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941A -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941A
KR20210135941A KR1020210058593A KR20210058593A KR20210135941A KR 20210135941 A KR20210135941 A KR 20210135941A KR 1020210058593 A KR1020210058593 A KR 1020210058593A KR 20210058593 A KR20210058593 A KR 20210058593A KR 20210135941 A KR20210135941 A KR 20210135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sn
clock
network
driftoffset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락
강유화
김창기
정태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10135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은, UPF(User Plane Function)로부터 driftOffset 또는 rateRatio를 보고 받는 단계; TWD(TSN(Time Sensitive Networking) Working Domain)에 대한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보고 받은 driftOffset이나 rateRatio에 따라 TSCAI(TSC(Time Sensitive Communication) Assistance Information)를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한 TSCAI와 세션 ID를 함께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를 통해 RAN(Radio Access Network)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TIME SENSITIVE COMMUNICATION ASSISTAN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시민감 통신(Time Sensitive Communication, TSC)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TSC Assistance Information, TSCAI)의 제공 방법, 구체적으로, 5세대 이동 통신(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 5G) 네트워크에서 다중 시민감 워킹 도메인(TSN(Time Sensitive Networking) Working Domain, TWD)에 대한 TSCAI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5G에서 TSC를 지원하기 위해 5G와 TSN의 연결을 지원한다. 5G는 TSN들 사이에서 가상 브리지의 역할을 하며, 5G 클럭을 이용하는 5G와 TSN 클럭을 이용하는 TSN이 서로 동기화되어 동작한다. TSN들 사이에서 가상 브리지 역할을 하는 5G가 TSN 클럭에 대응하여 동작하기 위해, TSN 클럭에 맞추어 5G RAN(Radio Access Network)에서의 무선 자원을 선제적으로 예약해야, TSC가 지연 없이 지원될 수 있다.
5G 클럭과 TSN 클럭 사이에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가상 브리지로서 동작하는 5G 및 5G RAN은 이러한 오차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 5G와 TSN 사이에서 변환기(translator)의 역할을 하는 단말 측의 DS-TT(Device Side TSN Translator)와 네트워크 측의 NW-TT(Network side TSN Translator)에게는 정밀 시간 프로토콜(Precision Time Protocol, PTP)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각 오차에 대한 보정 정보가 전달되지만, 5G RAN에게는 TSCAI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 이상의 TSN들 사이에서 가상 브리지의 역할을 하는 5G에서, 5G 클럭과 특정 TSN 클럭 사이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 해당 TWD와의 TSC 세션을 지원하는 RAN들에게 각 세션 별로 TSCAI를 제공할 수 있는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 이상의 TSN들 사이에서 가상 브리지의 역할을 하는 5G에서, 5G 클럭과 특정 TSN 클럭 사이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 세션 설정 절차 중 새로운 TSC 세션에 대해, 해당하는 TWD와의 세션을 지원할 RAN에게, 해당 TWD와의 오차가 보정된 TSCAI를 제공할 수 있는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은, UPF(User Plane Function)로부터 driftOffset 또는 rateRatio를 보고 받는 단계; TWD(TSN(Time Sensitive Networking) Working Domain)에 대한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보고 받은 driftOffset이나 rateRatio에 따라 TSCAI(TSC(Time Sensitive Communication) Assistance Information)를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한 TSCAI와 세션 ID를 함께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를 통해 RAN(Radio Access Network)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TSN들 사이에서 가상 브리지의 역할을 하는 5G에서, 5G 클럭과 특정 TSN 클럭 사이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 해당 TWD로의 기존 세션들에 대한 TSCAI 및 새로운 세션 요청에 대한 TSCAI를 즉시 제공할 수 있어서, 세션의 원활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TSN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SN 시스템의 시민감 스케줄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SN 시스템과 5G 네트워크 간의 연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5G 클럭과 TSN 클럭 사이의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5G 클럭과 TSN 클럭 사이의 시각차 또는 진동 비율을 계산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SN 시스템에서 5G 클럭과 TSN 클럭 사이의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SN 시스템에서 다중 TSN 도메인에 대한 세션 정보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SN 시스템에서 다중 TSN 도메인 사이의 시간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BS,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HR-R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앙 집중식 TSN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SN 시스템(1)은 데이터 링크계층에서 시민감 데이터를 처리하는 네트워크로서, 하나 이상의 TSN 종단국(end station)(20, 22), 하나 이상의 TSN 브리지(Bridge)(10, 11, 12), CNC(Centralized Network Configuration)(13) 및 CUC(Centralized User Configuration)(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TSN 종단국(20, 22)은 화자(Talker)(20)와 청취자(Listener)(20)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TSN 시스템(1)에서 시민감 데이터를 각각 주고 받을 수 있는 종단 장치들일 수 있다.
CNC(13)는 TSN 시스템(1) 내에서 네트워크 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CNC(13)는 TSN 브리지(10, 11, 12)와 TSN 종단국(20, 22)으로 시민감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을 정의함으로써, TSN 데이터 프레임이 TSN 브리지(10, 11, 12)를 통과하여 TSN 종단국(20, 22)으로 시간 내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UC(14)는 TSN 종단국(20, 22) 및 CNC(13)와 통신할 수 있다. CUC(1400)는 TSN 종단국(20, 22)으로부터 특정 스트림에 대한 시민감 처리요청을 받고 이를 CNC(13)로 전달할 수 있다.
CNC(13) 및 CUC(14)는 TSN 시스템(1)의 구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TSN 시스템(1)의 제어 프로토콜은 CNC(13) 또는 CUC(14)로부터 명령의 형태로 전달되거나 혹은 별도의 방법으로, TSN 브리지(10, 11, 12)와 TSN 종단국(20, 22)에게 특정한 시민감 데이터의 식별자와 시민감 요구사항을 설정하고, 이 설정에 따른 TSN 브리지(10, 11, 12)와 TSN 종단국(20, 22)이 동작하는 시간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TSN 시스템(1) 내의 TSN 종단국(20, 22)과 TSN 브리지(10, 11, 12)의 시간은 IEEE 802.1AS gPTP 프로토콜 등을 통해 동기화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SN 시스템의 시민감 스케줄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종래의 이더넷(Ethernet) 프로토콜은 단순히 출력 큐 별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에 반해, TSN 시스템은 시민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시간을 일정한 주기로 나누고, 주기 내에서 일정한 구간을 시민감 데이터를 위해 할당할 수 있다. 시민감 데이터는 이와 같이 주기별로 할당된 구간을 통해, 매 주기마다 전송될 수 있다.
즉, 시간을 n 번째 전송 사이클(Transmission Cycle n) 및 n+1 번째 전송 사이클(Transmission Cycle n+1)로 나누고, n 번째 전송 사이클(Transmission Cycle n) 중 Tn 내지 Tn,A 까지의 구간을 시민감 데이터의 전송 구간(Transmission of Class S)으로 할당하고, 나머지 Tn,A 내지 Tn+1 까지의 구간을 다른 데이터의 전송 구간(Transmission of other classes)으로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Class S"는 시민감 데이터의 클래스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n+1 번째 전송 사이클(Transmission Cycle n+1) 중 Tn+1 내지 Tn+1,A 까지의 영역을 시민감 데이터의 전송 구간(Transmission of Class S)으로 할당하고, 나머지 Tn+1,A 내지 Tn+2 까지의 영역을 다른 데이터의 전송 구간 (Transmission of other classes)으로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전송 구간들 사이에는 가드(guard) 구간이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민감 스케줄링을 통해, 시민감데이터가 아닌 다른 데이터가 시민감데이터를 침범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시민감데이터의 확정적 지연을 보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SN 시스템과 5G 네트워크 간의 연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5G 네트워크가 TSN 브리지로 사용되는 경우, 5G 네트워크와 TSN 사이에 변환기(Translator)가 필요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하나의 5G 네트워크(10)가 2 개의 TSN 시스템(30, 32)에 연결된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TSN 시스템(30, 32)은 TSN_A 시스템(30)과 TSN_B 시스템(32)을 포함할 수 있다. TSN_A 시스템(30) 및 TSN_B 시스템(32)은 각각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TSN 시스템일 수 있다.
여기서, TSN_A 브리지/종단국(20)은 TSN_A 시스템(30)에 포함되며 TSN_A 시스템(30)은 클럭 A(Clock_A)에 동기화되고, TSN_B 브리지/종단국(22)은 TSN_B 시스템(32)에 포함되며 TSN_B 시스템(32)은 클럭 B(Clock_B)에 동기화될 수 있다. 그리고 TSN_A 시스템(30)에 연결하고자 하는 TSN_A 브리지/종단국(20) 및 TSN_B 시스템(32)에 연결하고자 하는 TSN_B 브리지/종단국(22)은 각각 5G 네트워크(10)에 연결될 수 있다.
AF(Application Function)(116)는 TSN_A 시스템(30) 및 TSN_B 시스템(32)으로부터의 제어 프로토콜을 통해 특정 스트림에 대한 시민감 데이터 처리에 대한 요구 사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AF(116)는 5G 네트워크(10)가 시민감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특정 스트림에 대한 스트림 ID(identifier), 대역폭, 최대 프레임 크기, 프레임 주기 등을 5G 네트워크(1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AF(116)는 TSN AF로 지칭될 수도 있다.
NW-TT(Network side TSN Translator)(108)는 TSN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 5G 네트워크(10)와 TSN 시스템(30 또는 32) 사이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NW-TT(108)는 UPF(User Plane Function)(106) 내부에 존재하거나 외부에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5G 네트워크(10)는 IP 계층 이상의 패킷 처리 방식을 채용하고 TSN 시스템(30, 32)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프레임 처리 방식을 채용하므로, NW-TT(108)는 서로 다른 계층에 대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UE)(102)은 DS-TT(Device Side TSN Translator)(100)를 통해 TSN 종단국(20, 22)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DS-TT(100)는 5G 네트워크(10)에 속하는 UE에 대해, TSN 시스템으로부터의 트래픽 또는 TSN 시스템으로의 트래픽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며, 추가로 제어에 대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DS-TT(100)는 AF(116) 및 NW-TT(108)의 역할과 유사하다. DS-TT(100)는 UE(102)의 내부에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UE(102)의 외부에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RAN(Radio Access Network)(104)은 이동하는 UE(102)에 대한 무선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UPF(User Plane Function)(106)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며, UPF(106)가 바뀌는 범위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TSN 시스템에 대해 UE(102)의 앵커(Anchor)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앵커 UPF와 RAN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UPF가 추가될 수 있다.
NEF(Network Exposure Function)(120)는 5G 네트워크 기능을 TSN 시스템(30, 32)으로 알리며, 이를 통해 TSN 시스템(30, 32)이 5G 네트워크(10)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NEF(120)는 TSN 시스템(30, 32)으로부터의 시민감 패킷 처리에 관한 요구 사항을 AF(116)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요구 사항을 PCF(114)로 전달할 수 있다.
PCF(Policy Control Function)(114)는 TSN 종단국(20, 22)에 연결된 UE(102)가 5G 네트워크(10) 내에서 해당 시민감 패킷 처리에 대한 요구 사항을 처리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며, 결정한 결과를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112)에게 전달할 수 있다. UDM(Unified Data Management)(118)은 TSN 종단국(20, 22)에 연결된 UE(102)가 5G 네트워크(10) 내에서 해당 시민감 패킷 처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지와 관련된 정보를 SMF(112)에게 전달할 수 있다.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110)는 TSN 종단국(20, 22)에 연결된 UE(102)가 5G 네트워크(1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MF(112)는 TSN 종단국(20, 22)에 연결된 UE(102)가 5G 네트워크(10) 내에서 시민감 패킷 처리를 위한 세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5G 네트워크(10)는 TSN 시스템(30, 32)으로부터의 시민감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클럭(Clock_5)에 동기화될 수 있다. 여기서 클럭(Clock_5)은 5G 네트워크(10) 내의 동기화 클럭으로서, 각 TSN 시스템들(30, 32)의 클럭 A(Clock_A) 및 클럭 B(Clock_B)의 시간 정보와 변환 매핑되어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NW-TT(108)와 AF(116) 중 하나를 이용하여, 5G 네트워크(10)와 TSN 시스템(30, 32) 사이의 시간 동기화 매핑이 가능하다. 클럭 A(Clock_A)는 5G 네트워크(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동기가 맞추어지며, 이를 위해 PTP(Precision Time Protocol)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SN 시스템(30, 32)으로부터 수신되는 클럭 정보가 TSN 종단국(20, 22)으로 전달될 때, 클럭 정보는 5G 네트워크(10)를 경유하는데 필요한 체류 시간(residence time)을 측정하여 보정됨으로써, 양쪽 클럭 A(Clock_A) 간의 오차가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클럭의 동기화 방법은 5G 네트워크(10)을 사이에 둔 양쪽의 클럭 B(Clock_B)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된 시간에 대한 표시는 년월일시분초, 밀리초, 마이크로초, 나노초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까지 도 1 및 도 3에서 설명한 각 구성(예를 들어, TSN 종단국, TSN 브리지, 5G 네트워크의 각 구성들 등)은 '네트워크 요소(network element)'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4는 5G 클럭과 TSN 클럭 사이의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클럭(Clock_5)은 도 3에서 5G 네트워크(10)에서 사용되는 클럭(또는 "5G 클럭")이고, 클럭(Clock_B)는 도 3에서 TSN 시스템(32)에서 사용되는 클럭(또는 "TSN 클럭")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럭(Clock_5)의 현재 시각은 클럭(Clock_B)에 비해 driftOffset 만큼 빠르고, 클럭(Clock_B)의 현재 시각은 클럭(Clock_5)에 비해 driftOffset 만큼 느리며, 여기서 driftOffset은 시각차(time difference)를 의미하며 Clock_5 - Clock_B로 나타낼 수 있으며, driftOffset이 오차가 될 수 있다. 또한, 클럭(Clock_5)의 진동자(oscillator)와 클럭(Clock_B)의 진동자의 주파수가 다른 경우 그 비율을 rateRatio(=(clock_5_rate - clock_B_rate) / clock_B_rate)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rateRatio는 진동 비율(oscillation rate), clock_5_rate는 클럭(Clock_5)의 속도(rate), clock_B는 클럭(Clock_B)의 속도)이며, 도 4는 클럭(Clock_5)의 진동자의 동작 주파수가 클럭(Clock_B)의 진동자의 동작주파수보다 (rateRatio = (clock_5_rate - clock_B_rate) / clock_B_rate)만큼 빠른 예를 보인다. rateRatio 또한 오차가 될 수 있다.
5G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TSC는 시간 지연을 최소화하는 통신방식으로 5G RAN에서 TSC를 위한 자원의 예약을 미리 해 둠으로써 지연 없이 통신이 가능하다. TSC를 위한 자원 예약에 필요한 TSCAI는 5G 클럭으로 표시되어 5G RAN에게 전달되지만, 5G 클럭과 TSN 클럭 사이에는 오차로 인해 자원 예약 시간에 오차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통신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5G가 TSC를 제공하는 TSN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들 TSN들은 TWD들로 구분된다. 5G 클럭과 TWD들의 클럭들과의 오차는 TWD의 개수만큼 있을 수 있으며 TSCAI 또한 TWD에 맞추어 제공되어야 한다. 종래의 기술은 각 TWD에 해당하는 모든 세션에 대해 TSCAI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5G가 하나 이상의 TSN들에 대한 가상 브리지로의 동작을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새로운 TSC 세션 설정에 있어서 해당 세션을 지원할 RAN에게 해당 세션의 TSCAI를 제공할 때 종래의 기술은 5G 클럭과 TSN 클럭과의 오차 정보를 즉시 반영하지 못하고 세션 변경 절차를 통해 오차를 반영하였다.
본 발명은 5G 네트워크에서 TSC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TSCAI의 전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세션이 다수의 TWD에 대해 연결된 경우를 서비스하기 위해 SMF가 각 TWD에 대한 driftOffset, rateRatio를 UPF로부터 보고받아, 해당 TWD에 연결된 모든 세션들에게 driftOffset, rateRatio를 반영한 TSCA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E로부터 새로운 세션 요청이 있는 경우 세션이 연결될 TWD에 대한 driftOffset, rateRatio를 반영한 TSCAI를 UE가 연결된 RAN에게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를 절차적 항목별로 분리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SMF가 개별 세션에 대한 TWD관리 및 TWD에 대한 세션 관리
- SMF에서 각 TWD에 대한 driftOffset, rateRatio 관리
SMF가 UPF로부터 특정 TWD로부터의 driftOffset, rateRatio 수신
SMF에서 해당 TWD에 대한 driftOffset, rateRatio 갱신
- SMF에서 관리하는 TWD에 해당하는 모든 세션에 대해 갱신된 driftOffset, rateRatio로 TSCAI갱신 후 PduSsnMod(TSCAI)절차 수행
- SMF에서 요청받은 PduSsnEstbReq에 대해 DNN, S-NSSAI로부터 TWD결정
SMF에서 요청받은 PduSsnEstbReq에 대해 결정된 TWD에 대해, 해당 RAN에 대해 관리 중인 driftOffset, rateRatio로 TSCAI갱신 후 PduSsnEstbAcpt송신.
또한, 본 발명은, 5G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TSC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TSN의 TWD를 관리하고, 각 TWD들에 대한 시각 오차 정보를 관리하며, 해당 TWD에 대한 5G의 각 세션들에 대해 이를 시각 오차를 보정한 TSCAI를 RAN에게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RAN은 TSC를 위한 무선 자원의 예약에 TSCAI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5G에서 설정된 세션에 대한 TWD 및 TWD에 대한 세션 및 해당 RAN을 관리하고, 5G클럭과 특정 TSN클럭과의 오차를 5G에서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상기 특정 TSN클럭과의 오차정보가 반영된 TSCAI를 해당 TWD와의 세션을 지원하는 RAN에게 제공하고, 또 해당 TWD와의 TSC를 위한 새로운 세션의 설정 절차에서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5G 클럭과 TSN 클럭 사이의 시각차 또는 진동 비율을 계산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TP의 Sync를 이용하여 5G 클럭과 TSN 클럭 사이의 driftOffset을 계산할 수 있다. 도면에서 "Master time"으로 표시한 것이 TSN 클럭이고 "Slave time"으로 표시한 것이 5G 네트워크의 NW-TT에 해당한다. 여기서, driftOffset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driftOffset = [(t2 - t1) + (t3 - t4)] / 2
한편, TSN 클럭으로부터 5G 네트워크의 NW-TT까지 여러 노드를 경유해서 PTP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driftOffset이 누적되어 계산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PTP의 Pdelay를 이용하여 5G 클럭과 TSN 클럭 사이의 driftOffset을 계산할 수 있다. 도면에서 "Node-B"로 표시한 것이 TSN 클럭이고, "Node-A"로 표시한 것이 5G 네트워크의 NW-TT에 해당한다. 여기서, driftOffset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driftOffset = [(t2 - t1) + (t3 - t4)] / 2
한편, TSN 클럭으로부터 5G 네트워크의 NW-TT까지 여러 노드를 경유해서 PTP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driftOffset이 누적되어 계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PTP의 Sync 또는 Pdelay를 이용하여 5G 클럭과 TSN 클럭 사이의 rateRatio를 계산할 수 있다. 도면에서 좌측에 표시한 것이 TSN 클럭이고, 우측에 표시한 것이 5G 네트워크의 NW-TT에 해당한다. 여기서, rateRatio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rateRatio = (t1' - t1) / (t2' - t2)
한편, TSN 클럭으로부터 5G 네트워크의 NW-TT까지 여러 노드를 경유해서 PTP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rateRatio가 누적되어 계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SN 시스템에서 5G 클럭과 TSN 클럭 사이의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5G 네트워크 내의 장치들은 5G 네트워크에서 운용중인 5G 클럭으로 동기화되고, TSN 장치들은 TSN에서 운용중인 TSN 클럭으로 동기화될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시민감 스케줄링을 5G 네트워크에서 지원하기 위해, DS-TT(100)와 RAN(104) 및 NW-TT(108)에서 txPropagationDelay, AdminBaseTime, AdminCycleTime, TickGranularity, PSFPAdminBaseTime, PSFPAdminCycleTime, PSFPTickGranularity, MessageTxInterval, TTL, FlowDirection, Periodicity, BurstArrivalTime 등 다양한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파라미터는 5G 클럭으로 동작하며, 5G 클럭과 TSN 클럭은 서로 오차가 있어 그 오차만큼에 해당하는 보정이 필요하다. 즉,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계산이 가능한 driftOffset 만큼 더하거나 빼주고, rateRatio 만큼 곱하거나 나누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TSN 클럭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경우에는 5G 클럭에 driftOffset을 더해주고 rateRatio를 곱해주어야 하며, 이와 다르게 5G 클럭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경우에는 5G 클럭에서 driftOffset을 빼주고 rateRatio로 나누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계산한 차이를 양/음으로 표현할 지, 계산한 비율을 배수/분수로 표현할 지 원하는 표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특히 5G RAN은 TSN의 데이터전달을 위한 자원예약을 위해 Periodicity = Periodicity * (1 + rateRatio), BurstArrivalTime = BurstArrivalTime + driftOffset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SN 시스템에서 다중 TSN 도메인에 대한 세션 정보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5G 네트워크는 다중 TSN 도메인에 세션을 제공할 수 있다. TSN 시스템(TSN_1 System)(30) 및 TSN 시스템(TSN_2 System)(32)은 각각 하나의 시간 도메인을 사용하는 시민감 워킹 도메인(TSN Working Domain, TWD)들이다. TSN 시스템(TSN_1 System)(30)은 UPF1(106a)을 통해 UE1(102a)에 세션 11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TSN 시스템(TSN_2 system)(32)은 UPF2(106b)를 통해 UE1(102a)과 UE2(102b)에 각각 세션 12 및 세션 22를 제공할 수 있다.
TSN 시스템(TSN_1 System)(30)과 UE1(102a)을 통한 TSN 종단국(TSN_1 End station)은 TWD(TSN working domain 1)에 속하고, TSN 시스템(TSN_2 System)(32)과 UE1(102a)을 통한 TSN 종단국(TSN_2 End station 1)과 UE2(102b)을 통한 TSN 종단국(TSN_2 End station 2)은 TWD(TSN working domain 2)에 속할 수 있다. 이 때 5G 클럭은 TWD(TSN working domain 1)와 driftOffset1 및 rateRatio1이 발생하고, TWD(TSN working domain 2)와 driftOffset2, rateRatio2가 발생할 수 있다.
SMF(112)는 각 TWD(TSN working domain)별 driftOffset과 rateRatio를 관리하며, 각 TWD(TSN working domain)에 대한 세션 정보와, 해당 세션이 어느 RAN 및 UPF을 통해 연결되는 지를 관리할 수 있다.
UPF(106a, 106b)는 PTP를 이용하여 5G 클럭에 동기화하고, 각 도메인의 TSN 클럭들이 PTP를 수행하는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5G 클럭과 TSN 클럭 사이의 driftOffset 및 rateRatio를 SMF(112)에 보고하고, SMF(112)는 각 TWD(TSN working domain)별로 driftOffset 및 rateRatio를 관리할 수 있다. UPF(106a, 106b)는 TWD(TSN working domain)의 PTP 과정에서 해당 TSN의 워킹 도메인(working domain) 정보를 알 수 있고, 이를 driftOffset 및 rateRatio와 함께 SMF(112)에게 보고할 수 있다. UPF(106a, 106b)는 driftOffset 및 rateRatio의 너무 잦은 보고를 피하기 위해 일정한 기준을 초과할 때에만 보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SN 시스템에서 다중 TSN 도메인 사이의 시간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와 관련하여 전술한 다중 TSN 도메인과의 시간 오차 정보를 각각 보정해 줄 필요가 있다. 즉 세션 11에 대해서는 UPF1(106a)의 NW-TT(108a)와 UE1(102a)의 DS-TT(100a) 및 RAN1(104a)에게, 세션 12에 대해서는 UPF2(106b)의 NW-TT(108b)와 UE1(102a)의 DS-TT(100b) 및 RAN1(104a)에게, 세션 22에 대해서는 UPF2(106b)의 NW-TT(108b)와 UE2(102b)의 DS-TT(100c) 및 RAN2(104b)에게 PMI(Port Management Information, 포트 관리 정보)와 TSCAI(TSC Assistance Information,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PMI의 수정은 각 UPF(106a, 106b)가 TSN 도메인의 트래픽 처리에 대한 설정을 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상 브리지는 UPF 단위로 관리되며, 이에 따라 NW-TT(108a, 108b)에 대한 PMI는 해당 TSN도메인이 설정된 UPF(106a, 106b)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은, SMF(112)에서 다중 TSN 도메인에 대한 driftOffset 및 rateRatio의 관리 흐름에 관한 것으로, 모든 TWD(TSN working domain)의 driftOffset을 0으로 설정하는 단계(S1101) 및 모든 TWD의 rateRatio를 1로 설정하는 단계(S11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대기 단계(S1105), UPF(106)로부터 driftOffset을 보고 받는 단계(S1107) 및 해당 driftOffset의 절대값이 일정한 수준(driftOffsetThreshold) 이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1109)를 포함할 수 있다.
보고 받은 driftOffset이 일정한 수준 미만인 경우(S1109, N), 상기 방법은 다시 대기 단계(S1105)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보고 받은 driftOffset이 일정한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방법은, 그 값으로 해당 TWD의 driftOffset을 설정(즉, 갱신)하는 단계(S1111)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서는, 해당 driftOffset이 일정한 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1109)를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법은, UPF(106)로부터 rateRatio를 보고 받는 단계(S1115) 및 해당 rateRatio의 절대값이 일정한 수준(rateRatioThreshold) 이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1117)를 포함할 수 있다.
보고 받은 rateRatio가 일정한 수준 미만인 경우(S1117, N), 상기 방법은 다시 대기 단계(S1105)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보고 받은 rateRatio가 일정한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방법은, 그 값으로 해당 TWD의 rateRatio를 설정(즉, 갱신)하는 단계(S1119)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서는, 해당 rateRatio이 일정한 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1117)를 생략할 수도 있다.
단계(S1111)에 의해 driftOffset가 수정되거나, 단계(S1119)에 의해 rateRatio가 수정된 경우, 상기 방법은,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TWD의 모든 세션의 TSCAI를 수정하는 단계(S1113)로 진행하며, 이와 관련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은, UPF(106)(또는 NW-TT(108))에서 다중 TSN 도메인에 대한 driftOffset 및 rateRatio의 관리 흐름에 관한 것으로, 해당 UPF(106)(또는 NW-TT(108))가 연결된 모든 TWD의 driftOffset을 0으로 설정하는 단계(S1201) 및 해당 UPF(106)(또는 NW-TT(108))가 연결된 모든 TWD의 rateRatio를 1로 설정하는 단계(S12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대기 단계(S1205), UPF(106)(또는 NW-TT(108))로부터 특정 TWD로부터의 PTP 메시지를 수신하여 driftOffset을 계산하는 단계(1207) 및 계산된 driftOffset의 절대값이 일정한 수준(driftOffsetThreshold) 이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1209)를 포함할 수 있다.
계산된 driftOffset이 일정한 수준 미만인 경우(S1209, N), 상기 방법은 다시 대기 단계(S1205)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계산된 driftOffset이 일정한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방법은, 그 값으로 해당 TWD의 driftOffset을 설정(즉, 갱신)하는 단계(S1211)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서는, 계산된 driftOffset이 일정한 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1209)를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법은, UPF(106)(또는 NW-TT(108))로부터 특정 TWD로부터의 PTP 메시지를 수신하여 rateRatio를 계산하는 단계(1215) 및 계산된 rateRatio의 절대값이 일정한 수준(rateRatioThreshold) 이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1217)를 포함할 수 있다.
계산된 rateRatio가 일정한 수준 미만인 경우(S1217, N), 상기 방법은 다시 대기 단계(S1205)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계산된 rateRatio가 일정한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방법은, 그 값으로 해당 TWD의 rateRatio를 설정(즉, 갱신)하는 단계(S1219)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서는, 계산된 rateRatio가 일정한 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S1219)를 생략할 수도 있다.
단계(S1211)에 의해 driftOffset이 수정된 경우, 상기 방법은, SMF(112)에게 driftOffset을 보고하는 단계(S1213)로 진행하여, 도 11의 단계(S1107)가 수행되도록 하며, 단계(S1219)에 의해 rateRatio가 수정된 경우, 상기 방법은, SMF(112)에게 rateRatio를 보고하는 단계(S1221)로 진행하여, 도 11의 단계(S1115)가 수행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은, UPF(106)로부터의 개별 TSN 도메인에 대한 driftOffset 및 rateRatio의 보고에 대한 TSCAI의 수정 절차에 관한 것으로, 도 12의 절차를 수행한 후, SMF(112)는 해당 TWD에 대한 모든 세션에 대해 각각 도 13의 2. 내지 7.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보고 받은 driftOffset이나 rateRatio에 따라 TSCAI에 사용될 Periodicity 또는 BurstArrivalTime 값을 수정할 수 있다. driftOffset이나 rateRatio가 TSN 클럭을 기준으로 계산한 경우,
Periodicity_5G_new = Periodicity_5G_old * (1 + rateRatio)
BurstArrivalTime_5G_new = BurstArrivalTime_5G_old + driftOffset
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Periodicity_5G 및 BurstArrivalTime_5G는 5G 클럭 기준의 값이며, 이를 해당 TWD와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SMF(112)는 수정한 Periodicity 또는 BurstArrivalTime 값을 포함하는 TSCAI와 해당 세션 ID를 N2_SM_Info에 포함한 PduSsnCMCtxtStatusNotify(PDU Session SM Context Status Notify)를 AMF(110)로 전송할 수 있다. AMF(110)는 TSCAI와 해당 세션 ID를 N2_SM_Info에 포함한 N2SsnModReq(N2 Session Modification Request)를 RAN(104)에게 전송할 수 있다. RAN(104)은 해당 세션 ID에 대한 TSCAI를 수정하고, N2SsnModRsp(N2 Session Modification Response)를 AMF(110)에게 전송하고, AMF(110)는 다시 SMF(112)에게 PduSsnUpdateSMCtxtReq(PDU Session Update SM Context Request)를 전송하고, SMF(112)는 AMF(110)에게 PduSsnUpdateSMCtxtRsp(PDU Session Update SM Context Response)로 응답할 수 있다. 여기서 세션 ID는 터널 엔드포인트(tunnel endpoint) id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은, 단말(UE)의 새로운 세션 설정에 대한 TSCAI의 설정 절차에 관한 것으로, UE(102)로부터 세션 설정을 위해 AMF(110)로 전송되는 PduSsnEstbReq(Pdu Session Establish Request)는 UE(102)가 새로 설정할 세션의 ID(SsnId), DNN(Data Network Name) 및 S-NSSAI(Single Network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AMF(110)는 S-NSSAI가 없을 경우 S-NSSAI를 결정하고, DNN 및 S-NSSAI를 포함하는 PduSsnCreateSMCtxtReq(Pdu Session Create SM Context Request)를 SMF(112)로 전송할 수 있다. SMF(112)는 수신한 DNN 및 S-NSSAI에 기초하여 TWD를 결정하는 한편, AMF(110)로 PduSsnCreateSMCtxtRsp(Pdu Session Create SM Context Response)를 전송할 수 있다. SMF(112)는 해당 TWD로의 UPF(106)를 선택하고, 해당 UPF(106)로 N4SsnEstbReq(N4 Session Establish Request)를 전송하고, UPF(106)로부터 N4SsnEstbRsp(N4 Session Establish Response)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UPF(106)는 도 12에서와 같이 관리 중인 해당 TWD와의 driftOffset과 rateRatio 정보를 N4SsnEstbRsp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SMF(112)에게 전달할 수 있다.
SMF(112)는 수신한 해당 TWD와의 driftOffset과 rateRatio 정보 또는 SMF(112) 자신이 도 11에서와 같이 관리 중인 해당 TWD와의 driftOffset과 rateRatio 정보를 이용하여 TSCAI를 수정하고 세션 ID 및 TSCAI를 포함하여 AMF(110)에 N1N2MsgTransReq(N1N2 Message Transfer Request)를 전달할 수 있다.
AMF(110)는 SMF(112)로 N1N2MsgTransRsp(N1N2 Message Transfer Response)를 전송하고, RAN(104)에 N2SsnEstbReq(N2 Session Establish Request)를 전송할 수 있다. RAN(104)은 TSCAI를 적용하고 UE(102)와 RRCMsg(RRC Message)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UE(102)는 전달받은 PMIC(Port Management Information Container)를 DS-TT(1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RAN(104)은 AMF(110)에게 N2SsnEstbRsp(N2 Session Establish Response)로 응답하고, 세션의 최종 완성을 위해 AMF(110)는 SMF(112)로 PDUSsnUpdateSMCtxtReq(Pdu Session Update SM Context Request)를 전송하고, PDUSsnUpdateSMCtxtRsp(Pdu Session Update SM Context Response)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SMF(112)는 UPF(106)로 N4SsnModReq(N4 Session Modification Request)를 전송하고, UPF(106)로부터 N4SsnModRsp(N4 Session Modification Response)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TSN 네트워크(TSN Working Domain)와 연동하여 시간이 동기화되어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SN 네트워크와의 시간 오차 정보를 반영한 TSCAI를 TSN 네트워크로의 세션 설정 절차 중에 제공할 수 있거나, TSN 네트워크와의 시간 오차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 TSN 네트워크와의 시간 오차 정보를 반영한 TSCAI를 TSN 네트워크로 설정된 모든 세션에 대해 세션 변경 절차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TSN 네트워크와 시동기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UPF(NW-TT), 무선 통신을 이용해 시간 동기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RAN; 및 UPF(NW-TT)로부터 TSN 네트워크와의 시간 오차 정보를 수신하고 TSCAI를 계산하여 RAN으로 전달하는 SMF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PF(NW-TT)가 수행하는 시동기 프로토콜은 PTP일 수 있고, TSCAI는 TSN 네트워크로의 세션에 대한 통신 주기(Periodicity) 및 통신시작시각(BurstArrivalTim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MF는 설정된 모든 세션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TSN 네트워크와의 상관 관계 및 무선 통신 시스템과 TSN 네트워크별 시간 오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관리할 수 있고, UPF(NW-TT)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TSN 네트워크별 시간 오차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오차 정보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각과 TSN 네트워크의 시각 간의 시각차(driftOffset)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간과 TSN 네트워크의 시간과의 진동 비율(rateRati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TSCAI는, 오차 보정 전의 TSCAI에 해당 TSN네트워크와의 시각차(driftOffset)를 더하거나 빼고, 진동비율(rateRatio)을 곱하거나 나누는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50)는 전술한 네트워크 엘리먼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50)는 전술한 TSN 종단국, TSN 브리지, 5G 네트워크의 각 구성들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은 컴퓨팅 장치(5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는 버스(520)를 통해 통신하는 프로세서(510), 메모리(5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5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550) 및 저장 장치(5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는 또한 네트워크(40),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7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70)는 네트워크(40)를 통해 다른 개체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AP(Application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530) 또는 저장 장치(56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임의의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도 1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 기능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530) 및 저장 장치(5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531) 및 RAM(random access memory)(5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530)는 프로세서(5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530)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5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은 컴퓨팅 장치(5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은 컴퓨팅 장치(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TSN들 사이에서 가상 브리지의 역할을 하는 5G에서, 5G 클럭과 특정 TSN 클럭 사이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 해당 TWD로의 기존 세션들에 대한 TSCAI 및 새로운 세션 요청에 대한 TSCAI를 즉시 제공할 수 있어서, 세션의 원활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Claims (1)

  1. UPF(User Plane Function)로부터 driftOffset 또는 rateRatio를 보고 받는 단계;
    TWD(TSN(Time Sensitive Networking) Working Domain)에 대한 모든 세션에 대해, 상기 보고 받은 driftOffset이나 rateRatio에 따라 TSCAI(TSC(Time Sensitive Communication) Assistance Information)를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한 TSCAI와 세션 ID를 함께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를 통해 RAN(Radio Access Network)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
KR1020210058593A 2020-05-06 2021-05-06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 KR202101359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53835 2020-05-06
KR1020200053835 2020-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941A true KR20210135941A (ko) 2021-11-16

Family

ID=7871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593A KR20210135941A (ko) 2020-05-06 2021-05-06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59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8106B2 (en)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903043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data transmission of time sensitive network, related device and medium
US11405122B2 (en) 5G system support for conveying TSN time synchronization
WO2020259134A1 (zh) 一种时钟漂移处理的方法、网络功能网元及存储介质
US20220078662A1 (en) TSN-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QoS MAPPING AND RAN OPTIMIZATION BASED ON TSN TRAFFIC PATTERN RELATED INFORMATION
WO2020165857A1 (en) 5g system support for virtual tsn bridge management, qos mapping and tsn qbv scheduling
JP7099794B2 (ja) フレキシブル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における伝送チャネルの帯域幅調整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中間ノードおよびシステム
US11895528B2 (en) Method of creating QoS flow for time synchronization protocol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220021624A1 (en) Output pacing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serving as a time-sensitive networking (tsn) node
WO2020245679A1 (en) TSN AND 5GS QoS MAPPING - A USER PLANE BASED METHOD
KR20210060586A (ko)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에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US11503557B2 (en) Time synchronization in integrated 5G wireless and time-sensitive networking systems
CN107852682B (zh) 用于确定同步参考的方法和设备
US20230051166A1 (en) Delay Sensitive Network Estimation System
KR10237192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시간에 민감한 통신 지원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AU2020255012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KR20210135941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시민감 통신 지원 정보의 제공 방법
JP2023547375A (ja) タイムセンシティブネットワーキング・イーサネットブリッジを提供するためのモバイ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CN114827056B (zh) 基于5g移动通信中时间敏感网络传输的系统及方法
KR2022004040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동기 프로토콜을 위한 QoS플로우 생성 방법
WO2024066922A9 (zh)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和系统
JP2024514738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時刻同期の制御
KR20220138829A (ko) 시간민감형 서비스를 위한 5g 시스템의 신뢰 af 지원 방법
WO2017071759A1 (en)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method and control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