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019A - 관절보호대 - Google Patents

관절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019A
KR20210142019A KR1020200057496A KR20200057496A KR20210142019A KR 20210142019 A KR20210142019 A KR 20210142019A KR 1020200057496 A KR1020200057496 A KR 1020200057496A KR 20200057496 A KR20200057496 A KR 20200057496A KR 20210142019 A KR20210142019 A KR 20210142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protector
joint
finger
joint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구
Original Assignee
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구 filed Critical 정진구
Priority to KR102020005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2019A/ko
Publication of KR20210142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 A61F2005/0186Thumb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의 부상예방 및 치료 등을 위한 관절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 팔 및 다리 등에 용이하고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관절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관절보호대에 있어서, 원뿔형의 본체(100)와, 상기 원뿔형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측면개구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절보호대{A joint protector}
본 발명은 관절의 부상예방 및 치료 등을 위한 관절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 팔, 다리 등에 용이하고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관절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골절, 삠 등의 관절의 부상시 손가락을 움직이지 아니하게 하는 조치는 중요하다. 그러나 깁스와 같은 조치는 사용자에게 매우 큰 행동의 제약을 주게 되며 부담스럽고 착탈이 용이하지 아니하다. 이하 관련된 선행문헌들을 소개한다. 하기 선행문헌에서의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5324호 '접철 지지대가 형성된 관절보호대'는 보호대에 인체관절의 굴신에 따라 접히거나 펴지는 지지대를 형성하여 관절을 보호 및 지지하면서 관절의 굴신이 편안하고 정확한 관절운동을 유도할 수 있는 접철 지지대가 형성된 관절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인체의 관절부위에착용되는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1)의 좌우측 상하로 각기 형성된 홀더(2)와, 크랭크 형태로 되고 일측 모서리에 부채꼴(3)이 형성된 2개의 스포터(4)와 이 2개의 스포터(4)를 연결하도록 이 스포터(4)의 앞·뒤에 설치되는 2개의 조인터(5)가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패킹(8)을 대고 리벳이음(6)된 지지대(7)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7)가 상기홀더(2)에 끼워져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지지대가 형성된 관절보호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538호 '손가락 보호대'는 칼질 시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손가락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금속블럭; 상기 금속블럭을 연결하는 고정장치; 상기 고정장치에 의해 다수의 금속블록이 연결되어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쪽에 손가락 삽입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 배치된 금속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측부를 조이는 조임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다수의 쇠구슬을 용접이 아닌 고정장치인 스프링과 초탄성 철심을 이용하여 결합한 관통형의 손가락 보호대로써 본체부를 구성하는 쇠구슬의 강도가 칼날의 강도보다 강하여 칼날의 마찰로부터 손가락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고정장치의 스프링과 초탄성 철심이 용이한 변형력과 복원력이 뛰어나손가락의 운동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손가락 보호대를 제공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9827호 '손가락 보호대' 는 손가락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에 못을 박음질하거나 목재 또는 금속으로 각종의 생활용품을 만드는 작업을 할 때 부주의나 실수로 인하여 망치와 같은 공구로부터 손가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손가락 보호대는 앞판(1)과 등판(2)으로 구성하되,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하여 손가락 끼움구멍(3)을 제외하고 그 외부분은 일체가 되도록 서로 접착 또는 봉재로 연결하였으며, 상기 앞판(1)은 천 또는 얇은 가죽과 같은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고, 등판(2)은 고강도의 합성수지, 우레탄 또는 고강도의 금속으로 형성하고 지름방향으로 보강부(4)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손가락 보호대는 앞판이 연질의 소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촉감이나 움직임이 원활하여 물체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고 특히, 망치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중에 부주의 또는 실수로 손가락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고강도의 소재로 된 등판이 손가락을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문헌들은 여전히 착용이 불편하며 팔, 손가락 등으로 범용성있는 착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5324호 '접철 지지대가 형성된 관절보호대' 공고일자 2001년09월29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538호 '손가락 보호대' 공고일자 2015년03월10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9827호 '손가락 보호대' 공고일자 2003년04월11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가락이나 팔의 관절 및 뼈를 보호하는 구조체를 제공하면서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손가락의 크기 또는 다양한 팔의 크기에도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손가락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관절보호대에 있어서, 원뿔형의 본체(100)와, 상기 원뿔형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측면개구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의 경우 엄지부터 약지까지 모든 손가락에 착용할 수 있으며, 팔이나 다리의 경우 사용자 체형에 따른 두께와 길이에 관계없이 착용할 수 있는 관절보호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이나 합성수지 등을 재질로 하여 착용이 용이하고 손가락에 상처를 주지 아니하면서도 원뿔형의 구조로 충분한 강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높은 구속력을 제공하여 용이하게 이탈하지 아니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관절보호대의 손가락 관절에 대한 제1실시예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관절보호대의 팔관절에 대한 제2실시예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관절보호대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a) 및 평면도(b)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관절보호대의 내부에 형성된 통풍홈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5은 본 발명의 관절보호대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관절보호대의 제3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7는 본 발명의 관절보호대의 제4실시예의 길이를 절단하는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관절보호대의 손가락 관절에 대한 제1실시예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관절보호대의 팔관절에 대한 제2실시예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절보호대에 있어서, 원뿔형의 본체(100)와, 상기 원뿔형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측면개구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를 제공한다.
상기 원뿔형 본체(100)는 실리콘, 합성수지 또는 직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은 바인더로서 풀 또는 합성수지가 함침되어 소정의 구조적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등의 탄성을 가짐으로써 손가락 내지 팔, 다리의 두께에 따라 벌려져 손가락 두께에 맞춰지게 된다. 상기 본체(100)에 적용되는 재질의 두께는 손가락보호대의 경우 1~5mm, 팔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1~10mm, 다리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2~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뿔형 본체(100)는 원뿔형상으로 전단 및 후단은 잘려서 개방되는 형상을 갖는다. 원뿔형상의 빗면의 기울기는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또는 기울기에 변화가 있어 반타원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관절보호대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a) 및 평면도(b)이다. 상기 측면개구부(200)는 상기 원뿔형 본체(100)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별도의 폭을 가질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원뿔형 본체(100)의 측면을 절개함으로써 족하다. 따라서 상기 원뿔형 본체(100)의 지름은 일반 사용자의 약지의 직경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원뿔형 본체(100)의 늘어나거나 벌어지지 아니한 상태에서의 가장 두꺼운 곳의 지름은 손가락에 적용하는 경우 1.2~1.8cm, 팔에 적용하는 경우 10~20cm, 다리에 적용하는 경우 15~2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원발명의 손가락보호구를 약지에 착용하면 상기 측면개구부(200)가 벌어지지 아니하며, 중지, 엄지 등의 다른 손가락에 차면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벌어지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관절보호대의 내부에 형성된 통풍홈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상기 본체(100)가 사용자의 관절을 감싸게 되는 경우, 통풍이 되지 않아 땀이차고 습해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 본원발명은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통풍홈(120)을 제공한다.
도5은 본 발명의 손가락보호대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6는 본 발명의 손가락보호대의 제3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 측면개구부(200)의 양측 모서리(210, 220)에 돌기(230)와 상기 돌기(230)에 대응되는 홈(2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를 제공한다.
상기 돌기(230)가 대응되는 홈(240)에 맞물리면서 보다 강력한 구속력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측면개구부(200)의 형성으로 인한 강성저하의 단점이 극복될 수 있다.
또한, 도5 및 도6의 제3실시예에서는 몸체(100)의 손바닥 방향 말단에 연장부(110)가 형성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7은 본 발명의 관절보호대의 제2실시예의 길이를 절단하는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몸체(100)는 실리콘, 합성수지 또는 바인더가 함침된 직물이므로 가위 등으로 절단이 가능하다. 즉, 도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나 약지와 같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손가락 또는 팔 다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사용자에게 적용할 경우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100. 본체
110. 연장부
120. 통풍홈
200. 측면개구부
210, 220. 모서리
230. 돌기
240. 홈

Claims (2)

  1. 관절보호대에 있어서,
    원뿔형의 본체(100)와, 상기 원뿔형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측면개구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개구부(200)의 양측 모서리(210, 220)에 돌기(230)와 상기 돌기(230)에 대응되는 홈(240)이 형성되며,
    상기 원뿔형의 본체(100) 내부에 통풍홈(1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보호대.

KR1020200057496A 2020-05-14 2020-05-14 관절보호대 KR20210142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496A KR20210142019A (ko) 2020-05-14 2020-05-14 관절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496A KR20210142019A (ko) 2020-05-14 2020-05-14 관절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019A true KR20210142019A (ko) 2021-11-24

Family

ID=7874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496A KR20210142019A (ko) 2020-05-14 2020-05-14 관절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20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827B1 (ko) * 2022-02-07 2022-08-11 문지영 손가락 관절 부상 예방용 보호구
KR102473190B1 (ko) 2022-04-13 2022-12-01 주식회사 아우름헬스케어 스포츠 활동의 부상 방지용 관절 보호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324Y1 (ko) 1998-06-23 2001-09-29 오근용 접철 지지대가 형성된 관절보호대
KR200309827Y1 (ko) 2003-01-09 2003-04-11 (주)강산이앤씨 손가락 보호대
KR200476538Y1 (ko) 2014-12-26 2015-03-10 이종영 손가락 보호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324Y1 (ko) 1998-06-23 2001-09-29 오근용 접철 지지대가 형성된 관절보호대
KR200309827Y1 (ko) 2003-01-09 2003-04-11 (주)강산이앤씨 손가락 보호대
KR200476538Y1 (ko) 2014-12-26 2015-03-10 이종영 손가락 보호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827B1 (ko) * 2022-02-07 2022-08-11 문지영 손가락 관절 부상 예방용 보호구
KR102473190B1 (ko) 2022-04-13 2022-12-01 주식회사 아우름헬스케어 스포츠 활동의 부상 방지용 관절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8199C (en) Glove for prophylaxis of carpal tunnel syndrome
US5214799A (en) Protective glove for the prevention of carpal tunnel syndrome
US3346877A (en) Knee pad serving as a cushioning and protective device
KR20210142019A (ko) 관절보호대
US8100847B2 (en) Protective skin cover
US7114188B1 (en) Stabilized knee pad
KR102283616B1 (ko) 끈 조절 구조가 개선된 입체형 접이식 마스크
US5933863A (en) Protector bandage
US5765228A (en) Continuous passive motion therapy mitt
US6517507B1 (en) Wrist guard for alleviating repetitive strain disorder by computer operators
KR200379193Y1 (ko) 충격흡수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진 작업용 장갑
JPH11206896A (ja) 着装帯付顔面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2067791A (en) Hand protector
US5048186A (en) Shear guard
KR20080102819A (ko) 보호 막대가 수용된 손목 보호대
KR102363629B1 (ko) 관절 보호대
KR200465342Y1 (ko) 무릎보호대
US6317890B1 (en) Protective garment overlay apparatus
US5050245A (en) Cephalic tool for construction of a ceiling
KR101757456B1 (ko) 의료용 스플린트 보호대
JP4778977B2 (ja) プロテクター
KR101886565B1 (ko) 자동감김 기능을 갖는 리프팅 스트랩
KR200479899Y1 (ko) 쿠션부재를 구비한 허리보호대
US20180116892A1 (en) Dental Chair Cover Kit
US20210106079A1 (en) Knee Pa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