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1160A - Orthodontic device - Google Patents

Orthodont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1160A
KR20210141160A KR1020200058459A KR20200058459A KR20210141160A KR 20210141160 A KR20210141160 A KR 20210141160A KR 1020200058459 A KR1020200058459 A KR 1020200058459A KR 20200058459 A KR20200058459 A KR 20200058459A KR 20210141160 A KR20210141160 A KR 20210141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pair
crown
support
length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4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8952B1 (en
Inventor
전윤식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952B1/en
Publication of KR2021014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1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An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n orthodontic device for reducing an extraction space between a pair of adjacent teeth, which comprises: a fixture for fixing movement of each crown of the pair of teeth; and a movement inducing body for inducing movement of each root of tooth of the pair of teeth, wherein the fixture comprises a support unit which is disposed in the extraction space and supports each crown of the pair of teeth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air of teeth. The movement inducing body may comprise a traction unit for traction of each crown neck portion of the pair of teeth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teeth approaches toward the extraction space.

Description

교정 장치{ORTHODONTIC DEVICE}orthodontic device {ORTHODONTIC DEVICE}

이하, 실시예들은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 to an orthodontic device.

치아 이동은 치근에 부착된 치주 인대의 조직 반응의 결과로 나타난다. 즉, 치아에 힘이 가해지면, 치주 인대의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의 작용으로 골 침착 및 골 개조로 인해 치아 이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브라켓을 이용한 교정 장치 및 플라스틱의 투명 교정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43823호는 제거 가능한 치아교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브라켓을 이용한 교정 장치는 브라켓에 삽입되는 와이어의 탄성을 이용하는 것이고, 투명 교정 장치는 치아를 0.25 mm씩 이동시키기 위해 플라스틱의 탄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브라켓을 이용한 교정 장치 또는 투명 교정 장치는 치아 이동 시 치관부를 먼저 이동시킨 후 치근부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치관이 먼저 이동하면 치근의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늘어나기 때문에 치근의 치체 이동을 어렵게 한다.Tooth movement appears as a result of the tissue reaction of the periodontal ligaments attached to the root of the tooth. That is, when a force is applied to a tooth, tooth movement occurs due to bone deposition and bone remodeling due to the action of osteoblasts and osteoclasts of the periodontal ligament.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a straightening device using a bracket and a plastic transparent straightening device are being used. 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43823 discloses a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An orthodontic appliance using a bracket uses the elasticity of a wire inserted into the bracket, and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uses the elasticity of plastic to move teeth by 0.25 mm. An orthodontic appliance or a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using a bracket is used in such a way that, when moving teeth, the crown part is first moved and then the root part is moved. This makes it difficult to move the tooth root because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tooth root is relatively increased when the crown moves first.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치근 및 치관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발치 공간을 효과적으로 축소하는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n orthodontic device that effectively reduces the extraction space by sequentially moving the root and crown.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는 인접하는 한 쌍의 치아 사이의 발치 공간을 축소하기 위한 교정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치아의 각각의 치관의 이동을 고정하는 고정체; 및 상기 한 쌍의 치아의 각각의 치근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동 유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발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치아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치아의 각각의 치관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도체는, 상기 발치 공간을 향해 상기 한 쌍의 치아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치아의 각각의 치관 경부를 견인하는 견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n orthodontic device for reducing an extraction space between a pair of adjacent teeth, comprising: a fixture for fixing the movement of each crown of the pair of teeth; and a movement derivative for inducing movement of the root of each of the pair of teeth, wherein the fixture is disposed in the extraction space and each crown of the pair of teeth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air of teeth Includ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the movable derivative may include a traction unit for pulling each of the crowns of the pair of teeth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teeth approaches toward the extraction space.

상기 고정체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강성을 유지하는 강성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ture may further include a rigidity holding part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and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support part.

상기 강성 유지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길이 영역; 상기 제1 길이 영역의 제1단부로부터 상기 제1 길이 영역이 연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길이 영역; 및 상기 제1 길이 영역의 제1단부의 맞은편 제2단부로부터 상기 제2 길이 영역이 연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길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길이 영역을 수용하는 제1개구; 및 상기 제3 길이 영역을 수용하는 제2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igid holding part may include: a first length region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length region extending from a first end of the first length region in a direction intersec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ength region extends; and a third length region extending from a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of the first length region in a direction intersec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length region extends, wherein the support portion comprises: the second length region a first opening for receiving; and a second opening accommodating the third length region.

상기 제2 길이 영역은 상기 제1개구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3 길이 영역은 상기 제2개구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The second length region may be removably received in the first opening, and the third length region may be removably received in the second opening.

상기 제1 길이 영역은 상기 지지부 위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length region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art.

상기 이동 유도체는, 상기 견인부를 유지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guide may include a holder for holding the traction unit.

상기 홀더는 제1폴 및 제2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폴은, 상기 한 쌍의 치아 중 제1치아의 치관 경부에 설치된 제1베이스; 및 상기 제1베이스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견인부의 제1단부에 연결된 제1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폴은, 상기 한 쌍의 치아 중 제2치아의 치관 경부에 설치된 제2베이스; 및 상기 제2베이스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견인부의 제2단부에 연결된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includes a first pole and a second pole, the first pole, the first base installed in the crown of the first tooth of the pair of teeth; and a first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traction unit, wherein the second pole includes: a second base installed in the crown of a second tooth among the pair of teeth;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bas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traction unit.

상기 견인부는 늘어나지 않고 응력이 인가되지 않은 제1형태 및 팽창하고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와 맞물리며 응력이 작용하는 제2형태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raction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change between a non-stretched, unstressed first configuration and a stressed second configuration that expands and engages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견인부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강성은 상기 견인부의 강성보다 클 수 있다.The support part and the traction part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the rigidity of the support part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traction part.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치아 사이에 상기 발치 공간의 바닥 부분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extraction space between the pair of teeth.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치아 중 치관을 구성하는 영역과 접촉하는 상부 부분; 및 상기 한 쌍의 치아 중 치관을 구성하는 영역을 제외하는 영역과 접촉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분의 강성은 상기 하부 부분의 강성보다 크고, 상기 하부 부분의 탄성은 상기 상부 부분의 탄성보다 클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the upper portion in contact with the region constituting the crown of the pair of teeth; and a lower portion in contact with a region excluding a region constituting the crown of the pair of teeth, wherein a rigidity of the upper portion is greater than a rigidity of the lower portion, and the elasticity of the lower portion is the elasticity of the upper portion can be larger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는 종래의 브라켓을 이용하지 않고 발치 공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Orthodont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effectively reduce the extraction space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bracket.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가 적용된 예의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를 사용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view of an example to which a cal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ppli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front view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ront view of an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dure of using a cal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calib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for description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having a comm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 description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10)는 인접하는 한 쌍의 치아(T1, T2) 사이의 발치 공간(TS)을 축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교정을 위한 치아 이동 방식은 치아의 치관을 먼저 이동시킨 후 치아의 치근을 이동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은 발치 공간을 축소하는 과정 중에 치관을 이동시키면 치근이 치관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10)는 치아 교정 전체 프로세스에 걸쳐 치관(TC)을 이동시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치근의 이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1 to 4 , the orthodontic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used to reduce the extraction space TS between a pair of adjacent teeth T1 and T2. The conventional tooth movement method for orthodontics uses the principle of moving the root of the tooth after first moving the crown of the tooth. In this method, when the crown is moved during the process of reducing the extraction sp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oot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rown. The orthodontic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olve a root movement problem that may occur as the crown TC is moved throughout the entire orthodontic process.

교정 장치(10)는 고정체(110) 및 이동 유도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체(110)는 한 쌍의 치아(T1, T2)의 각각의 치관(TC)의 이동을 고정할 수 있다. 이동 유도체(120)는 한 쌍의 치아(T1, T2)의 각각의 치근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The orthodontic device 10 may include a fixed body 110 and a moving guide 120 . The fixture 110 may fix the movement of each crown TC of the pair of teeth T1 and T2. The movement derivative 120 may induce movement of each root of the pair of teeth T1 and T2 .

고정체(110)는 지지부(111) 및 강성 유지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ture 110 may include a support 111 and a rigid retainer 115 .

지지부(111)는 한 쌍의 치아(T1, T2)가 발치 공간(TS)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치아(T1, T2)의 각각의 치관(TC)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1)는 한 쌍의 치아(T1, T2)의 각각의 치관(TC)에 발치 공간(TS)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F1)을 인가할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치아(T1, T2)가 발치 공간(TS)을 향해 이동하는 동안 치관(TC)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하고 치근의 이동만을 허용하는데 유리하다.The support 111 may support the respective crowns TC of the pair of teeth T1 and T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teeth T1 and T2 move away from the extraction space TS. In addition, the support 111 may apply a force F1 to each of the crowns TC of the pair of teeth T1 and T2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xtraction space TS. This is advantageous in substantially suppressing the movement of the crown TC and allowing only the movement of the root while the pair of teeth T1 and T2 move toward the extraction space TS.

지지부(111)는 발치 공간(TS)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11)는 실질적으로 둥근 코너들을 갖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111)는 발치 공간(TS)에서 한 쌍의 치아(T1, T2)의 각각의 치관(TC)에 접촉할 수 있는 높이 및 폭을 가질 수 있다.The support 111 may have a shape suitable for being disposed in the extraction space TS. For example, the support 111 may have a hexahedral shape having substantially rounded corners. The support 111 may have a height and a width capable of contacting the crown TC of each of the pair of teeth T1 and T2 in the extraction space TS.

지지부(111)는 발치 공간(TS)에 배치되고 발치 공간(TS)을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11)는 한 쌍의 치아(T1, T2) 사이에 발치 공간(TS)의 바닥 부분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111 may be disposed in the extraction space (TS) and close the extraction space (TS). For example, the support 11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extraction space TS between the pair of teeth T1 and T2.

지지부(111)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11)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1)는 상대적으로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The support part 111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For example, the support 11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The support 111 may have relatively strong rigidity.

지지부(111)는 제1개구(112) 및 제2개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11 may include a first opening 112 and a second opening 113 .

제1개구(112) 및 제2개구(113)는 강성 유지부(115)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개구(112)는 강성 유지부(115)의 제1단부로부터 상기 제1단부의 맞은편의 제2단부를 향해 연장하는 설정 길이의 영역을 수용하고, 제2개구(113)는 강성 유지부(115)의 제2단부로부터 제1단부를 향해 연장하는 설정 길이의 영역을 수용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112 and the second opening 113 may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rigid holding part 115 . For example, the first opening 112 accommodates an area of a set length extending from a first end of the rigid retaining portion 115 toward a second end opposite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opening 113 . can accommodate an area of a set length extending from the second end toward the first end of the rigid holding portion 115 .

제1개구(112) 및 제2개구(113)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강성 유지부(115)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opening 112 and the second opening 113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of the rigid holding part 115 .

제1개구(112)는 인접하는 한 쌍의 치아(T1, T2) 중 제1치아(T1)에 접촉하는 지지부(111)의 제1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제2개구(113)는 한 쌍의 치아(T1, T2) 중 제2치아(T2)에 접촉하는 지지부(111)의 제2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개구(112) 및 제2개구(113)는 지지부(11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지만, 지지부(111)를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opening 112 is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end of the support part 111 in contact with the first tooth T1 among the adjacent pair of teeth T1 and T2, and the second opening 113 has one The pair of teeth T1 and T2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second end of the support 111 in contact with the second tooth T2. The first opening 112 and the second opening 113 are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111 , but may not pass through the support part 111 .

강성 유지부(115)는 지지부(111)에 설치되어 지지부(111)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강성 유지부(115)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지며 구부러질 수 있다. 강성 유지부(115)는 제1 길이 영역(115A), 제2 길이 영역(115B) 및 제3 길이 영역(115C)을 포함할 수 있다.The rigidity maintenance part 115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111 to maintain the rigidity of the support part 111 . The rigid holding part 115 has a shape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bent. The rigidity holding part 115 may include a first length area 115A, a second length area 115B, and a third length area 115C.

제1 길이 영역(115A)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길이 영역(115B)은 제1 길이 영역(115A)이 연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길이 영역(115A)의 제1단부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제3 길이 영역(115C)은 제1 길이 영역(115A)이 연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길이 영역(115A)의 제1단부의 맞은편의 제2단부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제1 길이 영역(115A) 및 제2 길이 영역(115B) 사이에 제1굴곡부가 형성되고 제1 길이 영역(115A) 및 제3 길이 영역(115C) 사이에 제2굴곡부가 형성되도록 강성 유지부(115)의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The first length region 115A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length region 115B may extend from the first end of the first length region 115A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ength region 115A extends. The third length region 115C may extend from a second end opposite the first end of the first length region 115A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ength region 115A extends. The rigidity retaining part ( 115) can be changed.

강성 유지부(115)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부(111) 안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길이 영역(115B)은 제1개구(112)에 수용되고, 제3 길이 영역(115C)은 제2개구(113)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길이 영역(115A)은 지지부(1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rigid holding part 115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part 111 . For example, the second length region 115B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opening 112 , and the third length region 115C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opening 113 . Meanwhile, the first length region 115A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art 111 .

강성 유지부(115)는 지지부(111)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지지부(111)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길이 영역(115B)은 제1개구(112)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되고, 제3 길이 영역(115C)은 제2개구(113)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The rigid holding part 115 may be installed in the support part 111 to be removable from the support part 111 . For example, the second length region 115B may be removably received in the first opening 112 , and the third length region 115C may be removably received in the second opening 113 .

강성 유지부(115)는 지지부(111)의 강성을 유지하기에 적합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 유지부(115)는 철 성분, 티타늄 성분 등의 금속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rigidity holding part 115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itable for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supporting part 111 . For example, the rigidity holding part 115 may include a metal component such as an iron component or a titanium component.

이동 유도체(120)는 홀더(121, 122) 및 견인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derivative 120 may include holders 121 and 122 and a traction unit 123 .

홀더(121, 122)는 견인부(123)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견인부(123)를 유지한다는 것은 견인부(123)가 한 쌍의 치아(T1, T2)에 인가하는 힘(F2)의 크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도록 견인부(123)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holders 121 and 122 may hold the traction part 123 . Here, maintaining the traction unit 123 means that the traction unit 123 has a function of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magnitude of the force F2 applied to the pair of teeth T1 and T2 by removing the traction unit 123. It can be understood as holding in position.

홀더(121, 122)는 제1치아(T1)에 위치된 제1폴(121A, 121B) 및 제2치아(T2)에 위치된 제2폴(122A, 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폴(121A, 121B)은 제1베이스(121A) 및 제1돌출부(121B)를 포함하고, 제2폴(122A, 122B)은 제2베이스(122A) 및 제2돌출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s 121 and 122 may include first poles 121A and 121B positioned on the first teeth T1 and second poles 122A and 122B positioned on the second teeth T2. The first poles 121A and 121B include a first base 121A and a first protrusion 121B, and the second poles 122A and 122B include a second base 122A and a second protrusion 122B. can do.

제1베이스(121A)는 제1치아(T1)의 치관 경부(TM)의 표면에 설치되고, 제2베이스(122A)는 제2치아(T2)의 치관 경부(TM)의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돌출부(121B)는 제1베이스(121A)로부터 돌출하고, 제2돌출부(122B)는 제2베이스(121B)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제1돌출부(121B) 및 제2돌출부(122B)에는 견인부(123)가 걸릴 수 있다.The first base 121A may b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crown TM of the first tooth T1, and the second base 122A may b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crown TM TM of the second tooth T2. have. The first protrusion 121B may protrude from the first base 121A, and the second protrusion 122B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base 121B. The traction part 123 may be caught by the first protrusion 121B and the second protrusion 122B.

견인부(123)는 발치 공간(TS)을 향해 한 쌍의 치아(T1, T2)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치아(T1, T2)의 각각의 치관 경부(TM)를 견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인부(123)는 제1돌출부(121B) 및 제2돌출부(122B)에 각각 연결되고, 이들을 통해서 제1치아(T1)의 치관 경부(TM) 및 제2치아(T2)의 치관 경부(TM)에 발치 공간(TS)을 향한 힘(F2)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견인부(123)가 인가하는 힘(F2)의 크기는 약 50 g/m2 이하일 수 있다.The traction unit 123 may pull each of the crowns TM of the pair of teeth T1 and T2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teeth T1 and T2 approaches toward the tooth extraction space TS. For example, the traction part 123 is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sion 121B and the second protrusion 122B, respectively, and through them the crown TM of the first tooth T1 and the second tooth T2. A force F2 may be provided to the crown neck TM towards the extraction space TS. Here, the magnitude of the force F2 applied by the traction unit 123 may be about 50 g/m 2 or less.

견인부(123)는 그 형태가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인부(123)는 늘어나지 않고 실질적으로 응력이 인가되지 않은 제1형태(도 5 참조) 및 팽창하고 실질적으로 응력이 작용하는 제2형태(도 6 참조) 사이에서 변화할 수 있다.The traction unit 123 may be configured to change its shape. For example, the traction portion 123 may change between a first unstretched, substantially unstressed configuration (see FIG. 5 ) and a second, expanded, substantially stressed configuration (see FIG. 6 ). .

견인부(123)는 지지부(111)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기에 적합한 폭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인부(123)는 실질적으로 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견인부(12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견인부(123)는 제1돌출부(121B)에 맞물리는 제1 맞물림 부분(123A) 및 제2돌출부(122B)에 맞물리는 제2 맞물림 부분(114B)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ction part 123 may have a width and length suitable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11 . For example, the traction part 123 may have a substantially band shape. In addition, the traction part 123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ulling portion 123 may include a first engaging portion 123A engaged with the first protrusion 121B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114B engaging with the second protrusion 122B.

견인부(123)는 지지부(11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1)의 양 측에 2개의 견인부(123)가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견인부(123)의 어느 일 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견인부(123)는 그 중앙 부분이 지지부(111)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traction part 123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11 . As shown, two traction parts 123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111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osed only on either side of the traction part 123 . In addition, the traction part 123 may be installed so that its central part is fixed to the support part 111 .

견인부(123)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인부(123)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견인부(123)는 상대적으로 약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The traction part 123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For example, the traction part 12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The traction part 123 may have relatively weak rigidity.

견인부(123)의 강성은 지지부(111)의 강성보다 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질에 의하면, 지지부(111)가 한 쌍의 치아(T1, T2)의 치관(TC)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견인부(123)가 한 쌍의 치아(T1, T2)의 치관 경부(TM)를 견인함으로써, 한 쌍의 치아(T1, T2)의 치근의 이동이 유도될 수 있다.The rigidity of the traction part 123 may be weaker than that of the support part 111 . According to this property,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111 substantially fixes the movement of the crown TC of the pair of teeth T1 and T2, the traction unit 123 is the pair of teeth T1 and T2. By pulling the crown neck (TM) of the tooth root movement of the pair of teeth (T1, T2) can be induced.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10')는 서로 다른 강성을 갖는 지지부(111')를 갖는 고정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체(110')는 앞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설명한 강성 유지부(115)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orthodontic device 1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fixture 110 ′ having a support 111 ′ having different rigidity. In this case, the fixing body 110 ′ may not include the rigid holding part 115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지지부(111')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부분(111A') 및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부분(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부분(111A')이 한 쌍의 치아(T1, T2) 중 치관(TC)을 구성하는 영역과 접촉하고 하부 부분(111B')이 한 쌍의 치아(T1, T2) 중 치관(TC)을 제외한 영역, 예를 들어 치관 경부(TM)를 구성하는 영역과 접촉하도록, 지지부(111')의 치수가 결정되거나 지지부(111')가 발치 공간에 적절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111'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111A' positioned at a relatively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111B' positioned at a relatively lower portion. For example, the upper portion 111A' is in contact with the region constituting the crown TC among the pair of teeth T1 and T2, and the lower portion 111B' is the crown of the pair of teeth T1 and T2. The dimensions of the support 111 ′ may be determined or the support 111 ′ may be disposed in an appropriate shape in the extraction space so as to contact the region other than the TC, for example, the region constituting the crown neck TM.

상부 부분(111A')은 하부 부분(111B')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고 탄성이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고 탄성이 낮은 상부 부분(111A')은 한 쌍의 치아(T1, T2)의 치관(TC)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한편, 상대적으로 강성이 낮고 탄성이 높은 하부 부분(111B')은 발치 공간(TS)을 원하는 만큼 축소시킬 수 있다.The upper part 111A' may be set to have relatively high rigidity and low elasticity compared to the lower part 111B'. Therefore, the upper portion 111A' having relatively high rigidity and low elasticity can substantially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crown TC of the pair of teeth T1 and T2, while having relatively low rigidity and high elasticity. The lower portion 111B' may reduce the extraction space TS as desired.

이하, 도 4 및 도 6 내지 도 9와 함께 도 10을 참조하며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along with FIGS. 4 and 6 to 9 .

먼저, 치관(TC)의 이동을 고정하는 단계(410)에서, 발치 공간(TS)의 크기에 맞게 지지부(111)를 발치 공간(TS)에 배치할 수 있다. 지지부(111)가 한 쌍의 치아(T1, T2)와 접촉할 때, 지지부(111)의 강성 및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강성 유지부(115)가 지지부(111)에 설치될 수 있다. 이후, 지지부(111) 및 강성 지지부(115)를 포함하는 고정체(110)는 한 쌍의 치아(T1, T2)가 발치 공간(TS)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의 치관(TC)에 힘(F1)을 인가하며 치관(TC)의 이동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발치 공간(TS)을 향한 한 쌍의 치아(T1, T2)의 치근의 이동이 유리할 수 있다.First, in the step 410 of fixing the movement of the crown TC, the support 111 may be disposed in the extraction space TS to match the size of the extraction space TS. When the support 1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ir of teeth T1 and T2 , the rigidity retaining part 115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111 so that the rigidity and shape of the support 111 may be maintained. Then, the fixture 110 including the support 111 and the rigid support 115 is a pair of teeth (T1, T2)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extraction space (TS) to each crown (TC) force (F1) ) and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crown (TC).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root of the pair of teeth (T1, T2) toward the extraction space (TS) may be advantageous.

이후, 견인부(123)를 인접하는 한 쌍의 치아(T1, T2)의 각각의 치관 경부(TM)에 설치된 홀더(121, 122)의 제1폴(121A, 121B) 및 제2폴(122A, 122B)에 연결하고, 발치 공간(TS)을 향해 한 쌍의 치아(T1, T2)의 치관 경부(TM)에 힘(F2)을 인가함으로써 치관 경부(TM)를 당기는 단계(4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치관(TC)이 고정된 상태에서 발치 공간(TS)을 향한 치근의 이동을 가속화할 수 있다.Thereafter, the first poles 121A and 121B and the second poles 122A of the holders 121 and 122 installed in the respective crowns TM of the pair of teeth T1 and T2 adjacent to the traction part 123 . , 122B, pulling the crown TM by applying a force F2 to the crown TM of the pair of teeth T1 and T2 towards the extraction space TS 420 is performed can be This may accelerate the movement of the tooth root toward the extraction space TS in a state in which the crown TC is fixed.

이후, 치근이 초기 위치에서 약 2 mm 정도 이동된 것으로 확인되면, 치관의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430)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11) 및 제1치아(T1) 사이 그리고 지지부(111) 및 제2치아(T2) 사이에 약 1 내지 1.5 mm 정도의 유격이 부여될 수 있다. 유격의 부여는 더 작은 크기의 새로운 지지부(111)로 교체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거나, 강성 유지부(115)를 지지부(111)로부터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견인부(123)는 제거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힘(F2)을 가하고 있으므로, 치관(TC) 또한 발치 공간(TS)을 향해 약 1 내지 1.5 mm 정도 이동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하면, 앞서 부여했던 유격이 제거되고 치관(TC)은 지지부(111)에 의해 다시 이동이 고정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oot has moved about 2 mm from the initial position, the step 430 of releasing the fixation of the crown may be performed. Here, a clearance of about 1 to 1.5 mm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art 111 and the first tooth T1 and between the support part 111 and the second tooth T2 . The provision of play may be made by replacing the new support part 111 with a smaller size, or by removing the rigid retaining part 115 from the support part 111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traction part 123 is not removed and the force F2 is continuously applied, the crown TC may also move toward the extraction space TS by about 1 to 1.5 mm. When time elapses, the previously provided clearance may be removed and the crown TC may be fixed to move again by the support 111 .

상기와 같은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약 7 mm 길이를 갖는 발치 공간(TS)의 크기가 점점 감소해서 치아의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If the above steps are repeatedly performed, the size of the extraction space (TS) having a length of about 7 mm is gradually reduced, so that the teeth can be orthodontized.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1)

인접하는 한 쌍의 치아 사이의 발치 공간을 축소하기 위한 교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치아의 각각의 치관의 이동을 고정하는 고정체; 및
상기 한 쌍의 치아의 각각의 치근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동 유도체;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발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발치 공간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치아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치아의 각각의 치관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도체는, 상기 발치 공간을 향해 상기 한 쌍의 치아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치아의 각각의 치관 경부를 견인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
In the orthodontic device for reducing the extraction space between a pair of adjacent teeth,
a fixture for fixing the movement of each crown of the pair of teeth; and
a movement derivative for inducing movement of each root of the pair of teeth;
including,
The fixture includes a support portion disposed in the extraction space and supporting each crown of the pair of teeth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ooth extraction space,
The moving derivative is an orthodontic device including a traction unit for pulling each crown neck of the pair of teeth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teeth approaches toward the tooth extraction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강성을 유지하는 강성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교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body, the orthodontic device is installed on the support and further comprises a rigidity holding portion for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sup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유지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길이 영역;
상기 제1 길이 영역의 제1단부로부터 상기 제1 길이 영역이 연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길이 영역; 및
상기 제1 길이 영역의 제1단부의 맞은편 제2단부로부터 상기 제2 길이 영역이 연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길이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길이 영역을 수용하는 제1개구; 및
상기 제3 길이 영역을 수용하는 제2개구;
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igidity retaining unit,
a first longitudinal reg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length region extending from a first end of the first length region in a direction intersec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ength region extends; and
a third length region extending from a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of the first length region in a direction intersec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length region extends;
including,
The support part,
a first opening receiving the second length region; and
a second opening for receiving the third length region;
orthodontic device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길이 영역은 상기 제1개구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3 길이 영역은 상기 제2개구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되는 교정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length region is removably received in the first opening and the third length region is removably received in the second ope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 영역은 상기 지지부 위에 배치되는 교정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length region is disposed above th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도체는, 상기 견인부를 유지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ovable guide includes a holder for holding the traction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제1폴 및 제2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폴은,
상기 한 쌍의 치아 중 제1치아의 치관 경부에 설치된 제1베이스; 및
상기 제1베이스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견인부의 제1단부에 연결된 제1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폴은,
상기 한 쌍의 치아 중 제2치아의 치관 경부에 설치된 제2베이스; 및
상기 제2베이스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견인부의 제2단부에 연결된 제2돌출부;
를 포함하는 교정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holder includes a first pole and a second pole,
The first pole is
a first base installed on the crown of the first tooth among the pair of teeth; and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base and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traction unit;
including,
The second pole is
a second base installed on the crown of the second tooth among the pair of teeth;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base a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traction unit;
orthodontic device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늘어나지 않고 응력이 인가되지 않은 제1형태 및 팽창하고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와 맞물리며 응력이 작용하는 제2형태 사이에서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교정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tractor is configured to change between a non-stretched, unstressed first configuration and a stress applied second configuration that expands and engages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견인부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강성은 상기 견인부의 강성보다 큰 교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and the traction part ar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the rigidity of the support part is greater than the rigidity of the trac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치아 사이에 상기 발치 공간의 바닥 부분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교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ortion is an orthodontic devic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extraction space between the pair of tee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치아 중 치관을 구성하는 영역과 접촉하는 상부 부분; 및
상기 한 쌍의 치아 중 치관을 구성하는 영역을 제외하는 영역과 접촉하는 하부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분의 강성은 상기 하부 부분의 강성보다 크고, 상기 하부 부분의 탄성은 상기 상부 부분의 탄성보다 큰 교정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an upper portion in contact with a region constituting the crown of the pair of teeth; and
a lower portion in contact with an area excluding the area constituting the crown of the pair of teeth;
including,
The rigidity of the upper part is greater than the rigidity of the lower part, and the elasticity of the lower part is great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upper part.
KR1020200058459A 2020-05-15 2020-05-15 Orthodontic device KR102348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459A KR102348952B1 (en) 2020-05-15 2020-05-15 Orthodont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459A KR102348952B1 (en) 2020-05-15 2020-05-15 Orthodont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160A true KR20210141160A (en) 2021-11-23
KR102348952B1 KR102348952B1 (en) 2022-01-10

Family

ID=78695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459A KR102348952B1 (en) 2020-05-15 2020-05-15 Orthodont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952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843Y1 (en) * 1999-12-23 2000-06-01 전윤식 Bondable power arm for orthodontics
KR100735485B1 (en) * 2006-07-25 2007-07-03 김재성 Anti tipping retraction bracket
KR20090024977A (en) * 2007-09-05 2009-03-10 김재성 Improved anti tipping retraction bracket
KR20170102471A (en) * 2015-01-05 2017-09-11 얼라인 테크널러지, 인크. Method to modify aligner by modifying tooth position
US20180049846A1 (en) * 2014-03-13 2018-02-22 Martz, Inc. Tooth-positioning appliance for closing spaces
KR20180092709A (en) *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석랩 Orthodontic deivce
US20190321136A1 (en) * 2013-12-11 2019-10-24 Martz Inc. Tooth-positioning appliance,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KR20190143823A (en) * 2018-06-21 2019-12-31 청 시앙 훙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843Y1 (en) * 1999-12-23 2000-06-01 전윤식 Bondable power arm for orthodontics
KR100735485B1 (en) * 2006-07-25 2007-07-03 김재성 Anti tipping retraction bracket
KR20090024977A (en) * 2007-09-05 2009-03-10 김재성 Improved anti tipping retraction bracket
US20190321136A1 (en) * 2013-12-11 2019-10-24 Martz Inc. Tooth-positioning appliance,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US20180049846A1 (en) * 2014-03-13 2018-02-22 Martz, Inc. Tooth-positioning appliance for closing spaces
KR20170102471A (en) * 2015-01-05 2017-09-11 얼라인 테크널러지, 인크. Method to modify aligner by modifying tooth position
KR20180092709A (en) * 2017-02-10 2018-08-20 주식회사 석랩 Orthodontic deivce
KR20190143823A (en) * 2018-06-21 2019-12-31 청 시앙 훙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952B1 (en)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9101036A (en) DEVICE FOR QUICK CONNECTION BETWEEN A FULLY IMPLANTED HEART PROSTHESIS AND NATURAL ATURIAL EARS
EP1723938A3 (en) Stent coating holders
WO2005048868A3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for mounting an arch wire on said bracket
JP2009533107A (en) Surgical fixation device for two bone parts
KR102348952B1 (en) Orthodontic device
KR101539755B1 (en) Fixing apparatus for orthodontic reatment
US8634149B2 (en) System tube and process for supporting cylindrical elements of an endoscope optical system
WO2016013274A1 (en) Dilator for medical use
KR101625177B1 (en) Implant for fixing the femoral
KR100982459B1 (en) Height and width adjustable enclosure
US20130101959A1 (en) Retractor for dental treatment
JP4767671B2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system
JP2006068441A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apparatus
US20030044745A1 (en) Anchor implanting device for orthodontics
CN210080212U (en) Clamping device
KR20190023303A (en) Apparatus for insertion of nerve electrodes
JP2005131147A (en) Intraocular lens inserter
RU2113180C1 (en) Microsurgical fixative
KR20180075903A (en) Orthodontic self-ligating bracket easy to alignment
JP5122259B2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system
KR101698126B1 (en) Self Ligature Bracket for Orthodontics
KR101147810B1 (en) Fixation clip and fixation device for orthodontic use comprising the same
KR100988306B1 (en) Surgical implanting driver for fixture
KR20000037379A (en) Dentition reform bracket
CN205126423U (en) Peep soft lens in fibre and hang fix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