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964A - High power female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High power female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29964A KR20210129964A KR1020200048130A KR20200048130A KR20210129964A KR 20210129964 A KR20210129964 A KR 20210129964A KR 1020200048130 A KR1020200048130 A KR 1020200048130A KR 20200048130 A KR20200048130 A KR 20200048130A KR 20210129964 A KR20210129964 A KR 202101299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terminal
- panel
- blade terminal
- exten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한 쌍의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전류 용량에 따른 표준 설계가 가능하며, 모듈 형태로 구성되어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ower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a high-power blade terminal that can stably connect a pair of high-power blade terminals, a standard design according to current capacity is possible, and is configured in a modular form for easy installation and separation It relates to a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성능을 향상시키고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기(전자) 장치들이 구비된다. 이러한 전기(전자) 장치들은 케이블과 커넥터를 통해 다른 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커넥터는 전원과 장치 사이, 장차와 장치 사이에서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BACKGROUND ART In general, various electric (electronic) devices are provided in automobiles to improve performance and improve convenience. These electrical (electronic) devic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devices through cables and connectors. That is, the connector serves to transfer power and signals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device, and between the vehicle and the device.
최근 생산되는 친환경 자동차, 즉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등에는 고전압/고전류의 전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고전력 케이블과 고전력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High-power cables and high-power connectors are used to transmit high-voltage/high-current power to recently produced eco-friendly vehicles, ie, 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and fuel cell vehicles.
통상의 고전력 커넥터는, 커넥터의 기계적인 연결을 위한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고전력 커넥터에 구비되는 터미널은 고전압/고전류의 전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환봉의 형태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스프링이 구비된다.A typical high-power connector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or housing for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connector, and a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onnector. At this time,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high-power connector has a round bar shape to transmit power of high voltage/high current, and a spring is provided therein.
그런데, 종래의 고전력 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은 인가되는 전류의 용량이 상승할 경우 환봉의 단면적을 증대시켜야 하므로 고전력 커넥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핑거 세이프티(finger safety)를 만족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terminal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high-power connector has to increas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ound bar when the capacity of the applied current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of the high-power connector increases, and there was a difficulty in not satisfying the finger safety. .
이에, 최근에 생산되는 고전력 커넥터에는 블레이드 타입의 터미널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은, 메일 커넥터에 구비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메일 블레이드 터미널과, 피메일 커넥터에 구비되는 채널(channel) 형상의 피메일 블레이드 터미널로 구성된다.Accordingly, a blade-type terminal is applied to a recently produced high-power connector. This high-power blade terminal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male blade terminal provided in the male connector and a channel-shaped female blade terminal provided in the female connector.
종래의 블레이드 터미널은 한 쌍의 메일 블레이드 터미널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피메일 블레이드 터미널이 요구되며, 다른 부품들과 복잡한 형태로 연결되므로 설치 및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blade terminals require a plurality of female blade terminals to connect a pair of male blade terminals, and are difficult to install and separate because they are connected to other parts in a complex form.
또한, 종래의 피메일 블레이드 터미널은 메일 블레이드 터미널과 접촉하는 콘택트 스프링을 초음파 웰딩하는 과정에서 콘택트 스프링이 변형 및 손상되어 접점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emale blade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the contact spring is deformed and damaged during ultrasonic welding of the contact spring in contact with the male blade terminal, so that the contact stability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한 쌍의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전류 용량에 따른 표준 설계가 가능하며, 모듈 형태로 구성되어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power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stably connect a pair of high-power blade terminals, can have a standard design according to current capacity, and is configured in a modular form so that installation and separation are eas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는, 장착홈이 양단에 형성된 터미널 바디와, 상기 터미널 바디와 블레이드 터미널을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콘택트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high-power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rminal body having mounting grooves formed at both ends, and a contact spring for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body and the blade terminal.
상기 터미널 바디는, 상하로 이격되고 평행하게 배치된 제1바디 및 제1바디로 구성되되, 상기 제1바디의 중단은 상기 제2바디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바디의 중단은 상기 제1바디 측으로 돌출된다.The terminal body is composed of a first body and a first body spaced up and down and arranged in parallel, the middle of the first body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body, and the middle of the second body is the first body protruding to the side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는 서로 대향하게 돌출된 중단이 서로 접합되며, 접합된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양단에는 상기 콘택트 스프링이 설치되는 장착홈이 형성된다.Middle ends protruding to face each other are joined to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mounting grooves in which the contact spring is installed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joined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상기 콘택트 스프링은, 상기 장착홈에 삽입 및 고정되는 몸체와, 블레이드 터미널을 탄성 지지하는 콘택트로 이루어진다.The contact spring includes a body inser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groove, and a contact elastically supporting the blade terminal.
상기 몸체는, 상기 장착홈의 내측 일면에 접촉되고 제1공간이 마련된 제1패널과, 상기 장착홈의 내측 타면에 접촉되며 제2공간이 마련된 제2패널과,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의 단부를 연결하는 벤딩부로 이루어진다.The body includes a first panel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and provided with a first space, a second panel in contact with the other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and provided with a second space,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It consists of a bending part connecting the ends of the panel.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1패널의 일단에서 상기 벤딩부 측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의 제1콘택트와, 상기 제2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제2패널의 일단에서 상기 벤딩부 측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의 제2콘택트로 이루어진다.The contact may include a first contact in the form of a cantilever positioned in the first space an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panel toward the bending portion, and located in the second space, from one end of the second panel toward the bending portion. It consists of a second contact in the form of an extended cantilever.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제1패널의 측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제1슬롯과, 상기 제1슬롯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제1접촉빔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접촉빔은 상기 제2콘택트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 터미널과의 접촉 시 탄성 변형된다.The first contac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lots arranged in parallel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first panel and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beams partitioned by the first slots. At this time, the first contact beam protrudes toward the second contact side and is elastically deformed upon contact with the blade terminal.
또한,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제2패널의 측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제2슬롯과, 상기 제2슬롯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제2접촉빔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접촉빔은 상기 제1콘택트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 터미널과의 접촉 시 탄성 변형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ac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slots arranged in parallel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second panel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beams partitioned by the second slots. At this time, the second contact beam protrudes toward the first contact and is elastically deformed upon contact with the blade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콘택트 스프링을 통해 블레이드 터미널과의 접속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블레이드 터미널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stably connect the blade terminals by simplifying the connection structure with the blade terminals through the contact spring.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 터미널과 접촉되는 콘택트가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접촉빔으로 구성되므로 전류 용량에 따라 표준 설계가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lurality of contact beams in which the contacts contacting the blade terminal are arranged in parallel, a standard design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current capacity.
또한, 본 발명은 접속 구조체를 모듈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며, 접속 구조체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connection structure in a module form, installation and separation are easy, and the volume of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the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can be minimiz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 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 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 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 중 터미널 바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 중 터미널 바디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 중 콘택트 스프링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 중 콘택트 스프링의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gh-power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gh-power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a high-power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body of the high-power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rminal body of the high-power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ct spring of the high-power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ct spring of a high-power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lso,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력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이하 '접속 구조체'라 함)는 한 쌍의 블레이드 터미널을 연결하는 피메일 터미널 형태의 접속 구조체이다.A high-power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emale terminal type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a pair of blade terminals.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접속 구조체는 한 쌍의 블레이드 터미널이 일렬로 배치되거나 직각으로 배치될 경우에도 연결할 수 있는 범용적인 구조를 갖는다.In particular, th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universal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even when a pair of blade terminals are arranged in a line or at a right angl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속 구조체(100)는, 접속 구조체(10)의 외형을 이루는 터미널 바디(100)와, 터미널 바디(100)와 블레이드 터미널(BT)을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콘택트 스프링(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 the
터미널 바디(100)는 한 쌍의 블레이드 터미널(BT)을 연결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X자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블레이드 터미널(BT)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전도체인 구리로 제작된다.The
또한, 콘택트 스프링(200)은 터미널 바디(10)의 양단에 설치되되 블레이드 터미널(BT)이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방된 U자 형상을 가지며, 터미널 바디(100)와 블레이드 터미널(BT)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전도체인 구리로 제작된다.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서는 터미널 바디(100)와 콘택트 스프링(200)이 구리 재질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전도율과 강성을 가진 금속 재질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접속 구조체(10)를 구성하는 터미널 바디(100)와 콘택트 스프링(200)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The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바디(10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로 구성되며,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접합 시 양단이 개방된 X자 형상을 이룬다.4 and 5, the
제1바디(1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중단이 제2바디(120) 측(도면상 하향)으로 돌출된 판재 형상이고, 제2바디(12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중단이 제1바디(110) 측(도면상 상향)으로 돌출된 판재 형상이다.The
상술한 형상의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접합 시 양단이 개방된 X자 형상을 이루며, 접합된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양단에는 장착홈(130)이 형성되고, 장착홈(130)에는 콘택트 스프링(200)이 설치된다. 이때, 장착홈(130)에 설치된 콘택트 스프링(200)에는 블레이드 터미널(도 1의 BT)이 삽입된다.The
터미널 바디(100)를 구성하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클린칭(clinching)을 통해 접합된다. 클린칭 접합은 열을 가하거나 별도의 리벳을 사용하지 않은 접합 방법으로서,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펀치와 펀치틀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방법이다.The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중첩부를 펀치로 가압하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가 펀치틀의 그루브에 충진되는 과정에서 측면으로 확장되며 일체로 접합된다.As shown in FIG. 5 , whe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클린칭 접합할 경우 접합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접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접합 시 간극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한편,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전후단 양 측면에는 고정홈(140)이 형성된다. 고정홈(140)은 콘택트 스프링(200)의 고정편(240)이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블레이드 터미널(BT)의 삽입 및 분리 시 콘택트 스프링(2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스프링(200)은, 장착홈(도 4의 130)에 설치되는 몸체(210)와, 몸체(210)에 일체로 형성된 콘택트(220)로 이루어지며, 블레이드 터미널(BT)이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방된 U자 형상을 가진다.6 and 7, the
몸체(210)는, 상하로 이격되며 평행하게 배치된 제1패널(210a) 및 제2패널(210b)과, 제1 및 제2패널(210a,210b)의 단부를 연결하는 벤딩부(210c)로 이루어진다.The
제1패널(210a)은 터미널 바디(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평판이며, 콘택트 스프링(200)의 설치 시 장착홈(도 5의 130)의 내측 상면에 접촉된다. 또한, 제2패널(210b)은 제1패널(210a)과 평행하게 연장된 평판이며, 콘택트 스프링(200)의 설치 시 장착홈(도 5의 130)의 내측 하면에 접촉된다.The
이때, 제1패널(210a)의 중앙에는 제1공간(230a)가 마련되고, 제1공간(230a)에는 제1콘택트(220a)가 위치된다. 또한, 제2패널(220b)의 중앙에는 제2공간(230b)가 마련되며, 제2공간(230b)에는 제2콘택트(220b)가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콘택트(220)는 블레이드 터미널(BT)의 상면과 하면을 탄성 지지하는 제1콘택트(220a)와 제2콘택트(220b)로 구성된다. 제1콘택트(220a)는 제1패널(210a)의 제1공간(230a)에 위치되어 블레이드 터미널(BT)의 상면을 탄성 지지하고, 제2콘택트(220b)는 제2패널(220b)의 제2공간(230b)에 위치되어 블레이드 터미널(BT)의 하면을 탄성 지지한다.The contact 220 includes a
제1콘택트(220a)와 제2콘택트(220b)는 블레이드 터미널(BT)과의 접촉 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태를 갖는다. 즉, 제1콘택트(220a)는 제1패널(210a)의 후단에서 벤딩부(210c) 측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이고, 제2콘택트(220b)는 제2패널(210b)의 후단에서 벤딩부(210c) 측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를 갖는다.The
제1콘택트(220a)는 제1패널(210a)의 측면방향으로 평행하되 교번하게 배열된 제1슬롯(222a)과 제1접촉빔(224a)으로 이루어지고, 제2콘택트(220b)는 제2패널(210b)의 측면방향으로 평행하되 교번하게 배열된 제2슬롯(222b)과 제2접촉빔(224b)으로 이루어진다.The
제1접촉빔(224a)은 제2콘택트(220b) 측으로 돌출되어 블레이드 터미널(BT)과의 접촉 시 탄성 변형되며 블레이드 터미널(BT)을 지지하고, 제2접촉빔(224b)은 제1콘택트(220a) 측으로 돌출되어 블레이드 터미널(BT)과의 접촉 시 탄성 변형되며 블레이드 터미널(BT)을 지지한다.The
여기서, 블레이드 터미널(BT)을 탄성 지지하는 제1접촉빔(224a)과 제2접촉빔(224b)는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1접촉빔(224a)을 일례로 접촉빔(224a,224b)의 구조 및 형상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 since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촉빔(224a)은 제1패널(210a)의 후단에서 벤딩부(210c) 측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이되, 블레이드 터미널(2)을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제2콘택트(220b) 측으로 돌출된다.As shown in FIG. 7 , the
제1접촉빔(224a)은 제1연장부(2241a), 제1굴절부(2242a), 제2연장부(2243a), 제2굴절부(2244a) 및 제3연장부(2245a)가 제1패널(210a)의 전단에서 벤딩부(210c) 측으로 순차적으로 연장된 대략 W자 형상을 갖는다.The
제1연장부(2241a)는 제1패널(210a)의 전단에서 벤딩부(210c) 측으로 연장된다. 제1굴절부(2242a)는 제1연장부(2241a)의 후단에 형성되며 제2콘택트(220b) 측으로 돌출되도록 V자 벤딩된다. 제2연장부(2243a)는 제1굴절부(2242a)의 후단에서 벤딩부(210c) 측으로 연장된다. 제2굴절부(2244a)는 제2연장부(2243a)의 후단에 형성되며 제2콘택트(220b) 측으로 돌출되도록 V자 벤딩된다. 제3연장부(2245a)는 제2굴절부(2244a)의 후단에서 벤딩부(210c) 측으로 연장된다.The
여기서, 제1연장부(2241a)와 제1굴절부(2242a)의 제1사잇각(a)은 146~150도이고, 제3연장부(2245a)와 제2굴절부(2244a)의 제2사잇각(b)은 135~139도이다.Here, the first angle a between the
이와 같이, 제1사잇각(a)과 제2사잇각(b)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경우 블레이드 터미널(2)의 삽입 시 제1굴절부(2242a)와 제2굴절부(2244a)에 의한 접압력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블레이드 터미널(BT)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first angle (a) and the second angle (b) are set differently, the contact pressure by the first and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접촉빔(224a)은 전단이 제1패널(210a)에 고정된 외팔보 형태이므로, 블레이드 터미널(BT)이 삽입되어 제1굴절부(2242a)에 접촉할 경우 제1접촉빔(224a)의 후단, 즉 제3연장부(2245a)가 상승하게 된다.Since the
그런데, 제3연장부(2245a)는 콘택트 터미널(200)의 설치 시 장착홈(130)의 내측 상면과 접촉된 상태이므로, 제3연장부(2245a)의 상승이 제한됨으로써 제2굴절부(2244a)가 블레이드 터미널(BT)에 접촉되도록 한다.However, since the
따라서, 제1굴절부(2242a)와 제2굴절부(2244a)가 블레이드 터미널(BT)을 탄성 지지함과 동시에 동일한 접압력을 인가함으로써 블레이드 터미널(BT)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또한, 콘택트 스프링(200)의 제1굴절부(2242a)와 제2굴절부(2244a)는 제1패널(210a)의 전단에서 5.3mm(D1)와 9.8mm(D2) 각각 이격되어, 장착홈(130)에 삽입된 블레이드 터미널(BT)의 전후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블레이드 터미널(BT)의 전단과 후단의 들림 및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스프링(200)은 제1접촉빔(224a)과 제2접촉빔(224b)을 통해 블레이드 터미널(BT)의 삽입 및 분리 시 삽발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한편, 콘택트 스프링(200)의 양측, 좀 더 상세하게는 제1패널(210a)과 제2패널(210b)의 일단 양측에는 고정홈(140)에 삽입되는 고정편(240)이 형성된다. 고정편(240)은 장착홈(130)에 설치된 콘택트 스프링(2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on both sides of the
또한, 제1패널(210a)과 제2패널(210b)의 전단에는 밀림 방지편(250)이 형성된다. 밀림 방지편(250)은 터미널 바디(100)의 개방된 단부에 접촉되어 콘택트 스프링(2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접속 구조체
100: 터미널 바디
110: 제1바디
120: 제2바디
130: 장착홈
200: 콘택트 스프링
210: 몸체
220: 콘택트10: connection structure 100: terminal body
110: first body 120: second body
130: mounting groove 200: contact spring
210: body 220: contact
Claims (14)
장착홈이 양단에 형성된 터미널 바디; 및
상기 장착홈에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 바디와 블레이드 터미널을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콘택트 스프링을 포함하는 고전압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A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a high voltage blade terminal, comprising:
a terminal body having mounting grooves formed at both ends; and
A high voltage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a contact spring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and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body and the blade terminal.
상기 콘택트 스프링은,
상기 장착홈에 삽입 및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장착홈에 수용된 상기 블레이드 터미널을 탄성 지지하는 콘택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ct spring is
a body inser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groove;
High voltage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contact elastically supporting the blade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groove.
상기 몸체는, 상기 장착홈의 내측 일면에 접촉되고 제1공간이 마련된 제1패널과, 상기 장착홈의 내측 타면에 접촉되며 제2공간이 마련된 제2패널과,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의 단부를 연결하는 벤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블레이드 터미널 접속 구조체.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ody includes a first panel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and provided with a first space, a second panel in contact with the other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and provided with a second space,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A high-voltage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comprising a bending part connecting the ends of the panel.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1패널의 일단에서 상기 벤딩부 측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의 제1콘택트와, 상기 제2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제2패널의 일단에서 상기 벤딩부 측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의 제2콘택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력 커넥터 연결용 터미널.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act may include a first contact in the form of a cantilever positioned in the first space an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panel toward the bending portion, and located in the second space, from one end of the second panel toward the bending portion. A terminal for connecting a high-power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cond contact in the form of an extended cantilever.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제1패널의 측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제1슬롯과, 상기 제1슬롯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제1접촉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접촉빔은 상기 제2콘택트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 터미널과의 접촉 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력 커넥터 연결용 터미널.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contac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lots arranged in parallel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first panel and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beams partitioned by the first slots,
The first contact beam protrudes toward the second contact and is elastically deformed upon contact with the blade terminal.
상기 제1접촉빔은, 상기 제1패널의 일단에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콘택트 측으로 돌출된 제1굴절부와, 상기 제1굴절부의 타단에서 연장된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콘택트 측으로 돌출된 제2굴절부와, 상기 제2굴절부의 타단에서 연장된 제3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력 커넥터 연결용 터미널.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ontact beam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panel, a first refractive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contac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ractive part. High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 a second refraction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contact, and 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fraction portion Terminals for connecting connectors.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1굴절부의 사잇각은 146~150도이고, 상기 제3연장부와 상기 제2굴절부의 사잇각은 135~139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력 커넥터 연결용 터미널.7. The method of claim 6,
A high-power connector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and the first refractive part is 146 to 150 degrees, and the angle between the third extension and the second refractive part is 135 to 139 degrees.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제2패널의 측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제2슬롯과, 상기 제2슬롯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제2접촉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접촉빔은 상기 제1콘택트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 터미널과의 접촉 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력 커넥터 연결용 터미널.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contac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slots arranged in parallel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second panel,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beams partitioned by the second slots,
The second contact beam protrudes toward the first contact and is elastically deformed upon contact with the blade terminal.
상기 제2접촉빔은, 상기 제2패널의 일단에서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콘택트 측으로 돌출된 제1굴절부와, 상기 제1굴절부의 타단에서 연장된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콘택트 측으로 돌출된 제2굴절부와, 상기 제2굴절부의 타단에서 연장된 제3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력 커넥터 연결용 터미널.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contact beam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panel, a first refractive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contac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fractive portion. High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 a second refraction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contact, and 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fraction portion Terminals for connecting connectors.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1굴절부의 사잇각은 146~150도이고, 상기 제3연장부와 상기 제2굴절부의 사잇각은 135~139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력 커넥터 연결용 터미널.10. The method of claim 9,
A high-power connector connec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and the first refractive part is 146 to 150 degrees, and the angle between the third extension and the second refractive part is 135 to 139 degrees.
상기 터미널 바디는, 상하로 이격되고 평행하게 배치된 제1바디 및 제2바디로 구성되되, 상기 제1바디의 중단은 상기 제2바디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바디의 중단은 상기 제1바디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접합 시 양단에 상기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력 커넥터 연결용 터미널.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The terminal body is composed of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spaced up and down and arranged in parallel, the middle of the first body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body, and the middle of the second body is the first body protruding to the side,
A terminal for connecting a high power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at both ends wh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joined.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중단은 클린칭을 통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력 커넥터 연결용 터미널.12. The method of claim 11,
A terminal for connecting a high power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ody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body are joined through clinching.
상기 터미널 바디의 양측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 스프링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력 커넥터 연결용 터미널.13. The method of claim 12,
A terminal for connecting a high power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fix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erminal body, and fixing piece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tact spring.
상기 콘택트 스프링의 일단에는 상기 터미널 바디의 개방된 단부에 접촉되는 밀림 방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력 커넥터 연결용 터미널.14. The method of claim 13,
A terminal for connecting a high power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contact spring is formed with an anti-skid piece contacting the open end of the terminal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8130A KR20210129964A (en) | 2020-04-21 | 2020-04-21 | High power female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8130A KR20210129964A (en) | 2020-04-21 | 2020-04-21 | High power female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9964A true KR20210129964A (en) | 2021-10-29 |
Family
ID=7823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8130A KR20210129964A (en) | 2020-04-21 | 2020-04-21 | High power female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29964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8866A (en) | 2023-03-13 | 2024-09-2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40138867A (en) | 2023-03-13 | 2024-09-2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ion structure |
-
2020
- 2020-04-21 KR KR1020200048130A patent/KR20210129964A/en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38866A (en) | 2023-03-13 | 2024-09-2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240138867A (en) | 2023-03-13 | 2024-09-2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ion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780954B (en) | Terminal assembly with multi-wire planar cable | |
EP3660985A1 (en) | Connector | |
US9478875B2 (en) | Connecting terminal | |
US11177602B2 (en) | Female terminal | |
CN110391528A (en) | Electric connector | |
EP3540862B1 (en) | Connector | |
US20070123102A1 (en) | Female terminal and connector | |
EP0301701B1 (en) | Terminal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tact with a post | |
US11749926B2 (en) |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vehicle | |
KR20210129964A (en) | High power female blade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 |
CN117913571A (en) | Terminal assembly and connector | |
KR100689236B1 (en) | Electrical receptacle-type terminal | |
US20200373697A1 (en) | Terminal module | |
EP4030564B1 (en) | Connection terminal and power supply device | |
KR20140094251A (en) | Contact spring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 |
CN114784539A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14864338A (en) | Power relay with insert terminals | |
CN201091037Y (en) | Electric connector | |
CN109193192B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07492727B (en) | Electric connector and combination thereof | |
CN220086442U (en) | Female terminal structure of connector | |
CN210074215U (en) | Connecting terminal and connector | |
JP2019192347A (en) | connector | |
CN110459894B (en) | Contact and connector using same | |
CN111430966B (en) | 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ing termin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