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262A - Detachable sensing device for feeding bottle and the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 Google Patents

Detachable sensing device for feeding bottle and the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262A
KR20210132262A KR1020200049860A KR20200049860A KR20210132262A KR 20210132262 A KR20210132262 A KR 20210132262A KR 1020200049860 A KR1020200049860 A KR 1020200049860A KR 20200049860 A KR20200049860 A KR 20200049860A KR 20210132262 A KR20210132262 A KR 20210132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detachable
layer
patch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8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8224B1 (en
Inventor
김선국
이민구
신종환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9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224B1/en
Publication of KR2021013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2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2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2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thermo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00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 G08B1/08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using electric transmission ; transformation of alarm signals to electrical signals from a different medium, e.g. transmission of an electric alarm signal upon detection of an audible alarm sign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2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temperatu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sensing device for a feeding bottle, and a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The detachable sensing device for a feeding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ch layer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outer surface of a feeding bottle, and a sensor layer including a sensor fixed on the patch layer to detect information on the feeding bottle or a solution in the feeding bottle.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DETACHABLE SENSING DEVICE FOR FEEDING BOTTLE AND THE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DETACHABLE SENSING DEVICE FOR FEEDING BOTTLE AND THE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유병 외측면에 탈부착 가능하며 수유병 내 용액의 수위 또는 온도 등을 센싱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센싱된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이를 기초로 수유액의 상태를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and a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which is detachable and detachable for sensing the water level or temperature of a solution in the feeding bottle. A nursing bottle sensing device and a nursing bottle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externally monitoring the state of a nursing fluid based on the sensing device and the sensed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an external server.

수유병을 이용하여 수유를 하기 전에 수유를 하기에 적합한 온도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유자의 감에 의존하여 수유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수유액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으면 유아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가 있다. Before breastfeeding using a feeding bottl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temperature is suitable for breastfeeding. It is common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nursing fluid depending on the senses of the nursing mother. If the temperature of the nursing fluid is too high or too low, it can have a fatal effect on the health of the infant.

또한, 수유병 내에 잔존하는 분유량이 얼마인지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잔존하는 분유량을 통해 유아가 먹은 양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유자가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분유가 모두 소진되는 경우 유아가 공기를 흡입하여 배앓이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It is also important to know how much milk powder remains in the feeding bottle.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infant formula can be determined from the amount of formula remaining. In addition, if all the formula is exhausted without the breastfeeding being detected, the infant may inhale air and cause colic.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센서가 부착된 수유병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위생을 철저히 해야 하는 수유병의 특성상 소독을 위해 고온으로 삶아야 하기 때문에, 센서가 수유병에 부착되는 경우 센서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feeding bottle with a sensor is being developed.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nursing bottle that requires thorough hygiene, it must be boiled at a high temperature for sterilization, and when the sensor is attached to the feeding bottle, the sensor may be easily damag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8744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4-008744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유병의 외측면에 탈부착시킬 수가 있어서 수유병을 삶아 소독할 때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센싱 장치에 손상이 생기지 않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ior art, and since i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it can be detached when boiling and sterilizing the feeding bottle so that it can be detached without damage to the sensing device. To provide a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또한,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로부터 획득한 센싱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여 외부자가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나아가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서 수유병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detachable nursing bottle sensing device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an outsider can easily monitor it, and furthermore, the nursing bottle monitoring that can control the status of the nursing bottle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to provide a syst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유병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패치층; 및 상기 패치층 상에 고정되며 상기 수유병 또는 상기 수유병 내 용액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층을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tch layer to enab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and a sensing layer fixed on the patch layer and including a sensor for detecting information on the feeding bottle or a solution in the feeding bottle.

여기서, 상기 센서는 복수의 전극부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전극부 중 어느 하나의 접지 전극부과 나머지 전극부 사이에 있어서, 수유병 내부의 수위의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수유병 내 용액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Here, in the sensor, a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tween the ground electrode part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and the other electrode part, based on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inside the feeding bottle to detect the level of the solution in the feeding bottle.

여기서, 상기 센서는 상기 복수의 전극부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접지 전극부와 나머지 전극부 사이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Here, the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ground electrode part and the remaining electrode part respectively through the connection part.

여기서, 상기 센서는 전극부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기초로 수유병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Here, the sensor may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nursing bottle based on a change in resistanc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de part.

여기서, 상기 전극부는 유연 신축 구조로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electrode part may be patterned and formed in a flexible stretchable structure.

여기서, 상기 전극부는 서펜타인(serpentine) 구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Here, the electrode part may have a form in which a serpentine structure is radially formed.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유연 신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part may be formed in a flexible stretchable structure.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패턴이 반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part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attern is repe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패치층은 신축성을 가지는 제 1 패치층; 및 상기 제 1 패치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센싱층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접착성을 가지고 신축성을 가지는 제 2 패치층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atch layer may include a first patch layer having elasticity; and a second patch layer formed on the first patch layer and having adhesiveness and elasticity to fix the sensing layer.

여기서, 상기 제 1 패치층은 PDMS, ECOFLEX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patch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material of PDMS and ECOFLEX.

여기서, 상기 제 2 패치층은 경화되지 않은 PDMS에 PEIE를 섞고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patch layer may be formed by mixing and curing PEIE with uncured PDMS.

여기서, 신축하여 상기 수유병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패치층에는 관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rough the patch layer may be formed so as to be retractable and detachabl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여기서, 무선 통신으로 센싱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sens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가 장착된 수유병;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전송 받는 서버부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eeding bottle equipped with the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and a lactation diseas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server receiving information sens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여기서, 복수의 수유병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a fixing unit for fixing a plurality of feeding bottles; and a vibrating unit for applying vibration to the fixing uni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센서를 수유병 내부에 배치시키지 않고 탈부착 가능한 센싱 장치를 수유병의 외측면에 부착하여 센싱하도록 함으로써 수유병을 삶아 소독할 때에는 수유병 센싱 장치를 분리할 수가 있으므로, 수유병 센싱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and the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detachable sens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to sense without disposing the sensor inside the feeding bottle. Thus, when boiling and sterilizing the feeding bottle, th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can be separa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from being damaged.

또한, 레이저를 이용한 패터닝 공정으로 센싱 장치를 저렴하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nsing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expensively and quickly through a patterning process using a laser.

또한, 전극부의 개수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수위 센싱 장치를 제작할 수가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수유병에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lengths according to the number of electrode par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and used in nursing bottles of various sizes.

또한, 센서를 유연 신축 구조로 형성하여 곡면에도 센서의 손상없이 부착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nsor can be attached to a curved surface without damage to the sensor by forming a flexible and stretchable structure.

또한, 센싱 장치를 수유병 내에 배치하지 않고 수유병의 외측면에 밀착시켜 센싱하므로, 수유병 내의 액체가 오염되지 않고 센싱을 위해 수유병을 별도로 개봉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nsing device is not disposed in the feeding bottle and is sens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the liquid in the feeding bottle is not contaminated and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open the feeding bottle for sensing.

또한, 무선 통신에 의해 수유량, 수유액의 온도 등에 관한 센싱 정보를 의료진이나 보호자에게 전송하여, 원격으로 수유병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ate of the nursing bottle can be remotely monitored by transmitting sens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breastfeeding, the temperature of the nursing fluid, etc. to a medical staff or guardia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수유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대기시간 동안 수유액이 침전되지 않도록 진동으로 수유액을 혼합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nursing fluid can be mixed by vibration so that the nursing fluid does not settle during the waiting time until the feeding temperature is reach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의 일 예인 수위 센싱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센싱층의 센서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수위 센싱 장치가 수유병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수위 센싱 장치의 제작 공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의 다른 일 예인 온도 센싱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서 센싱층의 센서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5의 전극부에 대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다.
1 illustrates a water level sensing device as an example of a detachable nursing bottl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the sensor of the sensing layer in FIG. 1 .
FIG. 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of FIG. 1 is attached to a nursing bottle.
FIG. 4 illustrates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of FIG. 1 .
5 illustrates a temperature sensing device that is another example of a detachable nursing bottl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the sensor of the sensing layer in FIG. 5 .
FIG. 7 show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on a change in resistance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part of FIG. 5 .
8 shows a nursing bott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specific details of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and a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는 수유병의 외측면에 센싱 장치를 부착하여 수유병 외측면과 밀착한 센서로부터 수유병 내 용액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싱 장치이다. 여기서, 용액의 정보라고 하면 용액의 온도, 수유병 내 용액의 양(수위) 등을 의미할 수가 있다. A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ing device that attaches a sensing devi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and senses information of a solution in the feeding bottle from a sensor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Here, the information of the solution may mean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the amount (water level) of the solution in the feeding bottle, and the like.

상기 수유병 센싱 장치는 수유병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유병을 삶아서 소독하는 경우에는 분리시킬 수가 있어서, 수유병 소독 과정에서 센싱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센싱 장치가 수유병 내부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수유병 내 용액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Since th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is detachabl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it can be separated when the feeding bottle is boiled and sterilized, thereby preventing the sensing device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feeding bottle disinfection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 sensing device is not disposed inside the feeding bottl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olution in the feeding bottle.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센싱 장치의 일 예로서 수유병 내에 담긴 용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싱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 water level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the level of a solution contained in a nursing bottle as an example of a detachabl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의 일 예인 수위 센싱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서 센싱층의 센서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의 수위 센싱 장치가 수유병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의 수위 센싱 장치의 제작 공정을 도시한다. 1 shows a water level sensing device as an example of a detachable nursing bottl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the sensor of the sensing layer in FIG. 1, and FIG. 3 is the water level sensing of FIG.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device is attached to the feeding bottle, and FIG. 4 shows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of FIG. 1 .

상기 수위 센싱 장치는 센싱층(150) 및 패치층(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may include a sensing layer 150 and a patch layer 110 .

센싱층(150)은 패치층(110) 상에 고정된다. 센싱층(150)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125)가 형성되는데, 센서(125)는 복수의 전극부(122) 및 연결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ensing layer 150 is fixed on the patch layer 110 . A sensor 125 for detecting a water level is formed in the sensing layer 150 , and the sensor 125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 units 122 and a connection unit 124 .

패치층(110)에 의해 수위 센싱 장치(100)가 수유병(300) 외측면에 부착될 때, 센싱층(150)을 구성하는 전극부(122)는 수유병(30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부(122)는 복수의 전극부(122a, 122b)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형태이다. 각각의 전극부(122a, 122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웃하는 전극부(122a, 122b) 사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전극부(122b)는 접지극을 형성하고, 하단에 위치하는 전극부(122b)와 나머지 전극부(122a)들 사이는 연결부(124)에 형성된 배선을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When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10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300 by the patch layer 110 , the electrode part 122 constituting the sensing layer 1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300 . to sense the level. As shown in FIG. 2 , the electrode part 122 h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122a and 122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the electrode parts 122a and 122b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the adjacent electrode parts 122a and 122b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The lowermost electrode portion 122b forms a ground electrode, and the lowermost electrode portion 122b and the remaining electrode portions 122a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ire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24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 센싱 장치(100)가 수유병(300) 외측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데, 접지극을 포함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전극부(122a, 122b)와 수유병(300) 내의 용액 및 공기는 커패시터(capacitor)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두 전극부(122a, 122b) 사이에 전압이 인가될 때, 수위가 변화함에 따라서 정전용량 값(

Figure pat00001
)의
Figure pat00002
값이 변화하여 각 전극부 쌍(122a, 122b)을 통해 구해지는 C값 또는 전압(V)값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분석하여 수유병(300) 내의 수위 변화를 감지할 수가 있다.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300, the two electrode parts 122a and 122b electrically connected including the ground electrode and the feeding bottle 300 ) and the air will form a capacitor. Therefore, when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two electrode parts 122a and 122b, the capacitance value (
Figure pat00001
)of
Figure pat00002
As the value changes, the C value or the voltage (V) value obtained through each electrode pair 122a and 122b changes. This can be analyzed to detect a change in the water level in the feeding bottle 300 .

따라서, 전극부(122)의 개수만 길이 방향으로 늘리면 다양한 크기의 수유병(300)에 대한 수위 센싱 장치(10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Accordingly, if only the number of electrode parts 122 is increa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100 for the feeding bottle 300 of various sizes can be easily manufactured.

이때, 전극부(122)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유연 신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부(122)를 포함하는 센싱층(150)은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데, 곡면을 형성하는 수유병(300) 외측면에 부착되는 경우 외측면의 형상에 따라서 쉽게 변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극부(122)를 유연 신축 구조로 패터닝하여, 곡면에 부착될 때에도 외측면의 형상에 따라서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유연 신축 구조라고 하면, 전극부(122)의 재질이 유연 또는 신축의 성질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구조적인 형상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극부(122)는 서펜타인(serpentine) 구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마치 거미줄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가 있다. 즉, 다수의 곡선 또는 직선의 패턴이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전극부(122)의 형태는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case, the electrode part 122 is preferably formed in a flexible and stretchable structure as shown in FIG. 2 . The sensing layer 150 including the electrode part 122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and when it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300 forming a curved surface,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it is preferable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part 122 is patterned in a flexible and stretchable structure so that it can be easi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even when attached to a curved surface. Here, the flexible and stretchable structure means that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part 122 does not have flexible or stretchable properties, but can be easily deformed by a structural shape. For example, as illustrated, the electrode part 122 may have a serpentine structure radially formed to form a spider web-like shape. That is,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urved or straight patterns are interconnected, but the shape of the electrode part 122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또한,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전극부(122)는 연결부(124)에 의해 연결될 수가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연결부(124)는 복수의 전극부(122)의 양측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4)를 통해 가장 하단에 위치하는 접지극인 전극부(122b)와 나머지 전극부(122a)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24)도 유연 신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24)는 길이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가지므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패턴(예를 들어, 정현파, 삼각파, 사각파 등)이 반복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쉽게 굴곡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parts 122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124 . As illustrated, the connection part 124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122 . A wiring may be 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de portion 122b, which is a ground electrode positioned at the bottom, and the remaining electrode portions 122a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124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art 124 is also formed in a flexible and stretchable structure. Since the connection part 124 has a long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pattern (eg, a sine wave, a triangular wave, a square wave, etc.) is repe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so that it can be easily bent. structure can be formed.

패치층(110)은 내측면에 센싱층(150)을 고정시키며 수유병(300) 외측면에 수위 센싱 장치(100)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atch layer 110 fixes the sensing layer 150 on the inner surface and enables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100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300 .

패치층(110)은 두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 1 패치층은 신축성의 고분자 필름층으로 형성되어 수위 센싱 장치(100)의 가장 바깥쪽에 형성된다. 제 2 패치층은 제 1 패치층 상에 형성되며, 신축성의 고분자 필름층으로 신축성과 함께 접착성도 가져서, 제 2 패치층 상에 센싱층(150)을 고정시킨다.The patch layer 110 may be formed of two layers, and the first patch layer is formed of a stretchable polymer film layer and is form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100 . The second patch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patch layer, and is a stretchable polymer film layer that has elasticity and adhesiveness to fix the sensing layer 150 on the second patch layer.

이때, 제 1 패치층은 신축성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로 PDMS, ECOFLEX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패치층은 경화되지 않은 PDMS에 PEIE(Polyethylenimine 80% ethoxylated solution)을 섞고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patch layer may be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PDMS, ECOFLEX, or the like. The second patch layer may be manufactured by mixing uncured PDMS with PEIE (Polyethylenimine 80% ethoxylated solution) and curing it.

패치층(110)은 팔토시와 같은 신축성 섬유나 실리콘 같은 신축성 물질을 사용하여 제작된 원통형의 수유병(300)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삽입 할 수 있는 형태의 기구의 안쪽에 내장하여 신축성 물질의 복원력에 의해 기구의 크기보다 크거나 다른 모양의 젖병을 삽입 하였을 때 기구의 복원력에 의해 수유병(300)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가 있다. 원통형의 수유병(300)에 삽입되는 기구에 의해 센싱 장치(100)를 수유병(300)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으나, 상기 기구 없이 패치층(110) 만으로도 수유병(300)의 외측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The patch layer 110 is built into a device of a shape in which a cylindrical feeding bottle 300 manufactured using a stretchable material such as an elastic fiber or silicone such as an armtosh can be inser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 improve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aterial. When a baby bottle of a larger size or a different shape than the size of the device is inserted, it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30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device. The sensing device 100 can be more firmly attached to the feeding bottle 300 by a mechanism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feeding bottle 300 , but only the patch layer 110 without the above mechanism is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300 . can be attached to

또한, 상기 패치층(110)에는 관통하는 복수의 미세 크기의 홀(112)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 홀(112)에 의해 신축성에 의해 수위 센싱 장치를 부착시킬 때 부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가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micro-sized holes 112 penetrating through the patch layer 110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n attaching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by elasticity by the hole 112, the adhesive force can be further strengthened.

전술한 수위 센싱 장치(100)의 제작 공정을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water level sens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먼저, 금속층이 형성된 폴리머 필름(metalized polymer film)(120)을 준비한다(도 4의 (a)). 이는, PET 또는 PI로 만들어진 필름 형태의 폴리머 기판(128) 상에 금(Au) 또는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을 증착시켜 제작될 수 있다. 다음, 금속층이 형성된 폴리머 필름(120)을 UV 레이저 기기에 진공 흡착을 통해 고정시키고, 금속층에 대하여 레이저를 이용하여 전극부(122)와 연결부(124)의 패턴 형상을 선형으로 전사한다(도 4의 (b)). 다음, 전극부(122)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연결부(124)를 덮는 중앙에 사각의 홀이 형성된 PET 필름(130)을 금속층(125) 상부에 부착한다(도 4의 (c)). 다음, UV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부에 부착된 PET 필름(130) 및 금속층이 형성된 폴리머 필름(120) 전체에 대하여 패터닝을 수행하고(도 4의 (d)), 패터닝된 센싱층(150)을 분리하여(도 4의 (e), (f)) 최종적으로 센싱층(150)을 제작할 수가 있다.First, a metalized polymer film 120 on which a metal layer is formed is prepared (FIG. 4(a)). This may be manufactured by depositing a metal such as gold (Au) or aluminum (Al) on the polymer substrate 128 in the form of a film made of PET or PI. Next, the polymer film 120 on which the metal layer is formed is fixed to a UV laser device through vacuum adsorption, and the pattern shape of the electrode part 122 and the connection part 124 is linearly transferred to the metal layer by using a laser (FIG. 4). of (b)). Next, the electrode part 122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PET film 130 having a square hole formed in the center covering the connection part 124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metal layer 125 (FIG. 4(c)). Next, using a UV laser, patterning is performed on the entire PET film 130 and the polymer film 120 on which the metal layer is formed (FIG. 4(d)), and the patterned sensing layer 150 is separated. Accordingly (FIG. 4(e), (f)), the sensing layer 150 may be finally manufactured.

패치층(110)은 서로 다른 재질의 제 1 패치층과 제 2 패치층으로 형성된 패치층(110) 필름을 준비하고, CO2 레이저로 패치층(110)을 관통하는 복수의 홀(112)을 형성(도 4의 (f))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patch layer 110 prepares a patch layer 110 film formed of a first patch layer and a second patch layer of different materials, and a plurality of holes 112 penetrating the patch layer 110 with a CO 2 laser. It can be manufactured by forming (FIG. 4(f)).

마지막으로, 접착성이 있는 제 2 패치층에 센싱층(150)을 전사하여 패치층(110)에 센싱층(150)을 고정시킨다(도 4의 (h)). Finally, the sensing layer 150 is transferred to the adhesive second patch layer to fix the sensing layer 150 to the patch layer 110 (FIG. 4(h)).

도 4의 (i)는 상기와 같이 제작된 수위 센싱 장치(100)의 각 층을 분리한 도면인데, 위로부터 패치층(110), 도 4의 (a)에서 준비된 금속층이 형성된 폴리머 필름(120)의 폴리머 기판(128)과 금속층(125), 도 4의 (c)에서 전극부(122)가 노출되도록 금속층(125) 상부를 덮은 PET 필름(13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4 (i) is a view in which each layer of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100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separated, a patch layer 110 from above, and a polymer film 120 having a metal layer prepared in FIG. 4 (a) formed thereon. ) of the polymer substrate 128 and the metal layer 125 , and the PET film 130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metal layer 125 so that the electrode part 122 is exposed in FIG. 4C are sequentially formed.

다음,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센싱 장치의 다른 일 예로서 수유병(300) 내에 담긴 용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싱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temperature sensing device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contained in the nursing bottle 300 as another example of a detachabl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의 다른 일 예인 온도 센싱 장치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에서 센싱층의 센서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5의 전극부에 대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도시한다.5 shows a temperature sensing device that is another example of a detachable nursing bottl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the sensor of the sensing layer in FIG. 5, and FIG. 7 shows the electrode of FIG. The result of experimenting with resistance change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is shown.

온도 센싱 장치(200)는 수위 센싱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센싱층 및 패치층(2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센싱층은 패치층(110) 상에 고정된다. Like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100 , the temperature sensing device 200 includes a sensing layer and a patch layer 210 , and the sensing layer is fixed on the patch layer 110 .

센싱층(150)에는 온도를 감지하는 전극부(225)가 형성되는데, 패치층(210)에 의해 온도 센싱 장치가 수유병(300) 외측면에 부착될 때, 전극부(225)는 수유병(30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온도 변화에 따라 전극부(225)의 저항이 변화할 수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온도 변화에 다른 전극부(225)의 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수유병(300) 내 용액의 온도를 감지한다. 도 7은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도시하는데, 온도 변화에 따라 저항의 변화율이 선형적으로 변화함을 확인할 수가 있다. The sensing layer 150 has an electrode unit 225 for sensing a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sens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300 by the patch layer 210, the electrode unit 225 is connected to the feeding bottl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300 to sense the temperature.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part 225 may chang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in the feeding bottle 300 is sensed by using a change in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de part 225 that is different from the temperature change. 7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hange of resistanc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ate of change of the resistance is linearly chan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전술한 수위 센싱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온도 센싱 장치(200)의 전극부(225)도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유연 신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부(225)를 포함하는 센싱층은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데, 본 실시에에서도 곡면을 형성하는 수유병(300) 외측면에 부착되는 경우 외측면의 형태에 따라서 쉽게 변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에, 전극부(225)를 유연 신축 구조로 패터닝하여, 곡면에 부착될 때에도 외측면의 형상에 따라서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Like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100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part 225 of the temperature sensing device 200 may be formed in a flexible and stretchable structure as shown in FIG. 6 . The sensing layer including the electrode part 225 is formed in the form of a film, and even in this embodiment, when it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300 which forms a curved surface,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Because it is desirable to be Accordingly, the electrode part 225 is patterned in a flexible and stretchable structure so that it can be easi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even when attached to a curved surface.

센싱층을 제작하는 방법은 먼저, 기판에 Polyimide 용액을 스핀 코팅하여 기판상에 Polyimide 필름층을 형성하고, Polyimide 필름층에 Ti 또는 Pt을 증착시켜 금속층을 형성한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도 6의 형상으로 금속층을 패터닝하고, 금속층의 보호를 위해 금속층 상부에 Polyimide 보호층을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레이저 패터닝을 통해 컷팅하여 센싱층을 제작할 수가 있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nsing layer, first, a polyimide solution is spin-coated on a substrate to form a polyimide film layer on the substrate, and Ti or Pt is deposited on the polyimide film layer to form a metal layer. A sensing layer may be manufactured by patterning the metal layer in the shape of FIG. 6 using a laser, forming a polyimide protective layer on the metal layer to protect the metal layer, and finally cutting through laser patterning.

패치층(210)의 형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바 제 1 패치층 및 제 2 패티층으로 구성되고, 패치층(210)에는 관통하는 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접착성을 가지는 제 2 패치층 상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센싱층을 전사시켜 패치층(210)에 센싱층이 고정된 형태의 온도 센싱 장치(200)를 최종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patch layer 2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s composed of a first patch layer and a second patty layer, and a hole 212 penetrating through the patch layer 210 may be formed. By transferring the sensing layer manufactured in the above method on the second patch layer having adhesive properties, the temperature sensing device 200 having the sensing layer fixed to the patch layer 210 may be finally manufactured.

전술한 수위 센싱 장치(100)와 온도 센싱 장치(200)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단일의 패치층 상에 통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온도 센싱 장치(200)의 센싱층은 수위 센싱 장치(200)의 센싱층(150) 아래 또는 좌우 측에 배치될 수가 있다.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100 and the temperature sensing device 200 described above may be individually manufactured, or may be manufactured in an integrated form on a single patch layer. In this case, the sensing layer of the temperature sensing device 200 may be disposed below o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nsing layer 150 of the water level sensing device 200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유병 센싱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BLE, WiFi, ZigBee 등의 무선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센싱된 정보(수위 또는 온도)를 외부의 서버부에 전송시킬 수가 있다. 서버부는 컴퓨터 또는 개인 휴대폰일 수 있는데, 전용 프로그램 또는 전용 앱을 통해 센싱된 값의 정보를 받아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sensed information (water level or temperature) to an external server unit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E, WiFi, or ZigBee. The server unit may be a computer or a personal mobile phone, and may receive information on a value sensed through a dedicated program or a dedicated app and display the information to the user.

이하, 전술한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100, 200)를 포함하는 수유병(300)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nursing bottle 300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s 100 and 200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유병(300)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다. 8 illustrates a nursing bottle 300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고정부(310)는 복수의 수유병(300)을 고정시킨다. 고정부(310)는 수유병(300)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the fixing unit 310 fixes the plurality of feeding bottles 300 . The fixing part 3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feeding bottle 300 can be inserted.

수유병(300)의 외측면에 수위 센싱 장치(100)와 온도 센싱 장치(200)가 부착되어, 수위에 따른 정전용량 값의 변화 및 온도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수유병(300) 내의 용액의 수위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각각의 수유병(300)에 부착된 센싱 장치(100, 200)로부터 측정된 정보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의 서버부(400)로 전송될 수 있다. A water level sensing device 100 and a temperature sensing device 200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300, and the change in capacitance valu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nd the change in resistance according to temperature are used in the feeding bottle 300. The water level and temperature can be measured.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sensing devices 100 and 200 attached to each feeding bottle 300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server unit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따라서, 산후 조리원과 같이 많은 수의 영유아를 관리해야 하는 경우, 복수의 수유병(300)에 대하여 원격지에서 보호자 또는 의료진은 수유액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가 있다. 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manage a large number of infants and toddlers, such as a postpartum cook, a guardian or a medical staff can monitor the state of the nursing fluid at a remote location for the plurality of feeding bottles 300 .

또한, 수유병(300)에 담긴 분유를 식히기 위해 대기하는 동안 분유가 침전될 수가 있으므로, 고정부(310) 내에는 고정부(310)를 좌우 또는 상하로 진동을 가하여 분유가 침전되지 않도록 하는 진동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powdered milk may be precipitated while waiting to cool the powdered milk contained in the feeding bottle 300, the fixed part 310 is vibrated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in the fixing part 310 to prevent the powdered milk from precipitating. East (not shown) may be formed.

고정부(310)의 저면에는 수유병(300)을 가열하는 가열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수유병(300)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A heating unit (not shown) for heating the feeding bottle 30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unit 310 so that the feeding bottle 300 maintains a constant temperature.

나아가, 통신부는 서버부(4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상기 진동부 또는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는 상시적으로 진동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부(4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진동을 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가열부도 서버부(400)로부터 수신된 온도 제어 명령값에 따라 가열 온도를 다르게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server unit 400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ibrating unit or the heating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vibrator does not vibrate constantly, but only vibrates when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rver unit 400 , and the heating unit is also hea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command value received from the server unit 400 . The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extents that can be modified by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100: 수위 센싱 장치
110: 패치층
112: 홀
120: 금속층이 형성된 폴리머 필름
122: 전극부
124: 연결부
125: 센서, 금속층
128: 기판
130: PET 필름
150: 센싱층
200: 온도 센싱 장치
210: 패치층
212: 홀
225: 전극부
300: 수유병
310: 고정부
400: 서버부
100: water level sensing device
110: patch layer
112: Hall
120: a polymer film formed with a metal layer
122: electrode part
124: connection part
125: sensor, metal layer
128: substrate
130: PET film
150: sensing layer
200: temperature sensing device
210: patch layer
212: Hall
225: electrode part
300: feeding bottle
310: fixed part
400: server unit

Claims (15)

수유병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패치층; 및
상기 패치층 상에 고정되며 상기 수유병 또는 상기 수유병 내 용액의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층을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a patch layer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and
A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comprising a sensing layer fixed on the patch layer and including a sensor for detecting information on the feeding bottle or a solution in the feeding bott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복수의 전극부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전극부 중 어느 하나의 접지 전극부과 나머지 전극부 사이에 있어서, 수유병 내부의 수위의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수유병 내 용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nsor, a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tween the ground electrode part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and the other electrode part, based on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inside the feeding bottle, A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that detects the level of the solution in the feeding bott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복수의 전극부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접지 전극부와 나머지 전극부 사이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ground electrode part and the remaining electrode part through the connection part,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전극부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기초로 수유병의 온도를 감지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is a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feeding bottle based on a change in resistanc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de.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유연 신축 구조로 패터닝되어 형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The electrode part is a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formed by patterning into a flexible stretchable structur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서펜타인(serpentine) 구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형태인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lectrode part is a serpentine (serpentine) structure is formed in a radially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유연 신축 구조로 형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nection part is a flexi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that is formed in a flexible and stretchable structu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길이 방향으로 패턴이 반복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nection unit is a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that is formed in a pattern repe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층은 신축성을 가지는 제 1 패치층; 및
상기 제 1 패치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센싱층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접착성을 가지고 신축성을 가지는 제 2 패치층을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tch layer may include a first patch layer having elasticity; and
A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patch layer formed on the first patch layer and having adhesiveness and elasticity so as to fix the sensing lay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치층은 PDMS, ECOFLEX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patch layer is a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formed of any one of PDMS and ECOFLEX.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치층은 경화되지 않은 PDMS에 PEIE를 섞고 경화시켜 형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patch layer is a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formed by mixing and curing PEIE with uncured PDMS.
제 1 항에 있어서,
신축하여 상기 수유병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패치층에는 관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rough the patch layer are formed so as to be stretched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eeding bottle.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으로 센싱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detachable nursing bottle sens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sens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outside.
제 13 항의 탈부착이 가능한 수유병 센싱 장치가 장착된 수유병;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전송 받는 서버부를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
A feeding bottle equipped with the detachable feeding bottle sensing device of claim 13; and
Nursing sickness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server unit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sens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제 14 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유병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수유병 모니터링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A fixing unit for fixing a plurality of feeding bottles; and
Nursing bottle monitor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vibrating unit for applying vibration to the fixing unit.
KR1020200049860A 2020-04-24 2020-04-24 Detachable sensing device for feeding bottle and the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KR1024182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860A KR102418224B1 (en) 2020-04-24 2020-04-24 Detachable sensing device for feeding bottle and the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860A KR102418224B1 (en) 2020-04-24 2020-04-24 Detachable sensing device for feeding bottle and the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262A true KR20210132262A (en) 2021-11-04
KR102418224B1 KR102418224B1 (en) 2022-07-08

Family

ID=7852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860A KR102418224B1 (en) 2020-04-24 2020-04-24 Detachable sensing device for feeding bottle and the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22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383A (en) * 2010-09-13 2013-11-26 피에스티 센서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nted temperature sensor
KR20140087440A (en) 2012-12-29 2014-07-09 이종혁 Temperature notification baby bottle
KR20170064025A (en) * 2015-11-30 2017-06-09 (주) 파루 Water level and water temperature measurement apparatus
KR102044507B1 (en) * 2018-10-16 2019-11-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A tumbler cover device capable of measuring milk level and temperature of based on capacitive sensor and its driving control method
KR102047831B1 (en) * 2019-07-09 2019-11-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Liquid metal particle coating sheet member hav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and heat dissipation func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200029432A (en) * 2018-01-05 2020-03-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dhesive transparent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383A (en) * 2010-09-13 2013-11-26 피에스티 센서스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nted temperature sensor
KR20140087440A (en) 2012-12-29 2014-07-09 이종혁 Temperature notification baby bottle
KR20170064025A (en) * 2015-11-30 2017-06-09 (주) 파루 Water level and water temperature measurement apparatus
KR20200029432A (en) * 2018-01-05 2020-03-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dhesive transparent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044507B1 (en) * 2018-10-16 2019-11-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A tumbler cover device capable of measuring milk level and temperature of based on capacitive sensor and its driving control method
KR102047831B1 (en) * 2019-07-09 2019-11-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Liquid metal particle coating sheet member hav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and heat dissipation func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224B1 (en)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9863B2 (en) Device using extensible electronic components for medical applications
Han et al. Battery-free, wireless sensors for full-body pressure and temperature mapping
US9301563B2 (en) Pressure sensing glove
JP6370445B2 (en) Temperature sensor patch and adhesive thermometer including the same
US8886334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ing stretchable or flexible electronics for medical applications
EP2973475B1 (en) Apparatuses for the detection of incontinence or other moisture
US200700731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patients
US201602280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US11874965B2 (en) Epidermal virtual reality devices
US8519852B2 (en) Two-axis inclinometer head of bed elevation alarm and method of operation
JP2019515708A (en) Wireless whistle warning dressing system
WO20151379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moisture and multifunctional sensor system
JP6009466B2 (en) Animal breathing and / or heart rate fluctuation monitoring method
CN108159531B (en) Non-suspended infusion control system
WO2017059831A1 (en) Sensory system for the electronic detection of body fluids in a diaper
KR102418224B1 (en) Detachable sensing device for feeding bottle and the feeding bottle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device
WO201608380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line
KR20080007960A (en) Flow sensing equipment of ringer's solution
Hemalatha et al. Smart digital parenting using Internet of Things
JP2006110119A (en) Monitoring apparatus for puncture section
TWI686173B (en) Wearable device and respiration sensing module
KR102295529B1 (en) Body-implanted Sensed-data Processing Device, Package therein, and System therewith
JP2007195837A (en) Detecting device of lying prone
NL2026207B1 (en) System for monitoring one or more vital signs of a human body, in particular a baby, as well as a method of pairing system elements.
KR102353719B1 (en) Detachable liquid level sensing device for infusion solution pack and casing device for the infusion solution pack using th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