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955A -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955A
KR20210132955A KR1020200051496A KR20200051496A KR20210132955A KR 20210132955 A KR20210132955 A KR 20210132955A KR 1020200051496 A KR1020200051496 A KR 1020200051496A KR 20200051496 A KR20200051496 A KR 20200051496A KR 20210132955 A KR20210132955 A KR 20210132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watt
hour meter
current
abnorm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999B1 (ko
Inventor
김상준
박용업
김우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5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999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4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of instru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power or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01Measuring real or reactive component; Measuring apparent energy
    • G01R21/002Measuring real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량계에서 각 상의 상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전력량계에서 각 상의 상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전압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압과 상기 전류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류에 기반하여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각각 산출하고, 전압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압으로부터 산출된 선간전압과 전류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류에 기반하여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각각 산출한 후,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및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서로 비교하여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URRENT TRANSFORMER RATIO ERROR}
본 발명은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을 감지하는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공장 등의 전력 사용량을 검침하는 경우, 검침원이 수용가를 직접 방문하여 전력량계의 검침 결과 데이터를 확인하고, 검침 결과를 검침 용지 등에 기록한 뒤 회사로 복귀하여 컴퓨터 등의 데이터 저장 장치에 기록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검침원에 의한 검침 방법은 착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정확한 검침 데이터 수집 및 과금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전력량계는 정확한 검침을 수행하기 위해서 정기적인 점검과 즉각적인 장애 복구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통상적으로 즉각적인 장애 신고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부정확한 검침을 유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잘못된 과금 고지서를 발행하여 민원이 자주 제기되고 있고, 검침원을 가장한 범죄 발생 및 검침원 고용에 따른 인건비의 상승으로 국가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식의 원격 검침 시스템이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한편,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도 판매고객을 누락하여 요금이 청구되거나, 무단으로 전력이 사용되거나, 전력계량 설비의 경년변화에 따른 계량 오차가 발생하거나, 검침원의 계량 실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계량손실인 비기술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 정기적으로 인력을 투입하여 전력량계를 점검하거나 일정 기간이 지나면 전력량계를 교체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비기술적 손실을 방지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비기술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5868호(2012.08.14.)의 ‘전력 계량에 있어서의 이상 검출 방법 및 이상 검출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는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는 전력량계에서 각 상의 상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전력량계에서 각 상의 상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압과 상기 전류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류에 기반하여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전압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압으로부터 산출된 선간전압과 상기 전류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류에 기반하여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각각 산출한 후, 상기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및 상기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전력량계는, 델타(1차측)-와이(2차측) 방식으로 결선되는 수전설비 변압기의 1차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모두 합산한 값을 계산하고, 상기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모두 합산한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중 가장 큰 값에 해당하는 전력량계의 상에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방법은 전압 측정부가, 전력량계에서 각 상의 상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전류 측정부가, 상기 전력량계에서 각 상의 상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각 상의 상전압과 상기 각 상의 상전류에 기반하여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각 상의 상전압으로부터 산출된 선간전압과 상기 각 상의 상전류에 기반하여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및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전력량계는, 델타(1차측)-와이(2차측) 방식으로 결선되는 수전설비 변압기의 1차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모두 합산한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모두 합산한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중 가장 큰 값에 해당하는 전력량계의 상에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출력부가,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진단하여 전력량계의 고장 및 하자로 인한 계량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수전설비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방법의 어느 상에서 변류비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수전설비 계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는 전압 측정부(100), 전류 측정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100)는 전력량계(10)에서 각 상의 상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전류 측정부(200)는 전력량계(10)에서 각 상의 상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량계(10)는 수전설비 변압기(20)의 1차 측에 연결된 MOF(Metering Out Fit; 40)에 연결되어 수급지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전력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전력량계(10)는 델타(1차측)-와이(2차측) 방식으로 결선되는 수전설비 변압기(20)의 1차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전력량계(10)는 3상 4선식 전력량계일 수 있다.
따라서, 전력량계(10)는 고압라인에서 차단기(30)를 거쳐 연결된 MOF(40)의 2차 측에서 계량을 위해 강압된 각 상의 상전압과 상전류를 전압 측정부(100) 및 전류 측정부(200)를 통해 설정시간 동안 측정하여 전력량을 계량할 수 있다.
계량된 전력량은 원격 검침 시스템을 통해 서버(미도시)로 전송되고, 서버는 전송된 전력량에 기반하여 고객에게 과금하기 위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전압 측정부(100)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압과 전류 측정부(200)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류에 기반하여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산출하고, 전압 측정부(100)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압으로부터 산출된 선간전압과 전류 측정부(200)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류에 기반하여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산출한 후,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및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서로 비교하여 전력량계(10)의 변류비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과 같이, 제어부(300)는 전압 측정부(100)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압(Va, Vb, Vc)과 전류 측정부(200)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류(Ia, Ib, Ic)를 각각 곱하여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Pa, Pb, Pc)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θva, θvb, θvc 각 상의 상전압 위상이고, θia, θib, θic 각상의 상전류 위상이다.
Figure pat00002
또한, 수학식 2와 같이, 제어부(300)는 전압 측정부(100)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압으로부터 산출된 선간전압(Vab, Vbc, Vca)과 전류 측정부(200)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류(Ia, Ib, Ic)에 기반하여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PTA, PTB, PTC)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θvab, θvbc, θvca 각 상의 선간전압 위상이고, θia, θib, θic 각상의 상전류 위상이다.
예를 들어, PTA는 A상을 기준으로 산출된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이고, PTB는 B상을 기준으로 산출된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이며, PTC는 C상을 기준으로 산출된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00)는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가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모두 합산한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전력량계(10)의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예를 들어, 수학식 3와 같이, 제어부(300)는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PTA, PTB, PTC) 중 적어도 하나가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모두 합산한 값(Pt)과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 차이가 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가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모두 합산한 값(Pt)과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전력량계(10)의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전력량계(10)의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PTA, PTB, PTC) 중 가장 큰 값에 해당하는 상에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PTA, PTB, PTC) 중 PTA가 가장 큰 경우, 전력량계(10)의 A상에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PTB가 가장 큰 경우, 전력량계(10)의 B상에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PTC가 가장 큰 경우, 전력량계(10)의 C상에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조건 Ia Ib Ic θa θb θc θab θbc θca PTA PTB PTC Pt
정상상태 1 1 1 30° 30° 30° 3 3 3 3
A1 0.9 1 1 30° 30° 30° 3 2.85 2.85 2.9
B1 1 0.9 1 30° 30° 30° 2.85 3 2.85 2.9
C1 1 1 0.9 30° 30° 30° 2.85 2.85 3 2.9
A2 0.8 1 1 30° 30° 30° 3 2.7 2.7 2.8
B2 1 0.8 1 30° 30° 30° 2.7 3 2.7 2.8
C2 1 1 0.8 30° 30° 30° 2.7 2.7 3 2.8
표 1을 참고하면, 전력량계(10)의 A상의 변류비 이상으로 정상값 대비 10%의 오차가 발생한 A1 상태인 경우, 다음 수학식 5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이때, 각 상의 상전압은 모두 1이고, 역률은 100%이며, 부하는 평형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Figure pat00004
PTB 및 PTC를 상기 수학식 5와 동일 방법으로 계산하는 경우, 각각 2.85(W)로 계산될 수 있다.
이후, 수학식 3과 같이,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PTA, PTB, PTC) 중 적어도 하나가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모두 합산한 값(Pt)과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 차이나는 것으로 가정하면, 제어부(300)는 전력량계(10)의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PTA, PTB, PTC) 중 PTA가 가장 큰 값에 해당하므로, 전력량계(10)의 A상에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량계(10)의 변류비 이상 발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400)는 실시간으로 제어부(300)에서 판단된 전력량계(10)의 변류비 이상 발생 여부, 및 전력량계(10)의 어느 상에서 변류비 이상이 발생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는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전력량계의 어느 상에서 변류비 이상이 발생했는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전력량계의 고장 및 하자로 인한 계량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방법의 어느 상에서 변류비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방법은 S100 단계, S200 단계, S300 단계 및 S40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00 단계에서, 제어부(300)는 전압 측정부(100)를 통해 전력량계(10)에서 각 상의 상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전력량계(10)는 수전설비 변압기(20)의 1차 측에 연결된 MOF(Metering Out Fit; 40)에 연결되어 수급지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전력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전력량계(10)는 델타(1차측)-와이(2차측) 방식으로 결선되는 수전설비 변압기(20)의 1차 측에 구비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제어부(300)는 전류 측정부(200)를 통해 전력량계(10)에서 각 상의 상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제어부(300)는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S400 단계에서, 제어부(300)는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S500 단계에서, 제어부(300)는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및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서로 비교하여 전력량계(10)의 변류비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S500 단계는 S510 단계 및 S52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제어부(300)는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모두 합산한 값을 계산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제어부(300)는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PTA, PTB, PTC)을 중 적어도 하나가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모두 합산합 값(Pt=Pa+Pb+Pc)과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전력량계(10)의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전력량계(10)의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합(PTA, PTB, PTC) 중 가장 큰 값에 해당하는 전력량계(10)의 상에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PTA, PTB, PTC) 중 PTA가 가장 큰 경우, 전력량계(10)의 A상에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PTB가 가장 큰 경우, 전력량계(10)의 B상에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PTC가 가장 큰 경우, 전력량계(10)의 C상에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400)가 전력량계(10)의 변류비 이상 발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600 단계에서, 제어부(300)는 출력부(4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어부(300)에서 판단된 전력량계(10)의 변류비 이상 발생 여부, 및 전력량계(10)의 어느 상에서 변류비 이상이 발생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는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전력량계의 어느 상에서 변류비 이상이 발생했는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전력량계의 고장 및 하자로 인한 계량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전력량계
100: 전압 측정부
200: 전류 측정부
300: 제어부
400: 출력부

Claims (10)

  1. 전력량계에서 각 상의 상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전력량계에서 각 상의 상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압과 상기 전류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류에 기반하여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전압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압으로부터 산출된 선간전압과 상기 전류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각 상의 상전류에 기반하여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산출한 후, 상기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및 상기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는, 델타(1차측)-와이(2차측) 방식으로 결선되는 수전설비 변압기의 1차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모두 합산한 값을 계산하고, 상기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모두 합산한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중 가장 큰 값에 해당하는 전력량계의 상에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6. 전압 측정부가, 전력량계에서 각 상의 상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전류 측정부가, 상기 전력량계에서 각 상의 상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각 상의 상전압과 상기 각 상의 상전류에 기반하여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각 상의 상전압으로부터 산출된 선간전압과 상기 각 상의 상전류에 기반하여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및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량계는, 델타(1차측)-와이(2차측) 방식으로 결선되는 수전설비 변압기의 1차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모두 합산한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각 상별 3상 4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을 모두 합산한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 차이나는 경우,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각 상별 3상 3선식에 대한 유효전력량 중 가장 큰 값에 해당하는 전력량계의 상에 변류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출력부가, 상기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방법.
KR1020200051496A 2020-04-28 2020-04-28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353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496A KR102353999B1 (ko) 2020-04-28 2020-04-28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496A KR102353999B1 (ko) 2020-04-28 2020-04-28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955A true KR20210132955A (ko) 2021-11-05
KR102353999B1 KR102353999B1 (ko) 2022-01-24

Family

ID=7850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496A KR102353999B1 (ko) 2020-04-28 2020-04-28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42029A (zh) * 2022-09-21 2022-12-30 正泰集团研发中心(上海)有限公司 互感器的现场匹配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1008A (ko) * 2010-01-07 2011-07-13 제이앤디전자(주) 계기용 변성기의 고장검출 및 예측장치
KR101079848B1 (ko) * 2010-09-09 2011-11-03 한국전력공사 계기용변성기 오차 보정 계량장치 및 계량방법
KR20130073659A (ko) * 2011-12-23 2013-07-03 (주)에디테크 전력량계용 변류기의 비오차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KR20180134665A (ko) * 2017-06-09 2018-12-19 한국전력공사 Amⅰ 기반의 스마트미터를 이용한 mof 비오차의 원격 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amⅰ 서버
KR20200002226A (ko) * 2018-06-29 2020-01-08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의 상 오차 검출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1008A (ko) * 2010-01-07 2011-07-13 제이앤디전자(주) 계기용 변성기의 고장검출 및 예측장치
KR101079848B1 (ko) * 2010-09-09 2011-11-03 한국전력공사 계기용변성기 오차 보정 계량장치 및 계량방법
KR20130073659A (ko) * 2011-12-23 2013-07-03 (주)에디테크 전력량계용 변류기의 비오차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KR20180134665A (ko) * 2017-06-09 2018-12-19 한국전력공사 Amⅰ 기반의 스마트미터를 이용한 mof 비오차의 원격 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amⅰ 서버
KR20200002226A (ko) * 2018-06-29 2020-01-08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의 상 오차 검출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42029A (zh) * 2022-09-21 2022-12-30 正泰集团研发中心(上海)有限公司 互感器的现场匹配方法及系统
CN115542029B (zh) * 2022-09-21 2023-12-08 正泰集团研发中心(上海)有限公司 互感器的现场匹配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999B1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7704B2 (en) Detection of deteriorated electrical connections in a meter using adjusted temperature sensing
US8818742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ft and status of electrical power
RU2428708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оверки измерительных приборов
US10393791B2 (en) Detection of deteriorated electrical connections in a meter using temperature sensing and time-variable thresholds
CA2813534A1 (en) Process for detecting energy theft
CN108508401A (zh) 一种电能表失压电量追补误差分析系统及方法
BRPI0801469B1 (pt) sistema de monitoramento para transformadores usado em sistema de medição indireta de energia elétrica em uma instalação de medição de energia elétrica e método de monitoramento e diagnóstico de transformadores em uma instalação de medição indireta de energia elétrica.
US6680616B2 (en) In-service testing of current transformers
US10261112B2 (en) Non-contact type voltage sensor for dual-wire power cabl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installation position variation thereof
CN108603899A (zh) 用于操作能量消耗计量系统的方法以及能量消耗计量系统
KR101008451B1 (ko) 오결선 감지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537018B1 (ko) 전력계에서 주파수 보상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53999B1 (ko) 전력량계의 변류비 이상 발생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344194B1 (ko) 3상 4선식의 전력량계의 오차를 추정하는 진단 시스템
KR101175868B1 (ko) 전력 계량에 있어서의 이상 검출 방법 및 이상 검출 장치
KR102556772B1 (ko) 전력량계의 상 오차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16423A (ko) 전력량계의 휴대용 오차보정장치
KR20200103932A (ko) Ami 시스템에서의 전자식 전력량계의 고장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995514B1 (ko) Amⅰ 기반의 스마트미터를 이용한 mof 비오차의 원격 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amⅰ 서버
CN108152782B (zh) 一种高供高计电能表更正系数的测试方法
KR101159753B1 (ko) 전자식 전력량계
Ayanlade et al. Application of Current Differential Principle in the Detection of Energy Theft in a GSM-Based Single-Phase Smart Meter
Hartono et al. Design of Electricity Theft Monitoring System Using Differential Power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
CN116203495A (zh) 基于无线通信的计量故障分析方法、装置、介质和设备
JP2004336846A (ja) 電気量変化要因の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