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390A - Method for automatically enterring a search keyword in the search window of a web browser by interoperating a message and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automatically enterring a search keyword in the search window of a web browser by interoperating a message and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390A
KR20210136390A KR1020200054552A KR20200054552A KR20210136390A KR 20210136390 A KR20210136390 A KR 20210136390A KR 1020200054552 A KR1020200054552 A KR 1020200054552A KR 20200054552 A KR20200054552 A KR 20200054552A KR 20210136390 A KR20210136390 A KR 20210136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valid data
search
web browser
search key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하연
Original Assignee
주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연 filed Critical 주하연
Priority to KR1020200054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6390A/en
Publication of KR2021013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3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58Heading extraction; Automatic titling; Numb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earch keyword inputting method interoperating with an intelligent message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ic search keyword inputting method interoperating with an intelligent message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tracting valid data to be determined as a keyword in a message field included in a message simultaneously with connecting to a web browser based on the message field included in the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mobile phone, a smartphone, and the like), determining any one among valid data extracted when connecting to internet as a keyword to be input in a search box of the web browser, and enabling automatic input in the search box of the web browser simultaneously with connecting to the web browser.

Description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 및 통신 단말기{METHOD FOR AUTOMATICALLY ENTERRING A SEARCH KEYWORD IN THE SEARCH WINDOW OF A WEB BROWSER BY INTEROPERATING A MESSAGE AND COMMUNICATION TERMINAL}Intelligent message interlocking search keyword automatic input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 및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휴대폰, 스마트폰 등 포함)를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필드를 기초로 웹 브라우저 접속과 동시에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필드 내에서 키워드로 결정할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고, 인터넷 접속시 추출된 유효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할 키워드로 결정한 후 웹 브라우저 접속과 동시에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자동 입력되도록 하는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 및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message interlocking search keyword automatic input method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based on a message field included in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etc.) After extracting valid data to be determined as a keyword within the message field included in the message, and determining any one of the extracted valid data as a keyword to be entered into the search box of the web browser when accessing the Internet, the search box of the web browser is simultaneously accessed. It relates to an intelligent message interlocking search keyword automatic input method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automatically entered in the .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 이외에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문자 메시지 서비스와 인터넷 접속 서비스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어 제공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cell phones and smart phones are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text message service and Internet access service in order to meet various needs of users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in addition to voice calls.

문자 메시지 서비스는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 간에 상호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이고, 인터넷 접속 서비스는 특정 웹 사이트(페이지)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The text message service is a service that allows mutual text messages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Internet access service is a service that provides access to a specific website (pag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들어 문자 메시지 서비스와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상호 연동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에 소정 인터넷 주소가 함께 포함된 경우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해당 인터넷 주소로 접속할 수 있다. Recently, technologies for interworking a text message service and an Internet access service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if a predetermined Internet address is included in the message field of a received text message, clicking on the Internet address automatically accesses the Internet address.

그러나, 메시지 필드에 인터넷 주소를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소정 인터넷 주소가 포함되도록 문자 메시지를 작성한 후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 특히, 인터넷 주소는 영문과 특수문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However, in order to include the Internet address in the message field, it is cumbersome because a text message has to be created to include a predetermined Internet address and then transmitted. In particular, since the Internet address contains English and special characters, it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use.

또한, 문자 메시지에 인터넷 주소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대방과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수신된 소정의 텍스트, 예를 들면 '송도 메리빌리아'를 검색하기 위해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에 접속한 후 검색창에 '송도 메리빌리아'를 직접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로웠다. In addition, if the text message does not include an Internet address, a web browser ( It was cumbersome to use because you had to directly enter 'Songdo Meribilia' in the search bar after connecting to the web browser).

KR 10-2010-0067813 A, 2010. 06. 22.KR 10-2010-0067813 A, 2010. 06. 22. KR 10-1054568 B1, 2011. 07. 29.KR 10-1054568 B1, 2011. 07. 2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통신 단말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필드를 기초로 웹 브라우저(각종 포털 사이트 등 포함) 접속과 동시에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필드 내에서 검색 키워드로 결정할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고, 인터넷 접속시 추출된 유효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입력창)에 입력할 검색 키워드로 결정한 후 웹 브라우저 접속과 동시에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자동 입력되도록 하는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 및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ased on the message field included in the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web browser (including various portal sites, etc.) accesses the message field included in the message at the same time. extracts valid data to be determined as a search keyword fro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intelligent message interlocking search keywords for automatic input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를 매개로 사용자가 상대방과 1:1 또는 1:n(n은 자연수)으로 데이터 통신하는 과정에서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에서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 추출된 유효 데이터에서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할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과정; 및 사용자가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상기 결정된 검색 키워드를 자동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valid data in a message field of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a user in a 1:1 or 1:n (n is a natural number) data communication process with a counterpart via a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ocess of extracting; determining a search keyword to be input into a search box of a web browser from the extracted valid data; and automatically inputting the determined search keyword into a search window of the web browser while the user executes any one of the web browser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에 포함된 내용 중에서 보통명사 또는 고유명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효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valid data, at least one of a common noun and a proper noun among contents included in the message field of the message may be extracted as valid data.

또한, 상기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추출된 유효 데이터 중에서, 상기 웹 브라우저의 실행시간을 추출한 후 상기 웹 브라우저의 실행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기 바로 직전에 상기 통신 단말기로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를 검색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earch keyword, the execution time of the web browser is extracted from the extracted valid data and then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immediately before the execution of the web browser based on the execution time of the web browser or Valid data extracted from the message field of the received message may be determined as a search keyword.

또한, 상기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복수 개이고, 추출된 복수 개의 유효 데이터가 동일 시간에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에서 추출된 경우 이들 복수 개의 유효 데이터를 모두 검색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earch keywor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xtracted valid data and the plurality of extracted valid data is extracted from a message field of a message transmitted or received at the same time, all of the plurality of valid data are searched keywords. can be decided with

또한, 상기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검색 키워드를 자동 입력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검색 키워드를 동시에 상기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할 수 있다. Also, in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inputting a search keyword into the search box of the web browser, the search keyword may be simultaneously inputted into the search box of the web browser.

또한, 상기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동일 시간에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추출된 유효 데이터를 탭 창을 통해 별도로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탭 창을 통해 제공되는 유효 데이터들 중 선택된 유효 데이터를 검색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earch keyword, if there are a plurality of valid data extracted from a message transmitted or receive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extracted valid data is separately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tab window, and then the user taps the tap Selected valid data among valid data provided through the window may be determined as a search keyword.

또한, 상기 메시지는 이동통신사업자에서 제공하는 문자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상대방과 주고받는 문자 메시지와, 카카오톡, 텔레그램, 라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을 포함하는 메신저 앱을 통해 사용자가 상대방과 주고받은 대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ssage is a text message that the user exchanges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text service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 communicates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messenger app including KakaoTalk, Telegram, Line, Facebook, and Instagram. Conversational messages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한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intelligent message interlocking search keyword automatic input method is executed.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를 매개로 사용자가 상대방과 1:1 또는 1:n(n은 자연수)으로 데이터 통신하고,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 주고받는 메시지에서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유효 데이터 추출부; 및 추출된 유효 데이터에서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할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검색 키워드를 사용자가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의 웹 브라우저를 실행할 때 상기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상기 결정된 검색 키워드를 자동 입력하는 키워드 입력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user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in 1:1 or 1:n (n is a natural number) via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ssage exchanged in a data communication process a valid data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valid data from; and determining a search keyword to be input into a search box of a web browser from the extracted valid data, and inserting the determined search keyword into a search box of the web browser when the user executes any one of the web browser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is a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keyword input unit for automatically inputting a determined search keyword.

또한, 상기 메시지는 이동통신사업자에서 제공하는 문자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상대방과 주고받는 문자 메시지와, 카카오톡, 텔레그램, 라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을 포함하는 메신저 앱을 통해 사용자가 상대방과 주고받은 대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ssage is a text message that the user exchanges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text service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 communicates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messenger app including KakaoTalk, Telegram, Line, Facebook, and Instagram. Conversational messages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유효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에 포함된 내용 중에서 보통명사 또는 고유명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효 데이터로 추출할 수 있다. Also, the valid data extraction unit may extract at least one of a common noun and a proper noun from among contents included in the message field of the message as valid data.

또한, 상기 키워드 결정부는 상기 추출된 유효 데이터 중에서, 상기 웹 브라우저의 실행시간을 추출한 후 상기 웹 브라우저의 실행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웹 브라우저에 실행하기 바로 직전의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를 검색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keyword determining unit extracts the effective data extracted from the message field of the message immediately before execution in the web browser based on the execution time of the web browser after extract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web browser from among the extracted valid data It can be determined by search keywords.

또한, 상기 키워드 결정부는 동일 시간 내에서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 모두 검색 키워드로 결정하여 동시에 상기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valid data extracted from a message transmitted or received within the same time period, the keyword determiner may determine all of them as a search keyword and simultaneously input it into a search window of the web browser.

또한, 상기 키워드 결정부는 동일 시간 내에서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추출된 유효 데이터를 탭 창을 통해 별도로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탭 창을 통해 제공되는 유효 데이터들 중 선택된 유효 데이터를 검색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valid data extracted from a message sent or received within the same time period, the keyword determining unit separately provides a plurality of extracted valid data to the user through the tab window, and then, through the tab window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valid data selected from among the provided valid data as a search keyword.

또한, 상기 메시지는 이동통신사업자에서 제공하는 문자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상대방과 주고받는 문자 메시지와, 카카오톡, 텔레그램, 라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을 포함하는 메신저 앱을 통해 사용자가 상대방과 주고받은 대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ssage is a text message that the user exchanges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text service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 communicates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messenger app including KakaoTalk, Telegram, Line, Facebook, and Instagram. Conversational messages may be includ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필드를 기초로 웹 브라우저 접속과 동시에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필드 내에서 키워드로 결정할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고, 인터넷 접속시 추출된 유효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할 키워드로 결정한 후 웹 브라우저 접속과 동시에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자동 입력되도록 하는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 및 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상대방과의 메시지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특정 단어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별도로 웹 브라우저에 접속하는 경우 별도로 특정 단어를 입력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입력되어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a message field included in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valid data to be determined as a keyword is extracted from a message field included in a message simultaneously with web browser access, and Internet access By providing an intelligent message-linked search keyword automatic input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that determines any one of the extracted valid data as a keyword to be input in the search box of the web browser and then automatically enters it in the search box of the web browser at the same time as accessing the web browser.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a message with the other party, if a separate web browser is accessed to obtain information on a specific word included in the message, it is automatically entered without entering a specific word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c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일례로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메시지에서 결정된 검색 키워드가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된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메시지에서 결정된 검색 키워드가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된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동일 송수신 시간 내에서 송수신된 메시지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 결정된 검색 키워드가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동일 시간 내에서 송수신된 메시지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탭 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intelligent message interlocking search keywo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extracting valid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process for extracting valid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aging valid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determining a search keyw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arch keyword determined from the message shown in FIG. 2 is inputted into a search window of a web browser as an example;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arch keyword determined from the message shown in FIG. 3 is inputted into a search window of a web browser as an exampl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termined search keyword is input into a search window of a web brows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valid data extracted from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in the same transmission/reception time;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determining a search keywor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valid data extracted from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in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ab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메시지'라 함은 이동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와,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각종 소셜 메신저, 예를 들면 카카오톡, 텔레그램, 라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에서 제공하는 대화창을 통해 1:1 또는 1:n(n은 자연수)로 주고받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메시지'는 한글이나 영어에 국한되지 않고, 현재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term 'message' refers to a text message service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a chat window provided by various social messengers install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KakaoTalk, Telegram, Line, Facebook, Instagram, etc. It includes messages sent and received 1:1 or 1:n (n is a natural number).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essage' is not limited to Korean or English, and may include languages and numbers currently used around the world.

본 명세서에 기재된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망에서 정보를 검색하는데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인터넷의 모든 서비스와 자료에 접근하는 일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예를 들어, 파이어폭스, 익스플로러, 크롬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웹 브라우저'는 통신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각종 포털 사이트 앱(네이버, 다음, 구글 등), 각종 음식물 배달 앱(배달의 민족, 배달통 등) 및 각종 쇼핑몰 앱(쿠팡, 11번가, 티몬, G마켓 등)을 포함한다. The 'web browser'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an application program used to search for information on the Internet network,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supports access to all services and data on the Internet. Examples include Firefox, Explorer, and Chrom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eb browser' refers to various portal site apps (Naver, Daum, Google, etc.) installed in the form of applications on communication terminals, various food delivery apps (Baedal Minjok, Baedaltong, etc.) and various shopping mall apps ( Coupang, 11st, Timon, Gmarket, etc.).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intelligent message-linked search keywo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통신 단말기를 매개로 상대방과 메시지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필드 내에서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S11)과, 추출된 유효 데이터에서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할 때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되는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과정(S12)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in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inputting keywords for intelligent message interlocking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lid data in a message field included in a message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a message with a counterpart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It includes a process of extracting (S11) and a process (S12) of determining a search keyword input to a search window of the web browser when executing a web browser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extracted valid data.

유효 데이터 추출 과정Valid data extraction proces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extracting valid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M)와 상대방(Y) 사이에서 통신 단말기(1)를 매개로 메시지가 송수신되어 통신 단말기(1)의 메시지 창(1a)에 도 2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It is assumed that a message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user M and the counterpart Y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a message as shown in FIG. 2 is displayed in the message window 1a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

유효 데이터는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alid data can be shown in [Table 1] below.

대상Target 메시지message 유효 데이터valid data 상대방(Y)Opponent (Y) 잘 지내지?How are you? -- 사용자(M)User (M) 오랜 만이다A long time -- 상대방(Y)Opponent (Y) 나 결혼해... 이번 토요일에I'm getting married... this saturday 결혼, 토요일wedding, saturday 사용자(M)User (M) 오, 축하해 어디서?Oh, congratulations, where are you? -- 상대방(Y)Opponent (Y) 송도 메리빌리아에서, 꼭 와라^^From Songdo Meribilia, please come ^^ 송도, 메리빌리아Songdo, Maryville 사용자(M)User (M) 엉, 갈께.^^Eh, I'll go. --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S11)에서는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 내에 포함된 텍스트, 즉 단어 중 고유명사 및/또는 보통명사로 이루어진 단어를 유효 데이터로 추출한다.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valid data ( S11 ), texts included in the message field of the message, that is, words composed of proper nouns and/or common nouns among words are extracted as valid data.

이때, 유효 데이터로 추출되는 고유명사와 보통명사는 문자에 한정되지 않고, 고유명사 또는 보통명사화된 아라비안 숫자와 외래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언어에 있어서도 한글에 국한되지 않고 전세계에서 사용되는 모든 언어를 포함한다. In this case, proper nouns and common nouns extracted as valid data are not limited to characters, and may include proper nouns or Arabian numbers and foreign words that have been converted into common nouns. Also, the language is not limited to Hangul, but includes all languages used in the world.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통신 단말기(1)를 통해 상대방과의 통신을 통해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잘 지내지?", "오랜 만이다", "나 결혼해..." 이번 토요일에", "오, 축하해 어디서", "송도 메리빌리아에서", "꼭 와라", "엉", "갈께." 등과 같이, 인사말, 안부 등과 같은 인칭 대명사, 동사, 부사 및/또는 형용사, 특수문자, 기호, 이모티콘 등은 유효 데이터에서 제외하고, "결혼", "토요일", "송도", "메리빌리아" 등과 같이 고유명사나 보통명사를 유효 데이터로 추출한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message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as shown in FIG. 2 , "How are you?", "It's been a while", "I'm getting married..." Personal pronouns, verbs, adverbs, and/or adjectives such as greetings, greetings, etc , special characters, symbols, emoticons, etc. are excluded from valid data, and proper or common nouns such as “marriage”, “Saturday”, “Songdo”, and “Maryvillea” are extracted as valid data.

한편,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S11)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단어들 중 고유명사와 보통명사를 포함하는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1)의 메모리나 혹은 별도로 관리서버가 구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단어와 일대일 맵핑을 통해 추출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valid data (S11), the method of extracting valid data including proper nouns and common nouns from among the words included in the message is, for example, the memor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or separately. When a management server is built, it may be extracted through one-to-one mapping with words stored in a databas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1)의 메모리, 혹은 통신 단말기(1)와 유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된 클라우드, 외부 클라우드, 외부 메모리장치,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등(이하, '저장매체'라 함)에는 고유명사와 보통명사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도 2와 같이 통신 단말기(1)를 통해 메시지가 송수신되면,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 내에 포함된 모든 단어들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고유명사나 보통명사와 각각 일대일로 비교, 즉 일대일 매핑시켜 일치하는 단어를 유효 데이터로 추출한다. For example, the memory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or the cloud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n external cloud, an external memory device, a database of the management server,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orage medium') is unique Nouns and common nouns are stored and managed. In this structure, when a message is transmitted/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as shown in FIG. 2 , all words included in the message field of the message are compared with proper nouns or common noun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one-to-one, i.e., matched by one-to-one mapping. Extract words as valid data.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process of extracting valid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M)와 상대방(Y) 사이에서 통신 단말기(1)를 매개로 도 3과 같은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유효 텍스트는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ssuming that a message as shown in FIG. 3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user M and the counterpart Y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valid text can be represented as shown in [Table 2] below.

대상Target 문자 메시지text massage 유효 텍스트valid text 상대방(Y)Opponent (Y) 여보...honey... -- 사용자(M)User (M) 왜?why? -- 상대방(Y)Opponent (Y) 오늘 저녁 배달 시켜 먹자?Let's have it delivered for dinner tonight? 저녁, 배달dinner, delivery 사용자(M)User (M) 뭐 시켜?what do you do -- 상대방(Y)Opponent (Y) 족발 시켜먹자Let's eat pork feet 족발Pork feet 사용자(M)User (M) 알았어.okay. --

상기 [표 2]에서, 보통명사인 '저녁', '배달', '족발'은 유효 데이터로 추출된다. In [Table 2], common nouns 'dinner', 'delivery', and 'jokbal' are extracted as valid data.

한편,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S11)에서는 메시지의 내용이 많아 추출되는 유효 데이터의 개수가 많은 것을 감안하여 통신 단말기(1)의 메시지 창(1a)에 동시에 표시되는 유효 데이터를 관리한다. 즉, 메시지 창(1a)의 한 화면(이하, '프레임'이라 함)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유효 데이터를 추출, 제거 및 갱신할 수 있다. 즉, 추출된 유효 데이터는 통신 단말기(1)의 프레임 단위로 각각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valid data ( S11 ), the valid data simultaneously displayed in the message window 1a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managed in consideration of the large number of extracted valid data due to the large content of the message. That is, it is possible to extract, remove, and update valid data by dividing the message window 1a based on one scr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rame'). That is, the extracted valid data can be managed by classifying each frame uni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aging valid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통신 단말기(1)의 프레임 내에 송수신을 통해 메시지가 신규("토요일에 보자")(이하, '신규 메시지'라 함)로 새롭게 추가되는 경우에는, 현재 프레임 내에서 표시되는 메시지 중 최초로 송수신된 메시지("잘 지내지?")(이하, '최초 메시지'라 함)를 제외하고, 신규 메시지에서 유효 데이터를 추출한다. Referring to FIG. 4 , when a message is newly added (“see you on Saturd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new message”) through transmission/reception in the frame of the current communication terminal 1, it is displayed in the current frame. Valid data is extracted from the new message, except for the first transmitted/received message (“How are you?”)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message') among the messages that become available.

만일, 신규 메시지 내에서 유효 데이터가 추출된 경우 저장매체에 등록 저장되고, 최초 메시지 내에서 유효 데이터가 추출되어 저장매체에 저장된 경우 이 유효 데이터는 자동 삭제된다. 즉, 신규 메시지 내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로 갱신된다. 이때, 동일 프레임 내에서 복수 개의 유효 데이터가 추출된 경우, 이렇게 추출된 유효 데이터는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시간과 함께 순차적으로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If valid data is extracted from the new message, it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If valid data is extracted from the original message and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he valid data is automatically deleted. That is, it is updated with valid data extracted from the new message.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valid data is extracted from within the same frame, the extracted valid data may be sequential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ogether with the time when the message is transmitted/received.

물론, 본 발명에에서는 유효 데이터를 삭제 및 갱신등록할 때 프레임 단위로 결정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메시지의 글자수나, 혹은 송수신 시간에 따라 구분하여 유효 데이터 목록에서 유효 데이터를 삭제 및 신규로 등록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leting and updating valid data, it is determined on a frame-by-frame basis, but this is an example. can also be managed.

검색 키워드를 결정 과정The process of determining search keywords

도 1과 같이, 추출된 유효 데이터에서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할 때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되는 검색 키워드를 결정한다. 이때, 유효 데이터가 한 개인 경우에는 해당 유효 데이터를 검색 키워드로 결정하고, 만일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우선 순위를 두어 검색 키어드를 결정한다. As shown in FIG. 1 , when executing a web browser install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extracted valid data, a search keyword input to a search window of the web browser is determined. In this case, when there is one valid data, the valid data is determined as a search keyword, and when there are multiple extracted valid data, the search keyword is determined by giving priority.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일례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search keywo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들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지를 판단하고(S121),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면(Y), 웹 브라우저 실행(접속)시간(t)을 산출하고(S122), 산출된 웹 브라우저의 실행시간(t)을 기준으로 웹 브라우저에 접속하기 바로 이전시간(t-1)에 통신 단말기(1)에 송수신되어 메시지 창(1a)에 표시된 메시지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를 검색 키워드로 결정한다(S123). 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executes any one of the web browser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S121), and when the web browser is executed (Y), the web browser execution (access) time t Calculated (S122), based on the calculated execution time (t) of the web browser, in the message transmitted to and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at the time t-1 immediately before accessing the web browser and displayed in the message window 1a The extracted valid data is determined as a search keyword (S123).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예의 경우, 결정된 검색 키워드는 하기 [표 3] 및 [표 4]와 같다. 2 and 3, the determined search keywords are shown in [Table 3] and [Table 4] below.

송수신 시간Send and receive time 유효 데이터 목록List of valid data 결정된 검색 키워드
determined search keywords
t-2t-2 결혼, 토요일wedding, saturday
메리빌리아

marivilia
t-1t-1 송도, 메리빌리아Songdo, Maryville

송수신 시간Send and receive time 유효 데이터 목록List of valid data 결정된 검색 키워드
determined search keywords
t-2t-2 저녁, 배달dinner, delivery
족발

Pork feet
t-1t-1 족발Pork feet

상기 [표 3] 및 [표 4]에서 결정된 검색 키워드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웹 브라우저 실행과 동시에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입력창)에 자동 입력되고, 사용자가 검색을 실행하면, 검색창에 입력된 해당 검색 키워드에 대한 정보가 자동 검색된다. The search keywords determined in [Table 3] and [Table 4] are automatically entered into the search window (input window) of the web browser at the same time as the web browser is executed, as shown in FIGS. 6 and 7, and when the user executes the search, the search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search keyword entered in the window is automatically searched.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메시지에서 결정된 검색 키워드가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된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메시지에서 결정된 검색 키워드가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된 상태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arch keyword determined from the message shown in FIG. 2 is input into a search window of a web browser as an example,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rch keyword determined from the message shown in FIG. It is a diagram showing the input state as an example.

도 6 및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에 설치된 어느 하나의 웹 브라우저(예컨대, 네이버) 실행과 동시에 네이버의 검색창(입력창)에 자동 입력되고, 사용자가 검색을 실행하면, 검색창에 입력된 해당 검색 키워드에 대한 정보가 자동 검색된다. As shown in FIGS. 6 and 7 , when the user executes any one of the web browsers (eg, Naver)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it is automatically entered into the search window (input window) of Naver, and when the user executes a search,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search keyword entered in the search box is automatically searched.

한편, 상기 [표 3]과 같이,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동일 송수신 시간(t-1) 내에서 송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로부터 복수 개의 유효 데이터("송도", "메리빌리아")가 추출된 경우에는 이들 유효 데이터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검색 키워드("송도 메리빌리아")로 결정할 수도 있다. 그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Table 3],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earch keyword, a plurality of valid data (“Songdo”, “Meribilia”) is obtained from the message field of the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in the same transmission/reception time (t-1). In the case of extraction, these valid data may be linked to each other and determined as a single search keyword (“Songdo Meribilia”). An example is shown in FIG. 8 .

도 8은 동일 송수신 시간 내에서 송수신된 메시지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 결정된 검색 키워드가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etermined search keyword is input into a search window of a web brows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valid data extracted from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in the same transmission/reception time.

도 8과 같이, 동일 시간(t-1) 내에서 송수신된 메시지에서 추출된 복수 개의 유효 데이터는 모두 동시에 네이버의 검색창(입력창)에 자동 입력되고, 사용자가 검색을 실행하면, 검색창에 입력된 해당 검색 키워드에 대한 정보가 자동 검색된다. As shown in FIG. 8 , a plurality of valid data extracted from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in the same time t-1 are all automatically entered into Naver's search window (input window) at the same time, and when the user executes a search, the Information about the entered search keyword is automatically search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동일 시간 내에서 송수신된 메시지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determining a search keywor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valid data extracted from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in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동일 시간 내에서 송수신된 메시지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 웹 브라우저가 실행됨과 동시에 유효 데이터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검색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별도의 탭 창(2)을 제공한다. 9 ,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valid data extracted from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in the same time, a separate tab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determine any one of the valid data as a search keyword while the web browser is executed. A window (2) is provided.

탭 창(2)에는 동일 시간 내에서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각각 표시되고,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해당 유효 데이터가 검색 키워드로 결정되어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자동 입력되어 검색된다. In the tab window 2, valid data extracted from messages sent or received within the same time are displayed, respectively, and when any one of them is selected, the selected valid data is determined as a search keyword and executed as a search window of a web browser. is automatically entered and searched fo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을 통해서는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를 매개로 상대방과 1:1 또는 1:n(n은 자연수임)(메신저)로 대화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메시지 내에 포함된 유효 데이터에 대한 자료 및 정보를 얻기 위해 다양한 웹 브라우저 등에 접속하고자 할 때 자동으로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되어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해야만 하는 수고를 덜어주는 등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intelligent message interlocking search keyword automatic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s 1:1 or 1:n (n is a natural number) (messenger) with the other party via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a conversation, when you want to access various web browsers to obtain data and information on valid data included in the message, it is automatically entered into the web browser's search box to make a search, so you can enter keywords into the search box separately.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such as reducing the effort requir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통신 단말기를 매개로 상대방과 메시지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필드 내에서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유효 데이터 추출부(11)와, 이렇게 추출된 유효 데이터에서 통신 단말기(1)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할 때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되는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키워드 결정부(1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valid data from a message field included in a message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a message with a counterpart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It includes a valid data extracting unit 11 and a keyword determining unit 12 that determines a search keyword input to a search window of the web browser when executing a web browser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from the extracted valid data.

유효 데이터 추출부(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통신 단말기를 매개로 상대방과 메시지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필드 내에서 보통명사와 고유명사를 유효 데이터로 추출한다(상기 [표 1] 및 [표 2]참조).As described above, the valid data extraction unit 11 extracts common nouns and proper nouns as valid data in the message field included in the message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a message with the other party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See [Table 1] and [Table 2] above).

한편, 유효 데이터 추출부(11)에서는 사용자가 송신한 메시지는 제외하고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 필드로부터 유효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효 데이터 제한은 사용자가 설정을 통해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valid data extraction unit 11 may extract valid data from a message field included in a message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except for a message transmitted by the user. This valid data limit can be variously changed by the user through settings.

한편, 유효 데이터 추출부(11)는 추출된 유효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유효 데이터의 삭제 및 갱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매체의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프레임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 Meanwhile, the valid data extraction unit 11 may store and manage the extracted valid data in a storage medium. In this case, deletion and update of valid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may be performed in units of frames to minimize the capacity of the storage medium, as described above. .

한편, 유효 데이터 추출부(11)는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저장매체에 기등록된 단어와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유효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즉, 저장매체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단어를 저장하고, 유효 데이터 추출부(11)에서 유효 데이터 추출시 저장매체에 저장된 단어와 매칭시켜 유효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alid data extraction unit 11 may extract valid data in a manner that matches the word registered in the storage medium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valid data. That is, words used in various field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valid data may be extracted by matching the word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when the valid data extraction unit 11 extracts valid data.

키워드 결정부(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효 데이터 추출부(11)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들 중에서 가장 늦게 통신 단말기(1)의 메시지 창(1a)에 표시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웹 브라우저에 입력할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keyword determining unit 12 prioritizes the valid data included in the message displayed in the message window 1a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last among the valid data extracted by the valid data extracting unit 11 as described above. can be determined as keywords to be entered into the web browser.

이러한 키워드 결정부(12)는 상기 [표 3] 및 [표 4]와 같이,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1)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웹 브라우저 접속시간(t)을 추출한 후 웹 브라우저 접속시간을 기준으로 웹 브라우저에 접속하기 바로 이전시간(t-1)의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데이터를 키워드로 결정한다.As shown in [Table 3] and [Table 4] above, the keyword determining unit 12 determines the web browser access time (t ), the valid data included in the message of the time immediately before access to the web browser (t-1) is determined as a keyword based on the web browser access time.

한편, 키워드 결정부(12)는 추출된 유효 데이터들 중 단어 하나만을 선정하거나, 혹은 복수 개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단어를 키워드로 선정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1)의 화면에 늦게 표시되는 순서대로 우선 순위가 부여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keyword determining unit 12 may select only one word from among the extracted valid data, or may select a plurality of words.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words are selected as keywords, priority may be given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displayed later on the scree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

예를 들어, 키워드 결정부(12)는 웹 브라우저의 접속시간을 't'라고 가정하면, 't-1'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유효 데이터를 1순위 키워드로 선정하고, 't-2'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유효 데이터를 2순위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ccess time of the web browser is 't', the keyword determining unit 12 selects valid data extracted from the text message displayed in 't-1' as the first priority keyword, and 't-2 ', valid data extracted from the text message displayed in ' can be selected as the second priority keyword.

물론, 동일 시간 내에서 송신 또는 수신되는 메시지 내에 복수 개의 유효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을 함께 동시에 표시하거나, 혹은 메시지 필드 내에서 배치 위치 또는 송수신되는 시간에 따라 우선 순위를 두는 방식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Of course, when a plurality of valid data exist in a message transmitted or received within the same time, they may be displayed together at the same time, or may be determined in a manner of prioritizing according to an arrangement position or transmission/reception time in a message field.

또한, 키워드 결정부(12)는 선정된 복수 개의 단어를 사이에 서로 연관성이 있는 경우 하나로 묶어 키워드로 선정할 수 있다. 즉, 장소(지명)와 상호명/공공기관명/건물명, 상호명과 음식명, 기념일과 물품명, 여행과 숙박시설명/항공사명/대중교통, 건강과 의료시설명, 쇼핑과 신발/의류 등을 하나로 묶어 키워드로 선정한다. Also, the keyword determiner 12 may select a keyword by grouping a plurality of selected words into one when there is a correlation therebetween. In other words, place (location) and business name/public institution name/building name, business name and food name, anniversary and product name, travel and accommodation facility name/airline name/public transportation, health and medical facility name, shopping and shoes/clothing are combined into one. Select by keyword.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탭 창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b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과 같이, 키워드 결정부(12)는 탭 창(3)을 제공한다. 11 , the keyword determining unit 12 provides a tab window 3 .

탭 창(3)은 유효 데이터 추출부(11)를 통해 통신 단말기(1)의 메시지 창(1a)의 한 프레임 내에서 복수 개의 유효 데이터가 추출된 경우, 웹 브라우저가 실행됨과 동시에 유효 데이터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검색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도록 공한다. When a plurality of valid data is extracted from within one frame of the message window 1a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 through the valid data extracting unit 11, the tab window 3 executes the web browser and selects one of the valid data. Any one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determine it as a search keyword.

사용자가 탭 창(3)에서 어느 하나의 유효 데이터를 선택하면, 선택된 해당 유효 데이터가 검색 키워드로 결정되어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자동 입력되어 검색된다.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valid data in the tab window 3 , the selected valid data is determined as a search keyword and is automatically input into the search window of the executed web browser to be search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기록 매체의 형태(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라 함은 컴퓨터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The intelligent message interlocking search keyword automatic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executable recording medium (or computer program product)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the computer. Here,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 storage medium (eg, a memory, a hard disk, a magnetic/optical medium, or a solid-state drive (SSD), etc.). An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ny available medium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for example,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and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은 전체 또는 일부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lligent message interlocking search keyword automatic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r part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and the computer program includes programmable machine instructions processed by a processor, and high-level programming It may be implemented in a 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an 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an assembly language, or a machine languag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preferr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not for limitation. As such,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through combina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10 : 통신 단말기
1a : 메시지 창
2, 3 : 탭 창
11 : 유효 데이터 추출부
12 : 키워드 결정부
1, 10: communication terminal
1a: message window
2, 3: Tabbed window
11: valid data extraction unit
12: keyword determining unit

Claims (15)

통신 단말기를 매개로 사용자가 상대방과 1:1 또는 1:n(n은 자연수)으로 데이터 통신하는 과정에서 송수신하는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에서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
추출된 유효 데이터에서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할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과정; 및
사용자가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상기 결정된 검색 키워드를 자동 입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
A process of extracting valid data from a message field of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dur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and a counterpart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in 1:1 or 1:n (n is a natural number);
determining a search keyword to be input into a search box of a web browser from the extracted valid data; and
a process in which a user executes any one of the web browser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utomatically inputs the determined search keyword into a search window of the web browser;
Intelligent message-linked search keyword automatic input method that inclu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에 포함된 내용 중에서 보통명사 또는 고유명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효 데이터로 추출하는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valid data,
An intelligent message-linked search keyword automatic input method for extracting at least one of a common noun and a proper noun as valid data among contents contained in the message field of the messag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추출된 유효 데이터 중에서, 상기 웹 브라우저의 실행시간을 추출한 후 상기 웹 브라우저의 실행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기 바로 직전에 상기 통신 단말기로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를 검색 키워드로 결정하는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earch keyword,
From the extracted valid data, after extract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web browser, the valid extracted from the message field of the message sent or receiv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immediately before the execution of the web browser based on the execution time of the web browser An intelligent message-linked search keyword automatic input method that determines data as a search keywo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복수 개이고, 추출된 복수 개의 유효 데이터가 동일 시간에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에서 추출된 경우 이들 복수 개의 유효 데이터를 모두 검색 키워드로 결정하는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earch keyword,
If there are a plurality of extracted valid data and the extracted plurality of valid data are extracted from the message field of a message sent or received at the same time, automatic input of intelligent message interlocking search keyword that determines all of the plurality of valid data as search keywords Wa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검색 키워드를 자동 입력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검색 키워드를 동시에 상기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하는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entering a search keyword into the search box of the web browser,
An intelligent message-linked search keyword automatic input method for simultaneously inputting the search keyword into a search box of the web brow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동일 시간에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추출된 유효 데이터를 탭 창을 통해 별도로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탭 창을 통해 제공되는 유효 데이터들 중 선택된 유효 데이터를 검색 키워드로 결정하는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earch keywor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valid data extracted from a message sent or received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extracted valid data is separately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tab window, and then selected from among the valid data provided through the tab window by the user An intelligent message-linked search keyword automatic input method that determines valid data as a search keywo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이동통신사업자에서 제공하는 문자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상대방과 주고받는 문자 메시지와, 카카오톡, 텔레그램, 라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을 포함하는 메신저 앱을 통해 사용자가 상대방과 주고받은 대화 메시지를 포함하는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ssage is a text message that a user exchanges with a counterpart through a text service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a text message that a user exchanges with a counterpart through a messenger app including KakaoTalk, Telegram, Line, Facebook, and Instagram. A method for automatically entering keywords for intelligent message-linked search including conversational messages.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지능형 메시지 연동 검색 키워드 자동 입력 방법이 실행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automatic input method for intelligent message-linked search keyword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통신 단말기를 매개로 사용자가 상대방과 1:1 또는 1:n(n은 자연수)으로 데이터 통신하고,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 주고받는 메시지에서 유효 데이터를 추출하는 유효 데이터 추출부; 및
추출된 유효 데이터에서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할 검색 키워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검색 키워드를 사용자가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의 웹 브라우저를 실행할 때 상기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상기 결정된 검색 키워드를 자동 입력하는 키워드 입력부;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a valid data extraction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and a counterpart in 1:1 or 1:n (n is a natural number)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tracting valid data from a message exchanged in a data communication process; and
From the extracted valid data, a search keyword to be input into the search box of the web browser is determined, and the determined search keyword is displayed in the search box of the web browser when the user executes any one of the web browsers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keyword input unit for automatically entering search keywords;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이동통신사업자에서 제공하는 문자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상대방과 주고받는 문자 메시지와, 카카오톡, 텔레그램, 라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을 포함하는 메신저 앱을 통해 사용자가 상대방과 주고받은 대화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ssage is a text message that a user exchanges with a counterpart through a text service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a text message that a user exchanges with a counterpart through a messenger app including KakaoTalk, Telegram, Line, Facebook, and Instagram.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hat messag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에 포함된 내용 중에서 보통명사 또는 고유명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효 데이터로 추출하는 통신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valid data extraction unit,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tracting at least one of a common noun and a proper noun from among contents included in the message field of the message as valid data.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결정부는,
상기 추출된 유효 데이터 중에서, 상기 웹 브라우저의 실행시간을 추출한 후 상기 웹 브라우저의 실행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웹 브라우저에 실행하기 바로 직전의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를 검색 키워드로 결정하는 통신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keyword determining unit,
Communication for determining, as a search keyword, valid data extracted from a message field of a message immediately before execution in the web browser based on the execution time of the web browser after extract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web browser from among the extracted valid data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결정부는,
동일 시간 내에서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 모두 검색 키워드로 결정하여 동시에 상기 웹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입력하는 통신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keyword determining uni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valid data extracted from a message sent or received within the same time, all of them are determined as a search keyword and inputted into a search window of the web browser at the same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결정부는,
동일 시간 내에서 송신 또는 수신된 메시지에서 추출된 유효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추출된 유효 데이터를 탭 창을 통해 별도로 사용자에게 제공한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탭 창을 통해 제공되는 유효 데이터들 중 선택된 유효 데이터를 검색 키워드로 결정하는 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keyword determining uni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valid data extracted from a message sent or received within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extracted valid data is separately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tab window, and then among valid data provided by the user through the tab window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determines the selected valid data as a search keywo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이동통신사업자에서 제공하는 문자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상대방과 주고받는 문자 메시지와, 카카오톡, 텔레그램, 라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을 포함하는 메신저 앱을 통해 사용자가 상대방과 주고받은 대화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essage is a text message that a user exchanges with a counterpart through a text service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a text message that a user exchanges with a counterpart through a messenger app including KakaoTalk, Telegram, Line, Facebook, and Instagram.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hat message.
KR1020200054552A 2020-05-07 2020-05-07 Method for automatically enterring a search keyword in the search window of a web browser by interoperating a message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202101363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52A KR20210136390A (en) 2020-05-07 2020-05-07 Method for automatically enterring a search keyword in the search window of a web browser by interoperating a message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552A KR20210136390A (en) 2020-05-07 2020-05-07 Method for automatically enterring a search keyword in the search window of a web browser by interoperating a message and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390A true KR20210136390A (en) 2021-11-17

Family

ID=7870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552A KR20210136390A (en) 2020-05-07 2020-05-07 Method for automatically enterring a search keyword in the search window of a web browser by interoperating a message and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6390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7813A (en) 2008-12-12 2010-06-22 (주) 엘지텔레콤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requesting internet page based on character mess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54568B1 (en) 2008-05-14 2011-08-04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ternet address or email address in text mess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568B1 (en) 2008-05-14 2011-08-04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ternet address or email address in text message
KR20100067813A (en) 2008-12-12 2010-06-22 (주) 엘지텔레콤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requesting internet page based on character mess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8934B1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s and Devices
US10992609B2 (en) Text-messaging based concierge services
WO2020253389A1 (en) Page translation method and apparatus,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08009244B (en) Feed translation for social networks
US9183515B2 (en) Share box for endorsements
US20140136997A1 (en) Targeted advertising based on trending of aggregated personalized information streams
AU2017204239A1 (en) Filtering suggested queries on online social networks
JP5694283B2 (en) How to support multilingual translation for messages contained within a chat window
CN108432200B (en) Method for protecting and controlling access to private personal information
US20110125759A1 (en) Method and system to contextualize information being displayed to a user
US201501543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CN104903886A (en) Structured search queries based on social-graph information
US201901470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onversational user interface
JP2014075006A (en) Advertisement distribution apparatus and advertisement distribution method
CN105162697A (en) Microblog system and data control method thereof
US10977327B2 (en) Method for generating aggregated content, terminal, and medium
EP2630588A2 (en) Matching items of user-generated content to entities
US870690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mantic URL handling
CN105893396B (en) Interpreting user queries based on nearby locations
KR20210136390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enterring a search keyword in the search window of a web browser by interoperating a message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11947618B2 (en) Identifying and storing relevant user content in a collection accessible to user in website subscribed to service
WO2017197889A1 (en) Keyword link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50022583A (en) Apparatus for extracting keyword and method thereof
JP2015095181A (en) Apparatus, server, program, and method for clearly specifying abstract word corresponding to media content
CN105378710A (en) Identifying search matches and altered search resu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