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9855A - 무선 충전 장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장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9855A
KR20210129855A KR1020200047898A KR20200047898A KR20210129855A KR 20210129855 A KR20210129855 A KR 20210129855A KR 1020200047898 A KR1020200047898 A KR 1020200047898A KR 20200047898 A KR20200047898 A KR 20200047898A KR 20210129855 A KR20210129855 A KR 20210129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temperature
primary coil
current valu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변영찬
배진근
김기범
김현준
나기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7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9855A/ko
Priority to US17/071,537 priority patent/US20210323434A1/en
Priority to CN202011320471.2A priority patent/CN113525110A/zh
Publication of KR2021012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2Circuits or methods for driving the primary coil, e.g.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3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e.g. from overhead contac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때 수신 코일의 온도를 실시간 예측하는 무선 충전 장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을 위한 전류 지령 및 전압지령을 결정하는 충전 제어부, 결정된 상기 전압지령 및 상기 전류 지령에 기초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변환하는 제1 회로부, 그리고, 자기장 변화로 전기 자동차의 2차 코일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상기 제1 회로부에서 변환된 전력으로 상기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1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이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2차 코일의 온도에 따라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결정하는 상기 전류 지령을 변경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WIRELESS POWER TRANSFER MACHINE,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할 때 수신 코일의 온도를 실시간 예측하는 무선 충전 장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방안으로 자동차 제조 회사들은 배기 가스 배출량이 거의 없는 전기 자동차에 관심을 갖고 기술 개발의 투자 확대뿐만 아니라 전용 브랜드를 출시하는 등 전기 자동차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각 국 정부들은 전기 자동차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대중의 관심도 높아져 전기 자동차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기 자동차는 일반 자동차의 엔진과 연료를 대신하는 전기 모터와 전기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배터리는 주기적으로 충전되는데, 충전 케이블을 전기 자동차에 직접 연결하여 유선 충전하는 플러그 인(Plug-In) 방식, 또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는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한편, 플러그 인 방식은 충전할 때마다 전기 자동차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최근 무선 충전 방식이 확대되고 있다.
한편, 전기 자동차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 시스템(Wireless Power Transfer: WPT)은 충전 시간을 줄이기 위해, 출력 전력을 증대하고 있다. 그로 인해, 충전시스템의 충전 패드의 1차 코일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2차 코일로 장시간 높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코일의 발열로 인한 화재 발생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무선 충전 장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차량 측 코일의 온도를 추정하여 코일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무선 충전을 위한 전류 지령 및 전압지령을 생성하는 충전 제어부,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전압지령 및 상기 전류 지령에 따라 대응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으로 변환하는 제1 회로부, 그리고, 전기 자동차의 2차 코일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상기 제1 회로부에서 변환된 전력을 상기 전기 자동차에 전달하는 1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이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2차 코일의 온도에 따라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결정하는 상기 전류 지령을 변경한다.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추정된 2차 코일의 온도가 임계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이 낮아지도록 상기 전류 지령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제어부는, 무선 충전 시간,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에 따른 온도 추정 모델을 설정하고, 상기 무선 충전 시간 및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상기 온도 추정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실시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높게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무선 충전 시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높게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무선 충전 시간에 대한 일차 함수와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에 대한 이차 함수의 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제어부는, 무선 충전 시간,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에 따른 온도 추정 모델을 설정하되,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전압 값에 따라 각각 설정되며, 상기 무선 충전 시간 및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값에 따른 전류 값을 상기 온도 추정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실시간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은, 자기장 변화에 따른 유도 전류의 발생으로 무선 충전 장치의 1차 코일로부터 전력을 인가 받는 2차 코일, 상기 2차 코일에 인가된 전력을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회로부, 그리고 차량 통신부를 통해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류 값을 이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2차 코일의 온도에 따라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에 대한 변경을 상기 차량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 요청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추정된 2차 코일의 온도가 임계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이 낮아지도록 상기 차량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차량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무선 충전 시간, 상기 수신된 전류 값 및 전압 값에 따른 온도 추정 모델을 설정하고, 상기 무선 충전 시간 및 상기 수신된 전류 값을 상기 온도 추정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실시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높게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무선 충전 시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높게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에 대한 이차 함수를 인수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무선 충전 시간에 대한 일차 함수와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에 대한 이차 함수의 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은, 전류 지령 및 전압지령을 결정하여 무선 충전을 준비하는 단계,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전압지령 및 전류 지령에 따라 대응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으로 변환하고, 전기 자동차의 2차 코일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1차 코일을 통해 상기 변환된 전력을 상기 전기 자동차에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이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2차 코일의 온도가 임계 온도보다 높은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결정하는 상기 전류 지령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 지령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추정된 2차 코일의 온도가 상기 임계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이 낮아지도록 상기 전류 지령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추정하는 단계는, 무선 충전 시간,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에 따른 온도 추정 모델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무선 충전 시간 및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상기 온도 추정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실시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실시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 크거나 상기 무선 충전 시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높게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시간에 따른 차량 측 코일의 온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차량 측 코일의 온도에 따라 충전기 측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차량 측 코일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무선 충전 차량에 소손 및 화재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온도 센서 없이 차량 측 코일의 온도를 추정함으로써 전기 자동차의 부품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추정 모델을 설정하는데 기초가 되는 실험 데이터의 일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1)은 무선 충전 장치(100) 및 전기 자동차(200)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장치(100)는 제1 회로부(110), 1차 코일(120), 충전 통신부(130), 및 충전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제1 회로부(110)는 충전 제어부(140)의 제어로 외부 전원(AC)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변환하여 1차 코일(12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1 회로부(110)는 충전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지령 및 전류지령에 따라 외부 전원(AC)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변환하여 1차 코일(120)에 전달한다.
1차 코일(120)는 제1 회로부(110)로부터 전력을 인가 받아 전기 자동차(200) 측의 유도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때, 1차 코일(120)은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으로 제1 회로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으로 전기 자동차(200)를 충전한다. 예를 들어, 1차 코일(120)에 흐르는 전류 값은 충전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지령에 따라 제1 회로부(110)에 포함된 전자 소자 및 스위칭 소자들의 스위칭 제어로 변경될 수 있다.
충전 통신부(130)는 전기 자동차(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충전 요청을 수신하거나,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충전 제어부(140)는, 외부 전원(AC)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기 자동차(200)를 충전할 때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을 결정하는 전류지령 및 전압지령을 생성하여 무선 충전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충전 제어부(140)는, 전기 자동차(200)의 2차 코일(210)의 온도를 추정하는 온도 추정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200)는, 2차 코일(210), 제2 회로부(220), 배터리(230), 차량 통신부(240), 및 차량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2차 코일(210)은 1차 코일(120)에 의한 자기장 변화로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교류전력을 공급받는다.
제2 회로부(220)는, 차량 제어부(250)의 제어로 2차 코일(210)로부터 인가된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직류전력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고전압의 배터리(230)를 충전한다. 예를 들어, 제2 회로부(220)는, 탑재형 완속 충전기(On-Board Charge; OBC)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30)는 전기 자동차(200)의 운행시 방전된 전력으로 모터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충전시 제2 회로부(220)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으로 충전된다.
차량 통신부(240)는 무선 충전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충전 요청을 전송하거나, 2차 코일의 온도를 추정하기 위해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을 지시하는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250)는 무선 충전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배터리(230)를 충전하기 위해 제2 회로부(22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부(250)는 2차 코일의 온도를 추정하는 온도 추정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추정 모델을 설정하는데 기초가 되는 실험 데이터의 일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며, 무선 충전 장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무선 충전 방법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따라, 무선 충전 장치(100)는 온도 추정 모델을 포함하여 전기 자동차(200)의 2차 코일(210)의 온도를 실시간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전기 자동차(200)는 온도 추정 모델을 포함하여 2차 코일(210)의 온도를 실시간 추정할 수 있다. 이하, 무선 충전 장치(100) 및 전기 자동차(200) 중 적어도 하나는 온도 추정 모델을 포함하여 무선 충전 시간,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에 기초하여 2차 코일(210)의 온도를 실시간 추정할 수 있다.
우선, 충전 제어부(140)는 충전 통신부(130)를 통해 전기 자동차(200)로부터 전송된 무선 충전 요청에 따라 전류지령 및 전압지령을 생성하여 무선 충전을 준비한다(S10). 이때, 충전 제어부(140)는 무선 충전 장치(100)의 상태 및 전기 자동차(200)의 상태를 고려하여 기 설정된 복수의 전류지령 및 전압지령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제어부(250)는 차량 통신부(240)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로 무선 충전 요청을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충전 시작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제어부(140)는 충전 통신부(130)를 통해 전기 자동차(200)로부터 무선 충전 요청을 수신하면, 무선 충전 요청에 따라 전류지령 및 전압지령을 생성하여 무선 충전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충전 제어부(140)는 외부 전원(AC)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으로 전기 자동차(200)를 충전한다(S20).
구체적으로, 충전 제어부(140)는 전류지령 및 전압지령을 제1 회로부(110)에 전달하여 외부 전원(AC)으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변환한다. 제1 회로부(110)를 통해 변환된 전력은 1차 코일(120)을 통해 전기 자동차(200)를 충전한다.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은 제1 회로부(110)에 전달된 전류지령 및 전압지령에 대응하여 변경되고, 그 결과 1차 코일(120)에 의해 유발되는 자기장이 변하면 전기 자동차(200)의 2차 코일(210)에 유도되는 전류량도 전자기 유도에 따라 변경된다.
다음으로, 충전 제어부(140)는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압 값에 따른 전류 값을 이용하여 2차 코일의 온도를 실시간 추정하고(S30), 추정된 2차 코일(210)의 온도가 임계 온도보다 높은지 판단한다(S40).
충전 제어부(140)는 무선 충전 시간,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에 따라 2차 코일(210)의 온도를 추정하는 온도 추정 모델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제어부(140)는 실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압 값 별로 무선 충전 시간과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 값의 상관 관계식을 도출하여 온도 추정 모델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 값(In_ch)이 증가할수록 또는 무선 충전 시간(T)이 길어질수록 2차 코일(210)의 온도(TC_2)는 높아진다. 이때, I1_ch, I2_ch, I3_ch, I4_ch, I5_ch의 순서로 더 큰 전류 값을 포함한다.
충전 제어부(140)는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압 값(Vn_ch)이 400V일 때, 무선 충전 시간(T)과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복수의 전류 값, 예를 들어, I1_ch(50A), I2_ch(100A), I3_ch(150A), I4_ch(200A), I5_ch(300A)에 대한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 도 3의 실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관 관계식인 하기 [수학식 1]을 도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을 참고하면, 2차 코일(210)의 온도(TC_2)는 무선 충전 시간(T)에 대한 일차 함수와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I_ch)에 대한 이차 함수의 곱으로 설정되는 상관 관계식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Vn_ch
I_ch[A] A B C D
0 a1 b1 c1 d1
50A a2 b2 c2 d2
100A a3 b3 c3 d3
150A a4 b4 c4 d4
200A a5 b5 c5 d5
250A a6 b6 c6 d6
[표 1]을 참고하면,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 값(I_ch) 각각(50A, 100A, 150A, 200A, 250A)에 대해 [수학식 1]을 구성하는 상수(A, B, C, D)는 도 3의 실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및 [표 1]에 기초하는 온도 추정 모델은,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 값(I_ch)이 증가할수록 2차 코일(210)의 온도(TC_2)를 높게 추정한다. 또한, 온도 추정 모델은, 무선 충전 시간(T)이 증가할수록 2차 코일(210)의 온도(TC_2)를 높게 추정한다.
충전 제어부(140)는 [수학식 1] 및 [표 1]에 기초하여 2차 코일(210)의 온도(TC_2)를 추정하는 온도 추정 모델을 설정하고, 무선 충전 시간(T) 및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 값(I_ch)을 온도 추정 모델에 적용하여 2차 코일(210)의 온도(TC_2)를 실시간 추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충전 제어부(140)는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 값(I_ch)이 증가하거나 무선 충전 시간(T)이 증가할수록 2차 코일(210)의 온도(TC_2)를 높게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제어부(250)도 [수학식 1] 및 [표 1]에 기초하여 2차 코일(210)의 온도(TC_2)를 추정하는 온도 추정 모델을 설정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250)는 차량 통신부(240)를 통해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 값(I_ch) 및 전압 값(V_ch)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압 값(V_ch)에 따른 무선 충전 시간(T) 및 수신된 전류 값(I_ch)을 온도 추정 모델에 적용하여 2차 코일(210)의 온도(TC_2)를 실시간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단결과 추정된 2차 코일(210)의 온도(TC_2)가 임계 온도보다 높으면(S40, Yes), 충전 제어부(140)는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 값(I_ch)이 보호 전류 값에 대응되게 낮아지도록 전류 지령을 변경한다(S50).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추정된 2차 코일(210)의 온도(TC_2)가 임계 온도 보다 높으면, 차량 제어부(250)는 1차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 값(I_ch)이 보호 전류 값에 대응되게 낮아지도록 차량 통신부(240)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무선 충전을 위한 전류 지령 및 전압지령을 생성하는 충전 제어부,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전압지령 및 상기 전류 지령에 따라 대응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으로 변환하는 제1 회로부, 그리고,
    전기 자동차의 2차 코일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상기 제1 회로부에서 변환된 전력을 상기 전기 자동차에 전달하는 1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이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2차 코일의 온도에 따라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결정하는 상기 전류 지령을 변경하는, 무선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추정된 2차 코일의 온도가 임계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이 낮아지도록 상기 전류 지령을 변경하는, 무선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무선 충전 시간,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에 따른 온도 추정 모델을 설정하고, 상기 무선 충전 시간 및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상기 온도 추정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실시간 추정하는, 무선 충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높게 추정하는, 무선 충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무선 충전 시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높게 추정하는, 무선 충전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무선 충전 시간에 대한 일차 함수와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에 대한 이차 함수의 곱으로 설정되는, 무선 충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무선 충전 시간,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에 따른 온도 추정 모델을 설정하되,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을 상기 전압 값에 따라 각각 설정하며, 상기 무선 충전 시간 및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 값에 따른 전류 값을 상기 온도 추정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실시간 추정하는, 무선 충전 장치.
  8. 자기장 변화에 따른 유도 전류의 발생으로 무선 충전 장치의 1차 코일로부터 전력을 인가 받는 2차 코일,
    상기 2차 코일에 인가된 전력을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회로부, 그리고
    차량 통신부를 통해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류 값을 이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2차 코일의 온도에 따라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에 대한 변경을 상기 차량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 요청하는 차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추정된 2차 코일의 온도가 임계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이 낮아지도록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요청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부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충전 시간, 상기 수신된 전류 값 및 전압 값에 따른 온도 추정 모델을 설정하고,
    상기 무선 충전 시간 및 상기 수신된 전류 값을 상기 온도 추정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실시간 추정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이 증가할수록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높게 추정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무선 충전 시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높게 추정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에 대한 이차 함수를 인수로 하여 설정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추정 모델은,
    상기 무선 충전 시간에 대한 일차 함수와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에 대한 이차 함수의 곱으로 설정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5. 전류 지령 및 전압지령을 결정하여 무선 충전을 준비하는 단계,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전압지령 및 전류 지령에 따라 대응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으로 변환하고, 전기 자동차의 2차 코일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는 1차 코일을 통해 상기 변환된 전력을 상기 전기 자동차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이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2차 코일의 온도가 임계 온도보다 높은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결정하는 상기 전류 지령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지령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추정된 2차 코일의 온도가 상기 임계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이 낮아지도록 상기 전류 지령을 변경하는, 무선 충전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추정하는 단계는,
    무선 충전 시간,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 및 전압 값에 따른 온도 추정 모델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무선 충전 시간 및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을 상기 온도 추정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실시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실시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1차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값 크거나 상기 무선 충전 시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2차 코일의 온도를 높게 추정하는, 무선 충전 방법.
KR1020200047898A 2020-04-21 2020-04-21 무선 충전 장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29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898A KR20210129855A (ko) 2020-04-21 2020-04-21 무선 충전 장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7/071,537 US20210323434A1 (en) 2020-04-21 2020-10-15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2011320471.2A CN113525110A (zh) 2020-04-21 2020-11-23 无线电力传输装置、车辆的无线电力传输系统及无线电力传输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898A KR20210129855A (ko) 2020-04-21 2020-04-21 무선 충전 장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855A true KR20210129855A (ko) 2021-10-29

Family

ID=7808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898A KR20210129855A (ko) 2020-04-21 2020-04-21 무선 충전 장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23434A1 (ko)
KR (1) KR20210129855A (ko)
CN (1) CN113525110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7118B2 (en) * 2001-06-26 2004-04-06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pparatus for inductive and resistive heating of an object
JP5443946B2 (ja) * 2009-11-02 2014-03-19 株式会社東芝 インバータ装置
CN102013825B (zh) * 2010-11-30 2014-04-16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电网技术研究中心 二极管箝位式三电平电压源换流器损耗分析方法
US9705310B2 (en) * 2013-11-26 2017-07-11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Adaptive fault clearing based on power transistor temperature
CN105811771B (zh) * 2014-12-30 2018-10-09 国家电网公司 一种基于mmc隔离型dc/dc变换器开关损耗的确定方法
RU2657705C1 (ru) * 2015-04-07 2018-06-14 Ниссан Мотор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оценки температуры и способ оценки температуры для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приема мощности
US10938335B2 (en) * 2018-07-05 2021-03-02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Motor winding temperature estim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25110A (zh) 2021-10-22
US20210323434A1 (en)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77281B (zh) 一种插电式混合动力车动力电池的充电加热方法及系统
US10245962B2 (en) Active rectifie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vehicle assembly using sam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279695B2 (en) Electric vehicle parallel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US9656558B2 (en)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in a motor vehicle
US1050097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N113352925A (zh) 用于对电动车辆充电的装置和方法
WO2020084964A1 (ja) 温調装置の制御装置
CN111313397B (zh) 用于通信基站混合供电系统的能量控制系统及控制方法
WO2006059762A1 (ja) 交流電力供給システム、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US11745610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power transfer system
WO2021189659A1 (zh) 用于通信基站混合供电系统的能量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20180034271A1 (en) Home charging and power back up unit
KR20140114330A (ko) 전기 배터리 충전 설비 및 방법
US112923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witching synchronization for bridgeless rectifier in electric vehicl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201903668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fer to electric vehicle using bridgeless rectifier
CN106849301B (zh) Dc-ac转换器的控制方法及接地组件和无线电力传输方法
CN110797928A (zh) 一种充电站负载均衡管理方法及装置
KR102270373B1 (ko) 전기차의 완속 충전시간 단축을 위한 충전 제어장치
CN113226834A (zh) 用于对电动车辆充电的方法和装置
CN110380510B (zh) 充电调控系统
KR101915075B1 (ko) 전력 모듈이 구비된 충전 장치
KR20210129855A (ko) 무선 충전 장치, 차량용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289060A1 (en) Control system and energy management method
KR101714148B1 (ko) 친환경 차량의 무선충전장치 및 방법
CN114825397A (zh) 双向交流充电装置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