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949A -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949A
KR20210138949A KR1020200057065A KR20200057065A KR20210138949A KR 20210138949 A KR20210138949 A KR 20210138949A KR 1020200057065 A KR1020200057065 A KR 1020200057065A KR 20200057065 A KR20200057065 A KR 20200057065A KR 20210138949 A KR20210138949 A KR 20210138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livestock
power
monitoring
environme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태
문병은
이덕현
Original Assignee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7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8949A/ko
Publication of KR20210138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14Protecting elements,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Ventilation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발명은 상기와 같이 축산 시설에 설치된 개별 장치들의 동작을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알아내고, 비정상적인 동작을 하는 경우 이를 차단하거나, 경보를 통하여 알리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실내온습도 센서; 및 실외온습도 센서; 및 상기 실내온습도 센서 및 실외온습도 센서의 신호를 받아 환기팬을 구동하는 중앙제어기를 포함하는 축사환경 제어부; 및 상기 축사환경 제어부의 동작 제어신호와 연동되지 않는 개별 축산환경 제어장치; 및 상기 축사환경 제어부, 개별 축산환경 제어장치가 연결되는 콘센트형 전력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콘센트형 전력 모니터링 장치에 연결되어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배전반 제어부; 및 상기 콘센트형 전력모니터링 장치에서 전력소모에 관한 모니터링 정보를 받아 이를 바탕으로 상기 배전반 제어부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는 전력공급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축사 등과 같은 농업시설에 사용되는 개별동작 장치 등의 동작을 전력모니터링을 통하여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중앙제어부에서 제어할 수 없었던, 개별 축산환경제어장치들을 환경제어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스마트 축사에 설치된 ICT 장비의 동작을 전력 사용 모니터링을 통하여 ICT 장비의 정상동작과 오동작 및 전력의 과도한 소비 등을 찾아 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출원 이전의 선행기술로는 특정 디바이스를 통해서 소비되는 전류, 전압 또는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센서로부터 측정하여 디지털로 변환하는 디지털변환부; 디지털로 변환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그 결과를 통신인터페이스로 전송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로부터 입력된 설정에 따라 상기 디지털변환부에 측정주기를 설정하는 측정주기설정부; 및 인식한 디바이스의 전력소비 패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전력소비 패턴으로부터 디바이스의 종류, 모델, 제조사, 평균 소비전력, 최대 소비전력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제품 정보를 인식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거실, 방 등의 제어단위 공간 영역별로 설치되는 분전반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각 콘센트 및 조명장치에 공급제어하며, 접속된 각 콘센트 및 조명장치에 제공되는 전력량을 검출하여 각 콘센트의 대기전력차단 및 검출된 전력량 정보를 제공하는 전력스위칭장치와, 각 전력스위칭장치로 부터 수집되는 전력소비량 정보를 제공받아 각 기기별 전력소비량 및 가정 내 통합 소비전력량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고 수집된 전력소비량 정보에 따라서 전력소비패턴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소비패턴정보에 따라서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정보를 각 전력스위칭장치에 제공하여 전력소비패턴에 따른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메인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한 상기 메인제어장치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메인제어장치에서 제공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 및 메인제어장치를 통해 각 전력스위칭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된 개인용 컴퓨터와,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메인제어장치에 접속하여 메인제어장치에서 제공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 및 원격지에서 메인제어장치를 통해 전력스위칭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포함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608328 공개특허공보 10-2013-0033607
산 시설, 스마스팜, 온실 등과 같은 농업시설에서는 환기팬, 측장 개폐장치, 공기정화장치, 히터, 조명장치 등과 같은 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들이 많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설치하여 하나의 중앙제어기로 제어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필요에 따라 그때 그때 설치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렇게 설치하다 보면, 중앙제어기에서 제어할 수 없는 제어장치가 생기고, 그 장치의 동작을 모니터링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잘 동작하는지, 고장난 것은 아닌지 등등이다.
그렇다고, 개별 설치되어 동작하는 장치들을 별도의 비용을 들여 하나의 중앙제어장치로 묶어 사용하는 것도 쉽지 않다. 비용이 더 드는 것도 문제지만, 개별 동작하는 장치들의 제어프로그램을 알 수 없어 이를 구현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축산 시설에 설치된 개별 장치들의 동작을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알아내고, 비정상적인 동작을 하는 경우 이를 차단하거나, 경보를 통하여 알리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하기의 과제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실내온습도 센서; 및
실외온습도 센서; 및
상기 실내온습도 센서 및 실외온습도 센서의 신호를 받아 환기팬을 구동하는 중앙제어기를 포함하는 축사환경 제어부; 및
상기 축사환경 제어부의 동작 제어신호와 연동되지 않는 개별 축산환경 제어장치; 및
상기 축사환경 제어부, 개별 축산환경 제어장치가 연결되는 콘센트형 전력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콘센트형 전력 모니터링 장치에 연결되어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배전반 제어부; 및
상기 콘센트형 전력모니터링 장치에서 전력소모에 관한 모니터링 정보를 받아 이를 바탕으로 상기 배전반 제어부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는 전력공급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축산환경 제어부에는 측창 개폐장치, 난방히터, 온수히터, 살수기, 공기정화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개별 축산환경 제어장치에는 측창 개폐장치, 난방히터, 온수히터, 온수 보일러, 살수기, 공기 정화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력공급제어부는 상기 측창 개폐장치, 난방히터, 온수히터, 살수기, 공기정화기 및 환기팬의 정상 동작 시 전력소모량과 동작 정지 시 전력 소모량을 기록하여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력공급제어부는 상기 실내환경센서 및 실외환경센서와 상기 측창 개폐장치, 난방히터, 온수히터, 살수기, 공기정화기 및 환기팬의 동작 및 정지 사이의 운전관계를 모니터링하여 수식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식은 상기 실내환경센서 및 실외환경센서 측정하는 온도, 습도, 풍속 등의 데이터와 상기 측창 개폐장치, 난방히터, 온수히터, 살수기, 공기정화기 및 환기팬의 동작을 장치를 기준으로 1개의 장치와 환경변수를 1 대 1로 매칭하는 수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식은 상기 실내환경센서 및 실외환경센서 측정하는 온도, 습도, 풍속 등의 데이터와 상기 측창 개폐장치, 난방히터, 온수히터, 살수기, 공기정화기 및 환기팬의 동작을 장치를 기준으로 1개의 장치와 환경변수를 1 대 n로 매칭하는 수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식에 있어서, 장치를 기준으로 1개의 장치와 환경변수를 1 대 n로 매칭하는 수식인 경우 상기 환경변수 n개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중치를 둘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측창 개폐장치 또는 환기팬과 같이 모터가 동작하는 장치의 경우 외부 진동에 의하여 동작상태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이어서, 이들 장치에는 별도의 진동센서를 더 부착하여 환경센서의 신호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축사 등과 같은 농업시설에 사용되는 개별동작 장치 등의 동작을 전력모니터링을 통하여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중앙제어부에서 제어할 수 없었던, 개별 축산환경제어장치들을 환경제어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력 모니터링 장치로 컴퓨터 모니터의 전력 사용을 측정한 그래프.
도2는 본 발명의 전력 모니터링 장치로 축사 환풍기의 전력 사용을 측정한 그래프.
도3은 본 발명의 전력 모니터링 장치로 공기정화기의 전력 사용을 측정한 그래프.
도4는 본 발명의 전력 모니터링 장치로 5kW 난방히터의 전력 사용을 측정한 그래프.
도5는 본 발명의 전력 모니터링 장치로 중앙제어기의 전력 사용을 측정한 그래프.
도6은 본 발명의 전력 모니터링 장치로 환풍팬의 동작 상태에 따른 전력 사용을 측정한 그래프.
도7은 본 발명의 전력 모니터링 장치로 환풍기, 제어기 및 난방히터의 동시 전력 사용을 측정한 그래프.
도8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효과를 도면을 활용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 내지 6은 축사 등 농업시설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장치들의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1은 컴퓨터 등의 모니터의 전력소모 패턴이다. 약간의 대기 전력이 있고, 처음 동작 시 조금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고, 이후로는 약간의 편차가 있을 뿐이다.
도2는 환풍팬의 동작패턴이다. 소형의 환풍팬의 경우에는 연속으로 동작할 수도 있으나, 본 환풍팬은 2kW급 환풍팬으로 동작과 정지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하고 있다. 이는 외부에 연결된 제어장치에서 제어하는 것으로 일정 시간 주기로 또는 온도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환풍팬의 제어 주기와 방법에도 불구하고, 환풍팬의 동작과 정지의 주기가 빨라지는 것은 환풍팬에 무리가 가는 것으로 고장인 경우일 수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고장이날 가능성이 높이 때문에 환풍팬의 동작주기가 빨라지는 것과 환풍팬의 동작 전력이 높아지는 것은 베어링의 파손, 물체의 걸림과 같은 문제가 있는 것이어서 전력을 차단하고 경보로써 확인을 요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6은 여러 가지 형태의 환풍팬 동작 시 전력소모 그래프이다. 주기가 빨라지는 경우(이상동작 1), 연속동작하고 사용전력이 높은 경우(이상동작2), 동작하지 않는 경우(이상동작 3)을 볼 수 있다.
특히 환풍팬의 동작은 실내외의 온도 습도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환풍팬의 동작과 실내온도, 습도, 실외온도, 습도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환풍팬의 정상동작 패턴을 상기 전력공급제어부에 저장 한 후 이상 동작 패턴을 찾게된다. 이때 패턴 자체를 저장하는 방법과, 환경측정값과의 수식으로 저장하는 방법이 있는데, 둘다 사용하는 것이 더욱 환풍팬의 동작패턴을 모니터링하는데 유리하다.
도3은 공기정화기의 운전 시 전력사용 패턴이다. 모터의 회전에 의한 주기적인 노이즈가 보임을 알 수 있다. 도4는 난방히터의 운전으로 실내 온도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온오프 제어를 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중앙제어기의 전력소모를 도5에서 보여주고 있다. 초기 부팅 시 전력소모가 크게 있으며, 일정한 전력소모 레벨에서 동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7은 환풍기와 중앙제어기 및 난방히터가 동시에 동작하는 전력 소모 형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여기에 어느 하나의 장치라도 오동작을 하게되면 전력소모 패턴이 흐트러지고 이로부터 오동작 또는 불안정한 동작을 하는 장치를 찾아낼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축사 관리 시스템을 구성한 구성도이다. 스마트팜 등을 포함한 농업시설은 내부의 환경 조절을 통하여 식물과 동물의 생육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환기팬, 난방히터, 난발보일러, 살수기 등 여러 장치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장치를 하나의 중앙제어기에서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왔다.
이는 표준화된 중앙제어기와 표준화된 주변장치들이 공급될 때 가능한 것인데, 농업전용의 주변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농업에 적용가능한 상업적인 제품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으로 하나의 제어기에서 모든 농업시설에 설치된 장치들을 제어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하나의 중앙제어기와 연동된 환경모니터링 및 관리 장치와 개별적으로 설치된 환경제어장치를 전력모니터링을 통하여 연동하는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예로써 상기 중앙제어기에서 축사 내부의 온도가 낮아 히터를 켜는 경우 개별적으로 설치된 환기팬이 높은 온도를 인식하여 환기팬을 구동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상기 중앙제어기의 히터를 동작시켰으나, 상기 환기팬의 경우 내장된 온도센서와 프로그램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동작하기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기존의 장치들은 이러한 동작을 막을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콘센트 형태의 전력모니터링장치에서 상기 환기팬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전력공급부에서 상기 중앙제어기의 제어 의도가 실내온도를 높이는 것이라면, 당연히 개별동작하는 상기 환기팬을 정지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하여 상기 전력공급제어부에서 배전반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환기팬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예는 하나의 예시 일뿐 중앙에서 이러한 문제는 제어할 수 없는 개별 제어기를 구비한 시설 어디에든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제어방법은 기존에 설치된 장치들을 중앙제어기에 연동하지 않고도 전력모니터링 가능한 콘센트에 연결만 해주면 동작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배전반 제어를 통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중앙제어부에서 개별 설치 장비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축사환경 제어부에서 축사환경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상기 축사환경 조절에 방해가되는 동작을 하는 개별 축산환경 제어장치의 동작을 상기 배전반 제어부에서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9)

  1. 내온습도 센서; 및
    실외온습도 센서; 및
    상기 실내온습도 센서 및 실외온습도 센서의 신호를 받아 환기팬을 구동하는 중앙제어기를 포함하는 축사환경 제어부; 및
    상기 축사환경 제어부의 동작 제어신호와 연동되지 않는 개별 축산환경 제어장치; 및
    상기 축사환경 제어부, 개별 축산환경 제어장치가 연결되는 콘센트형 전력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콘센트형 전력 모니터링 장치에 연결되어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배전반 제어부; 및
    상기 콘센트형 전력모니터링 장치에서 전력소모에 관한 모니터링 정보를 받아 이를 바탕으로 상기 배전반 제어부의 전력의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는 전력공급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산환경 제어부에는 측창 개폐장치, 난방히터, 온수히터, 살수기, 공기정화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축산환경 제어장치에는 측창 개폐장치, 난방히터, 온수히터, 온수 보일러, 살수기, 공기 정화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제어부는 상기 측창 개폐장치, 난방히터, 온수히터, 살수기, 공기정화기 및 환기팬의 정상 동작 시 전력소모량과 동작 정지 시 전력 소모량을 기록하여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제어부는 상기 실내환경센서 및 실외환경센서와 상기 측창 개폐장치, 난방히터, 온수히터, 살수기, 공기정화기 및 환기팬의 동작 및 정지 사이의 운전관계를 모니터링하여 수식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은 상기 실내환경센서 및 실외환경센서 측정하는 온도, 습도, 풍속 등의 데이터와 상기 측창 개폐장치, 난방히터, 온수히터, 살수기, 공기정화기 및 환기팬의 동작을 장치를 기준으로 1개의 장치와 환경변수를 1 대 1로 매칭하는 수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은 상기 실내환경센서 및 실외환경센서 측정하는 온도, 습도, 풍속 등의 데이터와 상기 측창 개폐장치, 난방히터, 온수히터, 살수기, 공기정화기 및 환기팬의 동작을 장치를 기준으로 1개의 장치와 환경변수를 1 대 n로 매칭하는 수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에 있어서, 장치를 기준으로 1개의 장치와 환경변수를 1 대 n로 매칭하는 수식인 경우 상기 환경변수 n개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중치를 둘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창 개폐장치 또는 환기팬과 같이 모터가 동작하는 장치의 경우 외부 진동에 의하여 동작 상태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이어서, 이들 장치에는 별도의 진동센서를 더 부착하여 환경 센서의 신호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KR1020200057065A 2020-05-13 2020-05-13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KR20210138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065A KR20210138949A (ko) 2020-05-13 2020-05-13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065A KR20210138949A (ko) 2020-05-13 2020-05-13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949A true KR20210138949A (ko) 2021-11-22

Family

ID=7871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065A KR20210138949A (ko) 2020-05-13 2020-05-13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894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607A (ko) 2011-09-27 2013-04-04 윤홍식 가정 내 소비전력 관리 시스템
KR101608328B1 (ko) 2014-06-24 2016-04-04 이정환 전력소비 패턴 분석을 통한 디바이스 인식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607A (ko) 2011-09-27 2013-04-04 윤홍식 가정 내 소비전력 관리 시스템
KR101608328B1 (ko) 2014-06-24 2016-04-04 이정환 전력소비 패턴 분석을 통한 디바이스 인식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45844B2 (en) Universal demand-response remote control for ductless split system
CA2839192C (en) Controlling the setback and setback recovery of a power-consuming device
DK3136363T3 (en) ACCESSORIES FOR MANAGING AND TRACING THE FUNCTION OF HOUSEHOLDERS AND ENTERTAINMENT EQUIPMENT
US8008603B2 (en) Boiler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703367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rolling energy consuming devices within a building
US10317099B2 (en) Variable air volume diffuser and method of operation
Chasta et al. A smart building automation system
CN103900320A (zh) 医用冷藏箱的智能调控系统和监控系统及其应用方法
US20150100163A1 (en) Ir translator providing demand-control for ductless split hvac systems
KR101167585B1 (ko) 스마트 홈을 위한 댁내 망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03771850U (zh) 医用冷藏箱的智能调控系统和监控系统
US20210270478A1 (en) Additional control device, ventilation assembly, ventilation system, operating method for an additional control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NL2016068B1 (en) Modulating learning thermostat.
CN102707751B (zh) 带电作业用标准化安全工器具库房的温湿度智能监控系统
KR20210138949A (ko)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축사환경제어 모니터링 장치
WO2014191722A1 (en) Boiler control system
CN202150044U (zh) 电力安全工器具管理系统
CN202649854U (zh) 带电作业用标准化安全工器具库房的温湿度智能监控系统
KR102503351B1 (ko) 축사 안전 장치
CN207867374U (zh) 分布式脱网智能运行联网集中控制的养殖环境控制系统
KR20210019875A (ko)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
CN210806728U (zh) 一种经济实用的三相电力调温装置
KR101387976B1 (ko) 공조 시스템의 에너지 저감을 위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CN207555896U (zh) 一种高效空调节能监测系统
KR102014152B1 (ko) 온도제어를 포함하는 최대전력관리장치와 주제어장치의 스마트제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