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981A -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981A
KR20210141981A KR1020217032700A KR20217032700A KR20210141981A KR 20210141981 A KR20210141981 A KR 20210141981A KR 1020217032700 A KR1020217032700 A KR 1020217032700A KR 20217032700 A KR20217032700 A KR 20217032700A KR 20210141981 A KR20210141981 A KR 20210141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ell
well plate
plat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심스
피터 프라이스
가보 네이기
Original Assignee
아브진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브진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브진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1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52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with provision for submitting samples to a predetermined sequence of different temperatures, e.g. for treating nucleic acid sam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 B01L3/5085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using modular assemblies of strips or of individual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6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2Well or multiwell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5Protection against injuring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9Multi-well plates; Microtitrat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제1 재료로 제조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다중-웰 플레이트를 기술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부 표면에 칼럼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홀의 어레이를 갖는 평면 상부 표면 및 복수의 홀의 칼럼 패턴과 교대의 선형 칼럼 패턴으로 배열된 분할된 파단 특징부의 어레이를 추가로 포함하고, 복수의 홀 내에 위치된 제2 재료로 제조된 복수의 튜브/웰을 포함하며, 다중-웰 플레이트는 분할된 파단 특징부를 따라 다중-웰/튜브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열로 수동으로 분할 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를 수동으로 분할하면, 매끄러운 에지를 갖는 다중-웰 스트립 또는 세그먼트를 생성하여, 부상 및 장갑 찢어짐 발생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
본 개시내용은, 크게는, 스트립으로 수동으로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지만 배타적이지 않다. 본 개시내용의 수동으로 분할된 튜브 스트립은 사용자의 부상 또는 장갑 찢어짐을 방지하는 매끄러운 에지를 갖는다.
생물학적 및 화학적 방법을 위한 시약은 종종 96-웰 플레이트와 같은 다중-웰 플레이트에 미리 분취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종종 이러한 시약은 동결건조 및/또는 냉동 제형으로 공급된다. 일반적인 다중-웰 플레이트 구성에서, 냉동 시약의 경우, 사용자는 전체 다중-웰 플레이트를 해동하고 모든 시약을 한 번에 사용하거나 플레이트의 사용하지 않은 섹션을 폐기해야 한다. 시약은 대안으로 튜브 스트립(예를 들어, 8-튜브 스트립)으로 미리 분취하여 공급할 수 있지만, 스트립 튜브는 자동 충전 장비에 수동으로 장착하고 캡 스트립으로 수동으로 밀봉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 반면에, 다중-웰 플레이트는 자동 시약 분배 및 밀봉을 위해 표준화되었다.
기존의 일부 다중-웰 플레이트는 튜브 스트립 또는 분할된 플레이트로 분할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와 유사한 연질 재료로 제조되어,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과 같은 온도 변화가 필요한 반응에는 적합하지만 자동화 시스템 및 제조 공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튜브 스트립 또는 분할된 플레이트는, 재료의 특성으로 인해, 제조 환경에서 인간이나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취급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의 연성은 자동 핸들러와 로봇 장치로 플레이트를 잡기 어렵게 만든다. 자동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그리퍼는,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가요성을 지니며 반-강성인 특성으로 인해, 플레이트를 휘거나 변형시키거나 찌그러뜨릴 수 있다.
일부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분할 가능한 플레이트는, 섹션으로 분할되기 위해 가위, 절단기 또는 기타 절단 공구가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일부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는 분할된 플레이트로만 분할 가능한데, 즉 24-웰 또는 32-웰 세그먼트로 분할 가능하며 단일의 8-튜브 스트립으로는 분할되지 않는다. 이것은 다시 사용하지 않은 시약의 낭비를 야기한다.
자동 취급에 적합한 연질 재료로 제조된 웰 및 강성 재료로 제조된 프레임을 갖는 일부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가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이러한 다중-웰 플레이트는 다중-웰 플레이트를 튜브 스트립으로 절단하기 위해 가위나 커터와 같은 공구가 필요하다. 그 밖의 다른 경우에, 그러한 다중-웰 플레이트는 수동으로 분할될 수 있지만 오직 세그먼트(예를 들어, 32 웰 블록)로만 분할 가능하며 단일 스트립(예를 들어, 튜브 스트립)으로 분할될 수 없다. 또 다른 경우에서, 단일의 스트립으로 분할될 수 있는 기존의 수동으로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에서, 분할 공정은 장갑 찢어짐 또는 사용자 부상을 유발하는 날카로운 에지를 남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는 단일 튜브 스트립 형태로, 임의의 절단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한 양태는 제조 환경에서 인간 또는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시약 분배와 호환가능한 웰 또는 튜브의 스트립으로 수동으로 분할될 수 있는 다중-웰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한 양태는, 튜브 스트립 또는 웰 스트립(예를 들어, 8-웰 또는 8-튜브 스트립을 포함하지만 이들에만 제한되지는 않는)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튜브 스트립(16개, 24개, 32개, 40개 등의 튜브가 있는 세그먼트와 같은 8-튜브 또는 8-웰 스트립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세그먼트로 수동으로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출원에서는 웰 또는 튜브라는 용어가 대안으로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제1 재료로 제조된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는 다중-웰 플레이트를 제공하며, 프레임은 상부 표면에 칼럼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홀의 어레이를 갖는(복수의 홀의 칼럼 패턴을 형성하는) 평면 상부 표면을 가지며, 프레임은 복수의 홀의 칼럼 패턴과 교대의 칼럼 패턴으로 배열된 파단 특징부의 어레이(파단 특징부의 칼럼 패턴을 형성하는)를 추가로 포함하고, 프레임의 상부 표면 상에서 복수의 폴 내에 위치된 복수의 튜브 또는 웰을 포함하며, 튜브 또는 웰은 제2 재료로 제조되고, 다중-웰 플레이트는 파단 특징부의 중심 섹션을 따라 다중-웰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열로 수동으로 분할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파단 특징부는 분할된 파단 특징부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분할된 파단 특징부의 중심을 따라 다중-웰 스트립의 복수의 단일 열로 수동으로 분할 가능하다. 다중 웰-스트립은 또한 다중 웰-스트립의 적어도 2개의 열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로 분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분할된 파단 특징부는 프레임 부분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프레임의 바닥 표면을 통해 연장되는 꽃잎 형태의 절단부의 어레이 및, 프레임의 바닥 표면 상의 일련의 언더컷을 포함하며, 언더컷들은 꽃잎 형태의 절단부들과 교대로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언더컷은 V자형 언더컷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의 바닥 표면 상의 언더컷과 결합된 프레임의 상부 표면 상의 꽃잎 형태의 절단부는 다중-웰 플레이트의 칼럼의 각각의 측면에 8개의 작은 파단 섹션 또는 파단 특징부를 생성한다. 각각의 파단 섹션의 길이와 두께는 프레임에 걸쳐 동일하다. 이러한 파단 섹션의 패턴은 분할된 파단 패턴을 야기한다.
유리하게는, 기존의 일부 다중-웰 플레이트에 존재하는 연속적인 파단선에 비해, 분할된 파단 패턴/특징부는 다음 개선 사항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데, 이들은: 다중-웰 플레이트를 분할하기 위한 도구의 필요성을 제거하거나 및/또는 다중-웰 플레이트를 스트립/세그먼트로 수동으로 파단하거나 및/또는 꽃잎 형태의 반경 및 국부적인 파단으로 인해 파단 후에 날카로운 에지를 최소화하거나 및/또는 파단 후에 날카롭고 들쭉날쭉한 에지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에지를 매끄럽게 하거나 및/또는 장갑이 찢어지거나 사용자의 손과 손가락이 다칠 가능성이 줄어들게 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파단 특징부 디자인은 최종 사용자의 장갑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및/또는 사용자의 손과 손가락에 베인 절단부 및 베인 상처와 같은 부상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스트립 또는 튜브 또는 웰의 세그먼트로 수동으로 분할될 때, 매끄러운 에지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날카로운 에지를 최소화 또는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날카롭거나 들쭉날쭉한 에지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를 수동으로 분할하면, 날카로운 에지가 없는 다중-웰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열이 생성된다. 그에 따라,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사용자의 손상이 감소되거나 및/또는 손상이 전혀 없으면서도 스트립 또는 세그먼트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장갑 찢어짐이 감소되거나 및/또는 찢어짐이 전혀 없으면서도 스트립 또는 세그먼트로 분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제1 강성 재료로 제조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웰은 제2 연질 재료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강성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비정질 플라스틱 및 부분적으로 결정질의 중-충전 플라스틱 및 이들의 조합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웰을 포함하는 제2 연질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실리콘, LSR(액체 실리콘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 및 부분적으로 결정질의 플라스틱 및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강성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이고 웰을 포함하는 제2 연질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웰 또는 튜브는 형태 고정 연결부를 이용하여 프레임 내에 직접 성형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레임의 하측면 상의 부분들의 몰딩 및 기계적 연동은 웰 또는 튜브를 프레임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 연결부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중 웰-플레이트는 24개, 48개, 96개, 384개 또는 1536개의 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중-웰 플레이트는 96 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8개의 튜브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칼럼으로 또는 8-튜브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칼럼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로 수동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이들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자동화, 제조 공정, 동결건조 공정, 시약 충전, 냉동 시약, 열 순환 기구에서의 사용, 미생물 공정 등에서의 사용 중 하나 이상과 호환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 및 상응하는 8-튜브 스트립 및/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8-튜브 스트립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몇몇 열 순환기 기구와 호환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시약을 봉입하도록 밀봉될 수 있다. 씰은, 박리 가능한 포일, 투명 씰, 투명 캡, 광학 씰, 광학 캡, 돔형 캡, 플랫 캡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프레임, 스커트 및 웰은 다양한 자동화 장치에 결합되고 인터페이싱 되는 특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로봇 그립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커트 특징부가 프레임의 일부 상에서 또는 프레임 전체를 따라 다중-웰 플레이트의 프레임을 따라 에지로부터 연장하여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표준 프로파일 디자인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스커트의 높이는 표준 높이이고, 이는 표준 높이의 튜브/웰이 프레임에 꼭 맞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커트는 플레이트 및 스커트의 둘레 전체를 감싸는 연장된 립(종종, 당업계에서, SBS(Society for Biomolecular Screening) 립으로 지칭됨)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플레이트는 표준 높이의 다중-웰 튜브가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로우 프로파일 디자인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스커트의 높이는 표준 높이보다 작고, 이는 로우 프로파일 튜브/웰이 프레임에 꼭 맞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커트 립(SBS 립으로 지칭됨)은 다중-웰 플레이트의 스커트의 오직 4개의 코너에만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표준 프로파일 및 로우 프로파일 다중-웰 플레이트 및 이들의 분할 가능한 스트립 및 세그먼트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열 순환기 기구, 가령,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및 정량적 PCR(qPCR)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에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또 다른 이점은, 미리 분취된, 냉동 및/또는 동결건조된 시약을 포함하는 소모성 다중-웰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시약은 시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열 순환기 기구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스트립 또는 하나 이상의 스트립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는 다른 열 순환기와 함께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상기 특징 및 그 밖의 기타 특징들은 하기 섹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아래의 하나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당업자는 아래에 설명된 도면이 단지 예시를 위한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은 어떤 식으로든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중-웰 플레이트의 프레임 부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프레임의 정면도로서, 점선 원 부분은 프레임의 바닥 표면 상의 언더컷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의 바닥 표면 상의 언더컷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프레임의 상면 사시도로서, 점선 원 부분은 프레임 상의 에지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 상의 에지(28)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프레임의 저면도로서, 점선 원 부분은 프레임 상의 하나의 파단 특징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중-웰 플레이트의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부분 및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삽입된 튜브 또는 웰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정면도로서, 점선 원 부분은 프레임의 바닥 표면 상의 언더컷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의 바닥 표면 상의 언더컷을 도시한다.
도 10A는 프레임 내로 연동되는 튜브/웰의 횡단면도로서, 튜브/웰 상의 일부와 연동되는 프레임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 10B는 프레임 없이 도시된 튜브/웰의 사시도로서, 굴뚝 및 러그를 포함하는 프레임 연동 부분을 도시한다.
도 10C는 프레임 없이 도시된 튜브/웰의 횡단면도로서, 굴뚝 및 러그를 포함하는 프레임 연동 부분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7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상면 사시도로서, 원 부분은 프레임 부분 상의 에지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 부분 상의 에지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7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저면도로서, 상부에 칼럼 배열의 분할된 파단 특징부의 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웰 플레이트의 사시도로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튜브-스트립 또는 웰-스트립이 파단되어 있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7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튜브 스트립 또는 웰-스트립이 다중 웰 플레이트로부터 파단되거나 분할되었는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A 및 16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5의 튜브 스트립 또는 웰-스트립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7A 및 17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5의 튜브 스트립 또는 웰-스트립의 상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8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중-웰 플레이트의 프레임 부분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프레임의 정면도로서, 점선 원 부분은 프레임의 바닥 표면 상의 언더컷을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의 바닥 표면 상의 언더컷을 도시한다.
도 21은 도 18의 프레임의 상면 사시도로서, 원 부분은 프레임 상의 에지를 도시한다.
도 22는 도 21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 상의 에지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18의 프레임의 저면도로서, 원 부분은 프레임 상의 파단 특징부를 도시한다.
도 24는 다중-웰 플레이트의 사시도로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부분 및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삽입된 튜브 또는 웰을 도시한다.
도 25는 도 24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정면도로서, 원 부분은 프레임의 바닥 표면 상의 언더컷을 도시한다.
도 26은 도 25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의 바닥 표면 상의 언더컷을 도시한다.
도 27A는 프레임 내로 연동되는 튜브/웰의 횡단면도로서, 튜브/웰 상의 일부와 연동되는 프레임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 27B는 프레임 없이 도시된 튜브/웰의 사시도로서, 굴뚝 및 러그를 포함하는 프레임 연동 부분을 도시한다.
도 27C는 프레임 없이 도시된 튜브/웰의 횡단면도로서, 굴뚝 및 러그를 포함하는 프레임 연동 부분을 도시한다.
도 28은 도 24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상면 사시도로서, 점선 원 부분은 프레임 부분 상의 에지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8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 부분 상의 에지를 도시한다.
도 30은 도 24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저면도로서, 상부에 칼럼 배열의 분할된 파단 특징부의 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31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웰 플레이트의 사시도로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튜브-스트립 또는 웰-스트립이 파단되어 있다.
도 3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24 또는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튜브 스트립 또는 웰-스트립이 다중 웰 플레이트로부터 파단되거나 분할되었는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3A 및 33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32의 튜브 스트립 또는 웰-스트립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34A 및 34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32의 튜브 스트립 또는 웰-스트립의 상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이며 현재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 단수의 사용은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를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함유하다" 및 "구성하다"의 사용 또는 이러한 어근 단어의 수정예, 예를 들어, "포함하는", "함유하는" 및 "구성하는"은 이들에만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는"의 사용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및/또는"을 의미한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전후의 용어가 함께 또는 별도로 선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설명을 위해, "X 및/또는 Y"는 "X" 또는 "Y" 또는 "X 및 Y"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한 양태는 제조 환경에서 인간 또는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시약 분배와 호환가능한 웰 또는 튜브의 스트립으로 수동으로 분할될 수 있는 다중-웰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본 발명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다양한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공정을 위한 키트를 생산하는 데 유용하며,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에 포함된 키트 시약은 고처리량 환경에서 제조되어 소비자/사용자 전체에 걸쳐 저렴하게 팔린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유리하게는 값비싼 시약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이들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자동화, 제조 공정, 동결건조 공정, 시약 충전, 냉동 시약, 열 순환 기구에서의 사용, 미생물 공정 등에서의 사용 중 하나 이상과 호환가능하다.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시약 저장 및/또는 하류 처리, 가령, 이들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핵산 증폭, 핵산 시퀀싱, 핵산,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을 비롯한 관심 생체분자를 추출하기 위한 샘플 준비, 무엇보다도 미생물의 성장과 배양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8-튜브 스트립 또는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8-튜브 스트립의 세그먼트로 분할될 수 있는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 및 상응하는 8-튜브 스트립 및/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8-튜브 스트립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는 호환가능하고, 따라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몇몇 열 순환기 기구, 핵산 시퀀싱 장치, 샘플 준비 장치, 미생물 배양기 및 기타 생물공정 장치와 기계적으로 결합하고 인터페이싱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제1 재료로 제조된 프레임 부분 및 제2 재료로 제조된 복수의 웰을 포함하는 다중-웰 플레이트를 제공하며, 프레임 부분은 상부 표면에 칼럼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홀의 어레이를 갖는 평면 상부 표면을 가지며, 프레임 부분은 복수의 홀의 칼럼 패턴과 교대의 칼럼 패턴으로 배열된 분할된 파단 특징부의 어레이를 추가로 포함하고, 웰은 프레임의 상부 표면 상에 복수의 홀 내에 위치되고, 다중-웰 플레이트는 분할된 파단 특징부의 중심을 따라 다중-웰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열로 수동으로 분할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분할된 파단 특징부의 중심을 따라 다중-웰 스트립의 복수의 단일 열로 수동으로 분할될 수 있다. 다중-웰-스트립은 또한 다중-웰-스트립의 적어도 2개의 열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로 분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분할된 파단 특징부는 프레임 부분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프레임의 바닥 표면을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꽃잎 형태의 절단부 및, 프레임 부분의 바닥 표면 상의 복수의 언더컷을 포함하며, 언더컷들은 꽃잎 형태의 절단부들과 교대로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언더컷은 V자형 언더컷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의 바닥 상의 언더컷과 결합된 프레임의 상부 데크 상의 꽃잎 형태의 절단부는 다중-웰 플레이트의 칼럼의 각각의 측면에 8개의 작은 파단 섹션 또는 파단 특징부를 생성한다. 각각의 파단 섹션의 길이와 두께는 프레임에 걸쳐 동일하다. 이러한 파단 섹션의 패턴은 분할된 파단 패턴을 야기한다.
유리하게는, 기존의 일부 다중-웰 플레이트에 존재하는 연속적인 파단선에 비해, 분할된 파단 패턴/특징부는 다음 개선 사항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데, 이들은: 다중-웰 플레이트를 분할하기 위한 도구의 필요성을 제거하거나 및/또는 다중-웰 플레이트를 스트립/세그먼트로 수동으로 파단하거나 및/또는 꽃잎 형태의 절단부의 반경 및 국부적인 파단으로 인해 파단 후에 날카로운 에지를 최소화하거나 및/또는 파단 후에 날카롭고 들쭉날쭉한 에지를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에지를 매끄럽게 하거나 및/또는 장갑이 찢어지거나 사용자가 다칠 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커트 특징부가 프레임의 일부 상에서 또는 프레임 전체를 따라 다중-웰 플레이트의 프레임을 따라 에지로부터 연장하여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커트는 플레이트의 프레임 및 스커트의 둘레 전체를 감싸는 연장된 립을 추가로 갖는다. 립은 또한 마이크로-웰 플레이트에 대한 미국국립표준협회(ANSI)에 따르는 SBS(Society for Biomolecular Screening) 립 또는 SLAS(Society for Biomolecular Screening) 립으로서 당업계에 기술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로우 프로파일 플레이트로서, 스커트는 작은 체적의 튜브/웰을 수용하기 위해 짧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우 프로파일 튜브 또는 웰은 완전히 채워졌을 때 0.2mL의 최대 체적을 갖는다. 로우 프로파일 튜브의 일반적인 높이는 약 15.50 ± 0.25mm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로우 프로파일 다중-웰 플레이트는 스커트 립을 가지며, 이는 스커트의 연장부이고 다중-웰 플레이트의 프레임의 4개의 코너에 위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표준 프로파일 플레이트로서, 스커트의 높이는 표준 높이이고, 이는 표준 높이의 튜브/웰이 프레임에 꼭 맞도록 허용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스커트는 플레이트 및 스커트의 둘레 전체를 감싸는 연장된 립(SBS 또는 SLAS 립)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플레이트는 표준 높이의 다중-웰 튜브가 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표준 높이 또는 표준 프로파일 웰 또는 튜브는, 접착제 및 히트 씰과 함께 사용할 때, 0.3mL의 최대 웰 체적을 갖는다. 표준 프로파일 튜브 또는 웰의 일반적인 높이는 약 20.70 ±0.25mm이다.
본 개시내용의 표준 프로파일 및 로우 프로파일 다중-웰 플레이트 및 이들의 분할 가능한 스트립 및 세그먼트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열 순환기 기구, 가령,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및 정량적 PCR(qPCR)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에서 유용하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본 발명의 세미-스커트형 다중-웰 플레이트 및 그로부터 유도된 스트립 및 세그먼트는, 예시적인 열 순환기 기구, 가령, Applied Biosystems 7500, QuantStudio 3 QuantStudio 5, QuantStudio 6, QuantStudio 7, Applied Biosystems ProFlex, Veriti, SimpliAmp에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인터페이싱 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는 또한 히트 실러 및 알루미늄 지지 랙과 결합되고 인터페이싱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 및 스트립은, 그 밖의 다른 기구, 가령, 시퀀싱 기구 및 플랫폼, 샘플 준비 기구 및 로봇 플랫폼 등과 결합되고 인터페이싱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또 다른 이점은, 하나 이상의 미리 분취된, 냉동 및/또는 동결건조된 시약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소모성 다중-웰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시약은 일반적인 열 순환기 기구 및 시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구 및 장치와 사용될 수 있다. 단일 스트립 또는 하나 이상의 스트립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는 다른 열 순환기와 함께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한 실시예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 및 문자는 유사한 요소 또는 이에 대응하는 균등예를 지칭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개념의 예시에 불과한 도면 및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도면은 행과 열로 배열된 8×12=96개의 튜브/웰을 갖는 96-웰 플레이트를 도시하지만, 본 개시내용의 개시내용에 비추어, 당업자는, 이러한 개시내용이 그보다 많거나 적은 웰-튜브, 이들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가령, 24개, 48개, 96개, 384개 또는 1536개 또는 그 이상의 웰/튜브를 갖는 다중-웰 플레이트로 확장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중-웰 플레이트의 프레임 부분(10)의 사시도이다. 프레임(10)은 상부 표면(12) 상에 칼럼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홀(14)의 어레이를 갖는 평면 상부 표면(12)을 포함한다. 홀(14)은 내부에 튜브 또는 웰(3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튜브/웰(34)은 예를 들어 도 7에에 도시됨). 프레임 부분(10)은 복수의 홀(14)의 칼럼 패턴과 교대하는 칼럼 패턴으로 배열된 꽃잎 형태의 특징부(16)의 어레이를 추가로 포함한다. 꽃잎 형태의 특징부(16)는 아래 섹션에서, 예를 들어, 도 6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파단 특징부(30)의 일부이다.
도 1은 또한 꽃잎 형태의 특징부(16) 및 홀(14)의 어레이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2개의 에지(18)를 도시한다. 에지(18)는 내부에 튜브 또는 웰(34)(튜브(34)은 도 7에 도시됨)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홀(14)을 표시하거나 라벨링하기 위한 영숫자 라벨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우측 에지(18)는 A, B, C, D, E, F, G, H 등과 같은 알파벳 넘버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숫자 라벨링도 가능하다. 라벨링은 좌측 에지(18)에도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또한 복수의 스커트(20)가 그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평면 표면(12)의 상부면(17) 및 하부면(19)을 도시한다. 복수의 절단부(22)가 상부면(17) 및 하부면(19)에서 홀(14)을 포함하는 각각의 칼럼을 분리한다. 절단부(22)는 꽃잎 형태의 특징부(16)와 직선으로 정렬된다. 복수의 홀(14)을 포함하는 칼럼은 2개의 절단부(22)에 의해 칼럼의 2개의 단부에 추가로 형성되며, 도 1의 상부면(17)에 영숫자로 표시될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복수의 절단부(22) 사이에 형성된 칼럼은 1, 2, 3, 4, 5, 6, 7, 8, 9, 10, 11, 12 등과 같은 숫자로 프레임(10)의 상부면(17)에 라벨링 되거나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칼럼은 선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홀(14)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이러한 열에 대해 알파벳순으로 라벨링할 수도 있다. 라벨링은 바닥면(19)에 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라벨링은 튜브/웰 및 그 내부의 반응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위의 비제한적인 라벨링 예에서, 프레임(1)의 상단 우측에 삽입된 제1 튜브(34)는 라벨 A1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도 1은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전체 프레임의 둘레 주위를 감싸는 스커트 립(42)을 도시한다(절단부(22)는 제외).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커트 립(42)은 스커트(20)로부터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스커트(20)는 높이가 더 길고(후술되는 또 다른 실시예와 비해) 표준 크기의 튜브/웰을 수용한다. 따라서, 표준 높이 스커트 부분이 있는 프레임은 표준 프로파일 다중-웰 플레이트 프레임으로서 설명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프레임의 모든 둘레를 감싸는 스커트 립(42)(절단부(22)인 경우는 제외)은 스커트형 프레임으로 지칭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프레임 부분(10)의 정면도로서, 원 부분은 프레임(10)의 바닥 표면(24)에 위치한 언더컷(26)을 도시한다. 언더컷(26) 및 꽃잎 형태의 특징부(16)는 둘 다 파단 특징부(30)(도 6에 도시된)에 포함된다. 파단 특징부(30)는 분할된 파단 특징부로서 배열된다.
도 3은 도 2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10)의 바닥 표면(24) 상에 위치된 언더컷(26)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언더컷(26)은 V-형상이다.
도 4는 다중-웰 플레이트의 프레임 부분(10)의 상면 사시도로서, 점선 원 부분은 프레임(10) 상의 에지(28)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10) 상의 에지(28)를 도시한다. 프레임(10) 상의 에지(28)는, 자동 충전 기구, PCR 기구 등을 포함하여 다중 웰 플레이트가 사용되는 기구에서 플레이트의 배향에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프레임 부분(10)의 저면도로서, 점선 원 부분은 프레임 상에 형성된 하나의 파단 특징부(30)를 도시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파단 특징부(30)는 꽃잎 형태의 특징부(16) 및 언더컷(26)을 포함한다. 복수의 파단 특징부(30)는 프레임(10)의 한 단부(예를 들어, 상부면(17))에 위치한 하나의 절단부(22)로부터 시작하여 선형 경로를 따라 프레임(10)의 맞은편(예를 들어, 바닥 표면(19))에 위치한 또 다른 절단부(22)로 형성된다. 이 패턴은 복수의 분할된 파단 특징부(30)를 형성한다. 분할된 파단 특징부(30)는, 거친 에지가 없거나 현저하게 감소된 거칠거나 들쭉날쭉한 단부를 갖는 매끄러운 에지로 수동 파단을 허용한다.
도 7은 다중-웰 플레이트(32)의 상부 표면(12)의 사시도로서, 프레임 부분(10)(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준 프로파일의 프레임 부분) 및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홀(14) 내에 삽입된 튜브 또는 웰(34)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정면도로서, 점선 원 부분은 프레임의 바닥 표면(24) 상의 언더컷(26)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10)의 바닥 표면(24) 상의 언더컷(26)을 도시한다.
도 10A는 프레임(10) 내로 연동되는 웰 또는 튜브(34)의 횡단면도로서, 튜브/웰(34) 상에 위치된 러그(39)와 연동되는 프레임(10)의 굴뚝(37)을 도시한다. 스커트(20) 및 립(42)이 이 도면에 도시된다.
도 10B는 프레임(10) 없이 도시된 튜브(34)의 사시도로서, 굴뚝(37) 및 러그(39)를 도시한다.
도 10C는 프레임(10) 없이 도시된 튜브/웰(34)의 횡단면도로서, 굴뚝(37) 및 러그(39)를 포함하는 프레임 연동 부분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7의 다중-웰 플레이트의 상면 사시도로서, 점선 원 부분은 프레임 부분(10) 상의 에지(28)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 부분(10) 상의 에지(28)를 도시한다.
도 13은 홀(14)에 삽입된 튜브(34)를 갖는 도 7의 다중-웰 플레이트(32)의 저면도로서, 2개의 절단부(22) 사이에서 연장되는 바닥 표면(24) 상의 선형 칼럼 배열의 분할된 파단 특징부(30)의 어레이를 도시하며, 각각의 절단부(22)는 프레임(10)에서 서로의 대향 측면에 위치된다.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웰 플레이트(32)의 사시도로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튜브-스트립 또는 웰-스트립(44)이 파단되어 있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7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웰 플레이트(32)로부터 파단되거나 분할된 하나의 튜브 스트립(44)(또한, 여기서는 웰-스트립(44)으로도 지칭됨)의 사시도이다. 튜브 스트립(44)은 튜브(34)의 예시적인 상부 부분 또는 림(36)을 도시한다. 도면부호 38은 튜브(34)의 바닥 부분 및 찢어진 경우 복수의 에지(40)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파단된 에지(40)는 매끄러운 에지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파단된 에지(40)는 들쭉날쭉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 파단된 에지(40)는 거칠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 파단된 에지(40)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그 밖의 다른 분할가능 하거나 파단가능한 플레이트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된 날카로운 에지 또는 현저하게 감소된 들쭉날쭉한 에지를 갖는다. 스커트(20) 및 스커트 립(42)은 튜브 스트립(44)의 측면 에지에서 볼 수 있다.
도 16A 및 16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5의 튜브 스트립(44)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로서, 다른 특징들 중에서, 파단된 에지(40), 스커트 립(42) 및 스커트(20)를 도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5의 튜브 스트립 또는 웰-스트립의 상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8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중-웰 플레이트(32)의 프레임 부분(10)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스커트 부분(20)이 더 짧고 스커트 립 부분(42)이 플레이트(32)의 4개의 코너에만 위치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과 매우 유사하다. 스커트(20)가 더 짧고 립(42)이 코너에만 위치하는 실시예는, 예를 들어 도 1 및 7에 도시된 표준 프로파일 플레이트 스커트(20)에 비해 더 짧은 스커트(20)를 갖기 때문에 로우 프로파일 플레이트로서 기술된다. 로우 프로파일 플레이트는 표준 프로파일 플레이트에 비해 더 작은 체적의 튜브를 수용한다.
도 19는 도 18의 로우 프로파일 다중-웰 플레이트(32)의 프레임 부분(10)의 정면도로서, 원 부분은 프레임(10)의 바닥 표면(24) 상의 언더컷(26)을 도시한다.
도 20은 도 18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10)의 바닥 표면(24) 상의 언더컷(26)을 도시한다.
도 21은 도 18의 다중-웰 플레이트(32)의 프레임 부분(10)의 상면 사시도로서, 점선 원 부분은 프레임 상의 에지(28)를 도시한다. 에지(28)는 기구의 플레이트 배향에 유용하다.
도 22는 도 21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 부분(10) 상의 에지(28)를 도시한다.
도 23은 도 18의 다중-웰 플레이트(32)의 프레임 부분(10)의 저면도로서, 점선 원 부분은 프레임(10) 상의 하나의 파단 특징부(30)를 도시한다.
도 24는 다중-웰 플레이트의 사시도로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우 프로파일 스커트(20)형 프레임 부분(10) 및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12)에 위치된 튜브 또는 웰(34)을 도시한다.
도 25는 도 24의 다중-웰 플레이트(32)의 정면도로서, 점선 원 부분은 프레임(10)의 바닥 표면(24) 상의 언더컷(26)을 도시한다.
도 26은 도 25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10)의 바닥 표면(24) 상의 언더컷(26)을 도시한다.
도 27A는 로우 프로파일 다중-웰 플레이트의 횡단면도로서, 프레임(10)에 연동되는 튜브/웰(34)을 도시하고, 굴뚝(37)으로 지칭되는 프레임 상의 일부가 러그(39)로 지칭되는 튜브/웰 상의 한 부분과 연동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7B는 프레임(10) 없이 도시된 튜브(34)의 사시도로서, 굴뚝(37) 및 러그(39)를 도시한다.
도 27C는 프레임(10) 없이 도시된 튜브/웰(34)의 횡단면도로서, 굴뚝(37) 및 러그(39)를 포함하는 프레임 연동 부분을 도시한다.
도 28은 도 24의 다중-웰 플레이트(32)의 상면 사시도로서, 점선 원 부분은 프레임 부분(10) 상의 에지(28)를 도시한다.
도 29는 도 28의 점선 원 부분의 분해도로서, 프레임 부분(10) 상의 에지(28)를 도시한다.
도 30은 도 24의 다중-웰 플레이트(32)의 저면도로서, 상부에 칼럼 배열의 분할된 파단 특징부(30)의 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31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웰 플레이트(32)의 사시도로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튜브-스트립(44)이 파단되어 있다.
도 3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24 및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웰 플레이트(32)로부터 파단되거나 분할된 하나의 튜브 스트립(44)을 도시한 사시도. 이 튜브 스트립(44)은 스커트(20)가 더 짧고 스커트 립 부분이 없는 로우 프로파일 튜브 스트립으로서, 이는 스커트 립(42)이 플레이트 프레임의 4개의 코너에만 위치되는 로우-프로파일 다중-웰 플레이트로부터 파생되기 때문이다.
도 33A 및 33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32의 튜브 스트립 또는 웰-스트립(44)의 우측면 및 좌측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파단된 에지(40)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파단된 에지(40)는 매끄러운 에지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파단된 에지(40)는 들쭉날쭉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 파단된 에지(40)는 거칠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 파단된 에지(40)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그 밖의 다른 분할가능 하거나 파단가능한 플레이트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된 날카로운 에지 또는 현저하게 감소된 들쭉날쭉한 에지를 갖는다.
도 34A 및 34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32의 튜브 스트립 또는 웰-스트립(44)의 상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광범위하게 설명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정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 및/또는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뚜껑 플레이트의 개구의 크기와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4)

  1. 다중-웰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제1 재료로 제조된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부 표면 상에 칼럼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홀의 어레이를 갖는 평면 상부 표면을 갖고,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홀의 칼럼 패턴과 교대의 칼럼 패턴으로 배열된 분할된 파단 특징부의 어레이를 추가로 포함하며; 및
    제2 재료로 제조된 복수의 웰을 포함하되, 상기 웰은 프레임의 상부 표면 상의 복수의 홀에 배치되고,
    다중-웰 플레이트는 분할된 파단 특징부의 중심을 따라 다중-웰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열로 수동으로 분할될 수 있는, 다중-웰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다중-웰 플레이트는 분할된 파단 특징부의 중심을 따라 다중-웰 스트립의 복수의 단일 열로 수동으로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다중-웰 플레이트를 수동으로 분할하면, 감소된 날카로운 에지를 갖는 다중-웰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열이 생성되는, 다중-웰 플레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다중-웰 플레이트를 수동으로 분할하면, 날카로운 에지가 없는 다중-웰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열이 생성되는, 다중-웰 플레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분할된 파단 특징부는 프레임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프레임의 바닥 표면 및 프레임 부분의 바닥 표면 상의 일련의 언더컷을 통해 연장되는 꽃잎 형태의 절단부의 어레이를 포함하며, 언더컷은 꽃잎 형태의 절단부와 교대로 배열되는, 다중-웰 플레이트.
  6. 제5항에 있어서, 언더컷은 V자형 언더컷인, 다중-웰 플레이트.
  7.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에 위치된 굴뚝이 웰의 측면에 위치된 러그와 연동되는, 다중-웰 플레이트.
  8. 제1항에 있어서, 제1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고 제2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다중-웰 플레이트.
  9. 제1항에 있어서, 웰은 형태 고정 연결부를 이용하는 프레임 내로 직접 성형되는, 다중-웰 플레이트.
  10.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플레이트의 둘레 전체를 감싸는 스커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중-웰 플레이트.
  11.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플레이트의 4개의 코너에 위치된 스커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중-웰 플레이트.
  12. 제1항에 있어서, 24개, 48개, 96개, 384개 또는 1536개의 웰을 포함하는, 다중-웰 플레이트.
  13. 제11항에 있어서, 96개의 웰을 포함하는, 다중-웰 플레이트.
  14. 제1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8개의 튜브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칼럼으로 또는 8-튜브 스트립의 하나 이상의 칼럼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로 수동으로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
KR1020217032700A 2019-03-14 2020-03-13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 KR202101419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18669P 2019-03-14 2019-03-14
US62/818,669 2019-03-14
PCT/GB2020/050647 WO2020183195A1 (en) 2019-03-14 2020-03-13 Divisible multi-well pla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981A true KR20210141981A (ko) 2021-11-23

Family

ID=7005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700A KR20210141981A (ko) 2019-03-14 2020-03-13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143602A1 (ko)
EP (1) EP3938106B1 (ko)
JP (1) JP2022525222A (ko)
KR (1) KR20210141981A (ko)
CN (2) CN111690507A (ko)
DE (1) DE202020101399U1 (ko)
SG (1) SG11202109505PA (ko)
WO (1) WO2020183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1829A1 (en) * 2019-07-28 2021-02-04 Propria LL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testing tissue
US20210145560A1 (en) * 2019-11-20 2021-05-20 Invo Bioscience, Inc. Intravaginal culture incubation container and method
USD979093S1 (en) 2022-05-05 2023-02-21 Singular Genomics Systems, Inc. Reagent cartridge
USD970036S1 (en) 2022-05-05 2022-11-15 Singular Genomics Systems, Inc. Reagent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5620A (en) * 1988-11-02 1989-10-24 W. A. Lane, Inc. Fluted product cup
JP2013520643A (ja) * 2010-02-22 2013-06-06 フォーティテュード リミテッド マルチウェル・スト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90507A (zh) 2020-09-22
JP2022525222A (ja) 2022-05-11
SG11202109505PA (en) 2021-09-29
EP3938106B1 (en) 2024-01-17
US20220143602A1 (en) 2022-05-12
CN212655762U (zh) 2021-03-05
WO2020183195A1 (en) 2020-09-17
EP3938106A1 (en) 2022-01-19
DE202020101399U1 (de)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41981A (ko) 분할 가능한 다중-웰 플레이트
US6558631B1 (en) Multi-well plates
EP2539073B1 (en) Multiwell strips
US9480983B2 (en) Unitized reagent strip
CN101370425B (zh) 用于可释放地储存物质的容器系统
US20110286897A1 (en) Microtiter plate
US11268885B2 (en) Sample collection device
CN106461695B (zh) 生物化学用试剂类保存元件、以及生物化学用分析装置
US20070172393A1 (en) Multi-well sample plate cover penetration system
EP3386636A1 (en) Reinforced microplate
EP1060024B1 (en) Closure plug array with blind bores
EP2810753A1 (en) Tear-away multi well plate
KR101624761B1 (ko) 용액으로부터 샘플을 결정화하기 위한 반응 용기
US20220339624A1 (en) Tubes
GB2563974B (en) Improved sealing mat
EP2380665A1 (en) Reclosable cap for reaction vessels
CN211505326U (zh) 电泳点样辅助工具
JP2009107637A (ja) 創薬用マイクロチューブキャップ着脱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