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818A -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818A
KR20210137818A KR1020200056130A KR20200056130A KR20210137818A KR 20210137818 A KR20210137818 A KR 20210137818A KR 1020200056130 A KR1020200056130 A KR 1020200056130A KR 20200056130 A KR20200056130 A KR 20200056130A KR 20210137818 A KR20210137818 A KR 20210137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tes
name
control device
powe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05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7818A/ko
Publication of KR20210137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8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power network being loc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1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a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 or a data transmission b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40Display of information, e.g. of data or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4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d telecommunication networks or data transmission bu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사이트 각각으로부터 에너지 사용 정보에 관한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사이트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각각의 속성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 및 기설정된 명칭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명칭을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명칭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명칭을 변환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사이트에 대한 관제를 수행하는 관제부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CONTROL APPARATUS OF POWER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사이트를 관제하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시스템은 모니터/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및 DCS(Distribution Control System), 계통 관리 및 해석을 위한 고급 전력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ESS, PV를 감시, 제어하는 EMS(Energy Management System)가 있다. 최근 빅데이터 프레임워크의 요구로 Database의 기술이 높아지며 제품군도 다양해지고 있다.
기존 전력EMS의 아키텍처는 Database를 사전에 설계하고 SQL쿼리언어를 통해 전력 Application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고객요구에 따라 DB가 바뀌는 사업장이나 성능상의 이슈로 NoSQL도 화제가 되고 있으며, 애자일 개발방법론을 적용하여 다양한 DB적용성 테스트를 위해 DB변경이 요구된다. 이 경우 DB 변경에 따라 모든 Application의 소스 코드를 바꿔주어야 한다.
즉, 종래에는 다양한 사이트의 데이터 활용을 위해서 각 사이트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사용을 위한 소스 코드 과정이 요구되어져, 다수의 소규모 전력망의 운용 한계 및 번거로운 엔지니어링 과정이 요구되는 한계가 따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사이트에서의 데이터 수신이 소스 코드의 변경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사이트의 관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는, 복수의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들의 명칭을 일정 기준에 따른 명칭으로 변환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는, 복수의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들의 속성을 파악하여, 속성에 따라 설정된 명칭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들의 명칭을 통일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는,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들의 명칭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명칭 기준을 설정하여 데이터들의 명칭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의 실시 예는, 상기 복수의 사이트 각각으로부터 에너지 사용 정보에 관한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관제 장치의 관제 수행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의 사이트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각각의 속성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 및 기설정된 명칭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명칭을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명칭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명칭을 변환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사이트에 대한 관제를 수행하는 관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해당 사이트의 전압, 전류, 전력 및 전력량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사이트 각각은, 해당 사이트의 에너지 사용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 및 기설정된 생성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생성 기준은, 데이터의 속성 및 명칭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사이트 중 하나 이상은, 다른 사이트와 상기 생성 기준을 달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사이트 중 하나 이상의 복수의 데이터는, 다른 사이트의 데이터와 속성이 같되, 명칭이 다른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복수의 사이트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사이트의 복수의 데이터 중 속성이 같은 데이터와 명칭이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사이트 별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테이블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각각의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테이블 기준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각각의 속성 별 명칭의 종류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각각의 속성을 판단하여, 상기 명칭 기준에 설정된 명칭 중 판단한 속성에 해당하는 명칭으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명칭을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명칭 기준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속성에 따른 명칭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명칭 기준은, 상기 전력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명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는, 복수의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들의 속성을 파악하여, 속성에 따라 설정된 명칭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들의 명칭을 통일화시킴으로써, 데이터의 수집을 위한 소스 코드의 변경 과정 없이 데이터의 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의 수신 및 관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애플리케이션의 호환성 및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이터의 수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이용한 제어 기술의 적용성 및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복수의 사이트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의 데이터 수신 및 관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a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b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의 테이블 기준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의 구체적인 적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의 구체적인 데이터 분석/명칭 기준 설정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에서 구체적인 기준 세트의 보정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시스템(1000)을 설명한다.
상기 전력 시스템(10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를 관제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상기 전력 시스템(1000)은,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의 전력 사용을 관제 및 제어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전력 시스템(1000)은,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및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를 중앙 관제하는 관제 시스템(CS)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제 시스템(CS)은,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를 관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제를 수행하는 관제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는, 전력을 소비하는 건물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는, 동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동(10), B동(20) 및 C동(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가 3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는 3개 미만일 수도 있으며,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은, 복수의 전력 소비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는, 각각이 소규모 전력망(Micro-Grid)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은, 사이트의 전력 소비를 관제하는 관제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는, 각각이 서로 다른 시스템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동은 A시스템, B동은 B시스템, C동은 C시스템이 구축되어, 각각 서로 다른 시스템으로 전력 소비가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는, 상기 전력 시스템(1000)의 관제 시스템(CS)과 통신 연결되어, 상기 관제 시스템(CS)에 의해 관제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관제 장치(100)를 통해 관제될 수 있다.
상기 관제 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를 관제하는 상기 전력 시스템(1000)에서,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와 통신하여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에 대한 중앙 관제를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관제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으로부터 에너지 사용 정보에 관한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110), 상기 관제 장치(100)의 관제 수행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20),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각각의 속성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 및 기설정된 명칭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명칭을 변환하는 변환부(130) 및 상기 명칭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명칭을 변환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에 대한 관제를 수행하는 관제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10), 상기 저장부(120), 상기 변환부(130) 및 상기 관제부(140)를 포함하는 상기 관제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에 대한 관제를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관제 장치(100)에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과 통신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S10)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해당 사이트의 전압, 전류, 전력 및 전력량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해당 사이트에 포함된 전력 소비 기기 각각의 전압, 전류, 전력 및 전력량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의 전압, 전류, 전력 및 전력량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이트에 포함된 복수의 전력 소비 기기 각각의 에너지 사용 정보에 대한 데이터(D1, D2,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DS/Data Series)는 또한, 해당 사이트의 온도, 시간 및 날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은, 해당 사이트의 에너지 사용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 및 기설정된 생성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DS)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복수의 데이터(DS)를 상기 통신부(11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은, 각각에 기설정된 상기 생성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DS)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10)에 각각 송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생성 기준은, 데이터의 속성 및 명칭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즉, 상기 생성 기준은, 데이터의 속성에 따른 명칭이 설정된 기준일 수 있다.
이를테면, 전력에 관한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의 명칭이 "전력"으로 설정되고, 전압에 관한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의 명칭이 "전압"으로 설정되어, 상기 생성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의 속성은, 데이터의 종류, 이를테면 전력, 전압, 전류 등과 같은 데이터의 속성을 의미하며, 상기 데이터의 명칭은, 상기 데이터의 도메인(DOMAIN)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생성 기준은,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에 설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A동(10)은 A 생성 기준에 따라 A동의 에너지 사용 정보에 대한 복수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10)에 송신하고, B동(20)은 B 생성 기준에 따라 B동의 에너지 사용 정보에 대한 복수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10)에 송신하고, C동(30)은 C 생성 기준에 따라 C동의 에너지 사용 정보에 대한 복수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110)에 송신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에서 생성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DS)는, 서로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한 사이트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속성이 "전력"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파워" 도메인으로 생성되고, 다른 한 사이트에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속성이 "전력"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전력" 도메인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중 하나 이상은, 다른 사이트와 상기 생성 기준을 달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DS)가 다른 사이트와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A동(10)에서 생성된 복수의 데이터(DS) 중 일부의 명칭이 B동(20)에서 생성된 복수의 데이터(DS) 중 속성이 같은 데이터와 명칭이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중 하나 이상의 복수의 데이터(DS)는, 다른 사이트의 데이터와 속성이 같되, 명칭이 다른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DS)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사이트의 복수의 데이터(DS) 중 속성이 같은 데이터와 명칭이 다를 수 있다.
상기 관제 장치(100)에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관제 장치(100)의 데이터 저장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통신부(110)에서 수신한 상기 복수의 데이터(DS)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통신부(110), 상기 변환부(130) 및 상기 관제부(140) 각각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변환부(130)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DS) 각각의 속성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및 상기 관제부(140)에서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에 대한 관제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가 기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변환부(130)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DS) 각각의 속상을 판단하여 명칭을 변환할 수 있고, 상기 관제부(140)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에 대한 관제를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관제 장치(100)에서 상기 변환부(130)는, 상기 통신부(110)에서 수신한 상기 복수의 데이터(DS)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일 수 있다.
상기 변환부(130)는, 상기 통신부(110)가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데이터(DS)를 수신(S10)한 후, 상기 복수의 데이터(DS) 각각의 속성을 판단(S20)하여, 판단 결과 및 상기 명칭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DS)의 명칭을 변환(S30)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130)는,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별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DS)의 속성을 판단(S20)할 수 있다.
즉, 상기 변환부(130)는, A동(10)의 복수의 데이터(DS), B동(20)의 복수의 데이터(DS), C동(30)의 복수의 데이터(DS) 각각에 포함된 데이터들의 속성을 판단(S20)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130)는, 기설정된 테이블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DS) 각각의 속성을 판단(S20)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기준은, 상기 저장부(130)에 기저장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 기준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DS) 각각의 속성 별 명칭의 종류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즉, 상기 테이블 기준은, 데이터의 속성 별 명칭 리스트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속성의 데이터 명칭이 "전력", "파워", "와트" 등으로 설정되고, "전력량" 속성의 데이터 명칭이 "전력량", "에너지" 등으로 설정되고, "전압" 속성의 데이터 명칭이 "전압", "전위", "전원"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변환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테이블 기준(TR/Table Reference)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DS)에 포함된 데이터들 각각의 속성을 판단(S20)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데이터의 명칭이 "와트"인 데이터의 속성이 "전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또는 데이터의 명칭이 "전위"인 데이터의 속성이 "전압"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130)는, 상기 테이블 기준(TR)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DS) 각각의 속성을 판단(S20)한 후, 판단 결과 및 상기 명칭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DS)의 명칭을 변환(S30)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130)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DS) 각각의 속성을 판단(S20)하여, 상기 명칭 기준에 설정된 명칭 중 판단한 속성에 해당하는 명칭으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DS)의 명칭을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명칭 기준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DS)의 속성에 따른 명칭에 대한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속성의 데이터는 "전력"으로 설정되고, "온도" 속성의 데이터는 "기온"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환부(130)는,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의 복수의 데이터(DS) 중 "전력" 속성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전력" 명칭으로 변환하고, "온도" 속성에 해당하는 데이터, 이를테면 "온도", "기온", "환경" 명칭 등의 데이터는 "온도" 명칭으로 변환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명칭 기준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DS)의 속성에 따른 명칭에 대한 통일된 기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변환부(130)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DS)의 명칭을 상기 명칭 기준에 따라 통일화된 명칭으로 변환(S30)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명칭 기준은, 상기 전력 시스템(1000)에서 사용되는 명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명칭 기준은 또한,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중 어느 한 사이트의 생성 기준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환부(130)는,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의 복수의 데이터(DS)의 명칭을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중 어느 한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명칭으로 변환(S30)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제 장치(100)에 수신된 복수의 데이터(DS)의 명칭이 동일한 명칭으로 변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제 장치(100)에서 상기 관제부(140)는, 상기 변환부(130)가 상기 명칭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DS)의 명칭을 변환(S30)한 후, 명칭을 변환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에 대한 관제를 수행(S40)할 수 있다.
상기 관제부(140)는, 명칭을 변환한 변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에 대한 관제를 수행(S40)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변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에 대한 관제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변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사이트(10 내지 30) 각각에 대한 제어 지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 지령을 해당 사이트에 전달하게 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관제 장치(100)의 구체적인 예시를 설명한다.
도 6은 마이크로 그리드 통합 관리 시스템(CS)이 복수의 마이크로 그리드 시스템(10 내지 40)을 통합 관리하는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로, 상기 관제 장치(100)가 상기 마이크로 그리드 통합 관리 시스템(CS)에 포함되어, 상기 복수의 사이트에 해당하는 복수의 시스템(10 내지 40)을 통합 관제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시스템(10 내지 40)은, 서로 다른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테면, 마이크로그리드(10), EMS(Energy Management System)(20),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30) 및 PMS(Power Management System)(40)가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사이트 각각이 서로 다른 시스템으로 운영됨으로써, 각각이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 체계로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 시스템(CS)은, 이러한 상기 복수의 시스템(10 내지 40)과 연계되어, 각각으로부터 에너지 사용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시스템(10 내지 40)의 피크 관리, 에너지 절감 운전 등과 같은 제어를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시스템(10 내지 40) 각각이 서로 다른 언어/데이터베이스 체계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구조가 통일화되지 못한 상태이므로, 각기 다른 SQL 프로그래밍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해야 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데이터 수집 방법에는 시스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고 SQL 프로그래밍을 실시하여야 하는 과정이 전제가 되므로, 통합 관리를 위한 상기 통합 관리 시스템(CS)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 시스템(CS)에서 관리해야 하는 시스템이 늘어나거나, 관리 대상 시스템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과정이 수반되므로, 통합 관리 시스템의 유연하고 탄력적인 운영이 어려워지게 된다.
상기 관제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맵핑 과정을 통해 명칭 기준을 설정하여, 상기 명칭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시스템(10 내지 40)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데이터의 명칭을 통일화하게 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동(10)은 전력 데이터의 명칭을 [LSE.1Bus.b60.PowerLoad]으로, 온도 데이터의 명칭을 [LSE.1Bus.b60.Temp]으로 사용하고, B동(20)은 전력 데이터의 명칭을 [LS ELEC.60dong.kW]으로, 온도 데이터의 명칭을 [LS ELEC.60dong.Temp]으로 사용하고, C동(30)은 전력 데이터의 명칭을 [LSEGW.60.Elec]으로, 온도 데이터의 명칭을 [LSEGW.60.Temp]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관제 장치(100)가 각 사이트의 포인트 데이터의 텍스트(명칭)를 추출하여, 하나의 명칭을 통일시키게 될 수 있다. 먼저, 각 포인트 데이터를 통합(B1)하여 포인트 텍스트 마이닝(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을 준비하고, 데이터 분석을 위한 변수명과 맵핑된 ORM OBJECT 정의를 입력(B2)하게 된다. 여기서, ORM OBJECT 정의는, 바람직하게는 전력시스템 표준에 따라 명명하게 된다. 이후, 텍스트 마이닝(B3) 과정에서는 전처리 및 모델링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전처리 과정은 1) Text Preprocessing 및 2) Feature Vectorization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1) Text Preprocessing은 포인트 텍스트의 대소문자를 구분하고, 특수문자를 삭제하고, 공백을 삭제하고, 2) Feature Vectorization은 1) Text Preprocessing된 데이터에서 피처를 추출하고 벡터화하게 된다. 모델링 과정은 1) SpaCy, Gensim등 NLP 알고리즘 모델링, 2) Text Classification(분류)과 Clustring(군집화)을 통해 필터링, 3) Object kW와 맵핑된 적합성 평가 및 4) Word에 가중치를 부여해서 단어의 우선순위 부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 분류된 ORM 맵핑 룰 세트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B4)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명칭 기준에 대한 파일(XML)을 생성(B5)하여, 상기 명칭 기준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시스템(10 내지 30)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데이터의 명칭을 변환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분석 및 프로그래밍 과정 없이 통합 관리를 위한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내지 30: 사이트 100: 관제 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변환부 140: 관제부
1000: 전력 시스템

Claims (11)

  1. 복수의 사이트를 관제하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이트 각각으로부터 에너지 사용 정보에 관한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관제 장치의 관제 수행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의 사이트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각각의 속성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 및 기설정된 명칭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명칭을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명칭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명칭을 변환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사이트에 대한 관제를 수행하는 관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는,
    해당 사이트의 전압, 전류, 전력 및 전력량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이트 각각은,
    해당 사이트의 에너지 사용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 및 기설정된 생성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복수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기준은,
    데이터의 속성 및 명칭에 대한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이트 중 하나 이상의 복수의 데이터는,
    다른 사이트의 데이터와 속성이 같되, 명칭이 다른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사이트 별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속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저장된 테이블 기준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각각의 속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기준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각각의 속성 별 명칭의 종류에 대한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각각의 속성을 판단하여, 상기 명칭 기준에 설정된 명칭 중 판단한 속성에 해당하는 명칭으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명칭을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명칭 기준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의 속성에 따른 명칭에 대한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명칭 기준은,
    상기 전력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명칭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KR1020200056130A 2020-05-11 2020-05-11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KR20210137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130A KR20210137818A (ko) 2020-05-11 2020-05-11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130A KR20210137818A (ko) 2020-05-11 2020-05-11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818A true KR20210137818A (ko) 2021-11-18

Family

ID=7871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130A KR20210137818A (ko) 2020-05-11 2020-05-11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78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7815A (ko) 2021-12-10 2023-06-1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절감 운용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7815A (ko) 2021-12-10 2023-06-1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 절감 운용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0431B2 (en) Method for optimizing the flexible constraints of an electric power system
Hong et al. Discrete demand side control performance under dynamic building simulation: A heat pump application
Alves et al. Sufficient conditions for robust frequency stability of AC power systems
KR20170122150A (ko) 태양광 발전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anda Intelligent data analysis for sustainable smart grids using hybrid classification by genetic algorithm based discretization
Fütterer et al. A multifunctional demonstration bench for advanced control research in buildings—Monitoring, control, and interface system
CN111091240A (zh) 一种公共机构电力能效监测系统及服务方法
Li et al. A combined central and local voltage control strategy of soft open points in active distribution networks
KR20210137818A (ko) 전력 시스템의 관제 장치
KR20180008820A (ko) 태양광 발전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488820A (zh) 一种基于长过程时序仿真的分布式电源规划方法
KR102366386B1 (ko)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다중 슬레이브 장치의 분산전원 정보 선택적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944067B1 (ko) 열 전기 복합그리드 ems 플랫폼
Raju et al. IoT based demand side management using arduino and MATLAB
CN102799137B (zh) 用于风电控制系统plc控制器软件跨平台移植的方法
Melo et al. Centralized monitoring of a cost efficient PLC‐SCADA based islanded microgrid considering dispatch techniques
Shahzad et al. Optimal planning of distributed energy storage systems in active distribution networks using advanced heuristic optimization techniques
KR20150080233A (ko) Iec 61850 기반의 분산 전원 플러그앤플레이가 가능한 마이크로그리드 및 그 분산전원 플러그앤플레이 방법
Patil et al. A Model Design of Green Communication for Smart Grid Systems
CN116826709A (zh) 可调节负荷资源与调度主站模型的自动匹配方法、装置、存储介质
Hartvigsson et al. Using system dynamics for long term bottom-up electric load modeling in rural electrification
CN107590211B (zh) 智能电网信息系统
Kalsi et al. Integrated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ntrol
Palacios-Garcia et al.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daily demand prediction and ZigBee network
CN110109368B (zh) 一种智能家电运行控制方法、装置及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