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916A - 생체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916A
KR20210130916A KR1020200049012A KR20200049012A KR20210130916A KR 20210130916 A KR20210130916 A KR 20210130916A KR 1020200049012 A KR1020200049012 A KR 1020200049012A KR 20200049012 A KR20200049012 A KR 20200049012A KR 20210130916 A KR20210130916 A KR 20210130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iometric
activity
biometric data
health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시연
Original Assignee
최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시연 filed Critical 최시연
Priority to KR1020200049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0916A/ko
Publication of KR2021013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91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ur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의 기기로부터 생체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 데이터와 활동량 데이터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목표 생체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목표 운동량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지속적인 운동 동기 유발을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여 전문가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버 및 시스템{Health care methods using biometric and activity information, health care servers and systems using biometric and activity information}
본 발명은 생체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 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개인 스스로 고혈압,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과 같은 만성질환에 대비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기관 또는 보험사의 입장에서도 환자 또는 가입자들이 발병 전에 미리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건강관리 솔루션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당뇨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당을 평소에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혈당계를 이용해서는 현재 혈당 데이터만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목표 혈당에 도달하기까지 막연하게 운동을 더 해야 한다는 것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소모칼로리 등을 획득하는 활동량계 역시, 소모칼로리 등의 데이터만을 획득할 수 있었을 뿐, 혈당 데이터와의 연계성을 확인할 수 없어 운동의 지속적인 동기부여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개인들에게 보다 더 구체적으로 효과적인 혈당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측정된 생체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목표 운동량을 능동적으로 제공 가능한 건강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버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방법은, 외부의 기기로부터 생체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활동량 데이터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목표 생체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목표 운동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상기 목표 운동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목표 운동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운동량을 아래의 수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기기는 모바일 단말기이며, 상기 산출된 목표 운동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운동량을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활동량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내장센서상기 모바일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외부센서로부터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생체 데이터는 혈당 데이터, 혈압 데이터, 체성분 데이터, 체중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버는, 외부의 기기로부터 생체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수집하
는 수신 서버와; 상기 수신 서버로부터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활동량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생체 데이터및 상기 활동량 데이터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목표 생체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목표 운동량을 산출하는 분
석 서버와; 상기 분석 서버에서 산출된 상기 목표 운동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송신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목표 운동량을 상기 언급한 수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기기는 모바일 단말기이며, 상기 송신 서버는, 상기 목표 운동량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할수 있다.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활동량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내장된 내장센서 또는 상기 모바일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외부센서로부터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생체 데이터는 혈당 데이터, 혈압 데이터, 체성분 데이터, 체중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은, 생체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획득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목표 생체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목표 운동량을 산출하는 건강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건강관리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신 서버와; 상기 수신 서버로부터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활동량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활동량 데이터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목표 생체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목표 운동량을 산출하는 분석서버와; 상기 분석 서버에서 산출된 상기 목표 운동량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송신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은 상기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는 생체정보 측정기기와; 상기 활동량 데이터를 측정하는 활동량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을 통하여 상기 생체정보 측정기기 및 상기활동량계로부터 상기 생체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분석 서버는, 상기 목표 운동량을 상기 수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생체 데이터는 혈당 데이터, 혈압 데이터, 체성분 데이터, 체중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의하면, 생체정보 측정기기 및 활동량계로부터 측정된 생체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목표 운동량을 그때 그때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사용자는 구체적이고 정확한 목표 운동량을 피드백 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의료 기관 등에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생체 데이터 및활동량 간의 상관관계를 쉽게 분석할 수 있게 하며, 치료 과정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
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은 생체정보측정기기(10)와, 활동량계(20)와, 모바일 단말기(30) 및 건강관리 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생체정보 측정기기(10)는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기(30)로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무선 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3G 4G 등의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 근거리통신(NFC) 등을 이용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이때, 측정되는 생체 데이터는 혈당 데이터, 혈압 데이터, 체성분 데이터, 체중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측정 가능한 다른 생체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서는 생체 데이터의 예로 혈당 데이터를 가정하여 측정기기(10)가 혈당계(10)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활동량계(20)는 3축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의 운동량(소모 칼로리량)을 측정하는역할을 한다. 또한, 활동량계(20)는 생체정보 측정기기(10)와 마찬가지로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30)로 측정된 활동량 데이터를 전송한다.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마찬가지로, 블루투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생체정보 측정기기(10) 및 활동량계(20)는 미리 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모바일 단말기(30)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30)는 건강관리 서버(4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생체 데이터 및 운동량을 관리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30)는 생체정보 측정기기(10)로부터 전송된 생체 데
이터 및 활동량계(20)로부터 전송된 활동량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표시하고, 건강관리 서버(40)에서 전송된 목표
운동량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건강관리 서버(40)는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수신한 생체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목표 생체 데
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목표 운동량을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건강관리 서버(40)는 이렇게 생성된 목표 운동량을
모바일 단말기(30)에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정확한 목표 운동량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건강관리 서버(40)가 생체 데이터 중 혈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목표 혈당을 유지하기 위한 목표 운동
량을 산출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사용자는 모바일 단말기(30)에 표시되는 생체 데이터, 활동량 데이터 및 목표 운동량을 확인함으로써 지속적인
운동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으며, 동시에 생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도 2는 도 1의 건강관리 서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강관리 서버(40)는 수신 서버(42)와, 분석 서버(44)와, 송신 서버(46)를 포함하여구성된다.
수신 서버(42)는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생체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데이터 수집은 인터넷망 등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분석 서버(44)는 수신 서버(42)로부터 생체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전달받고, 생체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목표 생체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목표 운동량을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송신 서버(46)는 분석 서버(44)에서 산출된 목표 운동량을 모바일 단말기(3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아래 수식을 참조하여 분석 서버(44)의 목표 운동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Claims (1)

  1. 청구항 1
    외부의 기기로부터 생체 데이터 및 활동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활동량 데이터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목표 생체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목표 운동
    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상기 목표 운동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방법
KR1020200049012A 2020-04-23 2020-04-23 생체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버 및 시스템 KR20210130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012A KR20210130916A (ko) 2020-04-23 2020-04-23 생체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012A KR20210130916A (ko) 2020-04-23 2020-04-23 생체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916A true KR20210130916A (ko) 2021-11-02

Family

ID=7847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012A KR20210130916A (ko) 2020-04-23 2020-04-23 생체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09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29510B (zh) 移动通信设备和通信方法
Baskar et al. A dynamic and interoperable communication framework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wearable sensors in smart healthcare applications
Yeri et al. IoT based real time health monitoring
US9106718B2 (en) Lifespace data collection from discrete areas
US20070232867A1 (en) Process and system for setting a patient monitor
US2010024954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hysiological Data Acquired from an Ambulatory Physiological Monitoring Unit
US96360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biological fluid biomarkers
EP2458518A2 (en) Remote healthcare system and healthcare method using the same
Fensli et al. Towards improved healthcare performance: examining technological possibilities and patient satisfaction with wireless body area networks
KR101986088B1 (ko)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300356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health screening form
KR100883744B1 (ko) Wpan을 기반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KR101445731B1 (ko) 원격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20130134452A (ko) 무구속 생체정보 획득을 통한 헬스케어시스템
JP2003052648A (ja) 健康管理用計測システム
JP7407419B2 (ja) 体調評価方法、および、体調評価システム
KR20210130916A (ko) 생체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버 및 시스템
KR102233725B1 (ko)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2186414B1 (ko)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2543B1 (ko) 핵자기공명 분석에 근거한 생체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20120070432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강 검진 방법 및 건강 검진을 위한 건강 측정 게이트웨이 및 휴대용 단말기
KR20180049317A (ko) 운동량에 따른 근피로도 측정방법
KR20150057244A (ko) 생체 정보 및 활동량 정보를 활용한 건강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서버 및 시스템
WO2022031671A1 (en) Stress determination and management techniques
Mielnik et al. Monitoring of chronic arthritis patients with wearables-a report from the concept ph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