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9139A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9139A
KR20210139139A KR1020210044967A KR20210044967A KR20210139139A KR 20210139139 A KR20210139139 A KR 20210139139A KR 1020210044967 A KR1020210044967 A KR 1020210044967A KR 20210044967 A KR20210044967 A KR 20210044967A KR 20210139139 A KR20210139139 A KR 20210139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rame
side wall
mating connector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3603B1 (en
Inventor
준지 오오사카
요헤이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91146A external-priority patent/JP7348135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2280A external-priority patent/JP7366844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5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97328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20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7395437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2198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45551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32981A external-priority patent/JP7461245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4132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71960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55230A external-priority patent/JP7467296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6172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54592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84224A external-priority patent/JP7476078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842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74300A/en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9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9139A/en
Publication of KR10262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6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In order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more appropriately fitting a counterpart connector,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ts the counterpart connector to the inside of a frame from an opening of the frame. The frame has: a side wall extending in a fitting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counterpart connector, and enclosing the counterpart connector in a fitted state with the connector; and a guide part, among the side wall, provided at an end part on the opening side in the fitting direction, and guiding the counterpart connector into the frame. The side wall is continuous throughout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and the guide part is provided at the end part at the opening side of the side wall throughout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alizing the connector capable of properly guiding the counterpart connector to the inside of the frame.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구를 갖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개구로부터 프레임의 내측에 상대측 커넥터를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having a frame having an opening and capable of fitting a mating connector from the opening to the inside of the frame.

상대측 커넥터를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종래의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이하, 커넥터(1)라 함)를 들 수 있다. 커넥터(1)는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3)을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인 상대측 커넥터(2)는 도 18 및 도 1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3)의 개구(4)로부터 프레임(3)의 내측에 들어감으로써 커넥터(1)와 감합된다.As a conventional connector capable of fitting a mating connector, the connecto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nector 1) is mentioned, for example. The connector 1 is a receptacle connector, and as shown in FIG. 17, it is provided with the frame 3 of a rectangular shape. The mating connector 2 which is a plug connector is fitted with the connector 1 by entering the inside of the frame 3 from the opening 4 of the frame 3, as can be seen from FIGS. 18 and 19 .

커넥터(1)에서는 도 17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3)의 상단부(개구(4)가 있는 측의 단부)가 프레임(3)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감합시에는 상대측 커넥터(2)가 프레임(3)의 내측으로 적절히 안내되고, 이해하기 쉽게 정규의 배치 위치를 향해 프레임(3)의 내측에 들어간다.In the connector 1, as shown in FIGS. 17 and 19 , the upper end of the frame 3 (the end on the side with the opening 4) is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frame 3 .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9 , the mating connector 2 is properly guided inside the frame 3 at the time of connector fitting, and enters the frame 3 toward a normal arrangement position for easy understanding.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6-12553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6-12553

커넥터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2)를 프레임(3)의 내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구조로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1) 등과 같은 종래의 커넥터에 이용된 구조보다 우수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대측 커넥터(2)를 지장없이 프레임(3)의 내측으로 안내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가 요망되고 있다.As a structure for guiding the mating connector 2 to the inside of the frame 3 at the time of connector fitting, a structure superior to that used for a conventional connector such as the connector 1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required. Specifically, a connecto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guiding the mating connector 2 to the inside of the frame 3 without hindrance is desired.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에 나타내는 목적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대측 커넥터를 더욱 적절하게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object shown below.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more appropriately fitting a mating connecto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는 개구를 갖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개구로부터 프레임의 내측에 상대측 커넥터를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로서, 프레임은,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방향으로 연장되고,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의 상대측 커넥터를 둘러싸는 측벽과, 측벽 중, 감합 방향에 있어서 개구측에 있는 단부에 마련되고, 프레임의 내측으로 상대측 커넥터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고, 측벽은 프레임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속되어 있고, 안내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체둘레에 걸쳐, 측벽의 개구측에 있는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ame having an opening, and is a connector capable of fitting a mating connector to the inside of the frame from the opening, wherein the frame extends in a fitting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and , a side wall surrounding the mating connector in a state of being fitted with the connector, and a guide part provided at an end of the side walls on the opening side in the fitting direction and guiding the mating connector to the inside of the frame, the side wall havi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and a guide portion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n an opening side of the side wall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하면, 안내부가 프레임의 전체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를 프레임의 내측으로 적절히 안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it is possible to properly guide the mating connector to the inside of the frame when the connector is fitted.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측벽은 프레임의 전체둘레에 걸쳐 심리스로 연속되어 있고, 안내부는 측벽과 동일한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측벽과 일체화되어 있어도 좋다.Further, 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wall may be seamlessly continuous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and the guide portion may be constituted by the same member as the side wall and integrated with the side wall.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의 측벽과 안내부가 동일한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기 때문에, 측벽과 안내부가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부품수가 더욱 적어진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side wall and the guide portion of the frame are constituted by the same member, the number of parts is further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ide wall and the guide portion are constituted by separate members.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안내부는 측벽의 개구측에 있는 단부를 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도 좋다.Further, 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end portion on the opening side of the side wall toward the outside of the frame.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측벽을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를 이용하여 안내부를 더욱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guide portion can be formed more easily by using a part of the member constituting the side wall.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측벽 및 안내부는 동일한 금속판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좋다.Moreover, in the connector of this invention, the side wall and the guide part may be comprised by the same metal plate.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측벽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일부를 이용하여 안내부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guide portion can be formed using a part of the metal plate constituting the side wall.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안내부는 측벽 중, 감합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분과 연속된 굴곡 부분과, 굴곡 부분으로부터 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연장된 플랜지 부분을 포함하고, 개구는 플랜지 부분에 의해서 둘러싸여도 좋다.Further, 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includes, among the side walls, a bent portion extending along the fitting direction and a continuous bent portion, and a flan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ent por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frame, and the opening is formed by the flange portion. may be surrounded.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안내부가 굴곡 부분과 플랜지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커넥터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를 프레임의 개구로부터 프레임의 내측으로 보내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guide portion includes the bent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it is easy to send the mating connector from the opening of the frame to the inside of the frame at the time of connector fitting.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굴곡 부분에 있어서 프레임의 내측을 향하는 면은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면이어도 좋다.Moreover, in the connector of this invention, the surface which faces the inside of a frame in a bending part may be a surface curved in the arc shape.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를 프레임의 내측에 가일층 보내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easier to send the mating connector to the inside of the frame when the connector is fitted.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프레임의 전체둘레에 걸쳐 마련된 안내부의 각 부분은 감합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Moreover, in the connector of this invention, each part of the guide part provided over the whole circumference of a frame may be arrange|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fitting direction.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감합 방향에 있어서 안내부의 각 부분의 위치가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를 프레임의 내측으로 더욱 적절하게 안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성에서는 안내부에는 요철이 없으므로, 그러한 요철에 상대측 커넥터가 걸리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guide portion are aligned in the fitting direction, the mating connector can be more appropriately guid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when the connector is fitted. In detail, since there are no irregularities in the guide por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void a situation in which the connector on the opposite side is caught by such irregularities.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에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는 측벽의 내주면이 상대측 커넥터의 외주면에 접해도 좋다.Further, 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may contac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ting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mating connector is fitted to the connector.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에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되어 있는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tate in which the mating connector is fitted to the connector can be stabilized.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측벽에는 측벽 중의 다른 부분보다 측벽의 내주면이 프레임의 내측에 돌출된 돌출 부분이 구비되고, 커넥터에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한 상태에서는 측벽의 내주면 중, 돌출 부분이 구비된 영역이 상대측 커넥터의 외주면에 접해도 좋다. In addition, 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wall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in whic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frame rath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side wall, and in a state in which the mating connector is fitted to the connector, a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am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side wall The reg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ting connector.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측벽의 내주면에 돌출부를 마련함으로써, 프레임이, 커넥터에 감합된 상태의 상대측 커넥터의 외주면에 접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커넥터에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되어 있는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by providing the protruding por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wall, the frame can easi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ting connector in a state fitted to the connector. As a result, the state in which the mating connector is fitted to the connector can be further stabilized.

또,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측벽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장변 부분과, 한 쌍의 장변 부분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변 부분을 갖고, 한 쌍의 장변 부분의 각각, 및 한 쌍의 단변 부분의 각각에 상기 돌출 부분이 마련되어도 좋다.Further, 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wall has a pair of long side portions arrang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 pair of short side portions connecting the ends of the pair of long side portions, each of the pair of long side portions , and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pair of short side portions.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측벽의 4변의 각각에 돌출 부분이 마련됨으로써, 프레임이, 커넥터에 감합된 상태의 상대측 커넥터의 외주면에 더욱 접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커넥터에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되어 있는 상태를 가일층 양호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otruding portions are provided o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side wall, so that the frame is more easi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ting connector in a state fitted to the connector. As a result, the state in which the mating connector is fitted to the connector can be further stabilized.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를 프레임의 내측으로 적절하게 안내할 수 있는 커넥터가 실현된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connector which can guide the mating-side connector appropriately to the inside of a frame at the time of connector fitting is realized.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상대측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프레임 및 차단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5의 I-I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9의 J-J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드로잉 가공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감합 도중 단계에서의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의 각각의 전면도이다.
도 16은 감합 도중 단계에서의 커넥터 및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의 J-J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종래예의 하나에 관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종래예의 하나에 관한 커넥터에 상대측 커넥터를 감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K-K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of the connector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ting connector;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fitted with a mating connector.
8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fitted with a mating connector.
Fig. 9 is a side view of a connector fitted with a mating connector;
10 is an exploded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a frame and a blocking part;
12 is a view showing a section II of FIG. 5 .
13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JJ of FIG. 9 .
14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drawing processing.
Fig. 15 is a view showing a connector and a mating connector in a step during fitting, and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respectively.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in the middle stage of fitting, and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JJ section in Fig. 9 .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one of the prior art examples;
Fig. 1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ting connector is fitted to a connector according to one of the prior art examples.
19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KK of FIG. 18 .

이하,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해, 첨부 도면에 나타낸 구체예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든 일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형태로부터 변경 또는 개량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커넥터 각 부의 재질, 형상 및 설계 치수 등은 본 발명의 용도 및 본 발명의 실시의 시점에서의 기술 수준 등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nector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referring specific example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 is only an example given in order to make the understanding of this invention easy, and does not limit this inven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or improved from the following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material, shape, design dimension, etc. of each part of the connector of this invention can be set according to the use of this invention, the technical level at the time of implementation of this invention, etc.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thereof.

또, 이하에서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방향을 X, Y, Z방향으로 하고,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방향이 Z방향과 대응한다. 여기서, Z방향은 커넥터의 상하 방향이고, X방향이 커넥터의 횡폭 방향이며, Y방향이 커넥터의 전후 방향인 것으로 한다.In the following, three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are defined as X, Y, and Z directions, and the fitting direction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corresponds to the Z direction. Here, it is assumed that the Z direction i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X direction is the lateral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Y direction i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onnector.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커넥터 각 부의 형상 및 위치 등은 +Z측을 커넥터의 상측으로 하고, -Z측을 커넥터의 하측으로 하여 커넥터를 본 경우의 형상 및 위치 등인 것으로 한다. +Z측(상측)은 Z방향에 있어서 커넥터에서 보아 상대측 커넥터가 위치하는 측이고, -Z측(하측)은 Z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에서 보아 커넥터가 위치하는 측이다.In addition, the shape and position of each part of the connector described below shall be the shape, position, etc. when the connector is viewed with the +Z side being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and the -Z side being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or. The +Z side (upper side) is the side on which the mating connector is located as viewed from the connector in the Z direction, and the -Z side (lower side) is the side on which the connector is located as viewed from the mating connector in the Z direction.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직교」 및 「평행」은 커넥터의 분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오차의 범위를 포함하고, 엄밀한 직교 및 평행에 대해 몇 도(예를 들면 2∼3°) 미만의 범위내에서 어긋나 있는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orthogonal" and "parallel" include a range of errors generally allowed in the field of connectors, and are less than a few degrees (for example, 2-3 degrees) with respect to strictly perpendicular and parallel. It shall also include the state which deviates within the range.

또한,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하는 것을 「커넥터 감합」이라고 하고,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하고 있는 상태를 「커넥터 감합 상태」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ereinafter, the fitting of the connector with the mating connector is referred to as "connector fitting", and the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is fitted with the mating connector is referred to as "connector fitting state".

<<커넥터의 구성예에 대해>><<About the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onnector>>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이하, 커넥터(10))의 구성에 대해, 도 1∼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 도 13 및 도 16에 나타내는 단면은 후술하는 차단부(40)를 통과하는 단면(XZ면)이다.A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hereinafter, connecto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6 . The cross-sections shown in FIGS. 12, 13, and 16 are cross-sections (XZ planes)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portion 40 to be described later.

커넥터(10)는 도 1∼도 5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커넥터(10)의 하단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기판에 실장되어 있다. 커넥터(10)는 상하 방향(Z방향)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인 상대측 커넥터(100)와 감합 가능하다.The connector 10 is a receptacle connector shown in FIGS. 1 to 5 , and is mounted on a substrate (not shown)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or 10 . The connector 10 can be fitted with the mating connector 100 which is a plug connector shown in FIG. 6 in the up-down direction (Z direction).

커넥터(10)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과, 하우징(20)과, 복수의 컨택트(31, 32, 33)를 갖는다. 상대측 커넥터(10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프레임(102)과, 저벽(104)과, 컨택트 유지부(106, 108)와, 상대측 컨택트(111, 112, 113)를 갖는다.The connector 10 includes a frame 11 , a housing 20 , and a plurality of contacts 31 , 32 , 33 as shown in FIGS. 1 to 3 . 6 and 7, the mating connector 100 has a mating frame 102, a bottom wall 104, contact holding parts 106 and 108, and mating contacts 111, 112, 113. .

프레임(11)은 커넥터(10)의 외주벽을 이루고 있고, 상대측 프레임(102)은 상대측 커넥터(100)의 외주벽을 이루고 있다. 프레임(11) 및 상대측 프레임(102)은 모두,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중공 프레임이며, 예를 들면, 금속판 등의 도전성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측에 있는 오목부 공간을 둘러싸고 있다. 프레임(11)의 상단(Z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는 개구(10A)가 마련되어 있다.The frame 11 forms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connector 10 , and the mating frame 102 forms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mating connector 100 . Both the frame 11 and the opposing frame 102 are hollow frames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and are made of, for example,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metal plate. The frame 11 surrounds the recessed space on the inside, as shown in FIGS. 1 and 2 . An opening 10A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ne end in the Z direction) of the frame 11 .

커넥터 감합시에는 도 7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100)가 개구(10A)로부터 프레임(11)의 내측에 있는 오목부 공간에 감입된다.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프레임(11)이 상대측 커넥터(100)의 전체둘레에 걸쳐 상대측 커넥터(100)를 둘러싸고, 상세하게는 프레임(11)의 내주면에 상대측 프레임(102)의 외주면이 접해 있다. At the time of connector fitting, as shown in FIGS. 7 and 16 , the mating connector 100 is fitted into the recessed space inside the frame 11 from the opening 10A. In the connector fitting state, the frame 11 surrounds the mating connector 100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mating connector 100 , and in detail,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ting frame 10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11 .

커넥터(10)에 있어서, 프레임(11)의 내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과 컨택트(31, 32, 33)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대측 커넥터(100)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프레임(102)의 내측에 있어서, 컨택트(31, 32, 33)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대측 컨택트(111, 112, 113)가 배치되어 있다. 상대측 컨택트(111, 112, 113)는 저벽(104)으로부터 돌출된 볼록 형상의 컨택트 유지부(106, 108)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In the connector 10, the housing 20 and the contacts 31, 32, 33 are arrange|positioned inside the frame 11 as shown in FIG.1 and FIG.2. On the other hand, in the mating connector 100, as shown in FIG. 6, the mating contacts 111, 112, 113 are arrang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tacts 31, 32, and 33 inside the mating frame 102, have. The mating contacts 111 , 112 , 113 are held by convex contact holding portions 106 , 108 protruding from the bottom wall 104 .

컨택트(31, 32, 33)는 신호 전송용 또는 급전용의 단자이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중의 2개의 컨택트(31, 32)는 고주파 신호 전송용의 단자이고, 즉 RF(Radio Frequency)용의 단자이다. 고주파는 예를 들면 6㎓이상의 주파수 대역이며, 5G(5th Generation) 등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The contacts 31 , 32 , 33 are terminals for signal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and are arranged inside the frame 11 as shown in FIGS. 1 and 2 . Two of these contacts 31 and 32 are terminals for high-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that is, terminals for RF (Radio Frequency). The high frequency is, for example,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more, and includes a frequency band used for 5G (5th Generation) and the like.

컨택트(31, 32)는 쌍을 이루고 있고, Y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상세하게는 커넥터(10)의 중앙을 경계로 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Y측에 배치된 컨택트(31)는 제 1 단자에 상당하고, -Y측에 배치된 컨택트(32)는 제 2 단자에 상당한다. 한 쌍의 컨택트(31, 32)의 각각은 X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고, 혹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The contacts 31 and 32 form a pair, are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Y direction, and in detail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the center of the connector 10 as a boundary. The contact 31 arranged on the +Y side corresponds to the first terminal, and the contact 32 arranged on the -Y side corresponds to the second terminal. Each of the pair of contacts 31 and 32 may b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or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X direction.

컨택트(33)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의 내측에 복수(도시한 형태에서는 6개)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컨택트(33)는 저주파 신호 전송용의 단자를 적어도 포함하며, 급전용의 단자를 더 포함해도 좋다. 복수의 컨택트(33)의 각각은 제 3 단자에 상당하고, Y방향에 있어서, 제 1 단자인 컨택트(31)와, 제 2 단자인 컨택트(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컨택트(33)는 X 및 Y방향의 각 방향에 있어서 규칙적으로, 예를 들면 커넥터(10)의 중앙을 경계로 해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도 좋고, 혹은 랜덤으로 배치되어도 좋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tacts 33 are arranged in plurality (six in the illustrated form) inside the frame 11 . The plurality of contacts 33 include at least a terminal for low-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for power supply.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33 corresponds to a third terminal, and is disposed in the Y direction between a contact 31 serving as a first terminal and a contact 32 serving as a second terminal. The plurality of contacts 33 may be arranged regularly in each direction of the X and Y directions, for example, symmetrically with the center of the connector 10 as a boundary, or may be arranged randomly.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컨택트(31, 32, 33)가 상대측 컨택트(111, 112, 113) 중, 대응하는 컨택트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면, 컨택트(31)는 상대측 컨택트(111)와 대응하고, 컨택트(32)는 상대측 컨택트(112)와 대응한다. 또, 각 컨택트(31, 32, 33)는 예를 들면, +Z측이 개방된 아치 형상의 부분을 구비하고, 각 상대측 컨택트(111, 112, 113)는 봉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각 컨택트의 아치 형상 부분의 내측에, 대응하는 상대측 컨택트가 삽입됨으로써, 양자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In the connector fitting state, the contacts 31 , 32 , 33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contacts among the counterpart contacts 111 , 112 and 113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For example, the contact 31 corresponds to the counterpart contact 111 , and the contact 32 corresponds to the counterpart contact 112 . Further, each of the contacts 31 , 32 , 33 has, for example, an arcuate portion with an open +Z side, and each of the mating contacts 111 , 112 , 113 has a bar shape. Then, the corresponding mating contact is inserted inside the arcuate portion of each contact, so that both contacts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하우징(20)은 컨택트(31, 32, 33)를 유지하는 절연성의 부품이며, 프레임(11)의 내측, 즉 오목부 공간에 배치된다. 하우징(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복수의 파트로 나뉘어 있다.The housing 20 is an insulating component that holds the contacts 31 , 32 , 33 , and is disposed inside the frame 11 , that is, in the recessed space.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housing 20 has comprised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planar view, and is divided into several parts.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20)은 하우징(20)의 Y방향 중앙부를 이루는 부분(이하, 하우징 중앙부(21))과, 하우징(20)의 Y방향 양단부를 이루는 부분(이하, 하우징 단부(22))을 갖는다. 하우징 중앙부(2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에 위치하는 볼록부(이하, 중앙 볼록부(23))와, X방향에 있어서 중앙 볼록부(23)의 양측에 위치하는 볼록부(이하, 측방 볼록부(24))를 구비한다. 중앙 볼록부(23) 및 2개의 측방 볼록부(24)는 각각,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 볼록부(23)와 측방 볼록부(24) 사이에는 오목형의 감입홈(25)이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감입홈(25)에는 컨택트(33)가 감입되어 있다(도 10 참조).More specifically, the housing 20 includes a portion forming the Y-direction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20 (hereinafter, the housing central portion 21 ) and a portion forming the Y-direction both ends of the housing 20 (hereinafter, the housing end portion 22 ). )) has As shown in FIG. 10, the housing central part 21 is a convex part located in the central part in the X direction (hereinafter, the central convex part 23) and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convex part 23 in the X direction. A convex portion (hereinafter, lateral convex portion 24) is provided. The central convex part 23 and the two lateral convex parts 24 each extend in the Y direction, and a concave fitting groove 25 is provided between the central convex part 23 and the side convex part 24 . have. A contact 33 is fitted into each fitting groove 25 (refer to FIG. 10).

+Y측의 하우징 단부(22)와, -Y측의 하우징 단부(22)는 Y방향에 있어서 커넥터(10)의 중앙을 경계로 해서 대칭인 형상이다. 각 하우징 단부(2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으로 연장된 볼록부이다. 하우징 단부(22) 중, Y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이하, 감입 오목부(26))가 마련되어 있다. +Y측의 하우징 단부(22)에 마련된 감입 오목부(26)에는 컨택트(31)가, -Y측의 하우징 단부(22)에 마련된 감입 오목부(26)에는 컨택트(32)가 각각, Y방향 내측에 압입되어 감입되어 있다.The housing end 22 on the +Y side and the housing end 22 on the -Y side are symmetrical with the center of the connector 10 as a boundary in the Y direction. Each housing end 22 is a convex portion extending in the X direction, as shown in FIG. 1 . As shown in FIG. 2, the recessed part (henceforth fitting recessed part 26) formed concavely inside the Y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edge part of the outer side in the Y direction among the housing|casing edge parts 22. As shown in FIG. A contact 31 is provided in the fitting concave portion 26 provided in the housing end 22 on the +Y side, and a contact 32 is provided in the fitting concave portion 26 provided in the housing end 22 on the -Y side, respectively, Y It is press-fitted and fitted inside the direction.

하우징 중앙부(21)와 하우징 단부(22)는 그들 사이에 마련된 부분,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피삽입 부분(27)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다(도 10 참조). 하우징(20)은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이며, 1회의 수지 성형 가공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 하우징 중앙부(21) 및 하우징(22) 단부를 갖는 하우징(20)이 성형된다.The housing central portion 21 and the housing end 22 are connected and integrated by a portion provided therebetween, specifically, an insertable portion 27 to be described later (see FIG. 10 ). The housing 20 is, for example, a resin molded product, and in one resin molding process, the housing 20 having the housing central portion 21 and the housing 22 end 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is molded.

또, 커넥터(10)는 도 1, 도 2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의 내측에 차단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차단부(4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즉, Z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컨택트(31,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connector 10 is equipped with the blocking part 40 inside the frame 11, as shown in FIG. 1, FIG. 2, and FIG. As shown in FIG. 2, the blocking part 40 is arrange|positioned between a pair of contacts 31 and 32 in the Y direction (that is, the intersection direction which intersects the Z direction).

더욱 상세하게는 Y방향에 있어서, +Y측의 컨택트(31)와 복수의 컨택트(33) 사이, 및 -Y측의 컨택트(32)와 복수의 컨택트(33) 사이에 각각, 차단부(40)가 1개씩 배치되어 있다. 즉, 도 1 등에 도시한 케이스에서는 프레임의 내측에 2개의 차단부(40)가 한 쌍의 컨택트(31,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단, 차단부(40)의 개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차단부(40)가 한 쌍의 컨택트(31,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More specifically, in the Y direction, between the +Y side contact 31 and the plurality of contacts 33 and between the -Y side contact 32 and the plurality of contacts 33, respectively, the blocking portion 40 ) are placed one at a time. That is, in the case shown in Fig. 1 or the like, two blocking portions 40 are arranged between a pair of contacts 31 and 32 inside the frame. However, the number of the blocking portions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t least one blocking portion 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ontacts 31 and 32 .

차단부(40)는 접지 전위(그라운드 전위)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10)가 실장된 기판에는 도시하지 않은 접지용의 도전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차단부(40)는 그 하단이 접지용의 도전 패턴에 접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또,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차단부(40)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100)가 갖는 상대측 차단부(114)와 감합하여 전자 실드를 구성한다. 이 전자 실드는 한 쌍의 컨택트(31, 32) 사이에 있어서의 신호(특히, 고주파 신호)의 크로스 토크를 억제한다.The blocking section 40 is connected to a ground potential (ground potential). Specifically, a conductive pattern for grounding (not shown) is formed on the board on which the connector 10 is mounted, and the blocking portion 40 is provided with its lower end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pattern for grounding. Further, in the connector fitting state, as shown in FIG. 13 , the blocking unit 40 is fitted with the mating side blocking unit 114 of the mating connector 100 to constitute an electromagnetic shield. This electromagnetic shield suppresses crosstalk of signals (particularly, high-frequency signals) between the pair of contacts 31 and 32 .

다음에, 프레임(11)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레임(11)은 도전성을 가지며, 프레임(11)의 내측에는 컨택트(31, 32, 33)가 배치되어 있다. 즉, 컨택트(31, 32, 33)는 도전성을 갖는 프레임(11)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또, 프레임(11)은 커넥터(10)가 실장된 기판 중, 도시하지 않은 접지용의 도전 패턴을 접하고, 접지 전위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11)은 실드성을 발휘하고, 컨택트(31, 32, 33)에 대한 외계로부터의 영향(전자적 간섭)을 차단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frame 11 is demonstrated in detail. The frame 11 has conductivity, and contacts 31 , 32 , 33 are arranged inside the frame 11 . That is, the contacts 31 , 32 , and 33 are surrounded by the conductive frame 11 . In addition, the frame 11 is in contact with a conductive pattern for grounding (not shown) among the boards on which the connector 10 is mounted, a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potential. Thereby, the frame 11 exhibits a shielding property and blocks the influenc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rom the outside on the contacts 31, 32, 33.

프레임(11)은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12)과 저벽(17)을 갖는다. 측벽(12)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하우징(20)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또,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측벽(12)의 내주면이 상대측 커넥터(100)의 외주면(상세하게는 상대측 프레임(102)의 외주면)에 접한다.The frame 11 has a side wall 12 and a bottom wall 17, as shown in FIGS. As shown in FIG. 11 , the side wall 12 has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and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0 . In addition, in the connector fitting stat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12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ting connector 100 (specifical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ting frame 102 ).

측벽(12)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과 한 쌍의 단변 부분(15, 16)을 갖는다.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은 X방향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Y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단변 부분(15, 16)의 각각은 X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의 긴쪽 방향 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각 단변 부분(15, 16)의 길이는 각 장변 부분(13, 14)의 길이보다 짧다.The side wall 12 has a pair of long side portions 13 and 14 and a pair of short side portions 15 and 16, 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pair of long side portions 13 and 14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X direction at intervals and extend in the Y direction. Each of the pair of short side portions 15 and 16 extends in the X direction to connect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pair of long side portions 13 and 14 with each other. The length of each of the short side portions 15 and 16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each of the long side portions 13 and 14 .

측벽(12)의 각 부분(즉,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 및 한 쌍의 단변 부분(15, 16))은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없이 또한 단락없이 연결되어 있다. 즉, 측벽(12)은 프레임(11)의 전체둘레에 걸쳐 심리스로 연속되어 있다. 프레임(11)의 전체둘레는 프레임(1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범위이며, 프레임(11)의 둘레 방향은 프레임(11)이 오목부 공간을 둘러싸는 방향이며, 환언하면 오목부 공간의 바깥 가장자리를 따르는 방향이다.Each portion of the side wall 12 (i.e., a pair of long side portions 13 and 14 and a pair of short side portions 15 and 16) is connected seamlessly and without short circuit, as shown in Figs. have. That is, the side wall 12 is continuously continuous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11 .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11 is the entire rang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11,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11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me 11 surrounds the concave space, in other words, of the concave space. direction along the outer edge.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 및 한 쌍의 단변 부분(15, 16)은 각각,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17)으로부터 상승하여 +Z측으로 연장된 상승 부분(51)을 갖는다. 또,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 및 한 쌍의 단변 부분(15, 16)은 각각의 상단부(즉, Z방향에 있어서 개구(10A)가 위치하는 측의 단부)에, 굴곡 부분(52)과 플랜지 부분(53)을 갖는다.Each of the pair of long side portions 13 and 14 and the pair of short side portions 15 and 16 has a raised portion 51 that rises from the bottom wall 17 and extends to the +Z side, as shown in FIG. 12 . . 10 and 12, the pair of long side portions 13 and 14 and the pair of short side portions 15 and 16 have respective upper ends (that is, the opening 10A in the Z direction) is located It has a bent part 52 and a flange part 53 in the end part of the side to be used.

굴곡 부분(52)은 상승 부분(51)과 연속되어 있으며, 프레임(11)의 외측을 향해 굴곡된 부분이다. 플랜지 부분(53)은 굴곡 부분(52)과 연속되어 있고, 굴곡 부분(52)으로부터 프레임(11)의 외측으로 연장된 칼라 형상의 부분이다.The bent portion 52 is continuous with the rising portion 51 , and is a portion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frame 11 . The flange portion 53 is continuous with the bent portion 52 and is a collar-shap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bent portion 52 to the outside of the frame 11 .

굴곡 부분(52) 및 플랜지 부분(53)은 프레임(11)에 있어서 개구(10A)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고, 또, 안내부(54)를 구성한다. 안내부(54)는 측벽(12) 중, Z방향에 있어서 개구(10A)측에 있는 단부(즉, 상단부)에 마련되고, 개구(10A)로부터 프레임(11)의 내측에 상대측 커넥터(100)를 안내하는 부분이다. 안내부(54)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커넥터 감합시에는 상대측 커넥터(100)가 프레임(11)의 내측에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도록, 상대측 커넥터(100)를 프레임(11)의 내측으로 적절하게 안내할 수 있다.The bent portion 52 and the flange portion 53 are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opening 10A in the frame 11 , and constitute the guide portion 54 . The guide portion 54 is provided at an end (that is,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12 on the side of the opening 10A in the Z direction, and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frame 11 from the opening 10A in the mating connector 100 . part that guides you. By providing the guide portion 54 , it is possible to properly guide the mating connector 100 to the inside of the frame 11 so that the mating connector 100 is accurately positioned inside the frame 11 when the connector is fitted. can

또, 안내부(54)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의 전체둘레에 걸쳐, 측벽(12)의 상단부(개구(10A)가 있는 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100)를 프레임(11)의 내측에 지장없이 안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안내부(54)가 프레임(1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도중에 끊어져 있는 구성에서는 안내부(54)가 끊어진 개소에 상대측 커넥터(100)가 걸려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안내부(54)가 프레임(11)의 전체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감합시에 상기의 문제가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guide part 54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2 (the end part on the side with opening 10A) over the whole perimeter of the frame 11. As shown in FIG. Thereby, the mating connector 100 can be guid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11 without hindrance at the time of connector fitting. Specifically, for example,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guide portion 54 is cut off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11 , there is a risk that the mating connector 100 may be caught at a location where the guide portion 54 is cut off. On the other hand, since the guide portion 54 is provid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11, it is possible to avoid the occurrence of the above problem during connector fitting.

또,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부(54)를 구성하는 굴곡 부분(52)에 있어서, 프레임(11)의 내측을 향하는 면은 R 형상, 즉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100)를 더욱 원활하게 프레임(11)의 내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10 and FIG.12, in the bending part 52 which comprises the guide part 54, the surface which faces the inside of the frame 11 is curved in R shape, ie, circular arc shape. Thereby, the mating connector 100 can be guid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11 more smoothly at the time of connector fitting.

또한,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의 전체둘레에 걸쳐 마련된 안내부(54)의 각 부분이 Z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11)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속되는 플랜지 부분(53)의 상면이 Z방향에 있어서 동일 평면상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안내부(54)에는 요철이 없고, 요철에 상대측 커넥터(100)가 걸리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100)를 가일층 적절하게 프레임(11)의 내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10 and FIG.12, each part of the guide part 54 provided over the whole perimeter of the frame 11 is arrange|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Z direction.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53 continuous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11 is on the same plane in the Z direction. In this configuration, there is no unevenness in the guide portion 54, and it is possible to avoid a situation in which the connector 100 on the opposite side is caught on the unevennes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ore appropriately guide the mating connector 100 to the inside of the frame 11 at the time of connector fitting.

프레임(11)은 커넥터 감합 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100)의 외주면과 접하고, 그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의 각각의 Y방향 중앙부, 및 한 쌍의 단변 부분(15, 16)의 각각의 X방향 중앙부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 부분(55)이 마련되어 있다. 돌출 부분(55)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12) 중의 다른 부분(돌출 부분(55) 이외의 부분)보다 프레임(11)의 내측에 돌출된 부분이다. 또, 돌출 부분(55)은 Z방향에 있어서 측벽(12)의 상단부, 더욱 상세하게는 상승 부분(51)과 굴곡 부분(52)의 경계 주변에 마련되어 있다.The frame 11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ting connector 100 in the connector fitting state, and can maintain its state well. In detail, as shown in FIG. 11, in each Y-direction central portion of the pair of long side portions 13 and 14, and each X-direction center portion of the pair of short side portions 15 and 16, a protruding portion ( 55) is provided. The protruding part 55 is a part protruding inside the frame 11 rather than the other part (parts other than the protruding part 55) of the side wall 12,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protrusion part 55 is provided in the Z-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2, More specifically, the boundary periphery of the rising part 51 and the bending part 52 is provided.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12)의 내주면 중, 돌출 부분(55)이 구비된 영역이 상대측 커넥터(100)의 외주면, 상세하게는 상대측 프레임(102)의 외주면에 접한다. 이와 같이 측벽(12)에 돌출 부분(55)이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측벽(12)이 상대측 커넥터(100)와 접하기 쉬워지고, 그 결과, 커넥터 감합 상태를 안정시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the connector fitting state, as shown in FIG. 8 ,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12 , the region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55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ting connector 100 , specifical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ting frame 102 . By providing the protruding portion 55 on the side wall 12 in this way, the side wall 12 easi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ating connector 100, and as a result, the connector fitting state can be stabilized and maintained satisfactorily.

돌출 부분(55)은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12)을 구성하는 부재(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금속판(M)) 중, 돌출 부분(55)이 형성되는 부분을 프레임(11)의 내측에 밀어넣어 아치 형상으로 만곡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또, 각 장변 부분(13, 14)에 마련된 돌출 부분(55)은 Y방향에 있어서, 각 장변 부분(13, 14)의 길이의 1/3 이상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의 길이를 가지면 좋다. 각 단변 부분(15, 16)에 마련된 돌출 부분(55)은 X방향에 있어서, 각 단변 부분(15, 16)의 길이의 1/3 이상의 길이,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의 길이를 가지면 좋다.The protruding portion 55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among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side wall 12 (specifically, a metal plate M to be described later), the portion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55 is formed is framed ( 11) is formed by pushing it inside and bending it into an arcuate shape. Moreover, if the protrusion part 55 provided in each long side part 13, 14 has a length of 1/3 or more of the length of each long side part 13, 14 in Y direction, Preferably it has a length of 1/2 or more. good. The protruding portion 55 provided in each of the short side portions 15 and 16 may have a length of 1/3 or more of the length of each of the short side portions 15 and 16 in the X direction, preferably 1/2 or more.

프레임(11)의 저벽(17)은 측벽(12)의 하단(Z방향에 있어서의 개구(10A)와는 반대측의 단부)으로부터 프레임(11)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저벽(17)은 XY 평면을 따른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대부분이 펀칭되어 있다. 저벽(17)은 프레임(11)의 내측에 있어서 오목부 공간의 바깥 가장자리를 두르도록 마련된 폭이 가느다란 가장자리부(18)와, 오목부 공간의 4개의 모서리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의 단편 형상으로 존재하는 각부(19)를 갖는다.The bottom wall 17 of the frame 11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2 (the end opposite to the opening 10A in the Z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frame 11 . The bottom wall 17 is made of a flat plate along the XY plane, and as shown in Figs. 10 and 11, most of them are punched. The bottom wall 17 has a narrow edge portion 18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edge of the concave space on the inside of the frame 11,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gment shape at four corners of the concave space. It has leg parts 19 which do.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각부(19) 사이에는 차단부(40)가 배치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각부(19)는 Y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 2조 마련되어 있고, +Y측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각부(19) 사이, 및 -Y측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각부(19) 사이에 각각 차단부(40)가 배치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11, the blocking part 40 is arrange|positioned between the two corner|angular parts 19 mutually adjacent in the X direction. Two sets of mutually adjacent leg parts 19 are provided at posit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Y direction, and between two leg parts 19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Y side, and two leg parts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Y side ( 19) between each blocking portion 40 is disposed.

각각의 차단부(40)는 저벽(17)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각부(19)의 각각과 연속되어 있다. 또, 차단부(4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17), 즉 프레임(11)의 Z방향에 있어서의 개구(10A)와는 반대측의 단으로부터 +Z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차단부(40)는 X방향에 있어서의 프레임(11)의 중앙을 경계로 해서 선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차단부(40)의 중앙부에는 감합 부분(41)이 마련되고, 차단부(40)의 양단부의 각각에는 부착 부분(44)이 마련되어 있다.Each blocking portion 40 is continuous with a portion of the bottom wall 17 , specifically each of the two corner portions 19 adjacent to each other. Moreover, as shown in FIG. 12, the blocking part 40 protrudes to the +Z side from the edge of the bottom wall 17, ie, the edge opposite to 10 A of openings in the Z direction of the frame 11.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blocking part 40 has comprised the shape which is line-symmetrical with the center of the frame 11 in the X direction as a boundary.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2 , in the X direction, the fitting portion 41 is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locking portion 40 , and attachment portions 44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locking portion 40 , respectively. is provided.

부착 부분(44)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역U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부착 부분(44)의 -Z측의 단에서 +Z측을 향해 형성된 삽입 오목부(45)를 갖는다. 삽입 오목부(45)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일부분인 피삽입 부분(27)이 삽입된다.As shown in FIG. 12 , the attachment portion 44 has an inverted U-shape when viewed from the Y direction, and an insertion recess 45 formed from the -Z side end of the attachment portion 44 toward the +Z side. has As shown in FIG. 12 , the to-be-inserted part 27 which is a part of the housing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recessed part 45. As shown in FIG.

피삽입 부분(27)은 Y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중앙부(21)와 하우징 단부(22) 사이에 위치하고, X방향에 있어서의 하우징(20)의 중심을 경계로 하여 선대칭의 위치에 2개소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피삽입 부분(27)은 Z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중앙부(21) 및 하우징 단부(22)보다 높이가 낮고, X방향에 약간의 폭을 갖는 기둥 형상 볼록부이다.The to-be-inserted portion 27 is located between the housing central portion 21 and the housing end 22 in the Y direction, and is provided at two positions symmetrical with the center of the housing 20 as a boundary in the X direction. Each to-be-inserted portion 27 is a columnar convex portion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housing central portion 21 and the housing end portion 22 in the Z direction and having a slight width in the X direction.

삽입 오목부(45)는 피삽입 부분(27)의 높이에 따른 깊이를 갖고, 피삽입 부분(27)의 폭보다 약간 넓은 폭을 갖는다. 삽입 오목부(45)의 내측에는 X방향에 있어서 배열되는 한 쌍의 내측면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내측면 중, 차단부(40)의 Y방향 중앙에 더욱 가까운 측의 내측면으로부터는 압입부(46)가 돌출되어 있다. 압입부(46)는 피삽입 부분(27)이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되었을 때에, 피삽입 부분(27)에 압입되고, 상세하게는 피삽입 부분(27)에 잠식된다.The insertion concave portion 45 has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to-be-inserted portion 27 and has a width slight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to-be-inserted portion 27 . A pair of inner surfaces arranged in the X direction are provided inside the insertion concave portion 45 . Moreover, as shown in FIG. 12, the press-in part 46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closer to the Y direction center of the blocking part 40 among a pair of inner surfaces. The press-in portion 46 is press-fitted into the to-be-inserted portion 27 when the to-be-inserted portion 27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concave portion 45 , and specifically, is encroached into the inserted portion 27 .

이상과 같이, 피삽입 부분(27)은 삽입 오목부(45)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부착 부분(44)에 부착된다. 그 결과, 하우징(20)은 프레임(11)의 내측에서 차단부(40)를 통해 프레임(11)에 지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o-be-inserted portion 27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portion 44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concave portion 45 . As a result, the housing 20 is supported on the frame 11 through the blocking portion 40 on the inside of the frame 11 .

감합 부분(41)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에 있어서 2개의 부착 부분(44) 사이에 위치하고, 차단부(40)의 -Z측의 단부에 마련된 연결 부분(42)과, 연결 부분(42)의 X방향 중앙부에서 +Z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편(43)을 갖는다.12, the fitting part 41 is located between the two attachment parts 44 in the X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part 42 provided in the -Z side edge part of the blocking part 40, and a connection part (42) has a pair of protruding pieces 43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in the X direction to the +Z side.

연결 부분(42)은 X방향에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2개의 부착 부분(44)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한 쌍의 돌출편(43)은 Y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V 자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각 돌출편(43)은 각각, 예를 들면 판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돌출편(43)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다. 또, 각 돌출편(43)의 선단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방향의 외측을 향해 산 형상으로 돌출된 접촉 볼록부(47)를 갖는다.The connection part 42 extends linearly in the X direction, and connects the two attachment parts 44 comrades. The pair of protruding pieces 43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substantially V-shape when viewed from the Y direction. Each of the protruding pieces 43 is configured by, for example, a leaf spring to have elasticity, and may b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protruding pieces 43 is narrowed. Moreover, as shown in FIG. 12, the front-end|tip of each protrusion piece 43 has the contact convex part 47 which protruded in the shape of a mountain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X direction.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부분(41)이, 상대측 커넥터에 마련된 상대측 차단부(114)와 감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대측 차단부(114)의 X방향 중앙부에는 감합 부분(4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오목부(이하, 감합 오목부(116))가 마련되어 있다. 감합 오목부(116)는 한 쌍의 돌출편(43)의 양쪽의 선단부(즉, 접촉 볼록부(47))를 수용하는데 충분한 깊이를 갖는다. 또한, 감합 오목부(116)의 폭(X방향의 길이)은 돌출편(43)끼리의 간격, 엄밀하게는 각 돌출편(43)이 탄성변형되기 전의 시점에서의 간격보다 약간 좁다.In the connector fitting state, as shown in FIG. 13 , the fitting portion 41 is fitted with the mating blocking portion 114 provided in the mating connector. More specifically, a concave portion (hereinafter, fitting concave portion 116 )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ortion 41 is provided in the X-direction central portion of the opposing blocking portion 114 . The fitting concave portion 116 has a depth sufficient to accommodate the distal ends (ie, the contact convex portions 47 )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protruding pieces 43 . In addition, the width (length in the X direction) of the fitting recesses 116 is slightly narrow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ding pieces 43 , more precisely, the gap at the time before each protruding piece 43 is elastically deformed.

커넥터 감합시, 감합 부분(41)이 갖는 한 쌍의 돌출편(43)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변형되어 돌출편(43)끼리의 간격을 좁히면서, 감합 오목부(116)의 안쪽측으로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감합 부분(41)이 감합 오목부(116)와 감합된다. 감합 부분(41)이 감합 오목부(116)의 안쪽부까지 들어간 상태에서는 한 쌍의 돌출편(43)의 각각의 선단, 즉 접촉 볼록부(47)가 감합 오목부(116)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또한, 감합 오목부(116)의 내측면에는 접촉 볼록부(47)와 피트하도록 접촉 볼록부(47)의 만곡 형상에 대응시켜 형성된 패임부가 마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When fitting the connector, as shown in FIG. 13 , the pair of protruding pieces 43 of the fitting portion 41 are elastically deforme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protruding pieces 43 , and the inner side of the fitting concave portion 116 . go to the side Thereby, the fitting portion 41 is fitted with the fitting concave portion 116 . In a state in which the fitting portion 41 has entered the inner portion of the fitting concave portion 116 , the tip of each of the pair of protruding pieces 43 , that is, the contact convex portion 47 , i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concave portion 116 . contact Moreover, it is preferable if the recessed part formed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hape of the contact convex part 47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recessed part 116 may fit with the contact convex part 47 is provided.

감합 부분(41)이 상대측 차단부(114)와 감합된 상태, 즉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는 차단부(40)가 상대측 차단부(114)와 함께 전자 실드를 구성한다. 이 전자 실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 신호 전송용의 2개의 컨택트(31, 32) 사이에 있어서의 신호의 크로스 토크를 억제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fitting portion 41 is fitted with the opposing blocking unit 114 , that is, in a connector fitting state, the blocking unit 40 together with the opposing blocking unit 114 constitutes an electronic shield. As described above, this electromagnetic shield suppresses signal crosstalk between the two contacts 31 and 32 for high-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Y측의 차단부(40) 및 -Y측의 차단부(40)의 각각에 있어서, 감합 부분(41) 및 2개의 부착 부분(44)의 각각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 감합 부분(41) 및 부착 부분(44)의 각각의 두께(Y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대략 균일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Y방향에 있어서, 감합 부분(41)의 단면과 부착 부분(44)의 단면이 동일 평면상에 있으면 좋다. 이 경우에는 차단부(40)를 콤팩트화할 수 있고, 프레임(11)내에 있어서의 차단부(40)의 배치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In each of the blocking portion 40 on the +Y side and the blocking portion 40 on the -Y side, each of the fitting portion 41 and the two attaching portions 44 is as shown in Figs.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rrange|position at the same position in a Y direction. Moreover, it is more preferable if each thickness (length in Y direction) of the fitting part 41 and the attachment part 44 is substantially uniform. In other words, in the Y direction, the end face of the fitting portion 41 and the end face of the attachment portion 44 may be on the same plane. In this case, the blocking part 40 can be made compact, and the arrangement space of the blocking part 40 in the frame 11 can be made smaller.

또한, 부품수를 적게 할 목적에서, 프레임(11)의 측벽(12), 저벽(17) 및 차단부(40)는 동일한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프레임(11)의 측벽(12) 및 저벽(17)이 동일한 부재, 구체적으로는 1개의 금속판(M)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동일한 금속판(M)의 일부를 이용하여 차단부(40)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판(M)의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황동 및 청동 등의 구리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등을 들 수 있다. 또, 금속판(M)의 판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6㎜∼0.15㎜로 설정된다.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he side wall 12, the bottom wall 17, and the blocking portion 40 of the frame 11 are constituted by the same member and are integrated. In detail, the side wall 12 and the bottom wall 17 of the frame 11 are constituted by the same member, specifically, one metal plate M, and a blocking part using a part of the same metal plate M is used. (40) is formed. Although the material of the metal plate M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copper alloys, such as brass and bronze, or stainless steel, etc. are mentioned. Moreover, although the plate|board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M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is set to 0.06 mm - 0.15 mm.

본 발명의 커넥터(10)가 갖는 프레임(11)은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M)에 대해 드로잉 가공(엄밀하게는 각통 드로잉 가공)을 적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판(M)의 바깥 가장자리 부분을 다이스 등에 의해서 끼워 유지하면서, 금속판(M) 중, 바깥 가장자리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펀치 등의 누름 기구(P)를 바짝 댄다. 이것에 의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로잉 저부를 갖는 각통형의 금속 성형품(이하, 프레임 기재(F))이 얻어진다. 드로잉 저부는 드로잉 가공시에 금속판(M)을 밀어넣어 형성되는 부분 중, 가장 안쪽부(저부)에 위치하는 부분이다.The frame 11 of the conn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for example, applying a drawing process (strictly, a square cylinder drawing process) to the metal plate M as shown in FIG. 14 . Specifically, a pressing mechanism P such as a punch is pressed against a portion of the metal plate M located inside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metal plate M while holding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metal plate M with a dice or the like. Thereby, as shown in FIG. 14, the rectangular-shaped metal molded article (henceforth frame base material F) which has a drawing bottom part is obtained. The drawing bottom is a portion located at the innermost portion (bottom) of the portions formed by pushing the metal plate M during drawing processing.

프레임 기재(F) 중, 누름 기구(P)가 바짝 대어진 면측(이하, 상면측)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는 프레임(11)의 완성 시점에서 개구(10A)로 된다. 또, 프레임 기재(F) 중의 각통 부분은 프레임(11)의 완성 시점에서 측벽(12)으로 된다. 또, 금속판(M) 중, 드로잉 가공의 실시중에 사이에 배치되어 있던 바깥 가장자리 부분은 프레임 기재(F)의 상면측에 있어서 칼라 형상의 가장자리부로서 남고, 프레임(11)의 완성 시점에서는 플랜지 부분(53)으로 된다.An opening is formed in the surface side (henceforth upper surface side) to which the pressing mechanism P was pressed among the frame base materials F, and this opening becomes 10 A of openings at the time of completion|finish of the frame 11.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square cylinder part in the frame base material F becomes the side wall 12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frame 11. As shown in FIG. Moreover, among the metal plate M, the outer edge part arrange|positioned during implementation of a drawing process remains as a collar-shaped edge part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frame base material F, and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frame 11, a flange part. (53).

드로잉 가공의 실시 후, 프레임 기재(F)의 저부가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된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 기재(F) 중, 드로잉 저부에는 프레임(11)의 저벽(17)(상세하게는 가장자리부(18) 및 각부(19))에 상당하는 부분과, 차단부(40)에 상당하는 부분이 남는다. 이 단계에 있어서, 저벽(17)에 상당하는 부분(상세하게는 각부(19)에 상당하는 부분)과, 차단부(40)에 상당하는 부분은 연속해서 연결되어 있다.After implementation of the drawing process, the bottom part of the frame base material F is punched out in a predetermined shape. Thereby, in the frame base material 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wall 17 (specifically, the edge portion 18 and the corner portion 19) of the frame 11 at the bottom of the drawing, and the blocking portion 40 A significant portion remains. In this step,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ottom wall 17 (in detail,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leg part 19) a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locking part 40 are connected continuously.

그 후, 저벽(17)에 상당하는 부분과 차단부(40)에 상당하는 부분의 경계에 있어서, 드로잉 저부를 절곡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드로잉 저부 중, 차단부(40)에 상당하는 부분을 저벽(17)에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 대략 90도 절곡해서 기립시킨다.Thereafter, the drawing bottom is bent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wall 17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locking portion 40 . More specifically, among the drawing bottoms,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locking portion 40 is bent by approximatel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wall 17 to stand up.

이상의 수순을 거쳐, 1개의 금속판(M)으로 프레임(11)이 제조된다. 상기의 수순에 의해서 제조된 프레임(11)에서는 측벽(12)이 프레임(11)의 전체둘레에 걸쳐 심리스로 연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11)의 강도 및 차단성(실드성)이 확보된다.The frame 11 is manufactured from one metal plate M through the above procedure. In the frame 11 manufactured by the above procedure, the side walls 12 are seamlessly continuous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11 . Thereby, the strength and barrier property (shielding property) of the frame 11 are ensured.

또, 측벽(12)의 각 부에서는 상승 부분(51)과 플랜지 부분(53)이 심리스로 연결되어 있다. 상승 부분(51)과 플랜지 부분(53) 사이에는 굴곡 부분(52)이 마련되고, 굴곡 부분(52) 및 플랜지 부분(53)이 안내부(54)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1개의 금속판(M)에 대해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여 프레임(11)을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안내부(54)를 부수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Moreover, in each part of the side wall 12, the rising part 51 and the flange part 53 are connected seamlessly. A bent portion 52 is provided between the raised portion 51 and the flange portion 53 , and the bent portion 52 and the flange portion 53 constitute the guide portion 54 .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rame 11 by performing the drawing process on one metal plate M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portion 54 may be formed incidental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10)에서는 안내부(54)가 측벽(12)과 동일한 부재(구체적으로는 동일한 금속판(M))에 의해서 구성되어 측벽(12)과 일체화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측벽(12)과 안내부(54)가 별도의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부품수가 더욱 적어지고, 커넥터(10)의 제조 코스트를 내릴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수순에 의하면, 안내부(54)가, 측벽(12)의 상단부를 프레임(11)의 외측을 향해 구부리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측벽(12)을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를 이용하여 안내부(54)를 더욱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n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54 is formed of the same member as the side wall 12 (specifically, the same metal plate M), and is integrated with the side wall 12 . Thereby,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ide wall 12 and the guide part 54 are comprised by the other member, the number of parts is further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nector 10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the guide portion 54 is formed by bend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2 toward the outside of the frame 11 . Thereby, the guide part 54 can be formed more easily using a part of the member which comprises the side wall 12. As shown in FIG.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10)에서는 안내부(54)가 프레임(11)의 전체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안내부(54)에 상당하는 부분을 갖는 종래의 커넥터(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1))에 비해, 상대측 커넥터(100)를 더욱 적절하게 프레임(11)의 내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n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54 is provid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11 . Thereb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nnector (for example, the connector 1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which has a part corresponding to the guide part 54, the mating-side connector 100 is more suitable for the frame 11. I can guide you inside.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1)에 구비된 프레임(3)은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이고, 도 17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3)에 있어서의 4개의 각부에는 절곡부(5)가 마련되어 있다. 절곡부(5)는 프레임(3)의 상단부가 프레임(3)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구성된다. 절곡부(5)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감합시에는 상대측 커넥터(2)가 프레임(3)의 내측으로 적절하게 안내된다.More specifically, the frame 3 provided in the connector 1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a rectangular frame, and as shown in Figs. (5) is provided. The bent portion 5 is configured by bending the upper end of the frame 3 toward the inside of the frame 3 . By providing the bent portion 5 , the mating connector 2 is properly guided inside the frame 3 when the connector is fitted, as shown in FIG. 19 .

그러나, 프레임(3)의 상단부에 있어서, 절곡부(5)는 각부에만 마련되어 있고, 절곡부(5)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은 오목부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2)가 프레임(3) 중의 오목부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 오목부에 걸린 상태에 있는 상대측 커넥터(2)를 강하게 밀어넣으면, 커넥터(1) 또는 상대측 커넥터(2)를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upper end of the frame 3, the bent portion 5 is provided only at each portion, and the portion where the bent portion 5 does not exist is a concave portion.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ating connector 2 is caught in the recess in the frame 3 when the connector is engaged. If the mating connector 2 in the state of being caught in the recess is pushed in strongly, there is a fear that the connector 1 or the mating connector 2 may be deformed or damaged.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커넥터(10)에서는 프레임(11)의 상단부에 있어서 안내부(54)가 프레임(11)의 전체둘레에 걸쳐 마련되어 있고, 상기의 오목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100)가 오목부에 걸리는 일이 없고, 그것에 기인하여 생기는 커넥터(10) 또는 상대측 커넥터(100)의 변형 및 파손 등을 회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n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54 is provid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11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11, and the concave portion does not exist. Accordingly, the mating connector 100 is not caught in the recessed portion during connector fitting, and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connector 10 or the mating connector 100 resulting therefrom can be avoided.

또, 프레임(11)의 전체둘레에 걸쳐 마련된 안내부(54)의 각 부분(프레임(1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각 부분)은 Z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감합시에 상대측 커넥터(100)가 가일층 프레임(11)에 걸리기 어려워지고, 상대측 커넥터(100)를 프레임(11)의 내측으로 더욱 적절하게 안내할 수 있다.Moreover, each part (each 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ame 11) of the guide part 54 provided over the whole perimeter of the frame 11 exists in the same position in the Z direction. Thereby, the mating connector 100 becomes more difficult to catch on the frame 11 during connector fitting, and the mating connector 100 can be more appropriately guid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11 .

<<그 밖의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

이상까지 본 발명의 커넥터의 구성에 대해, 구체예를 들어 설명해 왔지만,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든 일예에 불과하고, 상기 이외의 실시형태도 고려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specific examples. However,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given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embodiments can be considered.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11)의 측벽(12), 저벽(17) 및 차단부(40)가 동일한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일체화되어 있고, 차단부(40)가 저벽(17)으로부터 +Z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차단부(40)가 저벽(17)과 연속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차단부(40)가 측벽(12)과 연속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측벽(12)이 갖는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차단부(40)가 X방향으로 연장되어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ide wall 12, the bottom wall 17, and the blocking portion 40 of the frame 11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same member, and the blocking portion 40 is moved from the bottom wall 17 to the +Z side. is protruding That is, although the blocking part 40 is continuous with the bottom wall 17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blocking portion 40 is continuous with the sidewall 12 , and specifically, the blocking portion 40 is X from one or both of the pair of long side portions 13 and 14 of the sidewall 12 . direction may be extended.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심리스 구조의 프레임(11)을 드로잉 가공에 의해서 제조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심리스 구조의 프레임(11)을 제조할 수 있는 한, 다른 가공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깎아냄 및 인발 가공 등을 이용해도 좋다.Moreover, although the example which manufactures the frame 11 of a seamless structure by drawing processing was demonstrated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As long as the frame 11 of a seamless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another processing method can be used. You can use it. For example, you may use a chamfering process, a drawing process, etc.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11)의 측벽(12)을 구성하는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 및 한 쌍의 단변 부분(15, 16)의 각각에 돌출 부분(55)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11)의 측벽(12)의 내주면에 있어서 적어도 1개소에 돌출 부분(55)이 마련되면 좋다. 또한, 커넥터 감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한 쌍의 장변 부분(13, 14) 및 한 쌍의 단변 부분(15, 16)의 각각에, 돌출 부분(55)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protruding part 55 is provided in each of the pair of long side parts 13 and 14 and the pair of short side parts 15 and 16 which comprise the side wall 12 of the frame 11, was made to exist.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rovide the protrusion part 55 in at least one place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12 of the frame 11.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maintaining a good connector fitting stat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protruding portion 55 is provided in each of the pair of long side portions 13 and 14 and the pair of short side portions 15 and 16 .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11)의 측벽(12)이 프레임(11)의 전체둘레에 걸쳐 심리스(즉, 이음매 및 단락 없이)로 연속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띠 형상의 금속판을 통 형상으로 구부린 후에 단부끼리를 용접하는 것에 의해, 약간의 이음매를 갖는 프레임(11)의 측벽(12)을 형성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ide wall 12 of the frame 11 is continuous (that is, without seams and short circuits) over the entire perimeter of the frame 11,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fter bending a strip|belt-shaped metal plate into cylindrical shape, you may form the side wall 12 of the flame|frame 11 which has a few seams by welding edge parts.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측벽(12)과 안내부(54)가 심리스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측벽(12) 및 안내부(54)를 각각 별도의 부재에 의해 형성한 후에, 이들을 용접 등에 의해서 접합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it was assumed that the side wall 12 and the guide part 54 were connected seamlessly in embodiment mention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fter forming the side wall 12 and the guide part 54 with separate members, you may join these by welding etc.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11)의 측벽(12)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하였다. 단, 측벽(12)의 형상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마름모형, 사다리꼴 또는 평행사변형, 혹은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등이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side wall 12 of the frame 11 was made into the rectangular shape in planar view. However, the shape of the side wall 12 may be a shape other than a rectangle in planar view, and for example, a circle, an ellipse, a rhombus, a trapezoid or a parallelogram, or polygons other than a quadrangle, etc. may be sufficient.

1; 커넥터 2; 상대측 커넥터
3; 프레임 4; 개구
5; 절곡 부분 10; 커넥터
10A; 개구 11; 프레임
12; 측벽 13, 14; 장변 부분
15, 16; 단변 부분 17; 저벽
18; 가장자리부 19; 각부
20; 하우징 21; 하우징 중앙부
22; 하우징 단부 23; 중앙 볼록부
24; 측방 볼록부 25; 감입홈
26; 감입 오목부 27; 피삽입 부분
31; 컨택트(제 1 단자) 32; 컨택트(제 2 단자)
33; 컨택트(제 3 단자) 40; 차단부
41; 감합 부분 42; 연결 부분
43; 돌출편 44; 부착 부분
45; 삽입 오목부 46; 압입부
47; 접촉 볼록부 51; 상승 부분
52; 굴곡 부분 53; 플랜지 부분
54; 안내부 55; 돌출 부분
100; 상대측 커넥터 102; 상대측 프레임
104; 저벽 106,108; 컨택트 유지부
111,112,113; 상대측 컨택트 114; 상대측 차단부
116; 감합 오목부 F; 프레임 기재
M; 금속판 P; 누름 기구
One; connector 2; mating connector
3; frame 4; opening
5; bent part 10; connector
10A; opening 11; frame
12; sidewalls 13 and 14; long side
15, 16; short side 17; bottom wall
18; edge 19; each part
20; housing 21; housing center
22; housing end 23; central convex
24; lateral projections 25; recessed groove
26; indentation recess 27; part to be inserted
31; contact (first terminal) 32; Contact (2nd terminal)
33; contact (third terminal) 40; blocker
41; fitting portion 42; connection part
43; protrusion 44; attachment part
45; insertion recess 46; press fit
47; contact convex portion 51; rising part
52; bend part 53; flange part
54; guide 55; protruding part
100; mating connector 102; opposite frame
104; bottom wall 106,108; contact holding part
111,112,113; far end contact 114; opposite side blocker
116; fitting recess F; frame material
M; metal plate P; press mechanism

Claims (10)

개구를 갖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상대측 커넥터를 감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와 감합된 상태의 상기 상대측 커넥터를 둘러싸는 측벽과,
상기 측벽 중, 상기 감합 방향에서 상기 개구측에 있는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상기 상대측 커넥터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고,
상기 측벽은 상기 프레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측벽의 상기 개구측에 있는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
A connector having a frame having an opening, the connector capable of fitting a mating connector to the inside of the frame from the opening,
The frame is
a side wall extending in a fitting direction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mating connector and enclosing the mating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is fitted;
a guide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side wall on the side of the opening in the fitting direction and guiding the mating connector into the frame;
the sidewalls are continuous over the entire perimeter of the frame;
and 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at an end portion on the opening side of the side wall over the entire perimeter of th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프레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심리스로 연속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측벽과 동일한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측벽과 일체화되어 있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walls are seamlessly continuous over the entire perimeter of the frame;
and the guide portion is formed by the same member as the side wall and is integrated with the side wal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측벽의 상기 개구측에 있는 단부를 상기 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커넥터.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guide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n end of the side wall at the opening side toward the outside of the fr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및 상기 안내부는 동일한 금속판에 의해서 형성된 커넥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de wall and the guide portion are formed by the same metal plat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측벽 중, 상기 감합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분과 연속된 굴곡 부분과, 상기 굴곡 부분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연장된 플랜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플랜지 부분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는 커넥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curved portion extending along the fitting direction and a continuous curved portion of the sidewall, and a flan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curved por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frame,
wherein the opening is surrounded by the flange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부분에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을 향하는 면은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면인 커넥터.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bent portion, a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frame is a surface curved in an arc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체 둘레에 걸쳐 마련된 상기 안내부의 각 부분은 상기 감합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guide portion provid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rame are arrang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fitting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측벽의 내주면이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외주면에 접해 있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In a state in which the mating connector is fitted to the connector,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is in contact wit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ting connecto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상기 측벽 중의 다른 부분보다 상기 측벽의 내주면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돌출된 돌출 부분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한 상태에서 상기 측벽의 내주면 중, 상기 돌출 부분이 구비된 영역이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외주면에 접해 있는 커넥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ide wall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wall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frame than other portions of the side wall,
In a state in which the mating connector is fitted to the connector, a reg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ting connecto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장변 부분과, 상기 한 쌍의 장변 부분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변 부분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장변 부분의 각각, 및 상기 한 쌍의 단변 부분의 각각에 상기 돌출 부분이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ide wall has a pair of long side portion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a pair of short side portions connecting the ends of the pair of long side portions;
A connector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on each of the pair of long side portions and on each of the pair of short side portions.
KR1020210044967A 2020-05-13 2021-04-07 Connector KR10262360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84468 2020-05-13
JP2020084468 2020-05-13
JPJP-P-2020-091146 2020-05-26
JP2020091146A JP7348135B2 (en) 2020-05-26 2020-05-26 connector assembly
JP2020102280A JP7366844B2 (en) 2020-06-12 2020-06-12 connector
JPJP-P-2020-102280 2020-06-12
JP2020105098A JP2021197328A (en) 2020-06-18 2020-06-18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JPJP-P-2020-105098 2020-06-18
JPJP-P-2020-120397 2020-07-14
JP2020120397A JP7395437B2 (en) 2020-07-14 2020-07-14 connector assembly
JPJP-P-2020-121984 2020-07-16
JP2020121984A JP7445551B2 (en) 2020-07-16 2020-07-16 connector
JPJP-P-2020-132981 2020-08-05
JP2020132981A JP7461245B2 (en) 2020-08-05 2020-08-05 connector
JP2020141324A JP7471960B2 (en) 2020-05-13 2020-08-25 Connector Assembly
JPJP-P-2020-141324 2020-08-25
JPJP-P-2020-155230 2020-09-16
JP2020155230A JP7467296B2 (en) 2020-09-16 2020-09-16 Connector Assembly
JP2020161721A JP2022054592A (en) 2020-09-28 2020-09-28 Connector assembly
JPJP-P-2020-161721 2020-09-28
JPJP-P-2020-184235 2020-11-04
JP2020184224A JP7476078B2 (en) 2020-11-04 2020-11-04 connector
JP2020184235A JP2022074300A (en) 2020-11-04 2020-11-04 connector
JPJP-P-2020-184224 2020-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139A true KR20210139139A (en) 2021-11-22
KR102623603B1 KR102623603B1 (en) 2024-01-10

Family

ID=7871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967A KR102623603B1 (en) 2020-05-13 2021-04-07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60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0955B2 (en) * 1988-03-15 1998-12-24 アンプ・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2016012553A (en) 2014-06-05 2016-01-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Connector set and connector
US20180342823A1 (en) * 2017-05-26 2018-11-29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blind-mate aid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0955B2 (en) * 1988-03-15 1998-12-24 アンプ・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2016012553A (en) 2014-06-05 2016-01-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Connector set and connector
US20180342823A1 (en) * 2017-05-26 2018-11-29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blind-mate ai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603B1 (en)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08400B (en) Connector
CN215119354U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JP2019220480A (en) Electric connector device for board connection
US9614308B2 (en) Board-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US11495919B2 (en) Connector assembly in which ground terminals are coupled to form a shielding
CN217182551U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210359473A1 (en) Connector assembly
KR20220155902A (en) Connector assembly
CN214849393U (en) Connector assembly
CN113131243A (en) Electrical connector
CN110890657B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 connector used for same
KR20210139139A (en) Connector
KR20230025747A (en) Connector
KR20210139137A (en) Connector
JP7476078B2 (en) connector
KR102543900B1 (en) Connector assembly
CN113131248A (en) Electrical connector
JP2022074300A (en) connector
JP2022179959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2543913B1 (en) Connector assembly
CN109546390B (en) Electrical connector
JP2023001455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022180022A (en) connector assembly
CN115706363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JP2022049162A (en)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