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194A -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 Google Patents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194A
KR20210135194A KR1020210148661A KR20210148661A KR20210135194A KR 20210135194 A KR20210135194 A KR 20210135194A KR 1020210148661 A KR1020210148661 A KR 1020210148661A KR 20210148661 A KR20210148661 A KR 20210148661A KR 20210135194 A KR20210135194 A KR 20210135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cover
life jacket
present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6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7113B1 (en
Inventor
하진석
Original Assignee
하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진석 filed Critical 하진석
Priority to KR1020210148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113B1/en
Publication of KR2021013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1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1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changeable into a life jacket in an emergency while can be used as a chair backrest cover in a normal ti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ckrest cover for covering a chair, which comprises: a front surface unit for covering a front surface of a chair backrest; a rear surface unit for covering a rear surface of the chair backrest; a connection unit provided to be hung on an upper end of the chair backrest, and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 units; and a buoyancy body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 units and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haped cutting line is formed to form a neck hole to pass the head of a wearer through when the backrest cover is used as a life jacket, one side of the neck hole is not cut and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backrest cover. Also, a first surface of the backrest cover functions as a backrest cover surface of a chair,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functions as a life jacket surface, such that the second surface can be used as a lift jacket when the first surface is turned inside out. The second surface is coated with at least one of a fluorescent material and a fluorescent color to form a handle to function as a life jacket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is not coated with a fluorescent material or a fluorescent color, and the handle is not formed.

Description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본 발명은 구명조끼로 가변 될 수 있는 의자 등받이 덮개에 관한 것으로, 일면으로는 의자 덮개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른 면으로는 구명조끼로 사용할 수 있는 구명조끼로 가변 되는 의자 등받이 덮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back cover that can be changed into a life jacket, and on one side, it can be used as a chair cover, and on the other side, it relates to a chair back cover that can be used as a life jacket.

오늘날 해상 선박등과 같이 대형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곳에서 구명물품을 일정 인원에 비례하도록 구비해야 하는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규제에 따르기에는 선박의 제한된 면적과 수용규모에 있어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간소화되거나 소형화 또는 가변되는 구명물품이 개발되어 왔는데, 이렇게 소형화 또는 가변되는 구명물품도 제한된 선박 면적에 적용되기 힘들다는 문제점과, 이렇게 개발된 구명 물품은 소형화 또는 간소화 될수록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인명구호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oday, government regulations that require that life-saving items be provided in proportion to a certain number of people in places where large-scale accidents can occur, such as marine vessels, are being strengthened. However, there are problems in the limited area and capacity of ships to comply with these regulat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implified, miniaturized, or variable life-saving articles have been developed. The problem that such miniaturized or variable life-saving articles are also difficult to apply to a limited ship area, and the life-saving articles developed in this way show their functions as they are miniaturized or simplifi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saving lives because it could not be done.

미국 등록특허 제5,335,882호는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비행기 의자용 시트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밑판에 구비되는 쿠션이 구명조끼로 가변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별도의 이동없이 신속하게 구명 조끼를 착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지만, 기존의 의자에 적용할 수는 없고 기존의 의자 전체를 교체해야 구명조끼를 구비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U.S. Patent No. 5,335,882 relates to a seat cushion for an airplane chair that can be changed into a life jacket, and the cushion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chair is changed into a life jacke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he position and quickly without moving the life jacket. Although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ble to wear a life jacket, it cannot be applied to an existing chair, and the entire existing chair has to be replaced to be equipped with a life jacket.

또 다른 면으로는, 상기 미국 등록특허의 경우, 부력재를 의자의 쿠션으로 사용하고 목과 팔 부분이 들어갈 부분을 착용 전 해체해야 하기에 착용에 불편함이 존재한다.In another aspect, in the case of the US registered patent, the buoyancy material is used as a cushion of the chair, and the neck and arm parts have to be disassembled before wearing, so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wearing.

이에 따라, 기존에 비행기나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의자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면서, 구명조끼로 사용 시 누구나 손쉽게 직관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구명조끼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a life jacket that can be easily and intuitively worn by anyone when used as a life jacket while being applied to a chair installed on an airplane or a ship.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기존에 비행기나 선박에 기설치되어 있는 의자에 적용되어, 일상적으로 사용 시에는 의자 등받이 덮개로서 활용될 수 있고, 위급시에는 구명조끼로 가변될 수 있는 구명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is that it is applied to a chair already installed on an airplane or ship, and can be used as a chair back cover in daily use, and a variable chair back into a life jacket that can be changed to a life jacket in case of an emergenc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ver.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자 등받이를 덮는 등받이 덮개에 있어서, 상기 의자 등받이 전면을 덮는 전면부;, 상기 의자 등받이 후면을 덮는 후면부;, 상기 의자 등받이의 상단에 걸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되, 구명조끼로 활용 시 착용자의 머리를 통과시키기 위한 목구멍을 형성하도록 'U'자형 절개선을 형성하되, 목구멍의 일측은 절개되지 않고 상기 등받이 덮개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등받이 덮개의 제 1 면은 상기 의자의 등받이 덮개 면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 1 면의 반대 면인 제 2 면은 구명조끼 면으로서 기능하여, 상기 제 1 면을 뒤집으면 구명조끼로 활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2 면은 형광물질 및 형광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코팅되어 구명조끼 면으로 기능하도록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면은 형광물질이나 형광색이 코팅되어 있지 않고 상기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의자 등받이 덮개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 in a backrest cover for covering a chair back, a front portion covering the front of the chair back; a rear portion covering the rear of the chair back; and at the upper end of the chair back a connection part provided to span, connecting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to each other; and a buoyancy body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part, the rear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but forming a 'U'-shaped incision to form a throat for passing the wearer's head when used as a life jacket, one side of the throat remains attached to the backrest cover without being cut, a first side of the backrest cover functions as a backrest cover face of the chair, and a second face opposite the first face functions as a lifejacket face. , When the first side is turned over, it is provided so as to be usable as a life jacket, and the second side is coated with at least one of a fluorescent material and a fluorescent color to form a handle to function as a life jacket side, and the first side is fluorescent It provides a chair back cover that is variable with a life ja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r fluorescent color is not coated and the handle is not formed.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연결부는 사각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part, the rear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상기 연결부가 의자 등받이 상단에 걸쳐지면 상기 연결부가 구부러지면서 상기 전면부가 상기 의자의 전면을 덮고 상기 후면부가 상기 의자의 후면을 덮는 형태로 의자 등받이를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part is over the upper end of the chair back, the connection part is bent to form the chair back in such a way that the front part covers the front of the chair and the rear part covers the back of the chair.

상기 절개선은, 일측은 남기고 나머지가 절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cision line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one side is left and the other is cut.

상기 절개선에 의해서 절개된 부분은, 상기 등받이 덮개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목받침부를 형성하고, 상기 목받침부에 구비되는 부력체에 의해서 물에 떠있는 동안에 상기 착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부력을 제공될 수 있다.The part cut by the incision line forms a neck support part with one end fixed to the backrest cover, and the buoyancy that supports the wearer's head while floating in the water by the buoyancy body provided in the neck support part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 덮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chair back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존에 기설치되어 있는 항공기나 선박에도 간편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conveniently applied to an aircraft or a ship that is already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일상적인 사용 시에는 쿠션감을 줄 수 있는 의자 등받이 덮개로서 사용되다가, 위급시에는 간편하게 구명조끼로 가변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sed as a chair back cover that can give a cushioning feeling in daily use, and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conveniently changed into a life jacket in case of an emergency.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덮개(100, 이하 등받이 덮개)를 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전면도(a) 및 후면도(b)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구명조끼 면을 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전면도(a) 및 후면도(b)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덮개(100)를 의자에 체결시킨 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덮개(100)를 구명조끼로 가변시켜 사용자에게 착용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다.
1 is a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a chair back cove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ack cove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a) and a rear view (b) of the back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the back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of the back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e jacket surface of the backrest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e jacket surface backrest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life jacket surface backrest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a) and a rear view (b) of the life jacket surface backrest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the life jacket surface backrest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of the life jacket surface backrest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hair back cover 100 is fastened to th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show a state in which the chair back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to a life jacket and worn by a us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에서는, 일상적인 사용 시에는 비행기나 선박에 기설치되어 있는 의자의 등받이를 덮을 수 있는 덮개로 사용 될 수 있으나, 위급시에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몸에 착용할 수 있는 구명조끼로 활용될 수 있는 덮개에 대하여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daily use, it can be used as a cover that can cover the back of a chair already installed on an airplane or ship, but in an emergency, it can be used as a life jacket that can be easily worn by the user. Suggest for cover.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덮개(100, 이하 등받이 덮개)를 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전면도(a) 및 후면도(b)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의 측면도는 우측면도이나, 좌측면도는 우측면도와 좌우대칭될 뿐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unfolded state of a chair back cove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ack cover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a) and a rear view (b) of the back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the back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view of FIG. 5 is a right side view, but the left side view is the same as the right side view only symmetrical, so it is omitted. 6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of the back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를 덮는 등받이 덮개(100)는 상기 의자 등받이 전면을 덮는 전면부(101), 상기 의자 등받이 후면을 덮는 후면부(103), 상기 의자 등받이의 상단에 걸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02), 및 상기 전면부(101), 후면부(103) 및 연결부(102)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부력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ckrest cover 100 for covering the chair 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portion 101 covering the front of the chair back, a rear portion 103 covering the rear of the chair back, and provided to span the upper end of the chair back.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102 for connecting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to each other, and a buoyancy body 110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part 101, the rear part 103 and the connection part 102. .

이때, 상기 부력체(110)는 고체형태의 부력체일 수 있다. 고체 형태의 부력체는 폴리에틸렌(PE)이나 PVC, NBR(Nitrile-butadiene rubber), EVA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발포성형시켜 형성된 폼 등의 발포성 수지를 판형상으로 가공하여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uoyancy body 110 may be a solid buoyancy body. The solid buoyancy body may be provided by processing a foamable resin such as a foam formed by foam molding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ethylene (PE), PVC, NBR (Nitrile-butadiene rubber), or EVA into a plate shape.

NBR(Nitrile-butadiene rubber)은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을 저온 유화중합법으로 만든 합성고무 제품으로서, NBR은 내유성이 우수하여 연료호스, 신발 밑창, 자동차 부품 등에 사용되며, PVC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PVC 개질제로도 사용될 수 있는 재질이다.NBR (Nitrile-butadiene rubber) is a synthetic rubber product made by low-temperature emulsion 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and butadiene. NBR has excellent oil resistance and is used for fuel hoses, shoe soles, and automobile parts. It is a material that can also be used as a PVC modifier.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togethe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는, 전면부(101), 연결부(102) 및 후면부(103)가 구분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는 사각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이러한 사각 판 형상이 펼쳐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연결부(102) 부분이 의자 등받이의 상단에 걸쳐지면, 자연스럽게 연결부(102) 부분이 구부러지면서 전면부(101)는 의자 등받이의 전면을 덮고, 후면부(103)는 의자 등받이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도 13 참조).Referring to Figure 1, the back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ortion 101, the connection portion 102, and the rear portion 103 are not divided and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to be provided. can In FIG. 1, this square plate shape is shown in an unfolded state, but when the connection part 102 extends over the top of the chair back, the connection part 102 naturally bends and the front part 101 covers the front of the chair back. , the rear part 103 may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chair back (refer to FIG. 13).

이때, 사각 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의자 등받이의 전면이나 후면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던지 가능할 것이다. 특히, 디자인적이나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사각 판 형상의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At this time, it is not limited to the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ny shape may be possible as long as the shape can cover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chair back. In particula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corners of the square plate shape can be rounded for design and convenience of use.

또한,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전면부(101), 후면부(103) 및 연결부(102)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부력체(110-1 ~ 110-1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 1 , the buoyancy body 110-1 to 110-10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part 101, the rear part 103, and the connection part 102 may be provided.

이와 같은 부력체(110-1 ~ 110-10)는, 구명조끼로 가변 시 부력을 제공해 줄 수도 있지만, 등받이로 활용 시 쿠션으로 역할을 하여 의자에 앉아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착석감을 향상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Such a buoyancy body (110-1 ~ 110-10) may provide buoyancy when variable as a life jacket, but when used as a backrest, it will serve as a cushion to improve the feeling of sitting for a person sitting in a chair. .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는, 상기 전면부(101)에 구비 시 좌우로 구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는, 이를 착용한 사람이 물에서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바람직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구명조끼로부터 물이 빠르게 배수되어야, 사람을 끌어올릴 때 보다 적은 힘으로 가능해 진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면부(101)에 구비되는 전면 부력체(110-1, 110-2)가 좌측으로 구비되는 제 1 부력체(110-1) 및 우측으로 구비되는 제 2 부력체(110-2)로 구분되고, 제 1 및 제 2 부력체(110-1, 110-2)의 사이에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로(112)를 형성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 the buoyancy body may be provided to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when provided on the front part 101 . In general, the life jacket, it would be desirable to be designed so that a person wearing it can easily get out of the water. Therefore, the water must be drained from the life jacket quickly so that it is possible with less force than when hoisting a person.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buoyancy body (110-1, 110-2) provided on the front part 101, the first buoyancy body 110-1 provided on the left and the second buoyancy body provided on the right side Divided by (110-2), it is proposed to form a drainage channel 112 through which water can be drai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uoyancy bodies 110-1 and 110-2.

배수로(112)를 따라서 물이 쉽게 빠져나가면, 물에 빠져 있는 사람을 육지나 선박으로 끌어 올릴 때 보다 적은 힘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If the water drains easily along the ditch 112, it may be done with less force than when pulling a drowning person to land or a vessel.

또한 복수 개의 부력체(110-1 ~ 110-10)는, 구부러져야 하는 위치에 따라서 나누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전면부(101)와 연결부(102)의 제 1 경계(120-1)는, 의자 등받이 상단에 의해서 구부러져야 하는 위치이다. 마찬가지로, 후면부(103)와 연결부(102)의 제 2 경계(120-2) 역시 의자 등받이 상단에 의해서 구부러져야 하는 위치이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uoyancy bodies (110-1 ~ 110-10) will be divi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to be bent. For example, the first boundary 120-1 between the front part 101 and the connecting part 102 is a position to be bent by the upper end of the chair back. Similarly, the second boundary 120-2 of the rear portion 103 and the connecting portion 102 is also a position to be bent by the upper end of the chair back.

제 1 경계(120-1)에서 잘 구부러질 수 있도록, 제 1 부력체(110-1)와 제 4 부력체(110-4)는 서로 나누어지도록 구비되며, 마찬가지로 제 2 부력체(110-2)와 제 5 부력체(110-5)는 서로 나누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다.In order to be able to bend well at the first boundary 120-1, the first buoyancy body 110-1 and the fourth buoyancy body 110-4 are provided to be divided from each other, and likewise the second buoyancy body 110-2 ) and the fifth buoyancy body (110-5) is to be provided to be divided from each other.

제 2 경계(120-2)에서 잘 구부러질 수 있도록, 제 6 부력체(110-6)와 후면 부력체(제 9 부력체, 110-9)사이, 제 7 부력체(110-7)와 후면 부력체(제 9 부력체, 110-9)사이 및 제 8 부력체(110-8)와 후면 부력체(제 9 부력체, 110-9)사이는 나누어 지도록 구비된다.To be able to bend well at the second boundary (120-2), between the sixth buoyancy body (110-6) and the rear buoyancy body (the ninth buoyancy body, 110-9), the seventh buoyancy body (110-7) and Between the rear buoyancy body (the ninth buoyancy body, 110-9) and the eighth buoyancy body (110-8) and the rear buoyancy body (the ninth buoyancy body, 110-9) is provided to be divided.

*44*44

또한, 후술하겠지만, 절개선(130)에 의해서 제 3 부력체(110-3) 및 전면 부력체(110-1, 110-2)사이, 제 4 및 제 10 부력체(110-4, 110-10)사이, 제 5 및 제 10 부력체(110-5, 110-10)사이, 제 6 및 제 7 부력체(110-6, 110-7)사이, 제 8 및 제 7 부력체(110-8, 110-7)사이가 나누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between the third buoyancy body 110-3 and the front buoyancy body 110-1 and 110-2 by the incision line 130, the fourth and tenth buoyancy body 110-4, 110- 10) between, between the fifth and tenth buoyancy bodies (110-5, 110-10), between the sixth and seventh buoyancy bodies (110-6, 110-7), the eighth and seventh buoyancy bodies (110-) 8, 110-7) can be di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는, 구명조끼로 활용 시 착용자의 머리를 통과시키기 위한 목구멍을 형성하도록 절개선(130)(예를 들면 'U'자형태)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선(130)에 의해서 개방되는 구멍을 통하여, 착용자가 머리를 통과시키고 목에 착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back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incision line 130 (for example, a 'U' shape) to form a throat for passing the wearer's head when used as a life jacket. have. As shown in FIG. 1 , through the hole opened by the incision line 130 , the wearer may pass the head through and wear it on the nec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절개선(130)은, 일측은 남기고 나머지가 절개되는 형상을 제안한다. 왜냐하면, 절개되지 않는 부분이 고정되어 절개된 부분을 고정시키고, 절개된 부분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목 뒤부분을 받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절개될 경우, 절개되지 않아 고정되는 영역에 의해 절개되어 개방되는 부분이 등받이 덮개(100)에 매달리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The incision line 130 for forming a thr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a shape in which one side is left and the rest is incised. This is because the uncut portion is fixed to fix the incised portion, and the incision is used to support the back of the wearer's neck. When it is cut in this way, the cut open portion by the non-cut and fixed region may be fixed in the form of hanging from the back cover 100 .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이렇게 개방되는 부분을 목받침부(140)라고 호칭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착용자가 구명조끼를 착용 시, 이러한 목받침부(140) 자체의 부력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머리나 목을 받칠 수 있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물에 떠있을 때에 편안한 자세를 취하여 오랫동안 생존이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절개되지 않은 부분은 착용자의 목 뒤부분일 수 있을 것이다.Fo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open portion is referred to as a neck support unit 140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earer wears the life jacket, it is proposed to support the wearer's head or neck by using the buoyancy of the neck support unit 140 itself. Accordingly, the wearer will be able to survive for a long time by taking a comfortable position when floating in the water. To this end, the uncut portion may be the back of the wearer's nec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받침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부력체(110-3, 110-10, 110-7)로 나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복수 개로 나뉘어진 부력체(110-3, 110-10, 110-7)는 위와 같이 개방되었을 때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구부러진 상태로 착용자의 목을 편안하게 바쳐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복수 개로 나뉘어진 부력체(110-3, 110-10, 110-7)는, 수평 방향으로 구분되도록 나뉘어질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the neck support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uoyancy bodies (110-3, 110-10, 110-7). Since the buoyancy body (110-3, 110-10, 110-7)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hese is easy to bend when opened as above, it will be possible to comfortably give the wearer's neck in a bent state. To this end, the plurality of divided buoyancy bodies (110-3, 110-10, 110-7) may be divided so as to be di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목받침부(140)에 손잡이(111)를 더 구비하도록 제안한다. 이와 같은 손잡이(111)는 위급 상황 시,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이 손잡이(111)를 잡고 위쪽 방향으로 잡아 당길 경우, 본 등받이 덮개(100)가 의자 등받이로부터 손쉽게 벗겨지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posed to further include a handle 111 on the neck support 140 . Such a handle 111 is for easily peeling off the backrest cover 100 from the chair back when a person who wants to use it in an emergency situation grabs the handle 111 and pulls it upward.

또한, 의자 등받이에 효과적으로 고정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01)와 후면부(103)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체결밴드(201-1)를 더 구비하도록 제안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e effectively fixed to the chair back,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first fastening band 201- for fixing the front part 101 and the rear part 103 to each other. 1) is further proposed.

상술한 바와 같이, 위급한 상황이 아니라 일상적인 경우 본 발명의 등받이 덮개(100)는 의자 등받이 덮개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해야만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하게 의자 등받이에 걸쳐져 있는 상태로 유지되지 않고, 의자 등받이에 효과적으로 고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면부(101)와 후면부(103)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체결밴드(201-1)가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구명조끼로 활용 시에도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신체에 효과적으로 고정되기 위하여 제 1 체결밴드(201-1)가 요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ckrest co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effectively function as a chair backrest cover in an ordinary, not an emergency situation. Therefore, it is not simply maintained on the back of the chair, but must be effectively fixed to the back of the chair. To this e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astening band 201-1 for fixing the front portion 101 and the rear portion 103 to each other is required. Also, when used as a life jacket, the first fastening band 201-1 may be required in order to be effectively fixed to the wearer's body.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체결밴드(201-1)의 일단은 후면부(103)의 하단에 체결되고, 제 1 체결밴드(201-1)의 타단은 전면부(101)의 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부(101)는 후면부(103)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제 1 체결밴드(201-1)의 상기 일단은 후면부(103)의 하단 모서리에서부터 비스듬하게 대각선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의자 등받이의 측면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전면부(101)와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라운드 처리 된 사각 형상의 모서리에 상기 제 1 체결밴드(201-1)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one end of the first fastening band 201-1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r part 103 ,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fastening band 201-1 is fasten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ront part 101 . can be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portion 101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onger than the rear portion 103 . In particular, the one end of the first fastening band 201-1 may be obliquely fastened from the lower edge of the rear part 103 in a diagonal direction. This is because it has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part 101 in the form of wrapping along the side of the chair back. 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fastening band 201-1 may be connected to the rounded corner of the square shap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체결밴드(201-1)의 중간에 버클(202)을 구비한다. 이렇게 버클(202)이 구비되어, 착용자가 버클(202)의 탈착을 통하여 전면부(101)와 후면부(103)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서, 구명조끼의 착용/해제 시 편하게 하기 위하여 버클(202)을 통하여 전면부(101)와 후면부(103)를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ckle 202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fastening band 201-1. The buckle 202 is provided in this way, so that the wearer can easily separate the front part 101 and the rear part 103 through the detachment of the buckle 202 . For example, the front portion 101 and the rear portion 103 may be separated through the buckle 202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wear/disengage the life jacket.

특히 상기 제 1 체결밴드(201-1)는, 전면부(101)의 좌측 일단, 우측 일단 각각에 하나씩 구비되어, 좌우를 모두 체결/고정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particular, it is obvious that the first fastening band 201-1 is provided at each of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front part 101, so that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be fastened/fix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01)와 후면부(103)를 연결하기 위한 제 2 체결밴드(201-2)를 더 포함하도록 제안한다. 이와 같이 체결되는 제 2 체결밴드(201-2)는, 단순하게 의자 등받이에 고정되기 위함이 아니라, 구명조끼로 사용 시 착용자의 신체에 완벽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구성이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it is proposed to further include a second fastening band 201 - 2 for connecting the front part 101 and the rear part 103 . The second fastening band 201-2 fastened in this way is not simply fixed to the chair back, but is required to be perfectly fixed to the wearer's body when used as a life jacket.

상기 제 2 체결밴드(201-2)의 일단은, 후면부(103)의 하단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체결밴드(201-2)는 'Y' 형태의 두 갈래로 갈라져, 두 갈래로 갈라진 두 타단은 전면부(101) 하단의 좌우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이유는, 착용자의 사타구니에서부터 허벅지 방향으로 감싸도록 제 2 체결밴드(201-2)가 감싸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부력에 의해서 구명조끼가 위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는데, 착용자의 사타구니 자체에서 바로 위를 향하는 힘이 가해지게 되면, 불편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One end of the second fastening band 201 - 2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r part 103 , and the second fastening band 201 - 2 is divided into two 'Y'-shaped prongs. The two split ends may b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rt 101 . As such, the reason for the bifurcation is that the second fastening band 201 - 2 wraps around the wearer's groin in the thigh direction. This is because, by the buoyancy force, the life jacket applies a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and when the force is applied directly upward from the wearer's groin itself, it may cause inconvenience.

상술한 제 1 및 제 2 체결밴드(201-1, 201-2)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bands 201-1 and 201-2 described above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의자 등받이 덮개로 활용되는 면을 뒤집어서 구명조끼로 활용하도록 제안한다. 왜냐하면, 단순하게 등받이 덮개로 활용할 때와 구명조끼로 활용할 때 필요한 구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들은 의자 등받이 덮개로 활용될 수 있는 면(이하, 등받이 면)을 설명한 것이며,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명조끼로 활용될 수 있는 면(이하, 구명조끼 면)에 대하여 살펴본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posed to turn over the surface used as the chair back cover and use it as a life jacket. This is because the required configuration is different when used as a simple backrest cover and when used as a life jacket. Accordingly,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describe a surface that can be utilized as a chair back cover (hereinafter, a back surface), and a surface that can be utilized as a life jacket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2 below (hereinafter, the life jacket side) will be looked at.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덮개(100)의 구명조끼 면을 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전면도(a) 및 후면도(b)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측면도는 우측면도이나, 좌측면도는 우측면도와 좌우대칭될 뿐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 면 등받이 덮개(100)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e jacket surface of the backrest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e jacket surface backrest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life jacket surface backrest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a) and a rear view (b) of the life jacket surface backrest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the life jacket surface backrest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view of FIG. 11 is a right side view, but the left side view is the same as the right side view only symmetrically, so it is omitted. 12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of the life jacket surface backrest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에서는, 구명조끼 면이 등받이 면과 반대되는 면이기 때문에 공통적인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명조끼 면이 등받이 면과 달라지는 구성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구명조끼 면의 등받이 덮개(100)는, 이하 설명의 편의 상 구명조끼(100')이라 호칭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mmon part will be omitted because the lifejacket surface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backrest surface. Only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rface of the life jacket differs from the surface of the backrest will be mainly explained. The backrest cover 100 of the life jacket surface will be referred to as a life jacket 100 ′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구명조끼(100')의 면은, 형광 물질이 도포되거나 형광색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바다 등의 표류 시, 구명조끼(100')가 눈에 잘 띄기 위함이다.The surface of the life jacket 100 ′ may be coated with a fluorescent material or provided with a fluorescent color. This is because, when drifting in the sea, etc., the life jacket 100' is well conspicuous.

도 7을 참조하면 구명조끼(100')의 전면부(101), 연결부(102) 및 후면부(103) 중 적어도 하나에 손잡이(801-1, 801-2)를 형성할 수 있다. 왜냐하면, 구명조끼(100')를 착용한 사람을 물에서 끌어올리기 위해서, 구명조끼(100') 면에 손잡이를 구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801-1, 801-2)를 구비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7 , handles 801-1 and 801-2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portion 101, the connecting portion 102, and the rear portion 103 of the life jacket 100'. Because, in order to lift a person wearing the life jacket 100 ′ from the water,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handle on the life jacket 100 ′ side.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posed to have handles 801-1 and 801-2.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조끼(100')는, 좌우 양쪽으로 손잡이(801-1, 801-2)를 구비하도록 제안한다. 이는, 구명의 효율 및 편의를 위함이다. 즉, 양쪽의 손잡이(801-1, 801-2)을 양손으로 잡아 끌어 올릴 경우, 무거운 사람이라도 손쉽게 끌어 올려 구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the life jack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be provided with handles 801-1, 801-2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is is for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saving. That is, when both handles 801-1 and 801-2 are grabbed by both hands and pulled up, even a heavy person can be easily lifted and rescued.

특히, 상기 손잡이(801-1, 801-2)는, 전면부(101), 연결부(102) 및 후면부(103) 전체에 걸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도시된 도면 참조). 왜냐하면, 표류하는 사람의 자세에 따라서 뒤에서 끌어당길 수도 있고, 앞에서 끌어당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선박에 있는 사람이 끌어 당길 때에는 위쪽 손잡이를 이용하면 편하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the handles 801-1 and 801-2 may be vertically elongated to span the entire front portion 101, the connecting portion 102, and the rear portion 103 (refer to the illustrated drawings). This is because, depending on the posture of the drifting person, it can be pulled from the back or from the front. In addition, it is because it is convenient to use the upper handle when a person on the ship pulls it.

이를 위해서 손잡이(801-1, 801-2)는, 전면부(101), 연결부(102) 및 후면부(103) 전체에 걸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전면 손잡이 영역(1101-1), 상부 손잡이 영역(1101-2) 및 후면 손잡이 영역(1101-3)으로 나누어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도 11 참조).To this end, the handles 801-1 and 801-2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vertically so as to span the entire front portion 101, the connecting portion 102, and the rear portion 103, in particular, the front handle region 1101-1). , it may be provided to be divided into an upper handle area (1101-2) and a rear handle area (1101-3) (see FIG. 11).

또한, 구명조끼(100')는 상술한 절개선(130)에 의해서 목받침부(140)가 개방되어 목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목받침부(140)가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제 1 및 제 2 고정부(701-1, 701-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고정부(701-1, 701-2)는, 벨크로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접착 시, 접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제 1 및 제 2 고정부(701-1, 701-2)가 고정될 때, 목받침부(140)가 구부러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목을 보다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어, 오랜 시간 표류하더라도 쉽게 지치지 않도록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neck support 140 is opened by the above-described incision line 130 to form a throat, the life jacket 100 ′ can be fixed so that the neck support 140 can be firmly fixed. ,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701-1 and 701-2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701-1 and 701-2 may be formed of a Velcro material and stably fixed in an adhered state when adher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wh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701-1 and 701-2 are fixed, since the neck support part 140 can be fixed in a bent state, it can support the wearer's neck more stably, Convenience can be improved so that you do not get tired easily even if you drift for a long time.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덮개(100)를 의자에 체결시킨 상태도를 도시한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hair back cover 100 is fastened to the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덮개(100)는 의자 등받이에 안정적으로 착용되면서, 부력체 자체의 쿠션 효과로 의자의 착석감을 향상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기 상황 시에는 구명조끼로 사용되어 승객의 안전을 도모해 줄 수 있을 것이다.As shown, the back cover 100 is stably worn on the back of the chair, and not only can improve the seating feeling of the chair with the cushion effect of the buoyancy body itself, but also is used as a life jacket in case of a crisis to ensure the safety of passengers. will be able to help you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 덮개(100)를 구명조끼로 가변시켜 사용자에게 착용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다.14 and 15 show a state in which the chair back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to a life jacket and worn by a user.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구명조끼 면이 착용자의 전면과 후면으로 드러나면서, 형광 물질이나 형광색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멀리서도 손쉽게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손잡이(810) 역시 외부로 돌출되어, 구명조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as the life jacket surface is exposed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wearer, the fluorescent material or fluorescent color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it can be easily identified from a distance.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handle 810 also protrudes to the outside, so that it can perform a function as a life jacket.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조끼로 가변 가능한 의자 등받이 덮개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a variable chair back cover has been described as a life j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will b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and there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 limited by the drawings or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concept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other structures in order to perform the sam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equivalent structure modified or change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bound b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it.

Claims (5)

의자 등받이를 덮는 등받이 덮개에 있어서,
상기 의자 등받이 전면을 덮는 전면부;
상기 의자 등받이 후면을 덮는 후면부;
상기 의자 등받이의 상단에 걸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되,
구명조끼로 활용 시 착용자의 머리를 통과시키기 위한 목구멍을 형성하도록 'U'자형 절개선을 형성하되, 목구멍의 일측은 절개되지 않고 상기 등받이 덮개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등받이 덮개의 제 1 면은 상기 의자의 등받이 덮개 면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 1 면의 반대 면인 제 2 면은 구명조끼 면으로서 기능하여, 상기 제 1 면을 뒤집으면 구명조끼로 활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 2 면은 형광물질 및 형광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코팅되어 구명조끼 면으로 기능하도록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면은 형광물질이나 형광색이 코팅되어 있지 않고 상기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의자 등받이 덮개.
In the backrest cover covering the chair back,
a front portion covering the front of the chair back;
a rear portion covering the back of the chair back;
a connection part provided to span the upper end of the chair back and connecting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to each other; and
Including a buoyancy body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part, the rear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When used as a life jacket, a 'U'-shaped incision is formed to form a throat for passing the wearer's head, but one side of the throat is not cut and is maintained attached to the back cover,
The first surface of the backrest cover functions as a backrest cover surface of the chair, and the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functions as a lifejacket surface, so that when the first surface is turned over, it can be used as a life jacket become,
The second surface is coated with at least one of a fluorescent material and a fluorescent color to form a handle to function as a life jacket surface,
The first surface is not coated with a fluorescent material or fluorescent col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not formed,
A cover for the back of a chair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life jack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후면부 및 연결부는 사각 판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의자 등받이 덮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part, the rear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A cover for the back of a chair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life jacke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의자 등받이 상단에 걸쳐지면 상기 연결부가 구부러지면서 상기 전면부가 상기 의자의 전면을 덮고 상기 후면부가 상기 의자의 후면을 덮는 형태로 의자 등받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의자 등받이 덮개.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connection part is over the top of the chair back, the connection part is bent to form the chair back in such a way that the front part covers the front of the chair and the rear part covers the back of the chair,
A cover for the back of a chair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life jack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일측은 남기고 나머지가 절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의자 등받이 덮개.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incision line,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left and the rest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ncision,
A cover for the back of a chair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life jacke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에 의해서 절개된 부분은,
상기 등받이 덮개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목받침부를 형성하고,
상기 목받침부에 구비되는 부력체에 의해서 물에 떠있는 동안에 상기 착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부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로 가변되는 의자 등받이 덮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ortion cut by the incision line,
Forming a neck support in a state where one end is fixed to the back cover,
Characterized in providing buoyancy to support the wearer's head while floating in water by the buoyancy body provided in the neck support part,
A cover for the back of a chair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life jacket.

KR1020210148661A 2018-08-14 2021-11-02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KR1023571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661A KR102357113B1 (en) 2018-08-14 2021-11-02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731A KR20200019346A (en) 2018-08-14 2018-08-14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KR1020210148661A KR102357113B1 (en) 2018-08-14 2021-11-02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731A Division KR20200019346A (en) 2018-08-14 2018-08-14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194A true KR20210135194A (en) 2021-11-12
KR102357113B1 KR102357113B1 (en) 2022-02-08

Family

ID=696371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731A KR20200019346A (en) 2018-08-14 2018-08-14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KR1020210148661A KR102357113B1 (en) 2018-08-14 2021-11-02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731A KR20200019346A (en) 2018-08-14 2018-08-14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19346A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882A (en) * 1993-05-10 1994-08-09 Frank Bonacci Combination seat cushion and life vest particularly adapted to an aircraft chair
JP3047321U (en) * 1997-09-19 1998-04-10 株式会社ジーエム Emergency equipment storage vest
US6089936A (en) * 1999-03-05 2000-07-18 Hoffman; Richard S. Personal floatation device
KR200261094Y1 (en) * 2001-10-12 2002-01-19 정은수 Night safety vest having function of luminescence sign
KR200311482Y1 (en) * 2003-01-29 2003-05-01 주식회사 듀죤의료기 A thermal vest
WO2008017116A1 (en) * 2006-08-09 2008-02-14 Gregorich, Thomas Life vest
KR100850470B1 (en) * 2008-01-04 2008-08-07 주식회사 디씨엔 A lifejacket with sos transmitter
JP3185280U (en) * 2013-05-30 2013-08-08 株式会社Fs・Japan School Earthquake Tsunami Countermeasure Evacuation Jacket
KR101820361B1 (en) * 2016-12-26 2018-02-28 하진석 Changable chair between lifesaving floater and life ves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280B2 (en) 1991-02-18 2001-07-09 ミノルタ株式会社 Novel benzyldiphenyl compound, photoreceptor and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benzyldiphenyl compound
JP3047321B2 (en) 1996-11-06 2000-05-29 元旦ビューティ工業株式会社 Exterior structure of building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882A (en) * 1993-05-10 1994-08-09 Frank Bonacci Combination seat cushion and life vest particularly adapted to an aircraft chair
JP3047321U (en) * 1997-09-19 1998-04-10 株式会社ジーエム Emergency equipment storage vest
US6089936A (en) * 1999-03-05 2000-07-18 Hoffman; Richard S. Personal floatation device
KR200261094Y1 (en) * 2001-10-12 2002-01-19 정은수 Night safety vest having function of luminescence sign
KR200311482Y1 (en) * 2003-01-29 2003-05-01 주식회사 듀죤의료기 A thermal vest
WO2008017116A1 (en) * 2006-08-09 2008-02-14 Gregorich, Thomas Life vest
KR100850470B1 (en) * 2008-01-04 2008-08-07 주식회사 디씨엔 A lifejacket with sos transmitter
JP3185280U (en) * 2013-05-30 2013-08-08 株式会社Fs・Japan School Earthquake Tsunami Countermeasure Evacuation Jacket
KR101820361B1 (en) * 2016-12-26 2018-02-28 하진석 Changable chair between lifesaving floater and life v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346A (en) 2020-02-24
KR102357113B1 (en)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5882A (en) Combination seat cushion and life vest particularly adapted to an aircraft chair
US5740567A (en) Blanket with waterproof frictional backing
US7465207B2 (en) Wearable personal floatation boating cushion apparatus
CN204184220U (en) The overboard escape seat of automobile
US3727249A (en) Foldable yoke life preserver
US9101815B2 (en) Watersport hiking support system
CN202529128U (en) Life jacket for military polices
US20190061889A1 (en) Inconspicuous Flotation Apparatus
JP5798104B2 (en) Bag with life save function
US3152343A (en) Foldable yoke life presservers
KR102357113B1 (en)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EP3024347B1 (en) Clothing with inflation system
KR20200142490A (en)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KR20200019546A (en)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US11214341B2 (en) Changeable cover for chair backplate between cover and life vest
US3065476A (en) Foldable yoke life preserver
US8961253B1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with float chair and kayak mounting features
KR20200056599A (en) Chair convertable to life jacket
CN102837810A (en) Life vest using as cushion
US20140152061A1 (en) Chair having integrated safety belt
CN209931555U (en) Eye-catching fluorescent life jacket
JP2006230439A (en) Disaster prevention tsunami cushion
CN210696456U (en) Multifunctional schoolbag
EP1354523B1 (en) Fishermens waders
JPH0241401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