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648A - Package container - Google Patents

Packag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648A
KR20210136648A KR1020200055185A KR20200055185A KR20210136648A KR 20210136648 A KR20210136648 A KR 20210136648A KR 1020200055185 A KR1020200055185 A KR 1020200055185A KR 20200055185 A KR20200055185 A KR 20200055185A KR 20210136648 A KR20210136648 A KR 20210136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accommodating space
horizontal direction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9485B1 (en
Inventor
잭 정범 양
Original Assignee
와이잭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잭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잭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485B1/en
Publication of KR20210136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6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4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6Containers with stacking ribs in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0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maintained on the container by mechanical means, e.g. crimping, clamping, riveting
    • B65D77/2016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maintained on the container by mechanical means, e.g. crimping, clamping, riveting the cover being maintained by projections or recesses on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A packaging container is disclosed. The packaging container comprises: a storage unit having a storage space having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to store an object and an extension unit extende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to the out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ver unit configured to be extended from the storage unit and cover the storage unit. A first fastening unit is formed in the storage unit, and a second fastening unit is formed in a position in the cover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unit to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unit. A plurality of recess units are formed in the storage sp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recess units is disposed to enable the storage unit and another storage unit of the other packaging container from being overlapp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torage unit and another storage unit of the other packaging container are stacked.

Description

포장 용기{PACKAGE CONTAINER}Packaging container {PACKAGE CONTAINER}

본 발명은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의류 또는 기타 물건을 포장하는데 이용되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ackaging containers, and more particularly to packaging containers used to package clothing or other articles.

의류를 제작하여 출고할 때에, 통상적으로 비닐이나 종이 등의 포장재로 의류를 포장하여 출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When manufacturing and shipping clothes, it is common to package and ship clothes with packaging materials such as vinyl or paper.

판매 시에는 포장재를 뜯거나 비닐 포장에 그대로 담아 의류를 전시하고, 고객이 선택한 의류는, 포장재를 뜯어 별도의 포장 용기에 담아 고객에게 전달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의류가 포장재에 담긴채로 고객에게 판매하기도 한다.At the time of sale, the clothing is displayed by tearing the packaging material or putting it in plastic packaging, and the clothing selected by the customer is delivered to the customer in a separate packaging container, or, in some cases, the clothing is sold to the customer in the packaging material. also do

그러나 비닐 포장채로 전시하는 것은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포장재를 뜯어 안의 내용물만 따로 전시했다가 나중에 별도의 포장 용기에 담아서 판매하는 것에는 자원 낭비의 문제가 있다. 또한, 고객이 포장재채로 의류 제품을 구매한 경우에도, 어차피 포장재는 나중에 재활용이 될 여지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의류의 유통 과정에서의 자원 낭비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의류뿐만 아니라 다른 소비재 내지 물건을 포장하는 용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However, exhibiting in plastic packaging is not good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and there is a problem of wasting resources if only the contents inside are displayed separately and then sold in a separate packaging container. In addition, even when a customer purchases a clothing product using the packaging material, the waste of resources in the clothing distribution process may also be a problem because the packaging material has little room for recycling later anyway. This problem also occurs not only for clothing, but also for other consumer goods or containers for packaging article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서는 개선된 의류 포장 용기(도 8)를 개시하고 있다. 의류 포장 용기(80)는, 내부에 의류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출입 개구(86)가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81)와, 출입 개구(86)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뚜껑(82)으로 구성되며, 출입 개구(86)를 통해 의류(87)를 넣거나 뺄 수 있도룩 구성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improved clothing packaging container (FIG. 8). The clothing packaging container 80 includes a cylindrical body 81 having a clothing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having an entry/exit opening 86 formed thereon, and a lid 82 configured to block the entry/exit opening 86 ,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lothing 87 can be inserted or removed through the opening 86 .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의류 포장 용기나 포장재 자체가 모두 디자인 소품으로도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의류의 유통 과정에서 종이나 비닐 등이 포장 용도로만 사용된 후에 폐기됨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both the clothing packaging container and the packaging material themselves can be used as design prop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as paper or vinyl is discarded after being used only for packaging purposes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clothing. and resources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그러나 이와 같은 의류 포장 용기를 다수개 활용하여 의류 및 다른 소품을 보관하는 용기로 활용할 경우, 다수의 포장 용기를 서로 나란히 진열하여 보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차지하는 공간이 커질 수밖에 없어 그만큼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a plurality of such clothing packaging containers are used as containers for storing clothing and other accessories, a large number of packaging containers cannot but be displayed side by side and stored. .

[특허문헌 1]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6883호[Patent Document 1]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2-0006883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컨대 다수의 의류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에 필요한 공간 및 자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rived to solve this problem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aging container that can minimize waste of space and resources required for storage by, for example, stacking a plurality of clothes and storing them. will b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포장 용기로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는, 바깥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와 다른 포장 용기의 수용부가 적층되었을 때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receiving space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to accommodate an article, and a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n extension extending out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 In the receiving space, a plurality of recesses ar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an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receiving part and the receiving part of the other packaging container are stacked. to provide a packaging container, which is arranged so as not to

이때, 상기 포장 용기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수용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ckaging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configured to cover the accommodation portion.

이때, 상기 수용부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first fasten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cover par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to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또한, 상기 수용 공간은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주보는 변의 오목부들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를 각각 포함하며, 마주보는 변의 일측에서부터 제1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마주보는 변의 타측에서부터 상기 제2 오목부까지의 거리와 같지 않게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space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concave portions of opposite sides include a first concave portion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facing each other,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is opposite to each other. The first concave portion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be the same as a distance from the other side of the beam to the second concave portion.

이때,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같은 쪽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cave portion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sam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ide.

또한 본 발명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포장 용기로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안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receiving space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to accommodate an object, and a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n extension extending out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And, in the receiving spa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it provides a packaging container.

이때, 상기 포장 용기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수용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ckaging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configured to cover the accommodation portion.

이때, 상기 수용부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first fasten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cover par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to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또한, 상기 수용 공간은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변에는 서로 대칭이거나 서로 비대칭인 위치에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space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or asymmetric to each other on sides facing each other.

또한, 상기 수용 공간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마주보는 2개의 장변에 각각 형성된 장변 돌출부와, 상기 장변 돌출부로부터 더 먼쪽의 단변에 형성되는 단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space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include a long side protrusion formed on two long sides facing each other, and a short side protrusion formed on a short side farther from the long side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포장 용기로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제2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바깥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바깥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1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적층되었을 때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ckaging container, a first accommodating space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to accommodate an article, and a first extending out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 first portion including an extension portion,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portion including, where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has a plurality of first concave portion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has a plurality of first concave portions formed toward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 plurality of second concave portions ar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cave portion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cave portions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re stacked. A packaging container is provided, which is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포장 용기로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제2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안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제1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안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제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ckaging container, a first accommodating space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to accommodate an article, and a first extending out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 first portion including an extension portion,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portion including, where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has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has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may be formed.

이때, 상기 제1 부분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first fastening part may be formed on the first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may be formed on the second par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so as to be fastened with the first fastening part.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다수의 의류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에 필요한 공간 및 자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ckaging container capable of minimizing waste of space and resources required for storage by, for example, stack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cloth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를 활용한 적층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를 활용한 적층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의 의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cked state diagram using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cked state diagram using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ior art clothing packaging contain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를 활용한 적층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cked state diagram using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포장 용기(1)는 의류 등의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0)와 수용부(10)로부터 연장하고 수용부(1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부(20)를 포함한다.The packaging container 1 includes a accommodating part 10 capable of accommodating articles such as clothes, and a cover part 20 extending from the accommodating part 10 and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 .

수용부(10)는 의류 등의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1) 및 수용 공간(11)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12)를 구비하며, 연장부(12)의 한 변에는 제1 체결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The accommodating part 10 includes an accommodating space 11 capable of accommodating items such as clothes and an extension 12 extending out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11, and the extension 12 A first fastening part 1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

수용 공간(11)은 의류 등의 소망하는 물건이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수직 방향(도 2의 지면 방향)의 깊이를 갖는다. 수용 공간(11)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부(10)에는, 수용 공간(11)으로부터 연장부(12)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파여있는 오목부(112)가 사각형의 각 변마다 1개씩 형성되어 있다. The accommodating space 11 has a dep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round direction in FIG. 2 ) enough to stably accommodate a desired article such as clothes. The accommodation space 11 is configured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polygons and circles.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0 , a concave portion 112 , which is cut out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accommodating space 11 toward the extension 12 , is formed one by one for each side of the quadrangle.

마주보는 두 변에 위치한 오목부(112a, 112b, 112c, 112d)는 서로 비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장변의 일측(도 2의 상측)에서부터 오목부(112a)까지의 거리(Da)는 장변의 타측(도 2의 하측)에서부터 마주보는 오목부(112b)까지의 거리(Db)와 같지 않게, 서로 마주보는 장변의 오목부(112a, 112b)가 형성된다. 또한, 단변의 일측(도 2의 좌측)에서부터 오목부(112c)까지의 거리(Dc)는 단변의 타측(도 2의 우측)에서부터 마주보는 오목부(112d)까지의 거리(Dd)와 같지 않게, 서로 마주보는 단변의 오목부(112c, 112d)가 형성된다. 요컨대, 다음의 수식을 만족한다.The concave portions 112a, 112b, 112c, and 112d located on two opposite sides are formed at positions asymmetric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distance Da from one side of the long side (upper side in FIG. 2 ) to the concave portion 112a is equal to the distance Db from the other side (lower side in FIG. 2 ) of the long side to the opposite concave portion 112b and Unlikely, concave portions 112a and 112b of long side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In addition, the distance Dc from one side of the short side (left in FIG. 2 ) to the concave portion 112c is not the same as the distance Dd from the other side (the right side in FIG. 2 ) of the short side to the opposite concave portion 112d. , concave portions 112c and 112d of short side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In short, the following formula is satisfied.

[수식 1] Da≠Db, Dc≠Dd[Equation 1] Da≠Db, Dc≠Dd

이와 같이 형성하면, 수용부(11)가 다른 포장 용기의 수용부와 상하로 적층될 때, 적층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장 용기의 수용부(A)와 제2 포장 용기의 수용부(B)를, 예를 들어 서로 180도 회전시켜 수직 방향으로 적층시키면, 상하 방향의 오목부가 서로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수용부(B)가 수용부(A)의 수용 공간 내로 들어가지 않고 안정적인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formed in this way, when the accommodating part 11 is stacked up and down with the accommodating part of another packaging container, the stacked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accommodating part (A) of the first packaging container and the accommodating part (B) of the second packaging container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rotating each other by 180 degrees, for example, in the vertical direction Since the concave portions do not overlap each other, the receiving portion B does not enter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 and a stable stacking state can be maintained.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변의 오목부 중 상측의 오목부(112d)는 변의 중심 근방에 형성되어 있지만, 하측의 오목부(112c)에 더 가깝게 형성될 수도 있다. 요컨대, 마주보는 변의 오목부들은 변의 중심을 기준으로 같은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다른 포장 용기의 수용부를 180도 회전시켜 수용부(11)에 적층할 때, 더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해진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concave portion 112d among the concave portions of the short side is formed near the center of the side, but may be formed closer to the lower concave portion 112c. In other words, the concave portions of the opposite sides may be disposed on the sam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ide. In this way, when stacking on the receiving portion 11 by rotating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other packaging container by 180 degrees, more stable stacking is possible.

덮개부(20)는 수용부(10)의 한 변으로부터 연장되며 수용부(10)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덮개부(20)의 한 변에는 수용부(10)의 제1 체결부(121)와 체결될 수 있도록 제1 체결부(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부(221)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121)는 세로로 긴 형태의 돌출편으로 구성되며, 제2 체결부(221)는 세로로 긴 형태의 구멍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The cover part 2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0 and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ng part 10 . One side of the cover part 20 has a second fastening part 22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21 so as to be fastened with the first fastening part 121 of the receiving part 10 . For example, the first fastening part 121 may be configured as a vertically long protrusion piece,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221 may be configured as a vertically long hole part, and vice versa. .

제1 체결부(121)와 제2 체결부(221)가 서로 체결됨으로서, 수용부(10)와 덮개부(20)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체결부(121)와 제2 체결부(221)의 개수는, 수용부(10)와 덮개부(20)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면, 반드시 2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As the first fastening part 12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221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receiving part 10 and the cover part 20 can be maintained in a completely closed state.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first fastening part 12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221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wo as long as the receiving part 10 and the cover part 20 can be firmly fastened.

또한, 덮개부(20)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수용 공간(11)에 대응하는 부분은, 수용부(10) 내의 물건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20 , for exampl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on space 11 ,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object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10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또한, 덮개부(20)와 수용부(10)의 연결 부분에는, 수용부(10)를 덮개부(2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ut line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ver part 20 and the accommodation part 10 so that the accommodation part 1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ver part 20 .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덮개부(2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덮개부(2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제1 체결부(121)와 제2 체결부(221)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necessary, the cover part 20 may not be provided, and even when the cover part 20 is provided, the first fastening part 12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221 may not be provided. have.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포장 용기(1)를 적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laminating the packaging container 1 configured in this way will be described.

도 3에는 2개의 포장 용기로부터 얻어진 2개의 수용부(A, B)가 적층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3 shows a state in which two receiving portions (A, B) obtained from two packaging containers are stacked.

포장 용기의 덮개부를 제거하고, 수용부만을 이용하여 거기에 의류를 보관하고 싶은 경우, 수용부(A)에 의류를 보관하고, 다른 포장 용기에서 얻어진 수용부(B)를 수용부(A)에 대해 180도 회전시켜 적층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이면서도 공간을 최소화하는 상태로 의류 보관함을 형성할 수 있다.If the cover of the packaging container is removed and clothes are stored there using only the accommodating part, the clothes ar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 and the accommodating part (B) obtained from another packaging container is plac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 When stacked by rotating 180 degrees to the stack, as shown in FIG. 3 , a clothing storage box can be formed in a stable and space-minimized state.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부(10)의 수용 공간(11)의 각 변에 형성된 오목부(112a-112d)는, 대향하는 변의 오목부(112a-112d)와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수용부(10)를 도 3에서와 같이 180도 회전한 상태로 적층하면 안정적으로 2개의 수용부(10)를 적층할 수 있다. 다른 수용부를 더 적층할 때에도 180도씩 회전하여 수용부를 적층하면 하나의 수용부(10)만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에 높이 방향으로 여러 개의 수용부를 적층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cessed portions 112a-112d formed on each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10 are asymmetrically formed with the recessed portions 112a-112d of the opposite side, 2 When the dog receiving part 10 is stacked in a state rotated 180 degrees as shown in FIG. 3 , the two receiving parts 10 can be stacked stably. When the other accommodating parts are further stacked, if the accommodating parts are stacked by rotating by 180 degrees,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can be stacked in a height direction in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only one accommodating part 10 .

이와 같이, 제한된 공간에 복수 개의 포장 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버려졌던 포장 용기의 재활용이 극대화되고 자원 낭비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since a plurality of packaging containers can be stacked stably in a limited space, recycling of conventionally discarded packaging containers is maximized and resource waste is minimized.

또한, 포장 용기에는 여러가지 다양한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식적인 효과도 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various design elements can be added to the packaging container, a decorative effect can also be given.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12)가 연장부(12)를 향해 개방되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오목부(112)가 연장부(12)를 향해 상방으로 막혀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오목부의 배치 관계가 [수식 1]을 만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오목부(112)가 연장부(12)를 향해 상방으로 막혀 있는 경우에는, 오목부(112)의 내부가 소정의 재료로 채워져 있어도 좋다. In addition, although the recessed part 112 is opened toward the extended part 12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recessed part 112 may be blocked upward toward the extended part 12.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recesses does not need to satisfy [Equation 1]. In addition, when the recessed part 112 is blocked upward toward the extension part 12, the inside of the recessed part 112 may be filled with a predetermined|prescribed material.

<제2 실시형태> <Secon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 용기를 활용한 적층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cked state diagram using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제2 실시형태는, 포장 용기(1)의 수용 공간(11)에 오목부(112)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수용 공간(11)의 안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부(114a, 114b, 116)가 형성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면 부호 114a, 114b는 장변 돌출부라 하고, 도면 부호 116은 단변 돌출부라 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cave portion 112 is not form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11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but the protrusions 114a, 114b, 11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11. I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is formed. Reference numerals 114a and 114b denote long-side protrusions, and reference numeral 116 denotes short-side protrusions.

이와 같이, 수용 공간(11)의 안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부(114a, 114b, 116)를 형성하면, 제1 실시형태서처럼, 서로 마주보는 변에 있는 오목부들이 서로 비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서로 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In this way, when the projections 114a, 114b, and 116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cesses on the opposite sides are formed at positions asymmetric to each other. Although there may be, you may form in the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 돌출부(114a, 114b)는 사각형의 수용 공간(11)의 장변에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변 돌출부(116)는 장변 돌출부(114a, 114b)로부터 더 먼쪽의 단변에만 1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돌출부가 3개만 구비된 이유는, 3개의 돌출부만 있으면 수용부(10)가 다른 포장 용기의 수용부와 상하로 적층될 때 무게중심을 적절히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As shown, the long side protrusions 114a and 114b are formed one by one on the long side of the rectangular accommodation space 11 . In addition, one short side protrusion 116 is formed only on the short side farther from the long side protrusions 114a and 114b. The reason that only three protrusions are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if there are only three protrusions,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when the accommodating part 10 is stacked up and down with the accommodating parts of other packaging containers.

또한, 도 6에서처럼 제1 포장 용기의 수용부(A) 위에 제2 포장 용기의 수용부(B)를 적층할 때, 서로 180도 회전시킬 필요 없이 서로 상하로 적층해도 돌출부(114) 때문에 수용부(B)가 수용부(A) 안으로 들어갈 염려가 없다.In addition, when stacking the accommodating part (B) of the second packaging container on the accommodating part (A) of the first packaging container as in FIG. 6 , even if stacked up and down without having to rotate each other 180 degrees, the receiving part due to the protrusion 114 There is no fear that (B) will go into the receiving part (A).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에 형성된 2개의 돌출부(114)가 서로 마주보면서 대칭일 경우, 돌출부(114)는 변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변의 중심에 대칭인 2개의 돌출부가 위치할 경우, 적층 시에 무게중심이 제대로 잡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as shown, when the two protrusions 114 formed on the long side face each other and are symmetrical,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s 114 be deviated from the center of the side. This is because, when two symmetrical protrusions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ide, the center of gravity may not be properly captured during lamination.

마찬가지로, 3개든 4개든 돌출부(114)를 형성할 때에는, 수용부(A)와 수용부(B)가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었을 때, 무게중심이 잡힐 수 있도록 돌출부(114)의 위치를 결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에 2개의 돌출부(114)가 서로 마주보면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단변에 형성되는 1개의 돌출부(114)는 장변의 2개의 돌출부(114)로부터 더 먼쪽의 단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milarly, when forming the three or four protrusions 114, when the receiving portion (A) and the receiving portion (B)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114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caught. . For example, as shown, when two protrusions 114 are formed on the long side to face each other, one protrusion 114 formed on the short side is the short side farther from the two protrusions 114 of the long sid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형태에서도 수용 공간의 형태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s not limited to a quadrangle, and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d a polygon.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는, 덮개부도 수용부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덮개부도 수용부처럼 적층에 있어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다르다.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The thir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that the lid part also has the same shape as the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lid part is also recyclable in lamination like the accommodating par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0)는 수용부(10)와 마찬가지로 수용 공간(21), 연장부(22) 및 오목부(212)를 갖는다. 이때, 수용부(10) 및 덮개부(20)는 본 발명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에 대응하고, 수용 공간(11) 및 수용 공간(21)은 본 발명의 제1 수용 공간 및 제2 수용 공간에 대응하며, 연장부(12) 및 연장부(22)는 본 발명의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에 대응하고, 오목부(112) 및 오목부(212)는 본 발명의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에 대응한다.As shown in FIG. 7 , the cover part 20 has an accommodating space 21 , an extended part 22 , and a recessed part 212 like the accommodating part 10 . At this time, the accommodating part 10 and the cover part 20 correspond to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modating space 11 and the accommodating space 21 are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pace, the extension 12 and the extension 22 correspond to the first extension and the second ext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cave portion 112 and the concave portion 212 are the first ext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1st recessed part and the 2nd recessed part.

한편, 제1 수용 공간 및 제2 수용 공간에는, 오목부 대신에 제2 실시형태에서와 같은 돌출부를 구비해도 좋다.In addition, you may provide the 1st accommodation space and the 2nd accommodation space with the same protrusion part as in 2nd Embodiment instead of a recessed part.

이와 같이 함으로써, 포장 용기의 수용부 뿐만 아니라 덮개부도 의류 보관 용기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 낭비의 저감 효과가 배가된다.By doing in this way, since not only the housing part of the packaging container but also the cover part can be utilized as a clothing storage container, the reduction effect of resource waste is doubl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근본적인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를 본 발명은 포괄한다. 예컨대, 다른 포장 용기와의 안정적인 적층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오목부 또는 돌출부의 개수와 형상은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fundamental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number and shape of the recesses or protrusions may be any as long as it can ensure stable lamination with other packaging containers.

Claims (13)

포장 용기로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는, 바깥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와 다른 포장 용기의 수용부가 적층되었을 때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포장 용기.
A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receiving space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to accommodate an object and a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n extension extending out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re form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an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portions of other packaging containers are stacked. placed in a packaging contai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수용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ckaging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lid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cover the receiving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부가 형성되는, 포장 용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fastening part is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is formed in the cover par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so as to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주보는 변의 오목부들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를 각각 포함하며, 마주보는 변의 일측에서부터 제1 오목부까지의 거리가 마주보는 변의 타측에서부터 상기 제2 오목부까지의 거리와 같지 않게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가 배치되는, 포장 용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ccommodating space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concave portions of the opposite sides include a first concave portion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facing each other,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from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is the opposite side. The packaging container, wherein the first recessed portion and the second recessed portion are disposed not equal to a distance from the other side to the second recessed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같은 쪽에 배치되는, 포장 용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concave portion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are disposed on the sam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ide, the packaging container.
포장 용기로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수용 공간 및 상기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안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 용기.
A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receiving space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to accommodate an object and a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n extension extending out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A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form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수용부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 용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ackaging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lid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cover the receiving por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부가 형성되는, 포장 용기.
8. The method of claim 7,
A first fastening part is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is formed in the cover par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so as to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변에는 서로 대칭이거나 서로 비대칭인 위치에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포장 용기.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The accommodating space is configur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or asymmetric to each other on opposite sides of the packaging contain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직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마주보는 2개의 장변에 각각 형성된 장변 돌출부와, 상기 장변 돌출부로부터 더 먼쪽의 단변에 형성되는 단변 돌출부를 포함하는, 포장 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ccommodating space is configur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includes a long side protrusion formed on two opposite long sides, respectively, and a short side protrusion formed on a short side farther from the long side protrusion.
포장 용기로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제2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바깥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바깥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1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적층되었을 때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포장 용기.
A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first portion comprising a first accommodating space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to accommodate an object, and a first extension extending outwardly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a second portion including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 plurality of first recesses are form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second recesses are form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is formed,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concave portion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cave portions are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re stacked.
포장 용기로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제2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안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제1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용 공간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안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 용기.
A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first portion comprising a first accommodating space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to accommodate an object, and a first extension extending outwardly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a second portion including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In the packaging container.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체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포장 용기.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first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so as to be fastened wit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KR1020200055185A 2020-05-08 2020-05-08 Package container KR1023894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85A KR102389485B1 (en) 2020-05-08 2020-05-08 Packag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85A KR102389485B1 (en) 2020-05-08 2020-05-08 Package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648A true KR20210136648A (en) 2021-11-17
KR102389485B1 KR102389485B1 (en) 2022-04-25

Family

ID=7870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185A KR102389485B1 (en) 2020-05-08 2020-05-08 Package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48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38U (en) * 1992-06-25 1994-01-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Transport container
JPH11100036A (en) * 1997-09-24 1999-04-13 Chugoku Pearl Hanbai Kk Stackable container for delivery service
JP2000355315A (en) * 1999-06-11 2000-12-26 Fuji Seal Inc Packaging container
KR20090015607A (en) * 2007-08-09 2009-02-12 김동윤 The connect structure of box
KR20110007519U (en) * 2010-01-22 2011-07-28 오영숙 A Packing Vessel
KR20170002459U (en) * 2016-08-19 2017-07-07 이호열 Easy opening disposable packag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38U (en) * 1992-06-25 1994-01-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Transport container
JPH11100036A (en) * 1997-09-24 1999-04-13 Chugoku Pearl Hanbai Kk Stackable container for delivery service
JP2000355315A (en) * 1999-06-11 2000-12-26 Fuji Seal Inc Packaging container
KR20090015607A (en) * 2007-08-09 2009-02-12 김동윤 The connect structure of box
KR20110007519U (en) * 2010-01-22 2011-07-28 오영숙 A Packing Vessel
KR20170002459U (en) * 2016-08-19 2017-07-07 이호열 Easy opening disposable pac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485B1 (en) 202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815B2 (en) Thermoformed package
CA1134291A (en) Nestable and stackable container
US9505523B2 (en) Food package
KR101393207B1 (en) The assembly type box for packaging heavyweight products
KR102389485B1 (en) Package container
JPH02504501A (en) container adapter
US20140263384A1 (en) Food package
JPH11105855A (en) Corrugated board box
KR200495498Y1 (en) Paper box with 8-square shape for fruit packing
JP5232044B2 (en) Container holding sheet
KR102139686B1 (en) Square strawberry packaging container
US20170081077A1 (en) A Lid and a Storage System
KR20100043649A (en) Packing box for delivering food
KR200392144Y1 (en) Disposable Packing Container
KR200495568Y1 (en) Packing Box
KR20040042018A (en) Containing and packing box assembly
JP2017214097A (en) Outer frame body for packaging
JP3246166U (en) storage equipment
JP3342682B2 (en) Mainly plastic egg containers for business use
CN214649984U (en) Packaging structure
CN215285972U (en) Box
KR200408227Y1 (en) A noodles box which it packs
RU148047U1 (en) FORMED PACKAGING FOR EGGS AND GOODS, LIKE AN EGG, AND COVER FOR IT
JP2005153934A (en) Strawberry container
JPH06329158A (en) Container for hau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