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884A - Sterilization apparatus of toilet bowl and steriliz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terilization apparatus of toilet bowl and steriliz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884A
KR20210138884A KR1020200056860A KR20200056860A KR20210138884A KR 20210138884 A KR20210138884 A KR 20210138884A KR 1020200056860 A KR1020200056860 A KR 1020200056860A KR 20200056860 A KR20200056860 A KR 20200056860A KR 20210138884 A KR20210138884 A KR 20210138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terilizer
cover
sterilization
toilet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8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1703B1 (en
Inventor
서문규
주장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Priority to KR102020005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703B1/en
Publication of KR20210138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8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7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bowl sterilization device and a sterilization method thereof. A toilet bowl sterilization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ternal devic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a toilet bowl cover installed in a toilet bowl; and an external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cov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device. The internal device includes: a sterilizer including a sterilizing lamp for sterilizing the toilet bowl by being driven by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a first cover on which the sterilizer is installed; and a second cover coupled to the first cover to cover the steriliz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rilizer capable of sterilizing the toilet bowl has a cut pyramid shape to sterilize the toilet bowl three-dimensionally, thereby maximizing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toilet bowl.

Description

변기 살균 장치 및 그의 살균 방법{STERILIZATION APPARATUS OF TOILET BOWL AND STERILIZATION METHOD THEREOF}Toilet bowl steri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기 살균 장치 및 그의 살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에 설치되어 변기를 살균할 수 있는 변기 살균 장치 및 그의 살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terilizing a toilet bowl and a method for steriliz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sterilization apparatus installed in a toilet to sterilize a toilet bowl and a method for sterilizing the same.

양변기는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져 상부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변기 시트와 변기 시트의 상부에 변기 시트를 덮을 수 있는 변기 커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양변기는 변기 시트에 사용자가 앉아 편안한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다.The toilet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and includes a toilet seat on which the user can sit and a toilet cover on the toilet seat to cover the toilet seat. Such a toilet allows a user to sit on the toilet seat and use the toilet in a comfortable position.

양변기는 용변을 볼 때, 변기 시트와 신체가 직접 접촉하고 용변 시 반복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로 인해 여러 사용자가 이용하는 경우, 변기 시트에 대한 위생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해야 하지만,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The toilet is configured so that the toilet seat and the body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going to the toilet, and used repeatedly when going to the toilet. Therefore, when several users use it, it is necessary to keep the toilet seat more clea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최근 이러한 양변기의 변기 시트에 여러 사용자가 이용할 때 위생을 위해 1회용 종이 시트 등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1회용 제품을 이용하는 경우 위생적이지만, 1회용 제품으로 인해 화장실 자체가 더 지저분해지거나 환경 부담이 있는 문제가 있다.Recently, when several users use the toilet seat of such a toilet, a disposable paper sheet or the like is sometimes used for hygiene. However, when using such a disposable product, although it is hygieni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ilet itself becomes more messy due to the disposable product or there is a burden on the environment.

그리고 최근 살균 램프 등을 이용하는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지만, 기존에 설치된 변기 시트 및 변기 커버를 교체하여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불필요하게 변기 시트와 변기 커버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technologies using a germicidal lamp and the like have been recently studied, the toilet seat and toilet cover are installed by replacing the existing toilet seat.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oilet seat and toilet cover need to be replaced unnecessaril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8459호 (2014.08.04.)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28459 (2014.08.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4068호 (2009.04.13.)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94068 (2009.04.1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3778호 (2020.03.0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23778 (2020.03.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에 설치된 변기 시트나 변기 커버를 교체하지 않고 변기를 살균할 수 있는 변기 살균 장치 및 그의 살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teriliz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terilizing a toilet bowl capable of sterilizing a toilet seat without replacing an existing toilet seat or toilet seat cover.

또한, 본 발명은 변기의 살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변기를 비롯한 화장실 내부까지 살균할 수 있는 변기 살균 장치 및 그의 살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bowl sterilization apparatus capable of maximizing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toilet and sterilizing the toilet including the toilet, and a steriliz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는, 변기에 설치된 변기 커버의 내면에 설치되는 내부 기기; 및 상기 변기 커버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기기는, 상기 외부 기기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변기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살균기; 상기 살균기가 설치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살균기를 덮도록 상기 제1 커버에 결합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nal device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a toilet cover installed on the toilet; and an external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ilet cov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device, wherein the internal device includes a sterilizing lamp for sterilizing the toilet seat by being driven by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sterilizer; a first cover on which the sterilizer is installed; and a second cover coupled to the first cover to cover the sterilizer.

상기 제1 커버는,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ver may include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세 개의 경사진 측면을 갖는 다각뿔 형상의 절단체일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a polygonal pyramid-shaped cut body having at least three inclined side surfaces.

상기 살균기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이고, 상기 세 개 이상의 살균기는 상기 돌출부의 경사진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sterilizer may be at least three or more, and the three or more sterilizers may be installed on the inclined side of the protrusion.

상기 살균기는 복수 개의 살균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riliz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rilization lamps.

상기 살균램프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LED일 수 있다.The germicidal lamp may be an ultraviolet LED emitting ultraviolet rays.

상기 내부 기기는, 상기 변기 커버를 사이에 두고 외부 기기와 결합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커버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양 끝단이 절곡되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intern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coupled to the external device with the toilet cover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both ends of the bracket are bent and protruded so that the first cover is fitted therebetween.

상기 변기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변기 커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살균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detector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toilet cover;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ilet cover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에서 상기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인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살균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terilizer to operate when the detector detects that the toilet cover is in a closed state.

상기 감지기는, 주변의 움직임을 추가로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에서 상기 변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이면서 주변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상기 살균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ensor may additionally detect a surrounding motion,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terilizer to operate when the sensor detects that the toilet cover is in an open state and there is no surrounding mo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방법은, 변기에 설치된 변기 커버에 상기 변기를 살균하기 위해 상기 변기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변기를 살균하기 위해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살균기가 소정의 시간 동안 동작하는 단계; 상기 살균기가 소정의 시간 동안 동작된 이후, 상기 살균기의 동작이 정지되는 단계; 및 상기 살균기가 동작되는 동안, 상기 변기 커버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기의 동작이 정지되는 단계는 상기 살균기가 동작되는 동안 상기 변기 커버가 개방되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ilet sterilization method includes: sensing a position of the toilet cover to sterilize the toilet seat on the toilet cover installed in the toilet; operating a sterilizer including a sterilization lamp for a predetermined time to sterilize the toilet when the toilet cover is close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after the sterilizer has been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detecting that the toilet cover is opened while the sterilizer is operating, wherein the stopping of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may be performed even when the toilet cover is opened while the sterilizer is operating.

상기 변기 커버가 개방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변기의 주변에 움직임이 있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기의 동작이 정지되는 단계는, 상기 변기의 주변에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whether there is movement in the vicinity of the toilet when it is sensed that the toilet cover is opened,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may be performed even when there is movement in the vicinity of the toilet. have.

본 발명에 의하면, 변기를 살균할 수 있는 살균기가 절단된 피라미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변기를 입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어 변기의 살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erilizer capable of sterilizing the toilet has a cut pyramid shape, it is possible to sterilize the toilet three-dimensionally, thereby maximizing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toilet.

또한,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만 변기 살균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살균램프에서 방출된 빛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toilet sterilizer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only when the toilet cover is closed, so that the user is not unnecessarily exposed to the light emitted from the sterilization lamp.

더욱이, 변기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도 변기 살균 장치가 동작할 수 있으며, 이때, 외부의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의 내부까지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toilet sterilizer can operate even when the toilet cover is open. In this case, since it senses an external motion and operates, it is possible to sterilize even the inside of the toilet in which the toilet is instal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의 내부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의 외부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의 내부 기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의 외부 기기를 변기 커버와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의 살균램프에서 광이 조사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가 화장실 내부를 살균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에서 외부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ternal device of a toilet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ternal device of the toilet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ternal device of the toilet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device of the toilet sterilizing apparatus is separated from the toilet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range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sterilization lamp of the toilet ster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ilet ster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toilet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terilizer is stopp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ilet ster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toilet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es the inside of the toilet.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an external operation is sensed in the toilet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supported', 'connected', 'supplied', 'transferred', or 'conta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directly connected, supported, connect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pply, delivery, and contact may occur,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of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the side, etc.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and it is clarified in advance that if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s changed, it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meaning of "comprising," as used herein,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의 내부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의 외부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의 내부 기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의 외부 기기를 변기 커버와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의 살균램프에서 광이 조사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ternal device of a toilet bowl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ternal device of the toilet bowl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ternal device of the toilet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device of the toilet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toilet cover. it is one drawin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oilet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range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from a sterilizing lamp of the toilet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변기 살균 장치(100)는, 변기 커버(200)에 설치되어, 변기 시트(300) 및 변기(400)를 살균할 수 있다. 이러한 변기 살균 장치(100)는, 본 실시예에서, 내부 기기(110) 및 외부 기기(120)를 포함한다.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an apparatus 100 for sterilizing a toilet bo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ilet sterilizer 100 may be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cover 200 to sterilize the toilet seat 300 and the toilet bowl 400 . The toilet sterilizer 100 includes an internal device 110 and an external device 120 in the present embodiment.

내부 기기(110)는, 변기 커버(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내부 기기(110)는, 브라켓(111), 제1 커버(113), 살균기(115) 및 제2 커버(117)를 포함한다.The internal device 110 is installed inside the toilet cover 200 . The internal device 110 includes a bracket 111 , a first cover 113 , a sterilizer 115 , and a second cover 117 .

브라켓(111)은, 변기 커버(200)에 결합되고, 제1 커버(113)가 결합된다. 브라켓(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너비와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의 양 끝단이 절곡되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bracket 111 is coupled to the toilet cover 200 , and the first cover 113 is coupled thereto. As shown in FIG. 3 , the bracket 111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bent to have a protruding shape.

브라켓(111)의 길이는 제1 커버(113)의 너비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111)의 양 끝단에 돌출된 부분 사이에 제1 커버(113)가 끼워져 브라켓(111)에 제1 커버(113)가 결합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bracket 111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irst cover 113 . Accordingly, the first cover 113 may be fitt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bracket 111 so that the first cover 113 may be coupled to the bracket 111 .

브라켓(111)은 변기 커버(200)와 제1 스크류(S1)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하겠지만, 제1 스크류(S1)는 변기 커버(200)에 형성된 제1 커버홀(210)을 관통하여 외부 기기(1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스크류(S1)는 본 실시예에서, 두 개가 구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커버홀(210)도 변기 커버(200)에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111)과 외부 기기(120)가 제1 스크류(S1)에 의해 결합되며, 브라켓(111)과 외부 기기(120) 사이에 변기 커버(200)가 배치됨에 따라 브라켓(111)이 변기 커버(2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bracket 111 may be screw-coupled to the toilet cover 200 and the first screw S1. In this ca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screw S1 may pass through the first cover hole 210 formed in the toilet cover 200 to be coupled to the external device 120 . In this embodiment, two first screws S1 may be provided, and accordingly, two first cover holes 210 may also be formed in the toilet cover 200 . Accordingly, the bracket 111 and the external device 120 are coupled by the first screw S1 , and as the toilet cover 200 is disposed between the bracket 111 and the external device 120 , the bracket 111 is moved to the toilet bowl. It may be coupled to the cover 200 .

제1 커버(113)는, 브라켓(111)에 결합되고, 살균기(115)가 결합된다. 제1 커버(1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살균기(115)가 결합될 수 있게 돌출된 돌출부(113a)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113 is coupled to the bracket 111 , and the sterilizer 115 is coupled thereto.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cover 113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a protruding protrusion 113a to be coupled to the sterilizer 115 may be formed therein.

돌출부(113a)는 제1 커버(113)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1 커버(113)의 일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113a)는 대략 삼각뿔의 절단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돌출부(113a)는 상면이 평평한 평면을 가지며, 상면을 둘러싸는 경사진 세 개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113a)는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수의 경사진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113a)는 사각뿔의 절단체 형상이나 오각뿔의 절단체 형상일 수 있다.The protrusion 113a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over 113 and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cover 113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sion 113a may have a substantially triangular pyramid-shaped cut body. That is, the protrusion 113a may have a flat upper surface and three inclined side surfaces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trusion 113a may have a larger number of inclined sides as necessary. For example, the protrusion 113a may have a shape of a cut body of a quadrangular pyramid or a shape of a cut body of a pentagonal pyramid.

살균기(115)는, 제1 커버(113)의 돌출부(113a)에 결합되고, 자외선을 방출하여 주변을 살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살균기(115)는, 세 개가 구비되며, 각 하나 이상의 살균램프(115a)가 설치된 회로기판일 수 있다. 살균기(115)는 전원기(130)를 통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The sterilizer 115 may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113a of the first cover 113 and sterilize the surroundings by emitting ultraviolet ray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sterilizers 115 are provided, and each of one or more sterilization lamps 115a may be a circuit board installed thereon. The sterilizer 115 may be driven by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130 .

본 실시예에서, 세 개의 살균기(115)는 각각 돌출부(113a)의 경사진 세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13a)의 경사진 세 측면의 경사 각도에 따라 살균기(115)에서 조사되는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세 개의 살균기(115)는 세 개의 제2 스크류(S2)에 의해 돌출부(113a)의 세 개의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ree sterilizers 115 may be disposed on three inclined sides of the protrusion 113a, respectively. Therefore, the angle irradiated from the sterilizer 115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three inclined sides of the protrusion 113a. In this embodiment, the three sterilizers 115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three sides of the protrusion 113a by the three second screws S2.

이러한 살균기(115)는 복수 개의 살균램프(115a)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램프(115a)는 공급된 전원에 의해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는 자외선 LED일 수 있다. 자외선 LED는 약 100nm 내지 280nm의 파장을 가지며, 강한 살균력을 가질 수 있다. 살균램프(115a)에서 방출된 자외선은 주변의 기기를 살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강한 살균력으로 인해 살균램프(115a)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이 사용자에게 조사되지 않도록 제어될 필요가 있다.The sterilizer 115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rilization lamps 115a. The germicidal lamp 115a may be an ultraviolet LED capable of emitting ultraviolet light by the supplied power. The ultraviolet LED has a wavelength of about 100 nm to 280 nm, and may have strong sterilization power.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sterilization lamp 115a may sterilize surrounding devic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trol so that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sterilization lamp 115a are not irradiated to the user due to such strong sterilization power.

제2 커버(117)는 살균기(115)가 외부에 의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 커버(11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113)에 결합된다. 이때, 제2 커버(117)는 내면에 제1 커버(113)에 결합되도록 돌출된 형상이 구비되며, 돌출된 형상이 제1 커버(113)에 형성된 홈에 걸려 제1 커버(113)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117 is provided to protect the sterilizer 115 from being contaminated or damaged by the outside. As shown in FIG. 5 , the second cover 117 is coupled to the first cover 113 . At this time, the second cover 117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shape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ver 113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protruding shape is caught in the groove formed in the first cover 113 and coupled to the first cover 113 . can be

그리고 제2 커버(117)는 살균기(115)에서 방출된 자외선을 보다 분산되어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커버(117)는 투명한 소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투명한 소재의 제2 커버(117) 표면에 자외선을 확산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ver 117 may serve to more disperse and diffuse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sterilizer 115 . For this purpose, a transparent material may be used for the second cover 117 , and irregularities for diffusing ultraviolet ray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17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f necessary.

오링(OR)은, 제1 커버(113) 및 제2 커버(117)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오링(OR)은 외부의 수분이나 물이 제2 커버(117)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The O-ring O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113 and the second cover 117 . The O-ring OR is provided to prevent external moisture or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cover 117 .

외부 기기(120)는, 변기 커버(200)의 외부에 설치되고, 전원기(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기기(120)는 전원기(13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내부 기기(11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기기(120)는 전기 케이블을 통해 내부 기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기 케이블은 변기 커버(200)에 형성된 제2 커버홀(220)을 관통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12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toilet cover 20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130 . The external device 120 may supply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130 to the internal device 110 .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device 110 through an electric cable, and the electric cable may pass through the second cover hole 220 formed in the toilet cover 200 .

이러한 외부 기기(120)는, 외부 본체(122)와 스위치(124)를 포함한다.The external device 120 includes an external body 122 and a switch 124 .

외부 본체(122)는, 제1 커버(113)와 제1 스크류(S1)를 통해 변기 커버(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기(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outer body 12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toilet cover 200 interposed therebetween through the first cover 113 and the first screw S1 . In addition,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130 .

스위치(124)는 외부 본체(122)의 일 측에 배치되며, 변기 살균 장치(100)의 구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위치(124)를 이용하여 변기 살균 장치(100)를 구동시키면, 변기 살균 장치(100)는 설정된 조건에 따라 살균기(115)를 동작시켜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The switch 124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xternal body 122 and may control whether the toilet sterilizer 100 is driven. When the user drives the toilet sterilizer 100 using the switch 124 , the toilet sterilizer 100 operates the sterilizer 115 according to a set condition to emit ultraviolet rays.

이때, 외부 본체(122)에 필요에 따라 변기 살균 장치(100)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는 상태 표시램프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태 표시램프는 LED일 수 있고, 변기 살균 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고, 또한, 변기 살균 장치(100)의 정상동작 및 이상동작의 상태를 색이나 점멸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a status indicator lamp for checking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terilization apparatus 10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external body 122 as necessary. The status indicator lamp may be an LED, may be turned on/off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terilizer 100, and may display the status of normal operation and abnormal operation of the toilet sterilization apparatus 100 by color or blinking. can

전원기(130)는 외부 본체(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용계통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기(130)는 이를 위해 플러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원기(130)는 상용계통의 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어댑터가 구비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body 122 and may receive power from a commercial system. The power supply 130 may have the shape of a plug for this purpose.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130 may be provided with an adapter for converting commercial system power into DC power.

감지기(140)는 변기 커버(2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는지, 아니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혀있는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감지기(140)는, 위치센서, 기울기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or 140 detects whether the toilet cover 200 is open as shown in FIG. 1 or closed as shown in FIG. 2 . To this end, the detector 140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position sensor, a tilt sensor, and a gyro sensor.

또한, 감지기(140)는 필요에 따라 변기(400)의 주변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동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센서는 변기(400) 주변에 사용자가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또한, 변기(400)가 설치된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화장실 도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감지기(140)는 화장실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도어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센서는 화장실 도어가 개방된 상태인지 닫힌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or 140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motion around the toilet 400 if necessary. The motion sensor may detect whether a user is around the toilet 400 , and may also detect a movement of a toilet doo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space in which the toilet 400 is installed. Here, if necessary, the detector 140 may further include a door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open/closed state of the toilet door. The door sensor may detect whether the toilet door is in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제어기(150)는 감지기(140)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살균기(115)의 구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기(150)는 사용자에게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은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에 살균기(115)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whether the sterilizer 115 is driven according to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140 . That is,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sterilizer 115 to operate when a condition in which ultraviolet rays are not irradiated to the user is satisfied.

예컨대, 제어기(150)는 변기 커버(200)가 개방된 상태나 닫힌 상태 중 어느 상태에서든지 살균기(115)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기(150)는 변기 커버(200)가 닫힌 상태인 경우, 소정의 시간 동안 살균기(115)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예로, 제어기(150)는 변기 커버(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변기(400) 주변에 소정의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 소정의 시간 동안 살균기(115)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화장실의 도어가 닫힌 상태일 때에 한하여 제어기(15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살균기(115)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sterilizer 115 to operate in either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of the toilet cover 200 . For example, when the toilet cover 200 is in a closed state,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sterilizer 115 to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sterilizer 115 to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re is no movement around the toilet 400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 the toilet cover 200 open. . At this time, only when the door of the toilet is closed,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sterilizer 115 to operate for a predetermined time.

이때, 변기 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 제어기(150)에 의해 살균기(115)가 동작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커버(200) 및 변기 시트(300)에 자외선이 조사되어 변기 커버(200) 및 변기 시트(300)가 살균될 수 있다. 이때, 변기 커버(200) 및 변기 시트(300)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면이 살균면(SS)이다.At this time, when the sterilizer 115 is operated by the controller 150 while the toilet cover 200 is closed,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 the toilet cover 200 and the toilet seat 300 as shown in FIG. 6 . Thus, the toilet cover 200 and the toilet seat 300 can be sterilized. At this time, the surface to which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 the toilet cover 200 and the toilet seat 300 is the sterilization surface S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ilet ster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toilet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nd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toilet ster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pped. am.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100)를 이용하여 변기(400)를 살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A method of sterilizing a toilet bowl 400 using the toilet bowl steriliz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변기 살균 장치(100)는 전원기(13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설정된 조건에 맞는 경우에 한하여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변기 살균 장치(100)는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작동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S101).Even if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130 , the toilet sterilizer 100 may operate only when it meets a set condition. Therefore, the toilet sterilizer 100 maintains an operation standby state while power is supplied ( S101 ).

그리고 변기 커버(200)가 닫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103).And it is detected whether the toilet cover 200 is closed (S103).

변기 커버(200)의 닫힘 여부는 감지부에서 감지될 수 있다. 즉, 감지부는 변기 커버(200)가 닫힌 상태인지, 아니면 개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감지부는 변기 커버(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센서, 변기 커버(200)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기울기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Whether the toilet cover 200 is closed may b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That is, the sensing unit detects whether the toilet cover 200 is in a closed state or an open state.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si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toilet cover 200 , a tilt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operation of the toilet cover 200 , and a gyro sensor.

변기 커버(200)가 닫힌 상태가 아닌 경우, 변기 살균 장치(100)는 단계 S101의 작동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toilet cover 200 is not in the closed state, the toilet sterilizer 100 maintains the operation standby state of step S101.

변기 커버(200)가 닫힌 상태이면, 제어기(150)는 살균기(115)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105).When the toilet cover 200 is close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sterilizer 115 to operate ( S105 ).

이렇게 살균기(115)가 동작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 동작하여 변기 커버(200), 변기 시트(300) 및 변기(400) 내부가 살균될 수 있다. 변기 커버(200), 변기 시트(300) 및 변기(400) 내부에서 자외선이 조사되는 면이 살균면(SS)이다.When the sterilizer 115 is operat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9 , the toilet cover 200, the toilet seat 300, and the inside of the toilet 400 can be sterilized by operating in the closed state. have. The surface to which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from the inside of the toilet cover 200 , the toilet seat 300 and the toilet 400 is the sterilization surface SS.

제어기(150)는 살균기(115)가 동작되는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한다(S107).The controller 150 check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while the sterilizer 115 is in operation (S107).

살균기(115)는 소정의 시간 동안만 자외선이 방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살균기(115)는 제어기(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살균면(SS)에 자외선이 소정의 시간동안 조사되는 것으로 살균면(SS)에 살균 효과가 있으며, 해당 시간보다 장시간 동안 조사되더라도 살균면(SS)의 살균 효과가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설정된 시간동안 살균기(115)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The sterilizer 115 may be controlled to emit ultraviolet light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for this purpose, the sterilizer 115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50 . The sterilizing surface (SS) has a sterilizing effect by irradiating the sterilizing surface (SS) with ultraviolet ray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t is necessary to control 115 to operate.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어기(150)는 살균기(115)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S113).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115 to stop ( S113 ).

이때, 살균기(115)가 소정의 시간 동안 동작된 이후에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may be stopped after the sterilizer 115 has been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그리고 살균기(115)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변기 커버(200)가 열리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109).In addition,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not elapsed while the sterilizer 115 is operating, it is detected whether the toilet cover 200 is opened ( S109 ).

이는, 살균기(115)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변기 커버(200)가 개방되는 경우, 살균기(115)에서 방출된 자외선이 사용자에게 조사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is because, when the toilet cover 200 is opened while the sterilizer 115 is in operation,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sterilizer 115 may be irradiated to the user.

즉, 변기 커버(200)가 열리지 않은 경우, 단계 S105의 살균기(115) 동작이 지속된다.That is, when the toilet cover 200 is not opened,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115 in step S105 continues.

변기 커버(200)가 열린 것이 감지되면, 살균기(115)가 최소로 동작하도록 제어기(150)에 의해 제어된다(S111).When it is sensed that the toilet cover 200 is opened, the sterilizer 115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50 to operate at a minimum (S111).

살균기(115)의 동작이 최소가 되도록 동작하는 것은, 변기 커버(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주변을 살균하기 위해 동작하는 것이며, 이때, 살균기(115)의 최소 동작은 커버가 개방된 다음 소정의 시간(예컨대, 1분)이 경과된 이후에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변기 커버(200)를 개방한 다음, 변기(400)가 설치된 공간을 벗어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operation to minimize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115 is to sterilize the surroundings while the toilet cover 200 is opened, and in this case, the minimum operation of the sterilizer 115 is a predetermined It may operate after a period of time (eg, 1 minute) has elapsed. That is, this is to provide a time for the user to leave the space in which the toilet 400 is installed after opening the toilet cover 200 .

이렇게 변기 커버(200)가 열린 상태가 도 10에 도시된다.In this way, the open state of the toilet cover 200 is shown in FIG.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단계(S111)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기(115)가 최소로 소정의 시간 동안 동작한 이후, 제어기(150)에 의해 살균기(115)의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is step ( S111 ) may be omitted if necessary. In addition, after the sterilizer 115 operates for a minimum amount of time,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115 may be stopped by the controller 150 .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가 화장실 내부를 살균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장치에서 외부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ilet ster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toilet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rilizes the inside of the toilet, and FIG. 13 is a case in which an external operation is detected in the toilet steril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nation.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살균 방법의 경우도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변기 살균 장치(100)가 이용될 수 있다.11,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toilet ster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toilet steri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toilet sterilization apparatus 100 as in the one embodiment may be used.

변기 살균 장치(100)는 전원기(13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설정된 조건에 맞는 경우에 한하여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변기 살균 장치(100)는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작동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S201).Even if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130 , the toilet sterilizer 100 may operate only when it meets a set condition. Therefore, the toilet sterilizer 100 maintains an operation standby state while power is supplied (S201).

그리고 변기 커버(200)가 닫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203).And it is detected whether the toilet cover 200 is closed (S203).

변기 커버(200)의 닫힘 여부는 감지부에서 감지될 수 있다. 즉, 감지부는 변기 커버(200)가 닫힌 상태인지, 아니면 개방된 상태인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감지부는 변기 커버(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센서, 변기 커버(200)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기울기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Whether the toilet cover 200 is closed may b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That is, the sensing unit detects whether the toilet cover 200 is in a closed state or an open state.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si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toilet cover 200 , a tilt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operation of the toilet cover 200 , and a gyro sensor.

변기 커버(200)가 닫힌 상태이면, 제어기(150)는 살균기(115)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205).When the toilet cover 200 is close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sterilizer 115 to operate ( S205 ).

이렇게 살균기(115)가 동작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커버(200)가 닫힌 상태에서, 동작하여 변기 커버(200), 변기 시트(300) 및 변기(400) 내부가 살균될 수 있다.When the sterilizer 115 is operated in this way, as shown in FIG. 9 , the toilet cover 200, the toilet seat 300, and the inside of the toilet 400 can be sterilized by operating in the closed state. have.

제어기(150)는 살균기(115)가 동작되는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확인한다(S207).The controller 150 check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while the sterilizer 115 is in operation (S207).

살균기(115)는 소정의 시간 동안만 자외선이 방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살균기(115)는 제어기(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살균면(SS)에 자외선이 소정의 시간동안 조사되는 것으로 살균면(SS)에 살균 효과가 있으며, 해당 시간보다 장시간 동안 조사되더라도 살균면(SS)의 살균 효과가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설정된 시간동안 살균기(115)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The sterilizer 115 may be controlled to emit ultraviolet light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for this purpose, the sterilizer 115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50 . The sterilizing surface (SS) has a sterilizing effect by irradiating the sterilizing surface (SS) with ultraviolet ray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t is necessary to control 115 to operate.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제어기(150)는 살균기(115)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S213).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115 to stop ( S213 ).

이때, 살균기(115)가 소정의 시간 동안 동작된 이후에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may be stopped after the sterilizer 115 has been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그리고 살균기(115)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변기 커버(200)가 열리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209).In addition, if a predetermined time has not elapsed while the sterilizer 115 is operating, it is detected whether the toilet cover 200 is opened ( S209 ).

이는, 살균기(115)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변기 커버(200)가 개방되는 경우, 살균기(115)에서 방출된 자외선이 사용자에게 조사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is because, when the toilet cover 200 is opened while the sterilizer 115 is in operation,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the sterilizer 115 may be irradiated to the user.

즉, 변기 커버(200)가 열리지 않은 경우, 단계 S205의 살균기(115) 동작이 지속된다.That is, when the toilet cover 200 is not opened,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115 in step S205 is continued.

변기 커버(200)가 열린 것이 감지되면, 변기(400)의 주변인 외부 동작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211).When it is detected that the toilet cover 200 is opened, it is detected whether there is an external operation surrounding the toilet 400 ( S211 ).

외부의 동작을 감지하는 것은, 변기(400) 주변에 움직임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경우로, 사용자가 변기(400) 주변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Sensing the external motion is a case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movement around the toilet 400 , and is for checking whether the user is around the toilet 400 .

단계 S211에서 변기(400) 주변에 움직임 있는 경우, 단계 S213에서와 같이, 제어기(150)는 살균기(115)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re is movement around the toilet 400 in step S211 , as in step S213 ,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115 to stop.

이때, 본 단계는 단계 S209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단계 S203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즉, 단계 S203에서 변기 커버(200)가 닫힌 상태가 아닌 경우, 외부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is step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ult detected in step S209, or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ult detected in step S203. That is, when the toilet cover 200 is not in the closed state in step S203 , an external operation may be detected.

또한, 본 단계는, 외부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변기(400)가 설치된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화장실 도어의 개폐 여부도 함께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단계는 화장실 도어가 개방된 경우, 외부 동작이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고, 화장실 도어가 폐쇄된 경우, 외부 동작이 없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음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서 화장실 도어가 폐쇄된 경우에 한하여 외부 동작이 없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step, it is possible to sense an external operation, and in addition to this, whether the toilet doo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space in which the toilet 400 is installed is opened or closed can also be detected. That is, in this step, when the toilet door is opened, it can be detected that there is an external operation, and when the toilet door is closed, it can be detected that there is no external operation. In addition, it may be detected that there is no external motion only when the toilet door is closed without detecting external sound movement.

다시 말해, 제어기(150)는, 외부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살균기(115)를 지속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장실 외부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제어기(150)는 변기 커버(200)가 열린 상태에서 살균기(115)를 동작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150 may continuously operate the sterilizer 115 only when an external operation is not detected. Therefore, as shown in FIG. 12 , only when the user is outside the toilet, the controller 150 may operate the sterilizer 115 with the toilet cover 200 open.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장실의 내부로 들어오기 위해 화장실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변기(400) 외부의 동작을 감지하거나 또는 화장실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기(150)는 살균기(115)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13, when the user opens the toilet door to enter the bathroom, the controller 150 detects an operation outside the toilet 400 or the toilet door is opened,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115 may be stopped.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with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above embodim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변기 살균 장치
110: 내부 기기
111: 브라켓
113: 제1 커버
113a: 돌출부
115: 살균기
115a: 살균램프
117: 제2 커버
120: 외부 기기
122: 외부 본체
124: 스위치
130: 전원기
140: 감지기
150: 제어기
200: 변기 커버
210: 제1 커버홀
220: 제2 커버홀
300: 변기 시트
400: 변기
OR: 오링
S1: 제1 스크류
S2: 제2 스크류
SS: 살균면
100: toilet sterilizer
110: internal device
111: bracket
113: first cover
113a: protrusion
115: sterilizer
115a: germicidal lamp
117: second cover
120: external device
122: outer body
124: switch
130: power supply
140: sensor
150: controller
200: toilet seat cover
210: first cover hole
220: second cover hole
300: toilet seat
400: toilet
OR: O-ring
S1: first screw
S2: second screw
SS: sterile cotton

Claims (12)

변기에 설치된 변기 커버의 내면에 설치되는 내부 기기; 및
상기 변기 커버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기기는,
상기 외부 기기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변기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살균기;
상기 살균기가 설치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살균기를 덮도록 상기 제1 커버에 결합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변기 살균 장치.
an internal devic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cover installed in the toilet; and
and an external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ilet cov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device,
The internal device is
a sterilizer including a sterilizing lamp for sterilizing the toilet by driving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a first cover on which the sterilizer is installed; and
a second cover coupled to the first cover to cover the sterilizer;
toilet steriliz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변기 살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ver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toilet steriliz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세 개의 경사진 측면을 갖는 다각뿔 형상의 절단체인,
변기 살균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rotrusion is a polygonal pyramid-shaped cutting body having at least three inclined sides,
toilet steriliz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살균기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이고,
상기 세 개 이상의 살균기는 상기 돌출부의 경사진 측면에 설치되는,
변기 살균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terilizer is at least three or more,
The three or more sterilizers are installed on the inclined side of the protrusion,
toilet steriliz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기는 복수 개의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변기 살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rilizer includes a plurality of sterilization lamps,
toilet steriliz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램프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LED인,
변기 살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rilization lamp is an ultraviolet LED emitting ultraviolet rays,
toilet steriliz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기는,
상기 변기 커버를 사이에 두고 외부 기기와 결합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커버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양 끝단이 절곡되어 돌출된 형상을 갖는,
변기 살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nal device is
Further comprising a bracket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with the toilet cove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bracket has a shape in which both ends are bent and protruded so that the first cover is fitted and coupled;
toilet steriliz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기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변기 커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살균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변기 살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etector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toilet cover;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ilet cover sensed by the sensing unit,
toilet steriliz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에서 상기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인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살균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변기 살균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terilizer to operate when the detector detects that the toilet cover is in a closed state.
toilet steriliz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주변의 움직임을 추가로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에서 상기 변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이면서 주변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 상기 살균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변기 살균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etector may additionally detect the surrounding movemen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terilizer to operate when the detector detects that the toilet cover is in an open state and there is no surrounding movement.
toilet sterilizer.
변기에 설치된 변기 커버에 상기 변기를 살균하기 위해 상기 변기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변기를 살균하기 위해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살균기가 소정의 시간 동안 동작하는 단계;
상기 살균기가 소정의 시간 동안 동작된 이후, 상기 살균기의 동작이 정지되는 단계; 및
상기 살균기가 동작되는 동안, 상기 변기 커버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기의 동작이 정지되는 단계는 상기 살균기가 동작되는 동안 상기 변기 커버가 개방되는 경우에도 수행되는,
변기 살균 방법.
detecting a position of the toilet cover to sterilize the toilet seat on the toilet cover installed in the toilet;
operating a sterilizer including a sterilization lamp for a predetermined time to sterilize the toilet when the toilet cover is close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after the sterilizer has been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detecting that the toilet cover is opened while the sterilizer is operating;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is performed even when the toilet cover is opened while the sterilizer is operating.
How to disinfect a toilet bowl.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변기 커버가 개방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변기의 주변에 움직임이 있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기의 동작이 정지되는 단계는, 상기 변기의 주변에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도 수행되는,
변기 살균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re is movement around the toile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toilet cover is opened,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er is performed even when there is movement around the toilet,
How to disinfect a toilet bowl.
KR1020200056860A 2020-05-13 2020-05-13 Sterilization apparatus of toilet bowl and sterilization method thereof KR1025117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860A KR102511703B1 (en) 2020-05-13 2020-05-13 Sterilization apparatus of toilet bowl and steriliz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860A KR102511703B1 (en) 2020-05-13 2020-05-13 Sterilization apparatus of toilet bowl and steriliz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884A true KR20210138884A (en) 2021-11-22
KR102511703B1 KR102511703B1 (en) 2023-03-21

Family

ID=7871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860A KR102511703B1 (en) 2020-05-13 2020-05-13 Sterilization apparatus of toilet bowl and steriliz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703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640Y1 (en) * 2001-12-07 2002-03-09 한수만 Uv sterilizing toilet apparatus disinfecting a toilet with uv light
KR100894068B1 (en) 2007-07-02 2009-04-21 임재영 Structure of toilet apperatus for ultraviolet lamp
KR101322993B1 (en) * 2013-08-19 2013-10-29 김진호 Device for sterilizing toilet
KR101428459B1 (en) 2013-04-01 2014-09-23 정정애 Toilet cover capable of sterilization and toilet using the same
KR101617824B1 (en) * 2015-12-10 2016-05-03 엠제이하이테크(주) The toilets are equipped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20180053187A (en) * 2016-11-11 2018-05-21 윤덕하 A toilet bowl with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23778A (en)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유로텍 Sterilizer apparatus for toilet bow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640Y1 (en) * 2001-12-07 2002-03-09 한수만 Uv sterilizing toilet apparatus disinfecting a toilet with uv light
KR100894068B1 (en) 2007-07-02 2009-04-21 임재영 Structure of toilet apperatus for ultraviolet lamp
KR101428459B1 (en) 2013-04-01 2014-09-23 정정애 Toilet cover capable of sterilization and toilet using the same
KR101322993B1 (en) * 2013-08-19 2013-10-29 김진호 Device for sterilizing toilet
KR101617824B1 (en) * 2015-12-10 2016-05-03 엠제이하이테크(주) The toilets are equipped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20180053187A (en) * 2016-11-11 2018-05-21 윤덕하 A toilet bowl with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23778A (en)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유로텍 Sterilizer apparatus for toilet bow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703B1 (en)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78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rmicidal sanitizing of an elevator or other enclosed structure
US8895940B2 (en) Switch sanitizing device
US11400174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a point of contact
US8698100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a door opening device or other point of contact
KR102167155B1 (en) Door handle disinfection device
KR102022314B1 (en) lighting equipment sterilization
JP2020116430A (en) Sterilization device of door knob or the like using uv ray
KR20150000852U (en) Hand Sterilization Appapatus for Door Handle
KR20170003860A (en) Multi-purpose portable sterilizer
KR20200076077A (en) Touchscreen UV sterilizing device with active human detection sensor
KR102511703B1 (en) Sterilization apparatus of toilet bowl and sterilization method thereof
JPH113616A (en) Lighting system
KR20060002349A (en) Sterilizer for dental tools
KR20210124015A (en) Anti-virus sensor lighting module
KR20100092782A (en) Close-stool with sterilizing function)
KR20200091133A (en) Touchscreen UV sterilizing device with active human detection sensor
KR102411620B1 (en) Sterilizing device
JP4448071B2 (en) Surgical light
KR20050113102A (en) A toothbrush sterilizer
KR20220105716A (en) Apparatus for disinfecting elevator
KR20220073168A (en) Ultraviolet surface sterilizer
KR20220084920A (en) Sterilizing toilet seat cover
KR20220075892A (en) Button Sterilizing Apparatus
KR20230075733A (en) Moving type robotic sterilizer
KR20220153773A (en) Sterilizing lamp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