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899A - 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 Google Patents

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899A
KR20210138899A KR1020200056921A KR20200056921A KR20210138899A KR 20210138899 A KR20210138899 A KR 20210138899A KR 1020200056921 A KR1020200056921 A KR 1020200056921A KR 20200056921 A KR20200056921 A KR 20200056921A KR 20210138899 A KR20210138899 A KR 20210138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 hood
air
hood
clea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1520B1 (en
Inventor
안성모
Original Assignee
안성모
(주)동양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모, (주)동양케미칼 filed Critical 안성모
Priority to KR102020005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520B1/en
Publication of KR20210138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8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5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hood for trace analysis, and more specifically, to a clean hood which significantly increases the efficiency of inorganic and organic trace analysis by significantl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inside the clean hood by using air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inorganic and organic trace analys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 hood for preventing turbulence, which comprises a clean hood filter device (100), a laminar flow supply device (200), a discharge part (300), a bottom part (400), a window part (500), a control part (600), a water supply part (700), and a body part (1000).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 hood for preventing turbulence, in which the laminar flow supply device (200) includes a distributed supply part (210), an air storage part (220), and an air inlet part (230).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 hood for preventing turbulence, in which the clean hood filter device (100) includes a HEPA filter device part (101) and an ULPA filter device part (102).

Description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후드{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본 발명은 극미량 분석을 위한 크린 후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무기 및 유기 극미량분석을 위한 과정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크린후드 내부의 난류의 발생을 현저히 방지하여 무기 및 유기 극미량분석 효율을 현저히 높이는 크린 후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 hood for trace analysis, and more specifically, a clean hood that significantly increases the efficiency of inorganic and organic trace analysis by remarkabl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turbulence inside the clean hood in the air introduced in the process for inorganic and organic trace analysis. It's about the hood.

일반적으로 각종 실험실에서 사용되어 지고 있는 후드(크린 후드 포함)는 실험자 및 실험실 내부의 안전한 환경을 위하여 실험실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덕트가 실험실 외부로 연결되어 있고, 실험실 외부에는 유해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hoods (including clean hoods) used in various laboratories have a duct for discharging harmful gases generated inside the laboratory to the outside for a safe environment inside the laboratory and the experimenter, and ar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laboratory. An exhaust device is installed to discharge harmful gases.

종래의 크린 후드는 상단부에 급기부가 위치하고 있고, 급기부에서 제공하는 공기를 필터부를 통과하여 크린 후드의 내부로 제공하게 된다.In a conventional clean hood, an air supply unit is positioned at an upper end, and air provided from the air supply unit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to provide the inside of the clean hood.

즉, 종래 실험용 크린 후드는 외장이 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실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실험공간에서 실험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각종 유해가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이 주로 하우징의 상측에 장착된다.That is, in a conventional clean hood for an experiment, an experiment space is formed inside a housing that is an exterior, and a suction means for inhaling various harmful gases generated when an experiment is performed in the experiment space is mainly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실험공간을 외부와 차단하거나 노출시키기 위해 상, 하로 슬라이딩되는 도어가 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block or expose the experimental space from the outside, a door sliding up and down is installed and configured.

이때, 흡입수단은 흡입된 유해가스를 실험실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배출관과 연결되도록 제작된다.At this time, the suction means is manufactured to be connected to a separat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inhaled harmful gas to the outside of the laboratory.

이와 같은 종래 실험용 크린 후드는 실험을 수행하는 도중에 유해가스가 실험실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항상 흡입 및 배출장치가 작동되도록 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실험실 내의 공기는 실험공간 내부를 통하여 유해가스와 더불어 외부로 배출된다.In such a conventional clean hood for experiments, the suction and exhaust devices are always operated to prevent harmful gases from flowing into the laboratory during the experiment. is emitted as

그러나 이러한 종래 실험용 크린 후드는 실 사용시 많은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었다. 종래 실험용 크린 후드는 유해가스의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실험을 수행하는 연구원들이 유해가스로 인한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clean hoods for experiments were exposed to many problems in actual use. Conventional clean hoods for experiments have a problem in that the exhaust of harmful gases is not performed smoothly, so that researchers who conduct experiments are exposed to risks due to harmful gases as they are.

특히 종래 실험용 크린 후드는 흡입수단을 이용한 유해가스의 흡입방향이 어느 한 방향(크린 후드의 상부)으로만 이루어져 실험공간의 뒷면의 좌측 및 우측의 구석 부위에서 유해가스의 와류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크린 후드 내부공간에도 공기의 와류현상이 발생하여 원활한 유해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conventional clean hood for experiments, the suction direction of harmful gas using the suction means is in only one direction (the upper part of the clean hood), so a vortex of harmful gas occurs in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back side of the experiment spac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vortex of air was generated even in the space inside the hood, so that noxious gas was smoothly discharged.

또한, 종래 실험용 크린 후드는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원활히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실험용 크린 후드는 외부 공기의 흡입과정에서 전방 도어의 개방된 부분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크린 후드 내부에 부압이 작용하는 등의 단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ventional clean hood for the experiment does not smoothly inhale the inhaled external air. That is, the conventional clean hood for experiments has disadvantages, such as negative pressure acting inside the clean hood, because the inflow of external air into the open part of the front door does not proceed smoothly during the intake of external air.

따라서, 크린 후드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균일하도록 외부 공간의 공기가 일정량 유입되고, 내부 공간에 잔류하는 유해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크린 후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Therefore, there was a need to develop a clean hood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air from the external space is introduced so that the pressure inside and outside the clean hood is uniform, and the harmful gas remaining in the internal space can be smoothly discharged.

상기와 같은 요청으로, 등록특허 10-0528705호(크린 흄 후드, 이하 선행기술)는 "내부에 소정의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작업공간의 전면으로 개방된 부분에는 개폐를 위한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며, 작업공간의 상단에 작업공간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는 급기부가 설치된 흄 후드에 있어서, 공급되는 공기를 1차로 여과하는 프리필터(pre-filter)와 상기 프리필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재여과하며, 슬라이딩 도어 쪽의 전면부가 공기 공급구가 작업면부의 공기 공급구보다 크기가 큰 에어파티클 필터(air particle filter)를 포함하는 급기부; 작업공간의 배면에 작업면부의 배기 유로와 전면부의 배기 유로가 분리 설치된 배기부;로 구성되는 크린 흄 후드"를 제공한 바 있다.With the above request, Patent Registration No. 10-0528705 (Clean fume ho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states, "A predetermined working space is formed inside, and a slid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is installed in the part opened to the front of the working space. , in the fume hood provided with an air supply unit to which air is supplied into the work space at the top of the work space, a pre-filter that primarily filters the supplied air and re-filters the air supplied from the pre-filter, , an air supply unit including an air particle filter in which the air supply port of the front side of the sliding door has a larger size than the air supply port of the working surface; A clean fume hood consisting of a separately installed exhaust unit has been provided.

또한, 등록특허 10-1939624호(실험용 흄후드)는 "도어의 개방면적을 조절함에 따라 외부공기의 균일한 흡입력이 작용하여 실험 공간에 부압이 발생되지 않아 정밀한 실험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험 공간을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실험용 흄후드"를 제공한바 있다.In addition, Patent No. 10-1939624 (experimental fume hood) states, "As the open area of the door is adjusted, a uniform suction force of the outside air is applied, so that a negative pressure is not generated in the experimental space, so that precise experiments can be performed and at the same time. A fume hood for experiments that can smoothly flow the air moving through the experimental space has been provided.

종래의 크린 후드가 실험공간의 뒷면의 좌측 및 우측의 구석 부위에서 유해가스의 와류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크린 후드 내부공간에도 공기의 와류현상이 발생하여 원활한 유해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크린 드 내부에서의 와류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하는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후 를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conventional clean hood, a vortex of harmful gas occurred in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back side of the test space, and a vortex of air occur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lean hood, so there was a problem that noxious gas was smoothly discharged. Ba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 after which there is no turbulence that completely prevents the generation of vortex inside the clean.

또한 본 발명은 크린 후드 내부에서 실험하는 금속이온 또는 이온분석 등과 같은 정밀한 검사가 필요한 경우 크린 후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와류가 발생하는 경우 분석의 정밀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바 크린 후드 내부에서의 와류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하는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드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cise test such as metal ion or ion analysis performed inside the clean hood is required, when a vortex is generated by the air flowing into the clean hood, the precision of the analysis is significantly lowere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urbulence-free clean that completely prevents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and needs,

클린후드 필터장치(100), 층류공급장치(200), 배출부(300), 바닥부(400), 창문부(500), 컨트롤부(600), 물공급부(700), 몸체부(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난류 방지형 크린 후드를 제공한다.Clean hood filter device 100 , laminar flow supply device 200 , discharge part 300 , bottom part 400 , window part 500 , control part 600 , water supply part 700 , body part 1000 It provides an anti-turbulence type clean hood comprising a.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층류공급장치(200)는 분산공급부(210), 공기저장부(220), 공기유입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 방지형 크린 후드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urbulence prevention type clean hood, characterized in that the laminar flow supply device 200 includes a distributed supply unit 210 , an air storage unit 220 , and an air inlet unit 230 . .

또한 본 발명은 크린후드 필터장치(100)는 헤파(hepa) 필터장치부(101), 울파(ulpa) 필터장치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 방지형 크린 후드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urbulence prevention type clean ho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 hood filter device 100 includes a hepa filter device 101 and an ulpa filter device 102 . do.

종래의 크린 후드가 실험공간의 뒷면의 좌측 및 우측의 구석 부위에서 유해가스의 와류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크린 후드 내부공간에도 공기의 와류현상이 발생하여 원활한 유해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In the conventional clean hood, a vortex of harmful gas occurred in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back side of the test space, and a vortex of air occur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lean hood, so there was a problem that noxious gas was smoothly discharged. bar,

본 발명에 따른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후드는 층류공급장치를 부가하여 크린후드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난류의 발생을 현저히 방지하게 되어 이온 분석 등의 정밀한 분석에서의 정밀도를 현저히 높이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The clean hood without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precision in precise analysis such as ion analysis by adding a laminar flow supply device to significantly prevent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clean hoo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후드는 크린후드 필터장치에 헤파(hepa) 필터장치부, 울파(ulpa) 필터장치부가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어서 금속이온 등의 미세입자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고, 더불어 공기 중의 미생물까지 완전히 제거하여 크린후드 내부로 유입시키는 작용과 효과가 나타난다.In addition, the clean hood without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pa filter unit and an ulpa filter unit in the clean hood filter unit to completely block the inflow of fine particles such as metal ions. In addition, the action and effect of completely removing microorganisms in the air and introducing them into the clean hood are show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린후드 필터장치는 PP(폴리프로필렌),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DF(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인 고분자 화합물질 재질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크린후드 내부로의 금속이온의 발생 및 기타 다른 이온의 유입 또는 발생이 나타나지 않게 되는 효과가 나타난다.In addition, as the clean hood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high molecular compound material such as PP (polypropylene), PVC (polyvinyl chloride), and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metal ions are generated inside the clean hood. and the effect that the inflow or generation of other ions does not app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후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후드의 세부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후드의 층류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후드의 층류공급장치가 장착되어 층류가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후드의 층류공급장치의 분산공급부의 구조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후드의 층류공급장치의 분산공급부의 분사부의 세부 구조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후드의 층류공급장치의 분산공급부의 분사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후드의 층류공급장치의 배치도 및 층류 형성 발생 설명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후드의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후드의 공기 배출 조절용 배출부의 개념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lean hood without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view of 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laminar flow supply device for 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laminar flow is formed by mounting the laminar flow supply device of 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distributed supply unit of the laminar flow supply device of 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detailed structural diagram of the spraying part of the distributed supply part of the laminar flow supply device of a clean hood without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raying part of the distributed supply unit of the laminar flow supply device of a clean hood without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ayout view of a laminar flow supply device for 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planatory view of laminar flow formation;
6 is a conceptual view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7 is a conceptual view of a discharge unit for controlling air discharge of 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클린후드 필터장치(100), 층류공급장치(200), 배출부(300), 바닥부(400), 창문부(500), 컨트롤부(600), 물공급부(700), 몸체부(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난류 방지형 크린 후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 hood filter device 100, a laminar flow supply device 200, a discharge part 300, a bottom part 400, a window part 500, a control part 600, a water supply part 700, and a body part. (1000) provides an anti-turbulence type clean hood comprising.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층류공급장치(200)를 구성하여 크린 후드 내부에서 발생하는 난류에 의한 영향으로 이온 분석 등과 같은 정밀한 분석을 요하는 분석 과정에서 오류 및 에러의 발생을 현저히 낮춰주는 기능을 수행한 점을 들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unction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occurrence of errors and errors in the analysis process requiring precise analysis such as ion analysis due to the influence of turbulence generated inside the clean hood by configuring the laminar flow supply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mentioned that the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크린 후드는 외부에서 급기부(190)를 통하여 크린 후드 내부로 공기가 제공되고, 크린 후드의 배출부(300)를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As shown in FIG. 1 , in the conventional clean hood, air is provided into the clean hoo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air supply unit 190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300 of the clean hood.

이 경우 크린 후드의 앞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부(500)를 닫은 경우 급기부에서 제공되는 공기가 크린 후드 내부에서 그 역할을 수행하고 배출부(300)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데 크린 후드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와 급기부에서 제공되는 공기가 서로 충돌하게 되어 난류 존(turbulence zone)이 발생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window unit 500 installed in front of the clean hood is closed, the air provided from the air supply plays a role inside the clean hood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300 . The air present in the clean hood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and the air supply collide with each other, creating a turbulence zone.

또한 크린 후드의 앞에 설치되어 있는 창문부(500)의 하단부를 조금 열어 놓아 창문부의 하단부를 통하여 크린 후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급기부에서 제공되는 공기, 크린 후드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및 창문부의 하단부를 통하여 크린 후드 내부로 공기가 서로 충돌하게 되어 더욱 심각한 난류 및 난류 존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lower end of the window unit 500 installed in front of the clean hood is slightly opened and air flows into the clean hoo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window unit, the air provided from the air supply unit, the air existing inside the clean hood, and the window The air collides with each other through the lower end into the clean hood, creating more severe turbulence and turbulence zones.

상기한 난류 존(turbulence zone)은 크린 후드를 정면으로 보았을 경우 좌측의 뒷면부분(T1)과 우측의 뒷면부분(T2)에서 주로 발생하고, 배출부(300) 주변에서도 국지적인 난류가 발생하게 된다.The above-described turbulence zone mainly occurs in the rear part T1 on the left and the rear part T2 on the right when the clean hood is viewed from the front, and local turbulence occurs around the discharge unit 300. .

이와 같은 크린 후드 내부에서의 난류 발생은 이온 분석, 정량 분석 등과 같은 정밀한 분석을 요하는 분석 과정에서 오류 및 반응의 에러를 발생시키고, 후드 내의 입자(particles)가 있는 경우 서로 충돌을 유발하여 에러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분석의 정밀성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Such generation of turbulence inside the clean hood causes errors and reaction errors in the analysis process that requires precise analysis such as ion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As this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significantly lowers the precision of the analys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난류가 발생되는 종래의 크린 후드에서 난류의 발생을 현저히 줄이고 또한 난류의 발생을 완전히 제어하는 층류공급장치(200)를 구성하여 난류 방지형 크린 후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urbulence prevention type clean hood by constructing a laminar flow supply device 200 that significantly reduces the generation of turbulence and completely controls the generation of turbulence in a conventional clean hood in which turbulence is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층류공급장치(200)는 크린 후드의 배출부(300)로 배출되는 크린 후드 내의 공기에 층류(laminar flow)를 형성시켜서 크린 후드 내부에 난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The laminar flow supply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or means for preventing turbulence inside the clean hood by forming a laminar flow in the air in the clean hoo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300 of the clean hood. it means.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층류공급장치(200)는 분산공급부(210), 공기저장부(220), 공기유입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laminar flow supply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tributed supply unit 210 , an air storage unit 220 , and an air inlet unit 230 .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분산공급부(210)의 구조 및 기능에 있다.A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lies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distributed supply unit 210 .

본 발명의 분산공급부(210)는 크린후드의 창문부(500)에 형성된 사용자의 손 또는 실험기기 등을 내부에 삽입하고 꺼내기 위해 형성된 입구부(5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The distributed supply unit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let unit 510 formed to insert and take out the user's hand or experimental equipment formed in the window unit 500 of the clean hood.

상기한 입구부(510)는 크린후드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면부, 우측면부, 상면부, 하단부의 4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The inlet 510 is formed on the front part of the clean hood and has a rectangular shape of a left side, a right side,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따라서 분산공급부(210)는 상기한 입구부(510)의 하단부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the distributed supply unit 2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left to the right of the lower end of the inlet 510 .

본 발명의 분산공급부(210)는 입구부(510)의 하단부에서 크린후드 내부로 일정한 속도의 공기량을 제공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The distributed supply unit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device or means for providing an air quantity at a constant spee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let unit 510 to the inside of the clean hood.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산공급부(210)는 내부에 공기유통구(210-1)가 형성되어 있고, ㄱ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공기유도부(211), 수평공기유입부(212), 분사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distributed supply unit 210 has an air flow port 210-1 formed therein, has a L-shape, and has an air induction unit 211, a horizontal air inlet 212, and an injection unit ( 213) is included.

본 발명의 상기한 공기유통구(210-1)는 공기저장부(220)에서 제공하는 공기를 분사부(213)로 배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유통 구멍을 의미한다.The air flow hole 210-1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distribution hole that performs a function for discharging the air provided from the air storage unit 220 to the injection unit 213 .

본 발명의 공기유도부(211)는 공기저장부(220)와 연결되어 있어서 공기를 공급받아 수평공기유입부(212)로 공급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ir induction unit 2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air storage unit 220 to receive air and perform a function of supplying it to the horizontal air inlet unit 212 .

본 발명의 수평공기유입부(212)는 크린후드 내부까지 형성되어 있고 크린후드의 바닥부(400)에 수평한 방향 또는 바닥부와 0~30도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구조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The horizontal air inlet 2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up to the inside of the clean hood and has a structure or device having a structur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bottom 400 of the clean hood or at an angle of 0 to 30 degrees with the bottom portion. means

상기한 수평공기유입부(212)는 공기유도부(21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크린후드 내부로 수평한 층류를 형성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horizontal air inlet 212 performs a function of forming a horizontal laminar flow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duction unit 211 into the clean hood.

즉, 수평공기유입부(212)는 크린후드의 바닥부(400)에 수평한 방향 또는 바닥부와 0~45도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0~30도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어서 여기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크린후드 내부로 수평한 층류를 형성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horizontal air inlet 212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bottom 400 of the clean hood or an angle of 0 to 45 degrees with the bottom, preferably an angle of 0 to 30 degrees,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is It functions to form a horizontal laminar flow inside the clean hood.

상기한 수평공기유입부(212)는 바람직하게는 크린후드 입구에서 후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부에 접촉되어 있는 형태로 된 것이 크린후드 내부에서 수평한 층류 형성에 효과적이다.The horizontal air inlet 212 is preferably formed in the rear direction from the inlet of the clean hood, an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which is effective in forming a horizontal laminar flow inside the clean hood.

본 발명의 분사부(213)는 수평공기유입부(212)와 연결되어 있으며 수평공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도구를 의미한다.The injector 21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air inlet 212 and refers to a device or tool that performs a function of injecting air introduced into the horizontal air inlet.

도 4b 및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사부(213)는 단면의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측면은 절단각(θ)의 각도로 절단되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S. 4B and 4C , the injection unit 213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and the side has a shape cut at an angle of a cutting angle θ.

상기한 절단각(θ)은 수평면(P)과 절단선(C)이 이루어진 각을 의미한다.The cutting angle θ refers to an angle formed by the horizontal plane P and the cutting line C.

바람직하게 절단각(θ)은 20~60도로 형성된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Preferably, the cutting angle (θ) is very effective to form 20 to 60 degrees.

이와 같은 절단각(θ)이 형성된 분사부(213)의 구조로 분사부를 통하여 분사되는 공기가 크린후드의 바닥부(400)를 향하여 유입이 되면서 크린후드 내부의 수평한 층류 형성을 더욱 증진시키게 된다.With the structure of the injection unit 213 having such a cut angle θ,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unit flows toward the bottom 400 of the clean hood, thereby further promoting the formation of a horizontal laminar flow inside the clean hood. .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공기유입부(212)가 바닥부(400)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분사부(213)의 절단각(θ)이 20~60도로 형성되어 있어 배출되는 공기가 수평한 층류(L)를 용이하게 형성되고 이와 같이 용이하게 형성된 수평한 층루(L)는 분산되는 바람 또는 소용돌이 등과 같은 난류가 형성되지 않고 크린후드 뒷면에 형성된 배출부(300)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horizontal air inlet 2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horizontally on the bottom 400, and the cutting angle θ of the injection unit 213 is formed at 20 to 60 degrees, so the air discharged A horizontal laminar flow (L) is easily formed, and the easily formed horizontal laminar flow (L) is natural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unit 300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such as dispersed wind or vortex. do.

따라서 종래의 크린 후드는 크린 후드 내부에서 실험하는 고도의 실험, 즉 금속이온 또는 이온분석 등과 같은 정밀한 검사가 필요한 경우 크린 후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와류가 발생하는 경우 분석의 정밀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바,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clean hood, high-level experiments conducted inside the clean hood, that is, when a precise examination such as metal ion or ion analysis is required, when a vortex is generated by the air flowing into the clean hood, the precision of analysis is significantly lowered. ,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과 기능의 분산공급부(210)로 인하여 크린후드 내부에서의 와류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하게 되어 정밀한 금속이온 또는 이온분석에 정밀도를 현저히 높이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ly prevents the occurrence of eddy currents inside the clean hood due to the distributed supply unit 2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function, and thus has an effect of remarkably increasing the precision in precise metal ion or ion analysis.

본 발명의 상기한 공기저장부(220)는 분산공급부(210)에 제공하는 공기를 모아두고 분산공급부에 공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The above-described air storage unit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device or means for collecting air provided to the distributed supply unit 210 and performing a function of providing air to the distributed supply unit.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저장부(220)는 통 또는 탱크 형태로 되어 있으며 공기유입부(230)에서 제공하는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게 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 the air storage unit 220 is in the form of a barrel or tank and performs a function of temporarily storing the air provided by the air inlet unit 230 .

본 발명의 공기유입부(230)는 공기저장부(220)에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The air inlet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device or means for providing air at a constant pressure to the air storage unit 220 .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공기유입부는 공기저장부(220)와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유입부는 송풍기 등에 연결되어 있어서 공기를 공기저장부(220)에 일정한 압력으로 제공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 the air inlet is connected to the air storage unit 220 , and the air inlet is connected to a blower, etc. to provide air to the air storage unit 220 at a constant pressure.

본 발명의 상기한 크린후드 필터장치(100)는 통상의 크린 후드에서 공기를 공급하며 입자 등의 불순물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The clean hood filter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device or means for supplying air in a normal clean hood and filtering impurities such as particles.

또한 크린후드 필터장치(100)를 통과하는 공기는 급기부(190)에서 공기를 제공하며, 그에 따라 급기부에는 통상의 송풍장치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lean hood filter device 100 provides air from the air supply unit 190, and accordingly, the air supply unit is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blower.

본 크린후드 필터장치(100)는 헤파(hepa) 필터장치부(101), 울파(ulpa) 필터장치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The clean hood filter device 100 includes a hepa filter device 101 and an ulpa filter device 102 .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파 필터장치부(101)는 크린후드 필터장치(100)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급기부에서 제공하는 공기를 1차로 거르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 the HEPA filter unit 101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clean hood filter unit 100 and primarily filters the air provided from the air supply unit.

상기한 헤파 필터장치부(101)는 내부에 헤파필터(HEPA Filter)가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현저히 제거하여 크린 공기를 생성하고 크린 후드 내부에 무균 공기를 제공하게 된다.The HEPA filter unit 101 is provided with a HEPA filter therein to significantly remov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air to generate clean air and to provide sterile air to the inside of the clean hood.

본 발명의 상기한 헤파필터는 유리 섬유를 이용하거나 또는/및 고분자 물질(polymer)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필터를 의미한다.The above-described HEPA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filter manufactured using glass fiber and/or a polymer.

헤파필터는 0.1~0.3 마이크로입자를 99.97~99.99%를 제거하는 효율이 있는 필터를 의미한다.A HEPA filter means a filter with an efficiency of removing 99.97-99.99% of 0.1-0.3 micro particles.

본 발명의 헤파필터는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플루오르화된 에틸렌프로필렌(FEP), 퍼플루오로알콕시 중합체(PFA),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의 미세 다공성 플루오르 중합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The HEPA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porous fluorocarbon of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fluorinated ethylenepropylene (FEP), perfluoroalkoxy polymer (PFA), polypropylene, polyethylene or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A filter including a filter manufactured using a polymer may be used.

상기한 헤파필터의 일실시예로 제1여과층, 제2여과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HEPA filter, a form consisting of a first filtration layer and a second filtration layer may be used.

상기한 제1여과층은 고분자 물질을 이용한 여과층을 의미한다.The first filtration layer refers to a filtration layer using a polymer material.

상기한 제2여과층은 상기한 다공성 플루오르 중합체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The second filtration layer is meant to be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porous fluoropolymer.

상기한 제1여과층의 고분자 물질은 실리콘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조하여 형성한 여과층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polymer material of the first filtration layer, a filtration layer made of silicone or polyurethane may be used.

본 발명의 상기한 고분자 물질 여과층에서 실리콘 여과층은 실리콘 용액,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실라놀, 기능성 첨가제, 충진제 및 경화제를 함유하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polymer material filter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licone filtering layer contains a silicone solution, polydimethylsiloxane, polysilanol, functional additives, fillers and curing agents.

상기한 실리콘 여과층은 실리콘 용액 100중량부에 폴리디메틸실록산 1~2중량부, 폴리실라놀 0.1~2.5중량부를 혼합한다.The silicone filtration layer is mixed with 1 to 2 parts by weight of polydimethylsiloxane and 0.1 to 2.5 parts by weight of polysilanol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solution.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실리콘 용액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 중량부를 함유하며,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인산 지르코늄, 제올라이트 또는/및 은이온을 함유하게 된다.The functional additive contains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solution, and the functional additive contains zirconium phosphate, zeolite, and/or silver ions.

본 발명은 상기한 기능성 첨가제에 천연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실리콘 여과층의 항균성의 기능이 구비되어 공기중의 미생물 및 미세분진의 제거에 효율적인 기능을 수행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antibacterial function of the silicone filtration layer prepared by mixing the natural additive with the above-mentioned functional additive, thereby performing an efficient function in removing microorganisms and fine dust in the air.

상기한 천연 첨가제는 인산 지르코늄, 제올라이트 또는 은이온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10중량부를 함유하게 된다.The above-described natural additive contains 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zirconium phosphate, zeolite or silver ions.

상기한 천연 첨가제는 삼초 100중량부에 황백 80~120중량부, 방기 80~120중량부, 천오두 80~120중량부, 백지 80~120중량부, 교맥 80~120중량부, 백선피 8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The above-mentioned natural additives are 80-120 parts by weight of yellow white, 80-120 parts by weight of bangi, 80-120 parts by weight of cheonohdu, 80-120 parts by weight of white paper, 80-120 parts by weight of gyomaek, 80-120 parts by weight of white sage per 100 parts by weight of 3 seconds. It means a composition extracted by mixing parts by weight.

상기한 천연 첨가제를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70~85%[질량%] 에탄올 800~1000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 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원재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천연 첨가제를 약 20~150중량부 정도를 수득할 수 있다.As a method of extracting the above-mentioned natural additives, 800-1000 parts by weight of 70-85% [mass %] ethanol i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raw materials, extracted under reflux for 2-4 hours, and the filtrate is extracted using a rotary evaporator. It can be extracted by a method of reduced pressure and concentration, and about 20 to 150 parts by weight of natural additives can be obtain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aw material.

본 발명의 울파 필터장치부(102)는 크린후드 필터장치(100)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한 헤파 필터장치부(101)를 통과하여 1차로 걸러진 공기를 2차로 거르는 작용을 하게 되어 크린 후드 내부에 공급하는 공기를 완전한 크린 룸 공기로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The wolpa filter unit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lean hood filter unit 100 and serves to secondarily filter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PA filter unit 101 and is primarily filtered inside the clean hood.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as complete clean room air.

상기한 울파 필터장치부(102)는 내부에는 울파필터(ulpa filter)가 장착되어 있다.The ulpa filter unit 102 has an ulpa filter mounted therein.

울파필터(ulpa filter)는 0.1~0.3 마이크로입자를 99.999%를 제거하는 효율이 있는 필터를 의미한다.The ulpa filter means a filter with an efficiency of removing 99.999% of 0.1-0.3 micro-particles.

상기한 울파 필터장치부(102)는 좌측과 우측에 두 개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효율적이다.It is effective that the above-described Ulpa filter unit 102 is formed in two pieces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본 발명의 바닥부(400)는 크린후드 내부에 형성된 바닥을 의미하며 이러한 바닥부에 실험 도구와 용기를 놓고 실험 또는 분석을 하게 된다.The bottom par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floor formed inside the clean hood, and experiments or analysis are performed by placing the experimental tools and containers on the bottom part.

상기한 바닥부(400)는 작업대(410)가 구비되어 작업대 위에서 분석실험을 수행한다.The bottom part 400 is provided with a workbench 410 to perform an analysis experiment on the workbench.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작업대(410)에 통풍구(420)가 형성되어 있어 바닥부(400)의 하부로 크린 후드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점이다.In addition, a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ventilation hole 420 is formed in the work table 410, so that the air inside the clean hood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floor 400.

이와 같이 바닥부에 구성된 작업대에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어 분석을 수행하는 경우에 금속 이온을 포함한 미세 입자들을 배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더불어 상기한 층류공급장치(200)에서 제공하는 공기와 함께 크린 후드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게 됨에 따라 크린 후드 내부의 난류 발생을 현저히 억제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the workbench configured in the bottom part to discharge fine particles including metal ions when analysis is performed, and together with the air provided by the laminar flow supply device 200 described above. As the air inside the clean hood is discharged,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inside the clean hood is significantly suppressed.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통풍구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수로 형성되어 있을 수가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ventilation holes may be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of two or more.

또한 상기한 바닥부는 배출용 통풍장치가 연결되어 있을 수가 있으며 배출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art may be connected to a ventilation device for exhaust and may have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discharge.

이와 같은 기능으로 크린후드를 이용한 분석실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속 이온 또는 미세 입자의 영향을 통풍구(420)가 형성되어 있는 작업대(410)를 구비한 바닥부(400)에 의하여 제거하게 되는 효과가 창출된다.With such a function, the effect of metal ions or fine particles that may occur in an analysis experiment using a clean hood is removed by the bottom portion 400 having the work table 410 with the ventilation hole 420 formed therein. do.

본 발명의 창문부(500)는 크린후드 전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크린후드의 내부를 닫고 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window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clean hood to perform a function of closing and opening the inside of the clean hood.

본 발명의 창문부(50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닫거나 열어서 크린 후드 내부(챔버)를 크린 후드 외부의 공간부와 차단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The window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means a device or means that closes or opens to block the inside (chamber) of the clean hood from the space outside the clean hood.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창문부(500)는 아래 위로 열거나 닫을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만 다른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1 , the window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that can be opened or closed from the bottom up, but of course, other shapes are also possible.

본 발명의 컨트롤부(600)는 크린후드에 제공되는 전원, 공기, 송풍장치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power, air, a blower, etc. provided to the clean hood.

상기한 컨트롤부는 크린후드의 작동 제어, 온도 제어, 시간 제어, 전력 제어, 공기 제어 등을 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unit can perform operation control, temperature control, time control, power control, air control, and the like of the clean hood.

따라서 컨트롤부는 MCU(micro controller uint), 메모리, 제어회로 등의 통상의 제어장치가 구비된 컨트롤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means a control device or means provided with a general control device such as a micro controller uint (MCU), a memory, and a control circuit.

본 발명의 상기한 배출부(300)는 후드 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배출구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배출부는 통상의 배출용 송풍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performing a function of discharging the air in the hood, and the discharge port is connected, and accordingly, the discharge unit may be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blower for discharge.

본 발명의 상기한 배출부(300)는 크린 후드 본체의 측면에 부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by being added to the side of the clean hood body.

또한 본 발명의 배출부(300)는 배출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조절용 배출부인 점이 기술적 특징이다.In addition, a technical feature of the discharge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a control discharge uni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일반적으로 크린 후드 내부의 공기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배출부에 부가된 송풍장치의 송풍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inside the clean hood, it may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blown by the blower added to the discharge unit.

그러나 이러한 송풍장치로 송풍량을 조절하는 것은 미세한 분석에 필요한 크린 후드에 부적합하다.Howeve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blown with such a blower is not suitable for a clean hood required for fine analysis.

그 이유는 송풍장치에 의한 송풍량의 미세한 조절은 매우 어려우며 특히 송풍장치는 다양한 분석의 환경 설정에 미흡한 면이 있다.The reason is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finely control the amount of air blown by the blower, and in particular, the blower is insufficient in setting the environment for various analysis.

따라서 도 9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은 상기한 배출부(300)는 배출본체(310), 배출조절구(320), 배출조절판(3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9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unit 300 includes a discharge body 310 , a discharge control member 320 , and a discharge control plate 330 to control the discharge of air.

상기한 배출본체(31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출조절구(320)가 형성된 본체를 의미하며, 배출조절구 외에 크린 후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xhaust body 3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eans a body in which the exhaust control hole 320 is formed, and functions to prevent the air inside the clean hoo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o the exhaust control hole.

도 9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배출조절구(320)는 하나 또는 둘 이상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출조절구의 개수 도는 개방 정도에 따라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As shown in FIG. 9, the above-mentioned discharge control port 320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than two, and the discharge amoun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umber or opening degree of the discharge control member.

상기한 배출조절판(330)은 상기한 배출조절구(320)를 열거나 닫거나 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배출량을 조절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The discharge control plate 330 refers to a device or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by performing a function of opening or closing the discharge control port 320 .

도 9에서는 배출조절판을 좌우로 이동하여 배출조절구를 열거나 닫는 기능을 수행하여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In FIG. 9, the discharge control plate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o open or close the discharge control port, thereby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본 발명의 이와 같은 기능과 구조의 배출부로 인하여 효율적인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Due to such a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dischar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ontrol the discharge of air.

본 발명의 물공급부(700)는 크린후드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The water supply unit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device or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clean hood.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한 물공급부(700)는 크린후드 내부에 구성되어 있어 크린후드 내부를 청소하거나 증류수 공급이 필요한 경우 크린후드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경우 실험에 방해가 되거나 크린후드 내부의 난류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water supply unit 700 is configured inside the clean hood to clean the inside of the clean hood or to supply distilled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clean hood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It function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본 발명의 몸체부(1000)는 크린 후드의 본체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한 본 발명의 모든 구성이 탑재되어 기능하게 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The body par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forming the main body of the clean hood and means a device or means in which al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and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 클린후드 필터장치(100), 배출부(300), 바닥부(400) 또는 몸체부(1000)가 고분자 화합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점이다.Another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lean hood filter device 100, the discharge part 300, the bottom part 400 or the body par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of a polymer compound.

앞서 설명한 바처럼 고분자 화합 물질로 구성된 실시예로 크린후드 필터장치(100)에서는 필터(헤파필터, 울파필터)를 제외한 부분을 PP(폴리프로필렌),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DF(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로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lean hood filter device 100 as an embodiment made of a polymer compound, PP (polypropylene), PVC (polyvinyl chloride), PVDF (polyvinylidene) except for the filter (HEPA filter, Wolfa filter) fluoride).

배출부(300), 바닥부(400) 또는 몸체부(1000)도 그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을 고분자 화합 물질로 할 수 있다.The discharge part 300 , the bottom part 400 , or the body part 1000 may also use a polymer compound as a part forming a skeleton thereof.

이와 같이 PP(폴리프로필렌),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DF(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인 고분자 화합물질 재질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금속이온의 발생 및 기타 다른 이온의 유입 또는 발생이 나타나지 않게 되는 효과가 나타난다.As such, as it is used as a high molecular compound material such as PP (polypropylene), PVC (polyvinyl chloride), and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the generation of metal ions and the inflow or generation of other ions does not appear. appears.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 화합 물질에 난연성 첨가물을 첨가하여 크린후드 필터장치(100), 배출부(300), 바닥부(400) 또는 몸체부(1000)의 난연성을 현저히 증진시킨 점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mention that the flame retardancy of the clean hood filter device 100 , the discharge part 300 , the bottom part 400 or the body part 1000 is remarkably improved by adding a flame retardant additive to the polymer compound.

본 발명의 크린후드는 열을 이용한 다양한 실험 및 분석을 수행하는바 고분자 물질로 된 크린후드는 열에 대하여 취약한 문제점이 있는바, 난연성 첨가물을 첨가하여 크린후드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Since the clean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various experiments and analyzes using heat, the clean hood made of a polymer material has a problem that it is vulnerable to heat, and thus a flame retardant additive is added to solve this problem of the clean hood.

상기한 난연성 첨가물은 초산비닐수지(PVAC) 100중량부에 비할로겐 난연제 30~50중량부, 염화파라핀 5~10중량부, 나트륨 10~30 중량부, 멜라민(melamine) 10~50 중량부, 카본 1~5중량부, 산화철 1~5 중량부, 팽창 흑연 20~100 중량부, 천연 강화 첨가물 1~5중량부, 분산제 0.01~0.5 중량부, 용제 5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조성물을 의미한다.The flame-retardant additive is 100 parts by weight of vinyl acetate resin (PVAC), 30-50 parts by weight of a non-halogen flame retardant, 5-10 parts by weight of chlorinated paraffin, 10-30 parts by weight of sodium, 10-50 parts by weight of melamine, carbon 1-5 parts by weight, 1-5 parts by weight of iron oxide, 20-100 parts by weight of expanded graphite, 1-5 parts by weight of a natural reinforcing additive, 0.01-0.5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and 50-120 parts by weight of a solvent do.

본 발명의 상기한 비할로겐 난연제는 통상의 비할로겐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잇으며, 바람직하게는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CA, melamine cyanurate)를 사용하는 것이 난연성에 효과적이다.The non-halogen flame retarda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nventional non-halogen flame retardant, preferably melamine cyanurate (MCA, melamine cyanurate) is effective for flame retardancy.

본 발명의 분산제로는 통상의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피로포스페이트 등의 무기 분산제와 폴리비닐 알코올,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의 유기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As the dispers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tional dispersing agent can be used, and it is effective to use an inorganic dispersing agent such as tricalcium phosphate and magnesium pyrrolidone and an organic dispersing agent such as polyvinyl alcohol, methyl cellulose, and polyvinyl pyrrolidone.

본 발명의 용제는 통상의 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물 또는 알코올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solv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tional solvent may be used, and water or alcohol may be used.

바람직하게는 용제로는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난연성에 효과적이다.Preferably, it is effective for flame retardancy to use methanol as the solvent.

상기한 천연 강화 첨가물은 난연성 첨가물의 분산성과 반응성을 높여주고 난연성을 강화시켜 줌은 물론 난연성 첨가물의 환경호르몬적 영향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above-described natural reinforcing additive enhances the dispersibility and reactivity of the flame-retardant additive and enhances the flame retardancy, as well as suppresses the environmental hormonal effect of the flame-retardant additive.

본 발명의 천연 강화 첨가물은 교맥 80~120중량부에 오매 80~120중량부, 자초 110~150중량부, 지부자 80~120중량부, 목통 30~55중량부, 선퇴 50~80중량부, 형개 50~8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The natural reinforcing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80-120 parts by weight of chimaek 80-120 parts by weight, 110-150 parts by weight of self-made herbs, 80-120 parts by weight of jibuja, 30-55 parts by weight of moktong, 50-80 parts by weight of seonchi, and hyunggae. It means a composition extracted by mixing 50 to 80 parts by weight.

상기한 천연 강화 첨가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75~85%[질량%] 에탄올 1000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As a method of extracting the natural reinforcement additive, 1000 parts by weight of 75 to 85% [mass %] ethanol i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raw materials, extracted under reflux for 2 to 4 hours, and the filtrate is decompressed using a rotary evaporator. , can be extracted by concentrating.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80%[질량%] 에탄올 1000중량부를 넣고,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이 좋다.Preferably, 1000 parts by weight of 80% [mass %] ethanol i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raw materials, extracted under reflux for 3 hours, and the filtrate is extracted by pressure reduction and concentration using a rotary evaporator.

이와 같은 추출물은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분말 형태로 5~25중량부 정도 추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an extract may be extracted in the form of powder in an amount of 5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raw materials, and it is preferable to add such an extract in powder form.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와 기능으로 구성된 난류의 발생이 없는 크린 후드를 제공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n hood that does not generate turbulen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function.

본 발명은 연구용 및 실험실용 후드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useful invention for industries that produce, manufacture, sell, and distribute research and laboratory hoods.

특히, 본 발명은 금속이온 등 미세 입자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는 연구용 및 실험실용 크린 후드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useful invention in an industry that produces, manufactures, sells, and distributes clean hoods for research and laboratories that should not contain fine particles such as metal ions.

클린후드 필터장치(100), 헤파(hepa) 필터장치부(101), 울파(ulpa) 필터장치부(102),
층류공급장치(200), 분산공급부(210), 공기저장부(220), 공기유입부(230),
배출부(300), 바닥부(400), 창문부(500), 컨트롤부(600), 물공급부(700), 몸체부(1000)
Clean hood filter unit 100, hepa filter unit 101, ulpa filter unit 102,
Laminar flow supply device 200, distributed supply 210, air storage 220, air inlet 230,
Discharge part 300 , bottom part 400 , window part 500 , control part 600 , water supply part 700 , body part 1000 .

Claims (3)

클린후드 필터장치(100), 층류공급장치(200), 배출부(300), 바닥부(400), 창문부(500), 컨트롤부(600), 물공급부(700), 몸체부(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난류 방지형 크린 후드.
Clean hood filter device 100 , laminar flow supply device 200 , discharge part 300 , bottom part 400 , window part 500 , control part 600 , water supply part 700 , body part 1000 An anti-turbulence type clean ho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층류공급장치(200)는 분산공급부(210), 공기저장부(220), 공기유입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 방지형 크린 후드.
According to claim 1,
The laminar flow supply device 200 is a turbulence prevention type clean ho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tributed supply unit 210, an air storage unit 220, and an air inlet unit (230).
제1항에 있어서,
크린후드 필터장치(100)는 헤파(hepa) 필터장치부(101), 울파(ulpa) 필터장치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 방지형 크린 후드.

According to claim 1,
Clean hood filter device 100 is a turbulence prevention type clean ho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pa (hepa) filter device section 101 and ulpa (ulpa) filter device section 102.

KR1020200056921A 2020-05-13 2020-05-13 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KR1024015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921A KR102401520B1 (en) 2020-05-13 2020-05-13 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921A KR102401520B1 (en) 2020-05-13 2020-05-13 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899A true KR20210138899A (en) 2021-11-22
KR102401520B1 KR102401520B1 (en) 2022-05-27

Family

ID=7871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921A KR102401520B1 (en) 2020-05-13 2020-05-13 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5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469A (en) * 2021-04-26 2022-11-03 쏠코리아 주식회사 fume ho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0499A (en) * 2006-03-27 2007-10-11 Yuyama Manufacturing Co Ltd Cabinet having clean circumstance retaining mechanism
KR101783332B1 (en) * 2015-12-29 2017-10-10 주식회사 에이에스피 Cleanlab system for trace elements analysi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0499A (en) * 2006-03-27 2007-10-11 Yuyama Manufacturing Co Ltd Cabinet having clean circumstance retaining mechanism
KR101783332B1 (en) * 2015-12-29 2017-10-10 주식회사 에이에스피 Cleanlab system for trace elements analys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469A (en) * 2021-04-26 2022-11-03 쏠코리아 주식회사 fume h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520B1 (en)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520B1 (en) a clean hood without turbulence
KR101732351B1 (en) Energy-saving fume hood system
KR102033160B1 (en) Air cleaning apparatus for windows
CN1821672B (en) Ventilating system
JP2020034223A (en) Heat exchange type ventilation fan
US20120322353A1 (en) Fume hood
CN206701907U (en) A kind of Novel fume chamber
JP2012087997A (en) Circular dust collecting device
KR20190117897A (en) Air Purifier Combined with Ventilation
KR20180114259A (en) Safety Cabinet
KR101817092B1 (en) Air cleaner
KR102342941B1 (en) Booth apparatus for dry room
KR20180132025A (en) Biological Safety Cabinet
CN107185602B (en) Laboratory cabin for simulating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KR20180036254A (en) a adjusting device of indoor pressure of building
CN208542720U (en) A kind of chemical safety cabinet
CN213563999U (en) Vertical injection molding machine of clean type
CN212870075U (en) Negative pressure laboratory capable of being linked with B2 biological safety cabinet to guarantee indoor pressure stabilization
CN205599601U (en) Air shower
CN108889082A (en) A kind of emission-control equipment
CN211755081U (en) Biological safety cabinet
US7014674B2 (en) Biological safety cabinet
JP3533649B2 (en) Safety cabinet
CN207024854U (en) Air purification cabinet
KR102558533B1 (en) Isolator for pharmaceutical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