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1770A - 고객지향 모델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객지향 모델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1770A
KR20210131770A KR1020200050279A KR20200050279A KR20210131770A KR 20210131770 A KR20210131770 A KR 20210131770A KR 1020200050279 A KR1020200050279 A KR 1020200050279A KR 20200050279 A KR20200050279 A KR 20200050279A KR 20210131770 A KR20210131770 A KR 20210131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arch
user
information
global fe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씨
Priority to KR1020200050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1770A/ko
Publication of KR2021013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77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6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having vectorial forma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지 검색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촬영 요청정보를 촬영모듈로 인가하고, 이미지 검색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 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색인 요청정보를 영상선택모듈로 인가하는 메뉴선택모듈; 이미지촬영 요청정보를 인가받 아 정지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지미 중에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모듈; 이미지색인 요청정보 또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색인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내부 저장소로부터 색인하여 출력하는 영상선택모듈; 및 색인된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특징(이하, '전역 특징소')들을 추출하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전역 특징소와 대응하는 상품이미지(이하, '전역 특징소 검 색이미지')를 검색하여 출력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받은 상세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전역 특징소 검색이 미지와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하는 전역 특징소 검색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객지향 모델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SYSTEM FOR DUAL-SEARCHING IMAGE USING REGION OF INTEREST SET}
본 발명은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전역특징 이미지와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검색하고, 전역특징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관심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인 지역특징 이미지와 대응하는 세부상품 정보를 이중으로 검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검색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와 대응하는 이미지를 저장된 복수개의 이미지들로부터 색인하여 검색하거나, 입력받은 검색어와 대응하는 이미지를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웹사이트의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하게 된다.
예컨대, 검색 사이트인 네이버(http://naver.com)의 경우, 입력된 검색어가 텍스트로 포함된 HTML 파일에 존재 하는 이미지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검색된 이미지들 중 하나를 클릭하게 되면, 클릭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던 포토앨범, 카페 또는 블로그 등의 페이지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상술한 검색 사이트들은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관련된 이미지들을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자는 일반적 으로 한두 개의 검색어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검색 결과도 해당 이미지가 존재하던 웹 페이지를 출력 하는 데 그치고 있어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처럼, 종래의 검색엔진들에서 이미지를 통한 정보의 상세 검색이 불가능했던 이유는 종래의 검색엔진들이 이 미지파일, 파일명, 출처인 웹페이지의 URL 또는 해당하는 웹페이지에 존재하는 텍스트 정도만을 자체의 이미지 데이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 그치고 있기 때문이며, 이미지 데이터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텍 스트정보들을 활용한 추가적인 검색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근래 들어 단순히 검색어와 대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검색된 이미지로부터 추가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해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 2004-0098419호(핸드폰 카메라와 이미지 검색/판별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 외에 다수가 개시되 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특허는 핸드폰 카메라에서 찍은 이미지를 이미지 검색/판별 시스템에 맞는 이미 지로 변화하여 전송하는 단계; 검색/판별된 내용을 핸드폰 카메라에 적합한 정보로 가공하여 전송하는 단계; 이 미지 검색/판별 시스템의 이미지 데이터를 가공 및 저장하는 단계; 이미지 검색/판별 시스템의 이미지를 검색하 고 판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핸드폰 카메라와 이미지 검색/판별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즉, 선행특허는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미지 검색/판별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이미지 검색/판 별 시스템이 이미지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피드백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미지 검색/판별 시스템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이미지와 매칭되는 정보가 첨부된 이미지 를 미리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검색하여 제공해주지 못하며, 별도의 통신수 행을 거쳐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 된 전역특징 이미지와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검색하고, 전역특징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관 심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인 지역특징 이미지와 대응하는 세부상품정보를 이중으로 검색함으로써, 직관적이고 간 단한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세부적인 이미지검색 및 상품정보 결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은, 이미지 검 색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촬영 요청정보를 촬영모듈로 인가하고, 이미지 검색을 위해 사 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색인 요청정보를 영상선택모듈로 인가하는 메뉴선택모듈; 이미지촬영 요청 정보를 인가받아 정지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지미 중에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 하는 촬영모듈; 이미지색인 요청정보 또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색인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이 미지정보를 내부 저장소로부터 색인하여 출력하는 영상선택모듈; 및 색인된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특징(이하, ' 전역 특징소')들을 추출하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전역 특징소와 대응하는 상품이미지(이 하,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를 검색하여 출력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받은 상세검색 요청정보에 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전역특징 이미지와 대응하 는 상품정보를 검색하고, 전역특징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관심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인 지 역특징 이미지와 대응하는 세부상품정보를 이중으로 검색함으로써, 직관적이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확하고 세부적인 이미지검색 및 상품정보 결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 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 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S)은 사용자단말기 (100)에 의해 촬영 또는 색인된 복수개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전역특징 이미지와 대응하 는 상품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전역특징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관심영역과 대응하는 영 역인 지역특징 이미지와 대응하는 세부상품정보를 검색하되, 메뉴선택모듈(110), 촬영모듈(120), 영상선택모듈 (130), 전역 특징소 검색모듈(140), 관심영역 설정모듈(150) 및 지역 특징소 검색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
구체적으로, 메뉴선택모듈(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검색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촬영 요청정보를 촬영모듈(120)로 인가하고, 이미지 검색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 색인 요청정보를 영상선택모듈(130)로 인가한다.
이때, 메뉴선택모듈(110)은 사용자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창에 버튼 형태로 출력되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터치신호에 대응하도록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이미지촬영 요청정보 및 이미지를 색인하도록 제어하는 이미지색인 요청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촬영모듈(120)은 메뉴선택모듈(110)로부터 이미지촬영 요청정보를 인가받아 정지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지미 중에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이미지정보는 사용자단말기 (100)의 내부 저장소에 자동으로 저장되며, 복수개의 이미지정보들은 앨범형태로 관리된다.
또한, 영상선택모듈(130)은 메뉴선택모듈(110)로부터 인가받은 이미지색인 요청정보 또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색인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내부 저장소로부터 색인하여 출력한다.
또한, 전역 특징소 검색모듈(140)은 영상선택모듈(130)에 의해 색인된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특징(이하, '전역 특징소')들을 추출하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전역 특징소와 대응하는 상품이미지(이 하,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를 검색하여 출력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받은 상세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와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전역 특징소는 이미지정보를 다차원 벡터이미지(vector image)로의 변환을 통해 점과 선분(베지어 곡선)을 추출하여 형성한 윤곽선과 윤곽선 내부의 색상 및 패턴을 추출한 값이다.
또한,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는 전역 특징소에 포함된 값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 지인 것으로 상정하여 검색되며, 상품정보는 검색된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와 대응하는 상품의 제품명, 제조사 명, 제품소재, 제품색상, 제품사이즈 또는 판매가격 중에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컨대, 전역 특징소 검색모듈(140)에 의해 추출된 전역 특징소에 포함된 값이 '00010'인 경우 기 설정된 범위 는 '00001' 내지 '00011'와 같이 설정될 수 있고,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는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전역 특징 소 값을 갖는 이미지 즉, 유사 디자인 이미지들에 한하여 검색된다. 이때 기 설정 범위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품정보는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와 대응하는 상품의 검색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상기 상세검색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와 대응하는 상품의 제품명, 제조사명, 제품소재, 제품 색상, 제품사이즈 또는 판매가격을 포함하도록 검색된다.
또한, 관심영역 설정모듈(150)은 전역 특징소 검색모듈(140)로부터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 및 상품정보를 인가 받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관심영역 좌표정보에 해당하는 전역 특징소 검 색이미지를 추출하여 지역 특징소를 생성한다.
여기서, 지역 특징소는,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를 다차원 벡터이미지(vector image)로의 변환을 통해 점과 선 분을 추출하여 형성한 윤곽선과 윤곽선 내부의 색상 및 패턴을 추출한 값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심영역 좌표정보는,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 상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첫 번째 터치신호 의 좌표 및 두 번째 터치신호의 좌표를 대각선으로 잇는 직방형의 구역을 포함하는 좌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역 특징소 검색모듈(160)은 관심영역 설정모듈(150)로부터 인가받은 지역 특징소와 대응하는 상품이 미지(이하, '지역 특징소 검색이미지')를 검색하여 출력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받은 상세검색 요청정 보에 따라 지역 특징소 검색이미지와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메뉴선택모듈(110)이 이미지 검색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촬영 요청정보를 촬영모 듈(120)로 인가하고, 이미지 검색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색인 요청정보를 영상선택모듈 (130)로 인가한다(S10).
이어서, 촬영모듈(120)이 메뉴선택모듈(110)로부터 이미지촬영 요청정보를 인가받아 정지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 상 이지미 중에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한다(S20).
뒤이어, 영상선택모듈(130)이 메뉴선택모듈(110)로부터 인가받은 이미지색인 요청정보 또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 해 입력받은 이미지색인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내부 저장소로부터 색인하여 출력한다(S30).
이어서, 전역 특징소 검색모듈(140)이 영상선택모듈(130)에 의해 색인된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전역 특징소들을 추출하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웹사이트로부터 상기 전역 특징소와 대응하는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를 검색하여 출력한다(S40).
그리고, 전역 특징소 검색모듈(140)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받은 상세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와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한다(S50).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방법의 제S50단계 이후 과정 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50단계 이후, 관심영역 설정모듈(150)이 전역 특징소 검색모듈(140)로부터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 및 상품 정보를 인가받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관심영역 좌표정보에 해당하는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를 추 출하여 지역 특징소를 생성한다(S60).
그리고, 지역 특징소 검색모듈(160)이 관심영역 설정모듈(150)로부터 인가받은 지역 특징소와 대응하는 지역 특 징소 검색이미지를 검색하여 출력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받은 상세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지역 특징소 검색이미지와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한다(S7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 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 검색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촬영 요청정보를 촬영모듈로 인가하고, 이미지 검색 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색인 요청정보를 영상선택모듈로 인가하는 메뉴선택모듈;

    상기 이미지촬영 요청정보를 인가받아 정지영상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지미 중에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하 여 이미지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모듈;

    상기 이미지색인 요청정보 또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이미지색인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이미지정보를 내부 저장소로부터 색인하여 출력하는 영상선택모듈; 및

    색인된 이미지정보에 포함된 특징(이하, '전역 특징소')들을 추출하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웹사이트로부 터 상기 전역 특징소와 대응하는 상품이미지(이하,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를 검색하여 출력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받은 상세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와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검색하여 출력 하는 전역 특징소 검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역 특징소 검색모듈로부터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 및 상품정보를 인가받고,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 받은 관심영역 좌표정보에 해당하는 전역 특징소 검색이미지를 추출하여 지역 특징소를 생성하는 관심영역 설정 모듈; 및

    상기 지역 특징소와 대응하는 상품이미지(이하, '지역 특징소 검색이미지')를 검색하여 출력하며, 사용자의 조 작에 따라 입력받은 상세검색 요청정보에 따라 지역 특징소 검색이미지와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하 는 지역 특징소 검색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선택모듈은,

    사용자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버튼 형태로 출력되며,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받은 터치신호에 대응하도록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이미지촬영 요청정보 및 이미지를 색인하도록 제어하는 이미지색인 요청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역 특징소는,

    상기 이미지정보를 다차원 벡터이미지(vector image)로의 변환을 통해 점과 선분(베지어 곡선)을 추출하여 형성 한 윤곽선과 윤곽선 내부의 색상 및 패턴을 추출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 중 검색 시스템.

KR1020200050279A 2020-04-24 2020-04-24 고객지향 모델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KR20210131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79A KR20210131770A (ko) 2020-04-24 2020-04-24 고객지향 모델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79A KR20210131770A (ko) 2020-04-24 2020-04-24 고객지향 모델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770A true KR20210131770A (ko) 2021-11-03

Family

ID=7850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279A KR20210131770A (ko) 2020-04-24 2020-04-24 고객지향 모델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17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857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building and using an image catalog
US20140250110A1 (en) Image attractiveness based indexing and searching
US963301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r generated content indexing
US20120036153A1 (en) Mobile system, search system and search result providing method for mobile search
US20100114854A1 (en) Map-based websites search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8467613B2 (en) Automatic retrieval of object interaction relationships
JPH1056609A (ja) 画像記録方法、通信方法、画像記録装置、通信装置及び媒体
CN102769775A (zh) 覆盖图像提供系统、服务器和方法
KR20010093654A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방법, 인덱스정보 제공방법,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장치, 인덱스 서버 및 멀티미디어데이터 검색서버
WO2017067485A1 (zh) 一种图片管理方法、装置及一种终端
KR101307325B1 (ko)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JP2017157193A (ja) 画像とコンテンツのメタデータに基づいてコンテンツとマッチングする画像を選択する方法
KR20100101204A (ko) 관심영역 기반의 유씨씨 영상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US9325804B2 (en) Dynamic image result stitching
CN109697242B (zh) 拍照搜题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设备
TW201629802A (zh) 資訊搜索系統及方法
KR20070014765A (ko) 이미지 검색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이용한 이미지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7779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7052581A (ja) メタデータ生成装置、メタデータ生成システム、これらにおける処理方法ならびに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KR100845355B1 (ko) 이미지 선호도 측정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01357045A (ja) 画像管理装置,画像管理方法およ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KR20210131770A (ko) 고객지향 모델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KR20200089123A (ko) 장치 속성에 기반한 공유 데이터의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10105124A (ko) 관심영역 설정을 이용한 이미지 이중 검색 시스템
US110109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