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155A - push-button assembly and channel structure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ush-button assembly and channel structure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155A
KR20210128155A KR1020200045995A KR20200045995A KR20210128155A KR 20210128155 A KR20210128155 A KR 20210128155A KR 1020200045995 A KR1020200045995 A KR 1020200045995A KR 20200045995 A KR20200045995 A KR 20200045995A KR 20210128155 A KR20210128155 A KR 20210128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hannel
cap plate
push button
circul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공진
신용석
엄기영
Original Assignee
(주)코리스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스이엔티 filed Critical (주)코리스이엔티
Priority to KR1020200045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8155A/en
Publication of KR20210128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1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16B37/042Releasable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push button and a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which can be assembled in a factory to be conveniently and quickly connected on site. The push button has a cap plate (130), a spring (140) and a holder (121, 122). The cap plate (130) has a locking leg which can be inserted into a non-circular hole of a bracket (20). The holder (121, 122) has a holder body (121) and a locking element accommodating unit (122). The holder body (121) has a bolt hole disposed such that a bolt body (115) may pass therethrough, and has a non-circular shape having the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The holder body (121) has a non-circular shape so as to be fixedly latched at a channel (10). The locking element accommodating unit (122) is arrang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holder body (121) and accommodates a locking element (113).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body (121) approaches the locking element (113) to be fixedly latched at the channel (10), such that the locking element (113) may be stably maintained to allow the connecting structure to be more solidly fastened.

Description

잠금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푸시버튼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push-button assembly and channel structures using the same}A push button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a locking posture and a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push-button assembly and channel structur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조용 부재의 푸시버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찬넬과 찬넬을 상호 연결하거나 또는 찬넬에 브라켓 등의 구조용 부재를 간편하게 조여 체결하는 푸시버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button of a structural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sh button that interconnects a channel and a channel or simply fastens a structural member such as a bracket to the channel.

일반적으로 두 개의 구조용 부재나 부품을 결합하기 위해 볼트 체결하거나 용접한다. 용접은 결속이 우수하나 현장 작업의 어려움이 있어 볼트 체결이 선호된다. 볼트는 강한 결속을 위해 통상 너트와 함께 사용되며, 퀵 파스너나 푸시버튼으로 칭하면서 설치나 조립의 편의를 위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푸시버튼은 볼트와 너트의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푸시방식으로 체결한다. It is usually bolted or welded to join two structural members or components. Welding has excellent bonding, but bolting is preferred because of difficulties in field work. Bolts are usually used together with nuts for strong bonding, and are being developed in various ways for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or assembly, referred to as quick fasteners or push buttons. The push button is fastened by a push method with a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bolt and the nut.

상기 구조용 부재로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11298호(컨베이어 시스쳄에 있어서의 주행레일이 부착된 프래임재 및 그 프레임재를 이용한 주행 프레임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654871(판넬 체결 구멍을 갖는 씨형상 제조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15-0129842(추가의 기능적 측면을 구비하는 채널 프레이밍 및 이것을 위한 피팅부)에 개시된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의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79294(레일 장착용 연결 조립체)에 개시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79294(레일 장착용 연결 조립체)를 참조하면, 볼트와 잠금너트 사이에 홀더를 개재하고, 커넥터의 비원형홀에서 홀더의 회전을 제한하여 의도된 위치에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홀더 및 커넥터의 비원형홀의 형상에 주목하여 적정의 특수 형상을 제시하고 있다. 즉, 각면과 호면이 조합된 커넥터 홀이나, 홀더에 회전방지요소나 카운터 베어링을 배치한다. 커넥터의 비원형과 홀더가 정합된 구조이므로 커넥터/홀더의 결합 후 홀더/잠금너트의 순서로 작업한다. 이후 레일의 슬롯에 넣고 볼트로 조여 구조용 부재를 상호 결합한다. The prior art as the structural memb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0011298 (a frame material with a traveling rail attached to the conveyor system and a traveling frame device using the frame material),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 1654871 (Seed-shaped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panel fastening ho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129842 (Channel framing having additional functional aspects and a fitting part therefor) is disclosed. In addition, the prior art of the push butt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8-0079294 (connection assembly for rail mounting). Referring to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79294 (connection assembly for rail mounting), the holder is interposed between the bolt and the lock nut, and the rotation of the holder is restricted in the non-circular hole of the connector so as to be in the intended position. For this purpose, an appropriate special shape is present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shape of the non-circular hole of the holder and connector. That is, an anti-rotation element or a counter bearing is arranged in a connector hole in which each surface and an arc surface are combined, or in a holder. Since the non-circular shape of the connector and the holder are matched, work in the order of the holder/lock nut after the connector/holder is combined. They are then placed in the slots of the rails and bolted to connect the structural members to each other.

일반적으로 구조용 부재의 결합에는 다양한 유형의 푸시버튼과 브라켓(선행기술이 경우, 커넥터로 지칭되었음)가 사용된다. 푸시버튼과 브라켓이 서로 종속적인 경우, 그 사용이 극히 제한된다. 푸시버튼은 다른 유형의 브라켓과 사용 가능하고, 브라켓 역시 다른 유형의 푸시버튼과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브라켓의 비원형홀과 홀더가 서로 정합되어야 하므로 종속적인 관계에서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그리고 잠금너트가 비원형홀을 통과할 수 없어 공장 조립 보다는 현장에서 조립되어야 하므로 불편하고 비용이 커진다. 푸시버튼의 현장 조립은 작업이 번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려 신속한 체결에 불리하다. 또한, 푸시버튼이 브라켓을 가압하는 것만으로는 슬립 문제를 해소하지 못한다. 나아가, 체결이나 작업의 외관 검사가 가능해야 하지만, 작업 후 푸시버튼이 브라켓과 레일에 감싸여져 있어 체결상태를 확인하기 어렵다. 별도 검사장비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높은 곳은 현실적으로 확인이 어렵다. 구조체의 체결 불량의 경우 작업의 신뢰도 저하와 구조물 붕괴가 염려된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pushbuttons and brackets (referred to as connectors in the prior art) are used for coupling of structural members. When the pushbutton and the bracket are dependent on each other, their use is extremely limited. Pushbuttons can be used with other types of brackets, and the brackets must also be compatible with other types of pushbuttons.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prior art, since the non-circular hole of the bracket and the holder must be matched with each other, their use is limited in a dependent relationship. And since the lock nut cannot pass through the non-circular hole, it must be assembled on site rather than factory assembly, which is inconvenient and expensive. On-site assembly of pushbuttons is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which is disadvantageous for fast fastening. In addition, the push button does not solve the slip problem only by pressing the bracket. Furthermore, it should be possible to inspect the appearance of the fastening or work, but after work, the push button is wrapped around the bracket and rail, so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fastening state. Even if a separate inspection equipment is used, it is difficult to realistically check high places. In case of poor fastening of the structure, the reliability of the work is reduced and the structure collapse is concern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929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7929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장에서 조립하여 현장에서 구조용 부재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있는 푸시버튼과 그 연결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 button and a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that can be assembled at a factory and easily and quickly connected to a structural member in the field.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브라켓에 마련된 제1의 비원형홀과 찬넬에 마련된 제2의 비원형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의 비원형홀과 제2의 비원형홀에 볼트헤드와 너트 중의 어느 하나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바디를 통과시켜 볼트헤드와 너트와의 사이에서 브라켓과 찬넬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볼트헤드 및 너트 중의 어느 하나의 제1의 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볼트바디가 통과될 수 있도록 볼트삽입홀이 마련된 캡플레이트; 상기 볼트바디가 통과될 수 있도록 볼트공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과 찬넬의 결합시에 상기 제2의 비원형홀의 찬넬에 걸려 회전이 멈추도록 하기 위해 폭보다 길이가 긴 비원형 형상을 가진 홀더바디; 그리고 상기 홀더바디로부터 하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볼트헤드 및 너트 중의 다른 하나의 제2의 부재가 수용되는 잠금요소 수용부;를 구비하는 푸시버튼과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를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non-circular hole provided in the bracket and the second non-circular hole provided in the channel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first non-circular hole and the second non-circular hole are bolted to each other. It is used to couple the bracket and the channel between the bolt head and the nut by passing one of the head and the nut and the threaded bolt body: to face the first member of any one of the bolt head and the nut a cap plate disposed and provid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so that the bolt body can pass therethrough; a holder body having a non-circular sha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in order to stop the rotation by being caught in the channel of the second non-circular hole when the bracket and the channel are combined so that the bolt body can pass therethrough; and a locking element accommodating part disposed downward from the holder body and accommodating the second member of the other one of the bolt head and the nut; a push button having a; and a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푸시버튼에 있어 홀더의 비원형 형상에 따라 별도 조작 없이도 보다 간편하게 잠금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홀더헤드가 비원형홀을 통과하여 자세를 잡기 때문에 브라켓의 비원형홀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아 구조용 부재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홀더헤드가 브라켓을 통과하여 찬넬에서 걸려 회전이 방지되는 구성에 따라 잠금요소 수용부측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하여 잠금 자세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ush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osition can be determined more conveniently without separate manipulation according to the non-circular shape of the holder, and since the holder head takes a posture through the non-circular hole, the shape of the non-circular hole of the bracket It is not limited, so the selection of structural members is widened, an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holder head passes through the bracket and is caught on the channel to prevent rotation, it can be positioned closer to the locking element accommodating part to maintain the locking posture more stab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에서 푸시버튼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상측에서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시시예로서 푸시버튼을 분리하여 상측에서 도시한 정면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분리하여 하측에서 도시한 저면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볼트헤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에서 찬넬과 브라켓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에서 찬넬과 브라켓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 6의 A-A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의 볼트에 외력을 가한 상태를 도 6의 A-A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에서 구성부품의 일부 배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푸시버튼을 수평으로 각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볼트헤드와 커튼월이 잠겨진 상태를 도 10의 B-B 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이 수평으로 각도 회전한 상태에서 연결 구조체의 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푸시버튼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푸시버튼이 장착된 상태를 도 13의 C-C 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이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 구조체의 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의 정면 분리사시도며,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16의 푸시버튼의 저면 분리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 button separated from a connection structur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sh button from the upper side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n from the upper side by removing the push button as a temporary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shown from the lower side by separating the push button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ush butt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lt head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hannel and the bracket are combined in the connection structur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in a state before the channel and the bracket are coupled in the connection structur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in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olt of the push button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ate of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connection structur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rizontally angularly rotated state of the push butt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BB of FIG. 10 in a state in which the bolt head and the curtain wall are locked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mber of the connection structure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push button is angularly rotated horizontally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 butt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is mounted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3 in a state in which the push butt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is mounted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ember of the connection structure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a push button is mounted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ront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ush button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ush button of FIG. 16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을 설명하는 용어를 정의한다. 본 발명의 분야에서 구조용 부재는 단순히 봉 형상일 수 있으나 C 형강이나 고강성을 위해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으로 절곡 성형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용 부재는 "C 형강"이나 "찬넬"이나 "레일" 또는 기타의 다양한 명칭으로 지칭되고 있다. 이하, 구조용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찬넬"이라 칭한다. 그리고, 찬넬과 찬넬을 직접 연결하거나, 커넥터나 브라켓을 매개로 연결하거나, 또는 찬넬에 직접 장치나 장비 또는 전장품 등을 비치하거나 정치할 수도 있고, 커넥터나 브라켓을 중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푸시버튼으로 체결되는 2개의 부재 중에서 그 하나를 "찬넬"이라 칭하고, 다른 하나의 부재를 "브라켓"이라 칭한다. 또한, 푸시버튼이 통과하는 브라켓의 관통홀의 형상은 푸시버튼, 보다 자세하게는 홀더와 볼트 또는 너트와의 관계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로 단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브라켓의 관통홀은 적어도 최소 직경과 최대 직경이 서로 다른 것으로서 "비원형홀"을 그 일예로 설명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상향"과 "하향"을 사용한다. 이러한 "상향"과 "하향"은 체결시 볼트를 기준으로 하여 브라켓을 향하는 상측 방향으로서 "상향"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찬넬을 향하는 하측 방향으로서 "하향"이라 한다. 또한, "외향"과 "내향"을 사용한다. "내향"은 축선이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그 반대 방향으로 중심이나 축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외향"이라 한다. 그리고 단일 부품의 설명을 위해 "상면"과 "저면"이나 "하측면"을 사용한다. "상면"은 볼트를 기준으로 브라켓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표면을, "저면"과 "하측면"은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한 표면을 지칭한다. 또한 공간 구획의 부재에 있어 "내측면"과 "외측면"을 사용한다. "내측면"은 내측 공간에 접하는 표면을, 그 대향하는 면으로 외측 공간에 접하는 면을 "외측면"이라 한다.First, terms for describing the push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Structural members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imply rod-shaped, but are used by bending into various shapes or shapes for C-shaped steel or high rigidity. These structural members are referred to as “C-beams” or “channels” or “rails” or other various names. Hereinafter, the structural member is referred to as "channel". In addition, a channel and a channel may be directly connected, a connector or a bracket may be used as a medium, or a device, equipment, or electrical equipment may be directly installed or placed on a channel, or connectors or brackets may be overlapped and us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ne of the two members fastened with a push button is called a “channel” and the other member is called a “bracket”.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of the bracket through which the push button passes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in relation to the push button, more specifically, the holder and the bolt or nut, and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one of them. Accordingly, at least the minimum diameter and the maximum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bracke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non-circular ho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ereof.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terms referring to the direction, “upward” and “downward” are used. These "upward" and "downward" are referred to as "upward" as the upward direction toward the bracket with respect to the bolt at the time of fastening, and the downward direction toward the channel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downward". Also, we use "extrovert" and "introvert". "Inward" refers to a direction toward an axis or center, and vice versa, refers to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r axis as "outward". And we use "top" and "bottom" or "bottom" to describe a single part. "Upper surface" refers to a surface locat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bracket with respect to the bolt, and "bottom" and "lower surface" refer to a surface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e also use "inner face" and "outer face" in the absence of spatial divisions. The "inner surface" refers to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pace, and the opposite surfac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pace is referred to as an "outer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푸시버튼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를 설명한다. A push button and a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은, 브라켓에 마련된 제1의 비원형홀과 찬넬에 마련된 제2의 비원형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의 비원형홀과 제2의 비원형홀에 볼트헤드와 너트 중의 어느 하나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바디를 통과시켜 볼트헤드와 너트와의 사이에서 브라켓과 찬넬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볼트헤드 및 너트 중의 어느 하나의 제1의 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볼트바디가 통과될 수 있도록 볼트삽입홀이 마련된 캡플레이트; 상기 볼트바디가 통과될 수 있도록 볼트공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과 찬넬의 결합시에 상기 제2의 비원형홀의 찬넬에 걸려 회전이 멈추도록 하기 위해 폭보다 길이가 긴 비원형 형상을 가진 홀더바디; 그리고 상기 홀더바디로부터 하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볼트헤드 및 너트 중의 다른 하나의 제2의 부재가 수용되는 잠금요소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바디는, 찬넬에 부드럽게 걸려 회전이 멈출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회전제한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다. 상기 캡플레이트는, 찬넬과 브라켓의 결합시에 제1의 비원형홀에 끼워지는 잠금레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의 부재는 플랜지 너트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잠금요소 수용부에는, 제2부재가 걸려 빠지지 않도록 내향하여 돌출하는 걸림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플레이트는, 상기 볼트삽입홀과 볼트공에 연통하여 볼트바디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통과공이 마련되고, 상기 홀더바디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향하여 배치된 볼트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시버튼은, 상기 제1의 부재와 캡플레이트의 사이에 탄발 지지하도록 배치된 스프링; 상기 캡플레이트 및 홀더바디 중의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홈부; 상기 캡플레이트와 홀더바디의 상대 회전에 따라 걸려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캡플레이트 및 홀더바디 중의 다른 하나에 마련된 걸림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플레이트는, 상기 볼트삽입홀과 볼트공에 연통하여 볼트바디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통과공이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하향하여 배치된 볼트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의 수용공간은, 상측의 폭보다 하측의 폭이 좁은 것일 수 있다.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 button has the first non-circular hole and the second non-circular hol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non-circular hole provided in the bracket and the second non-circular hole provided in the channel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is used to couple the bracket and the channel between the bolt head and the nut by passing one of the bolt head and the nut and the threaded bolt body through the hole: the first member of any one of the bolt head and the nut a cap plate disposed to face the and provid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to allow the bolt body to pass therethrough; a holder body having a non-circular sha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in order to stop the rotation by being caught in the channel of the second non-circular hole when the bracket and the channel are combined so that the bolt body can pass therethrough; and a locking element accommodating part disposed downwardly from the holder body and accommodating the second member of the other one of the bolt head and the nut. The holder body preferably has a rotation limiting surface formed as a curved surface so that rotation can be stopped by being gently caught on the channel. The cap plate preferably includes a locking leg that is fitted into the first non-circular hole when the channel and the bracket are coupled. The first member may be a flange nut. Preferably, the locking element accommod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ly so that the second member is not caught off. Preferably, the cap plate is provided with a bolt through hole to communicate with the bolt insertion hole and the bolt hole so that the bolt body can pass, and a bolt guide arranged downward to contact the holder body. The push button may include a spring disposed to elastically support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cap plate; a locking groove provided in any one of the cap plate and the holder bod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ocking pin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cap plate and the holder body so that the rotation is limited by being caught according to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cap plate and the holder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cap plate is provided with a bolt through hole so that the bolt body can pass through in communication with the bolt insertion hole and the bolt hole, and a bolt guide arranged downward to provide an accommodation space for the spring. Here,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spring may have a lower width than an upper width.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는, 제1의 비원형홀이 마련된 브라켓; 상기 제1의 비원형홀과 연통하도록 제2의 비원형홀이 마련된 찬넬; 상기 제1의 비원형홀과 연통하는 볼트삽입홀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캡플레이트; 상기 볼트삽입홀과 연통하는 볼트공이 마련되고, 상기 제2의 비원형홀에서 회전이 제한되도록 폭보다 길이가 긴 비원형 형상을 가진 홀더바디; 상기 볼트삽입홀, 제1의 비원형홀 및 볼트공을 통과하여 배치된 볼트바디; 상기 볼트바디에서 단면 확장된 형상이며, 상기 캡플레이트 및 찬넬 중의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볼트헤드; 그리고 상기 볼트바디와 결합되며, 상기 캡플레이트 및 찬넬 중의 다른 하나를 가압하여 상기 볼트헤드와의 사이에서 찬넬과 브라켓을 결합하는 너트;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includes: a bracket provided with a first non-circular hole; a channel provided with a second non-circular hol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non-circular hole; a cap plate provid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non-circular hole and disposed to face the bracket; a holder body provided with a bol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olt insertion hole and having a non-circular shape longer than the width so that rotation is restricted in the second non-circular hole; a bolt body disposed through the bolt insertion hole, the first non-circular hole, and the bolt hole; a bolt head having a cross-section expanded from the bolt body and pressing any one of the cap plate and the channel; and a nut coupled to the bolt body and for coupling the channel and the bracket between the bolt head and the cap plate by pressing the other one of the cap plate and the channe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푸시버튼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ush button and a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에서 푸시버튼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 button separated from a connection structur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1)는 찬넬(10), 브라켓(20) 그리고 푸시버튼(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1 includes a channel 10 , a bracket 20 , and a push button 30 .

상기 찬넬(10)은, 전체적으로 중공의 프로파일로 형성되고, 그 일예로서, 다단 절곡 성형되어 그 상측에서 하향 절곡된 2개의 커튼월(11)을 가진다. 상기 2개의 커튼월(11)은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하고 있어 그 사이로 개구된 슬롯(H1)이 마련된다. 이러한 슬롯(H1)에는 푸시버튼(3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강한 결속을 위해 그 하측면에 요철의 톱니(11a)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참조부호 "B"는 슬롯(H1)의 폭을 도시한 것이다. The channel 10 is formed in a hollow profile as a whole, and, as an example, has two curtain walls 11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by multi-stage bending molding. The two curtain walls 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acing each other, and a slot H1 opened therebetween is provided. The push button 30 is inserted into the slot H1 and fix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ave and convex teeth 11a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thereof for strong binding. Here, reference numeral “B” denotes the width of the slot H1.

상기 브라켓(20)은, 판상의 부재로서 푸시버튼(30)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로서 비원형홀(H2)이 마련된다. 도시된 예는, 교차하는 찬넬을 연결하는 일예로서 90°절곡 형상의 브라켓(20)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비원형홀(H2)은 푸시버튼(30)의 형상과 관련되는데, 일방향으로는 수용되지만, 다른 방향으로는 수용되지 않는 개구된 홀로서, 최소 직경과 최대 직경이 다른 예로서 타원형이나 계란형 기타 다각형이 이에 해당한다. The bracket 20 is a plate-shaped member, and a non-circular hole H2 is provided 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ush button 30 can pass. The illustrated example shows a bracket 20 having a 90° bent shape as an example for connecting the intersecting channels. Here, the non-circular hole H2 is related to the shape of the push button 30 , which is an open hole that is accommodated in one direction but is not accommodated in the other direction, and has a minimum diameter and a maximum diameter as another example, an oval or an oval shape. Other polygons fall into this category.

한편, 상기 슬롯(H1)은,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공간으로서, 찬넬(10)과 브라켓(20)의 결합시에, 브라켓(20)의 비원형홀(H2)과 연통하고, 브라켓(20)의 비원형홀(H1)에 대응하는 또 다른 형상의 비원형홀이라 할 수 있다. 이를 구분하여 지칭하면, 브라켓(20)에 제1의 비원형홀(H2)이 형성되고, 찬넬(10)에는 제2의 비원형홀이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제1의 비원형홀(H2)을 간단히 비원형홀이라 하고, 상기 제2의 비원형홀을 슬롯(H1)이라 칭하여 이하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lot H1 is a long and narrow space, and communicates with the non-circular hole H2 of the bracket 20 when the channel 10 and the bracket 20 are coupled, and the bracket 20 ) may be a non-circular hole of anoth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non-circular hole H1. Separately, it can be said that the first non-circular hole H2 is formed in the bracket 20 and the second non-circular hole is formed in the channel 10 .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first non-circular hole H2 formed in the bracket is simply referred to as a non-circular hole, and the second non-circular hole is referred to as a slot H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상측에서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시시예로서 푸시버튼을 분리하여 상측에서 도시한 정면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분리하여 하측에서 도시한 저면 분리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볼트헤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sh button from the upper side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sh button from the upper side by separating the push button as a temporary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surface shown from the lower side by separating the push button,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ush butt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lt head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푸시버튼(30)은, 볼트(110), 홀더(120), 캡플레이트(130), 스프링(140) 및 너트(150)를 구비한다. 1 to 5 , the push button 30 includes a bolt 110 , a holder 120 , a cap plate 130 , a spring 140 , and a nut 150 .

상기 볼트(110)는, 볼트헤드(113)와 볼트바디(115)를 구비한다. The bolt 110 includes a bolt head 113 and a bolt body 115 .

상기 볼트바디(115)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15a)가 마련되며, 볼트헤드(113)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바디(115)는, 찬넬(10)의 커튼월(11)의 높이, 브라켓(20)의 두께, 너트의 높이를 합한 길이보다 크다. 이 경우, 찬넬(10)과 브라켓(20)의 결합시에 볼트바디가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한다.The bolt body 115 is provided with a threaded portion 115a with a thread,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lt head 113 . The bolt body 115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curtain wall 11 of the channel 10,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20, and the height of the nut. In this case, the bolt body may be exposed when the channel 10 and the bracket 20 are coupl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볼트헤드(113)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잠금슈(113a, 113b)가 마련된다. 상기 잠금슈(113a, 113b)는 그 상측면에 톱니(113t)가 마련되며, 상기 톱니(113t)는 커튼월(11)의 톱니(11a)와 상응하는 형상이고, 이에 따라 서로 정렬될 경우 치합될 수 있다.The bolt head 113 has an overall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lock shoes 113a and 113b are provided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ck shoes 113a and 113b are provided with teeth 113t on the upper side thereof, and the teeth 113t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eeth 11a of the curtain wall 11, and thus mesh when aligned with each other. can be

상기 홀더(120)는, 홀더바디(121)와 잠금요소 수용부(122)를 구비한다. The holder 120 includes a holder body 121 and a locking element receiving portion 122 .

상기 홀더바디(121)는, 볼트바디(115)가 통과할 수 있도록 그 중앙부에 볼트공(121a)이 마련된다. 상기 홀더바디(12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외주면이 점진적으로 양측방으로 돌출하여 연장된 형상이고, 전체적으로 폭보다 길이가 긴 비원형 형상이다. 상기 홀더바디(121)의 폭과 길이는 찬넬(10)의 슬롯(H1)과 브라켓(10)의 비원형홀(H2)의 폭과 길이보다 작다. 그러나, 상기 홀더바디(121)의 길이는 슬롯(H1)의 폭보다 다소 길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바디(121)는 슬롯(H1)과 비원형홀(H2)에서 길이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고, 슬롯(H1)에 수용된 후 회전시킬 경우 커튼월(11)에 걸려 회전을 멈출수 있다. The holder body 121 is provided with a bolt hole (121a) in its central portion so that the bolt body 115 can pass therethrough. The holder body 121 has a shap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gradually protrudes to both sides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has a non-circular shape with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as a whole. The width and length of the holder body 121 are smaller than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lot H1 of the channel 10 and the non-circular hole H2 of the bracket 10 . However, the length of the holder body 121 is somewhat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slot H1. Accordingly, the holder body 121 can pass through the slot H1 and the non-circular hole H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rotated after being accommodated in the slot H1, it is caught on the curtain wall 11 and can stop rotating. have.

상기 홀더바디(121)은, 각면이나 곡면의 비원형 형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찬넬(10)에 브드럽게 걸려 회전이 멀출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회전제한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바디(121)에 형성된 곡면의 회전제한면의 일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곡률반경의 원호면이 서로 접하여 외향하여 돌출하거나, 전체적으로 물결 모양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홀더바디(121)가 회전할 때 커튼월(11)에 걸리거나 해제될 때에 보다 부드럽게 작동할 수 있다. The holder body 121 may be variously formed in a non-circular shape of each surface or curved surface, but it is preferable to have a rotation limiting surface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as to be smoothly caught on the channel 10 and rotate away. As an example of the rotation limiting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formed on the holder body 121, as shown, arc surfaces of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protrude outward, or may be wavy as a whole. In this case, the holder body 121 ) can operate more smoothly when caught or released when the curtain wall 11 is rotated.

상기 홀더바디(121)에는 걸림핀(121b)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핀(121b)은 홀더바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걸림핀(121b)은 캡플레이트에 마련된 걸림홈부(132b)에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도시된 예의 경우, 홀더바디(121)에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캡플레이트(130)와의 관계에서 결정되며 이는 후술한다. The holder body 121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n (121b). Two of the locking pins 121b ar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121 . The locking pin 121b is to be hooked on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2b provided in the cap plate, and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example, it is formed on the holder body 121, but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thereto. relationshi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홀더바디(121)에는 잠금요소 수용부(122)가 마련된다. 상기 잠금요소 수용부(122)는 홀더바디(121)의 폭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바가 하향하여 돌출된 형상이고, 그 돌출 길이가 볼트헤드(113)의 두께보다 크기 때문에 그 사이에 잠금요소 수용홈(122a)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바디(121)의 볼트공(121a)에 볼트바디(115)를 끼우면, 볼트헤드(113)가 잠금요소 수용홈(122a)에 수용되어 홀더바디(12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holder body 121 is provided with a locking element receiving portion 122 . The locking element accommodating part 122 has a shape in which two bars facing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121 protrude downward, and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lt head 113, so the locking element therebetween. A receiving groove (122a) is provided. Accordingly, when the bolt body 115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121a of the holder body 121, the bolt head 113 is accommodated in the locking element accommodating groove 122a and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121. do.

상기 잠금요소 수용부(122)의 하단부에는 걸림턱(112b)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턱(112b)은 잠금요소 수용홈(122a)에서 내향하여 돌출된 2개가 한 쌍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요소 수용부(122)에 볼트헤드(113)가 수용될 경우, 볼트헤드(113)가 걸려 아래로 빠지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바디(121)와 잠금요소 수용부(122)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예컨데 일체 형상 뿐만 아니라 편의에 따라 조립 구조로 하거나 기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나, 다만 2개의 한쌍으로 하여 서로 마주보는 배치할 경우, 볼트헤드(113)를 균형 있게 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A locking protrusion 112b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element accommodating part 122 . The locking protrusion 112b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s a pair of two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locking element accommodating groove 122a. Accordingly, when the bolt head 113 is accommodated in the locking element accommodating part 122, the bolt head 113 is caught and does not fall down. Here, although the holder body 121 and the locking element accommodating part 122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more detail, the shape can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an assembly structure as well as an integral shape or other various modifications according to convenienc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olt head 113 can be supported in a balanced manner when arranged facing each other as a pair of two.

상기 캡플레이트(130)는, 캡바디(131), 잠금레그(133, 134), 가압레그(135, 136), 볼트가이드(132)를 구비한다. The cap plate 130 includes a cap body 131 , locking legs 133 and 134 , pressing legs 135 and 136 , and a bolt guide 132 .

상기 캡바디(131)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이고, 그 중앙부에는 볼트삽입홀(131a)이 마련된다. The cap body 131 has a circular shape as a whole, and a bolt insertion hole 131a is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thereof.

상기 잠금레그(133, 134)는 캡바디(131)에서 하향 경사져 돌출 연장된 형상이며, 볼트삽입홀(131a)을 중심으로 양측에 2개가 마련된다. 상기 잠금레그(133, 134)는 브라켓(20)의 비원형홀(H2)에 수용되어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후술한다. The locking legs 133 and 134 ar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ap body 131 to protrude and extend, and two locking legs 133 and 134 are provided on both sides around the bolt insertion hole 131a. The locking legs 133 and 134 are to be received and fitted in the non-circular hole H2 of the bracket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가압레그(135, 136)는 캡바디(131)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형상이며, 상기 잠금레그(133, 134)와 직교하여 배치되고, 볼트삽입홀(131a)을 중심으로 양측에 2개가 마련된다. 상기 가압레그(135, 136)는 브라켓(20)의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후술한다. The pressure legs 135 and 136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cap body 13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disposed orthogonally to the lock legs 133 and 134, and are formed on both sides with the bolt insertion hole 131a as the center. dog is provided The pressure legs 135 and 136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20 and coupled thereto,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레그(135, 136)는 브라켓(20)과 접촉 저항을 크게하고, 잠금레그(133, 134)는 브라켓(20)의 비원형홀(H2)에 맞춰져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압레그(135, 136)은 되도록 사이즈를 크게 하여 접촉저항을 크게 하고, 상기 잠금레그(133,134)는 브라켓(20)의 비원형홀(H2)의 사이즈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레그(133,134)와 가압레그(135,136)는 그 갯수를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한 쌍으로 하여 균형을 맞춰 안정적으로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레그(133, 134)와 가압레그(135, 136)는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안정적이고 강한 결속을 위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잠금레그(133, 134)는 너트(150)의 조임에 따라 비원형홀(H2)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횡력에 강하나, 수직력에 제한적이다. 그러나 가압레그(135, 136)는 비원형홀(H2)이 없는 브라켓(20)과 접촉하므로 너트(150)의 조임에 따른 가압성능이 우수하다. 따라서, 가압레그(135, 136)는 볼트헤드(113)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하고, 그 투영면에서 동일 작용면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잠금슈(113a, 113b)와 가압레그(135, 136)가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너트(150)의 조임에 따라 찬넬(10)과 브라켓(20)이 견고히 체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essing legs 135 and 136 increase the contact resistance with the bracket 20 , and the locking legs 133 and 134 are fitted to the non-circular hole H2 of the bracket 20 and coupled thereto. In order to do this, the size of the pressure legs 135 and 136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contact resistance, and the size of the lock legs 133 and 134 is slight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non-circular hole H2 of the bracket 20. desirable. Although the number of the locking legs 133 and 134 and the pressing legs 135 and 136 may be varied, it is preferable to make a pair of two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y are stably bound in a balanced manner. The locking legs 133 and 134 and the pressing legs 135 and 136 ar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an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m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each other for stable and strong bonding. In addition, the locking legs 133 and 134 are coupled to the non-circular hole H2 according to the tightening of the nut 150 , so that they are strong in lateral force, but have limited vertical force. However, since the pressing legs 135 and 136 come into contact with the bracket 20 without the non-circular hole H2, the press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ightening of the nut 150 is excellent. Accordingly, the pressing legs 135 and 136 are preferably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lt head 113, and positioned on the same working surface in the projection plane. Accordingly, the lock shoes 113a and 113b and the pressing legs 135 and 136 are disposed to face up and down, so that the channel 10 and the bracket 20 can be firmly fastened according to the tightening of the nut 150 .

상기 볼트가이드(132)는, 캡플레이트(130)의 볼트삽입홀(131a)을 관통하여 하향 돌출한다. 상기 볼트가이드(132)는, 도시된 예의 경우, 상기 캡바디(131)와 일체이고 캡바디(131)에서 하향 돌출하고 있어 그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설명하기 어려우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여 살펴본다. 상기 볼트가이드(132)는, 캡바디(131)의 볼트삽입홀(131a)에 끼워진 형상이고 일체로 결합되며, 그 내측으로 볼트바디(115)가 통과할 수 있는 볼트통과공(132a)이 마련된다. 상기 볼트가이드(132)가 캡바디(1312)의 볼트삽입홀(131a)에 끼워진 관점에서 살펴볼 때, 상기 볼트통과공(132a)은 볼트삽입홀(131a)과 일부 중첩된 형상이고 실질적으로 연통한다. The bolt guide 132 protrudes downward through the bolt insertion hole 131a of the cap plate 130 .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example, the bolt guide 132 is integral with the cap body 131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ap body 131, so it is difficult to clearly distinguish and explain the boundary,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Let's look at it separately. The bolt guide 132 has a shape fit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131a of the cap body 131 and is integrally coupled, and a bolt through hole 132a through which the bolt body 115 can pass is provided. do.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bolt guide 132 is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131a of the cap body 1312, the bolt through hole 132a has a shape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bolt insertion hole 131a and is substantially in communication. .

상기 볼트가이드(132)에는 스프링(140)이 수용된다. 상기 볼트가이드(132)는 그 형상과 모양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그 일예들로서 부분 절개나 측면 개구나 단차진 형상이나 절두 원추 형상의 중공관일 수 있다. 상기 볼트가이드(132)의 수용 공간은 상측의 폭보다 하측의 폭이 좁은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볼트가이드(132)에 스프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절두 원추 형상(절두 원추 형상은 일반적으로 원뿔의 형상에서 밑면에 평행하는 평면으로 잘랐을 때 꼭지점이 있는 부분을 없애고 남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를 말하나, 각뿔의 형상일 경우에도 그 형상에 차이가 있으나 기능은 동일하므로, 이하 원뿔과 각뿔의 형상을 모두 포함하여 꼭지점이 있는 부분을 없애고 남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의 형상을 절두 원추 형상으로 칭한다.)으로 할 경우, 그 단면이 내향하여 경사진 형상이므로 스프링(140)이 수용되더라도 자연스럽게 걸려 고정될 수 있으며, 별도 스프링좌가 필요없어 가공이 편의롭다. 상기 볼트가이드(132)에 스프링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은, 스프링(140)이 수용되어 압축될 경우, 스프링(140)의 탄성 변형 후에 너트(150)가 캡바디에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A spring 140 is accommodated in the bolt guide 132 . The bolt guide 132 may have various shapes and shapes, and as examples thereof, may be a hollow tube having a partial cut or side opening, a stepped shape, or a truncated cone shape.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bolt guide 132 may have various shapes in which the width of the lower side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side. When the space in which the spring is accommodated in the bolt guide 132 is cut into a truncated cone shape (the truncated cone shape is generally a conical shape in a plane parallel to the bottom, removing the part with the vertex and the remaining part) Even in the case of the shape of ,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hape, but the function is the same. Hereinafter, the three-dimensional shape consisting of the part with the vertices, including both the shape of the cone and the pyramid, is referred to as a truncated cone shape.) , since the cross-section is inclined inwardly, even if the spring 140 is accommodated, it can be naturally caught and fixed, and processing is convenient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pring seat. The receiving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spring in the bolt guide 132 is, when the spring 140 is accommodated and compressed, after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spring 140, the nut 150 can contact and press the cap body. provide space.

상기 볼트가이드(132)는 그 하측면에는 걸림홈부(132b)가 마련된다. 상기 걸림홈부(132b)는 홀더바디(121)의 걸림핀(121b)과 서로 상응하여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 형상이나 위치 역시 걸림핀(121b)의 형상과 위치로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부(132b)는 걸림핀(121b)과 같이 홀더바디(121)의 길이방향으로 2개가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핀(121b)와 걸림홈부(132b)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경우에는, 홀더바디(121)와 캡플레이트(130)가 서로 상대 회전할 수 있으나, 상대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걸림핀(121b)이 걸림홈(132b)에 수용될 경우, 홀더바디(121)와 캡플레이트(130)가 상대회전이 방지되어 함께 거동할 수 있다. The bolt guide 132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portion 132b on the lower side thereof. Since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2b is to operate in correspondence with the locking pin 121b of the holder body 121, its shape and position are also determined by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locking pin 121b. Accordingly, two locking grooves 132b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121 like the locking pins 121b. Accordingly, when the locking pin 121b and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2b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the holder body 121 and the cap plate 130 may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but as the relative rotation proceeds, the locking pin When the (121b) is accommodated in the locking groove (132b), the holder body 121 and the cap plate 130 are prevented from rotating relative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move together.

한편, 상기 걸림홈부(131b)와 걸림핀(121b)는 캡플레이트(130)와 홀더바디(121)의 상대 회전이나 거동을 함께 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예의 경우, 강성이나 성형의 편의를 위해 홀더바디(121)에 걸림핀(121b)을 형성하고 있으며, 균형감 있게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2개가 배치되고, 방향표지자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홀더바디(1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걸림홈부(131b)와 걸림핀(121b)는 그 형상이나 구조나 갯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상기 걸림홈부(131b)와 걸림핀(121b)의 배치를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걸림홈부가 홀더바디(121)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걸림핀이 캡플레이트(13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배치를 달리하더라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걸림핀이 걸림홈에 수용되어 홀더바디(121)와 캡플레이트(130)가 상대회전이 방지되는 것은 서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걸림홈부(131b)와 걸림핀(121b)의 형상이나 구조 또는 갯수나 배치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자명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1b and the locking pin 121b are for the relative rotation or behavior of the cap plate 130 and the holder body 121 together. A locking pin 121b is formed on the body 121, and two are arranged to hold it in a balanced and stable manner, and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121 to function as a direction indicator. However,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1b and the locking pin 121b can be variously changed in shape, structure, or number, and in particular, the arrangement of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1b and the locking pin 121b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That is, as another embodiment, the locking groove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holder body 121 , and the locking pin may be disposed on the cap plate 130 . Even if the arrangement is different,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pin is accommodated in the locking groove so that the holder body 121 and the cap plate 130 are prevented from rotating relative to each other. As such, the shape, structure, or number or arrangement of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1b and the locking pin 121b can be freely changed, and since this is obvious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스프링(140)은 캡플레이트(130)와 너트(150)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140)은 캡플레이트(130)와 너트(150)와의 사이에서 탄성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된 다양한 유형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볼트가이드(132)의 원추 형상에 상응하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는, 상기 스프링(140)의 일예로서 코일 헬리컬 스프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프링(140)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의 높이 즉, 자유장이 볼트가이드(132)의 돌출 길이보다 클 수 있으나, 너트(150)에 의해 압축되었을 때의 길이 즉, 밀착높이가 볼트가이드(132)의 돌출 길이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탄성력을 크게 하기 위해 스프링(140)의 밀착 높이를 볼트가이드(132)의 돌출 길이보다 크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캡플레이트(130)에 요홈부를 마련하면 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140)이 압축되었을 때, 볼트가이드(132)에 장입되어 탄발지지된 상태에서 가압레그(135, 136)가 브레킷(20)에 밀착하여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의 경우, 상기 스프링(140)이 캡플레이트(130)와 너트(150)의 사이에 배치되고 있으나, 그 변형 실시예로서 스프링(140)의 배치를 변경하여 캡플레이트(130)와 홀더바디(121)의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볼트가이드(132)에 스프링(140)을 배치하거나, 홀더바디(121)로부터 상향 돌출하는 부분을 만들고 그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와 같이, 홀더바디(121)가 찬넬(10)에 상호 작용하도록 그 기능을 유지하면서 다만 스프링(140)의 배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을 당연하나, 홀더바디(121)와 캡바디(131)의 사이가 협소한 점을 고려하고, 캡플레이트(130)가 브라켓(20)에 접촉하면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시된 예와 같이, 스프링(140)이 너트(150)와 캡플레이트(13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pring 140 is disposed between the cap plate 130 and the nut 150 . As long as the spring 140 can elastically support between the cap plate 130 and the nut 150, various types of known springs may be used. For example, a conical coil spring corresponding to the conical shape of the bolt guide 132 may be used. The illustrated example shows a coil helical spring as an example of the spring 140 . The spring 140, the height of the state without external force, that is, the free field may be greater than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bolt guide 132, but the length when compressed by the nut 150, that is, the close contact height is the bolt guide It is preferable to make it smaller than the protrusion length of (132). If, in order to increase the elastic force, the height of the close contact of the spring 140 is greater than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bolt guide 132 , a concave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cap plate 130 . Accordingly, when the spring 140 is compressed, the pressure legs 135 and 136 can be pres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cket 20 in a state that is charged and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bolt guide 132 .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pring 140 is disposed between the cap plate 130 and the nut 150 , but as a modified embodiment, the arrangement of the spring 140 is changed to form the cap plate 130 and the cap plate 130 .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lder body 121 . Such a modified embodiment is possible by arranging the spring 140 on the bolt guide 132, or by making a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holder body 121 and arranging it therebetween. In this way, it is natural that the arrangement of the spring 140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while maintaining its function so that the holder body 121 interacts with the channel 10, but the holder body 121 and the cap body 131 In consideration of the narrow distance between )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상기 너트(150)는, 나사홀(150a)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바디(115)와 나사 체결된다. 상기 너트(150)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일 수 있으나, 플랜지 붙이 너트나 칼라붙이 너트와 같이 광폭으로 확장된 플랜지(150b)가 부착된 너트(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150b)는 캡바디(131)를 마주보도록 외향으로 돌출된 형상이고, 공지된 바와 같이, 그 밑면은 톱니상으로 성형하여 접촉 마찰이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랜지붙이 너트나 칼라붙이 너트를 사용하는 경우 마찰특성에 좋은 효과가 있어 애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30)에 적용할 경우, 너트 조임 기구(미도시) 예컨데, 소켓 렌치로 눌러 조일 때 푸시 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작업이 쉬워진다. The nut 150 has a female screw formed in the screw hole 150a and is screwed with the bolt body 115 . The nut 150 may have various shapes or structures known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nut 150 is attached to a wide flange 150b, such as a flanged nut or a collared nut. . The flange 150b has a shape protruding outward to face the cap body 131, and as is known, the bottom surface thereof is preferably formed in a sawtooth shape to increase contact friction. On the other hand, when a flanged nut or a collared nut is used, it has a good effect on friction characteristics and is favorably used. When pressing and tightening, a push function can be given, which makes work easi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과 연결구조체의 조립과 장착 및 작용을 살펴본다.Assembling, mounting and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의 조립과정을 살펴본다.First, an assembling process of a push button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30)을 조립할 경우, 먼저 홀더(120)의 볼트공(121a)에 볼트바디(115)를 끼우고 잠금요소 수용부(122)에 볼트헤드(113)를 위치시킨다. 이때, 볼트헤드(113)와 홀더바디(121)는 그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볼트헤드(113)는 잠금요소 수용부(122)의 걸림턱(122b)에 걸려 아래로 빠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푸시버튼(30)의 조립 단계에서 유동하더라도 볼트헤드(113)가 이탈되지 않아 조립이 편해진다. 2 to 5 , when assembling the push button 30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body 115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121a of the holder 120 first, and the lock element receiving part Position the bolt head 113 at (122). At this time, the bolt head 113 and the holder body 121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bolt head 113 is caught by the engaging projection 122b of the locking element accommodating part 122 and does not fall down. Accordingly, even if the push button 30 flows in the assembly step, the bolt head 113 does not come off and assembly is easy.

상기 볼트바디(115)를 볼트가이드(132)를 통해 볼트삽입홀(131a)로 끼우면, 2개의 돌부 형상으로 제공된 걸림핀(121b)이 볼트가이드(132)의 하측면에 닿는다. 이때, 걸림핀(121b)와 걸림홈부(132b)는 서로 짝 맞춤된 상태이다. When the bolt body 115 is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 131a through the bolt guide 132 , the locking pin 121b provided in the shape of two protrusions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lt guide 132 . At this time, the locking pin (121b) and the locking groove (132b) are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mated to each other.

상기 볼트바디(115)에 스프링(140)을 끼우면, 볼트가이드(132)의 원추면에 얹혀진다. When the spring 140 is inserted into the bolt body 115 , it is placed on the conical surface of the bolt guide 132 .

상기 볼트바디(115)의 나사부(115a)에 너트를 맞춰 돌리면, 너트(150)는 볼트바디(115)의 나사부(115a)의 나사산을 타고 하향 이동한다. 상기 볼트바디(115)는 아직 너트의 외부로 노출되기 전이고, 스프링(140)은 볼트가이드(132)와 너트(150)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밀고 있다. 이에 따라, 볼트가이드(132)와 홀더바디(121)는 서로 접근된 상태이고, 캡플레이트(130)와 너트(150)는 멀어진 상태이다.When the nut is turned to match the screw portion 115a of the bolt body 115, the nut 150 moves downward on the screw thread of the screw portion 115a of the bolt body 115. The bolt body 115 is not ye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nut, and the spring 140 elastically pushes between the bolt guide 132 and the nut 150 . Accordingly, the bolt guide 132 and the holder body 121 are in a stat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cap plate 130 and the nut 150 are in a state away from each other.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이용한 연결구조체의 장착 과정을 살펴본다.Next, a process of mounting the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push button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찬넬(10)과 브라켓(20)에 푸시버튼(30)을 장착하여 연결구조체(1)를 체결할 경우, 먼저 찬넬(10)의 슬롯(H1)과 브라켓(20)의 비원형홀(H2)이 서로 중첩하여 연통되도록 찬넬(10)과 브라켓(20)을 배치하고, 푸시버튼(30)을 볼트헤드(113)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시켜 끼운다.Referring to FIG. 1 , when the connection structure 1 is fastened by mounting the push button 30 on the channel 10 and the bracket 20 , first of the slot H1 of the channel 10 and the bracket 20 The channel 10 and the bracket 20 are arranged so that the non-circular hole H2 overlaps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nd the push button 30 is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lt head 113 and fitt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로서 찬넬과 브라켓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단면도로서 찬넬과 브라켓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 6의 A-A라인을 따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의 단면도서 볼트에 외력을 가한 상태를 도 6의 A-A라인을 따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에서 구성부품의 일부 배치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림핀(121b)와 걸림홈부(132b)가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 조립되더라도 그 동작이나 작용은 서로 동일하며, 다만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걸림핀(121b)와 걸림홈부(132b)가 서로 맞춰진 상태로 조립된 예를 그 일예로서 도시하고 설명한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tructur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ate before the channel and the bracket are combined,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structur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before this coupling is shown along the line AA of FIG. 6,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sh button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nd Figure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connection structur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even if the locking pin 121b and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2b are assembl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not engaged with each other, their operations and actions are the same,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locking pin 121b and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2b ) is shown and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assembled state in which they are aligned.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푸시버튼(30)을 하향 이동시켜 비원형홀(H2)과 슬롯(H1)에 끼우면, 잠금레그(133,134)가 브라켓(20)에 걸리고, 볼트가이드(132), 홀더(120) 및 볼트헤드(113)가 비원형홀(H2)과 슬롯(H1)으로 들어간다. 이때, 너트(150)와 캡바디(131)는 그 사이의 거리(t1)로 이격하고, 스프링(140)이 상향으로 홀더(120)와 볼트헤드(113)를 당기고 있다. 또한, 볼트헤드(113), 홀더바디(121), 걸림핀(121b), 걸림홈부(132b)는 슬롯(H1)과 비원형홀(H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잠금레그(133, 134)는 슬롯(H1)의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잠금레그(133, 134)는 경사져 있으므로 브라켓(20)과 캡바디(131)는 서로 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푸시버튼(30)을 돌리면, 볼트헤드(113)가 커튼월(11)에 걸리기 때문에 회전할 수 없다. 6 to 9, when the push button 30 is moved downward and inserted into the non-circular hole H2 and the slot H1, the locking legs 133 and 134 are caught on the bracket 20, and the bolt guide 132. , the holder 120 and the bolt head 113 enter the non-circular hole (H2) and the slot (H1). At this time, the nut 150 and the cap body 131 are spaced apart by a distance t1 therebetween, and the spring 140 is pulling the holder 120 and the bolt head 113 upward. In addition, the bolt head 113, the holder body 121, the locking pin 121b, and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2b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H1 and the non-circular hole H2, and the locking legs 133 and 134. )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ot H1. Since the locking legs 133 and 134 are inclined, the bracket 20 and the cap body 13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push button 30 is turned in this state, the bolt head 113 cannot be rotated because it is caught on the curtain wall 11 .

도 7과 도 8을 참고하면, 볼트(110)를 눌러 외력(F)을 가하면, 너트(150)와 볼트(110)가 하향 이동한다. 이때, 스프링(140)은 압축되어 볼트가이드(132)에 수용되고, 너트(150)의 플랜지(150b)가 캡바디(131)에 접촉한다. 그리고, 홀더(120)가 볼트(110)와 함께 하향 이동하기 때문에, 홀더(120)의 걸림핀(121b)와 볼트가이드(132)의 걸림홈부(132b)가 걸림 해제된다. 상기 너트(150)가 이동한 거리(t1)는 볼트헤드(113)가 이동한 거리(t2)이고, 그 거리(t1, t2)는 홀더바디(121)와 커튼월(11)의 높이차(t3) 보다 크다. 이에 따라, 볼트헤드(113)는 커튼월(11)의 유격 거리(t4)만큼 아래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볼트(110)를 누른 상태에서 푸시버튼(30)을 돌리면, 볼트헤드(113)가 커튼월(11)에 걸리지 않고 회전한다. 7 and 8 , when an external force F is applied by pressing the bolt 110 , the nut 150 and the bolt 110 move downward. At this time, the spring 140 is compressed and accommodated in the bolt guide 132 , and the flange 150b of the nut 150 contacts the cap body 131 . And, since the holder 120 moves downward together with the bolt 110 , the locking pin 121b of the holder 120 and the locking groove 132b of the bolt guide 132 are released. The distance t1 that the nut 150 moves is the distance t2 that the bolt head 113 moves, and the distances t1 and t2 ar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holder body 121 and the curtain wall 11 ( t3) is greater than Accordingly, the bolt head 113 is positioned below by the clearance distance t4 of the curtain wall 11 . Accordingly, when the push button 30 is turned while the bolt 110 is pressed, the bolt head 113 rotates without being caught on the curtain wall 11 .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로서 푸시버튼을 수평으로 각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tructur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ush button is rotated at an angle horizontally.

도 10을 참조하면, 볼트(110)를 누른 상태에서 푸시버튼(30)을 돌렸을 때, 캡플레이트(130)는 너트(150)와 마찰 접촉하여 회전한다. Referring to FIG. 10 , when the push button 30 is turned while the bolt 110 is pressed, the cap plate 130 rotates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nut 150 .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볼트헤드와 커튼월이 잠겨진 상태를 도 10의 B-B 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이 수평으로 각도 회전한 상태에서 연결 구조체의 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0 in a state in which the bolt head and the curtain wall are locked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horizontal push button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mbers of the connecting structure are arranged in a state of angular rotation.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푸시버튼(30)의 회전에 따라 홀더바디(121)는 커튼월(11)에 걸려 회전하지 않는다. 이때, 볼트(110)의 가압을 해제하면, 볼트가이드(132)가 걸림핀(121b)에 얹혀지고, 볼트헤드(113)가 커튼월(11)과 직교하고 있으므로 볼트헤드(113)와 커튼월(11)의 톱니가 치합한다. 이 경우, 걸림핀(121b)와 걸림홈부(132b)는 아직 짝맞춤되기 전이다. 11 and 12 ,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ush button 30 , the holder body 121 is caught on the curtain wall 11 and does not rotate. At this time, when the pressure of the bolt 110 is released, the bolt guide 132 is placed on the locking pin 121b, and since the bolt head 113 is perpendicular to the curtain wall 11, the bolt head 113 and the curtain wall The teeth of (11) mesh. In this case, the locking pin 121b and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2b are not yet mated.

한편, 상기 볼트헤드(113)가 고정되었으므로 너트(150)를 조일 수 있다. 상기 너트(150)를 조이면, 볼트(110)의 나사부(115a)의 나사산을 타고 너트(150)가 하향 이동한다. 상기 너트(150)의 이동에 따라 스프링(140)의 탄성력도 커지는데, 이에 따라 볼트가이드(132)가 걸림핀(121b)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이기고 회전한다. Meanwhile, since the bolt head 113 is fixed, the nut 150 can be tightened. When the nut 150 is tightened, the nut 150 moves downward on the thread of the threaded portion 115a of the bolt 110 . As the nut 150 mov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40 also increases. Accordingly, the bolt guide 132 overcome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nut 150 and the locking pin 121b and rotates.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로서 푸시버튼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로서 푸시버튼이 장착된 상태를 도 13의 C-C 라인을 따라 도시한 것이며,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이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 구조체의 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tructur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push button is mounted,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structur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ush button is mounted. The state is shown along the line CC of FIG. 13, and 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ember of the connection structure is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push button is mounted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볼트가이드(132)가 회전함에 따라, 걸림홈부(132b)와 걸림핀(121b)가 만나서 맞물려 회전을 멈춘다. 이때, 홀더바디(121)는 커튼월(11)에 걸려 고정된 상태이고, 볼트헤드(113)는 커튼월(11)에 치합하여 고정된 상태이고, 잠금레그(133, 134)가 비원형홀(H2)의 방향으로, 가압레그(135, 136)는 브라켓(2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As the bolt guide 132 rotates,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2b and the locking pin 121b meet and engage to stop the rotation. At this time, the holder body 121 is in a state of being fixed by being caught on the curtain wall 11, the bolt head 113 is in a state where it is fixed by meshing with the curtain wall 11, and the locking legs 133 and 134 are non-circular holes. In the direction of (H2), the pressing legs (135, 136) ar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acket (20).

상기 너트(150)를 조임에 따라, 잠금레그(133, 134)는 브라켓(20)의 비원형홀(H2)을 향하고 있으므로, 점진적으로 비원형홀(H2)에 끼워 맞춰지고, 가압레그(135, 136)는 브라켓(20)을 가압한다. 그리고, 볼트바디(115)가 너트(150) 나사산을 타고 상향 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볼트바디(115)가 외부로 노출된 경우에는 체결이 양호한 것이고, 노출되어 있지 않을 경우 체결 불량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 전후의 볼트바디(115)의 노출 정도나 그 여부에 따라 작업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As the nut 150 is tightened, the locking legs 133 and 134 face the non-circular hole H2 of the bracket 20, so that they are gradually fitted into the non-circular hole H2, and the pressing leg 135 , 136 presses the bracket 20 . Then, the bolt body 115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moving upward on the nut 150 screw thread. When the bolt body 115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fastening is good, and when it is not expose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fastening is defectiv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heck the working state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bolt body 115 before and after fastening or no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30)의 경우, 캡플레이트(130)와 너트(150)의 사이에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어, 캐플레이트(130)를 가압할 필요가 없고, 너트(150)만 누르면 되고, 이에 따라 적은 힘으로 가압하더라도 푸시 기능이 원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너트(150)를 조일 때, 조임기구, 예컨데 소켓렌치 등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30)의 경우, 상기 조임기구가 너트(150)의 플랜지(150b)에 걸릴 수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조임기구의 자중에 더하여 적은 힘으로 조작할 수 있고, 상기 조임기구를 돌리기만 하면, 순차적으로 홀더바디(121), 걸림핀(121b), 걸림홈부(132b)가 연속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걸려 고정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편의롭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ush button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cap plate 130 and the nut 150 , so there is no need to press the cap plate 130 , and only the nut 150 . It is pressed, and accordingly, even if it is pressed with a small force, the push func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In general, when tightening the nut 150, a tightening mechanism, such as a socket wrench, is used. In the case of the push button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ightening mechanism has a structure that can be caught on the flange 150b of the nut 150, it can be operated with a small force in addition to the weight of the tightening mechanism, and the tightening mechanism By simply turning, the holder body 121, the locking pin 121b, and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2b sequentially interact to be hooked and fixed, so the operation is very convenient.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의 정면 분리사시도며, 그리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16의 푸시버튼의 저면 분리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되고 설명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의미한다. 16 is a front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ush button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ush button of FIG. 16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and described above mean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푸시버튼(300)은, 볼트가이드(132)에 앞서 설명되고 도시된 걸림핀(121b)가 없으며, 홀더바디(321)에 앞서 설명되고 도시된 걸림홈부(132b)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도시되고 설명된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30)과 서로 동일하다. 16 and 17 ,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 button 300 has no locking pin 121b as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advance of the bolt guide 132 , and in front of the holder body 321 . It is the same as the push button 30 as an embodiment shown and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re is no locking groove portion 132b as described and shown.

상기 푸시버튼(300)을 조립할 경우, 너트(150)와 캡플레이트(330)의 볼트가이드(332)의 사이에 스프링(140)이 위치하는데, 이때 스프링(140)의 탄성작용에 따라 볼트가이드(332)의 하측면이 홀더바디(321)의 상측면에 접촉한다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When assembling the push button 300, the spring 140 is positioned between the nut 150 and the bolt guide 332 of the cap plate 330.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elastic action of the spring 140, the bolt guide (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33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body 321 .

상기 푸시버튼(300)을 눌러 회전시킬 경우, 홀더(320)의 홀더바디(321)가 커튼월(11:도 12와 도 15 참조)에 걸려 회전을 멈추는 기능은 앞서 설명되고 도시된 일실시예의 푸시버튼(30:도 3과 도 4 참조)과 동일하다. When rotating by pressing the push button 300, the holder body 321 of the holder 320 is caught on the curtain wall (11: see FIGS. 12 and 15) and stops the rotation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nd shown above. It is the same as the push button 30 (refer to FIGS. 3 and 4).

상기 푸시버튼(300)의 가압을 해제하고 너트(150)를 조일 경우, 앞서 도시되고 설명된 일실시예의 푸시버튼(30)의 걸림핀(121b : 도 3과 도4 참조)와 걸림홈부(132b : 도 3과 도 4 참조)가 없으나 잠금레그(133, 134)가 브라켓(20)의 비원형홀(H2 :도 15 참조)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잠금 자세를 잡을 수 있다. 다만, 볼트가이드(332)의 하측면과 홀더바디(321)가 전체적으로 접촉하고 있어 면마찰할 경우, 너트(150)를 조일때 캡플레이트(330)가 원할히 회전할 수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잠금레그(133, 134)를 비원형홀(H2 : 도 12와 도 15 참조)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한 단계의 작업 공정이 추가되므로 불리하다. 따라서, 볼트가이드(332)의 하측면이나 홀더바디(321)의 접촉면의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선접촉이나 부분 접촉하도록 그 형상을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releasing the pressure of the push button 300 and tightening the nut 150, the locking pin 121b of the push button 30 of the embodiment shown and described above (refer to FIGS. 3 and 4) and the locking groove portion 132b 3 and 4), but the locking legs 133 and 134 are caught by the non-circular hole (H2: see FIG. 15) of the bracket 20 and fixed, so that the locking posture can be obtained. However,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bolt guide 332 and the holder body 321 are in full contact with the surface friction, the cap plate 330 may not be able to rotate smoothly when the nut 150 is tightened. In this case, the operator may manually move the locking legs 133 and 134 to the non-circular hole H2 (refer to FIGS. 12 and 15 ), but it is disadvantageous because a one-step work process is added.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change the shape of the bolt guide 332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of the lower surface or the contact surface of the holder body 321 so as to make a line contact or a partial contact.

일반적으로 푸시버튼은 볼트와 너트 및 스프링을 가지고 간편 신속하게 구조용부재를 결합한다. 이러한 푸시버튼의 경우, 볼트헤드와 너트의 사이에 2개의 구조용부재(10, 20)를 배치하고 나사결합에 따른 압축력으로 결합한다. 이때, 볼트헤드 또는 너트 중의 어느 하나는 잠금요소로서 구조용부재의 비원형홀(H1, H2)을 통과시켜 잠금 위치에 위치해야 하는데, 구조용부재(10, 20)의 비원형홀(H1,H2)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용부재(10, 20)의 비원형홀(H1, H2)의 형상에 상응하여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로서 푸시버튼(30,300)에 있어, 볼트헤드(113)가 잠금요소의 일예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함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예의 경우, "티볼트(T bolt)" 형상으로 볼트헤드(113)와 볼트바디(115)가 일체화된 형상이고 전체적으로 "T" 형상이다. 그러나 볼트헤드(113)는, 잠금요소로 기능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이며, 볼트바디(115)와 일체화되지 않고 나사결합이나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클램핑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선행기술문헌의 공지기술에서 보는 바와 같이, 6각이나 플랜지 볼트(flang bolt)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선행기술문헌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너트가 잠금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예의 볼트헤드(113)가 너트로 변경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서 설명되고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로서 푸시버튼(30,300)과의 차이점은, 잠금요소(150)가 볼트헤드(113)인 반면, 그 변형 실시예로서 너트가 잠금요소로 적용될 경우, 그 배치를 달리하여 너트가 잠금요소로 기능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서로 동일하다. 다만 그 효과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볼트헤드(113)가 잠금요소로 적용될 경우, 볼트바디(115)가 너트(15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나 검수자가 시각적으로 외관 관찰하여 푸시버튼(30,300)의 체결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유익하다. In general, a push button combines a structural member simply and quickly with a bolt, a nut, and a spring. In the case of such a push button, two structural members 10 and 20 are disposed between the bolt head and the nut, and are coupled by a compressive force according to screw coupling. At this time, any one of the bolt head or the nut should pass through the non-circular holes (H1, H2) of the structural member as a locking element and be positioned in the locked position, and the non-circular holes (H1, H2) of the structural member (10, 20) Since it has to pass through, it has a narrow width and a lo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non-circular holes (H1, H2) of the structural members (10, 20). In the pushbuttons 30 and 300 as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head 113 has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an example of the locking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merely exemplary.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example, the bolt head 113 and the bolt body 115 are integrated in a "T bolt" shape, and the overall shape is "T". However, the bolt head 113 shows an example functioning as a locking element, and may be clamped by screwing or various known methods without being integrated with the bolt body 115 . On the other hand, as seen in the prior art literature, a hexagonal or flange bolt (flang bolt) may be used,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prior art literature, a nut may be used as a locking element.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bolt head 113 of the illustrated example is changed to a nut. The difference from the pushbuttons 30 and 300 as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nd shown above is that the locking element 150 is a bolt head 113, whereas, as a modified embodiment thereof, when a nut is applied as a locking element, the They are identical to each other except that the arrangement is different and the nut functions as a locking element. However, in the effect, when the bolt head 113 is applied as a locking element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olt body 115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ut 150 , an operator or inspector It is advantageous because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fastening state of the pushbuttons 30 and 300 by visually observing the appearan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과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과 연결구조체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술된 형상이나 모양이나 참조부호나 부속품이나 그 부분으로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설명에 반하여 다른 문헌을 이용하여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도 안되며,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과 연결구조체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ush button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more detail, but this should be understoo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push button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bove-described shape or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hape, reference signs, accessories, or parts thereof,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using other documents agains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rights of the push button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ttached patent. I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연결구조체 10. 찬넬
11. 커튼월 20. 브라켓
30. 300. 푸시버튼 110. 볼트
113. 볼트헤드 113a. 113b. 잠금슈
115. 볼트바디 115a. 나사부
120. 320. 홀더 121. 321. 홀더바디
121a. 볼트공 121b. 걸림핀
122. 잠금요소 수용부 122a. 잠금요소 수용홈
122b. 걸림턱 130. 330. 캡플레이트
131. 캡바디 131a. 볼트삽입홀
132. 볼트가이드 132b. 걸림홈부
133, 134. 잠금레그 135, 136. 가압레그
140. 스프링 150. 너트
150a. 나사홀 150b. 플랜지
H1. 슬롯 H2. 비원형홀
1. Connection structure 10. Channel
11. Curtain wall 20. Bracket
30. 300. Pushbutton 110. Bolt
113. Bolt head 113a. 113b. lock shoe
115. Bolt body 115a. threaded part
120. 320. Holder 121. 321. Holder Body
121a. bolt hole 121b. locking pin
122. Locking element receiving portion 122a. Locking element receiving groove
122b. Jamming jaw 130. 330. Cap plate
131. Cap body 131a. bolt insertion hole
132. Bolt guide 132b. jamming groove
133, 134. Lock leg 135, 136. Press leg
140. Spring 150. Nut
150a. screw hole 150b. flange
H1. slot H2. non-circular hall

Claims (10)

브라켓에 마련된 제1의 비원형홀과 찬넬에 마련된 제2의 비원형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의 비원형홀과 제2의 비원형홀에 볼트헤드와 너트 중의 어느 하나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바디를 통과시켜 볼트헤드와 너트와의 사이에서 브라켓과 찬넬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볼트헤드 및 너트 중의 어느 하나의 제1의 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볼트바디가 통과될 수 있도록 볼트삽입홀이 마련된 캡플레이트;
상기 볼트바디가 통과될 수 있도록 볼트공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과 찬넬의 결합시에 상기 제2의 비원형홀의 찬넬에 걸려 회전이 멈추도록 하기 위해 폭보다 길이가 긴 비원형 형상을 가진 홀더바디; 그리고
상기 홀더바디로부터 하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볼트헤드 및 너트 중의 다른 하나의 제2의 부재가 수용되는 잠금요소 수용부;를 구비하는 푸시버튼.
In a state where the first non-circular hole provided in the bracket and the second non-circular hole provided in the channel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first non-circular hole and the second non-circular hole are threaded with any one of a bolt head and a nut This is used to connect the bracket and the channel between the bolt head and the nut by passing the formed bolt body:
a cap plate disposed to face the first member of any one of the bolt head and the nut and provid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bolt body can pass;
a holder body having a non-circular sha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in order to stop the rotation by being caught in the channel of the second non-circular hole when the bracket and the channel are combined so that the bolt body can pass therethrough; and
and a locking element accommodating part disposed downwardly from the holder body and accommodating the second member of the other one of the bolt head and the n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바디는,
상기 찬넬에 부드럽게 걸려 회전이 멈출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회전제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er body,
A push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otation limiting surface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that rotation can be stopped by being gently hung on the chan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는,
상기 찬넬과 브라켓의 결합시에 제1의 비원형홀에 끼워지는 잠금레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The method of claim 1,
The cap plate is
and a locking leg fitted into the first non-circular hole when the channel and the bracket are combi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부재는,
플랜지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member is
A pushbutt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flange n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요소 수용부에는,
제2부재가 걸려 빠지지 않도록 내향하여 돌출하는 걸림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locking element receiving portion,
A push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ember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ly so as not to be caught of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는,
상기 볼트삽입홀과 볼트공에 연통하여 볼트바디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통과공이 마련되고, 상기 홀더바디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향하여 배치된 볼트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The method of claim 1,
The cap plate is
A push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municates with the bolt insertion hole and the bolt hole, a bolt through hole is provided so that the bolt body can pass, and a bolt guide arranged downward to contact the holde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부재와 캡플레이트의 사이에 탄발 지지하도록 배치된 스프링;
상기 캡플레이트 및 홀더바디 중의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홈부;
상기 캡플레이트와 홀더바디의 상대 회전에 따라 걸려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캡플레이트 및 홀더바디 중의 다른 하나에 마련된 걸림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The method of claim 1,
a spring arranged to elastically support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cap plate;
a locking groove provided in any one of the cap plate and the holder body;
The push button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pin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cap plate and the holder body in order to be caught according to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cap plate and the holder body to limit the rota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는,
상기 볼트삽입홀과 볼트공에 연통하여 볼트바디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통과공이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하향하여 배치된 볼트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ap plate is
A bolt through hole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bolt insertion hole and the bolt hole so that the bolt body can pass, and a bolt guide arranged downward to provide a receiving space for the spr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수용공간은,
상측의 폭보다 하측의 폭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ceiving space of the spring,
A push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width is narrower than the upper width.
제1의 비원형홀이 마련된 브라켓;
상기 제1의 비원형홀과 연통하도록 제2의 비원형홀이 마련된 찬넬;
상기 제1의 비원형홀과 연통하는 볼트삽입홀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캡플레이트;
상기 볼트삽입홀과 연통하는 볼트공이 마련되고, 상기 제2의 비원형홀에서 회전이 제한되도록 폭보다 길이가 긴 비원형 형상을 가진 홀더바디;
상기 볼트삽입홀, 제1의 비원형홀 및 볼트공을 통과하여 배치된 볼트바디;
상기 볼트바디에서 단면 확장된 형상이며, 상기 캡플레이트 및 찬넬 중의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볼트헤드; 그리고
상기 볼트바디와 결합되며, 상기 캡플레이트 및 찬넬 중의 다른 하나를 가압하여 상기 볼트헤드와의 사이에서 찬넬과 브라켓을 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연결구조체.
a bracket provided with a first non-circular hole;
a channel provided with a second non-circular hole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non-circular hole;
a cap plate provided with a bolt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non-circular hole and disposed to face the bracket;
a holder body provided with a bol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bolt insertion hole and having a non-circular shape longer than the width so that rotation is restricted in the second non-circular hole;
a bolt body disposed through the bolt insertion hole, the first non-circular hole, and the bolt hole;
a bolt head having a cross-section expanded from the bolt body and pressing any one of the cap plate and the channel; and
A connection structure comprising a; a nut coupled to the bolt body and coupling the channel and the bracket between the bolt head and the cap plate by pressing the other one of the cap plate and the channel.
KR1020200045995A 2020-04-16 2020-04-16 push-button assembly and channel structures using the same KR202101281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995A KR20210128155A (en) 2020-04-16 2020-04-16 push-button assembly and channel structure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995A KR20210128155A (en) 2020-04-16 2020-04-16 push-button assembly and channel structure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155A true KR20210128155A (en) 2021-10-26

Family

ID=7826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995A KR20210128155A (en) 2020-04-16 2020-04-16 push-button assembly and channel structure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815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6680A (en) * 2022-04-14 2022-07-22 常熟理工学院 Novel quick-release circular tube connecting piece structure
KR102632517B1 (en) *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Curtain Wall Truss Coupl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294A (en) 2015-11-12 2018-07-10 피셔베케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Rack mounting connection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294A (en) 2015-11-12 2018-07-10 피셔베케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Rack mounting connection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6680A (en) * 2022-04-14 2022-07-22 常熟理工学院 Novel quick-release circular tube connecting piece structure
CN114776680B (en) * 2022-04-14 2023-12-08 常熟理工学院 Novel quick-release circular tube connecting piece structure
KR102632517B1 (en) *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Curtain Wall Truss Coupl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8155A (en) push-button assembly and channel structures using the same
EP2380635B1 (en) Sprinkler mounting device
US8814107B2 (en) Fastening device, medical instrument and instrument system with such a fastening device
US5039266A (en) Divided nut
EP1793129A1 (en) Joint for removably connecting two structural furniture members abutting orthogonally against each other
JP6785798B2 (en) A device that holds components
TW201540446A (en) Coupling device for a manipulator
KR20180079294A (en) Rack mounting connection assembly
JP2008286273A (en) Connector
CN100581751C (en) Self-tightening fastening system
WO2012026154A1 (en) Member-affixing tool, member-affixing structure, and member-affixing method
JP5433119B2 (en) Arrangement body support
KR102433968B1 (en) push-button assembly and channel structures using the same
KR20210116157A (en) push-button assembly and channel structures using the same
KR101928994B1 (en) Apparatus of fixing safety rope for hanging-bolt
JPWO2003034561A1 (en) Wire connecting bracket, mounting fixture, and mounting
KR102579757B1 (en) Device for fastening structural members
CN110124265B (en) Support set capable of adjusting relative position
JP6890518B2 (en) Bolt connector
JP2532270Y2 (en) Piping fixture
CN113757232B (en) Connecting device for arc plates
JP2021001645A (en) Attachment mechanism for suspension bolt and fastener for suspension bolt
CN219547941U (en) Mounting assembly of full-bag type closestool
JP7459507B2 (en) table
KR102604956B1 (en) Block type power distribu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