면을 향해 나오는 둥근 에지 또는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주 구속 부재는, 폐쇄 위치에서 다른 브랜치와 접촉하도록 위치결정되고 둥근 에지 또는 비드를 다른 브랜치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둥근 에지 또는 비드로부터 다른 브랜치를 향해 돌출하는 릴리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케라틴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다발의 조명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장치는 다발의 삽입을 위한 개방 위치에 있는, 제공 단계;
- 제1 브랜치와 제2 브랜치 사이에 다발을 삽입하는 단계;
- 장치를 폐쇄 조명 위치로 전환하는 단계;
- 200 nm 내지 700 nm, 유리하게는 280 nm 내지 700 nm의 파장을 갖는 광으로 다발을 조명하도록 조명 조립체를 활성화하는 단계로서, 제1 구속 부재 및 제2 구속 부재는 다발을 지지하고 조명 캐비티를 그 전체 길이에 걸쳐 각각 광학적으로 폐쇄하는, 활성화 단계;
- 장치를 폐쇄 조명 위치에 유지시키면서 다발에 대한 장치의 상대적인 이동을 행하는 단계.
이 방법의 변형예에서, 다발은 먼저 미용 조성물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a) 하나 이상의 화학적 산화제.
바람직하게는, 화학적 산화제는 과산화수소 단독 또는 하나 이상의 과산염, 특히 하나 이상의 과황산염과의 조합된 과산화수소이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화학적 산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제를 포함한다. 알칼리성제(들)은 광물성 또는 유기성일 수 있다.
b) 적어도 하나의 광-교차결합가능 화합물 및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광-이합체화가능(photo-dimerizable)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광-교차결합가능 화합물은 중합체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광-교차결합가능 중합체는 소수화 또는 비소수화된 PVA-SBQ이다.
화학적 산화제(들) 및/또는 광-교차결합가능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은 또한 용매, 실리콘화되거나 되지 않을 수 있는 지방체, 실리콘화되거나 되지 않을 수 있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광-교차결합가능 중합체, 및 특히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처리, 고정 또는 증점 중합체, 합성 또는 천연 가용성 착색제, 안료, 이황화 결합을 파괴하는 작용제, 산화제, 및 비듬 방지제, 손실 방지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모발에 적용되는 조성물은 적어도 2개의 조성물의 사용 중의 혼합에 기인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표백의 경우이며, 여기서 모발에 적용되는 미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조성물의 사용 시의 혼합에 기인하며, 그 중 하나는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수소 전구체를 함유하고, 제2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 알칼리성제를 함유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제1 조성물은 수성이고 과산화수소를 함유하며, 제2 조성물은 무수이다.
케라틴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인모 또는 연장물이다.
본 발명은 단지 예로서 제공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되는 다음 설명을 읽으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조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모발의 다발의 조명 동안의 도 1의 장치의 3/4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의 브랜치의 상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브랜치의 관련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장치의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횡단면(VI)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중앙 축면(VII)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장치의 폐쇄 위치에서의 도 6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장치의 변형예의 도 6과 유사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의 다발(12)의 제1 조명 장치(10)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장치(10)는 클램프이다. 장치는 예를 들어 미용 조성물이 도포된 모발의 다발을 처리하기 위해 모발의 다발(12)을 조명하도록 의도된다.
미용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장치(10)에서의 모발의 조명에 의한 처리 동안 교차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교차결합가능 화합물을 함유한다.
변형예에서, 장치(10)는 다발을 광-산화시키고 변색시키기 위해 모발의 다발(12)을 조명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사용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학적 산화제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로 미리 처리된 다발을 조명에 의해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10)는 제1 브랜치(14) 및 제2 브랜치(16)를 포함하고, 브랜치(14, 16)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장치(10) 내로 다발(12)을 도입하기 위한 개방 위치와 도 2에서 볼 수 있는, 조명 캐비티(20)를 형성하는 다발(12)을 구속하기 위한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장치(10)는 제1 브랜치(14)를 제2 브랜치(16)와 관절연결하기 위한 조립체(18) 및 조명 캐비티(20) 내의 다발(12)을 조명하기 위한 조립체(22)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10)는 조명 캐비티(20) 내의 광의 구속 조립체(24), 및 유리하게는 고정 시스템(26)을 포함한다.
제1 브랜치(14)는 종축(A-A')을 따라 연장된다. 이 예에서, 제1 브랜치는 중공 쉘(30), 중공 쉘(30)에 포함되는 지지 프레임(32)(도 4에서 볼 수 있음) 및 윈도우(36)를 한정하는 폐쇄 플레이트(34)를 포함한다.
제1 브랜치(14)는 윈도우(36) 내에 위치결정되는 유리(38) 및 유리(38)의 맞은편에서 중공 셀(30) 내에 위치결정되는 반사기(40)를 더 포함한다.
중공 쉘(30)은 제2 브랜치(16)를 향해 나오는 하우징(41)을 내향으로 한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32)은 중공 쉘(30)의 하우징(41)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42A, 42B)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32)은 개방-가공된다. 지지 프레임은, 측벽(42A, 42B)을 통해, 조립 개구(43A, 43B)를 갖는다. 지지 프레임은, 측벽(42A, 42B) 사이에, 윈도우(36)의 맞은편으로 연장되는 상위 개구(43C)를 형성한다.
폐쇄 플레이트(34)는 제2 브랜치(16)를 향해 중공 쉘(30)을 폐쇄한다.
이 예에서, 유리(38)는 윈도우(36)에서 플레이트(34)와 동일 평면상에 있다. 유리(38)와 플레이트(34)는 함께 조명 캐비티(20)의 제1 측면을 한정하는 다발(12)의 제1 구속면(44)을 형성한다.
제2 브랜치(16)는 종축(B-B')을 따라 연장된다. 이 예에서, 제2 브랜치는 또한 중공 쉘(50), 및 윈도우(56)를 한정하는 폐쇄 플레이트(54)를 포함한다.
제2 브랜치(16)는 또한 윈도우(56)에 위치결정되는 유리(58) 및 유리(58)의 맞은편에서 중공 쉘(50) 내에 위치결정되는 반사기(60)를 포함한다.
중공 쉘(50)은 제1 브랜치(14)를 향해 나오는 하우징(61)을 내향으로 한정한다.
폐쇄 플레이트(54)는 제1 브랜치(14)를 향해 중공 쉘(50)을 폐쇄한다.
이 예에서, 유리(58)는 윈도우(56)에서 플레이트(54)와 동일 평면상에 있다. 유리(58)와 플레이트(54)는 함께 조명 캐비티(20)의 제2 측면을 한정하는 다발(12)의 제2 구속면(64)을 형성한다.
이 예에서, 제1 브랜치(14) 및 제2 브랜치(16)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관절 조립체(18)에 의해 서로에 대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은 각각의 브랜치(14, 16)의 길이방향 축(A-A', B-B')에 수직인 축(C-C')에 대해 행해진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장치(10)의 개방 위치에서, 제1 브랜치(14)는 제2 브랜치(16)로부터 부분적으로 멀어진다. 제1 구속면(44)과 제2 구속면(64) 사이에 형성되는 브랜치(14, 16) 사이의 중간 공간의 체적은 브랜치(14, 16) 사이의 다발(12)의 용이한 도입을 허용하도록 최대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장치(10)의 폐쇄 위치에서, 제1 브랜치(14) 및 제2 브랜치(16)는 그 길이방향 축(A-A' 및 B-B')을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시키기 위해 서로 더 가까워진다.
제1 구속면(44) 및 제2 구속면(64)은 이어서 서로 맞은편에 위치된다. 제1 구속면(44)과 제2 구속면(64) 사이에 형성되는 브랜치(14, 16) 사이의 중간 공간의 체적은 최소이다.
장치(1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조명 캐비티(20)는, 제1 측면 슬릿(70) 및 제2 측면 슬릿(72)에 의해, 브랜치(14, 16) 사이에서 각각의 브랜치(14, 16)의 길이방향 축(A-A', B-B')의 양 측에서 측방향으로 나온다.
조명 캐비티(20)는 또한 축방향 통로(74)에 의해 관절 조립체(18) 반대편의 각 분기(14, 16)의 자유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나온다.
각각의 측면 슬릿(70, 72)의 길이는 각각의 브랜치(14, 16)의 길이보다 작고, 예를 들어 각각의 브랜치(14, 16)의 길이의 10% 내지 60%이다. 각각의 측면 슬릿(70, 72)의 높이는 30 mm보다 작다.
구속 조립체(24)는 폐쇄 위치에서 제1 측면 슬릿(70)을 폐쇄하기 위해 제1 측면 슬릿(70)에 위치결정되는 제1 구속 부재(80), 및 폐쇄 위치에서 제2 측면 슬릿(72)을 폐쇄하기 위해 제2 측면 슬릿(72)에 위치결정되는 제2 구속 부재(82)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1 구속 부재(80) 및 제2 구속 부재(82)는 제1 브랜치(14)에 의해 보유된다. 여기서 제1 구속 부재(80) 및 제2 구속 부재(82)는 제1 브랜치(14) 상의 제1 구속면(44)으로부터 제2 브랜치(76) 상의 제2 구속면(64)을 향해 돌출한다.
각각의 구속 부재(80, 82)는 측면 슬릿(70, 72)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유리하게는 측면 슬릿(70, 72) 길이의 90%보다 큰 길이, 더 양호하게는 95%보다 큰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또한, 각각의 구속 부재(80, 82)는, 제1 구속면(44)으로부터 측정되는, 각각의 측면 슬릿(70, 72)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각각의 구속 부재(80, 82)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제1 브랜치(14) 상의 강모 커튼(84) 및 강모 커튼(84)의 부착 부재(86)를 포함한다.
강모 커튼(84)은 광학적으로 폐쇄되어 있다. 강모 커튼은 브랜치(14)의 길이방향 축(A-A')에 대해 횡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강모의 복수의 인접하는 열을 갖는다. 강모 커튼(84)의 각각의 강모는 다른 강모와 접촉한다.
강모 커튼(84)은 각각의 개별 강모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지며, 유리하게는 각각의 개별 강모의 두께의 적어도 3배보다 큰 두께를 갖는다.
이 예에서, 강모 커튼(84)은 유리하게는 1 mm 내지 15 mm, 더 양호하게는 2 mm 내지 10 mm의 두께를 갖는다.
강모 커튼(84)은 제1 브랜치(14)에 연결되는 에지(88), 및 장치(10)의 폐쇄 위치에서 제2 구속면(64)과 접촉하도록 의도되는 자유 에지(9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부착 부재(86)는 측벽(42A, 42B)과 부착 부재(86) 사이에 강모 커튼(84)을 파지하기 위해서 프레임(32)의 각각의 측벽(42A, 42B) 상에 장착되는 부착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다.
조명 조립체(22)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94) 및 광원(94) 또는 각각의 광원(94)의 동작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96)를 포함한다.
광원(94)은 쉘(30, 50)의 하우징(41, 51)에, 예를 들어 제1 브랜치(14)의 쉘(30)의 하우징(41)에 장착된다.
광원(94)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의 그룹에 의해 형성된다.
광원(94)은 유리(38)를 통해 다발(12)을 조명하기 위해 전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제어기(96)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은 예를 들어 장치(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섹터의 전원에 결합되는 코드이다.
광원(94)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은 바람직하게는 200 nm 내지 700 nm, 더 양호하게는 280 nm 내지 700 nm의 파장 범위에서 생성된다.
유리하게는, 광원(94)은 1 J/cm2 내지 5000 J/cm2의 광 강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발(12)에 대한 광-교차결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광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500 mJ/cm2 내지 10 J/cm2이다.
다발(12)에 대한 표백 동작 동안, 광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 J/cm2 내지 5000 J/cm2, 특히 100 J/cm2 내지 5000 J/cm2이다.
이 예에서, 고정 시스템(26)은, 장치(10)가 그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유휴 전개 위치와 장치(10)가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후퇴 고정 위치 사이에서 제1 브랜치(14)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재(98)를 포함한다.
이동가능 부재(98)는 장치(10)의 폐쇄 부분에서 제1 브랜치(14)와 제2 브랜치(16) 사이의 파지에 의해 후퇴 고정 위치에 유지된다.
제어기(96)는 고정 시스템(26)의 이동가능 부재(98)가 그 후퇴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광원(94)을 조명할 수 있다.
이제 조명 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처음에, 사용자는 장치(10)를 개방 위치에 놓고 조명을 받도록 의도되는 모발의 다발(12)을 파지한다. 다발(12)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화학적 산화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광-교차결합 화합물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로 미리 코팅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구속면(44, 64)의 맞은편에서 제1 브랜치(14)와 제2 브랜치(16) 사이에 다발(12)을 삽입한다.
그 후, 사용자는 제1 브랜치(14)와 제2 브랜치(16)를 서로 더 가깝게 함으로써 장치(10)를 그 폐쇄 위치로 전환한다.
이러한 접근 동안, 제1 구속면(44)은 조명 캐비티(20)를 폐쇄하기 위해 제2 구속면(64)의 맞은편에 배치된다.
각각의 구속 부재(80, 82)의 강모 커튼(8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속면(44)으로부터 제2 구속면(64)을 향하고 다발(12)의 모발을 끼움으로써 측면 슬릿(70, 72)을 폐쇄한다.
특히, 강모 커튼(84)은 변형가능하여, 모발의 다발(12)의 형상에 적응한다. 다발(12)의 모발은 유리하게는 강모 커튼(84)의 강모 의해 또는 다발(12)의 모발에 의해 측면 슬릿(70, 72)의 거의 완전한 구속을 보장하도록 강모 커튼(84)의 강모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조명 캐비티(20)의 측방향 구속은 거의 완전하며, 이는 캐비티(20)에서 생성된 광에 대한 사용자의 노출 위험을 감소시킨다.
고정 시스템의 이동가능 부재(98)는 브랜치(14, 16) 사이에 파지되고 따라서 그 후퇴 위치를 점유한다.
그 후, 사용자는 광원(94)을 활성화한다. 제어기(96)는 다발(12)에 원하는 조명을 적용하도록 광원(94)을 제어한다. 유리하게는, 사용자는 선택된 길이에 걸쳐 다발을 처리하기 위해 장치(10)를 다발(12)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다발(12)을 제거하고 선택적으로 다른 다발(12)을 브랜치(14, 16) 사이에 배치하기 위해 장치(10)를 다시 개방한다.
제1 조명 장치의 변형예(110)(도시되지 않음)에서, 2개의 구속 부재(80, 82)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하게는 200 nm 내지 800 nm의 범위의 UV/가시광선에 불투명한 가요성 재료의 시트에 의해 형성된다.
가요성 재료로서, 알루미늄 같은 금속 시트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가 바람직하다.
제2 조명 장치(110)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제2 장치(110)는 구속 부재(80, 82)의 구조에 의해 제1 장치(10)와 상이하다.
이 예에서, 각각의 구속 부재(80, 82)는 제1 구속면(44)으로부터 제2 구속면(64)을 향해 돌출하는 중실 길이방향 둥근 에지 또는 비드(112)에 의해 형성된다.
둥근 에지 또는 비드(112)는 브랜치(14, 16)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만곡된 외면을 갖는다.
브랜치(14)의 길이방향 축(A-A')에 대해 횡방향으로 간주되는 둥근 에지 또는 비드(112)의 폭은 그 길이의 적어도 2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배 미만이다.
둥근 에지 또는 비드(112)는 유리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플레이트(34)와 함께 본체를 형성한다. 이 예에서, 이는 피라미드형 단면을 갖는다.
또한, 장치(110)는, 각각의 주 구속 부재(80, 82)에 대해, 각각의 구속 부재(80, 82)의 맞은편에서 제2 구속면(64) 상에 존재하는 상보적인 구속 부재(120, 122)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각각의 상보적인 구속 부재(120, 122)는 둥근 에지 또는 비드(112)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고 둥근 에지 또는 비드(112)의 상대-형태를 구성하는 홈(124) 형태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다.
도 8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10)의 폐쇄 위치에서, 둥근 에지 또는 비드(112)는 유리하게는 홈(124)의 바닥과 접촉하지 않고 홈(124) 내로 돌출하는 한편, 둥근 에지 또는 비드(112)의 정점과 홈(124)의 바닥 사이에 위치되는 간극(123)을 한정한다.
유리하게는, 장치(110)는 구속 부재(80, 82)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제1 축방향 구속 부재(130) 및 구속 부재(80, 82)의 대향하는 종방향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축방향 구속 부재(132)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축방향 구속 부재(130, 132)는 또한 제1 구속면(44)에 대해 돌출하는 둥근 에지 또는 비드에 의해 형성된다.
구속 부재(80, 82, 130, 132)는 바람직하게는 제1 플레이트(34) 상의 조명 캐비티(20)의 주변부에서 연속적인 폐쇄 윤곽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축방향 구속 부재(130, 132)는 유리하게는 제2 구속면(64)에 배열된 상보적인 축방향 구속 부재(134, 136) 맞은편에 위치결정된다.
각각의 상보적인 축방향 구속 부재(134, 136)는 또한 홈 형태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다.
상보적인 제1 축방향 구속 부재(134)는 축방향 구속 부재(130, 132)의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 위치결정되고, 상보적인 제2 축방향 구속 부재(132)는 축방향 구속 부재(130, 132)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그 후 홈은 조명 캐비티(20)의 윤곽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조명 캐비티(20)는 측면 슬릿(70, 72)뿐만 아니라 축방향 통로(74)에서도 폐쇄된다.
동작 중에, 다발(12)은 각각의 구속 부재(80, 82)와 이에 대면하는 상보적인 구속 부재(120, 122) 사이의 간극(123)에 삽입된다.
상보적인 구속 부재(120, 122) 내로의 구속 부재(80, 82)의 부분적인 삽입에 비추어, 조명 캐비티(20)는 다발(12)이 구속 부재(80, 82)와 구속 부재(80, 82)를 수용하는 상보적인 구속 부재(120, 122) 사이의 각각의 간극(123)을 통해 순환하도록 허용하면서 폐쇄된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에 예시된 형태/상대-형태 시스템의 사용은, 다발(12)의 순환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최대 보안을 보장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도 9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간극(123)의 높이를 형성하기 위한 릴리프(140)가 제공된다. 릴리프(140)는 예를 들어 장치(10)의 폐쇄 위치에서 그 맞은편의 홈(124)의 바닥과 협력하도록 둥근 에지 또는 비드(122)의 정점으로부터 돌출한다. 이는 둥근 에지 또는 비드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선행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속 부재(80, 82)는 제2 브랜치(16)에 의해 보유되고 제2 구속면(64)으로부터 제1 구속면(44)을 향해 돌출한다.
다른 변형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속 부재(80, 82)는 구속면(44, 64) 자체로부터가 아니라 구속면(44, 64)의 주변부로부터 나온다.

Claims (16)

  1. 케라틴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다발(12)의 조명 장치(10; 110)이며,
    - 제1 구속면(44)을 형성하는 제1 브랜치(14)와;
    - 제1 구속면(44)의 맞은편에 배치되도록 의도되는 제2 구속면을 형성하는 제2 브랜치(16)로서, 제1 브랜치(14) 및 제2 브랜치(16)는 다발의 삽입을 위한 개방 위치와 구속면(44, 64)이 다발의 조명을 위한 캐비티(12)를 형성하는 다발(12)의 조명을 위한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조명 캐비티(20)는 조명 캐비티(20)에 접근하기 위한 제1 측면 슬릿(70)에 의해 조명 캐비티(20)의 제1 측면 에지 상으로 그리고 조명 캐비티(20)에 접근하기 위한 제2 측면 슬릿(72)에 의해 조명 캐비티(20)의 제2 대향 측면 에지 상으로 개방되는, 제2 브랜치와;
    - 200 nm 내지 700 nm, 특히 280 nm 내지 700 nm의 파장을 갖는 광으로 다발(12)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캐비티(20) 내의 다발(12)을 조명하기 위한 조립체(22)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10; 110)에 있어서,
    - 조명 캐비티의 제1 측면 에지 상에 있으며 제1 구속면(44), 제2 구속면(64), 또는 그 주변부로부터 나오는 제1 구속 부재(80)로서, 제1 구속 부재(80)는 실질적으로 제1 측면 슬릿(7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1 측방향 슬릿(70) 내에서 연장되는, 제1 구속 부재(80),
    - 조명 캐비티의 제2 측면 에지 상에 있으며 제1 구속면(44), 제2 구속면(64), 또는 그 주변부로부터 나오는 제2 구속 부재(82)로서, 제2 구속 부재(82)는 실질적으로 제2 측면 슬릿(7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2 측방향 슬릿(72) 내에서 연장되고, 각각의 구속 부재(80, 82)는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조명 캐비티(20)를 광학적으로 폐쇄하는, 제2 구속 부재를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10; 110).
  2. 제1항에 있어서, 구속 부재(80)는 상기 브랜치(14; 16) 중 하나의 측벽으로부터의 구속면(44; 64) 중 하나의 주변부로부터 나오고 및/또는 제2 구속 부재는 브랜치(14, 16) 중 하나의 대향 측벽으로부터의 구속면(44, 64) 중 하나의 주변부로부터 나오는 조명 장치(10; 110).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속 부재(80)는 구속면(44, 64) 중 하나의 제1 측면 에지로부터 나오고 및/또는 제2 구속 부재는 구속면(44, 64) 중 하나의 대향 제2 측면 에지로부터 나오는 조명 장치(10; 1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구속 부재(80) 및 제2 구속 부재(82)는 동일한 브랜치(14, 16)로부터 나오는 조명 장치(10; 1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구속 부재(80) 및/또는 제2 구속 부재(82)는 강모 커튼(84)에 의해 형성되는 조명 장치(10).
  6. 제5항에 있어서, 강모 커튼(84)은 제1 브랜치(14) 또는 제2 브랜치(16)에 연결되는 하나의 에지(88)와 자유 에지(90)를 가지며, 자유 에지(90)는 폐쇄 위치에서 다른 브랜치(16, 14)의 구속면을 지지하는 조명 장치(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폐쇄 위치에서 제1 구속 부재(80)에 대향하여 위치결정되는 제1 추가 구속 부재(120)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110).
  8. 제7항에 있어서, 폐쇄 위치에서 제2 구속 부재(82)에 대향하여 위치결정되는 제2 추가 구속 부재(122)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110).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보적인 구속 부재(120, 122) 또는 각각의 상보적인 구속 부재(120, 122)는 구속 부재(80, 8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조명 장치(110).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보적인 구속 부재(120, 122) 또는 각각의 상보적인 구속 부재(120, 122)는 이에 대면하는 구속 부재(80, 82)의 상대-형태를 형성하는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조명 장치(110).
  11. 제10항에 있어서, 폐쇄 위치에서, 주 구속 부재(80, 82)는 오목부의 바닥과 접촉하지 않고 상보적인 구속 부재(120, 122)를 형성하는 오목부 내에서 연장되고, 간극(123)이 주 구속 부재(80, 82)와 오목부의 바닥 사이에서 오목부에 형성되는 조명 장치(11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구속 부재(80)는 제1 구속면(44) 또는 제2 구속면(64)으로부터 다른 구속면(44, 64)을 향해 나오는 둥근 에지 또는 비드(112)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110).
  13. 제12항에 있어서, 주 구속 부재(80)는 둥근 에지 또는 비드(112)로부터 다른 브랜치(14; 16)를 향해 돌출하는 릴리프(140)를 포함하고, 폐쇄 위치에서 릴리프(140)는 다른 브랜치(14, 16)와 접촉하도록 위치결정되고 둥근 에지 또는 비드(112)를 다른 브랜치(14, 16)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조명 장치(11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한 부재(80, 82) 중 적어도 하나는 UV/가시광선에 불투명한 가요성 재료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조명 장치(10).
  15. 케라틴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다발(12)의 조명 방법이며, 방법은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10; 110)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장치(10; 110)는 다발(12)의 삽입을 위해 개방 위치에 있는, 제공 단계와;
    - 제1 브랜치(14)와 제2 브랜치(16) 사이에 다발(12)을 삽입하는 단계와;
    - 장치(10; 110)를 폐쇄 조명 위치로 전환하는 단계와; 
    - 200 nm 내지 700 nm, 유리하게는 280 nm 내지 700 nm의 파장을 갖는 광으로 다발(12)을 조명하도록 조명 조립체(22)를 활성화하는 단계로서, 제1 구속 부재(80) 및 제2 구속 부재(82)는 다발(12)을 지지하며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조명 캐비티를 광학적으로 폐쇄하는, 활성화 단계와,
    - 장치(10; 110)를 폐쇄 조명 위치에 유지시키면서 다발(12)에 대한 장치(10; 110)의 상대적인 이동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다발(12)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적 산화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광-교차결합가능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로 미리 처리되는 조명 방법.
KR1020217034604A 2019-04-09 2020-04-08 케라틴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가닥을 위한 조명 장치 및 관련 공정 KR102660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03781 2019-04-09
FR1903781A FR3094879B1 (fr) 2019-04-09 2019-04-09 Dispositif d’illumination d’au moins une mèche de fibres kératiniques et procédé associé
PCT/EP2020/060027 WO2020208077A1 (en) 2019-04-09 2020-04-08 Illumination device of at least a strand of keratinic fibers and related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171A true KR20210142171A (ko) 2021-11-24
KR102660584B1 KR102660584B1 (ko) 2024-04-24

Family

ID=6813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604A KR102660584B1 (ko) 2019-04-09 2020-04-08 케라틴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가닥을 위한 조명 장치 및 관련 공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202167A1 (ko)
EP (1) EP3952692A1 (ko)
JP (1) JP7250165B2 (ko)
KR (1) KR102660584B1 (ko)
CN (1) CN113795174B (ko)
BR (1) BR112021020275A2 (ko)
FR (1) FR3094879B1 (ko)
WO (1) WO202020807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73480A1 (en) * 2013-12-19 2015-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liance for Shaping Fibrous Material
JP2018520812A (ja) * 2015-07-29 2018-08-02 ロレアル 取り外し可能な揺動プレス要素を有する、髪を処置するための装置
WO2019048357A1 (en) * 2017-09-10 2019-03-14 Koninklijke Philips N.V. HAIRSTOC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96830A1 (en) 2002-12-13 2004-07-09 L'oreal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keratinous materials, comprising a photodimerizable compound
EP1742013A1 (en) 2005-07-06 2007-01-10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Natu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System for measuring length and/or shape variations of an object
DE102012210272A1 (de) * 2012-06-19 2013-12-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argestaltungsvorrichtung mit Strahlungsquelle
FR3015869B1 (fr) * 2013-12-26 2016-02-05 Oreal Dispositif de traitement de la chevelure et recharge associee
FR3020569B1 (fr) 2014-04-30 2017-09-15 Oreal Procede de decoloration ou de coloration des fibres keratiniques mettant en oeuvre une composition oxydante et un rayonnement uv-visible
FR3046072B1 (fr) 2015-12-23 2018-05-25 L'oreal Procede d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au moyen d'une composition comprenant un polymere photodimerisable modifie
EP3216368A1 (en) * 2016-03-09 2017-09-13 Koninklijke Philips N.V. Hair styl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73480A1 (en) * 2013-12-19 2015-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liance for Shaping Fibrous Material
JP2017500937A (ja) * 2013-12-19 2017-01-1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ファイバー材料の成形装置
JP2018520812A (ja) * 2015-07-29 2018-08-02 ロレアル 取り外し可能な揺動プレス要素を有する、髪を処置するための装置
WO2019048357A1 (en) * 2017-09-10 2019-03-14 Koninklijke Philips N.V. HAIRSTOC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95174A (zh) 2021-12-14
BR112021020275A2 (pt) 2021-12-14
US20220202167A1 (en) 2022-06-30
WO2020208077A9 (en) 2022-05-12
KR102660584B1 (ko) 2024-04-24
FR3094879B1 (fr) 2022-06-24
FR3094879A1 (fr) 2020-10-16
WO2020208077A1 (en) 2020-10-15
CN113795174B (zh) 2023-12-29
EP3952692A1 (en) 2022-02-16
JP7250165B2 (ja) 2023-03-31
JP2022531083A (ja)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19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skin
KR102098357B1 (ko) 헤어 스타일링
KR102001794B1 (ko) 광선 치료기
KR102034145B1 (ko) 엘이디 마스크
US20160271415A1 (en) Teeth whitening apparatus
JP2018108442A (ja) 光線療法装置および方法
ES2042465T3 (es) Producto y procedimiento para la decoloracion del cabello bajo la accion de la luz.
WO2003047454A1 (en) Light-emitting toothbrush and method of whitening teeth
JP2007061641A (ja) 電磁放射線パルスを利用する脱毛の方法と装置
JP2008534148A (ja) 口腔手入及び装置
KR101395791B1 (ko) 광미용장치
US20120283622A1 (en) Dermatological treatment device
BRPI0604986A (pt) utilização de pelo menos um composto, composição, processo de tratamento de fibras queratìnicas, dispositivo com vários compartimentos para a tintura e o clareamento dos cabelos, e, utilização de uma composição
KR101453520B1 (ko) 치아 미백 장치
KR102660584B1 (ko) 케라틴 섬유의 적어도 하나의 가닥을 위한 조명 장치 및 관련 공정
US10405631B2 (en) Light emission system and pseudo natural light emission member
JPH0859445A (ja) 漂白された毛髪に施される化粧処理の効果を高める方法
JPWO2011070795A1 (ja) 全身美容装置および全身美容方法
KR20150037834A (ko) 페이스트-타입의 조성물의 조사 장치
ITFI20010059A1 (it) Manipolo applicatore con lampada di nuova forma
CN116367889A (zh) 发光单元和光照射型美容装置
US20220232942A1 (en) Foil for a strand of keratinic fibers and related kit and illumination process
US20220142760A1 (en) Oral care appliance with light illumination for teeth whitening and gum health
AU20102358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cosmetic treatment of discoloured teeth
ITPA940014A1 (it) Asciugacapelli con lampada a raggi ultravioletti incorpor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