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9155A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9155A
KR20210139155A KR1020210057138A KR20210057138A KR20210139155A KR 20210139155 A KR20210139155 A KR 20210139155A KR 1020210057138 A KR1020210057138 A KR 1020210057138A KR 20210057138 A KR20210057138 A KR 20210057138A KR 20210139155 A KR20210139155 A KR 20210139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ing
terminal
connector
plat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3900B1 (en
Inventor
준지 오오사카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91146A external-priority patent/JP7348135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2280A external-priority patent/JP7366844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5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97328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20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7395437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2198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45551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32981A external-priority patent/JP7461245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4132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71960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55230A external-priority patent/JP7467296B2/en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9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91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9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nnector assembly formed by fitting: a connector (100) having a ground terminal (40) having a first terminal (41) and a second terminal (42) and a shielding portion (plate portion (44))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42), and a conductive shell (50) forming a frame shape; with a mating connector (200) having a mating ground terminal (70) provided with a first terminal (71) and a second terminal (72)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42), respectively, and a mating shielding portion (mating plate portion (73)) positioned between the mating first terminal (71) and the mating second terminal (72), and a conductive mating shell (80) forming a frame shape, wherein the ground terminal (40) and the shell (50) are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a metal plate, and the ground terminal (40) and the mating ground terminal (7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making elastic contact between the shielding portion and the mating shielding portion. Accordingly, the number of parts and assembly man-hours are reduced.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connector assembly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가 대향되어 끼워맞춤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connector and a mating connector are fitted oppositely.

도 1a, 1b, 2는 서로 끼워맞춤되어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 1(일본 특개 2019-12143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커넥터(특허문헌 1에서는 리셉터클이라고 칭하고 있음)(10) 및 상대측 커넥터(특허문헌 1에서는 플러그라고 칭하고 있음)(20)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1A, 1B, and 2 are a connecto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9-121439) as a prior art example of a connector and a mating connector that are fitted together to form a connector assembly (referred to as a receptacle in Patent Document 1) ) 10 and a mating connector (referred to as a plug in Patent Document 1) 20 are respectively shown.

커넥터(10)는 커넥터 하우징(11)에 신호 단자(12, 13, 14) 및 그라운드 단자(15, 16)가 장착되고, 또한 셸 형상 도체(17)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셸 형상 도체(17)는 커넥터 하우징(11)의 외주측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대략 장방형의 환상을 이루고, 커넥터 하우징(11)의 상면 외주 및 측면 상부를 둘러싸고 있다.The connector 1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signal terminals 12 , 13 , 14 and ground terminals 15 , 16 are attached to a connector housing 11 , and a shell-shaped conductor 17 is attached thereto. The shell-shaped conductor 17 form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annular shape continuou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11 , and surrounds the upper surface outer periphery and the sid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11 .

신호 단자(12∼14)는 그라운드 단자(15, 16)를 사이에 끼고 배치되어 있고, 그라운드 단자(15, 16)에 의해 신호 단자(12∼14)는 서로 떨어져 있다. 그라운드 단자(15, 16)는 판재의 블랭킹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The signal terminals 12 to 14 are arranged with the ground terminals 15 and 16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ignal terminals 12 to 1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ground terminals 15 and 16. The ground terminals 15 and 16 are formed by blanking a plate material, and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1B.

커넥터 하우징(11)은 중앙에 끼워맞춤부 삽입 구멍(11a)을 가지고, 신호 단자(12∼14) 및 그라운드 단자(15, 16)는 끼워맞춤부 삽입 구멍(11a)에 노출되어 있다. 도 1a, 1b 중, 12a∼16a는 각각 신호 단자(12∼14) 및 그라운드 단자(15, 16)의 실장 기판으로의 접속 단부를 나타낸다.The connector housing 11 has a fitting portion insertion hole 11a in the center, and the signal terminals 12 to 14 and ground terminals 15 and 16 are exposed in the fitting portion insertion hole 11a. 1A and 1B, 12a to 16a indicate the connection ends of the signal terminals 12 to 14 and the ground terminals 15 and 16 to the mounting board, respectively.

상대측 커넥터(20)는 커넥터 하우징(21)에 신호 단자(22, 23, 24)가 장착되고, 또한 셸 형상 도체(25)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신호 단자(22∼24)는 커넥터 하우징(21)의 인서트 성형 수지부(26)의 중앙부에 정렬 배치된 돌출부(26a∼26c)에 유지되어 있다. 셸 형상 도체(25)는 커넥터 하우징(21)의 둘레벽부(27)를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The mating connector 2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signal terminals 22 , 23 , 24 are attached to a connector housing 21 , and a shell-shaped conductor 25 is attached thereto. The signal terminals 22 to 24 are held by protrusions 26a to 26c arranged in alignment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ert molded resin portion 26 of the connector housing 21 . The shell-shaped conductor 25 has a shape along the peripheral wall portion 27 of the connector housing 21 .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10) 및 상대측 커넥터(20)는 각각 외부 실드로서의 셸 형상 도체(17 및 25)를 갖추고, 또한 커넥터(10)는 신호 단자(12∼14) 사이를 차폐하는 내부 실드를 이루는 그라운드 단자(15, 16)를 갖추는 것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EMC 대책 및 신호 단자 간의 크로스 토크 대책이 시행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connector 10 and the mating connector 20 each have the shell-shaped conductors 17 and 25 as external shields, and the connector 10 shields between the signal terminals 12 to 14. The ground terminals 15 and 16 constituting the inner shield are provided, and thereby, the EMC countermeasure and the crosstalk countermeasure between the signal terminals are implemented.

그런데, 커넥터(10)에서는 외부 실드를 이루는 셸 형상 도체(17)와 내부 실드를 이루는 그라운드 단자(15, 16)는 별체(다른 부품)이며, 또한 그라운드 단자(15와 16)도 별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부품수가 많아, 조립 공수도 늘어나게 되어 있었다.However, in the connector 10, the shell-shaped conductor 17 forming the outer shield and the ground terminals 15 and 16 forming the inner shield are separate (different parts), and the ground terminals 15 and 16 are also separate. For this reason, the number of parts was large, and the number of assembling man-hours was also increased.

본 발명의 목적은 이 문제를 감안하여,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쌍방이 외부 실드 및 내부 실드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종래보다도 부품수를 줄일 수 있게 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n view of this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a configuration in which both a connector constituting a connector assembly and a mating connector are provided with an outer shield and an inner shield. have.

일방의 커넥터와 타방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일방의 커넥터는 원피스의 금속 부품을 가지고 있다. 금속 부품의 일부가 셸의 전부 또는 일부이며, 금속 부품의 나머지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가 그라운드 단자의 전부 또는 일부이다. 셸은 외부 실드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라운드 단자는 내부 실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차폐부를 가지고 있다.In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one connector and the other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one connector has a one-piece metal part. A part of the metal part is all or part of the shell, and all or part of the remaining part of the metal part is all or part of the ground terminal. The shell serves as an external shield. The ground terminal has a shield that serves as an inner shield.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가 끼워맞춤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커넥터에서는 외부 실드를 이루는 셸과 이종 단자 사이를 전자(電磁)적으로 차폐하는 내부 실드를 이루는 차폐부를 갖춘 그라운드 단자가 금속판의 굽힘 가공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부품수 및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connector and a mating connector are fitted, in the connector, a ground terminal having a shielding portion forming an inner shield for electromagnetically shielding between a shell forming an outer shield and a different terminal is a metal plate Since it is integrally formed by the bending process of

도 1a는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커넥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상대측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일방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커넥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4a는 도 3a에 나타낸 커넥터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에서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도 3a에 있어서의 셸과 일체의 그라운드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3a에 있어서의 인슐레이터 및 인슐레이터에 유지된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상대측 커넥터를 도시하는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 나타낸 상대측 커넥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8a는 도 7a에 나타낸 상대측 커넥터의 정면도.
도 8b는 도 8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도 9는 도 7a에 있어서의 상대측 셸의 사시도.
도 10은 도 7a에 있어서의 상대측 인슐레이터 및 상대측 인슐레이터에 유지된 상대측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b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c는 도 11b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
도 11d는 도 11b에 있어서의 F-F선 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2를 구성하는 일방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낸 커넥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도 12a에 있어서의 셸과 일체의 그라운드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2를 구성하는 상대측 커넥터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4b는 도 14a에 나타낸 상대측 커넥터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15a는 도 14a에 나타낸 상대측 커넥터의 정면도.
도 15b는 도 15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도 16a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2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b는 도 16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constituting a conventional connector assembly;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1A;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ting connector constituting a conventional connector assembly;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showing one connector constituting Embodiment 1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3A as viewed from below;
Fig. 4A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3A;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4A;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und terminal integral with the shell in Fig. 3A;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ulator in Fig. 3A and a terminal held by the insulator;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showing a mating connector constituting Embodiment 1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ting connector shown in Fig. 7A as viewed from below;
Fig. 8A is a front view of the mating connector shown in Fig. 7A;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8A;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ting shell in Fig. 7A;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ting insulator in Fig. 7A and the mating terminal held by the mating insulator;
11A is a plan view showing Embodiment 1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B is a front view showing Embodiment 1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in Fig. 11B;
Fig. 11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F in Fig. 11B;
Fig. 12A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showing one connector constitut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12A as viewed from below;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ound terminal integral with the shell in Fig. 12A;
14A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a mating connector constituting Embodiment 2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ting connector shown in Fig. 14A as viewed from below;
Fig. 15A is a front view of the mating connector shown in Fig. 14A;
Fig. 15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15A;
Fig. 16A is a plan view showing Embodiment 2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16A;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Form for implementing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도 3a, 3b, 4a, 4b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 1을 구성하는 일방의 커넥터(100)를 도시한 것으로, 커넥터(100)는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와 그라운드 단자(40)와 셸(50)과 인슐레이터(60)로 구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단자(40)는 이 예에서는 커넥터(100)의 외곽을 구성하는 셸(50)과 일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일체 형성되어 있는 그라운드 단자(40) 및 셸(50)의 상세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인슐레이터(60) 및 인슐레이터(60)에 유지되어 있는 제1 단자(41), 제2 단자(42)를 도시한 것이다.3A, 3B, 4A, and 4B show one connector 100 constituting Embodiment 1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nnector 100 includes a first terminal 41 and a second terminal 42 ), a ground terminal 40 , a shell 50 , and an insulator 60 . The ground terminal 4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ell 50 constitu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or 100 in this example. 5 shows the details of the ground terminal 40 and the shell 50 that are integrally formed, and FIG. 6 shows the insulator 60 and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held by the insulator 60. (42) is shown.

인슐레이터(60)는 수지제로 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룬다. 인슐레이터(6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제1 단자(41)가 부착되어 있고, 인슐레이터(60)의 중앙부에는 제2 단자(42)가 2열 각 2개, 합계 4개 부착되어 있다.The insulator 60 is made of resin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Each of the first terminals 41 is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insulator 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second terminals 42 are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sulator 60 in two rows, two in total, respectively.

제1 단자(41)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편(41a)을 가지며, 제2 단자(42)도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편(42a)을 가지고 있다. 이들 제1 단자(41) 및 제2 단자(42)의 기판과의 접속부(41b, 42b)는 인슐레이터(60)의 바닥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제1 단자(41)는 이 예에서는 고주파 신호용(고속 전송용)으로 되어 있고, 4개의 제2 단자(42)는 저주파 신호용(저속 전송용)으로 되어 있다.The first terminal 41 has a pair of opposing contact pieces 41a, and the second terminal 42 also has a pair of opposing contact pieces 42a. The connecting portions 41b and 42b of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42 to the substrate ar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insulator 60 . The two first terminals 41 are for high-frequency signals (for high-speed transmission) in this example, and the four second terminals 42 are for low-frequency signals (for low-speed transmission).

도전성의 셸(50)은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ㄷ자 형상의 외벽을 가지는 2체에 의해 사각형의 프레임체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사각형의 장변을 이루는 대향 2변에 각각 위치하는 외벽부(51) 및 사각형의 단변을 이루는 대향 2변에 각각 위치하는 외벽부(52)의 각 상단에는 프레임의 내측으로 약간 돌출하도록 만곡된 만곡부(51a, 5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conductive shell 50 is formed by bending a metal plate, and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is constituted by two bodies having a U-shaped outer wall. A curved portion ( 51a and 52a) are formed, respectively.

셸(50)과 일체의 그라운드 단자(40)는 셸(50)의 프레임 내에 2개 형성되어 있고, 그라운드 단자(40)는 대향하는 외벽부(51)에 양단이 연결 지지되어 있다. 그라운드 단자(40)는 셸(50)의 길이 방향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Two ground terminals 40 integral with the shell 50 are formed in the frame of the shell 50 , and both ends of the ground terminals 40 are connected and supported by the opposite outer wall portions 51 . The ground terminal 40 is provided at two loca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ll 50 .

그라운드 단자(40)는 상방으로 개구하는 ㄷ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ㄷ자 형상부(43)가 이웃하여 동일 평면 위에 위치하여 구성되는 판부(44)를 중앙에 가지고, 한 쌍의 ㄷ자 형상부(43)의 서로 이웃하는 ㄷ자의 다리부(43a)의 선단측에는 돌기부(43b)가 서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ground terminal 40 has a plate portion 44 in the center of which a pair of U-shaped portions 43 that form a U-shape opening upward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nd a pair of U-shaped portions 43 ), protrusions 43b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each other on the tip side of the adjacent U-shaped leg portions 43a.

그라운드 단자(40)는 상기한 판부(44)와, 대향하는 외벽부(51)의 하단으로부터 프레임의 내측으로 각각 절곡 연장된 형상을 이루는 연결부(45)와, 각 연결부(45)로부터 절곡되어 일으켜 세워진 피유지부(46)와, 각 피유지부(46)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한 쌍의 ㄷ자 형상부(43)의 서로 외측에 위치하는 다리부(43c)의 선단에 각각 이르는 연장부(47)로 구성된다. 또한, 각 피유지부(46)에는 각각 한 쌍의 돌기(46a)가 폭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ground terminal 40 is formed by bending the plate portion 44, the connecting portion 45 forming a shape bent and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opposite outer wall portion 51 to the inside of the frame, and each connecting portion 45. The upright held part 46 and the extended part 47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each held part 46 and reaching the tips of the leg parts 43c located outside each other of the pair of U-shaped parts 43, respectively. ) is composed of In addition, a pair of projections 46a are formed in each to-be-held portion 46 to protrude in the width direction.

각 외벽부(51)의 하단에 있어서의 2개의 연결부(45)에 사이에 끼인 부분에는 작은 크기의 절결부(53)가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부(53)는 인슐레이터(60)에 유지되어 인슐레이터(60)의 바닥면측에 노출되어 있는 제2 단자(42)의 접속부(42b)의 위치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Two small-sized cutouts 53 are formed in the portion sandwiched between the two connecting portions 45 at the lower end of each outer wall portion 51 . These cutouts 53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onnection portions 42b of the second terminals 42 held by the insulator 60 and expos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insulator 60 .

상기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 단자(40)가 일체 형성된 셸(50)은 제1 단자(41) 및 제2 단자(42)를 유지한 인슐레이터(60)에 부착된다. 부착은 인슐레이터(60)의 위로부터 셸(50)을 씌우고 밀어 넣음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2개의 그라운드 단자(40)의, 돌기(46a)를 갖춘 각 한 쌍의 피유지부(46)가 인슐레이터(60)의 4개소의 오목부(61)에 각각 압입되어 고정, 지지된다. 또, 2개의 그라운드 단자(40)의, 각 한 쌍의 ㄷ자 형상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판부(44)는 각각 인슐레이터(60)의 슬릿(62)에 삽입되고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차폐부를 구성하고, 이것에 의해 도 3a, 3b, 4a, 4b에 도시한 커넥터(100)가 완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hell 50 integrally formed with the ground terminal 40 is attached to the insulator 60 holding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42 . Attachment is performed by covering and pushing the shell 50 from above the insulator 60 . At this time, each pair of held portions 46 of the two ground terminals 40 provided with the projections 46a are press-fitted into the concave portions 61 of four places of the insulator 60, respectively, to be fixed and supported. In addition, the plate portions 44 of the two ground terminals 40 including a pair of U-shaped portions 43 are inserted into the slits 62 of the insulator 60, respectively, and the first terminal 41 , respectively. and the second terminal 42 to form a shielding portion, thereby completing the connector 100 shown in Figs. 3A, 3B, 4A, and 4B.

다음에 상기한 커넥터(100)와 끼워맞춤되어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mating connector 200 that is fitted with the connector 100 and constitutes a connector assembly.

도 7a, 7b, 8a, 8b는 상대측 커넥터(200)를 도시한 것으로, 상대측 커넥터(200)는 상대측 제1 단자(71)와 상대측 제2 단자(72)와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와 상대측 셸(80)과 상대측 인슐레이터(9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9는 상대측 셸(80)의 상세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상대측 커넥터(200)로부터 상대측 셸(80)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7A, 7B, 8A, and 8B illustrate the mating connector 200, the mating connector 200 includes a mating first terminal 71, a mating second terminal 72, a mating ground terminal 70, and a mating shell. (80) and an insulator (90) on the opposite side. FIG. 9 shows details of the mating shell 80 , and 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ting shell 80 is removed from the mating connector 200 .

상대측 인슐레이터(90)는 수지제로 되어 있고, 바닥판부(91)와, 바닥판부(91)의 4개의 코너부에 각각 설치된 측벽(92)을 가진다. 바닥판부(9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상대측 제1 단자(71)가 부착되어 있고, 바닥판부(91)의 중앙부에는 상대측 제2 단자(72)가 2열 각 2개, 합계 4개 부착되어 있다. 또, 2개의 상대측 제1 단자(71)와 4개의 상대측 제2 단자(72)의 각 사이에는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The mating insulator (90) is made of resin, and has a bottom plate portion (91) and side walls (92) provid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bottom plate portion (91), respectively. The opposite first terminals 71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portion 9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pposite second terminals 72 are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late portion 91, two each in two rows, four in total. have. In addition, a mating ground terminal 70 is attached between each of the two mating first terminals 71 and the four mating second terminals 72, respectively.

상대측 제1 단자(71)는 기둥 형상을 이루고, 하단에는 기판과의 접속부(71a)를 갖추고 있다. 상대측 제2 단자(72)는 판 형상을 이루고, 하단에는 기판과의 접속부(72a)를 갖추고 있다. 2개의 상대측 제1 단자(71)는 고주파 신호용으로 되어 있고, 4개의 상대측 제2 단자(72)는 저주파 신호용으로 되어 있다.The mating first terminal 71 has a columnar shape, and a connection portion 71a with a substrat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opposing second terminal 72 has a plate shape, and a connection portion 72a with a substrat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two mating first terminals 71 are for high-frequency signals, and the four mating second terminals 72 are for low-frequency signals.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장 방향 중앙에 상대측 판부(73)를 가지고, 상대측 판부(73)는 서로의 사이에 상방으로 개구하는 오목부(74)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돌출부(75)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75)는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바닥판부(91) 위로 돌출해 있다. 상대측 판부(73)에 있어서, 한 쌍의 돌출부(75)의 하단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76)는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바닥면측에 위치하여 노출되어 있다.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대측 판부(73)와, 상대측 판부(73)의 연결부(76)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연장부(77)로 구성된다. 2개의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의 상대측 판부(73)는 상대측 제1 단자(71)와 상대측 제2 단자(72)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상대측 차폐부를 구성한다.As shown in Fig. 8B, the mating ground terminal 70 has a mating plate part 73 in the center of the extension direction, and the mating plate part 73 constitutes a concave part 74 that opens upward between each other. It has a shape having a pair of protrusions 75 . A pair of protrusions 75 protrude above the bottom plate 91 of the insulator 90 on the opposite side. In the mating plate portion 73 , the connecting portion 76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protruding portions 75 is exposed and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mating insulator 90 . The mating ground terminal 70 includes the mating plate part 73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e extension parts 77 respectively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art 76 of the mating plate part 73 . The opposing plate parts 73 of the two opposing ground terminals 70 are respectively positioned between the opposing first terminal 71 and the opposing second terminal 72 to constitute the opposing shielding unit.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도전성의 상대측 셸(80)은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장변을 이루는 대향 2변에 각각 위치하는 외벽부(81)와, 사각형의 단변을 이루는 대향 2변에 각각 위치하는 외벽부(82)와, 외벽부(81과 82)의 상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83)를 갖춘다. 한 쌍의 연결부(83)는 사각형의 프레임의 장변 방향 양단을 각각 약간 막는 것과 같은 판면을 가진다.The conductive opposite shell 80 form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is formed by bending a metal plate, and as shown in FIG. 9 , an outer wall portion 81 positioned on two opposite sides forming the long side of the rectangle; An outer wall portion 82 positioned on two opposite sides constituting the short side of the quadrangle, and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83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outer wall portions 81 and 82 are provided. The pair of connecting portions 83 have a plate surface that slightly blocks both ends of the rectangular frame in the long side direction, respectively.

한 쌍의 외벽부(81)의 서로의 외측면에는 각각 가늘고 긴 볼록부(81a)가 변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외벽부(82)의 서로의 외측면에도 각각 가늘고 긴 볼록부(82a)가 변 방향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외벽부(81)의 변 방향 양단에는 외벽부(82)를 향하여 절곡 연장된 연장부(81b)가 형성되어 있다.On each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pair of outer wall portions 81 , elongated convex portions 81a are respectively formed extending in the side direction, an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pair of outer wall portions 82 , each of the elongated convex portions is also formed on each other’s outer surfaces. 82a is formed extending in the side direction. Further, extended portions 81b bent toward the outer wall portion 8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outer wall portions 81 in the side direction.

각 외벽부(81)의 하단에는 절결부(84)가 2개 형성되고, 또한 이들 2개의 절결부(84)의 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절결부(8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84)는 상대측 인슐레이터(90)에 유지되어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바닥면측에 노출되어 있는 상대측 제2 단자(72)의 접속부(72a)의 위치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절결부(85)는 상대측 인슐레이터(90)에 유지되어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바닥면측에 노출되어 있는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의 연장부(77)의 위치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외벽부(82)의 변 방향 양단에는 돌기(82b)가 서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Two cutouts 84 are formed in the lower end of each outer wall portion 81 , and cutouts 85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wo cutouts 84 in the side direction. The cut-out portion 84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72a of the opposite-side second terminal 72 held by the opposite-side insulator 90 and exposed on the bottom side of the opposite-side insulator 90, and the cut-out portion ( 85 is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77 of the mating ground terminal 70 that is held by the mating insulator 90 and exposed on the bottom side of the mating insulator 90 . At both ends of each outer wall portion 82 in the side direction, protrusions 82b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대측 셸(80)은 상대측 제1 단자(71), 상대측 제2 단자(72) 및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를 유지한 상대측 인슐레이터(90)에 부착된다. 상대측 셸(80)의 부착은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위로부터 상대측 셸(80)을 씌우고 밀어 넣음으로써 행해지고, 돌기(82b)를 갖춘 양쪽 외벽부(82)가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2개의 측벽(92)에 걸쳐 측벽(92)의 외측에 구성되어 있는 오목부(93)에 각각 압입되어, 도 7a, 7b, 8a, 8b에 도시한 상대측 커넥터(200)가 완성된다.The opposing shell 8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ttached to the opposing insulator 90 holding the opposing first terminal 71 , the opposing second terminal 72 , and the opposing ground terminal 70 . Attachment of the opposing shell 80 is performed by covering and pushing in the opposing shell 80 from above the opposing insulator 90, and both outer wall portions 82 provided with the protrusions 82b form the two side walls of the opposing insulator 90. It is press-fitted into the recessed portions 93 configur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92 over 92, respectively, to complete the mating connector 200 shown in Figs. 7A, 7B, 8A, and 8B.

상기한 커넥터(100) 및 상대측 커넥터(200)는 서로 대향되는 기판의 서로의 대향면에 각각 실장되어 서로 끼워맞춤, 접속되는 기판대기판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커넥터(100)에서는 제1 단자(41) 및 제2 단자(42)의 각 접속부(41b, 42b), 그라운드 단자(40)의 판부(44)의, 인슐레이터(60)의 바닥면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한 쌍의 ㄷ자 형상부(43)의 ㄷ자의 각 중간 부분) 및 셸(50)이 기판의 대응하는 패드나 패턴에 납땜되어 접속된다.The connector 100 and the mating connector 200 are mounted on opposite surfaces of a board facing each other to form a board-to-board connector that is fitt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 the connector 100, the first terminal ( 41) and 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41b and 42b of the second terminal 42, and the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44 of the ground terminal 40 ex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or 60 (a pair of U-shaped portions ( 43)) and the shell 50 are soldered to and connected to corresponding pads or patterns on the board.

한편, 상대측 커넥터(200)에서는 상대측 제1 단자(71) 및 상대측 제2 단자(72)의 각 접속부(71a, 72a),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의 상대측 판부(73)의 연결부(76) 및 연장부(77), 또한 상대측 셸(80)이 기판의 대응하는 패드나 패턴에 납땜되어 접속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ating connector 200, the connecting portions 71a and 72a of the mating first terminal 71 and the mating second terminal 72, the connecting portion 76 of the mating plate portion 73 of the mating ground terminal 70, and Extensions 77, and also mating shells 80, are soldered to and connected to corresponding pads or patterns on the substrate.

도 11a, 11b, 11c, 11d는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가 끼워맞춤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며, 기판의 도시는 생략했다.11A, 11B, 11C, and 11D show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nector 100 and the mating connector 200 are fitted, and illustration of the substrate is omitted.

커넥터(100)에의 상대측 커넥터(200)의 끼워맞춤에 의해, 제1 단자(41)와 상대측 제1 단자(71), 제2 단자(42)와 상대측 제2 단자(72)가 각각 끼워맞춤, 접속된다. 또, 상대측 셸(80)에 설치되어 있는 볼록부(81a, 82a)가 셸(50)의 만곡부(51a, 52a)를 타고 넘어 끼어 들어감으로써 셸(50)의 내측에 상대측 셸(80)이 끼워맞춤된다.By fitting the mating connector 200 to the connector 100,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mating first terminal 71, the second terminal 42 and the mating second terminal 72 are respectively fitted; connected Further, the convex portions 81a and 82a provided on the mating shell 80 ride over the curved portions 51a and 52a of the shell 50 and are inserted, so that the mating shell 80 is sandwiched inside the shell 50 . customized

한편, 그라운드 단자(40)의 판부(44)와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의 상대측 판부(73)는 서로 평행하고 또한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의 끼워맞춤 방향과 평행한 판면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고,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측 판부(73)의 한 쌍의 돌출부(75)는 판부(44)의 한 쌍의 ㄷ자 형상부(43)의 ㄷ자 내에 각각 삽입되어 위치하고, 한 쌍의 ㄷ자 형상부(43)의 서로 이웃하는 ㄷ자의 다리부(43a)는 상대측 판부(73)의 오목부(74)에 각각 삽입되어 위치한다. 이웃하는 ㄷ자의 다리부(43a)는 오목부(74)에의 삽입 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고, 다리부(43a)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부(43b)는 다리부(43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각각 한 쌍의 돌출부(75)의 서로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 사이의 차폐부를 구성하는 판부(44)와 상대측 제1 단자(71)와 상대측 제2 단자(72) 사이의 상대측 차폐부를 구성하는 상대측 판부(73)는 서로 도통된다.On the other hand, the plate part 44 of the ground terminal 40 and the plate part 73 of the mating ground terminal 70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have plate surfaces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connector 100 and the mating connector 200 . As shown in FIG. 11D, a pair of protrusions 75 of the opposite side plate part 73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shape of a pair of U-shaped parts 43 of the plate part 44, and a pair of The C-shaped leg portions 43a adjacent to each other of the U-shaped portion 43 are positioned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s 74 of the opposite side plate portion 73 . When the adjacent U-shaped leg portions 43a ar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74, they elastically deform in a direction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rotrusion 43b provided on the tip side of the leg portion 43a is the leg portion 43a. The respective inner surfaces of the pair of protrusions 75 elastically contact each othe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 Thereby, the plate portion 44 constituting the shield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42 and the mating shielding portion between the mating first terminal 71 and the mating second terminal 72 are formed. The opposing plate portions 7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이 예에서는 판부(44)와 상대측 판부(73)가 결합되어, 고주파 신호용의 제1 단자(41) 및 상대측 제1 단자(71)와 저주파 신호용의 제2 단자(42) 및 상대측 제2 단자(72)와의 사이에 실드가 구성된다. 도 11d 중,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a)은 이 실드가 구성되어 있는 부분을 나타내고, 이 실드에 의해 단자 간(고주파 신호용의 단자와 저주파 신호용의 단자 간 및 양쪽 고주파 신호용의 단자 간)의 전자 간섭이 차폐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xample, the plate portion 44 and the mating plate portion 73 are coupled,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mating first terminal 71 for the high frequency signal, the second terminal 42 for the low frequency signal, and the mating second terminal 41 . A shield is formed between the two terminals 72 . In Fig. 11D, a portion (a) surrounded by a dotted line indicates a portion of this shield, and the shield cause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etween terminals (between a terminal for high-frequency signals and a terminal for low-frequency signals and between terminals for both high-frequency signals). This is shielded.

판부(44)와 상대측 판부(73)는 이 예에서는 동일한 두께(판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고, 판부(44)와 상대측 판부(73)는 두께가 위치하는 범위가 일치되어, 즉 한 장의 판을 구성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판부(44)와 상대측 판부(73) 사이의 간극 및 상대측 판부(73)의 오목부(74)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판부(44)의 이웃하는 ㄷ자의 다리부(43a) 사이의 간극은 이들 판부(44) 및 상대측 판부(73)의 두께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이 예에서는 양호한 실드 성능이 확보되고 있다.The plate portion 44 and the mating plate portion 73 have the same thickness (plate thickness) in this example, and the plate portion 44 and the mating plate portion 73 have the same thickness range, that is, a single plate. are combined to form The gap between the plate part 44 and the opposing plate part 73 and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U-shaped leg parts 43a of the plate part 44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74 of the mating plate part 73 are these plate parts. It is mad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44) and the mating board part 73, and by this, good shielding performance is ensured in this example.

또한, 판부(44)의 두께와 상대측 판부(73)의 두께는 반드시 같지 않아도 되고, 두께가 상이한 경우, 판부(44)와 상대측 판부(73)는 그것들의 일방의 두께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 타방의 두께가 위치하는 범위가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판부(44)의 두께와 상대측 판부(73)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에는 판부(44)와 상대측 판부(73) 사이의 간극 및 오목부(74)에 위치하는 ㄷ자의 다리부(43a) 사이의 간극은 판부(44)와 상대측 판부(73)의 어느 하나의 두께가 작은 쪽의 두께보다도 작게 된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plate part 44 and the thickness of the opposing plate part 73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same, and when the thicknesses are different, the plate part 44 and the opposing plate part 73 are the other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thickness of one of them is located. It is combined so that the range in which the thickness is located is located. In this way, when the thickness of the plate portion 44 and the thickness of the mating plate portion 7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gap between the plate portion 44 and the mating plate portion 73 and the U-shaped leg portion 43a positioned in the concave portion 74 . The gap between the plate portion 44 and the opposite plate portion 73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maller one.

(실시예 2)(Example 2)

상기한 실시예 1에서는, 커넥터(100)의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의 사이에 위치하는 그라운드 단자(40)의 차폐부는 한 쌍의 ㄷ자 형상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판부(44)로 되어 있고, 또 상대측 커넥터(200)의 상대측 제1 단자(71)와 상대측 제2 단자(72)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의 상대측 차폐부는 서로의 사이에 오목부(74)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돌출부(75)를 가지는 형상으로 된 상대측 판부(73)로 되어 있지만, 이들 차폐부는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hielding portion of the ground terminal 4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42 of the connector 100 includes a pair of U-shaped portions 43 . It is composed of a plate portion 44, and the shielding portion of the opposite side of the opposite side ground terminal 70 positioned between the opposite side first terminal 71 and the opposite side second terminal 72 of the opposite side connector 200 is located between each other. Although the counter plate part 73 has a shape having a pair of protrusions 75 constituting the concave part 74, these shielding parts may adopt a different configuration.

실시예 2는 이와 같이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에 있어서 그라운드 단자 및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가 갖추는 차폐부를 다른 구성으로 한 것으로, 도 12a, 12b는 실시예 2에서의 커넥터(100')를 도시하고, 도 13은 커넥터(100')에서의 셸(50)과 일체의 그라운드 단자(40')를 도시한다. 또, 도 14a, 14b, 15a, 15b는 상대측 커넥터(200')를 도시하고, 도 16a, 16b는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가 끼워맞춤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들 도 12a, 12b, 13, 14a, 14b, 15a, 15b, 16a, 16b에 있어서, 도 3a, 3b, 4a, 4b, 5, 6, 7a, 7b, 8a, 8b, 9, 10, 11a, 11b, 11c, 11d에 도시한 실시예 1의 구성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is way, in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the shielding portion provided by the ground terminal and the mating ground terminal has a different configuration. Figs. 12A and 12B show the connector 100'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3 is A ground terminal 40' integral with the shell 50 in the connector 100' is shown. 14A, 14B, 15A, and 15B show the mating connector 200', and FIGS. 16A and 16B show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100' and the mating connector 200' are fitted. 12a, 12b, 13, 14a, 14b, 15a, 15b, 16a, 16b, in Figs. 3a, 3b, 4a, 4b, 5, 6, 7a, 7b, 8a, 8b, 9, 10, 11a, 11b , 11c, and 11d, parts corresponding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이 예에서는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가 갖추는 상대측 차폐부는,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평판부(78)로 구성되고,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는 이 평판부(78)와, 평판부(78)의 하변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연장부(77)로 구성된다. 평판부(78)는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바닥판부(91) 위로 돌출하여 상대측 제1 단자(71)와 상대측 제2 단자(7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평판부(78)의 하변 및 연장부(77)는 상대측 인슐레이터(90)의 바닥면측에 위치하여 노출되어 있다.In this example, the mating shielding part provided by the mating ground terminal 70' is composed of a flat plate part 78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15B, and the mating ground terminal 70' is this flat plate part ( 78 , and extension portions 77 respectively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lower sides of the flat plate portion 78 . The flat plate portion 78 protrudes above the bottom plate portion 91 of the opposite side insulator 90 and is located between the opposite side first terminal 71 and the opposite side second terminal 72 , and the lower side and extension of the opposite side insulator 90 . The portion 77 is exposed and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opposite insulator 90 .

한편, 그라운드 단자(40')가 갖추는 차폐부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한 쌍의 ㄷ자 형상부(48)로 구성된다. 한 쌍의 ㄷ자 형상부(48)의 서로 이웃하는 ㄷ자의 다리부 부분은 ㄷ자 형상부(48)의 판면(48a)과 수직한 접촉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는 접촉부(49)로 되고, 접촉부(49)는 〈 모양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그라운드 단자(40')는 실시예 1에서의 그라운드 단자(40)와 마찬가지로 연결부(45), 피유지부(46) 및 연장부(47)를 가지며, 한 쌍의 ㄷ자 형상부(48)의 서로 외측에 위치하는 다리부(48b)는 각각 연장부(47)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hielding portion provided by the ground terminal 40' is constituted by a pair of adjacent U-shaped portions 48, as shown in FIG. The adjacent U-shaped leg portions of the pair of U-shaped portions 48 become contact portions 49 elastically displaced in the contac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te surface 48a of the U-shaped portion 48, and the contact portion 49 has a curved shape in the shape of . The ground terminal 40 ′ has a connecting portion 45 , a held portion 46 , and an extended portion 47 , similarly to the ground terminal 40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 pair of U-shaped portions 48 are formed from each other. The leg portions 48b positioned on the outside are formed to extend from the extension portions 47, respectively.

2개의 그라운드 단자(40')의, 각 한 쌍의 ㄷ자 형상부(48)는 각각 인슐레이터(60)의 슬릿(62)에 삽입되어 제1 단자(41)와 제2 단자(42)의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Each pair of U-shaped portions 48 of the two ground terminals 40 ′ are inserted into the slits 62 of the insulator 60 , respectively, and ar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second terminal 42 . each is located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가 끼워맞춤, 접속된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이 예에서는,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 방향과 평행한 판면(상대측 판면)을 가지는 평판부(78)의 판면(78a)에, 끼워맞춤 방향과 수직한 접촉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접촉부(49)가 접촉 방향이 판면(78a)과 수직으로 되어 탄성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그라운드 단자(40')의 차폐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ㄷ자 형상부(48)와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70')의 상대측 차폐부를 구성하는 평판부(78)는 서로 도통되고, 결합되어, 제1 단자(41) 및 상대측 제1 단자(71)와 제2 단자(42) 및 상대측 제2 단자(72)와의 사이에, 단자 간의 전자 간섭을 차폐하는 실드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다.In the connector assembly in which the connector 100' and the mating connector 200' are fitted and connected, in this example, as shown in Fig. 16B, a flat plate portion ( A contact portion 49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isplaceable in a contac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tting direction is in elastic contact with the plate surface 78a of the plate 78a so that the contact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plate surface 78a. As a result, the pair of U-shaped portions 48 constituting the shielding portion of the ground terminal 40' and the flat plate portion 78 constituting the opposite shielding portion of the mating ground terminal 7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 between the first terminal 41 and the opposing first terminal 71 and the second terminal 42 and the opposing second terminal 72, a shield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etween the terminals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

10 커넥터 11 커넥터 하우징
11a 끼워맞춤부 삽입 구멍 12∼14 신호 단자
12a∼14a 접속 단부 15, 16 그라운드 단자
15a, 16a 접속 단부 17 셸 형상 도체
20 상대측 커넥터 21 커넥터 하우징
22∼24 신호 단자 25 셸 형상 도체
26 인서트 성형 수지부 26a∼26c 돌출부
27 둘레벽부 40, 40' 그라운드 단자
41 제1 단자 41a 접촉편
41b 접속부 42 제2 단자
42a 접촉편 42b 접속부
43 ㄷ자 형상부 43a 다리부
43b 돌기부 43c 다리부
44 판부 45 연결부
46 피유지부 46a 돌기
47 연장부 48 ㄷ자 형상부
48a 판면 48b 다리부
49 접촉부 50 셸
51, 52 외벽부 51a, 52a 만곡부
53 절결부 60 인슐레이터
61 오목부 62 슬릿
70, 70'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 71 상대측 제1 단자
71a 접속부 72 상대측 제2 단자
72a 접속부 73 상대측 판부
74 오목부 75 돌출부
76 연결부 77 연장부
78 평판부 78a 판면
80 상대측 셸 81, 82 외벽부
81a, 82a 볼록부 81b 연장부
82b 돌기 83 연결부
84, 85 절결부 90 상대측 인슐레이터
91 바닥판부 92 측벽
93 오목부 100, 100' 커넥터
200, 200' 상대측 커넥터
10 connector 11 connector housing
11a Fitting part insertion hole 12 to 14 Signal terminal
12a to 14a connection end 15, 16 ground terminal
15a, 16a Connection end 17 Shell-shaped conductor
20 mating connector 21 connector housing
22 to 24 Signal terminals 25 Shell-shaped conductors
26 Insert molded resin part 26a to 26c projecting part
27 Peripheral wall part 40, 40' ground terminal
41 first terminal 41a contact piece
41b connection 42 second terminal
42a contact piece 42b connection
43 U-shaped part 43a Leg part
43b protrusion 43c leg
44 plate part 45 connection part
46 Protrusion of part to be held 46a
47 Extension 48 U-shaped part
48a plate 48b leg
49 contacts 50 shell
51, 52 Outer wall part 51a, 52a curved part
53 Cut-out 60 Insulator
61 concave 62 slit
70, 70' Opposite ground terminal 71 Opposite first terminal
71a connector 72 opposite second terminal
72a connection part 73 mating plate part
74 concave part 75 protrusion
76 Connection 77 Extension
78 Flat part 78a Plate surface
80 mating shell 81, 82 outer wall
81a, 82a convex part 81b extension part
82b Protrusion 83 Connection
84, 85 Cut-out 90 Insulator on the opposite side
91 Bottom plate 92 Side wall
93 recessed 100, 100' connector
200, 200' mating connector

Claims (3)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사이에 위치하는 차폐부를 갖춘 그라운드 단자와,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도전성의 셸을 가지는 커넥터와,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각각 접속되는 상대측 제1 단자 및 상대측 제2 단자와, 상기 상대측 제1 단자와 상기 상대측 제2 단자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대측 차폐부를 갖춘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와, 프레임 형상을 이루는 도전성의 상대측 셸을 가지는 상대측 커넥터가 끼워맞춤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셸은 금속판의 굽힘 가공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상대측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차폐부와 상기 상대측 차폐부가 탄성 접촉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A connector hav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a ground terminal having a shielding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a conductive shell forming a frame shape,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 mating first terminal and a mating second terminal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erminals; A connector assembly to which a mating connector is fitted,
The ground terminal and the shell are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a metal plate,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ground terminal and the opposite ground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making elastic contact with the shielding portion and the opposite shielding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과 평행한 판면을 가지는 판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대측 차폐부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 평행한 상대측 판면을 가지는 상대측 판부로 구성되고,
상기 판부는 이웃하는 한 쌍의 ㄷ자 형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대측 판부는 서로의 사이에 오목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돌출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고,
상기 판면과 상기 상대측 판면은 서로 평행하게 되고, 상기 판부와 상기 상대측 판부의 일방의 두께는 타방의 두께가 위치하는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ㄷ자 형상부의 ㄷ자 내에 각각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ㄷ자 형상부의 서로 이웃하는 ㄷ자의 다리부는 상기 오목부에 각각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이웃하는 ㄷ자의 다리부의 선단측에 서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가 상기 한 쌍의 돌출부와 각각 탄성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shielding part is composed of a plate part having a plate surface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The mating shielding portion is composed of a mating plate portion having a mating plate surface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The plate par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adjacent U-shaped parts,
The opposing plate portion has a shape having a pair of protrusions constituting a concave portion between each other,
The plate surface and the opposite plate surface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thickness of one of the plate part and the counterpart plate part is located within a range where the other thickness is located,
The pair of protrusions are positioned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shape of the pair of U-shaped parts,
The pair of C-shaped leg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and positioned,
The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from each other on the tip side of the adjacent U-shaped leg portions are in elastic contact with the pair of protrusions, respective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과 수직한 접촉 방향으로 탄성 변위하는 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상대측 차폐부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 평행한 상대측 판면을 가지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 방향이 상기 상대측 판면과 수직으로 되어 상기 상대측 판면에 탄성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shielding portion has a contact portion elastically displaced in a contact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itting direction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The mating shield portion has a mating plate surface parallel to the fitting direction,
The connector assembly,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in elastic contact with the mating plate surface with the contac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ting plate surface.
KR1020210057138A 2020-05-13 2021-05-03 Connector assembly KR10254390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84468 2020-05-13
JP2020084468 2020-05-13
JP2020091146A JP7348135B2 (en) 2020-05-26 2020-05-26 connector assembly
JPJP-P-2020-091146 2020-05-26
JPJP-P-2020-102280 2020-06-12
JP2020102280A JP7366844B2 (en) 2020-06-12 2020-06-12 connector
JP2020105098A JP2021197328A (en) 2020-06-18 2020-06-18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JPJP-P-2020-105098 2020-06-18
JPJP-P-2020-120397 2020-07-14
JP2020120397A JP7395437B2 (en) 2020-07-14 2020-07-14 connector assembly
JPJP-P-2020-121984 2020-07-16
JP2020121984A JP7445551B2 (en) 2020-07-16 2020-07-16 connector
JP2020132981A JP7461245B2 (en) 2020-08-05 2020-08-05 connector
JPJP-P-2020-132981 2020-08-05
JPJP-P-2020-141324 2020-08-25
JP2020141324A JP7471960B2 (en) 2020-05-13 2020-08-25 Connector Assembly
JP2020155230A JP7467296B2 (en) 2020-09-16 2020-09-16 Connector Assembly
JPJP-P-2020-155230 2020-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155A true KR20210139155A (en) 2021-11-22
KR102543900B1 KR102543900B1 (en) 2023-06-15

Family

ID=7862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138A KR102543900B1 (en) 2020-05-13 2021-05-03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3900B1 (en)
CN (1) CN214754554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7735A1 (en) * 2014-06-05 2015-12-10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nnector set and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7735A1 (en) * 2014-06-05 2015-12-10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nnector set an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4754554U (en) 2021-11-16
KR102543900B1 (en)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90694A (en) Connector assembly
US7008267B2 (en) Shielded board-mounted electrical connector
KR102519889B1 (en) Connector assembly
US11652323B2 (en)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encolsed by a shell and a mating connector enclosed by a mating shell
KR102633728B1 (en) Connector
CN214849393U (en) Connector assembly
KR20220155904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010030414A (en) Shielded connector of reduced-size with improved retention characteristics
KR20220155903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16805772A (en) Connector assembly and first connector
JP7348135B2 (en) connector assembly
KR102543900B1 (en) Connector assembly
KR20230025747A (en) Connector
JP7467296B2 (en) Connector Assembly
KR102543913B1 (en) Connector assembly
CN113994545B (en) Connector with a plurality of connectors
JP2022054592A (en) Connector assembly
JP7177417B1 (en) Board-to-board connector
US20230178938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hree metal shells joined together
JP7471960B2 (en) Connector Assembly
CN109546390B (en) Electrical connector
JP2022143706A (en) connector
KR20230025746A (en) Connector
JP2022172741A (en) connector
JP2022180022A (en)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