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833A -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이용한 임신 판정방법 - Google Patents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이용한 임신 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833A
KR20210128833A KR1020200047011A KR20200047011A KR20210128833A KR 20210128833 A KR20210128833 A KR 20210128833A KR 1020200047011 A KR1020200047011 A KR 1020200047011A KR 20200047011 A KR20200047011 A KR 20200047011A KR 20210128833 A KR20210128833 A KR 20210128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men
pregnancy
temperature
cows
c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현
김병기
정대진
하재정
이준구
권우성
이윤석
김형록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filed Critical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Priority to KR102020004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8833A/ko
Publication of KR20210128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7/00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 A61D17/006Devices for indicating trouble during labour of animals ; Methods or instruments for detecting pregnancy-related states of animals for detecting pregnancy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7Endoradiosondes
    • A61B5/073Intestinal transmit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이용한 임신 판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ICT 기술을 활용하여 인공수정된 한우 암소의 임신기간 중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추위 내 체온 변화로부터 분만을 예측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이용한 임신 판정방법{Method for determining pregnancy using change in body temperature in the rumen of Korean cows}
본 발명은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이용한 임신 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국 및 경북지역 한우농가는 규모화가 가속화되어 한우사육농가가 10년 사이에 절반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농업 종사자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점차 고령화되는 추세이다. 특히 한우농가의 경우 전체의 44%가 65세 이상의 노인이며 후계농 확보도 9.8%에 불과해 다른 농업 분야에 비해 상당히 저조하다.
농장 규모화 정체의 주요 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융ㆍ복합 기술의 도입이 절실하며 최근 축산 ICT 개발 추세는 체온 및 활동성 등의 생체정보를 활용해 발정, 분만, 질병 등을 예측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국·내외 축산 ICT(bolus system) 관련 제품을 보면, 미국(Bella-AG,), 오스트리아(Smaxtec) 등의 해외업체에서는 귀, 다리, 반추위, 엉덩이, 질 등의 신체 부위에 나타나는 징후를 통해 건강상태(질병, 발정, 분만)를 파악하고 있다. 국내 ICT 제품인 LiveCare는 해외제품과 동일하게 소의 반추위 내에 센서를 삽입하여 축우의 생체 변화(체온, 활동성)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현재 약 1만개 제품이 판매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ICT 기술을 활용하여 인공수정된 암소의 임신기간 중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7857호 (2010.11.25)
본 발명의 목적은 ICT 기술을 활용하여 인공수정된 한우 암소의 임신기간 중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CT 기술을 활용하여 인공수정된 암소의 임신기간 중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한우 암소의 분만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우 암소의 반추위에 삽입된 온도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인공수정된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측정하여 암소의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온도가 38.665 내지 38.679℃인 경우 인공수정일로부터 임신 80 내지 100일령, 38.775 내지 38.795℃인 경우 임신 145 내지 165일령, 38.996 내지 39.016℃인 경우 임신 200 내지 220일령 및 39.136 내지 39.116℃인 경우 임신 250 내지 270일령으로 결정하는 것인, 한우 암소의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의 판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한우 암소의 반추위에 삽입된 온도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임신한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측정하고, 인공수정일로부터 임신 200 내지 220일령 또는 임신 250 내지 270일령의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온도가 각각 38.996 내지 39.016℃ 또는 39.136 내지 39.116℃의 범위 이하로 떨어져 1일 이상 유지하는 경우 분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우 암소의 분만 예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ICT 기술을 활용하여 인공수정된 한우 암소의 임신기간 중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반추위 내 체온 변화로부터 분만을 예측할 수 있다.
도 1은 한우 암소 112두의 10개월 동안 반추위 내 온도변화를 나타낸다.
도 2는 비임신우(26두)와 임신우(37두) 간의 반추위 내 온도 비교 결과이다.
도 3은 임신기간 중 반추위 내 평균 온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반추위 내 온도 기반 임신 감정 모식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한우 암소의 반추위에 삽입된 온도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인공수정된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측정하여 암소의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온도가 38.665 내지 38.679℃인 경우 인공수정일로부터 임신 80 내지 100일령, 38.775 내지 38.795℃인 경우 임신 145 내지 165일령, 38.996 내지 39.016℃인 경우 임신 200 내지 220일령 및 39.136 내지 39.116℃인 경우 임신 250 내지 270일령으로 결정하는 것인, 한우 암소의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의 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우 암소의 반추위에 삽입된 온도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임신한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측정하고, 인공수정일로부터 임신 200 내지 220일령 또는 임신 250 내지 270일령의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온도가 각각 38.996 내지 39.016℃ 또는 39.136 내지 39.116℃의 범위 이하로 떨어져 1일 이상 유지하는 경우 분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우 암소의 분만 예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우 암소의 반추위에 삽입된 온도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인공수정된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측정하고, 임신기간 중 4가지 구간에서 비임신우와 임신우 간의 반추위 내 온도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4가지 구간에서 측정된 온도를 통해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체온 변화를 통해 분만시기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장검사, 초음파 장비, 혈액검사 등의 기존의 임신 감정 방법이 아니라 임신일령에 따른 반추위 내 온도를 측정하여 각 임신일령별로 임신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소의 평균 임신일령은 285일로 상기 4가지 구간은 인공수정일로부터 임신 80 내지 100일령(제1구간), 임신 145 내지 165일령(제2구간), 임신 200 내지 220일령(제3구간) 및 임신 250 내지 270일령(제4구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구간 동안 인공수정된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온도가 38.665 내지 38.679℃인 경우 임신으로 판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비임신 또는 감염에 따른 질병 상태로 판정한다.
제2구간 동안 반추위 내 온도가 38.775 내지 38.795℃인 경우 임신으로 판정하거나, 제1구간에서 임신이 확인된 임신우인 경우에는 임신유지인 상태로 판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비임신 또는 감염에 따른 질병 상태로 판정한다.
제3구간 동안 반추위 내 온도가 38.996 내지 39.016℃인 경우 임신으로 판정하거나, 제1구간 또는 제2구간에서 임신이 확인된 임신우인 경우에는 임신유지인 상태로 판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비임신 또는 감염에 따른 질병 상태로 판정한다.
제4구간 동안 반추위 내 온도가 39.136 내지 39.116℃인 경우 임신으로 판정하거나, 제1구간 내지 제3구간 중 어느 하나에서 임신이 확인된 임신우인 경우에는 임신유지인 상태로 판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비임신 또는 감염에 따른 질병 상태로 판정한다.
또한, 제3구간 및 제4구간에서 분만일 이전 약 75일 즉, 임신 210일령부터 반추위 내 온도는 약 39℃ 이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한우 암소의 경우 분만 전 체온이 0.5 내지 1℃ 정도 떨어진다. 따라서, 제3구간 또는 제4구간에서 반추위 내 온도가 각 구간에 해당하는 온도 범위 미만으로 떨어져 1일 이상 유지하는 경우 분만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발명은 분만 시기를 예측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온도 센서 장치는 반추위 내에 삽입되어 반추위 내 체온을 측정한다. 상기 온도 센서 장치는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에 안착하도록 경구로 투여하는 온도 측정 센서를 의미한다. 상기 온도 측정 센서는 예컨대, (주)유라이크코리아의 LiveCar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 센서는 약 10분 간격으로 반추위내 체온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추위 내 온도는 온도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하룻동안 10분 마다 측정된 값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 임신기간 중 반추위 내 체온 변화
본 실험에 사용된 공시축은 경구투여방식을 통해 암소의 반추위 내에 1개/두의 바이오센서(LiveCare, (주)유라이크코리아, 대한민국)를 안착시켰으며 최소 6개월 이상 적응 기간을 두었으며 시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암소 평균 체온: 한우 암소 112두
- 임신여부에 따른 체온 변화: 총 63두(비임신우 26두, 임신우 37두)
인공수정은 발정 후 16~20시간 이내에 냉동정액을 해동하여 자궁심부에 인공수정용 주입기를 통하여 정액을 주입하였다.
- 시험 기간: 2018. 12 ~ 2019. 11
- 시험 방법: 1일 동안 10분 마다 센서를 통해 측정된 반추위 내 체온의 평균값을 분석한다. 상기 측정은 약 10개월간 진행되며, 측정된 평균값을 통해 체온 변화 특이 패턴을 분석한다.
<실험예 1> 한우 암소의 생육기간 전반에 걸친 체온 변화 분석
도 1은 한우 암소 112두의 2018년 12월부터 2019년 9월까지의 10개월간의 반추위 온도를 R program, ggplot2 package의 boxplot 함수를 사용하여 나타낸 것으로, 각 박스는 일별 온도를 나타내며, 녹색선은 반추위 온도의 중간 값을 나타낸다.
분석 결과, 한우 암소의 반추위 온도는 38.5 ~ 39.0℃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임신 여부에 따른 반추위 내 체온 변화
도 2는 비임신우 26두와 임신우 37두의 10개월동안 반추위 온도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임신우의 경우 분만일 이전 약 75일, 임신 210일령부터 비임신우와 확연하게 차이를 보이며 약 39℃ 이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임신기간 중 반추위 내 체온 변화
실험예 1 및 2의 결과를 기반으로 비임신우와 비교하여 임신기간 중 반추위 내 특이한 체온 변화 패턴을 보이는 4가지 구간에 대해서 일원배치 분산분석 방법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임신 기간
(일)
임신우(℃) 비임신우(℃) 온도 차이(℃) P-값
a 80~100 38.672 ± 0.007 38.761 ± 0.370 - 0.089 < 0.05
b 145~165 38.785 ± 0.010 + 0.024 < 0.05
c 200~220 39.006 ± 0.010 + 0.245 < 0.05
d 250~270 39.126 ± 0.010 + 0.365 < 0.05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임신 구간별 한우 임신우 및 비임신우의 반추위 내 온도 평균, 표준오차, 유의확률을 확인한 결과 4가지 구간에서 비임신우와 임신우 간의 반추위 내 온도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도 4는 반추위 내 온도 기반 임신 감정 모식도를 나타낸 것으로, 직장검사, 초음파 장비, 혈액검사 등의 기존의 임신 감정 방법이 아니라 임신일령에 따른 반추위 내 온도를 측정하여 각 임신일령별로 임신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Claims (4)

  1. 한우 암소의 반추위에 삽입된 온도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인공수정된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측정하여 암소의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온도가 38.665 내지 38.679℃인 경우 인공수정일로부터 임신 80 내지 100일령, 38.775 내지 38.795℃인 경우 임신 145 내지 165일령, 38.996 내지 39.016℃인 경우 임신 200 내지 220일령 및 39.136 내지 39.116℃인 경우 임신 250 내지 270일령으로 결정하는 것인, 한우 암소의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의 판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반추위 내 온도는 하룻동안 10분 마다 측정된 값의 평균값인, 한우 암소의 임신가능성 또는 임신유지 여부의 판정방법.
  3. 한우 암소의 반추위에 삽입된 온도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임신한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측정하고, 인공수정일로부터 임신 200 내지 220일령 또는 임신 250 내지 270일령의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온도가 각각 38.996 내지 39.016℃ 또는 39.136 내지 39.116℃의 범위 이하로 떨어져 1일 이상 유지하는 경우 분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우 암소의 분만 예측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반추위 내 온도는 하룻동안 10분 마다 측정된 값의 평균값인, 한우 암소의 분만 예측방법.
KR1020200047011A 2020-04-17 2020-04-17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이용한 임신 판정방법 KR20210128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011A KR20210128833A (ko) 2020-04-17 2020-04-17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이용한 임신 판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011A KR20210128833A (ko) 2020-04-17 2020-04-17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이용한 임신 판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833A true KR20210128833A (ko) 2021-10-27

Family

ID=7828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011A KR20210128833A (ko) 2020-04-17 2020-04-17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이용한 임신 판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88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857B1 (ko) 2008-04-22 2010-12-01 이성준 소 체온감지, 분석, 알람기능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857B1 (ko) 2008-04-22 2010-12-01 이성준 소 체온감지, 분석, 알람기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lecheck et al.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changes around estrus events identified using multiple automated monitoring technologies
Suriyasathaporn et al. A Cox proportional-hazards model with time-dependent covariate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condition score and the risks of first insemination and pregnancy in a high-producing dairy herd
Martinez et al. Association between antral follicle count and reproductive measures in New Zealand lactating dairy cows maintained in a pasture-based production system
Schweinzer et al. Evaluation of an ear-attached accelerometer for detecting estrus events in indoor housed dairy cows
Loeffler et al. The effects of time of disease occurrence, milk yield, and body condition on fertility of dairy cows
Dohoo et al. Disease, production and culling in Holstein-Friesian cows I. The data
Sprecher et al. A lameness scoring system that uses posture and gait to predict dairy cattle reproductive performance
Berry et al. Associations between age at first calving and subsequent performance in Irish spring calving Holstein–Friesian dairy cows
Gutierrez et al. Effect of reproductive tract scoring on reproductive efficiency in beef heifers bred by timed insemination and natural service versus only natural service
Knauer et al. A descriptive survey of lesions from cull sows harvested at two Midwestern US facilities
Blavy et al. Overview of progesterone profiles in dairy cows
Holm et al. Evaluation of pre-breeding reproductive tract scoring as a predictor of long term reproductive performance in beef heifers
Lin et al. Postpartum uterine involution and embryonic development pattern in Chinese Holstein dairy cows
Gild et al. The Influence of Subclinical Hypocalcemia on Production and Reproduction Parameters in Israeli Dairy Herds.
Neves et al. Genetic variability of residual variance of production traits in Nellore beef cattle
Cecchetto et al. Clinical use of fetal measurements to determine the whelping day in German shepherd breed bitches
Burnett et al. Rumen-reticular temperature during estrus and ovulation using automated activity monitors in dairy cows
Macmillan et al. Performance and optimization of an ear tag automated activity monitor for estrus prediction in dairy heifers
Mota-Rojas et al. Dystocia: factors affecting parturition in domestic animals.
Plaizier et al. Evaluation of overall reproductive performance of dairy herds
KR20210128833A (ko) 한우 암소의 반추위 내 체온 변화를 이용한 임신 판정방법
Ask-Gullstrand et al. Genetic parameters for reproductive losses estimated from in-line milk progesterone profiles in Swedish dairy cattle
Vahtiala et al. Ultrasonography in early pregnancy diagnosis and measurements of fetal size in reindeer (Rangifer tarandus tarandus)
Nyman et al. A longitudinal study of oestrous characteristics and conception in tie-stalled and loose-housed Swedish dairy cows
Ayele et al. Major postpartum problems of dairy cows managed in small and medium scale production systems in Wolaita Sodo, Ethiop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