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839A - Manufacturing method of a dental implant sergical guide, Pre-guide and guide tray therefor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a dental implant sergical guide, Pre-guide and guide tray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839A
KR20210136839A KR1020210043192A KR20210043192A KR20210136839A KR 20210136839 A KR20210136839 A KR 20210136839A KR 1020210043192 A KR1020210043192 A KR 1020210043192A KR 20210043192 A KR20210043192 A KR 20210043192A KR 20210136839 A KR20210136839 A KR 20210136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impression resin
resin
impression
prelim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1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윤호
허다솜
양희중
김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솔
Publication of KR2021013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8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obo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A pre-guid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mpression resin (110) and a guide tray (120). Also, the guide tray (120) comprises an impression resin accommodation part (130), a jig fastening part (140), a protection covering part (150), and a holding par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uracy or precision can be constantly maintained.

Description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그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Manufacturing method of a dental implant sergical guide, Pre-guide and guide tray therefor}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implantation guide, a preliminary guide and guide tray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를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시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그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implantation guide used for more safely and accurately operating a dental implant, a preliminary guide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guide tray.

치아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치아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하는 작업을 포함하는데, 시술 현장에서는 치아 임플란트 고정체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식립하기 위하여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되는 식립 또는 시술 가이드(surgical guide)가 사용되고 있다.Dental implant surgery includes the operation of placing a dental implant fixture in the alveolar bone, and in the field of surgery, an implantation or surgical guide manufactured by various methods is used to safely and accurately place the dental implant fixture.

이런 식립 가이드의 대표적인 한 예가 한국등록특허 제10-1797155호의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고, 그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n implantation guide is disclosed in "a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mplant"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97155, and the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용 수술용 가이드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가 스캔된 1차 스캐닝 이미지 및 구강 CT 이미지가 획득되고, 치아 식립대상부 및 대합치아 사이의 교합 높이가 고려되어 제조된 교합 레진의 외면이 스캔된 2차 스캐닝 이미지가 획득되는 제1 단계(s10); As shown in FIG. 1, in the prior art, a primary scanning image and an oral CT image of the inside of the recipient's oral cavity are acquired, and the occlusal height between the tooth implantation target part and the opposing tooth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 first step (s10) of obtaining the scanned secondary scanning image;

1차 스캐닝 이미지 및 2차 스캐닝 이미지에 표시된 공통 부분을 기준으로 예비정합하여 피시술자의 교합 높이가 고려된 통합 스캐닝 이미지가 획득되는 제2 단계(s20); a second step (s20) of obtaining an integrated scanning image in consideration of the occlusal height of the person to be treated by pre-registration based on the common part displayed in the primary scanning image and the secondary scanning image;

통합 스캐닝 이미지와 구강 CT 이미지에 포함된 정합표식자 이미지를 기준으로 중첩 및 본 정합하여 3차원 교합 가이드 이미지가 획득되는 제3 단계(s30); 및 a third step (s30) of obtaining a three-dimensional occlusal guide image by superimposing and main registration based on the registration marker image included in the integrated scanning image and the oral CT image; and

3차원 교합 가이드 이미지를 기반으로 크라운의 높이가 설정되고 서지컬 가이드가 제조되는 제4단계(s40)로 구성되어 있다.It consists of a fourth step (s40) in which the height of the crown is se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occlusal guide image and the surgical guide is manufactured.

상술한 종래기술의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은 수회에 걸친 스캔 작업, 스캔된 이미지의 통합 작업, 통합된 스캐닝 이미지와 CT 이미지의 정합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작업 자체가 복잡하고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The above-described prior art surgical guide manufacturing method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itself is complicated and the operation time is long because it has to go through a number of scanning operations, integration of the scanned images, and registration of the integrated scanning and CT images. there was

또한,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때마다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불일정 및/또는 누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최종 결과물인 가이드의 정확도 또는 정밀도가 일정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inconsistency and/or accumulation of errors that may occur whenever each operation is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or precision of the guide, which is the final result, is not constant.

한국등록특허 제10-179715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97155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구강 스캔 이미지 없이 CT 이미지만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을 현저히 간편화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최종 결과물인 가이드의 정확도 또는 정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그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work in a remarkably simplified manner by using only the CT image without the oral scan image, and to greatly reduce the work time. There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implantation guide, a preliminary guide and a guide tray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the accuracy or precision of the guide, which is the final result, can be constantly maintained.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인상레진을 함유하는 예비가이드를 물리고, 상기 인상레진을 경화 반응시킨 후에 CT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단계;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tep of acquiring a CT image after biting a preliminary guide containing an impression resin on the implant site of a patient, and curing the impression resin;

상기 CT 이미지를 사용하여 상기 식립 부위에 상당하는 임플란트의 식립 정보를 설계하는 제2 단계; 및a second step of designing implant plac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site using the CT image; and

상기 설계된 식립 정보에 따라 상기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가이드를 완성하는 제3 단계;a third step of completing the guide by forming a guide hole in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the designed implantation information;

를 포함하며,includes,

상기 인상레진은 경화 반응 전에는 50℃에서 cone/plate 점도계에 의하여 측정 시, 500 ps 이하의 점도를 나타내는 반고형 상태로 존재하는 한편, 경화 반응 후에는, ISO 604에 의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250 MPa의 압축 강도, 및 ISO 178에 의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90 MPa의 굴곡 강도를 갖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The impression resin exists in a semi-solid state that exhibits a viscosity of 500 ps or less when measured by a cone/plate viscometer at 50° C. before the curing reaction, while after the curing reaction, a compression of at least 250 MPa measured according to ISO 604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having a strength and a flexural strength of at least 90 MPa as measured according to ISO 178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인상레진을 함유하는 예비가이드를 물리는 제1 단계; A first step of biting a preliminary guide containing an impression resin on the implant site of the patient;

상기 예비가이드가 물린 상태에서 인상레진을 부분 경화하는 제2 단계; a second step of partially curing the impression resin in the state in which the preliminary guide is bitten;

상기 인상레진이 부분 경화된 예비가이드를 상기 식립 부위로부터 분리한 후에 상기 부분 경화된 인상레진을 완전 경화시켜 식립 부위와 정합된 본을 형성하는 제3 단계; a third step of completely curing the partially cured impression resin after separating the partially cured preliminary guide from the implantation site to form a pattern matched with the implantation site;

상기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상기 예비가이드를 다시 물리고 CT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4 단계; a fourth step of re-attaching the preliminary guide to the implant site of the patient and acquiring a CT image;

상기 CT 이미지를 사용하여 상기 식립 부위에 상당하는 임플란트의 식립 정보를 설계하는 제5 단계; 및 a fifth step of designing implant plac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plantation site using the CT image; and

상기 설계된 식립 정보에 따라 상기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가이드를 완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며,A sixth step of completing the guide by forming a guide hole in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the designed implantation information,

상기 인상레진은 제2 단계 전에는 50℃에서 cone/plate 점도계에 의하여 측정 시, 500 ps 이하의 점도를 나타내는 반고형 상태로 존재하는 한편, 제3 단계 후에는, ISO 604에 의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250 MPa의 압축 강도, 및 ISO 178에 의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90 MPa의 굴곡 강도를 갖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Before the second step, the impression resin is in a semi-solid state showing a viscosity of 500 ps or less when measured by a cone/plate viscometer at 50° C., while after the third step, at least 250 MPa as measured by ISO 604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having a compressive strength of , and a flexural strength of at least 90 MPa measured according to ISO 178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의 본을 형성하기 위한 인상레진; 및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ession resin for forming the pattern of the implant site; and

상기 인상레진이 수용되는 인상레진 수용부와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하여 식립안내 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설치된 가공용 지그에 체결되는 지그 체결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트레이;a guide tray having an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accommodated and a jig fastening part fastened to a processing jig installed in the processing equipment when an implantation guide hole is processed to complete the guide;

를 포함하며,includes,

상기 인상레진은 광 경화성 레진 조성물이며, 이의 레진 매트릭스 성분으로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또는 올리고머), 및 2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며, 그리고The impression resin is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includes a (meth)acrylic monomer (or oligomer) as a resin matrix component thereof, and a (meth)acrylic monomer (or oligomer)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and

50℃에서 cone/plate 점도계에 의하여 측정 시, 500 ps 이하의 점도를 나타내는 반고형 상태로 존재하는 예비가이드를 제공한다.A preliminary guide that exists in a semi-solid state with a viscosity of 500 ps or less when measured by a cone/plate viscometer at 50°C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인상레진이 수용되고, 상악 또는 하악의 전치 내지 소구치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인상레진 수용부; 및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which accommodates the impression resin,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nterior or premolar region of the maxilla or mandible; and

식립안내구멍의 가공을 위한 가공용 지그에 결합되는 지그체결부를 포함하고,Including a jig fastening part coupled to a jig for processing for processing of an implantation guide hole,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는 치아의 안쪽에 위치되는 제1 측면, 치아의 끝쪽에 위치되는 바닥면, 및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되는 제2 측면을 구비하고,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ortion has a first side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tooth, a bottom surface located on the end of the tooth, and a second side surfac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tooth,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가공용 지그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식립안내구멍의 기계적 천공 시 떨림을 잡아주는 돌출 턱 또는 오목하게 파인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를 제공한다.The second side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jig for processing to provide a guide tra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truding jaw or a concave groove that catches vibrations during mechanical drilling of the implantation guide hole.

예시적 실시예에서 따르면,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는 상악 전치/소구치 부위 또는 하악 전치/소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 상악 중절치부터 제2 대구치 부위 또는 하악의 중절치부터 제2 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 상악 소구치/대구치 부위 또는 하악 소구치/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 또는 상악 중절치부터 제2 대구치 부위 및 하악 중절치부터 제2 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anterior/premolar region or the lower anterior/premolar region, the upper central incisor to the second molar region, or the lower central incisor to the second molar region. It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emolar/molar region or the lower premolar/molar region, or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lar region from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the second molar region from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제조에 종래기술과 달리 구강 스캔 이미지 없이 CT 이미지만이 사용되기 때문에, 현저히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크게 감축할 수 있으며, 정확도 또는 정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아울러 임플란트 시술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과정 중 발행할 수 있는 이취, 과도한 발열 현상, 변형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a CT image is used without an oral scan image, unlike the prior art, in the guide manufacturing,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remarkably easily, the operation time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accuracy or precision can be kept consta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implant operation time. In addition,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suppressing off-flavor, excessive heat phenomenon, deformation, etc. that may be issu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도 1은 종래기술의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기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응용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시한 치아 구조의 예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들
도 5c는 도 5a 또는 도 5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5d는 도 5b의 A1-A1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도 5e는 도 5d의 조립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들;
도 6c는 도 6a 또는 도 6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6d는 도 6b의 A2-A2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도 6e는 도 6d의 조립 단면도;
도 6f 및 도 6g는 제2실시예의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시한 턱 구조의 예시 도면들;
도 7a 및 도 7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들
도 7c는 도 7a 또는 도 7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7d는 도 7b의 A3-A3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도 7e는 도 7d의 조립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들
도 8c는 도 8a 또는 도 8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8d는 도 8b의 A4-A4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그리고
도 8e는 도 8d의 조립 단면도이다.
1 is a flow chart showing a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of the prior art;
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a bas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applic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a tooth structure show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viewed from different sides of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 preliminary guide and a guide tray for manufacturing the guide of FIG. 2 or FIG. 3;
Figure 5c is a view looking toward the grip portion of the guide tray of Figure 5a or 5b;
Fig. 5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1-A1 in Fig. 5B;
Fig. 5e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5d;
6A and 6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viewed from different sides of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a preliminary guide and a guide tray for manufacturing the guide of FIG. 2 or FIG. 3;
Figure 6c is a view looking toward the grip portion of the guide tray of Figure 6a or 6b;
Fig. 6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2-A2 in Fig. 6B;
Fig. 6e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6d;
6F and 6G are exemplary views of the jaw structure shown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7A and 7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viewed from different sides of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a preliminary guide and a guide tray for manufacturing the guide of FIG. 2 or FIG. 3;
Figure 7c is a view looking toward the grip portion of the guide tray of Figure 7a or 7b;
Fig. 7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3-A3 in Fig. 7B;
Fig. 7e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7d;
8A and 8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viewed from different sides of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a preliminary guide and a guide tray for manufacturing the guide of FIG. 2 or FIG. 3;
Fig. 8c is a view looking toward the grip portion of the guide tray of Fig. 8a or 8b;
Fig. 8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4-A4 in Fig. 8B; and
FIG. 8E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8D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들과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implantation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eliminary guide and a guide tray for manufacturing a guid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기본 및 응용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 제조 방법과 응용 제조 방법은 인상레진의 성질, 특히 경화성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First, a basic and applied manufacturing method of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The basic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applied manufacturing method can be selectively and advantageously appli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impression resin, in particular, the curing properties.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기본 및 응용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들이다.2 and 3 are flowcharts showing the basic and applie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기본 제조 방법(3단계)Basic manufacturing method (3 steps)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 제조 방법은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as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ree steps.

제1 단계(S110)는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예비가이드를 물리고 CT 이미지를 획득한다.In the first step (S110), a CT image is acquired by biting the preliminary guide to the implant site of the patient.

이때, 예비가이드에 함유되어 있는 인상레진에 식립 부위가 본떠진다. 이 떠진 본은 식립 부위와 최종적으로 완성되게 되는 가이드의 물리적인 정합 수단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물리적인 정합은 종래기술에서 스캔 이미지와 CT 이미지가 통합된 통합 이미지와 식립 부위간의 디지털 정합에 비하여 정밀도와 정확도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plantation site is modeled on the impression resin contained in the preliminary guide. This floating bone is used as a means for physically matching the implantation site and the guide to be finally completed. Such physical registration has very high precision and accuracy compared to the digital registration between the integrated image in which the scan image and the CT image are integrated and the implantation site in the prior art, and can greatly reduce the working time.

제2 단계(S120)는 CT 이미지를 사용하여 식립 부위에 알맞게 임플란트의 식립 정보를 설계한다.In the second step (S120), the implant placement information is designed to suit the placement site using the CT image.

이때, 디자인 프로그램이 사용되게 되는데,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CT 이미지를 불러 와 교합 관계 등을 고려하여 임플란트의 종류와 크기, 식립 위치, 식립 깊이, 식립 각도 등의 식립 정보를 설계하게 된다.At this time, a design program is used, and a CT image is called from the design program to design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and size of the implant, the placement position, the placement depth, and the placement angle in consideration of the occlusal relationship.

제3단계(S130)는 설계된 식립 정보에 맞게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가이드를 완성한다.The third step (S130) completes the guide by forming a guide hole in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the designed implantation information.

이때,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제1단계(S110)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다. 그런 후, 식립 정보에 맞게 예비가이드 이미지에 안내구멍을 설계하여 가공을 위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그런 후, 가공 장비에서 이 디지털 정보에 맞게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가공하여 형성하면 가이드가 완성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first step (S110) on the design program, a preliminary guide image matching the preliminary guide held by the patient is selected and placed on the CT image on which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s designed. Then, a guide hole is designed in the preliminary guide image according to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to generate digital information for processing. After that, if the guide hole is processed and formed in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this digital information in the processing equipment, the guide is completed.

응용 제조 방법(6단계)Applied Manufacturing Method (6 Steps)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용 제조 방법은 6단계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applie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six steps.

제1단계(S110')는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예비가이드를 물린다.The first step (S110') bites the preliminary guide on the implant site of the patient.

이때, 시술자는 다양한 여러 예비가이드들 중에서 식립 부위에 적합한 예비가이드를 선택하게 된다. 시술자는 이 예비가이드를 식립 부위에 얹은 후 손가락으로 지그시 눌러 어느 정도 자리를 잡게 한 후 환자가 적당한 힘으로 입을 다물어 예비가이드를 물리게 된다.At this time, the operator selects a preliminary guide suitable for the implantation site from among various preliminary guides. The operator puts this preliminary guide on the implantation site and presses it gently with a finger to make it sit to some extent.

제2단계(S120')는 예비가이드가 물린 상태에서 인상레진을 부분 경화한다.In the second step (S120'), the impression resin is partially cured while the preliminary guide is bitten.

부분 경화를 위해서, 물려진 예비가이드에 광을 조사하게 되는데, 400㎚~500㎚의 파장과 800mW/㎠~1,000mW/㎠ 의 강도를 갖는 할로겐 또는 LED 광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조사는 30초~60초간 예비가이드의 옆면에서 윗면으로 천천히 이동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partial curing, light is irradiated to the bitten preliminary guide, and halogen or LED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0 nm to 500 nm and an intensity of 800 mW/cm 2 to 1,000 mW/cm 2 is preferably used. Light irradiation is preferably made while moving slowly from the side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eliminary guide for 30 to 60 seconds.

부분 경화를 하는 이유는 물컹한 성질의 인상레진이 예비가이드를 식립 부위에서 떼냈을 때 떠진 본이 잘 유지되게 하고, 식립 부위의 언더컷에 의해 떼는 작업에 무리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완전 경화가 되면, 언더컷이 있을 경우 이 언더컷에 걸려 예비가이드를 정상적으로 떼낼 수 없게 된다.The reason for partial hardening is to ensure that the impression resin, which has a soft nature, is well maintained when the preliminary guide is removed from the implantation site, and to ensure that there is no difficulty in removing the impression resin due to the undercut of the implantation site. When fully cured, if there is an undercut, it will catch on the undercut and the preliminary guide cannot be removed normally.

본 실시예에서는 예비가이드가 물린 상태에서 인상레진을 부분 경화하였지만, 경화열에 의해 치아가 손상되거나 또는 언더컷에 의해 예비가이드가 정상적으로 떼낼 수 있는 한에서는 최대한 많이 경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가이드가 물린 상태에서 인상레진의 경화 정도가 많아지면 떠진 본이 더욱 잘 유지되게 되고 이는 곧 나중에 이루어지게 물리적 정합의 완성도를 높이게 되기 때문이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impression resin is partially cured while the preliminary guide is bitten, it is preferable to harden as much as possible as long as the tooth is damaged by curing heat or the preliminary guide can be removed normally by undercut. When the degree of hardening of the impression resin increases while the preliminary guide is bitten, the floating pattern is better maintained, which is because the degree of completion of physical matching will be improved soon.

제3단계(S130')는 예비가이드를 식립 부위에서 떼내고 부분 경화된 인상레진을 완전 경화한다.In the third step (S130'), the preliminary guide is removed from the implantation site and the partially cured impression resin is completely cured.

완전 경화를 위해서, 제2단계에서 사용된 광을 다시 사용하여 40초~80초간 예비가이드의 윗면, 옆면 그리고 아랫면으로 천천히 이동하면서 광 조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인상레진은 광이 조사되면 높은 열이 발생되면서 수축이 생기기 때문에 조사되는 면의 순서에 따라 전체 수축정도가 달라 질 수 있음을 개발 과정에서 알아냈고 많은 실험을 통해 예비가이드의 윗면, 옆면 그리고 아랫면 순으로 광 조사가 이루어졌을 때 수축 정도가 가장 적어 떠진 본이 물리적인 정합에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For complete curing, the light used in the second step is used again and the light is irradiated while moving slowly to the upper, side and lower surfaces of the preliminary guide for 40 to 80 seconds.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impression resins contract due to high heat generated when they are irradiated with light, so that the overall shrinkage can vary depending on the order of the irradiated surfaces. When irradiated with light, the floating bone could be most preferably used for physical registration as it had the lowest degree of shrinkage.

제1,2,3단계를 거쳐 예비가이드에 있는 인상레진에 식립 부위가 본떠진다. 이 떠진 본은 식립 부위와 최종적으로 완성되게 되는 가이드의 물리적인 정합 수단으로 이용되게 된다. 이 물리적인 정합은 종래기술에서 스캔 이미지와 CT 이미지가 통합된 통합 이미지와 식립 부위간의 디지털 정합에 비하여 정밀도와 정확도가 매우 높고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Aft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eps, the implantation site is modeled on the impression resin in the preliminary guide. This floating bone will be used as a means for physically matching the implantation site and the guide to be finally completed. This physical registration has very high precision and accuracy and greatly shortens the working time compared to the digital registration between the integrated image and the implantation site in which the scan image and the CT image are integrated in the prior art.

제4단계(S140')는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예비가이드를 다시 물리고 CT 이미지를 획득한다.In the fourth step (S140'), the preliminary guide is re-attached to the implant placement site of the patient and a CT image is acquired.

이때, 인상레진에 떠진 본과 식립 부위가 물리적인 정합을 이루게 예비가이드가 식립 부위에 물리게 된다.At this time, the preliminary guide is bitten on the implantation site so that the bone floating on the impression resin and the implantation site are physically aligned.

제5단계(S150')는 CT 이미지를 사용하여 식립 부위에 알맞게 임플란트의 식립 정보를 설계한다.In the fifth step (S150'), the implant placement information is designed to suit the placement site using the CT image.

이때, 디자인 프로그램이 사용되게 되는데,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CT 이미지를 불러 와 교합 관계 등을 고려하여 임플란트의 종류와 크기, 식립 위치, 식립 깊이, 식립 각도 등의 식립 정보를 설계하게 된다.At this time, a design program is used, and a CT image is called from the design program to design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and size of the implant, the placement position, the placement depth, and the placement angle in consideration of the occlusal relationship.

제6단계(S160')는 설계된 식립 정보대로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가이드를 완성한다.The sixth step (S160') completes the guide by forming a guide hole in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the designed implantation information.

이때,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제1단계(S110')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다. 그런 후, 식립 정보에 맞게 예비가이드 이미지에 안내구멍을 설계하여 가공을 위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그런 다음, 가공 장비에서 이 디지털 정보에 맞게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가공하여 형성하면 가이드가 완성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first step (S110') on the design program, a preliminary guide image that matches the preliminary guide held by the patient is selected and placed on the CT image on which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s designed. Then, a guide hole is designed in the preliminary guide image according to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to generate digital information for processing. Then, if the guide hole is processed and formed in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this digital information in the processing equipment, the guide is completed.

다음, 나머지 다른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의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치아 구조를 참고로 도 4에 도시하였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other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liminary guide and guide tray us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ental implant implantation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he tooth structure is shown in FIG. 4 for reference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를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들, 도 5c는 도 5a 또는 도 5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5d는 도 5b의 A1-A1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그리고 도 5e는 도 5d의 조립 단면도이다.A preliminary guide and a guide tr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E. 5A and 5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viewed from different sides of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 preliminary guide and a guide tray for manufacturing the guide of FIG. 2 or FIG. 3, FIG. 5C is the gripping part of the guide tray of FIG. 5A or FIG. 5B 5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1-A1 of FIG. 5B, and FIG. 5E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5D.

제1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100)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상악 전치/소구치(도 4의 11번, 12번, 13번, 14번, 15번, 21번, 22번, 23번, 24번, 25번) 또는 하악 전치/소구치(도 4의 31번, 32번, 33번, 34번, 35번, 41번, 42번, 43번, 44번, 45번)일 때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liminary guid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implant placement site is the maxillary anterior teeth/premolars (No. 11, No. 12, No. 13, No. 14, No. 15, No. 21, No. 22, No. 23, No. 24 of FIG. 4). , 25) or mandibular incisors/premolars (No. 31, No. 32, No. 33, No. 34, No. 35, No. 41, No. 42, No. 43, No. 44, No. 45 of FIG. 4) .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가이드(100)는 인상레진(110)과 가이드 트레이(120)를 포함하고, 또한 가이드 트레이(120)는 인상레진수용부(130), 지그체결부(140), 보호덮개부(150) 및 파지부(160)를 포함하고 있다.5a to 5e, the preliminary guide 100 includes an impression resin 110 and a guide tray 120, and the guide tray 120 is an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130, a jig fastening part. 140 , a protective cover portion 150 and a gripping portion 160 .

인상레진(110)은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지는 것으로, 사용 전에는 경화 전에는 인상이 용이하도록 무르거나 연성을 나타내고, 인상 후에는 자연 또는 인위적으로 경화 가능한 치과용 레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상레진(110)에 관하여 상세히 기술하며, 이러한 인상레진에 관한 세부 사항은 후속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The impression resin 110 is modeled after the implant placement site, and before use, it may be soft or ductile to facilitate the impression before hardening, and may be a dental resin that can be cured naturally or artificially after the impression. Hereinafter, the impression resin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details regarding the impression resin may be applied to subsequent embodiments.

본 실시예에서 사용 가능한 인상레진(110)은 경화 전에는 반고형의 상태에 있으며, 50℃에서 cone/plate 점도계에 의하여 측정 시, 점도는, 예를 들면 약 500 ps 이하, 구체적으로 약 250 내지 450 ps, 보다 구체적으로 약 300 내지 400 ps 범위일 수 있다. 이때, 인상레진은 가시 광과 같은 광 조사에 의한 광중합 가능한 고분자계 레진으로서, 하기에서 예시되는 물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The impression resin 110 usable in this embodiment is in a semi-solid state before curing, and when measured by a cone/plate viscometer at 50° C., the viscosity is, for example, about 500 ps or less, specifically about 250 to 450 ps, more specifically about 300 to 400 ps. In this case, the impression resin is a polymer-based resin that can be photopolymerized by irradiation with light such as visible light, and may have physical properties exemplified below.

일반적인 광 경화(중합) 레진은 경화 과정에서 큰 수축율(대략 2 내지 10%)을 나타내는데, 중합(광 중합) 반응 후 탈형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한 가이드 포인트의 오차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정 수준 이하의 중합수축률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중합수축률은 경화 후 인상레진의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중합수축률이 높은 경우에는 내부 발열 정도가 크기 때문에 기계적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히, 중합수축률을 낮은 수준(예를 들면, 약 0.1 내지 0.4%) 범위 내에서 조절할 경우, 경화 후 레진의 기계적 물성(예를 들면, 기계적 물성)은 큰 차이가 없으나, 일정 수준(예를 들면, 약 2%)을 초과할 경우, 압축 강도는 유의미한 수준(예를 들면, 대략 10% 이상)으로 증가하는 반면, 굴곡 강도 및/또는 충격 강도는 대략 10% 이상 저하될 수 있다. 이외에도, 높은 중합수축률에서는 높은 내부 발열로 인하여 인성(toughness)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반면, 광 경화 과정에서 발열량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충분한 광 중합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어 경화된 레진의 경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칩핑 등의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General light curing (polymerization) resins exhibit a large shrinkage rate (approximately 2 to 10%) during the curing process, and do not significantly affect demolding after polymerization (light polymerization) reactio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following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s. Furthermore,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 may affec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mpression resin after curing, and when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 is high, the degree of internal heat generation is large, thereby affec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For example, in particular, when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 is controlled within a low level (eg, about 0.1 to 0.4%), the mechanical properties (eg,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resin after curing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at a certain level (e.g., about 2%), compressive strength may increase to a significant level (e.g., about 10% or more), while flexural strength and/or impact strength may decrease by about 10% or more . In addition, at a high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 toughness may tend to increase due to high internal heat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calorific value is too low during the photocuring process, sufficient photopolymerization may not occur and the hardness of the cured resin may decrease, which may cause phenomena such as chipping.

이와 같이 중합수축률이 광 경화(중합) 과정에서 발생되는 발열 정도에 따라 경화 후 인상레진의 다양한 성상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할 때, 사용 조건에 따라 요구되는 중합수축률은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약 2.3% 이하, 구체적으로 약 2.1%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약 2% 이하에서 조절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인상레진(110)을 구성하는 개별 성분의 함량은 요구되는 발열 특성, 중합수축률, 기계적 물성 등 간의 밸런스를 최대한 확보하도록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onsidering that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 affects the various properties of the impression resin after curing according to the degree of heat generated during the photocuring (polymerization) process, the required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 may b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use. , for example about 2.3% or less, specifically about 2.1% or less, more specifically about 2% or les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recisely control the cont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impression resin 110 to ensure a balance between the required exothermic characteristics,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like as much as possible.

이와 관련하여, 광 경화형 레진은 경화 후 강도 및 경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후속 가공 단계, 예를 들면 드릴링 과정에서 칩핑 현상이 발생되어 양호한 성상을 갖는 인상재를 제조하기 곤란할 수 있다. 이때, 경화 후 강도 특성으로서 대표적으로 압축 강도(compression strength) 및 굴곡 강도(flexural strength)를 예시할 수 있는데, 경화 후 압축 강도는, ISO 604에 의하여 측정 시, 예를 들면 적어도 약 250 MPa, 구체적으로 적어도 약 280 MPa, 보다 구체적으로 290 내지 320 MPa 범위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취지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경화 후 굴곡 강도는, ISO 178에 의하여 측정 시, 예를 들면 적어도 약 90 MPa, 구체적으로 적어도 약 95 MPa, 보다 구체적으로 약 97 내지 105 MPa 범위일 수 있다.In this regard, when the light-curable resin has too low strength and hardness after curing, chipping may occur in a subsequent processing step, for example, a drilling process,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n impression material having good properties. In this case, as a strength characteristic after curing, compression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may be typically exemplified,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after curing is, for example, at least about 250 MPa, when measured according to ISO 604, specifically to at least about 280 MPa, more specifically, may be in the range of 290 to 320 MPa, but this may be understood as an exemplary meaning. Further, the flexural strength after curing, as measured by ISO 178, may be, for example, at least about 90 MPa, specifically at least about 95 MPa, and more specifically about 97 to 105 MPa.

한편, 경화 후의 인상레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활한 드릴링을 위하여 소정 수준 이상의 경도(hardness)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바, ASTM D2240에 의하여 측정 시, 예를 들면 적어도 약 75, 구체적으로 적어도 약 80, 보다 구체적으로 약 85 내지 95 범위의 경도(Shore D)를 나타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pression resin after curing may preferably have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of hardness for smooth drilling as described above. When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240, for example, at least about 75, specifically at least about 80 , more specifically, may exhibit a hardness (Shore D) in the range of about 85 to 95.

이외에도, 광 경화(중합) 과정에서 높은 발열 현상이 발생될 경우에는 인상레진의 구성 성분으로부터 기인하는 이취(예를 들면, 특유의 산 성분에 의한 냄새)가 문제시될 수 있는 등, 인상재로 적용하기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광 경화 시 발열현상을 일정 수준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경화 과정 중 인상레진은, 예를 들면 최대 약 45℃, 구체적으로 최대 약 42℃, 보다 구체적으로 최대 약 4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high heat generation occurs during the photocuring (polymerization) process, an off-flavor from the components of the impression resin (for example, odor due to a characteristic acid component) may be a problem. It can be difficult. Therefore, it may be required to control the heat generation phenomenon to a certain level or less during light curing. Illustratively, it may be advantageous not to exceed, for example, a maximum of about 45 °C, specifically a maximum of about 42 °C, and more specifically a maximum of about 40 °C, of the impression resin during the curing process.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용 인상레진으로서 중합수축률이 낮고 양호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광 경화성을 갖는 치과용 레진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레진 조성물은 크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또는 올리고머), 높은 분자량의 2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또는 올리고머) 등을 포함하는 레진 매트릭스 성분, 및 기타 성분(예를 들면, 무기 필러, 광 개시제, 광 환원제, 안정제(또는 중합 억제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the impression resin for the guide, a dental resin composition having a low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 and photocurability having good mechanical properties may be used. Such a resin composition is largely a resin matrix component including a (meth)acrylic monomer (or oligomer) commonly used, a (meth)acrylic monomer (or oligomer)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of high molecular weight, and other components (e.g. For examp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inorganic filler, a photoinitiator, a photoreducing agent, a stabilizer (or polymerization inhibitor), and the like.

- 레진 매트릭스 성분- Resin matrix component

일 예로서, 광 경화성 레진 조성물 중 레진 매트릭스 성분으로서 (i)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ii) 2 관능성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다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성분 (i) 내지 (iii) 이외에 추가적인 (메타)크릴레이트 성분으로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포함시켜 레진 매트릭스를 구성할 수 있다. As an example, as a resin matrix component in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i) urethane di(meth)acrylate, (ii) bifunctional bisphenol-A di(meth)acrylate, and (iii) polyfunctional (meth)acrylic acid rate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in addition to components (i) to (iii), epoxy (meth) acrylate, and/or urethane (meth) acrylate as an additional (meth) acrylate component may be optionally included to constitute a resin matrix. .

이와 관련하여, 전체 레진 조성물 중 (메타)크릴레이트의 당량이, 예를 들면 약 0.02 내지 0.2 당량, 구체적으로 약 0.03 내지 0.15 당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0.05 내지 0.1 당량 범위에 있도록 레진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성분울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당량 범위에서 조절할 경우, 시술 환자가 광 경화 반응 시 발생하는 발열을 을 인내할 수 있는 수준, 구체적으로 인상레진이 경화 과정에서, 예를 들면 약 40℃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특히, 레진 조성물에 사용되는 올리고머 및 단량체가 평균 약 1 내지 3 범위의 관능기 수를 갖는 메타(아크릴)관능기라 할 때, 1 관능성 성분의 경우에는 레진의 점도 조정, 반응성 등의 물성을 보완할 수 있고, 2 관능성 성분은 강도 및/또는 경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3 관능성 성분은 광 경화(중합) 반응속도 등과 같은 반응성을 개선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the equivalent of (meth)acrylate in the entire resin composition is, for example, about 0.02 to 0.2 equivalents, specifically about 0.03 to 0.15 equivalents, more specifically about 0.05 to 0.1 equivalents to constitute the resin matrix. You can control the ingredients. When adjusted in the above-described equivalent range, the level at which the treatment patient can tolerate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light curing reaction, specifically, the impression resin during the curing process, for example, it can be controlled to about 40 ℃ or less. In particular, when the oligomers and monomers used in the resin composition are meta (acrylic) functional groups having an averag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in the range of about 1 to 3, in the case of a monofunctional compon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viscosity adjustment and reactivity of the resin can be supplemented. and the bifunctional component may supplem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nd/or hardness. In addition, the trifunctional component may improve reactivity such as a photocuring (polymerization) reaction rate.

한편, 레진 조성물에 사용되는 레진 매트릭스 성분이 단량체 형태인 경우에는 분자량(Mw)이, 예를 들면 약 150 내지 500, 구체적으로 약 180 내지 330, 보다 구체적으로 약 200 내지 300 범위일 수 있는 한편, 올리고머 형태인 경우에는 분자량(Mw)이, 예를 들면 약 550 내지 3000, 구체적으로 약 580 내지 2500, 보다 구체적으로 약 600 내지 2000 범위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sin matrix component used in the resin composition is in the form of a monomer, the molecular weight (M w ) may be, for example, about 150 to 500, specifically about 180 to 330, more specifically about 200 to 300 range. , in the case of an oligomer, the molecular weight (M w ) may be, for example, about 550 to 3000, specifically about 580 to 2500, and more specifically about 600 to 2000, but this may be understood as an example.

따라서, 전술한 당량 범위 내에서 성분 (i) 내지 (iii)를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성분 (i) 내지 (iii)에 추가적인 (메타)크릴레이트 성분을 더 포함시켜 레진 메트릭스를 구성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resin matrix by using a combination of components (i) to (iii) within the above-mentioned equivalent range, or by further including an additional (meth)acrylate component in components (i) to (iii). .

성분 (i)에 해당되는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는 반응성에 영향을 주고, 경화 후 레진의 인성 개선, 및/또는 황변저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우레탄 디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속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Urethane di(meth)acrylate corresponding to component (i) may affect reactivity, improve toughness of the resin after curing, and/or provide a function of reducing yellowing. In this regard,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belonging to urethane dimethyl (meth)acrylate may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it may be urethane dimethacrylat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이때,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는,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예를 들면 약 20 내지 50 중량%(구체적으로 약 25 내지 4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40 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rethane di(meth)acrylate is, based on the total resin composition, for example, about 20 to 50% by weight (specifically about 25 to 45% by weight, more specifically about 30 to 40% by weight) to be used within the range can

성분 (ii)에 해당되는 2 관능성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는 광 경화(중합) 가능한 레진의 반응성 개선 및 기계적 물성(강도 및/또는 경도 특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2 관능성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로서 에톡시화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에톡시 몰 수가, 예를 들면 약 2 내지 10, 구체적으로 약 3 내지 8)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2 관능성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스페놀-A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일 수 있다.The difunctional bisphenol-A di(meth)acrylate corresponding to component (ii) may provide the ability to improve the rea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strength and/or hardness properties) of a light-curable (polymerizable) resin. . As such bifunctional bisphenol-A di(meth)acrylate, ethoxylated bisphenol-A di(meth)acrylate (the number of moles of ethoxy, for example, about 2 to 10, specifically about 3 to 8) may b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difunctional bisphenol-A di(meth)acrylate may be bisphenol-A glycol dimethacrylate (bis-GMA)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2 below.

[화학식 2][Formula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 따른 Bis-GMA는 비교적 분자량이 크고 강직도가 높고, 경화 속도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경화 후 양호한 기계적 물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Bis-GMA according to Chemical Formula 2 may be advantageous because it has a relatively large molecular weight, high rigidity, accelerates the curing rate, and can provide good mechanical properties after curing.

특정 구체예에 있어서, 2 관능성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에 속하는 화합물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 specific embodiment,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compounds belonging to the difunctional bisphenol-A di(meth)acrylate may be used.

2 관능성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는,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예를 들면 약 10 내지 30 중량%(구체적으로 약 12 내지 28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15 내지 25 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The difunctional bisphenol-A di(meth)acrylate, based on the total resin composition, i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about 10 to 30% by weight (specifically about 12 to 28% by weight, more specifically about 15 to 25% by weight) can be used within

이와 관련하여, 성분 (i) 및 (ii) 각각은, 경화 후 인상레진에 대한 드릴링 과정에서 칩핑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전술한 함량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regard, each of the components (i) and (ii) may be advantageously used in the above-described content range to suppress the chipping phenomenon as much as possible in the drilling process for the impression resin after cur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한편, 성분 (iii)의 경우, 인상레진의 점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반응성, 그리고 강도 및/또는 경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다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의 관능기 수는, 예를 들면 약 2 내지 6, 구체적으로 약 3 내지 4 범위일 수 있는 바, 이에 해당되는 화합물은, 예시적으로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메탄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으며, 이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onent (iii),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of improving the rea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nd/or hardness while controlling the viscosity of the impression resin. The number of functional groups in the polyfunctional (meth)acrylate may be, for example, about 2 to 6, specifically about 3 to 4, the corresponding compound is, for exampl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methanol dimethacrylate, 1,6-hexanediol dimethacrylate, 1,9-nonanediol dimethacrylate, ethoxylated trimethylol propane tri It may be 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and the like, and one or two or more of them may be selected and used.

예시적 구체예에 있어서, 성분 (iii)으로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may be used as component (iii).

[화학식 3][Formula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또한, 다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는,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예를 들면 약 2 내지 15 중량%(구체적으로 약 4 내지 12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5 내지 10 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성분 (iii)이 과량으로 첨가될 경우, 강한 발열 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polyfunctional (meth)acrylate, based on the total resin composition, for example, about 2 to 15% by weight (specifically about 4 to 12% by weight, more specifically about 5 to 10% by weight) to be used within the range However, this may be understood as an example. However, when component (iii) is added in excess, it may be advantageous to appropriately adjust within the above-described range because a problem due to a strong exothermic phenomenon may be induced.

이외에도, 전술한 레진 매트릭스 성분 (i) 내지 (iii) 이외에 선택적으로 첨가 가능한 (메타)크릴레이트 성분은,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예를 들면 최대 약 10 중량%까지, 구체적으로 최대 약 5 중량%까지 함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acrylate component that can be optionally add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resin matrix components (i) to (iii) is, based on the total resin composition, for example, up to about 10% by weight, specifically, up to about 5% by weight can contain up to

- 무기 필러- inorganic filler

광 경화형 레진 조성물은 무기 필러를 함유할 수 있다. 종래의 치과용 레진 조성물의 경우, 주로 레진 매트릭스와의 혼화성을 증가시켜 기계적 물성, 표면 특성, 심미성 등의 제반 물성들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기계적 물성을 개선시켜 경화 후 드릴링 및 샌딩 작업과 같은 가공 과정에서 칩핑 등의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그라인딩할 수 있는 종류 및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n inorganic fill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ental resin composition, it is mainly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general properties such as mechanical properties, surface properties, and aesthetics by increasing miscibility with the resin matrix, but in this embodiment, drilling after curing by 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it may be added in a kind and content that can be grinded while minimizing phenomena such as chipping in a processing process such as a sanding operation.

이와 관련하여, 무기 필러는, 중합 전환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기 필러로서 대표적으로 실리카계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구체예에서 적용 가능한 실리카계 필러의 예는 용융 실리카(fused silica), 합성 실리카, 비정질 실리카, 글라스 세라믹, 소다 글라스, 리튬 보로실리케이트 글라스, 바륨 글라스, 스트론튬 글라스, 아연 글라스, 보로실리케이트 글라스, 크리스탈 석영(crystal quartz),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다. In this regard, the inorganic filler may be used without surface treatment with a coupling agent used to minimize polymerization conversion. As such an inorganic filler, a silica-based filler may be typically used. Examples of silica-based fillers applicable in this embodiment include fused silica, synthetic silica, amorphous silica, glass ceramic, soda glass, lithium borosilicate glass, barium glass, strontium glass, zinc glass, borosilicate glass, crystal quartz, a combination thereof, or the like.

택일적으로, 무기 필러로서 실리카 이외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의 예로서 탈크, 알루미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실리카계 물질을 대체하여 이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이와 실리카 물질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 component other than silica may be used as the inorganic filler. Talc, alumina, etc. can be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such a component. At least one of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 place of the silica-based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이와 관련하여, 무기 필러는 구형일 수 있고, 비다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무기 필러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약 5 내지 150 ㎛, 구체적으로 약 10 내지 100 ㎛, 보다 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80 ㎛ 범위에서 선정될 수 있다.In this regard, the inorganic filler may be spherical and may exhibit non-porosity. In addition, the size of the inorganic filler may be selected, for example, in the range of about 5 to 150 μm, specifically about 10 to 100 μm, and more specifically about 30 to 80 μm.

다만, 어떠한 무기 필러를 사용하더라도, 전체 레진 조성물 내 레진의 당량 범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무기 필러의 함량은,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예를 들면 약 20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 약 22 내지 4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25 내지 40 중량%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However, whatever inorganic filler is used, it is preferable to satisfy the equivalent range of the resin in the entire resin composition. In this regard,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based on the total resin composition, for example, about 20 to 50% by weight, specifically about 22 to 45% by weight, more specifically about 25 to 40% by weight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 광 개시제- Photoinitiator

본 실시예에서는 광 경화(중합)용 광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자외선 또는 가시 광(특히, 치과용에 적합한 가시광 대역의 광)에 노출될 때 유리-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는 종류일 수 있다. 이러한 광 개시제로서 당업계에서 알려진 종류를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비스)아실포스핀 산화물(예를 들면, 2.4.6-trimethyl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TPO), 2,6-dimethyoxy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6-dichloro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4.6-trimethyl benzoyl-methoxyphenylphosphine oxide, 2.4.6-trimethyl benzoyl-ethoxyphenylphosphine oxide, 2,3,5,6-tetramethyl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benzoyl di-(2,6-dimethylphenyl)phosphonate, bis-(2,6-dichloro benzo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2,5-di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4-proph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1-naphthyl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 benzoyl)-2,4,4-trimethylpentyl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 benzoyl)-2,5-di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2,4,6-trimethyl benzoyl)phenylphosphine oxide, (2.5,6-trimethyl benzoyl)-2,4,4-trimethylpentylphosphine oxide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예시된 (비스)아실포스핀 산화물계 광 개시제는 비교적 장파장 대역에서 유리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hotoinitiator for photocuring (polymerization) may be used, which may be of a type capable of generating free-radicals when exposed to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especially, light in the visible light band suitable for dental use). . As such a photoinitiator, any type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s an example, (bis) acylphosphine oxide (eg, 2.4.6-trimethyl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TPO), 2,6-dimethyoxy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6-dichloro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4 .6-trimethyl benzoyl-methoxyphenylphosphine oxide, 2.4.6-trimethyl benzoyl-ethoxyphenylphosphine oxide, 2,3,5,6-tetramethyl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benzoyl di-(2,6-dimethylphenyl)phosphonate, bis-(2, 6-dichloro benzo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2,5-di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4-proph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1-naphthyl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 benzoyl)-2,4,4-trimethylpentyl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 benzoyl)-2,5-di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2 at least one selected from ,4,6-trimethyl benzoyl)phenylphosphine oxide, (2.5,6-trimethyl benzoyl)-2,4,4-trimethylpentylphosphine oxide, and the like). The exemplified (bis)acylphosphine oxide-based photoinitiator may generate free radicals in a relatively long wavelength band.

택일적으로, Camphorquinone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러한 광 개시제는 치과용 조명 또는 LED 조명에 의하여 조사되는 광의 파장 대역에 유효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비스)아실포스핀 산화물계 광 개시제와 Camphorquinone을 병용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Camphorquinone can be used, and such a photoinitiator may be preferable because it effectively acts on a wavelength band of light irradiated by dental lighting or LED lighting. In some cases, the above-described (bis) acylphosphine oxide-based photoinitiator and Camphorquinone may be used in combination.

한편, 광 개시제는,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예를 들면 약 0.2 내지 2 중량%, 구체적으로 약 0.3 내지 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0.4 내지 1 중량% 범위 내에서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hotoinitiator, based on the total resin composition, for example, about 0.2 to 2% by weight, specifically about 0.3 to 1.5% by weight, more specifically about 0.4 to 1% by weight can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 광 환원제(선택적 성분)- Photoreducing agent (optional ingredi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 경화에 의하여 중합된 생성물이 완전히 환원되지 않고, 잔류 산소 기능기들과 같은 불순물이 잔류하여 경화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레진 조성물 내에 광 환원제가 선택적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이러한 광 환원제로서 Ethyl-4-dimethylamino-benzoate(EDMAB)을 예시할 수 있는 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아민계 광 환원제(예를 들면 2,4-(dimethylamino)phenyl ethanol, 4-(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N,N-dimethyl-p-Toluidine 및 N,N-dimethyl aniline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hoto-reducing agent is selectively contained in the resin composition because the polymerized product is not completely reduced by photo-curing, and impurities such as residual oxygen functional groups remain, which may cause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cured properties. can be Ethyl-4-dimethylamino-benzoate (EDMAB) may be exemplified as such a photoreducing age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n amine-based photoreducing agent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2,4-(dimethylamino)phenyl ethanol, 4-(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N,N-dimethyl-p-Toluidine, N,N-dimethyl aniline, etc.) may be used.

일 예로서, 광 환원제는,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예를 들면 약 0.1 내지 1.5 중량%, 구체적으로 약 0.2 내지 1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0.3 내지 0.5 중량% 범위 내에서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ight reducing agent, based on the total resin composition, for example, about 0.1 to 1.5% by weight, specifically about 0.2 to 1% by weight, more specifically about 0.3 to 0.5% by weight can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

- 기타 성분(선택적 성분)- Other ingredients (optional ingredients)

한편, 광 경화형 레진 조성물은 과도한 중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소정 량의 중합 억제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존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 억제제의 대표적인 예는 Hydroquinone monomethyl ether(MeHQ)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중합억제제(예를 들면 Butylated hydroxytoluene(BHT), 2(6)-di-tert-butyl-p-cresol. 등)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중합 억제제는,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예를 들면 약 10 내지 200 ppm, 구체적으로 약 20 내지 150 ppm, 보다 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100 ppm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determined amount of a polymerization inhibitor to prevent excessive polymerization, thereby enhancing preservation.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 polymerization inhibitor may be Hydroquinone monomethyl ether (MeHQ),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other polymerization inhibitors (eg,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2(6)-di-tert-butyl-p- cresol., etc.) can also be used. In addition, the polymerization inhibitor, based on the total resin composition, for example, about 10 to 200 ppm, specifically about 20 to 150 ppm, more specifically about 30 to 100 ppm can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이외에도, 은폐력 확보를 위하여, 각종 색소(예를 들면 디아조 염료, 프탈로시아닌, 퍼릴렌, 안트라퀴논 등)를 더 첨가할 수 있으며, 이의 함량은,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예를 들면 약 0.05 내지 3 중량%, 구체적으로 약 0.1 내지 1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0.2 내지 0.8 중량%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다.In addition, various dyes (eg, diazo dye, phthalocyanine, perylene, anthraquinone, etc.) may be further added to secure hiding power, and the content thereof is based on the entire resin composition, for example, about 0.05 to 3 % by weight, specifically about 0.1 to 1% by weight, more specifically about 0.2 to 0.8% by weight.

이처럼, 레진 조성물은 인상(impression) 전후에서 가변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인상 과정이 수행되기 전에 적절한 보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인상 이후 적절한 경화(구체적으로 광 중합 및/또는 화학적 중합)가 수행될 수 있다.As such, the resin composition can maintain variability before and after impression (impression), and can maintain an appropriate preservation state before the impression process is performed. In addition, appropriate curing (specifically photopolymerization and/or chemical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after pulling.

전술한 인상레진(110)을 하기 표 1와 같은 조성(조성물 1)으로 제조하였고, 비교 목적으로 2가지 조성(조성물 2 및 3)를 제조하였다.The above-described impression resin 110 was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composition 1) shown in Table 1 below, and two compositions (compositions 2 and 3) were prepared for comparison purposes.

구분division 조성물 1composition 1 조성물 2composition 2 조성물 3composition 3 DUDMADUDMA 3535 77 3030 Bis-GMABis-GMA 1919 3535 99 TEGDMATEGDMA 5 5 77 1010 CQCQ 1.01.0 1.01.0 1.01.0 FillerFiller 5050 5050 5050

상기 표에 기재된 3가지 인상레진 조성물에 대하여 광 중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때, 광 중합 반응 조건은 치과용 광(파장 대역: 약 390 내지 520 nm)을 이용하였고, 800 내지 1700 mW/㎠의 광 출력(light power), 그리고 120초의 경화 시간으로 설정하였다. 광 중합 반응 완료 후, 경화된 인상레진의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A photopolymerization reaction was performed on the three impression resin compositions listed in the table above. In this case, the photopolymerization reaction conditions were set using dental light (wavelength band: about 390 to 520 nm), a light power of 800 to 1700 mW/cm 2 , and a curing time of 120 seconds. After the photopolymerization reaction was complet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red impression resin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조성물 1composition 1 조성물 2composition 2 조성물 3composition 3 비고note 광중합후 경도(Shore D)Hardness after light curing (Shore D) 8585 6060 8080 ASTM D2240ASTM D2240 중합수축율(%)Polymerization shrinkage (%) 1 이하1 or less 33 55 -- 발열량(℃)Calorific value (℃) 4040 4040 5555 --

- 중합수축율은 American Dental Association(ADA) 규격에 따라 volumetric dilatometer를 이용하여 25℃에서 레진 경화 전의 부피(V1)와 경화 후의 부피(V2)를 측정한 후, (V1-V2)/V2 식을 이용하여 3회 반복 측정 후 평균값을 구하였음.- Polymerization shrinkage is measured using a volumetric dilatometer at 25°C according to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ADA) standard, and the volume before curing (V1) and after curing (V2) is measured using the formula (V1-V2)/V2. Therefore, the average value was obtained after repeated measurement three times.

상기 표에 따르면, 조성물 1에 따른 인상레진 조성물은 광 경화(중합) 후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고, 이와 함께 중합수축율은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였다. 특히, 발열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다. 반면, 조성물 2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하여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DUDMA) 함량이 일정 수준 미만인 결과, 발열량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으로 제어되었으나, 높은 중합수축률을 나타내었고, 광 경화 레진의 경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조성물 1에 비하여 저하되었다. 또한, 조성물 3의 경우에는 bis-GMA가 일정 수준 미만으로 함유된 결과, 중합수축율이 증가하고 발열량 역시 현저히 높은 수준이었는 바, 경도는 비교적 양호한 수준(Shore D 80)으로 달성하였으나, 과도한 발열로 인한 수축률 증가로 인하여 인상재로 적용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According to the above table, the impression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Composition 1 exhibited high hardness after light curing (polymerization), and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 was maintained at a low level. In particular, it wa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exothermic phenomen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osition 2, as compared to Example 1, the urethane dimethacrylate (DUDMA) content was less than a certain level, and as a result, the calorific value was controlled to a relatively good level, but showed a high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 and the same as the hardness of the light-curing resin. Mechanical properties were lower than that of Composition 1.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position 3, as a result of containing bis-GMA below a certain level,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increased and the calorific value was also significantly high. The hardness was achieved at a relatively good level (Shore D 80), but due to excessive heat It was not suitable for application as an impression material due to increased shrinkage.

한편, 조성물 1의 인상레진의 경화 생성물을 사용조건(동절기용, 일반용 및 하절기용)에 따라 기계적 물성(압축강도 및 굴곡강도)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mechanical properties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the cured product of the impression resin of Composition 1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use (winter, general, and summ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분석 항목analysis items 단위unit 사용조건에 따른 Type별 구분Classification by type according to usage conditions 비고note 동절기용
(0-15℃)
for winter
(0-15℃)
일반용
(16-25℃)
general use
(16-25℃)
하절기용
(26-35℃)
for summer
(26-35℃)
압축강도compressive strength MPaMPa 295295 295295 301301 ISO 604ISO 604 굴곡강도flexural strength MPaMPa 9898 9999 9898 ISO 178ISO 178

상기 표에 기재된 바와, 실시예 1에 따라 경화된 인상레진의 강도 특성은 계절 또는 사용 온도에 따라 양호한 값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As described in the table above,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impression resin cured according to Example 1 were continuously maintained at good values depending on the season or temperature of us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인상레진(110)의 노출면을 보호하거나 또는 다른 필요에 따라 노출면이 보호되게 구성하였고,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110)의 노출면이 얇은 막(111)이 씌워지게 하였다. 이로 인해, 인상레진(110)의 노출면이 사용 전까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식립 부위가 본 떠질 때, 이 막(111)이 식립 부위와 인상레진(110) 사이에 있어 인상레진(1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인상레진(110)에 언더컷 부위의 본이 떠지더라도 부분 경화가 이루어진 후에도 이 막(111)에 의해 인상레진(1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110 is protected or the exposed surface is protected according to other needs, and in this embodiment, the exposed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110 is covered with a thin film 111. did. For this reason, not only the exposed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110 is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until use, but also when the implantation site is modeled, this film 111 is located between the implantation site and the impression resin 110, so that the impression resin 110 ) is easily removed from the implantation site. In addition, even if a pattern of the undercut portion is floated on the impression resin 110 , the impression resin 11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implantation site by the film 111 even after partial curing is performed.

막(111)은 0.03mm~0.20mm의 두께를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로 만들 수 있고, 인상레진(110)이 완전 경화되기 전에 벗겨지게 된다.The film 111 may be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vinyl having a thickness of 0.03 mm to 0.20 mm, and is peeled off before the impression resin 110 is completely cured.

인상레진수용부(130)는 인상레진(110)이 수용되는 부위로, 식립 부위인 상악 전치/소구치 부위 또는 하악 전치/소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식립 부위의 크기에 맞게 그 크기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130 is a part in which the impression resin 110 is accommodated,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anterior/premolar region or the mandibular anterior/premolar region, which is an implantation site, and its siz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mplantation site. and can be applied.

인상레진수용부(130)는 제1측면(131), 바닥면(133) 및 제2측면(136)이 하나로 연결되어 필요한 양의 인상레진(110)을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갖게 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였다.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unit 130 has an empty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required amount of the impression resin 110 by connecting the first side 131, the bottom surface 133, and the second side 136 as one, In this example, polysulfone was used as the material.

제1측면(131)은 치아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측면(131)은 인상레진(1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1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제1홈/구멍들(13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first side 131 is positioned on the inside of the tooth, and is inclined to fit the structure of the inside of the tooth. When the impression resin 110 is pushed into the first side 131 and hardened, a plurality of first grooves/holes 132 to which the impression resin 110 is firmly fixed are formed at intervals.

제1홈/구멍들(132)은 사다리꼴의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Wi)이 출구의 폭(Wo) 보다 좁게 되어 있다. 각지고 홈과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인해, 제1홈/구멍들(132)에 채워진 인상레진(1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1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 제1홈/구멍들(132)의 크기와 형상은 인상레진(110)의 특성에 따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범위에서 이와 다르게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first grooves/holes 132 have a trapezoidal angular shape, and the width Wi of the inlet is narrower than the width Wo of the outlet. Due to the angular structure with grooves and holes, the impression resin 110 filled in the first grooves/holes 132 is firmly held so as not to fall off after it is cured, and also the implantation guide hole to complete the guide. Even when this is processed, the impression resin 110 is held firmly without falling by the mechanically perforated force. The size and shape of the first grooves/holes 132 may be differently implemented in a range of exhibiting the same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ression resin 110 .

바닥면(133)은 치아의 끝쪽에 위치하게 되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치아 배열을 수용할 수 있게 치아의 두께 보다 약 3배 정도 큰 폭을 갖게 형성된다. The bottom surface 133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tooth, and is formed to have a width that is about 3 time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ooth to accommodate the arrangement of teeth of various sizes and shapes.

바닥면(133)은 반대면에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이 마련되어 있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은 위에 설명한 본 발명의 기본 제조 방법에서의 제3단계와 응용 제조 방법에서의 제6단계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작업에 사용된다. The bottom surface 13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134 on the opposite surface.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134 are selected in the third step in the bas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sixth step in the applied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select a preliminary guide image that matches the preliminary guide held by the patient, It is used for “putting it on the CT image for which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s designed”.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은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이 그 바람직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5개 이상의 마커들(134)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134)을 연결했을때 3각형태를 띠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5개의 마커들(134)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For 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134 , a radiopaque material may be used as a preferable material thereof, and at least five or more markers 134 are preferably arranged at a distanc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registration. The alignment position takes on a triangular shape when any three markers 134 are connected. Although there are five markers 13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may be reduced or increased as necessary.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은 CT 이미지에서의 위치 식별 및 CT 이미지와 가이드 트레이 이미지간의 정합을 좋게 하기 위하여, 치아와의 충분한 간격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속 재질의 보철물이 있을 경우, 산란(scattering)이 생겨 마커들(134)의 식별이 방해될 수 있다. 이 산란은 주로 옆쪽으로 생기고, 위쪽으로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점을 고려하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을 가급적 치아 위쪽에 위치되게 거리를 두고 정렬하였다.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134 need to be sufficiently spaced from the teeth in order to identify positions in the CT image and to match the CT image and the guide tray image well. In particular, if there is a prosthesis made of a metal material, scattering may occur, thereby preventing identification of the markers 134 . It is known that this scattering occurs mainly laterally and has little effect upwards. In order to consider this point, a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134 were arranged at a distance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teeth as much as possible.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은 방사선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을 재료로 하여 구형(ball type) 또는 원기둥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과에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Gutta Percha"를 그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보다 뚜렸한 CT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마커(134)를 구형(ball type)으로 만들었고, 바닥면(133)에 형성된 홈(135)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게 하였다.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134 may be made of a radiopaque metal or ceramic material to have a ball type or a cylindr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Gutta Percha", which is widely used for other purposes in dentistry, was used by changing its purpose.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a clearer CT image, the marker 134 was made in a spherical shape and was completely embedded in the groove 13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33 without exposing the surface.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은 0.3㎜~5.0㎜, 바람직하게는 0.5㎜~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의 직경을 갖는다.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134 have a diameter of 0.3 mm to 5.0 mm, preferably 0.5 mm to 4.0 mm, and most preferably 1.0 mm to 2.0 mm.

제2측면(136)은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측면(136)은 인상레진(1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1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제2홈/구멍들(137)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다수의 구멍들(138)이 추가로 형성된다. 다수의 제2홈/구멍들(137)과 다수의 구멍들(138)은 기능적인 면과 제조의 편의적인 면을 고려하여 다른 형태로 형성하게 되었다.The second side 136 is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tooth, and is formed almost vertically to fit the structure of the outside of the tooth. The second side 136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holes 137 at intervals to which the impression resin 110 is firmly fixed when the impression resin 110 is pushed in and hardened. Fields 138 are further formed. The plurality of second grooves/holes 137 and the plurality of holes 138 are formed in different shapes in consideration of functional aspects and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제2홈/구멍들(137)은 사다리꼴의 각진 형상을 갖고, 제1홈/구멍들(132)과 마찬가지로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게 되어 있다. 각지고 홈과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인해, 제2홈/구멍들(137)에 채워진 인상레진(1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1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 제2홈/구멍들(137)의 크기와 형상은 인상레진(110)의 특성에 따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범위에서 이와 다르게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second groove/holes 137 have a trapezoidal angular shape, and, like the first grooves/holes 132 , the width of the inle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Due to the angular structure with grooves and holes, the impression resin 110 filled in the second grooves/holes 137 is firmly held so as not to fall off after it is cured, and also the implantation guide hole to complete the guide. Even when this is processed, the impression resin 110 is held firmly without falling by the mechanically perforated force. The size and shape of the second grooves/holes 137 may be differently implemented in a range of exhibiting the same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ression resin 110 .

제2측면(136)은 바깥면에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가이드 트레이(120)가 가공용 지그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거나 또는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생기는 떨림을 잡아 주는 다수의 돌출턱(139)이 파지부(160)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돌출턱(139)은 도시하지 않은 가공장비에 마련되게 되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떨림을 잡아 주는 수단으로 돌출턱을 구현하였지만 이와 달리 안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이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cond side 136 can check whether the guide tray 120 is properly mounted on the jig for processing to complete the guide on the outer surface, or vibration caused by the mechanically perforated force when the implantation guide hole is processed. A plurality of protruding jaws 139 to hold are formed with the grip portion 16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rotruding jaw 139 is detachably fixed to a processing jig to be provided on processing equipment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ding jaw is implemented as a means to catch the vibration, but a groove concave inward may be implemented otherwise.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다수의 홈/구멍들 또는 구멍들을 구현하였지만,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인상레진을 인상레진수용부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grooves/holes or holes are implemented as a means for firmly fixing the impression resin, but the impression resin may be firmly fixed to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ortion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지그체결부(140)는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위로, 제1측면(131)과 이어지게 마련되고, 2개의 체결구멍들(141)이 형성되어 있다.The jig fastening part 140 is a part separably fastened to the processing jig in the processing equipment when the insertion guide hole is processed to complete the guide, and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131, and has two fastening holes (141) is formed.

지그체결부(140)는 체결구멍들(141)이 가공용지그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에 삽입되고, 그 양면이 상하로 힘있게 눌리는 방식으로 가공용지그에 고정되게 체결되게 된다.The jig fastening part 140 is fixedly fastened to the processing jig in such a way that the fastening holes 141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rotrusions formed in the processing jig, and both sides thereof are strongly pressed up and down.

보호덮개부(150)는 인상레진(110)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질때, 눌림에 의해 인상레진(110)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 나와 지그체결부(140)에 달라 붙는 것을 막기 위한 부위이다.The protective cover portion 150 is a portion for preventing the impression resin 110 from adhering to the jig fastening portion 140 when a portion of the impression resin 110 is pushed out when the implant placement site is modeled on the impression resin 110 .

보호덮개부(150)는 지그체결부(140)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공간(151) 및 제1측면(131)의 바깥면과 접촉되게 되는 연장부(152)를 갖는다. 연장부(152)는 한쪽면이 살짝 올라와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보호덮개부(150)를 지그체결부(140)에 쉽게 밀 수 있게 되어 있고, 인상레진수용부(120)에 있는 인상레진(110)이 밀려 나올 때 이 부위에 의해 더 이상 인상레진(110)이 보호덮개부(150)쪽으로 밀려 나오는게 방지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part 150 has an insertion space 151 into which the jig fastening part 140 is inserted in close contact and an extension part 152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surface 131 . The extension part 152 has one side slightly rais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sh the protective cover part 150 to the jig fastening part 140 with a finger, and the impression resin 110 in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120 .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out further toward the protective cover part 150 by this part when the impression resin 110 is pushed out.

파지부(16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는 부위로, 제2측면(136)의 바깥면에 연결되어 있다. 파지부(160)는 사용에 따라 불필요한 경우 부러뜨릴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160 is a portion held by a user's finger, and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surface 136 . The gripper 160 may be configured to be broken when unnecessary according to use.

본 실시예서는 정합 수단으로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을 사용하였지만, 인상레진수용부(130), 지그체결부(140) 또는 파지부(160)의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그들 자체를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드는 구성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134 are used as the matching means, a radiopaqu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130 , the jig fastening part 140 or the gripping part 160 , or Alternatively, configurations are possible which make themselves of a radiopaque material.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를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들, 도 6c는 도 6a 또는 도 6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6d는 도 6b의 A2-A2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도 6e는 도 6d의 조립 단면도, 그리고 도 6f 및 도 6g는 턱 구조를 예시한 도면들이다.A preliminary guide and a guide tr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E. 6A and 6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viewed from different sides of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a preliminary guide and a guide tray for manufacturing the guide of FIG. 2 or FIG. 3, FIG. 6C is the gripping part of the guide tray of FIG. 6A or FIG. 6B 6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2-A2 of FIG. 6B, FIG. 6E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6D, and FIGS. 6F and 6G are views illustrating a jaw structure.

제2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200)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상악 중절치 부터 제2대구치(도 4의 21번, 22번, 23번, 24번, 25번, 26번, 27번)와 하악의 중절치 부터 제2대구치(도 4의 31번, 32번, 33번, 34번, 35번, 36번, 37번) 부위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대구치들(사랑니, 도 4의 28번, 38번)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제거를 하기 때문에 이 치아들을 고려하지 않았고, 제거되지 않았더라고 임플란트 시술시 이들을 제거하기 때문에 실제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In the preliminary guid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implant placement site is from the upper central incisor to the second molars (No. 21, No. 22, No. 23, No. 24, No. 25, No. 26, No. 27 of FIG. 4) and the mandible. It can be suitably applied from the central incisors to the second molars (No. 31, No. 32, No. 33, No. 34, No. 35, No. 36, No. 37 of FIG. 4). The third molars (wisdom teeth, No. 28, No. 38 in FIG. 4) are not considered because most patients remove these teeth, and even if they are not removed, they are removed during the implant procedure, so there is no need to actually consider them.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가이드(200)는 인상레진(210)과 가이드 트레이(220)를 포함하고, 또한 가이드 트레이(220)는 인상레진수용부(230), 지그체결부(240), 보호덮개부(250) 및 파지부(260)를 포함하고 있다.6A to 6E, the preliminary guide 200 includes an impression resin 210 and a guide tray 220, and the guide tray 220 is an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230, a jig fastening part. 240 , a protective cover part 250 and a grip part 260 are included.

인상레진(210)은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지는 것으로,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 전에 말랑한 상태에서 사용 후에는 자연 또는 인위적으로 경화되는 치과용 레진이 사용될 수 있다. 인상레진(210)에 관한 세부 사항은 앞서 기술한 만큼, 이하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impression resin 210 is modeled after the implant placement site, and as described in Example 1, a dental resin that is cured naturally or artificially after use in a soft state before use may be used. As much as the details regarding the impression resin 210 are described above,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below.

본 발명은 인상레진(210)의 노출면을 보호하거나 또는 다른 필요에 따라 노출면이 보호되게 구성하였고,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210)의 노출면이 얇은 막(211)이 씌워지게 하였다. 이로 인해, 인상레진(210)의 노출면이 사용 전까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식립 부위가 본 떠질 때, 이 막(211)이 식립 부위와 인상레진(210) 사이에 있어 인상레진(2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인상레진(210)에 언더컷 부위의 본이 떠지더라도 부분 경화가 이루어진 후에도 이 막(211)에 의해 인상레진(2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exposed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210 or to protect the exposed surface according to other needs, and in this embodiment, the exposed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210 is covered with a thin film 211 . For this reason, not only the exposed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210 is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until use, but also when the implantation site is modeled, this film 211 is located between the implantation site and the impression resin 210, so that the impression resin 210 ) is easily removed from the implantation site. In addition, even if the impression of the undercut portion is floated on the impression resin 210, the impression resin 21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implantation portion by the film 211 even after partial curing is made.

막(211)은 0.03mm~0.20mm의 두께를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로 만들 수 있고, 인상레진(210)이 완전 경화되기 전에 벗겨지게 된다.The film 211 may be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vinyl having a thickness of 0.03 mm to 0.20 mm, and is peeled off before the impression resin 210 is completely cured.

인상레진수용부(230)는 인상레진(210)이 수용되는 부위로, 식립 부위인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 또는 하악의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식립 부위의 크기에 맞게 그 크기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230 is a part in which the impression resin 210 is accommodated. It can be applied by changing its size accordingly.

인상레진수용부(230)는 제1측면(231), 바닥면(233) 및 제2측면(236)이 하나로 연결되어 필요한 양의 인상레진(210)을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갖게 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였다.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unit 230 has an empty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required amount of the impression resin 210 by connecting the first side 231, the bottom surface 233, and the second side 236 as one, In this example, polysulfone was used as the material.

제1측면(231)은 치아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측면(231)은 인상레진(2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2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홈/구멍들(23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first side 231 is positioned on the inside of the tooth, and is inclined to fit the structure of the inside of the tooth. When the impression resin 210 is pushed into the first side 231 and hardened, a plurality of grooves/holes 232 to which the impression resin 210 is firmly fixed are formed at intervals.

다수의 홈/구멍들(232)은 사다리꼴의 각진 형상을 갖고, 도 5a 또는 도 5b의 다수의 홈/구멍들(132)과 마찬가지로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게 되어 있다. 각지고 홈과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인해, 홈/구멍들(232)에 채워진 인상레진(2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2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 홈/구멍들(232)의 크기와 형상은 인상레진(210)의 특성에 따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범위에서 이와 다르게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ooves/holes 232 has a trapezoidal angular shape, and the width of the inle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like the plurality of grooves/holes 132 of FIG. 5A or 5B . Due to the angular structure with grooves and holes, the impression resin 210 filled in the grooves/holes 232 is firmly held so as not to fall off after hardening, and an implantation guide hole is machined to complete the guide. Even when the impression resin 210 is held firmly without falling by the mechanically perforated force. The size and shape of the grooves/holes 232 may be differently implemented in a range that exhibits the same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ression resin 210 .

바닥면(233)은 치아의 끝쪽에 위치하게 되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치아 배열을 수용할 수 있게 치아의 두께 보다 약 3배 정도 큰 폭을 갖게 형성된다. 바닥면(233)은 도 5a 또는 도 5b의 바닥면(133)과는 다르게 끝부분, 즉 어금니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개방부(233a)를 형성하였다.The bottom surface 233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tooth, and is formed to have a width about 3 time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ooth to accommodate the arrangement of teeth of various sizes and shapes. Unlike the bottom surface 133 of FIG. 5A or FIG. 5B , the bottom surface 233 has an end portion, that is, an open portion 233a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molars are located.

치아의 교합은, 참고로 도시한 도 6f 및 도 6g와 같이, 윗턱과 아랫턱이 턱관절을 중심으로 열리고 닫히는 구조에 의해, 윗턱과 아랫턱의 안쪽에 있는 어금니들이 먼저 교합을 이루게 된다.As for the occlusion of the teeth, as shown in FIGS. 6F and 6G shown for reference, the upper and lower jaws open and close around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o that the molars on the inside of the upper and lower jaws first occlude.

많은 실험 결과, 이 어금니들 사이에 딱딱한 바닥면(233)과 인상레진(210)이 존재하게 되면, 어금니 이외에 다른 치아들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하게 되어 그 다른 치아들은 정상적인 교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런 현상을 막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어금니들이 닿는 또는 위치하는 부분에 개방부(233a)를 형성하게 되었다.As a result of many experiments, when the hard bottom surface 233 and the impression resin 210 exist between these molars,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teeth other than the molars, so that the other teeth were not normally occluded. In order to prevent this phenomen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opening (233a) is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molars are in contact or are located.

개방부(233a)는 교합이 이루어질 때 치아에 의한 눌림에 의해 인상레진(210)이 밀려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바닥면(233)과 이어지게 얇은 보호막(233b)이 마련될 수 있다.The opening 233a may be provided with a thin protective film 233b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233 in order to prevent the impression resin 210 from being pushed out by being pressed by the teeth when the occlusion is formed.

바닥면(233)은 반대면에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이 마련되어 있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은 위에 설명한 본 발명의 기본 제조 방법에서의 제3단계와 응용 제조 방법에서의 제6단계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작업에 사용된다. The bottom surface 23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234 on the opposite surface.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234 are selected in the third step in the bas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sixth step in the applied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select a preliminary guide image that matches the preliminary guide held by the patient, It is used for “putting it on the CT image for which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s designed”.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은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이 그 바람직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5개 이상의 마커들(234)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234)을 연결했을때 3각형태를 띠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6개의 마커들(234)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For 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234 , a radiopaque material may be used as a preferred material thereof, and at least five or more markers 234 are preferably aligned at a dist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registration. The alignment position takes on a triangular shape when any three markers 234 are connected. Although there are six markers 23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may be reduced or increased as necessary.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은 CT 이미지에서의 위치 식별 및 CT 이미지와 가이드 트레이 이미지간의 정합을 좋게 하기 위하여, 치아와의 충분한 간격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속 재질의 보철물이 있을 경우, 산란(scattering)이 생겨 마커들(234)의 식별이 방해될 수 있다. 이 산란은 주로 옆쪽으로 생기고, 위쪽으로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점을 고려하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을 가급적 치아 위쪽에 위치되게 거리를 두고 정렬하였다.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234 need to be sufficiently spaced from the teeth in order to identify the position in the CT image and to match the CT image and the guide tray image well. 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prosthesis made of a metal material, scattering may occur, thereby preventing identification of the markers 234 . It is known that this scattering occurs mainly laterally and has little effect upwards. In order to consider this point, a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234 were arranged at a distance to be positioned above the teeth as much as possible.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은 방사선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을 재료로 하여 구형(ball type) 또는 원기둥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과에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Gutta Percha"를 그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보다 뚜렸한 CT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마커(234)를 구형(ball type)으로 만들었고, 바닥면(233)에 형성된 홈(235)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게 하였다.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234 may be made of a metal or ceramic material having radiopacity as a material to have a ball type or a cylindr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Gutta Percha", which is widely used for other purposes in dentistry, was used by changing its purpose.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a clearer CT image, the marker 234 was made in a spherical shape and was completely embedded in the groove 23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33 without exposing the surface.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은 0.3㎜~5.0㎜, 바람직하게는 0.5㎜~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의 직경을 갖는다.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234 have a diameter of 0.3 mm to 5.0 mm, preferably 0.5 mm to 4.0 mm, and most preferably 1.0 mm to 2.0 mm.

제2측면(236)은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측면(236)은 인상레진(2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2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구멍들(237)이 간격을 두고 형성성된다.The second side 236 is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tooth, and is formed almost vertically to fit the structure of the outside of the tooth. When the impression resin 210 is pushed into the second side 236 and hardened, a plurality of holes 237 to which the impression resin 210 is firmly fixed are formed at intervals.

본 실시예의 제2측면(236)은 제조 또는 사용의 편의상, 도 5a 또는 도 5b의 제1실시예의 제2측면(133)과 달리, 홈/구멍(137)을 형성하지 않고 구멍(237)을 더 많이 형성하게 되었다. 이런 구조로 인해, 구멍들(237)에 채워진 인상레진(2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2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The second side 236 of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side 133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S. 5A or 5B for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e or use, the hole 237 is formed without forming a groove/hole 137. more formed. Due to this structure, after the impression resin 210 filled in the holes 237 is cured, it is held firmly so as not to fall off, and also when the implantation guide hole is processed to complete the guide, the impression resin 210 is mechanically It is held firmly without falling due to the force of the perforation.

제2측면(236)은 바깥면에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가이드 트레이(220)가 가공용 지그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거나 또는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생기는 떨림을 잡아 주는 돌출턱(239)이 파지부(260)의 옆쪽에 형성된다. 돌출턱(239)은 도시하지 않은 가공장비에 마련되게 되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떨림을 잡아 주는 수단으로 돌출턱을 구현하였지만 이와 달리 안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이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cond side 236 can check whether the guide tray 220 is properly mounted on the jig for processing in order to complete the guide on the outer surface, or vibration caused by the mechanically perforated force when the implantation guide hole is processed. A holding protrusion 239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grip portion 260 . The protruding jaw 239 is detachably fixed to a processing jig to be provided on processing equipment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ding jaw is implemented as a means to catch the vibration, but a groove concave inward may be implemented otherwise.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다수의 홈/구멍들 또는 구멍들을 구현하였지만,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인상레진을 인상레진수용부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grooves/holes or holes are implemented as a means for firmly fixing the impression resin, but the impression resin may be firmly fixed to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ortion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지그체결부(240)는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위로, 제1측면(231)과 이어지게 마련되고, 2개의 체결구멍들(241)이 형성되어 있다.The jig fastening part 240 is a part that is separably fastened to the processing jig in the processing equipment when the insertion guide hole is processed to complete the guide, and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231, and has two fastening holes (241) is formed.

지그체결부(240)는 체결구멍들(241)이 가공용지그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에 삽입되고, 그 양면이 상하로 힘있게 눌리는 방식으로 가공용지그에 고정되게 체결되게 된다.The jig fastening part 240 is fixedly fastened to the processing jig in such a way that the fastening holes 241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rotrusions formed in the processing jig, and both sides thereof are strongly pressed up and down.

보호덮개부(250)는 인상레진(210)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질때, 눌림에 의해 인상레진(210)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 나와 지그체결부(240)에 달라 붙는 것을 막기 위한 부위이다.The protective cover part 250 is a part for preventing the impression resin 210 from adhering to the jig fastening part 240 when a part of the impression resin 210 is pushed out when the implant placement site is modeled on the impression resin 210 .

보호덮개부(250)는 지그체결부(240)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공간(251) 및 제1측면(231)의 바깥면과 접촉되게 되는 연장부(252)를 갖는다. 연장부(252)는 한쪽면이 살짝 올라와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보호덮개부(250)를 지그체결부(240)에 쉽게 밀 수 있게 되어 있고, 인상레진수용부(220)에 있는 인상레진(210)이 밀려 나올 때 이 부위에 의해 더 이상 인상레진(210)이 보호덮개부(250)쪽으로 밀려 나오는게 방지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part 250 has an insertion space 251 into which the jig fastening part 240 is inserted in close contact and an extension part 252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231 . The extension part 252 has one side slightly rais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sh the protective cover part 250 to the jig fastening part 240 with a finger, and the impression resin 210 in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220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out further toward the protective cover part 250 by this part when the impression resin 210 is pushed out.

또한, 보호덮개부(250)는 제1측면(231)에 있는 홈/구멍들(232)에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들(253)이 형성된다. 다수의 돌기들(253)이 홈/구멍들(232)에 끼워졌을 때 구멍들(232)이 모두 메꿔지지 않아 그 사이로 인상레진(210)이 밀려 들어와 채워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part 2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253 fitted into the grooves/holes 232 on the first side 231 . Wh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53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holes 232 , the holes 232 are not all filled, and the impression resin 210 may be pushed in and filled therebetween.

파지부(26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는 부위로, 제2측면(236)의 바깥면에 연결되어 있다. 파지부(260)는 사용에 따라 불필요한 경우 부러뜨릴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260 is a portion held by the user with a finger, and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surface 236 . The grip part 260 may be configured to be broken when unnecessary according to use.

본 실시예서는 정합 수단으로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을 사용하였지만, 인상레진수용부(230), 지그체결부(240) 또는 파지부(260)의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그들 자체를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드는 구성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234 are used as a matching means, a radiopaqu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230 , the jig fastening part 240 or the gripping part 260 , or Alternatively, configurations are possible which make themselves of a radiopaque material.

모든 구성이 중복되는 이유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제2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200)는 거울 대칭되는 구조로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고, 이 거울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변경 실시예의 예비가이드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도 4의 11번, 12번, 13번, 14번, 15번, 16번, 17번)와 하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도 4의 41번, 42번, 43번, 44번, 45번, 46번, 47번) 부위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대구치들(사랑니, 도 4의 18번, 38번)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제거를 하기 때문에 이 치아들은 고려하지 않았고, 제거되지 않았더라고 임플란트 시술시 이를 제거하기 때문에 실제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Although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are omitted for reasons of overlapping of all configurations, the preliminary guid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by changing the mirror-symmetric structure, and the preliminary guide of the modified embodiment having this mirror-symmetric structure is The implant placement site is from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o the second molars (No. 11, 12, 13, 14, 15, 16, 17 in FIG. 4) and from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to the second molar (No. 41, 42 in FIG. 4) No., No. 43, No. 44, No. 45, No. 46, No. 47) can be suitably applied to the site. The third molars (wisdom teeth, No. 18, No. 38 in FIG. 4) are not considered because most patients remove them, and even if they are not removed, there is no need to actually consider them because they are removed during the implant procedure.

제3실시예3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를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들, 도 7c는 도 7a 또는 도 7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7d는 도 7b의 A3-A3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그리고 도 7e는 도 7d의 조립 단면도이다.A preliminary guide and a guide tra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E. 7A and 7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viewed from different sides of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a preliminary guide and a guide tray for manufacturing the guide of FIG. 2 or FIG. 3, FIG. 7C is a gripping part side of the guide tray of FIG. 7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3-A3 of FIG. 7B, and FIG. 7E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7D.

제3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300)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상악 소구치/대구치(도 4의 14번, 15번, 16번, 17번)와 하악 소구치/대구치(도 4의 34번, 35번, 36번, 37번) 부위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대구치들(사랑니, 도 4의 18번, 38번)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제거를 하기 때문에 이 치아들을 고려하지 않았고, 제거되지 않았더라고 임플란트 시술시 이들을 제거하기 때문에 실제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In the preliminary guid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implant placement sites are maxillary premolars/molars (No. 14, 15, 16, and 17 in FIG. 4) and mandibular premolars/molars (No. 34 and 35 in FIG. 4) , No. 36, No. 37) can be suitably applied to the site. The third molars (wisdom teeth, No. 18 and No. 38 in FIG. 4) are not considered because most patients remove these teeth, and even if they are not removed, they are removed during the implant procedure, so there is no need to actually consider them.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가이드(300)는 인상레진(310)과 가이드 트레이(320)를 포함하고, 또한 가이드 트레이(320)는 인상레진수용부(330), 지그체결부(340), 보호덮개부(350) 및 파지부(360)를 포함하고 있다.7A to 7E, the preliminary guide 300 includes an impression resin 310 and a guide tray 320, and the guide tray 320 is an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330, a jig fastening part. 340 , a protective cover part 350 and a grip part 360 are included.

인상레진(310)은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지는 것으로,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 전에 말랑한 상태에서 사용 후에는 자연 또는 인위적으로 경화되는 치과용 레진이 사용될 수 있다. 인상레진(310)에 관한 세부 사항은 앞서 기술한 만큼, 이하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impression resin 310 is modeled after the implant placement site, and as described in Example 1, a dental resin that is cured naturally or artificially after use in a soft state before use may be used. As the details regarding the impression resin 310 are as described above,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below.

본 발명은 인상레진(310)의 노출면을 보호하거나 또는 다른 필요에 따라 노출면이 보호되게 구성하였고,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310)의 노출면이 얇은 막(311)이 씌워지게 하였다. 이로 인해, 인상레진(310)의 노출면이 사용 전까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식립 부위가 본 떠질 때, 이 막(311)이 식립 부위와 인상레진(310) 사이에 있어 인상레진(3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인상레진(310)에 언더컷 부위의 본이 떠지더라도 부분 경화가 이루어진 후에도 이 막(311)에 의해 인상레진(3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exposed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310 or to protect the exposed surface according to other needs, and in this embodiment, the exposed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310 is covered with a thin film 311 . For this reason, not only the exposed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310 is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until use, but also when the implantation site is modeled, this film 311 is between the implantation site and the impression resin 310, so that the impression resin 310 is ) is easily removed from the implantation site. In addition, even if a pattern of the undercut portion is floated on the impression resin 310, the impression resin 31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implantation site by the film 311 even after partial curing is performed.

막(311)은 0.03mm~0.20mm의 두께를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로 만들 수 있고, 인상레진(310)이 완전 경화되기 전에 벗겨지게 된다.The film 311 may be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vinyl having a thickness of 0.03 mm to 0.20 mm, and is peeled off before the impression resin 310 is completely cured.

인상레진수용부(330)는 인상레진(310)이 수용되는 부위로, 식립 부위인 상악 소구치/대구치 부위 또는 하악 소구치/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식립 부위의 크기에 맞게 그 크기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330 is a part in which the impression resin 310 is accommodated,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premolar / molar part or the lower premolar / molar part, which is an implantation site, and its size is changed to match the size of the implantation site. and can be applied.

인상레진수용부(330)는 제1측면(331), 바닥면(333) 및 제2측면(336)이 하나로 연결되어 필요한 양의 인상레진(310)을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갖게 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였다.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unit 330 is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side 331, the bottom surface 333 and the second side 336 to have an empty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required amount of the impression resin 310, In this example, polysulfone was used as the material.

제1측면(331)은 치아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측면(331)은 인상레진(3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3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홈/구멍들(33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first side 331 is positioned on the inside of the tooth and is inclined to fit the structure of the inside of the tooth. When the impression resin 310 is pushed into the first side 331 and hardened, a plurality of grooves/holes 332 to which the impression resin 310 is firmly fixed are formed at intervals.

다수의 홈/구멍들(332)은 사다리꼴의 각진 형상을 갖고, 도 5a 또는 도 5b의 다수의 홈/구멍들(132)과 마찬가지로,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게 되어 있다. 각지고 홈과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인해, 홈/구멍들(332)에 채워진 인상레진(3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3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 홈/구멍들(332)의 크기와 형상은 인상레진(310)의 특성에 따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범위에서 이와 다르게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ooves/holes 332 has a trapezoidal angled shape, and, like the plurality of grooves/holes 132 of FIGS. 5A or 5B , the width of the inle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Due to the angular structure with grooves and holes, the impression resin 310 filled in the grooves/holes 332 is firmly held so as not to fall off after it is cured, and an implantation guide hole is machined to complete the guide. Even when the impression resin 310 is held firmly without falling by the force of mechanical perfora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grooves/holes 332 may be differently implemented in a range that exhibits the same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ression resin 310 .

바닥면(333)은 치아의 끝쪽에 위치하게 되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치아 배열을 수용할 수 있게 치아의 두께 보다 약 3배 정도 큰 폭을 갖게 형성된다. 바닥면(333)은, 도 6a 또는 도 6b의 바닥면(233)과 마찬가지로, 끝부분, 즉 어금니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개방부(333a)를 형성하였고, 그 이유는 제2실시예에 설명한 것과 같아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bottom surface 333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tooth, and is formed to have a width about 3 time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ooth to accommodate the arrangement of teeth of various sizes and shapes. The bottom surface 333, like the bottom surface 233 of FIG. 6A or 6B, has an end portion, that is, an opening 333a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molars are located, for the reason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s such,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개방부(333a)는 교합이 이루어질 때 치아에 의한 눌림에 의해 인상레진(310)이 밀려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바닥면(333)과 이어지게 얇은 보호막(333b)이 마련될 수 있다.The opening 333a may be provided with a thin protective film 333b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333 in order to prevent the impression resin 310 from being pushed out by the tooth pressed when the occlusion is formed.

바닥면(333)은 반대면에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이 마련되어 있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은 위에 설명한 본 발명의 기본 제조 방법에서의 제3단계와 응용 제조 방법에서의 제6단계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작업에 사용된다. The bottom surface 33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334 on the opposite surface.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334 are selected in the third step in the bas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sixth step in the applied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select a preliminary guide image that matches the preliminary guide held by the patient, It is used for “putting it on the CT image for which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s designed”.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은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이 그 바람직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5개 이상의 마커들(334)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334)을 연결했을때 3각형태를 띠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5개의 마커들(334)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For 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334, a radiopaque material may be used as a preferred material thereof, and at least five or more markers 334 are preferably aligned at a dist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registration. The alignment position has a triangular shape when any three markers 334 are connected. Although there are five markers 33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may be reduced or increased as necessary.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은 CT 이미지에서의 위치 식별 및 CT 이미지와 가이드 트레이 이미지간의 정합을 좋게 하기 위하여, 치아와의 충분한 간격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속 재질의 보철물이 있을 경우, 산란(scattering)이 생겨 마커들(334)의 식별이 방해될 수 있다. 이 산란은 주로 옆쪽으로 생기고, 위쪽으로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점을 고려하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을 가급적 치아 위쪽에 위치되게 거리를 두고 정렬하였다.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334 need to be sufficiently spaced from the teeth in order to identify positions in the CT image and to match the CT image and the guide tray image well. 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prosthesis made of a metal material, scattering may occur, thereby preventing identification of the markers 334 . It is known that this scattering occurs mainly laterally and has little effect upwards. In order to consider this point, a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334 were arranged at a distance to be positioned above the teeth as much as possible.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은 방사선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을 재료로 하여 구형(ball type) 또는 원기둥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과에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Gutta Percha"를 그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보다 뚜렸한 CT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마커(334)를 구형(ball type)으로 만들었고, 바닥면(333)에 형성된 홈(335)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게 하였다.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334 may be made of a radiopaque metal or ceramic material to have a ball type or a cylindr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Gutta Percha", which is widely used for other purposes in dentistry, was used by changing its purpose.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a clearer CT image, the marker 334 was made in a spherical shape and was completely embedded in the groove 335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333 without exposing the surface.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은 0.3㎜~5.0㎜, 바람직하게는 0.5㎜~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의 직경을 갖는다.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334 have a diameter of 0.3 mm to 5.0 mm, preferably 0.5 mm to 4.0 mm, and most preferably 1.0 mm to 2.0 mm.

제2측면(336)은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측면(336)은 인상레진(3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3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구멍들(337)이 간격을 두고 형성성된다.The second side 336 is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tooth, and is formed almost vertically to fit the structure of the outside of the tooth. When the impression resin 310 is pushed into the second side 336 and hardened, a plurality of holes 337 to which the impression resin 310 is firmly fixed are formed at intervals.

본 실시예의 제2측면(336)은 제조 또는 사용의 편의상, 도 6a 또는 도 6b의 제2실시예의 제2측면(233)과 마찬가지로 구멍(337)을 많이 형성하였다. 이런 구조로 인해, 구멍들(337)에 채워진 인상레진(3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3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The second side 336 of this embodiment has many holes 337 like the second side 233 of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6A or 6B for convenience of manufacture or use. Due to this structure, the impression resin 310 filled in the holes 337 is held firmly so as not to fall off after it is cured, and the impression resin 310 is mechanically It is held firmly without falling due to the force of the perforation.

제2측면(336)은 바깥면에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가이드 트레이(320)가 가공용 지그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거나 또는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생기는 떨림을 잡아 주는 돌출턱(339)이 파지부(360)의 옆쪽에 형성된다. 돌출턱(339)은 도시하지 않은 가공장비에 마련되게 되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떨림을 잡아 주는 수단으로 돌출턱을 구현하였지만 이와 달리 안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이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cond side 336 can check whether the guide tray 320 is properly mounted on the processing jig to complete the guide on the outer surface, or vibration caused by the mechanically perforated force when the implantation guide hole is processed. A holding protrusion 339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grip portion 360 . The protruding jaw 339 is detachably fixed to a processing jig to be provided on processing equipment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ding jaw is implemented as a means to catch the vibration, but a groove concave inward may be implemented otherwise.

본 실시예서는 정합 수단으로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을 사용하였지만, 인상레진수용부(330)의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인상레진수용부(330) 자체를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드는 구성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334 are used as the matching means, a radiopaqu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330 or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330 itself is made radiopaque.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configuration from materials.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다수의 홈/구멍들 또는 구멍들을 구현하였지만,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인상레진을 인상레진수용부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a plurality of grooves/holes or holes are implemented as a means for firmly fixing the impression resin in this embodiment, the impression resin may be firmly fixed to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ortion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지그체결부(340)는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위로, 제1측면(331)과 이어지게 마련되고, 2개의 체결구멍들(341)이 형성되어 있다.The jig fastening part 340 is a part separably fastened to the processing jig in the processing equipment when the insertion guide hole is processed to complete the guide, and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331, and has two fastening holes (341) is formed.

지그체결부(340)는 체결구멍들(341)이 가공용지그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에 삽입되고, 그 양면이 상하로 힘있게 눌리는 방식으로 가공용지그에 고정되게 체결되게 된다.The jig fastening part 340 is fixedly fastened to the processing jig in such a way that the fastening holes 341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rotrusions formed in the processing jig, and both sides thereof are strongly pressed up and down.

보호덮개부(350)는 인상레진(310)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질때, 눌림에 의해 인상레진(310)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 나와 지그체결부(340)에 달라 붙는 것을 막기 위한 부위이다.The protective cover part 350 is a part for preventing the impression resin 310 from sticking to the jig fastening part 340 when a part of the impression resin 310 is pushed out when the implant placement site is modeled on the impression resin 310 .

보호덮개부(350)는 지그체결부(340)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공간(351) 및 제1측면(331)의 바깥면과 접촉되게 되는 연장부(352)를 갖는다. 연장부(352)는 한쪽면이 살짝 올라와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보호덮개부(350)를 지그체결부(340)에 쉽게 밀 수 있게 되어 있고, 인상레진수용부(320)에 있는 인상레진(310)이 밀려 나올 때 이 부위에 의해 더 이상 인상레진(310)이 보호덮개부(350)쪽으로 밀려 나오는게 방지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part 350 has an insertion space 351 into which the jig fastening part 340 is inserted in close contact and an extension part 352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surface 331 . The extension part 352 has one side slightly rais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sh the protective cover part 350 to the jig fastening part 340 with a finger, and the impression resin 310 in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320.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out further toward the protective cover part 350 by this part when the impression resin 310 is pushed out.

또한, 보호덮개부(350)는 제1측면(331)에 있는 홈/구멍들(332)에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들(353)이 형성된다. 다수의 돌기들(353)이 홈/구멍들(332)에 끼워졌을 때 구멍들(332)이 모두 메꿔지지 않아 그 사이로 인상레진(310)이 밀려 들어와 채워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part 3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353 fitted into the grooves/holes 332 on the first side 331 . Wh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353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holes 332 , the holes 332 are not all filled, and the impression resin 310 may be pushed in and filled therebetween.

파지부(36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는 부위로, 제2측면(336)의 바깥면에 연결되어 있다. 파지부(360)는 사용에 따라 불필요한 경우 부러뜨릴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360 is a portion held by the user with a finger, and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surface 336 . The grip part 360 may be configured to be broken when unnecessary according to use.

본 실시예서는 정합 수단으로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을 사용하였지만, 인상레진수용부(330), 지그체결부(340) 또는 파지부(360)의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그들 자체를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드는 구성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334 are used as a matching means, a radiopaqu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330, the jig fastening part 340 or the gripping part 360, or Alternatively, configurations are possible which make themselves of a radiopaque material.

모든 구성이 중복되는 이유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제3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300)는 거울 대칭되는 구조로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고, 이 거울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변경 실시예의 예비가이드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상악 소구치/대구치(도 4의 24번, 25번, 26번, 27번)와 하악 소구치/대구치(도 4의 44번, 45번, 46번, 47번) 부위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대구치들(사랑니, 도 4의 28번, 48번)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제거를 하기 때문에 이 치아들은 고려하지 않았고, 제거되지 않았더라고 임플란트 시술시 이들을 제거하기 때문에 실제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Although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are omitted for reasons of overlapping of all configurations, the preliminary guid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by changing to a mirror-symmetric structure, and the preliminary guide of the modified embodiment having this mirror-symmetric structure is The implant placement site is suitable for maxillary premolars/molars (No. 24, 25, 26, and 27 in FIG. 4) and mandibular premolars/molars (No. 44, 45, 46, and 47 in FIG. 4). can The third molars (wisdom teeth, No. 28, No. 48 in FIG. 4) are not considered because most patients remove them, and even if they are not removed, they are removed during the implant procedure, so there is no need to actually consider them.

제4실시예4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를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들, 도 8c는 도 8a 또는 도 8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8d는 도 8b의 A4-A14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그리고 도 8e는 도 8d의 조립 단면도이다.A preliminary guide and a guide tra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E. 8A and 8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viewed from different sides of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a preliminary guide and a guide tray for manufacturing the guide of FIG. 2 or FIG. 3, and FIG. 8C is a gripping part side of the guide tray of FIG. 8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4-A14 of FIG. 8B, and FIG. 8E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8D.

제4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400)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도 4의 11번, 12번, 13번, 14번, 15번, 16번, 17번, 21번, 22번, 23번, 24번, 25번, 26번, 27번) 및 하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도 4의 31번, 32번, 33번, 34번, 35번, 36번, 37번, 41번, 42번, 43번, 44번, 45번, 46번, 47번)일 때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preliminary guid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has an implant placement site from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o the second molars (No. 11, No. 12, No. 13, No. 14, No. 15, No. 16, No. 17, No. 21, No. 22, No. 23, No. 24, No. 25, No. 26, No. 27) and from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to the second molar (No. 31, No. 32, No. 33, No. 34, No. 35, No. 36, No. 37, 41, 42, 43, 44, 45, 46, 47) may be suitably applied.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가이드(400)는 인상레진(410)과 가이드 트레이(420)를 포함하고, 또한 가이드 트레이(420)는 인상레진수용부(430), 지그체결부(440), 보호덮개부(450) 및 파지부(460)를 포함하고 있다.8A to 8E, the preliminary guide 400 includes an impression resin 410 and a guide tray 420, and the guide tray 420 is an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430, a jig fastening part. 440 , a protective cover portion 450 and a gripping portion 460 are included.

인상레진(410)은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지는 것으로,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 전에 말랑한 상태에서 사용 후에는 자연 또는 인위적으로 경화되는 치과용 레진이 사용될 수 있다. 인상레진(410)에 관한 세부 사항은 앞서 기술한 만큼, 이하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impression resin 410 is modeled after the implant site, and as described in Example 1, a dental resin that is cured naturally or artificially after use in a soft state before use may be used. As much as the details regarding the impression resin 410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본 발명은 인상레진(410)의 노출면을 보호하거나 또는 다른 필요에 따라 노출면이 보호되게 구성하였고,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410)의 노출면이 얇은 막(411)이 씌워지게 하였다. 이로 인해, 인상레진(410)의 노출면이 사용 전까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식립 부위가 본 떠질 때, 이 막(411)이 식립 부위와 인상레진(410) 사이에 있어 인상레진(4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인상레진(410)에 언더컷 부위의 본이 떠지더라도 부분 경화가 이루어진 후에도 이 막(411)에 의해 인상레진(4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exposed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410 or to protect the exposed surface according to other needs, and in this embodiment, the exposed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410 is covered with a thin film 411 . For this reason, not only the exposed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410 is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until use, but also when the implantation site is modeled, this film 411 is located between the implantation site and the impression resin 410, so the impression resin 410 is ) is easily removed from the implantation site. In addition, even if a pattern of the undercut portion is floated on the impression resin 410 , the impression resin 410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implantation site by the film 411 even after partial curing is performed.

막(411)은 0.03mm~0.20mm의 두께를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로 만들 수 있고, 인상레진(410)이 완전 경화되기 전에 벗겨지게 된다.The film 411 may be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vinyl having a thickness of 0.03 mm to 0.20 mm, and is peeled off before the impression resin 410 is completely cured.

인상레진수용부(430)는 인상레진(410)이 수용되는 부위로, 식립 부위인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 및 하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식립 부위의 크기에 맞게 그 크기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430 is a part in which the impression resin 410 is accommodated. Its size can be changed and applied.

인상레진수용부(430)는 제1측면(431), 바닥면(433) 및 제2측면(436)이 하나로 연결되어 필요한 양의 인상레진(410)을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갖게 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였다.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unit 430 has an empty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required amount of the impression resin 410 by connecting the first side 431, the bottom surface 433, and the second side 436 as one, In this example, polysulfone was used as the material.

제1측면(431)은 치아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측면(431)은 인상레진(4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4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제1홈/구멍들(43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first side 431 is positioned on the inside of the tooth, and is inclined to fit the structure of the inside of the tooth. When the impression resin 410 is pushed into the first side 431 and cured, a plurality of first grooves/holes 432 to which the impression resin 410 is firmly fixed are formed at intervals.

제1홈/구멍들(432)은, 도 5a 또는 도 5b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홈/구멍들(132)과 마찬가지로, 사다리꼴의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게 되어 있다. 각지고 홈과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인해, 제1홈/구멍들(432)에 채워진 인상레진(4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4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 제1홈/구멍들(432)의 크기와 형상은 인상레진(410)의 특성에 따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범위에서 이와 다르게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first groove/holes 432, like the first grooves/holes 13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5A or FIG. 5B, have a trapezoidal angled shape and have an inlet width narrower than an outlet width. has been Due to the angular structure with grooves and holes, the impression resin 410 filled in the first grooves/holes 432 is firmly held so as not to fall off after it is cured, and also the implantation guide hole to complete the guide. Even when this is processed, the impression resin 410 is held firmly without falling by the mechanically perforated force. The size and shape of the first groove/holes 432 may be differently implemented in a range that exhibits the same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ression resin 410 .

바닥면(433)은 치아의 끝쪽에 위치하게 되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치아 배열을 수용할 수 있게 치아의 두께 보다 약 3배 정도 큰 폭을 갖게 형성된다. 바닥면(433)은, 도 6a 또는 도 6b의 바닥면(233)과 마찬가지로, 끝부분, 즉 어금니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개방부(433a)를 형성하였고, 그 이유는 제2실시예에 설명한 것과 같아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bottom surface 433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tooth, and is formed to have a width that is about 3 time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ooth to accommodate the arrangement of teeth of various sizes and shapes. The bottom surface 433, like the bottom surface 233 of FIG. 6A or 6B, has an end portion, that is, an opening 433a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molars are located, for the reason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s such,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개방부(433a)는 교합이 이루어질 때 치아에 의한 눌림에 의해 인상레진(410)이 밀려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바닥면(433)과 이어지게 얇은 보호막(433b)이 마련될 수 있다.The opening 433a may be provided with a thin protective film 433b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433 in order to prevent the impression resin 410 from being pushed out by the teeth when the occlusion is formed.

바닥면(433)은 반대면에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이 마련되어 있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은 위에 설명한 본 발명의 기본 제조 방법에서의 제3단계와 응용 제조 방법에서의 제6단계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작업에 사용된다. The bottom surface 43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434 on the opposite surface.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434 are selected in the third step in the basic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sixth step in the applied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select a preliminary guide image that matches the preliminary guide held by the patient, It is used for “putting it on the CT image for which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s designed”.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은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이 그 바람직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5개 이상의 마커들(434)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434)을 연결했을때 3각형태를 띠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9개의 마커들(434)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For 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434, a radiopaque material may be used as a preferred material thereof, and at least five or more markers 434 are preferably aligned at a dist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registration. The alignment position takes on a triangular shape when any three markers 434 are connected. Although there are nine markers 434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may be reduced or increased as necessary.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은 CT 이미지에서의 위치 식별 및 CT 이미지와 가이드 트레이 이미지간의 정합을 좋게 하기 위하여, 치아와의 충분한 간격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속 재질의 보철물이 있을 경우, 산란(scattering)이 생겨 마커들(434)의 식별이 방해될 수 있다. 이 산란은 주로 옆쪽으로 생기고, 위쪽으로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점을 고려하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을 가급적 치아 위쪽에 위치되게 거리를 두고 정렬하였다.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434 need to be sufficiently spaced from the teeth in order to identify positions in the CT image and to improve the registration between the CT image and the guide tray image. 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prosthesis made of a metal material, scattering may occur, thereby preventing identification of the markers 434 . It is known that this scattering occurs mainly laterally and has little effect upwards. In order to consider this point, a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434 were arranged at a distance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teeth as much as possible.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은 방사선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을 재료로 하여 구형(ball type) 또는 원기둥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과에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Gutta Percha"를 그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보다 뚜렸한 CT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마커(434)를 구형(ball type)으로 만들었고, 바닥면(133)에 형성된 홈(135)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게 하였다.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434 may be made of a radiopaque metal or ceramic material to have a ball type or a cylindr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Gutta Percha", which is widely used for other purposes in dentistry, was used by changing its purpose.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a clearer CT image, the marker 434 was made in a ball type, and was completely embedded in the groove 13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33 without exposing the surface.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은 0.3㎜~5.0㎜, 바람직하게는 0.5㎜~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의 직경을 갖는다.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434 have a diameter of 0.3 mm to 5.0 mm, preferably 0.5 mm to 4.0 mm, and most preferably 1.0 mm to 2.0 mm.

제2측면(436)은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측면(436)은 인상레진(4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4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제2홈/구멍들(437)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second side 436 is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tooth, and is formed almost vertically to fit the structure of the outside of the tooth. When the impression resin 410 is pushed into the second side 436 and cured,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holes 437 to which the impression resin 410 is firmly fixed are formed at intervals.

제2홈/구멍들(437)은 사다리꼴의 각진 형상을 갖고, 제1홈/구멍들(432)과 마찬가지로,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게 되어 있다. 각지고 홈과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인해, 제2홈/구멍들(437)에 채워진 인상레진(4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4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 제2홈/구멍들(437)의 크기와 형상은 인상레진(410)의 특성에 따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범위에서 이와 다르게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second groove/holes 437 have a trapezoidal angled shape, and, like the first grooves/holes 432 , the width of the inle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Due to the angular structure with grooves and holes, the impression resin 410 filled in the second grooves/holes 437 is firmly held so as not to fall off after it is cured, and also the implantation guide hole to complete the guide. Even when this is processed, the impression resin 410 is held firmly without falling by the mechanically perforated force. The size and shape of the second grooves/holes 437 may be differently implemented in a range that exhibits the same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ression resin 410 .

제2측면(436)은 바깥면에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가이드 트레이(420)가 가공용 지그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거나 또는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생기는 떨림을 잡아 주는 다수의 돌출턱(439)이 파지부(460)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돌출턱(439)은 도시하지 않은 가공장비에 마련되게 되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떨림을 잡아 주는 수단으로 돌출턱을 구현하였지만 이와 달리 안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이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cond side 436 can check whether the guide tray 420 is properly mounted on the processing jig to complete the guide on the outer surface, or vibration caused by the mechanically drilled force when the implantation guide hole is processed. A plurality of protruding jaws 439 for holding are formed with the gripping portion 46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rotruding jaw 439 is detachably fixed to a processing jig to be provided on processing equipment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ding jaw is implemented as a means to catch the vibration, but a groove concave inward may be implemented otherwise.

본 실시예서는 정합 수단으로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을 사용하였지만, 인상레진수용부(430)의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인상레진수용부(430) 자체를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드는 구성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434 are used as the matching means, a radiopaqu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430 or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430 itself is radiopaque.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configuration from materials.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다수의 홈/구멍들 또는 구멍들을 구현하였지만,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인상레진을 인상레진수용부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a plurality of grooves/holes or holes are implemented as a means for firmly fixing the impression resin in this embodiment, the impression resin may be firmly fixed to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ortion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지그체결부(440)는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위로, 제1측면(431)과 이어지게 마련되고, 4개의 체결구멍들(441)이 형성되어 있다.The jig fastening part 440 is a part separably fastened to the processing jig in the processing equipment when the insertion guide hole is processed to complete the guide, and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431, and has four fastening holes (441) is formed.

지그체결부(440)는 체결구멍들(441)이 가공용지그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에 삽입되고, 그 양면이 상하로 힘있게 눌리는 방식으로 가공용지그에 고정되게 체결되게 된다.The jig fastening part 440 is fixedly fastened to the processing jig in such a way that the fastening holes 441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rotrusions formed in the processing jig, and both sides thereof are strongly pressed up and down.

보호덮개부(450)는 인상레진(410)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질때, 눌림에 의해 인상레진(410)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 나와 지그체결부(440)에 달라 붙는 것을 막기 위한 부위이다.The protective cover portion 450 is a portion for preventing the impression resin 410 from adhering to the jig fastening portion 440 when a portion of the impression resin 410 is pushed out when the implant placement site is modeled on the impression resin 410 .

보호덮개부(450)는 지그체결부(440)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공간(451) 및 제1측면(431)의 바깥면과 접촉되게 되는 연장부(452)를 갖는다. 연장부(452)는 한쪽면이 살짝 올라와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보호덮개부(450)를 지그체결부(440)에 쉽게 밀 수 있게 되어 있고, 인상레진수용부(420)에 있는 인상레진(410)이 밀려 나올 때 이 부위에 의해 더 이상 인상레진(410)이 보호덮개부(450)쪽으로 밀려 나오는게 방지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part 450 has an insertion space 451 into which the jig fastening part 440 is inserted in close contact and an extension part 452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surface 431 . The extension portion 452 has one side slightly rais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sh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450 to the jig fastening portion 440 with a finger, and the impression resin 410 in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ortion 420 .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out further toward the protective cover part 450 by this part when the impression resin 410 is pushed out.

파지부(46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는 부위로, 제2측면(436)의 바깥면에 연결되어 있다. 파지부(460)는 사용에 따라 불필요한 경우 부러뜨릴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460 is a portion held by the user with a finger, and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surface 436 . The grip part 460 may be configured to be broken when unnecessary according to use.

본 실시예서는 정합 수단으로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을 사용하였지만, 인상레진수용부(430), 지그체결부(440) 또는 파지부(460)의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그들 자체를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드는 구성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434 are used as the matching means, a radiopaqu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430, the jig fastening part 440 or the gripping part 460, or Alternatively, configurations are possible which make themselves of a radiopaque material.

이상, 첨부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or delet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Or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tion, etc.,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200,300,400 : 예비가이드
110,210,310,410 : 인상레진
120,220,320,420 : 가이드 트레이
130,230,330,430 : 인상레진수용부
140,240,340,440 : 지그체결부
150,250,350,450 : 보호덮개부
160,260,360,460 : 파지부
100,200,300,400 : preliminary guide
110,210,310,410: impression resin
120,220,320,420: guide tray
130,230,330,430: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140,240,340,440: jig fastening part
150,250,350,450: protective cover part
160,260,360,460: grip part

Claims (159)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인상레진을 함유하는 예비가이드를 물리고, 상기 인상레진을 경화 반응시킨 후에 CT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단계;
상기 CT 이미지를 사용하여 상기 식립 부위에 상당하는 임플란트의 식립 정보를 설계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설계된 식립 정보에 따라 상기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가이드를 완성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인상레진은 경화 반응 전에는 50℃에서 cone/plate 점도계에 의하여 측정 시, 500 ps 이하의 점도를 나타내는 반고형 상태로 존재하는 한편, 경화 반응 후에는, ISO 604에 의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250 MPa의 압축 강도, 및 ISO 178에 의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90 MPa의 굴곡 강도를 갖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A first step of acquiring a CT image after biting a preliminary guide containing an impression resin on the implant site of the patient and curing the impression resin;
a second step of designing implant plac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lacement site using the CT image; and
a third step of completing the guide by forming a guide hole in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the designed implant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impression resin exists in a semi-solid state that exhibits a viscosity of 500 ps or less when measured by a cone/plate viscometer at 50° C. before the curing reaction, while after the curing reaction, a compression of at least 250 MPa measured according to ISO 604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having a strength and a flexural strength of at least 90 MPa as measured according to ISO 178.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인상레진을 함유하는 예비가이드를 물리는 제1 단계;
상기 예비가이드가 물린 상태에서 인상레진을 부분 경화하는 제2 단계;
상기 인상레진이 부분 경화된 예비가이드를 상기 식립 부위로부터 분리한 후에 상기 부분 경화된 인상레진을 완전 경화시켜 식립 부위와 정합된 본을 형성하는 제3 단계;
상기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상기 예비가이드를 다시 물리고 CT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4 단계;
상기 CT 이미지를 사용하여 상기 식립 부위에 상당하는 임플란트의 식립 정보를 설계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설계된 식립 정보에 따라 상기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가이드를 완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상레진은 제2 단계 전에는 50℃에서 cone/plate 점도계에 의하여 측정 시, 500 ps 이하의 점도를 나타내는 반고형 상태로 존재하는 한편, 제3 단계 후에는, ISO 604에 의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250 MPa의 압축 강도, 및 ISO 178에 의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90 MPa의 굴곡 강도를 갖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A first step of biting a preliminary guide containing an impression resin on the implant site of the patient;
a second step of partially curing the impression resin in the state in which the preliminary guide is bitten;
a third step of completely curing the partially cured impression resin after separating the partially cured preliminary guide from the implantation site to form a pattern matched with the implantation site;
a fourth step of re-attaching the preliminary guide to the implant site of the patient and acquiring a CT image;
a fifth step of designing implant plac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plantation site using the CT image; and
A sixth step of completing the guide by forming a guide hole in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the designed implantation information,
Before the second step, the impression resin is in a semi-solid state showing a viscosity of 500 ps or less when measured by a cone/plate viscometer at 50° C., while after the third step, at least 250 MPa as measured by ISO 604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having a compressive strength of , and a flexural strength of at least 90 MPa as measured according to ISO 17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반응 후의 인상레진은 ASTM D2240에 의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75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after the curing reaction exhibits a hardness of at least 75 as measured by ASTM D2240. 제2항에 있어서, 제3 단계 후 완전 경화된 인상레진은 ASTM D2240에 의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75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fully cured after the third step exhibits a hardness of at least 75 as measured by ASTM D22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은 경화 반응 중 중합수축률이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has a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 of 2.3% or less during the curing rea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은 상기 제2 단계의 부분 경화 및 상기 제3 단계의 완전 경화를 거치는 동안 중합 수축률이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has a polymerization shrinkage of 2.3% or less during partial hardening of the second step and full hardening of the third step.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은 경화 반응 중 최대 45℃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is maintained at a maximum of 45°C during the curing rea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은 광 경화성 레진 조성물이며, 이의 레진 매트릭스 성분으로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또는 올리고머), 및 2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acrylic monomer (or oligomer) of claim 1 or 2,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is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a (meth)acrylic monomer (or oligomer) as a resin matrix component thereof, and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매트릭스 성분이 단량체 형태인 경우에는 분자량(Mw)이 150 내지 500의 범위이고, 상기 레진 매트릭스 성분이 올리고머 형태인 경우에는 분자량(Mw)이 550 내지 30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when the resin matrix component is in the form of a monomer, the molecular weight (M w ) is in the range of 150 to 500, and when the resin matrix component is in the form of an oligomer, the molecular weight (M w ) is in the range of 550 to 3000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매트릭스 성분은, (i)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ii) 2 관능성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다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전체 광 경화성 레진 조성물 내 (메타)크릴레이트의 당량은 0.02 내지 0.2 당량 범위에 있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esin matrix component comprises: (i) urethane di(meth)acrylate, (ii) bifunctional bisphenol-A di(meth)acrylate, and (iii) polyfunctional (meth)acrylate Containing, and the equivalent of (meth) acrylate in the total light-curable resin composi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justed to be in the range of 0.02 to 0.2 equivale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매트릭스 성분은,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최대 10 중량%까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dental implant placement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resin matrix component further comprises up to 10% by weight of epoxy (meth)acrylate, and/or urethane (meth)acrylate, based on the total resin composition. How to make a gu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화성 레진 조성물은 무기 필러, 광 개시제, 광 환원제 및 안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comprises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inorganic filler, a photoinitiator, a photoreducing agent, and a stabiliz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상기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은 20 내지 50 중량%, 상기 2 관능성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은 10 내지 30 중량%, 그리고 상기 다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은 2 내지 15 중량%의 범위에서 각각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based on the resin composition, the content of the urethane di(meth)acrylate is 20 to 5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bifunctional bisphenol-A di(meth)acrylate is 10 to 30% by weight , And the content of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characterized in that each is controlled in the range of 2 to 15% by weigh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 관능성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는 2 내지 10의 에톡시 몰 수를 갖는 에톡시화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비스페놀-A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그리고
상기 다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메탄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ethoxylated bisphenol-A di(meth)acrylate and bisphenol-A glycol dimethacrylat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difunctional bisphenol-A di(meth)acrylate has an ethoxy mole number of 2 to 10. (bis-GMA)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The polyfunctional (meth)acrylate is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methanol dimethacrylate, 1,6-hexanediol dimethacrylate, 1,9-nonanediol dimethacrylate, ethoxylated trimethylol propane trimethacrylate and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manufacturing method of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의 사이즈는 5 내지 150 ㎛ 범위이고, 이의 함량은,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20 내지 50 중량% 범위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ize of the inorganic filler is in the range of 5 to 150 μm, and its content is adjusted in the range of 20 to 50 wt% based on the total resin composi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실리카, 탈크 및 알루미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inorganic fill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talc and alumina.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구형이면서 비다공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inorganic filler is spherical and non-porou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용융 실리카(fused silica), 합성 실리카, 비정질 실리카, 글라스 세라믹, 소다 글라스, 리튬 보로실리케이트 글라스, 바륨 글라스, 스트론튬 글라스, 아연 글라스, 보로실리케이트 글라스, 크리스탈 석영(crystal quartz),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ilica is fused silica, synthetic silica, amorphous silica, glass ceramic, soda glass, lithium borosilicate glass, barium glass, strontium glass, zinc glass, borosilicate glass, crystal quartz (crystal) quartz), o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characterized in that a combination thereof.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는 자외선 또는 가시 광에 노출될 때 유리-라디칼의 생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hotoinitiator has the ability to generate free radicals when exposed to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의 함량은,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0.2 내지 2 중량% 범위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is adjusted in the range of 0.2 to 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resin compositio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는 (비스)아실포스핀 산화물 및 Camphorquin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photoinitiato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acylphosphine oxide and Camphorquinon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아실포스핀 산화물은 2.4.6-trimethyl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TPO), 2,6-dimethyoxy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6-dichloro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4.6-trimethyl benzoyl-methoxyphenylphosphine oxide, 2.4.6-trimethyl benzoyl-ethoxyphenylphosphine oxide, 2,3,5,6-tetramethyl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benzoyl di-(2,6-dimethylphenyl)phosphonate, bis-(2,6-dichloro benzo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2,5-di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4-proph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1-naphthyl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 benzoyl)-2,4,4-trimethylpentyl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 benzoyl)-2,5-di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2,4,6-trimethyl benzoyl)phenylphosphine oxide, 및 (2.5,6-trimethyl benzoyl)-2,4,4-trimethylpentylphosphine oxid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bis) acylphosphine oxide is 2.4.6-trimethyl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TPO), 2,6-dimethyoxy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6-dichloro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4. 6-trimethyl benzoyl-methoxyphenylphosphine oxide, 2.4.6-trimethyl benzoyl-ethoxyphenylphosphine oxide, 2,3,5,6-tetramethyl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benzoyl di-(2,6-dimethylphenyl)phosphonate, bis-(2,6 -dichloro benzo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2,5-di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4-proph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 )-1-naphthyl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 benzoyl)-2,4,4-trimethylpentyl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 benzoyl)-2,5-di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2, 4,6-trimethyl benzoyl)phenylphosphine oxide, and (2.5,6-trimethyl benzoyl)-2,4,4-trimethylpentylphosphine oxi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환원제는 Ethyl-4-dimethylamino-benzoate(EDMAB), 2,4-(dimethylamino)phenyl ethanol, 4-(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N,N-dimethyl-p-Toluidine 및 N,N-dimethyl anili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hotoreducing agent is Ethyl-4-dimethylamino-benzoate (EDMAB), 2,4-(dimethylamino)phenyl ethanol, 4-(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N,N-dimethyl-p-Toluidine and N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dimethyl aniline.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환원제의 함량은 0.1 내지 1.5 중량% 범위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content of the light reducing agent is adjusted in the range of 0.1 to 1.5 w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중 상기 예비가이드에 함유된 인상레진에 상기 식립 부위와 정합된 본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본은 상기 식립 부위와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가이드의 물리적인 정합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first step, the impression resin contained in the preliminary guide is formed with a bone matched with the implantation site, and the formed bone is a physical matching means between the implantation site and the finally completed guide.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characterized in that u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를 거쳐 상기 예비가이드에 함유된 인상레진에 상기 식립 부위에 본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본은 상기 식립 부위와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가이드의 물리적인 정합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bone is formed at the implantation site in the impression resin contained in the preliminary guide through the first to third steps, and the formed pattern is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implantation site and the finally completed guide.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characterized in that used as a match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중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상기 CT 이미지를 불러와 교합 관계를 고려하여 임플란트의 종류와 크기, 식립 위치, 식립 깊이 및/또는 식립 각도를 포함하는 식립 정보가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econd step, the CT image is retrieved from the design program and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and size of the implant, the placement position, the placement depth and/or the placement angle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occlusal relationship.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 중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상기 CT 이미지를 불러와 교합 관계를 고려하여 임플란트의 종류와 크기, 식립 위치, 식립 깊이, 및/또는 식립 각도의 식립 정보가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T image is retrieved from the design program in the fifth step and the implant type and size, placement position, placement depth, and/or placement information of implantation angle ar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occlusal relationship.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중 상기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liminary guide image matching the preliminary guide held by the patient in the first step is selected on the design program in the third ste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 중 상기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상기 제1단계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상기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reliminary guide image matching the preliminary guide held by the patient in the first step is selected on the design program in the sixth step.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상기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은 후, 상기 식립 정보에 맞게 상기 예비가이드 이미지에 안내구멍을 설계하여 가공을 위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The digital information for processing according to claim 29 or 30, wherein the preliminary guide image is placed on the CT image for which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s designed, and then a guide hole is designed in the preliminary guide image to match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에 맞게 상기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가공하여 가이드가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guide is completed by machining a guide hole in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the digital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중 상기 예비가이드를 상기 식립 부위에 얹은 후 지그시 눌러 자리를 잡게 한 후, 환자가 입을 다물어 상기 예비가이드를 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Claim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fter placing the preliminary guide on the implantation site during the first step, the patient closes his/her mouth and bites the preliminary gu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중 부분 경화를 위하여 400 내지 500 nm의 파장, 및 800 내지 1,000mW/㎠의 강도를 갖는 할로겐 또는 LED 광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The preparation of a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halogen or LED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0 to 500 nm and an intensity of 800 to 1,000 mW/cm 2 is used for partial curing in the second step. Way.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30 내지 60초 간 상기 예비가이드의 옆면에서 윗면으로 천천히 이동하면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light is irradiated while slowly moving from the side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eliminary guide for 30 to 60 second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중 완전 경화를 위하여, 400 내지 500 nm의 파장, 및 800 내지 1,000mW/㎠의 강도를 갖는 할로겐 또는 LED 광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The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of claim 2, wherein halogen or LED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0 to 500 nm and an intensity of 800 to 1,000 mW/cm 2 is used for complete curing in the third step. manufacturing method.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40 내지 80초 간 상기 예비가이드의 윗면, 옆면 그리고 아랫면으로 천천히 이동하면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the light is irradiated while moving slowly to the upper surface, the side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eliminary guide for 40 to 80 seconds. 임플란트 식립 부위의 본을 형성하기 위한 인상레진; 및
상기 인상레진이 수용되는 인상레진 수용부와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하여 식립안내 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설치된 가공용 지그에 체결되는 지그 체결부를 구비하는 가이드 트레이;
를 포함하며,
상기 인상레진은 광 경화성 레진 조성물이며, 이의 레진 매트릭스 성분으로서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또는 올리고머), 및 2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며, 그리고
50℃에서 cone/plate 점도계에 의하여 측정 시, 500 ps 이하의 점도를 나타내는 반고형 상태로 존재하는 예비가이드.
Impression resin for forming a pattern of the implant site; and
a guide tray having an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accommodated and a jig fastening part fastened to a processing jig installed in the processing equipment when an implantation guide hole is processed to complete the guide;
includes,
The impression resin is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includes a (meth)acrylic monomer (or oligomer) as a resin matrix component thereof, and a (meth)acrylic monomer (or oligomer)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and
A preliminary guide that exists in a semi-solid state with a viscosity of 500 ps or less when measured by a cone/plate viscometer at 50°C.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레이는 상기 인상레진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의 본이 형성되는 경우, 눌림에 의하여 상기 인상레진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 나와 상기 지그 체결부에 달라붙는 것을 막기 위한 보호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8, wherein the guide tray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cover for preventing the impression resin from sticking to the jig fastening part by pushing out a portion of the impression resin by pressing when a bone of the implant site is formed in the impression resin. A preliminary guid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부는 연장부의 한쪽 면이 살짝 올라와 있어, 상기 인상레진이 상기 보호덮개부 쪽으로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claim 39, wherein one side of the extension part is slightly raised to the protective cover part, and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impression resin from being pushed out toward the protective cover part.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레이는 사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러뜨려지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39.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claim 38, wherein the guide tray further comprises a gripping portion that is selectively broken according to use.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은 광 경화 후에는, ISO 604에 의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250 MPa의 압축 강도, 및 ISO 178에 의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90 MPa의 굴곡 강도를 갖는 경화형 레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4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41,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after light curing, has a compressive strength of at least 250 MPa as measured according to ISO 604 and a flexural strength of at least 90 MPa as measured according to ISO 178. A preliminary guid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urable resin having.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경화 후에 인상레진은 ASTM D2240에 의하여 측정되는 적어도 75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42. The pregui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41,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after light curing exhibits a hardness of at least 75 as measured by ASTM D2240.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은 광 경화 중 중합 수축률이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41,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has a polymerization shrinkage rate of 2.3% or less during light curing.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은 광 경화 중 최대 45℃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41,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is maintained at a maximum of 45°C during light curing.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매트릭스 성분이 단량체 형태인 경우에는 분자량(Mw)이 150 내지 500의 범위이고, 상기 레진 매트릭스 성분이 올리고머 형태인 경우에는 분자량(Mw)이 550 내지 30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4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41, wherein when the resin matrix component is in the form of a monomer, the molecular weight (M w ) is in the range of 150 to 500, and when the resin matrix component is in the form of an oligomer, the molecular weight (M) w ) is a preliminary guide,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range of 550 to 300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매트릭스 성분은, (i)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ii) 2 관능성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iii) 다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전체 광 경화성 레진 조성물 내 (메타)크릴레이트의 당량은 0.02 내지 0.2 당량 범위에 있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47. The method of claim 46, wherein the resin matrix component comprises: (i) urethane di(meth)acrylate, (ii) bifunctional bisphenol-A di(meth)acrylate, and (iii) polyfunctional (meth)acrylate A preliminary gui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nd the equivalent of (meth)acrylate in the total light-curable resin composition is adjusted to be in the range of 0.02 to 0.2 equivalent.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매트릭스 성분은,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최대 10 중량%까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claim 47, wherein the resin matrix component further comprises up to 10 wt% of epoxy (meth)acrylate, and/or urethane (meth)acrylate, based on the total resin composition.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화성 레진 조성물은 무기 필러, 광 개시제, 광 환원제 및 안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claim 38, wherein the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comprises at least one compon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inorganic filler, a photoinitiator, a photoreducing agent, and a stabilizer.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상기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은 20 내지 50 중량%, 상기 2 관능성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은 10 내지 30 중량%, 그리고 상기 다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은 2 내지 15 중량%의 범위에서 각각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7, wherein, based on the resin composition, the content of the urethane di(meth)acrylate is 20 to 50%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the difunctional bisphenol-A di(meth)acrylate is 10 to 30% by weight. , and the content of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is a preliminary guide, characterized in that each controlled in the range of 2 to 15% by weight.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2 관능성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는 2 내지 10의 에톡시 몰 수를 갖는 에톡시화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비스페놀-A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bis-G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그리고
상기 다관능성 (메타)크릴레이트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메탄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48. The ethoxylated bisphenol-A di(meth)acrylate and bisphenol-A glycol dimethacrylate according to claim 47, wherein the difunctional bisphenol-A di(meth)acrylate has an ethoxy mole number of from 2 to 10. (bis-GMA)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The polyfunctional (meth)acrylate is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methanol dimethacrylate, 1,6-hexanediol dimethacrylate, A preliminary guid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9-nonanediol dimethacrylate, ethoxylated trimethylol propane trimethacrylate and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의 사이즈는 5 내지 150 ㎛ 범위이고, 이의 함량은,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20 내지 50 중량% 범위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50.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claim 49, wherein the size of the inorganic filler is in the range of 5 to 150 μm, and the content thereof is adjusted in the range of 20 to 50 wt% based on the total resin composition.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실리카, 탈크 및 알루미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53.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claim 52, wherein the inorganic fill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talc and alumina.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용융 실리카(fused silica), 합성 실리카, 비정질 실리카, 글라스 세라믹, 소다 글라스, 리튬 보로실리케이트 글라스, 바륨 글라스, 스트론튬 글라스, 아연 글라스, 보로실리케이트 글라스, 크리스탈 석영(crystal quartz),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55. The method of claim 53, wherein the silica is fused silica, synthetic silica, amorphous silica, glass ceramic, soda glass, lithium borosilicate glass, barium glass, strontium glass, zinc glass, borosilicate glass, crystal quartz (crystal) quartz), or a preliminary guide, characterized in that a combination thereof.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는 자외선 또는 가시 광에 노출될 때 유리-라디칼의 생성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50. The preguide according to claim 49, wherein the photoinitiator has the ability to generate free-radicals when exposed to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의 함량은, 전체 레진 조성물 기준으로, 0.2 내지 2 중량% 범위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claim 55, wherein the content of the photoinitiator is adjusted in the range of 0.2 to 2 wt% based on the total resin composition.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는 (비스)아실포스핀 산화물 및 Camphorquino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56.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claim 55, wherein the photoinitiato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acylphosphine oxide and Camphorquinone.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아실포스핀 산화물은 2.4.6-trimethyl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TPO), 2,6-dimethyoxy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6-dichloro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4.6-trimethyl benzoyl-methoxyphenylphosphine oxide, 2.4.6-trimethyl benzoyl-ethoxyphenylphosphine oxide, 2,3,5,6-tetramethyl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benzoyl di-(2,6-dimethylphenyl)phosphonate, bis-(2,6-dichloro benzo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2,5-di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4-proph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1-naphthyl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 benzoyl)-2,4,4-trimethylpentyl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 benzoyl)-2,5-di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2,4,6-trimethyl benzoyl)phenylphosphine oxide, 및 (2.5,6-trimethyl benzoyl)-2,4,4-trimethylpentylphosphine oxid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58. The method of claim 57, wherein the (bis)acylphosphine oxide is 2.4.6-trimethyl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TPO), 2,6-dimethyoxy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6-dichloro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4. 6-trimethyl benzoyl-methoxyphenylphosphine oxide, 2.4.6-trimethyl benzoyl-ethoxyphenylphosphine oxide, 2,3,5,6-tetramethyl 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benzoyl di-(2,6-dimethylphenyl)phosphonate, bis-(2,6 -dichloro benzo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2,5-di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4-prophylphenylphosphine oxide, bis-(2,6-dichloro benzoyl )-1-naphthyl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 benzoyl)-2,4,4-trimethylpentylphosphine oxide, bis-(2,6-dimethoxy benzoyl)-2,5-dimethylphenylphosphine oxide, bis-(2, A preliminary guid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4,6-trimethyl benzoyl)phenylphosphine oxide, and (2.5,6-trimethyl benzoyl)-2,4,4-trimethylpentylphosphine oxide.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환원제는 Ethyl-4-dimethylamino-benzoate(EDMAB), 2,4-(dimethylamino)phenyl ethanol, 4-(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N,N-dimethyl-p-Toluidine 및 N,N-dimethyl anili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50. The method of claim 49, wherein the photoreducing agent is Ethyl-4-dimethylamino-benzoate (EDMAB), 2,4-(dimethylamino)phenyl ethanol, 4-(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N,N-dimethyl-p-Toluidine and N , A preliminary guid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dimethyl aniline.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환원제의 함량은 0.1 내지 1.5 중량% 범위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60.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claim 59, wherein the content of the photoreducing agent is controlled in the range of 0.1 to 1.5 wt%.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은 노출면이 얇은 막에 의하여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41,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has an exposed surface covered with a thin film.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62. A preguide according to claim 61,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rane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vinyl.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0.03 내지 0.20 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62. The preguide according to claim 61, wherein the film has a thickness of 0.03 to 0.20 mm.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는 상악 전치/소구치 부위 또는 하악 전치/소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 상악 중절치부터 제2 대구치 부위 또는 하악의 중절치부터 제2 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 상악 소구치/대구치 부위 또는 하악 소구치/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 또는 상악 중절치부터 제2 대구치 부위 및 하악 중절치부터 제2 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8 to 41,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anterior/premolar region or the mandibular anterior/premolar region, from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to the second molar region or from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to the second molar. A preliminary guid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gio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premolar/molar region or the lower premolar/molar region, or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lar region from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the second molar region from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는 치아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1 측면, 치아의 끝쪽에 위치하게 되는 바닥면, 및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2 측면이 연결된 상기 인상레진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The method of claim 38,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ortion is the impression resin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that is located inside the tooth, the bottom surface that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tooth, and the second side that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tooth is accommodated. A preliminary guid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pace to be.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는 폴리술폰(Polysulfone)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claim 38,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is made of a polysulfone material.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66.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claim 65, wherein the first side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to fit the structure of the inside of the tooth.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제1 홈/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66.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claim 65, wherein the first side has a plurality of first grooves/holes to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firmly fixed when the impression resin is pushed in and hardened.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홈/구멍들은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69.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claim 68,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grooves/holes have an angled shape, and the width of the inle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채워지는 반대면에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The preliminary guide according to claim 65, wherein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filled. 인상레진이 수용되고, 상악 또는 하악의 전치 내지 소구치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인상레진 수용부; 및
식립안내구멍의 가공을 위한 가공용 지그에 결합되는 지그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는 치아의 안쪽에 위치되는 제1 측면, 치아의 끝쪽에 위치되는 바닥면 및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되는 제2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가공용 지그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식립안내구멍의 기계적 천공 시 떨림을 잡아주는 돌출 턱 또는 오목하게 파인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which accommodates the impression resin,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nterior or premolar region of the maxilla or mandible; and
Including a jig fastening part coupled to a jig for processing for processing of an implantation guide hole,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ortion has a first side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tooth, a bottom surface located on the end of the tooth, and a second side surfac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tooth,
The second side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jig for processing, the guide tr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ding jaw or a concave groove to catch the vibration during mechanical drilling of the implantation guide hole.
인상레진이 수용되고, 상악 또는 하악의 전치 내지 소구치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인상레진 수용부;
식립안내구멍의 가공을 위한 가공용 지그에 결합되는 지그체결부; 및
상기 지그체결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인상레진에 식립 부위가 눌려져 본떠질 때 상기 인상레진이 상기 지그체결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which accommodates the impression resin,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nterior or premolar region of the maxilla or mandible;
A jig fastening unit coupled to a jig for processing for processing of an implantation guide hole; and
The guide tray is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jig fastening part, and comprises a protective cover part for preventing the impression resin from sticking to the jig fastening part when the implantation part is pressed and modeled by the impression resin.
제71항 또는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3.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71 or 72,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uses polysulfone as its material.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3.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71, wherein the first side surface is inclined to fit the structure of the inner tooth.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복수의 홈 또는 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3. The guide tray of claim 71, wherein the first side has a plurality of grooves or holes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firmly fixed when the impression resin is pushed in and hardened.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 또는 구멍들은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6.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75, wherein the plurality of grooves or holes have an angled shape, and the width of the inle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제71항 또는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채워지는 반대면에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3.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71 or 72, wherein the bottom surfa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on the opposite surface where the impression resin is filled.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8.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77, wherein 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are completely embedded in the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without exposing the surface.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정합 작업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8.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77,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used for registration, "putting a preliminary guide image matching the preliminary guide held by the patient on the CT image for which the placement information is designed". .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8. The guide tray of claim 77,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made of a material that is radiopaque.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8. The guide tray of claim 77,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made of a radiopaque metal or ceramic material.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치과용 재료인 "Gutta Percha"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8. The guide tray of claim 77, wherein said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made of "Gutta Percha", a dental material.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0.3 내지 5.0 ㎜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8. The guide tray of claim 77,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have a diameter of 0.3 to 5.0 mm.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구형 또는 원기둥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8. The guide tray of claim 77,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have a spherical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3개 이상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고,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을 연결했을 때 3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8.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77, wherein thre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are aligned at a distanc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matching, and the alignment position forms a triangle when any three markers are connected. . 제71항 또는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 및 상기 지그체결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정합 수단으로 그 표면에 방사선불과성의 물질이 도포되거나, 또는 그 자체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3. The method of claim 71 or 7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and the jig fastening part is a material coated with a radiopaque material on its surface as a matching means, or a material having radiopaque properties itself. Guide tray,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2. The guide tray of claim 71, wherein the second side is form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tructure of the outer tooth.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복수의 홈 또는 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88. The guide tray of claim 87, wherein the second sid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or holes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firmly fixed when the impression resin is pushed in and hardened.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 또는 구멍들은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89.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88, wherein the plurality of grooves or holes have an angled shape, and the width of the inle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부는 식립 부위의 본을 뜰 때 상기 인상레진이 상기 보호덮개부 쪽으로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장부의 한쪽면이 살짝 올라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3.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72, wherein one side of the extension part is slightly raised to prevent the impression resin from being pushed out toward the protective cover part when the protective cover part is cut. 제71항 또는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체결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인상레진수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사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러뜨려져 상기 인상레진수용부로부터 제거 가능한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7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1 or 72, further comprising a gripp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jig fastening portion and being selectively broken according to use and removable from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ortion. guide tray with 인상레진이 수용되고, 상악 또는 하악의 중절치 내지 제2 대구치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인상레진 수용부; 및
식립안내구멍의 가공을 위한 가공용 지그에 결합되는 지그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는 치아의 안쪽에 위치되는 제1 측면, 치아의 끝쪽에 위치되는 바닥면 및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되는 제2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은 어금니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receiving the impression resin,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or lower central incisors to second molars; and
Includes; a jig fastening unit coupled to a jig for processing for processing of an implantation guide hole;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ortion has a first side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tooth, a bottom surface located on the end of the tooth, and a second side surfac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tooth,
The bottom surface is a guide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molars are located.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3.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92,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uses polysulfone as a material thereof.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3. The guide tray of claim 92, wherein the first side surface is inclined to fit the structure of the inner tooth.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복수의 홈 또는 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3. The guide tray of claim 92, wherein the first sid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or holes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firmly fixed when the impression resin is pushed in and hardened.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 또는 구멍들은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6.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95, wherein the plurality of grooves or holes have an angled shape, and the width of the inle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바닥면과 이어지게 얇은 보호막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3.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92, wherein the opening is provided with a thin protective film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to prevent the impression resin from being pushed out.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채워지는 반대면에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3.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92, wherein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filled.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98, wherein 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are completely embedded in the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without exposing the surface.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정합 작업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98,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used for registration operation, "putting a preliminary guide image matching the preliminary guide held by the patient on the CT image for which the placement information is designed". .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9. The guide tray of claim 98,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made of a material that is radiopaque.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9. The guide tray of claim 98,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made of a radiopaque metal or ceramic material.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치과용 재료인 "Gutta Percha"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9. The guide tray of claim 98, wherein said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made of "Gutta Percha", a dental material.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0.3 내지 5.0 ㎜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9. The guide tray of claim 98,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have a diameter of 0.3 to 5.0 mm.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구형 또는 원기둥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9. The guide tray of claim 98,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have a spherical or cylindrical shape.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3개 이상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고,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을 연결했을 때 3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98, wherein thre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are aligned at a distanc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matching, and the alignment position forms a triangle when any three markers are connected. .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 및 상기 지그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정합 수단으로 그 표면에 방사선불과성의 물질이 도포되거나, 또는 그 자체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3. The method of claim 9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and the jig fastening par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adiopaque material or coated with a radiopaque material on its surface as a matching means. Features a guide tray.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3. The guide tray of claim 92, wherein the second side is form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tructure of the outer tooth.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복수의 홀 또는 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09.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08, wherein the second sid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or holes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firmly fixed when the impression resin is pushed in and hardened.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가공용 지그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식립안내구멍의 기계적 천공 시 떨림을 잡아주는 돌출 턱 또는 오목하게 파인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3.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92, wherein the second side surface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jig for processing and includes a protruding jaw or a concave groove to catch vibrations during mechanical drilling of the implantation guide hole.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체결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인상레진에 식립 부위가 눌려져 본떠질 때 상기 인상레진이 상기 지그체결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3. The method of claim 92, wherein the jig fastening portion is formed detachably, the impression resin when the implantation portion is pressed and modeled by the impression resin comprising a protective cover to prevent from sticking to the jig fastening portion. guide tray.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부는 식립 부위의 본을 뜰 때 상기 인상레진이 상기 보호덮개부 쪽으로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장부의 한쪽면이 살짝 올라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12.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11, wherein one side of the extension part is slightly raised to prevent the impression resin from being pushed out toward the protective cover part when the protective cover part is cut.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부는 상기 제1 측면에 있는 홈 또는 구멍들에 끼워지는 복수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12.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11, wherein the protective cover part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itted into grooves or holes on the first side surface.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체결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사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러뜨려져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로부터 제거 가능한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93.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92, further comprising a gripper extending from the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jig fastening part, and being selectively broken according to use and removable from the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 인상레진이 수용되고, 상악 또는 하악의 소구치 또는 대구치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인상레진 수용부; 및
식립안내구멍의 가공을 위한 가공용 지그에 결합되는 지그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는 치아의 안쪽에 위치되는 제1 측면, 치아의 끝쪽에 위치되는 바닥면 및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되는 제2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은 어금니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or lower premolars or molars in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accommodated; and
Includes; a jig fastening unit coupled to a jig for processing for processing of an implantation guide hole;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ortion has a first side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tooth, a bottom surface located on the end of the tooth, and a second side surfac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tooth,
The bottom surface is a guide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molars are located.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16.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15,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uses polysulfone as a material thereof.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16.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15, wherein the first side surface is inclined to fit the structure of the inner tooth.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복수의 홈 또는 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16. The guide tray of claim 115, wherein the first sid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or holes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firmly fixed when the impression resin is pushed in and hardened.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 또는 구멍들은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19. The guide tray of claim 118, wherein the plurality of grooves or holes have an angled shape, and the width of the inle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바닥면과 이어지게 얇은 보호막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16. The guide tray of claim 115, wherein the opening is provided with a thin protective film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to prevent the impression resin from being pushed out.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채워지는 반대면에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16. The guide tray of claim 115, wherein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filled.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22.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21, wherein 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are completely embedded in the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without exposing the surface.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정합 작업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23.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21,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used for registration, "putting a preliminary guide image matching the preliminary guide held by the patient on the CT image for which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s designed". .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22. The guide tray of claim 121,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made of a radiopaque material.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22. The guide tray of claim 121,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made of a metal or ceramic material having a radiopaque effect.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치과용 재료인 "Gutta Percha"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22. The guide tray of claim 121, wherein said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made of "Gutta Percha", a dental material.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0.3 내지 5.0 ㎜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23. The guide tray of claim 121,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have a diameter of 0.3 to 5.0 mm.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구형 또는 원기둥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22.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21,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have a spherical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3개 이상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고,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을 연결했을 때 3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22. The guide tray of claim 121, wherein thre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are aligned at a distanc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matching, and the alignment position forms a triangle when any three markers are connected. .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 및 상기 지그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정합 수단으로 그 표면에 방사선 불과성 물질이 도포되거나, 또는 그 자체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5,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and the jig fastening part is made of a radiopaque material, or a radioactive material is applied to its surface as a matching means, or is itself made of a radiopaque material. Features a guide tray.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16. The guide tray of claim 115, wherein the second side is formed substantially vertically to conform to the structure of the outer tooth. 제1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복수의 홈 또는 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34. The guide tray of claim 131, wherein the second sid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or holes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firmly fixed when the impression resin is pushed in and hardened.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상기 가공용 지그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식립안내구멍의 기계적 천공 시 떨림을 잡아주는 돌출 턱 또는 오목하게 파인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16.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15, wherein the second side is supported by the jig for processing and includes a protruding jaw or a concave groove to catch vibrations during mechanical drilling of the implantation guide hole.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체결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인상레진에 식립 부위가 눌려져 본떠질 때 상기 인상레진이 상기 지그체결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16. The method of claim 115, wherein the jig fastening portion is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mpression resin when the implantation site is pressed and modeled by the impression resin comprising a protective cover to prevent the sticking to the jig fastening portion. guide tray. 제13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부는 상기 제1 측면에 있는 홈 또는 구멍들에 끼워지는 복수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35.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34, wherein the protective cov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to be fitted into grooves or holes on the first side surface.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체결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사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러뜨려져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로부터 제거 가능한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16.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15, further comprising a gripper extending from the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jig fastening part and being selectively broken according to use and removable from the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 인상레진이 수용되고, 상악 또는 하악의 중철치 내지 제2 대구치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인상레진 수용부; 및
식립안내구멍의 가공을 위한 가공용 지그에 결합되는 지그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는 치아의 안쪽에 위치되는 제1 측면, 치아의 끝쪽에 위치되는 바닥면 및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되는 제2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면은 어금니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receiving the impression resin,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or lower saddle-stitched teeth to the second molars; and
Includes; a jig fastening unit coupled to a jig for processing for processing of an implantation guide hole;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ortion has a first side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tooth, a bottom surface located on the end of the tooth, and a second side surfac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tooth,
The bottom surface is a guide tray,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portion where the molars are located.
제137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37.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37, wherein the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uses polysulfone as a material thereof. 제1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37.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37, wherein the first side surface is inclined to fit the structure of the inside of the tooth. 제1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복수의 홈 또는 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37. The guide tray of claim 137, wherein the first sid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or holes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firmly fixed when the impression resin is pushed in and hardened. 제14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 또는 구멍들은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41. The guide tray of claim 140, wherein the plurality of grooves or holes have an angled shape, and the width of the inle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제13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바닥면과 이어지게 얇은 보호막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37.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37, wherein the opening is provided with a thin protective film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to prevent the impression resin from being pushed out. 제13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채워지는 반대면에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37.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37, wherein a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filled.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45. The guide tray of claim 143, wherein 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are completely embedded in the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without exposing the surface.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정합 작업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45.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43,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used for registration, "putting a preliminary guide image matching the preliminary guide held by the patient on the CT image for which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s designed". .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45. The guide tray of claim 143,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made of a radiopaque material.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45. The guide tray of claim 143,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made of a radiopaque metal or ceramic material.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치과용 재료인 "Gutta Percha"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45. The guide tray of claim 143, wherein said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are made of "Gutta Percha", a dental material.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0.3 내지 5.0 ㎜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45. The guide tray of claim 143,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have a diameter of 0.3 to 5.0 mm.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구형 또는 원기둥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45. The guide tray of claim 143, wherein the plurality of registration markers have a spherical or cylindrical shape.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3개 이상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고,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을 연결했을 때 3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45.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43, wherein thre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matching markers are aligned at a distanc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matching, and the alignment position forms a triangle when any three markers are connected. . 제137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 및 상기 지그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정합 수단으로 그 표면에 방사선 불과성을 갖는 물질이 도포되거나, 또는 그 자체가 방사선 불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37. The method of claim 137,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mpression resin receiving part and the jig fastening par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radiopacity on its surface as a matching means, or made of a material having radiopacity itself. Guide tray, characterized in that it loses. 제1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37. The guide tray of claim 137, wherein the second side is form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tructure of the outer tooth. 제15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복수의 홈 또는 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54. The guide tray of claim 153, wherein the second sid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or holes through which the impression resin is firmly fixed when the impression resin is pushed in and hardened. 제15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홈 또는 구멍들은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55. The guide tray of claim 154, wherein the plurality of second grooves or holes have an angled shape, and the width of the inle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제1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가공용 지그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식립안내구멍의 기계적 천공 시 떨림을 잡아주는 돌출 턱 또는 오목하게 파인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37.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37, wherein the second side surface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processing jig and includes a protruding jaw or a concave groove to catch vibrations during mechanical drilling of the implantation guide hole. 제137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체결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인상레진에 식립 부위가 눌려져 본떠질 때 상기 인상레진이 상기 지그체결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37. The method of claim 137, wherein the jig fastening portion is formed detachably, and the impression resin when the implantation site is pressed and modeled by the impression resin comprising a protective cover for preventing the sticking to the jig fastening portion. guide tray.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부는 상기 제1 측면에 있는 홈 또는 구멍들에 끼워지는 복수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58.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57, wherein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fitted into grooves or holes on the first side surface. 제137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체결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사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러뜨려져 상기 인상레진 수용부로부터 제거 가능한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137. The guide tray according to claim 137, further comprising a gripper extending from the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jig fastening part and being selectively broken according to use and removable from the impression resin accommodating part. .
KR1020210043192A 2020-05-07 2021-04-02 Manufacturing method of a dental implant sergical guide, Pre-guide and guide tray therefor KR2021013683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254 2020-05-07
KR20200054254 2020-05-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839A true KR20210136839A (en) 2021-11-17

Family

ID=7870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192A KR20210136839A (en) 2020-05-07 2021-04-02 Manufacturing method of a dental implant sergical guide, Pre-guide and guide tray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683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155B1 (en) 2016-09-02 2017-11-14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155B1 (en) 2016-09-02 2017-11-14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06393C (en) Methods and kits for making flexible dental guards
US9937105B2 (en) High strength dental material
JP555360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ovisional and long-term dental crowns and bridges
JP539906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hair side dental crown
US20090220920A1 (en) Methods for indirect bonding of orthodontic appliances
US20120315601A1 (en) Long lasting dental restorations and methods for preparation thereof
US20100044895A1 (en) Method of forming a dental product
US7939575B2 (en) Methods for making dental restorations using two-phase light-curing materials
JP2006052402A (en) Curable acrylate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flexural property
US20050042576A1 (en) Dental article forms and methods
US1162283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and preliminary guide and guide tray therefor
KR20210136839A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dental implant sergical guide, Pre-guide and guide tray therefor
KR101613097B1 (en) Hollow column typed-composite blank for dental indirect restoration
Aalam et al. Surgical template stabilization with transitional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he edentulous mandible: a technical note.
KR20200080103A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dental implant sergical guide, Pre-guide and guide tray therefor
KR102424955B1 (en) Surgical Guide Composition for Dental Implants
JP7490640B2 (en) Radiation-curable compositions for use in rapid prototyp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KR20180044312A (en) Standard denture base, reference denture, denture preparation kit and denture mak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