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132A -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132A
KR20210142132A KR1020217032672A KR20217032672A KR20210142132A KR 20210142132 A KR20210142132 A KR 20210142132A KR 1020217032672 A KR1020217032672 A KR 1020217032672A KR 20217032672 A KR20217032672 A KR 20217032672A KR 20210142132 A KR20210142132 A KR 20210142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
information
target address
terminal device
networ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엔시 루
젠샨 자오
후에이-밍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2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적어도 제 1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기반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RAT로 작동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 RRC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제 1 RAT에 기반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모드로 작동하는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RAT로 작동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RRC 정보를 보고하여, 다중 RAT 시나리오에서 D2D 통신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로스 RAT 시나리오에서 D2D 통신을 구현할 수 있어, D2D 통신의 적용 가능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장치대장치 통신은 디바이스투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에 기반한 사이드링크(Sidelink, SL) 전송 기술이다. 예를 들어, 차량 사물 통신(Vehicle to Everything, V2X)이다. 기지국을 통해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존의 셀룰러 시스템과는 달리,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서 디바이스투디바이스의 직접 통신을 채용하기 때문에, 보다 높은 주파수 효율과 보다 낮은 전송 시간 지연을 갖는다.
종래의 기술에서 D2D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에 한정되고, 즉 D2D는 LTE에 기반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만 작동한다. 엔알(New Radio, NR) 등의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ies, RAT)의 도입에 따라, D2D 통신을 어떻게 구현하는지는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다중 RAT 시나리오에서 D2D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 1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기반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모드로 작동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RAT로 작동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 RRC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제 1 RAT에 기반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모드로 작동하는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RAT로 작동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RRC 정보를 보고하여, 다중 RAT 시나리오에서 D2D 통신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로스 RAT 시나리오에서 D2D 통신을 구현할 수 있어, D2D 통신의 적용 가능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킨다.
제 2 양태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무선 액세스 기술(RAT)로 작동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적어도 제 1 RAT에 기반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모드로 작동하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 RRC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 4 양태로서, 상기 제 2 양태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양태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 5 양태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수행하여,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 6 양태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수행하여, 상기 제 2 양태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 7 양태로서, 상술한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구현하는 칩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칩은 칩이 탑재된 디바이스에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호출하고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8 양태로서,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 9 양태로서,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제 10 양태로서, 컴퓨터에서 수행되면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송 모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른 전송 모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디바이스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칩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적 해결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의의 단말 디바이스 대 단말 디바이스의 통신 프레임 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간 통신(Vehicle to Vehicle, V2V), 차량 사물 통신(Vehicle to Everything, V2X), 디바이스투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 등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물리 계층 및 미디어 액세스 제어 계층을 구비하여 구성된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장치일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액세스 단말이라고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포함한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탑재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의 Rel-14에서 정의된 전송 모드 3 및 전송 모드 4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드 3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드 4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전송 모드 3에서, 차량 탑재 단말(차량 탑재 단말(121) 및 차량 탑재 단말(122))의 전송 리소스가 기지국(110)에 의해 할당되고, 차량 탑재 단말은 기지국(110)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에 따라 사이드링크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10)은 단말에 1 회의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고, 단말에 준정적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할당할 수도 있다.
도 2에 나타낸 전송 모드 4에서, 차량 탑재 단말(차량 탑재 단말(131) 및 차량 탑재 단말(132))은 센싱(Sensing)+예약(Reservation)의 전송 방식을 채용하고, 차량 탑재 단말은 사이드링크 리소스에서 전송 리소스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다음, 차량 탑재 단말(131)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차량 탑재 단말(131)은 리소스 풀에서 센싱 방식으로 사용 가능한 전송 리소스 세트를 취득하고, 차량 탑재 단말(131)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해당 세트에서 전송 리소스를 랜덤으로 선택한다.
또한 차량 인터넷 시스템의 서비스가 주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 탑재 단말(131)은 준정적 전송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즉, 차량 탑재 단말(131)은 전송 리소스를 취득한 후, 복수의 전송 주기에서 당해 전송 리소스를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리소스의 재선택과 리소스 충돌의 확률을 감소시킨다.
차량 탑재 단말(131)은 리소스 충돌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 다른 단말(예를 들면 차량 탑재 단말(132))이 당해 사용자의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것으로 당해 사용자가 당해 리소스를 예약하여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이번 전송하는 제어 정보에 다음의 전송 리소스를 예약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 탑재 단말은 데이터 인터렉션의 효율이 높은 자동 운전 등의 시나리오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량 탑재 단말(131)과 상기 차량 탑재 단말(132)은 동일한 RAT에 기반한 D2D 통신 모드로 작동할 수 있고, 상이한 RAT에 기반한 D2D 통신 모드로 작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 탑재 단말(131)은 NR에 기반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차량 탑재 단말(132)은 LTE에 기반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크로스 RAT 시나리오에서 D2D 서비스의 보고를 어떻게 구현하는지는 당해 분야의 기술자가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방법(200)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200)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단말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차량 탑재 단말일 수 있으며, 도 3에 나타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적어도 제 1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기반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2 RAT로 작동하며, 상기 제 1 RAT와 상기 제 2 RAT는 상이한 RAT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RAT는 LTE 액세스 기술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RAT는 NR 액세스 기술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 1 RAT는 NR 액세스 기술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RAT는 LTE 액세스 기술일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통신 방법(200)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단계 S210: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적어도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 모드로 작동하는 것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RAT에 기반하여 다른 단말 디바이스와 D2D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단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PC5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즉,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단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른 단말 디바이스와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단말 디바이스와 D2D 통신을 수행하는 제 2 단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즉,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단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른 단말 디바이스와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RAT가 상기 제 1 단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RAT가 상기 제 2 단말 인터페이스에 대응한다.
상기 제 1 RAT가 NR 무선 액세스 기술이고, 상기 제 2 RAT가 LTE 무선 액세스 기술인 것을 예로 들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NR-V2X일 수 있으며, LTE에 기반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RAT가 NR 무선 액세스 기술이고, 상기 제 1 RAT가 LTE 무선 액세스 기술인 것을 예로 들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LTE-V2X일 수 있으며, NR에 기반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NR-V2X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TE-V2X의 기능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서 작동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RAT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u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즉,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물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즉,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상기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RRC 정보를 보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제 1 RAT에 기반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모드로 작동하는 단말 디바이스는 제 2 RAT로 작동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RRC 정보를 보고하여, 다중 RAT 시나리오에서 D2D 통신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로스 RAT 시나리오에서 D2D 통신을 구현할 수도 있어, D2D 통신의 적용 가능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잘 이해하기 위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하여 다른 단말 디바이스와 D2D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 1 단말 인터페이스라고 지칭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다른 단말 디바이스와 D2D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 2 단말 인터페이스라고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라고 지칭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라고 지칭한다. 이러한 설명 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을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단말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단말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이며, 즉, 물리적으로 동일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즉, 물리적으로 동일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정보를 송신할 때, 상이한 프로토콜 또는 버전 또는 방식 또는 모드(상이한 단말 인터페이스와 유사함)를 사용하여 송신될 정보를 정의한다. 이때, 상기 상이한 프로토콜 또는 버전 또는 방식 또는 모드는 상이한 인터페이스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RAT 및/또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다른 단말 디바이스와 D2D 통신할 수 있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RAT 또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S210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 모드로 더 작동하면, 이때,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동시에 보고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사이드링크 단말 디바이스 정보(SidelinkUEInformation)라고 지칭할 수 있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D2D 통신을 위한 주파수 포인트 및 타겟 주소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주파수 포인트 및 타겟 주소 리스트,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주파수 포인트 및 타겟 주소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타겟 주소 리스트의 포맷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타겟 주소 리스트의 포맷은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S210에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만을 포함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고, 즉,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D2D 통신을 위한 주파수 포인트 및 타겟 주소 리스트만을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2 RAT에 따른 D2D 서비스 정보만을 포함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2 비트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00인 경우,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만을 포함하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01인 경우,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만을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11인 경우,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상기 RRC 정보에 포함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다른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RRC 정보에 포함된 정보는 상이한 RAT에 기반한 D2D 서비스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RAT에 기반하여 보고된 RRC 정보를 정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RRC 정보가 어떤 RAT에 기반하여 정의되는 정보인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RRC 정보를 보고하는 구현 방식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RRC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즉,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로 작동하기 때문에, 다른 지시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상기 RRC 정보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정의되는 정보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RRC 정보를 보고할 수 있고, 즉,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로 작동하기 때문에, 다른 지시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따라 정의되는 정보인지를 모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RAT와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RRC 정보를 보고할 수 있고, 즉,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1 정보 및/또는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2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로 작동하기 때문에, 다른 지시가 없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모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한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만을 포함한 경우,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한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를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보고된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또는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에 포함될 수 있고, 다른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통해, RAT 크로싱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RRC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를 송신하고,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 및 타겟 주소 인덱스를 포함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RAT의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 및 타겟 주소 인덱스에 기반하여 상기 BSR을 생성한 후,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된 BSR에 포함된 타겟 주소 인덱스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RRC 정보에는 타겟 주소 리스트가 포함된다. 상기 타겟 주소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와 적어도 하나의 타겟 주소의 대응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수신한 후,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에 따라 상기 타겟 주소 리스트에서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를 결정한다.
상기 단계 S220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 모드로 더 작동할 때, 상기 BSR은 또한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보고한다. 또한, 상기 BSR은 또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타겟 주소 인덱스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타겟 주소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하여 D2D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D2D 통신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를 결정할 때, 상기 제 1 RAT의 D2D 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 2 RAT의 D2D 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를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는 BSR은, 한 가지 RAT에 대한 한 가지 유형의 타겟 주소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고, 두 가지 RAT에 대한 두 가지 유형의 타겟 주소 인덱스를 포함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BSR은 두 가지 유형의 타겟 주소 인덱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두 가지 유형의 타겟 주소 인덱스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의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의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 가지 유형의 타겟 주소 인덱스의 포맷은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상과 같이,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타겟 주소 리스트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타겟 주소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타겟 주소 리스트의 포맷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타겟 주소 리스트의 포맷은 상이하고,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수신한 후, 상기 제 1 RAT의 D2D 통신의 타겟 주소 리스트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RAT의 D2D 통신의 타겟 주소 리스트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를 결정하는 방법을 명확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가 1 개의 RAT에만 대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보고한 타겟 주소 인덱스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리스트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타겟 주소 리스트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타겟 주소 리스트 중 어느 것인지를 명확히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가 2 개의 RAT에 대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보고한 각 타겟 주소 인덱스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리스트를 명확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이한 RAT가 상이한 RRC 시그널링의 포맷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단계 S210의 RRC 정보의 포맷으로 상기 BSR을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S220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은 상기 RRC 정보의 타겟 주소 리스트의 포맷, 예를 들어, 타겟 주소 리스트에서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의 포맷 및/또는 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한다.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은 RRC 정보의 타겟 주소 리스트에서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의 포맷을 가리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이 4 비트 포맷이고,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이 8 비트 포맷이다. 즉,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타겟 주소 인덱스를 보고할 때,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의 포맷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보고한 타겟 주소 인덱스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리스트를 지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가 2 개의 RAT에 대한 것이고 동일한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보고한 타겟 주소 인덱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타겟 주소 리스트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타겟 주소 리스트에 각각 대응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고, 상이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은 상이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를 사용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를 사용한다.
단계 S210과 마찬가지로, 단계 S220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RAT 및/또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보고한 BSR을 수신한 후,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인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인지를 정확하게 구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보고할 수 있다. 즉, 상기 BSR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로 작동하기 때문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다른 지시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보고한 상기 BSR를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보고할 수 있고, 즉,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로 작동하기 때문에, 다른 지시가없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보고한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인지를 모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RAT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보고할 수 있고, 즉,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3 정보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4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3 정보는 또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타겟 주소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타겟 주소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로 작동하기 때문에, 다른 지시가 없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모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는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만을 포함한 경우,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하는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정보를 포함한 경우,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3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식별자(logic channel identifier, LCID)를 통해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비트로 지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4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 4 지시 정보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의 서비스 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4 지시 정보는 LCID를 통해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의 서비스 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체적인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의 간단한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구체적인 기술적 특징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가능한 다양한 조합을 개별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을 위반하지 않는 한, 임의의 조합될 수 있으며, 이들도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재적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제한을 주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는 도 3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되었고,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는 도 4 내지 7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300)의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적어도 제 1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기반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300)는 송신 유닛(310)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 유닛(310)은 제 2 RAT로 작동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 RRC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 모드로 더 작동하고, 상기 RRC 정보는 또한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제 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2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31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된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된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31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버퍼 상태 보고(BSR)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 및 타겟 주소 인덱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상이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를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를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SR은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3 정보 및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4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31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3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를 통해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310)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4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4 지시 정보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의 서비스 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를 통해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의 서비스 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3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의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 및/또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의 타겟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D2D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 및 타겟 주소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주소 리스트는 타겟 주소 인덱스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장치의 실시예와 방법의 실시예는 서로 대응될 수 있고, 유사한 설명은 방법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단말 디바이스(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행하는 방법(200)에 대응하는 주체에 대응할 수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300)에서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작동 및/또는 기능은 도 3의 각 방법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각각 실시하기 위한 것이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블록도이다.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2 무선 액세스 기술(RAT)로 작동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수신 유닛(410)을 포함하고,
수신 유닛(410)은 제 1 RAT에 기반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모드로 작동하는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 RRC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 모드로 더 작동하고, 상기 RRC 정보는 또한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제 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2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410)은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410)은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버퍼 상태 보고(BSR)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 및 타겟 주소 인덱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상이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를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를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SR은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3 정보 및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4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410)은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3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를 통해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410)은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4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4 지시 정보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의 서비스 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를 통해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의 서비스 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BSR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BSR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4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BSR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의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 및/또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의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D2D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 및 타겟 주소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주소 리스트는 타겟 주소 인덱스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장치의 실시예와 방법의 실시예는 서로 대응되고, 유사한 설명은 방법의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200)을 수행하는 각각의 주체에 대응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의 각 유닛의 상기 및 다른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3에서 각 방법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을 위해,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는 기능 모듈의 관점에서 도 4와 5에 관련하여 기술되었다. 해당 기능 모듈은 하드웨어 형태로 실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의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및/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기술 분야에서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당해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읽고, 그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4에 나타낸 송신 유닛(310)과 도 5에 나타낸 수신 유닛(410)은 송수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디바이스(50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에 나타낸 통신 디바이스(500)는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수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세서(51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500)는 메모리(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당해 메모리(520)는 지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510)에 의해 수행되는 코드, 명령어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수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10)와 독립적인 별도의 부품일 수 있고, 프로세서(5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500)는 프로세서(510)에 의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송수신기(5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디바이스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530)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5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당해 통신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고, 당해 통신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현할 수 있으며,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300)에 대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200)을 수행하는 대응하는 주체에 대응될 수 있지만, 간결을 위해,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통신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디바이스(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400)에 대응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200)을 수행하는 대응하는 주체에 대응될 수 있지만, 간결을 위해,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500)의 각 구성 요소는 데이터 버스 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한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칩이 제공되고, 상기 칩은 집적 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가지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실현하거나 또는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당해 칩은 다양한 통신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칩을 탑재한 당해 통신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다양한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칩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나타낸 칩(600)은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수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세서(61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칩(600)은 메모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수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지시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610)에 의해 수행되는 코드 명령어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와 독립적인 별도의 부품일 수 있고, 프로세서(6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칩(600)은 입력 인터페이스(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당해 입력 인터페이스(630)를 제어하여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칩(600)은 출력 인터페이스(6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그 설명이 생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칩은 시스템 온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레벨 칩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칩(600)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데이터 버스 이외에 전력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한 버스 시스템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또는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직접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기술 분야에서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읽고, 그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로서, RAM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강화형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Direct Rambus RAM, DR RAM)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과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도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때, 당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방법(200)에 의해 도시된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시킬 수 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시키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이동 단말/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시키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시키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이동 단말/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시키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수행되면, 컴퓨터에 방법(200)에 의해 도시된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수행되면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될 있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시킬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단말 디바이스(300) 및 도 5에 나타낸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300)는 상기 방법(200)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400)는 상기 방법(200)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 등의 용어는 "네트워크 관리 아키텍처"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일", "상기", "상술", "당해"는 문맥이 명확하게 다른 의미를 설명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책의 구체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해 확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저장 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가 포함된 해당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와 간결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 그 설명이 생략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서 공개되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장치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유닛 또는 모듈 또는 구성 요소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 기능의 분할에 불과하며, 실제 구현에서 다른 분할이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 또는 구성 요소가 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고, 또는 일부 유닛 또는 모듈 또는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분리/표시 수단으로 설명한 유닛/모듈/구성 요소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고, 분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고, 한 곳에 위치할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필요에 따라 그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모듈/구성 요소를 선택하여 달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에 나열된 또는 논의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의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해 간접적 결합 또는 통신 연결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118)

  1. 적어도 제 1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ies,RAT)에 기반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evice to Device,D2D) 통신 모드로 작동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정보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제 2 RAT로 작동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 모드로 더 작동하고,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제 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BSR)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 및 타겟 주소 인덱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상이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6.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7.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3 정보 및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4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식별자(logic channel identifier,LCID)를 통해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1. 제 16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4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지시 정보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의 서비스 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를 통해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의 서비스 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3. 제 1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버퍼 상태 보고(BSR)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6. 제 10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의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의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D2D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 및 타겟 주소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주소 리스트는 타겟 주소 인덱스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신 방법.
  28. 제 2 무선 액세스 기술(RAT)로 작동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정보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적어도 제 1 RAT에 기반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모드로 작동하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 RRC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 모드로 더 작동하고,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제 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1. 제 2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2. 제 2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3. 제 28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5. 제 32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7. 제 28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버퍼 상태 보고(BSR)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 및 타겟 주소 인덱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39. 제 37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상이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0. 제 37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1. 제 37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2. 제 37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3. 제 37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4. 제 37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3 정보 및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4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6. 제 43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를 통해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8. 제 43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4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지시 정보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의 서비스 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를 통해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의 서비스 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50. 제 37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버퍼 상태 보고(BSR)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BSR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BSR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BSR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52. 제 50 항 또는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BSR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BSR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53. 제 37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의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의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54. 제 28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D2D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 및 타겟 주소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주소 리스트는 타겟 주소 인덱스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수신 방법.
  55. 적어도 제 1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기반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모드로 작동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2 RAT로 작동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 RRC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 모드로 더 작동하고,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제 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58. 제 55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59. 제 55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60. 제 55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62. 제 59 항 내지 제 6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64. 제 55 항 내지 제 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버퍼 상태 보고(BSR)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 및 타겟 주소 인덱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65. 제 64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66. 제 64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상이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67. 제 64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68. 제 64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69. 제 64 항 내지 제 6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70. 제 64 항 내지 제 6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71. 제 64 항 내지 제 6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3 정보 및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4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73. 제 70 항 내지 제 7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3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를 통해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75. 제 70 항 내지 제 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4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4 지시 정보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의 서비스 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76.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를 통해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의 서비스 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77. 제 64 항 내지 제 7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78.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79. 제 77 항 또는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BSR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80. 제 64 항 내지 제 7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의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의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81. 제 55 항 내지 제 8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D2D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 및 타겟 주소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주소 리스트는 타겟 주소 인덱스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82. 제 2 무선 액세스 기술(RAT)로 작동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RAT에 기반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통신 모드로 작동하는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 RRC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3. 제 82 항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 모드로 더 작동하고,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4. 제 83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제 1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5. 제 82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6. 제 82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7. 제 82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1 정보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2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8.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7에 기재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89. 제 86 항 내지 제 8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지시 정보는 상기 RRC 정보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0. 제 89 항에 있어서,
    상기 RRC 정보는 상기 제 2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1. 제 82 항 내지 제 9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버퍼 상태 보고(BSR)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 및 타겟 주소 인덱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2. 제 91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3. 제 91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과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상이한 타겟 주소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4. 제 91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5. 제 91 항에 있어서,
    동일한 타겟 주소에 대해, 상이한 주파수에서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이 동일한 타겟 주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6. 제 91 항 내지 제 9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7. 제 91 항 내지 제 9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8. 제 91 항 내지 제 9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은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3 정보 및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제 4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99. 제 9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D2D 통신의 서비스 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0. 제 97 항 내지 제 9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3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1. 제 10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를 통해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및 상기 제 2 RAT에 의해 정의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2. 제 97 항 내지 제 10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4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4 지시 정보는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의 서비스 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3.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지시 정보는 논리 채널 식별자(LCID)를 통해 상기 BSR이 상기 제 1 RAT의 서비스 량 정보 및 상기 제 2 RAT의 서비스 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4. 제 91 항 내지 제 10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BSR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5.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BSR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6. 제 104 항 또는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타겟 주소 인덱스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BSR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7. 제 91 항 내지 제 10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주소 인덱스는 상기 제 1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의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 및 상기 제 2 RAT에 기반한 RRC 시그널링의 타겟 주소에 대응하는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8. 제 91 항 내지 제 10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D2D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포인트 정보 및 타겟 주소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주소 리스트는 타겟 주소 인덱스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09.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송수신기에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디바이스.
  110. 프로세서, 메모리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송수신기에 제 28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111. 출력 인터페이스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에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112. 출력 인터페이스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에 제 28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113.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14.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 28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15.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16.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제 28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17.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18. 제 28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32672A 2019-03-28 2019-03-28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101421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80192 WO2020191742A1 (zh) 2019-03-28 2019-03-28 发送信息的方法、接收信息的方法和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132A true KR20210142132A (ko) 2021-11-24

Family

ID=7260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672A KR20210142132A (ko) 2019-03-28 2019-03-28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15180A1 (ko)
EP (1) EP3934376B1 (ko)
JP (1) JP7315697B2 (ko)
KR (1) KR20210142132A (ko)
CN (1) CN112771993A (ko)
WO (1) WO2020191742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48647A1 (en) * 2014-05-06 2017-0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vice-to-device (d2d) operation execut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the method
US10834642B2 (en) * 2017-02-10 2020-11-10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resource sharing
KR102291794B1 (ko) * 2017-02-20 2021-08-23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사이드링크 송신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166312B2 (en) * 2017-05-10 2021-11-02 Qualcomm Incorporated Cellular vehicle-to-everything design principles
KR102452769B1 (ko) * 2017-08-10 2022-10-12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자원 구성 동기화
US11096161B2 (en) * 2018-03-01 2021-08-17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scheduling of sidelink interface
CN111148064B (zh) * 2018-11-06 2023-04-18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用于改进无线通信中的一对一侧链路通信的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1742A1 (zh) 2020-10-01
CN112771993A (zh) 2021-05-07
EP3934376A4 (en) 2022-04-06
EP3934376B1 (en) 2024-05-01
JP7315697B2 (ja) 2023-07-26
US20220015180A1 (en) 2022-01-13
JP2022532019A (ja) 2022-07-13
EP3934376A1 (en)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1461A (ko) D2d 통신에서의 리소스 구성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N107820727B (zh) 资源调度的方法和装置以及基站
EP4017190B1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access network device
CN110651514B (zh) 数据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22015969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1526539A (zh) 资源上报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1109353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2018300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20210015964A (ko) 사이드링크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CN111096019A (zh) 用于资源分配的方法、网络设备和通信设备
US107432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CN112703776A (zh) 无线通信方法和设备
KR20210142132A (ko)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디바이스
CN109792455B (zh) 用于传输数据的方法和设备
CN110731116B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20210062047A (ko) 피드백 정보의 전송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EP400293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491151B (zh) 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CN109548166B (zh) 无线通信的方法和终端设备
KR20200037771A (ko)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CN113852927B (zh) 一种终端的连接方法和终端
CN113574953B (zh) 无线通信方法和终端设备
EP370649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EP384049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299753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终端、网络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