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99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993A
KR20210126993A KR1020200044789A KR20200044789A KR20210126993A KR 20210126993 A KR20210126993 A KR 20210126993A KR 1020200044789 A KR1020200044789 A KR 1020200044789A KR 20200044789 A KR20200044789 A KR 20200044789A KR 20210126993 A KR20210126993 A KR 20210126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mn
terminal
cell
information
np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승리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4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6993A/ko
Priority to US17/229,115 priority patent/US11647453B2/en
Publication of KR2021012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993A/ko
Priority to US18/296,178 priority patent/US2023024754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설망 시스템에서 RRC 연결 후 사설망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단말이 NPN 셀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한 네트워크와 연관된 네트워크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TA(Tracking Area) 및 셀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셀이 허용되는 경우 선택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또는 RN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NETWORK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과 단말의 단말 초기 접속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 (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 (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information technology)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과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특히 특정한 서비스를 위한 사설망(non-public network)에 대해 단말이 접속하는 방안 및 연결 상태에서 단말이 선택한 PLMN 정보를 전달하는 효율적인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설망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와 단말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단말이 NPN 셀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네트워크와 연관된 네트워크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TA(Tracking Area) 및 셀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셀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선택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또는 RN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설망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와 단말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는 본 걔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d는 본 걔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또는 RRC 유휴 모드(RRC_IDLE)에 있는 단말이 일반적인 접속(regular access)를 통해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f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또는 RRC 유휴 모드(RRC_IDLE)에 있는 단말이 PNI-NPN (Public Network Integrated Non-Public Network)에서 CAG (Closed Access Group) 셀에 접속하여 RRC 연결을 설정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g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또는 RRC 유휴 모드(RRC_IDLE)에 있는 단말이 SNPN (Stand-alone non-public network)에서 SNPN 셀에 접속하여 RRC 연결을 설정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h는 본 개시의 상기 실시 예들에 대해 적용되는 단말이 NPN 셀에 접속하는 단말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i는 본 개시의 상기 실시 예들에 대해 적용되는 단말이 NPN 셀에 연결한 후에 선택된 PLMN을 보고하는 단말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j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k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단말이라는 용어는 핸드폰, NB-IoT 기기들, 센서들 뿐만 아니라 또 다른 무선 통신 기기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개시는 3GPP NR (5세대 이동통신 표준)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단말이라는 용어는 핸드폰, NB-IoT 기기들, 센서들 뿐만 아니라 또 다른 무선 통신 기기들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dvanced(LTE-A), LTE-Pro,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DL; DownLink)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링크(UL; UpLink)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향링크는 단말(UE; User Equipment 또는 MS; Mobile Station)이 기지국(eNode B 또는 BS; Base Station)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하고, 하향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한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구분한다.
LTE 이후의 향후 통신 시스템으로서, 즉, 5G 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 등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자유롭게 반영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요구사항을 동시에 만족하는 서비스가 지원되어야 한다. 5G 통신시스템을 위해 고려되는 서비스로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 통신(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대규모 기계형 통신(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초신뢰 저지연 통신(URLLC; Ultra Reliability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eMBB는 기존의 LTE, LTE-A 또는 LTE-Pro가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더욱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통신시스템에서 eMBB는 하나의 기지국 관점에서 하향링크에서는 20Gbps의 최대 전송 속도(peak data rate), 상향링크에서는 10Gbps의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5G 통신시스템은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증가된 단말의 실제 체감 전송 속도(User perceived data rate)를 제공해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더욱 향상된 다중 안테나 (MIMO; Multi Input Multi Output) 전송 기술을 포함하여 다양한 송수신 기술의 향상을 요구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LTE가 사용하는 2GHz 대역에서 최대 20MHz 전송대역폭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반면에 5G 통신시스템은 3~6GHz 또는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20MHz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함으로써 5G 통신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동시에, 5G 통신시스템에서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mMTC가 고려되고 있다. mMTC는 효율적으로 사물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해 셀 내에서 대규모 단말의 접속 지원,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향상된 배터리 시간, 단말의 비용 감소 등이 요구될 수 있다. 사물 인터넷은 여러 가지 센서 및 다양한 기기에 부착되어 통신 기능을 제공하므로 셀 내에서 많은 수의 단말(예를 들어, 1,000,000 단말/km2)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서비스의 특성상 건물의 지하와 같이 셀이 커버하지 못하는 음영지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5G 통신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른 서비스 대비 더욱 넓은 커버리지가 요구될 수 있다.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저가의 단말로 구성되어야 하며, 단말의 배터리를 자주 교환하기 힘들기 때문에 10~15년과 같이 매우 긴 배터리 생명시간(battery life time)이 요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RLLC의 경우, 특정한 목적(mission-critical)으로 사용되는 셀룰러 기반 무선 통신 서비스로서, 로봇(Robot) 또는 기계 장치(Machinery)에 대한 원격 제어(remote control), 산업 자동화(industrial automation), 무인 비행장치(Unmanned Aerial Vehicle), 원격 건강 제어(Remote health care), 비상 상황 알림(emergency alert) 등에 사용되는 서비스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URLLC가 제공하는 통신은 매우 낮은 저지연(초저지연) 및 매우 높은 신뢰도(초신뢰도)를 제공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는 0.5 밀리초보다 작은 무선 접속 지연시간(Air interface latency)를 만족해야 하며, 동시에 10-5 이하의 패킷 오류율(Packet Error Rate)의 요구사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위해 5G 시스템은 다른 서비스보다 작은 전송 시간 구간(TTI; Transmit Time Interval)를 제공해야 하며, 동시에 통신 링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에서 넓은 리소스를 할당해야 하는 설계사항이 요구될 수 있다.
전술한 5G 통신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세가지 서비스들, 즉 eMBB, URLLC, mMTC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서비스들이 갖는 상이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서비스 간에 서로 다른 송수신 기법 및 송수신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mMTC, URLLC, eMBB는 서로 다른 서비스 유형의 일 예일 뿐, 본 개시의 적용 대상이 되는 서비스 유형이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LTE, LTE-A, LTE Pro 또는 5G(또는 NR,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을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사설망 시스템에서 RRC 연결 후 사설망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이 하향링크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segment 해서 전달하는 방법과 이를 수신한 단말 동작에 대한 것이다.
NR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으로 공용(public network)을 통해 일반 단말들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지만, 특정 정해진 서비스를 위한 사설망(non-public network)에 대한 접속 및 해당 단말들에 대한 서비스도 지원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단말들이 해당 사설망에 접속하는 것을 제한해야 하고, 사설망 접속을 위한 단말 절차가 필요하다. 본 개시에서는 사설 망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와 단말의 구체적인 동작을 제안하고, 연결 상태에서 단말이 선택한 PLMN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구체화한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사설망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와 단말의 구체적인 절차를 통해, 일반 단말과 사설망 지원 단말이 사설망과 공공망에 접속하는 각각의 절차를 구분하고, 절차를 구체화함에 따라, 사설망에 접속하여 해당 특정 서비스를 지원받고, 일반 단말의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a-05, 1a-10, 1a-15, 1a-20)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1a-25) 및 S-GW(Serving-Gateway, 1a-3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a-35)은 eNB(1a-05~1a-20) 및 S-GW(1a-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a에서 eNB(1a-05 내지 1a-20)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될 수 있다. eNB(1a-05~1a-20)는 UE(1a-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될 수 있다. 따라서, LTE 시스템에서는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a-05 내지 1a-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복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LTE 시스템이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접속 기술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eNB(1a-05 내지 1a-20)는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이 LTE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S-GW(Serving GateWay) (1a-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a-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1a-2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복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 프로토콜은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1b-05), RLC(Radio Link Control 1b-10), MAC(Medium Access Control 1b-15) 및 PHY(Physical)(1b-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LTE 시스템에서 eNB의 무선 프로토콜은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1b-40), RLC(Radio Link Control, 1b-35), MAC(Medium Access Control, 1b-30) 및 PHY(Physical) (1b-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PDCP(1b-05, 1b-40)는 IP header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한다.
PDCP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물론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 header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순서 재정렬 기능(For split bearers in DC (only support for RLC AM): PDCP PDU routing for transmission and 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Acknowledged Mode))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at handover and, for split bearers in DC, of PDCP PDUs at PDCP data-recovery procedure, for RLC AM)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1b-10, 1b-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RL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물론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only for AM data transfer))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only for AM data transfer))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only for AM data transfer))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MAC(1b-15, 1b-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MAC(1b-15, 1b-30)은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MA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물론 MAC의 기능은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belonging to one or different logical channels into/from transport blocks (TB) delivered to/from the physical layer on transport channel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이하 PHY 계층 또는 물리 계층 라고도 함)(1b-20, 1b-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물리 계층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 (Hybrid ARQ) 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한다. 이를 HARQ ACK/NACK 정보라 한다. 업링크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나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PHY 계층(1b-20, 1b-25)은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주파수/반송파를 사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설정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반송파 집적 기술 (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칭함)이라 한다. CA 기술의 이용에 따라, 단말 (혹은 User Equipment, UE) 과 기지국 (E-UTRAN NodeB, eNB) 사이의 통신을 위해 주반송파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부차반송파를 추가로 사용하여 부차반송파의 갯수만큼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한편, LTE에서는 주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 내의 셀을 PCell (Primary Cell)이라 하며, 부차반송파를 SCell (Secondary Cell)이라 칭한다.
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과 기지국의 PDCP 계층의 상위에는 각각 RRC (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고 한다) 계층이 존재할 수 있으며, RRC 계층은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해 접속, 측정 관련 설정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New Radio Node B, 이하 NR NB, NR gNB, gNB 또는 NR 기지국)(1c-10)과 NR CN(New Radio Core Network, 혹은 NG CN: Next Generation Core Network, 1c-05)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 1c-15)은 NR NB(1c-10) 및 NR CN(1c-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c에서 NR NB(1c-10)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Evolved Node B)에 대응된다. NR NB(1c-10)는 NR UE(1c-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될 수 있다. 따라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NR NB(1c-10)가 담당할 수 있다. 하나의 NR NB(1c-10)는 통상적으로 복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NR NB(1c-10)는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NR CN (1c-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R CN(1c-0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NR CN(1c-05)이 MME(1c-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MME(1c-25)는 기존 기지국인 eNB(1c-3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d는 본 개시이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 프로토콜 NR SDAP(1d-01), NR PDCP(1d-05), NR RLC(1d-10), NR MAC(1d-15) 및 NR PHY(Physical)(1d-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NR 기지국의 무선 프로토콜은 NR SDAP(1d-45), NR PDCP(1d-40), NR RLC(1d-35), NR MAC(1d-30) 및 NR PHY(Physical)(1d-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NR SDAP(1d-01, 1d-4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기능(transfer of user plane data)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의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a QoS(Quality Of Service) flow and a DRB for both DL and UL)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 ID의 마킹 기능(marking QoS flow ID in both DL and UL packets)
- 상향 링크 SDAP PDU들에 대해서 relective QoS flow를 데이터 베어러에 맵핑시키는 기능 (reflective QoS flow to DRB mapping for the UL SDAP PDUs).
NR SDAP(1d-01, 1d-45) 계층 장치에 대해 단말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로 각 PDCP 계층 장치, 각 베어러, 또는 각 로지컬 채널 별로 SDAP 계층 장치의 헤더를 사용할 지 여부 혹은 SDAP 계층 장치의 기능을 사용할 지 여부를 설정 받을 수 있다. SDAP 헤더가 설정된 경우, 기지국 또는 단말은 SDAP 헤더의 N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NAS reflective QoS)와 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AS reflective QoS)는 단말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에 대한 맵핑 정보를 갱신 혹은 재설정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DAP 헤더는 QoS를 나타내는 QoS flow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QoS 정보는 원활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우선 순위, 스케쥴링 정보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NR PDCP (1d-05, 1d-40)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 (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NR PDCP (1d-05, 1d-40)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은 하위 계층에서 수신한 PDCP PDU들을 PDCP SN(sequence number)을 기반으로 순서대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NR PDCP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은, 재정렬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데이터를 바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PDCP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NR RLC(1d-10, 1d-3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NR RLC(1d-10, 1d-35)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은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분할되어 수신된 RLC SDU들을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을 RLC SN(sequence number) 혹은 PDCP SN(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SDU가 있을 경우, 유실된 RLC SDU 이전까지의 RLC SDU들만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타이머가 시작되기 전에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NR RLC 계층은 RLC PDU들을 수신하는 순서대로 (일련번호, Sequence number의 순서와 상관없이, 도착하는 순으로)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순서와 상관없이(Out-of sequence delivery) 전달할 수도 있으며, segment 인 경우에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거나 추후에 수신될 segment들을 수신하여 온전한 하나의 RLC PDU로 재구성한 후,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NR RLC 계층은 접합(Concatenation)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접합 기능을 NR MAC 계층에서 수행하거나 NR MAC 계층의 다중화(multiplexing) 기능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예 따르면, NR RLC 장치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와 상관없이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분할되어 수신된 RLC SDU들을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의 RLC SN 혹은 PDCP SN을 저장하고 순서를 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해두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NR MAC(1d-15, 1d-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NR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NR MAC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NR PHY 계층(1d-20, 1d-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NR PHY 계층(1d-20, 1d-25)은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NR PHY 계층의 동작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또는 RRC 유휴 모드(RRC_IDLE)에 있는 단말이 일반적인 접속(regular access)를 통해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반적인 접속은 단말(1e-01)이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기지국(1e-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normal service (for public use on a suitable cell)를 제공받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e-01)은 적합한 셀(suitable cell)에 접속하기 위해 하기 조건들을 충족할 경우 해당 셀에 일반적인 접속이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 조건 1: 셀이 선택된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또는 등록된 PLMN 또는 동일시되는 PLMN 리스트 (Equivalent PLMN list)에 속하는 PLMN의 일부인 경우 (The cell is part of either the selected PLMN or the registered PLMN or PLMN of the Equivalent PLMN list)
- 조건 2: 셀 선택 기준(Cell selection criteria)을 충족하는 셀인 경우
셀 선택 기준(Cell selection criteria)이란 하기 수학식 1을 의미할 수 있다.
[수학식 1]
Srxlev > 0 AND Squal >0
where:
Srxlev = Qrxlevmeas - (Qrxlevmin + Qrxlevminoffset) - Pcompensation - Qoffsettemp
Squal = Qqualmeas - (Qqualmin + Qqualminoffset) - Qoffsettemp
수학식 1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의 정의는 3GPP 표준 문서 “38.304: User Equipment (UE) procedures in idle mode”를 참고할 수 있으며, 파라미터들은 셀이 방송하는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SIB1, SIB2)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수학식 1이 적용되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상술한 파라미터들의 정의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 조건 3: NAS(Non-access stratum) 장치로부터 가장 최근에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서 셀이 금지되지 않고(The cell is not barred), 조건 1을 충족하는 PLMN에서 속하는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이하 TA) 중 적어도 하나가 금지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의 일부에 속하지 않는 셀인 경우(The cell is part of at least one TA that is not part of the list of “?Forbidden Tracking Areas”which belongs to a PLMN that fulfils the first bullet above)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셀이 금지되는 경우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서 'cellBarred' 지시자가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SIB1에서 “cellReservedForOperatorUse” 지시자가 “reserved”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또는 “cellReservedForOtherUse” 지시자가 “true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셀이 금지되는 경우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e를 참조하면, 단말(1e-01)은 기지국(1e-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e-05).
기지국(1e-02)은 소정의 이유로 또는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경우, 단말(1e-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1e-10).
이때,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유보 설정 정보(suspendConfig)가 포함된 경우, 단말(1e-01)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할 수 있고, 유보 설정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단말(1e-01)은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1e-15).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한 단말(1e-01)은 PLMN을 선택할 수 있다(1e-21).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1e-01)의 AS(Access Stratum) 계층은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의 요청으로 인해 또는 자율적으로 가능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을 NAS 계층 장치로 보고할 수 있다(In the UE, the AS shall report available PLMNs to the NAS on request from the NAS or automatically).
PLMN 선택 과정에서는 PLMN identity들의 리스트 중에서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특별한 PLMN이 자율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During PLMN selection, based on the list of PLMN identities in priority order, the particular PLMN may be selected either automatically or manually). PLMN identity들의 리스트에서 각 PLMN은 'PLMN identity'를 통해 식별될 수 있다 (Each PLMN in the list of PLMN identities is identified by a 'PLMN identity').
시스템 정보(SIB1)에는 주어진 셀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 identity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1e-01)은, 방송 채널을 통해 시그널링 되는 시스템 정보(SIB1)로부터 주어진 셀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 identity를 수신할 수 있다 (In the system information on the broadcast channel, the UE can receive one or more multiple 'PLMN identity' in a given cell).
NAS 계층 장치에서 수행되는 PLMN 선택 절차의 결과는 선택된 PLMN의 식별자이다(The result of the PLMN selection performed by NAS is an identifier of the selected PLMN). PLMN 선택 절차(1e-21)를 통해 NAS 계층 장치는 AS 계층 장치에게 Equivalent PLMN list를 제공할 수 있다. Equivalent PLMN list란 셀 선택, 셀 재선택, 및 핸드오버를 위해 단말이 선택된 PLMN과 equivalent로 여길 수 있는 PLMN 리스트를 의미한다 (List of PLMNs considered as equivalent by the UE for cell selection, cell reselection, and handov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NAS).
상기 PLMN 선택 절차(1e-21)는 1e-20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예로, 1e-05 단계에서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한 단말(1e-01)이 Location registration 절차를 수행한 경우 단말(1e-01)은 등록된 PLMN을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단말(1e-01)은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기 전(1e-05 단계 이전)에 PLMN을 선택하여 selected PLMN과 Equivalent PLMN list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PLMN을 선택한 경우, 단말(1e-01)은 시스템 정보를 수신/획득(1e-20)하여 셀 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1e-25). 즉, 단말(1e-01)은 적어도 하나의 MIB과 SIB1을 수신(또는 획득)하여 해당 PLMN에 대한 적합한 셀에 캠프-온 하기 위해 셀 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PLMN은 조건 1에 해당하는 PLMN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IB1에서 방송되는 CellAccessRelatedInfo 정보 요소를 통해 조건 1에 해당하는 PLMN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CellAccessRelatedInfo 정보 요소에는 plmn-IdentityList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plmn-IdentityList 정보 요소는 다음의 형태로 구성 될 수 있다.
- plmn-IdentityList에는 plmn-IdentityInfoList가 포함될 수 있다.
- plmn-IdentityInfoList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IdentityInfo로 구성될 수 있다.
- 각 PLMN-IdentityInfo에는 하나의 논리적인 cellIdentity와 이에 매핑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PLMN-Identity로 구성된 plmn-IdentityList로 구성될 수 있다.
- plmn-IdentityList 정보 요소에 포함된 PLMN 식별자는 하기의 설명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 일 예로, 표 1을 참조할 때, PLMN-IdentityInfoList는 PLMN-IdentityInfo 1와 PLMN-IdentityInfo 2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일 예로, PLMN-IdentityInfo 1 과 PLMN-IdentityInfo 2는 두 개의 PLMN-Identity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PLMN-IdentityInfo 1에 포함된 첫 번째 PLMN-Identity의 PLMN index는 “1”두 번째 PLMN-Identity의 PLMN index는 “2”가 될 수 있고, PLMN-IdentityInfo 2에 포함된 첫 번째 PLMN-Identity의 PLMN index는 “3”두 번째 PLMN-Identity의 PLMN index는 “4”가 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적합한 셀에 캠프-온 한 단말(1e-01)은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1e-30). 즉, 단말(1e-01)은 셀 재선택 파라미터가 포함된 SIB2, SIB3, SIB4, SIB5, SIB6 등에 기반하여 셀을 재선택할 수 있다.
1e-35 단계에서 단말(1e-01)은 소정의 이유로 또는 기지국(1e-02)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RRC 연결을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e-35 단계에서 단말(1e-01)이 RRC 유휴 모드에 있을 경우, 기지국(1e-02)과 RRC 연결 확립 절차(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RRC 유휴 모드에 있는 단말(1e-01)은 기지국(1e-02)과 역방향 동기를 수립하여 RRC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 message)를 기지국(1e-02)에게 전송할 수 있다(1e-40). RRC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의 식별자(ue-Identity)와 RRC 연결을 확립하고자 하는 이유(establishmentCaus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기지국(1e-02)은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 message)를 단말(1e-01)에게 전송할 수 있다(1e-45). RRC 연결 설정 메시지에는 무선 자원 설정 정보(radioBearerConfig)와 마스터 셀 그룹 설정 정보(masterCellGroup)가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단말은 메시지에 포함된 설정 정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1e-50). 그리고 단말(1e-01)은 현재 셀을 주요한 셀(Primary cell, 이하 PCell)로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한 단말(1e-01)은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 message)에는 하기 컨텐츠를 포함하여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1e-55).
- SIB1에서 방송되는 plmn-IdentityList에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 중 하나의 PLMN을 상위 계층 장치에서 선택한 PLMN(selectedPLMN-Identity)으로 설정할 수 있다(set the selectedPLMN-Identity to the PLMN selected by upper layers from the PLMN(s) included in the plmn-IdentityList in SIB1). 일 예로, 전술한 내용처럼 selectedPLMN-Identity는 PLMN-IdentityInfoList에서 첫 번째 PLMN-IdentityInfo에 있는 cellIdentity에 매핑된 plmn-IdentityList에 있는 첫 번째 PLMN-Identity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1e-35 단계에서, 단말(1e-01)이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을 경우, 단말(1e-01)은 기지국(1e-02)과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1e-01)은 기지국(1e-02)과 역방향 동기를 수립하여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 message)를 기지국(1e-02)에게 전송할 수 있다(1e-40).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1e-01)의 식별자(resumeIdentity), 연결 재개를 위한 무결성을 위한 메시지 인증 코드(resume Message Authentication Code for Integrity, 이하 resumeMAC-I), 연결을 재개하고자 하는 이유(resumeCaus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기지국(1e-02)은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 message)를 단말(1e-01)에게 전송할 수 있다(1e-45). RRC 연결 재개 메시지에는 무선 자원 설정 정보(radioBearerConfig), 마스터 셀 그룹 설정 정보(masterCellGroup), 측정 설정 정보(measConfig), full configuration을 지시하는 지시자(fullConfig), 제 2 무선 자원 설정 정보(radioBearerConfig2), sk-Counter 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단말(1e-01)은 메시지에 포함된 설정 정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1e-50). 그리고 단말(1e-01)은 현재 셀을 PCell로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한 단말(1e-01)은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 message)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1e-55).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는 만약 상위 계층 장치에서 PLMN을 제공하였다면, selectedPLMN-Identity를 SIB1에서 방송되는 plmn-IdentityList에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 중 상위 계층 장치에서 선택한 PLMN으로 설정할 수 있다(set the selectedPLMN-Identity to the PLMN selected by upper layers from the PLMN(s) included in the plmn-IdentityList in SIB1). 전술한 내용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1e-01)은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선택된 PLMN-Identity 값 자체를 포함하지 않고, 선택된 PLMN의 인덱스 값을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f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또는 RRC 유휴 모드(RRC_IDLE)에 있는 단말이 PNI-NPN(Public Network Integrated Non-Public Network)에서 CAG(Closed Access Group) 셀에 접속하여 RRC 연결을 설정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NI-NPN(Public Network Integrated Non-Public Network)은 PLMN을 통해 deploy 된 사설 네트워크(Non-Public Network 이하, NPN)을 의미할 수 있다 (PNI-NPNs are NPNs made available via PLMNs). 따라서, PLMN을 통해 형성된 NPN의 경우, 단말은 해당 PLMN에 subscription이 있어야 한다 (When an NPN is made available via a PLMN, then the UE has a subscription for the PLMN).
구체적으로, CAG(Closed Access Group)는 해당 CAG에 연관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CAG 셀에 접속하는 것이 허락되는 subscriber들의 group을 식별할 수 있다 (A CAG identifies a group of subscribers who are permitted to access one or more CAG cells associated to the CAG). 다시 말하면, CAG는 CAG cells에 접속 권한이 없는 단말이 PNI-NPN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CAG is used for PNI-NPNs to prevent UE(s), which are not allowed to access the NPN via the associated cell(s), from automatically selecting and accessing the associated cell(s). SNPN (Stand-alone Non-Public Network)
접속 모드가 아닌 단말은 하기 조건들을 충족할 경우 소정의 셀을 적합한 셀(suitable cell)로 간주할 수 있다.
- 조건 1-1: 셀은 선택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또는 등록된 PLMN 또는 동일시되는 PLMN 리스트 (Equivalent PLMN list)에 속하는 PLMN의 일부이면서 그리고 해당 PLMN에 대해서 셀에서 방송되는 CAG-ID가 단말의 Allowed CAG list (예를 들어, 단말이 접속이 허용되는 CAG Identifiers의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The cell is part of either the selected PLMN or the registered PLMN or PLMN of the Equivalent PLMN list, and for that PLMN allowed CAG list in the UE for that PLMN includes a CAG-ID broadcast by the cell for that PLMN)
- 조건 1-2: 셀은 선택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또는 등록된 PLMN 또는 동일시되는 PLMN 리스트 (Equivalent PLMN list)에 속하는 PLMN의 일부이면서 CAG-only indication이 방송되지 않거나 false로 되어 있으며 CAG-ID(s)를 방송하지 않을 경우 (The cell is part of either the selected PLMN or the registered PLMN or PLMN of the Equivalent PLMN list of the UE for which the PLMN-ID is broadcast by the cell with no associated CAG-IDs and for which CAG-only indication is absent or false)
- 조건 2: 셀 선택 기준(Cell selection criteria)를 충족하는 셀인 경우
상기 셀 선택 기준이란 하기 수학식 1을 의미한다.
<수학식 1>
Srxlev > 0 AND Squal >0
where:
Srxlev = Qrxlevmeas - (Qrxlevmin + Qrxlevminoffset) - Pcompensation - Qoffsettemp
Squal = Qqualmeas - (Qqualmin + Qqualminoffset) - Qoffsettemp
수학식 1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의 정의는 3GPP 표준 문서 “38.304: User Equipment (UE) procedures in idle mode”를 참고할 수 있으며, 파라미터들은 셀이 방송하는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SIB1, SIB2)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수학식 1이 적용되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상술한 파라미터들의 정의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 조건 3: NAS (Non-access stratum) 장치로부터 가장 최근에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서 셀이 금지되지 않고(The cell is not barred), 조건 1-1 및/또는 조건 1-2을 충족하는 PLMN에서 속하는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이하 TA) 중 적어도 하나가 금지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의 일부에 속하지 않는 셀인 경우(The cell is part of at least one TA that is not part of the list of “Tracking Areas”a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셀이 금지되는 경우는 MIB에서 'cellBarred'지시자가 “barred”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SIB1에서 Rel-16 “cellReservedForOperatorUse” 지시자가 “reserved”로 설정된 경우, Rel-16“”지시자가 “reserved”로 설정된 경우, 또는 Re-15“” 지시자가 “true”로 설정되어 있고 해당 셀에서 CAG-ID(s)를 방송하지 않을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셀이 금지되는 경우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f를 참조하면, 단말(1f-01)은 기지국(1f-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f-05).
기지국(1f-02)은 소정의 이유로 또는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경우, 단말(1f-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1f-10). 메시지에 유보 설정 정보(suspendConfig)가 포함되면 단말(1f-01)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할 수 있고, 유보 설정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단말(1f-01)은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1f-15).
SNPN access mode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한 단말(1f-01)은 CAG을 선택하거나 PLMN을 선택할 수 있다(1f-21).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PLMN을 선택하는 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CAG를 선택하는 경우, 단말(1f-01)의 NAS 계층의 요청으로 인해, 단말(1f-01)의 AS 계층은 능력에 따라 NR 밴드에서 모든 RF 채널을 스캔하여 가능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CAG를 찾을 수 있다 (In the UE on request of NAS, the AS shall scan all RF channels in the NR bands according to its capabilities to find available CAGs). 각 캐리어에서 단말(1f-01)은 적어도 가장 신호가 센 셀을 찾고, 해당 셀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읽어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과 이에 대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CAG ID를 NAS 계층 장치에게 보고할 수 있다. 만약 HRNN (Human-readable network name)이 시스템 정보에서 방송된다면 단말(1f-01)의 AS 계층은 수신한 HRNN도 함께 NAS 계층에게 보고할 수 있다 (On each carrier, the UE shall at least search for the strongest cell, read its system information and report available CAG ID(s) together with their HRNN (if broadcast) and PLMN(s) to the NAS). 상위 계층 장치에서 CAG를 선택하여 AS 계층 장치에게 이를 알려줄 수 있다(If NAS has selected a CAG and provided this selection to AS).
단말(1f-01)은 시스템 정보를 수신/획득(1f-20)하여, 셀 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1f-25). 즉, 단말(1f-01)은 적어도 하나의 MIB과 SIB1을 수신/획득하여 선택한 CAG에 속한 적합한 셀에 캠프-온 하기 위해 셀 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IB1에서 방송되는 CellAccessRelatedInfo 정보 요소를 통해 조건 1을 판단할 수 있다.
- CellAccessRelatedInfo 정보 요소에는 적어도 plmn-IdentityList, npn-IdentityInfoList 정보 요소 중 하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plmn-IdentityList 정보 요소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npn-IdentityInfoList에는 NPN 식별 정보의 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plmn-IdentityList와 npn-IdentityInfoList 정보 요소에 포함된 PLMN의 총 개수는 12개를 넘지 않게 제한이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PLMN의 개수는 다음 중 하나의 방법을 통해 제한을 할 수 있다.
- The total number of PLMNs (identified by a PLMN identity), PNI-NPNs (identified by a PLMN identity and a CAG-ID), and SNPNs (identified by a PLMN identity and a NID) together in the PLMN-IdentityInfoList and NPN-IdentityInfoList does not exceed 12
- The total number of PLMNs (identified by PLMN identity(s) itself in the plmn-IdentityInfoList and NPN-IdentityInfoList) does not exceed 12
상기 CellAccessRelatedInfo 정보 요소에 대한 ASN.1 구조는 하기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5
본 실시 예에 따른 NPN에서의 RAN sharing 구조에 따라 npn-IdentityInfoList 정보 요소는 cag-IdentityList만 포함되거나 또는 nid-List(SNPN을 정의하는 NPN identity)만 포함되거나 또는 cag-IdentityList와 nid-List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NG-RAN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NI-NPN들이 공유 하거나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NI-NPN과 plmn-IdentityList 정보에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이 공유 할 때 npn-IdentityInfoList에 cag-IdentityList만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만약 NG-RAN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NPN들이 공유 하거나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NPN과 plmn-IdentityList 정보에서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이 공유 할 때 npn-IdentityInfoList에 nid-List만 포함될 수 있다.
만약 NG-RAN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NI-NPN과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NPN들이 공유할 경우, npn-IdentityInfoList에는 cag-IdentityList와 nid-List 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일반적인 접속을 위한 plmn-IdentityList 정보에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NG-RAN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NI-NPN과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NI-NPN과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과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NPN들이 공유할 경우, plmn-IdentityList, npn-IdentityInfoList에 cag-IdentityList, nid-List 가 포함될 수 있다.
- 상술한 cag-IdentityList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CAG-Identity 로 구성될 수 있다.
-- 각 CAG-Identity를 위한 정보 요소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NI-NPN의 identity를 포함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 identity (혹은 NPN identity)로 구성된 plmn-IdentityList (npn-IdentityList로 지시될 수 있음)와 각 PLMN identity (혹은 NPN identity)에 매핑된 cag-identityList가 포함될 수 있다. 즉, CAG-Identity 정보 요소는 다음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CellIdentity 값
--- 하나 또는 복수개의 plmn 식별자가 포함된 plmn-IdentityList (npn-IdentityList). 각 plmn 식별자는 plmn-Identity 값 또는 plmn-index 값이 될 수 있다. 일례로, SIB1의 plmn-IdentityList (npn-IdentityInfoList와 다른 정보 요소)에 포함된 plmn-Identity 값을 동일하게 사용하는 경우 plmn-index 값을 포함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plmn-Identity 값 자체가 포함될 수 있다. plmn-index 값은 정수 값으로서 하기 설명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 상기 각 plmn-Identity 값 또는 plmn-index 값에 매핑된 CAG identifiers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cag-IdentityList
--- 트래킹 영역 코드(Tracking area code)
--- 랜 영역 코드를 나타내는 ranac
--- 셀이 operator use를 위해 reserved 되어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지시자 (cellReservedForOperatorUse). 해당 지시자는 CAG-Identity에 포함된 모든 plmn에게 적용될 수 있다.
--- 셀이 미래를 위해서 reserved 되어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지시자 (cellReservedForFutureUse). 해당 지시자는 CAG-IdentityInfo에 포함된 모든 plmn에게 적용될 수 있다.
적합한 셀에 캠프-온 한 단말(1f-01)은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1f-30). 즉, 단말(1f-01)은 셀 재선택 파라미터가 포함된 SIB2, SIB3, SIB4, SIB5, SIB6 등을 기반하여 셀을 재선택할 수 있다.
1f-35 단계에서 단말(1f-01)은 소정의 이유로 또는 기지국(1f-02)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RRC 연결을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f-35 단계에서 단말(1f-01)이 RRC 유휴 모드에 있을 경우, 기지국(1f-02)과 RRC 연결 확립 절차(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RRC 유휴 모드에 있는 단말(1f-01)은 기지국(1f-02)과 역방향 동기를 수립하여 RRC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 message)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1f-40). 메시지에는 단말의 식별자(ue-Identity)와 RRC 연결을 확립하고자 하는 이유(establishmentCaus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기지국(1f-02)은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 message)를 단말(1f-01)에게 전송할 수 있다(1f-45). RRC 연결 설정 메시지에는 무선 자원 설정 정보(radioBearerConfig)와 마스터 셀 그룹 설정 정보(masterCellGroup)가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단말(1f-01)은 메시지에 포함된 설정 정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1f-50). 그리고 현재 셀이 주요한 셀(Primary cell, 이하 PCell)로 간주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한 단말(1f-01)은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 message)에 하기 컨텐츠를 포함하여 기지국(1f-02)에게 전송할 수 있다(1f-55).
본 실시 예에서는 selectedPLMN-Identity가 SIB1에서 방송되는 plmn-IdentityList 또는 npn-IdentityInfoList 에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 중 상위 계층 장치에서 선택한 PLMN으로 설정(set the selectedPLMN-Identity to the PLMN selected by upper layers from the PLMN(s) included in the plmn-IdentityList or npn-IdentityInfoList in SIB1)되고, selectedPLMN-Identity가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1f-21 단계 또는 1f-25 단계 또는 1f-30 단계에서 CAG 셀을 선택(적합한 셀을 충족하는 조건, 일 예로, 조건 1-1, 조건 2, 조건 3)하거나 일반적인 접속을 위한 셀을 선택(적합한 셀을 충족하는 조건, 일 예로, 조건 1-2, 조건 2, 조건 3)한 경우에 따라 selectedPLMN-Identity를 설정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다.
- 경우 1: CAG 셀을 선택한 경우에 선택한 PLMN과 CAG ID을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 SIB1에 포함된 plmn-IdentityList와 npn-IdentityInfoList 필드들을 함께 고려하여 선택한 PLMN index가 포함될 수 있다. (Index of the PLMN selected by the UE from the plmn-IdentityList and npn-IdentityInfoList fields included in SIB1)
-- PNI-NPN은 PLMN identity (혹은 NPN identitiy) 와 CAG ID의 조합으로 식별될 수 있기 때문에, 선택한 PLMN에 대해 단말의 Allowed CAG list에 포함된 CAG ID가 NAS 메시지에 포함 (보안의 이슈로 인해)될 수 있다. 일 예로, NAS 메시지는 dedicatedNAS-Message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수납된 메시지이다.
[표 2]
Figure pat00007
- 경우 2: 일반적인 접속을 위한 셀을 선택한 경우
-- SIB1에 포함된 plmn-IdentityList 필드만 고려하여 선택한 PLMN index가 포함될 수 있다. (Index of the PLMN selected by the UE from the plmn-IdentityList included in SIB1)
만약 1f-35 단계에서, 단말(1f-01)이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을 경우, 단말(1f-01)은 기지국(1f-02)과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 (1f-01)은 기지국(1f-02)과 역방향 동기를 수립하여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 message)를 기지국(1f-02)에게 전송할 수 있다(1f-40).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의 식별자(resumeIdentity), 연결 재개를 위한 무결성을 위한 메시지 인증 코드(resume Message Authentication Code for Integrity, 이하 resumeMAC-I), 연결을 재개하고자 하는 이유(resumeCaus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기지국(1f-02)은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 message)를 단말(1f-01)에게 전송할 수 있다(1f-45). 메시지에는 무선 자원 설정 정보(radioBearerConfig), 마스터 셀 그룹 설정 정보(masterCellGroup), 측정 설정 정보(measConfig), full configuration을 지시하는 지시자(fullConfig), 제 2 무선 자원 설정 정보(radioBearerConfig2), sk-Counter 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단말(1f-01)은 메시지에 포함된 설정 정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1f-50). 그리고 현재 셀이 PCell로 간주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로 전환된 단말(1f-01)은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 message)를 기지국(1f-02)에게 전송할 수 있다(1f-55). 메시지에는 전술한 옵션에 따라 선택한 PLMN 정보 및/또는 CAG I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g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 또는 RRC 유휴 모드(RRC_IDLE)에 있는 단말이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에서 SNPN 셀에 접속하여 RRC 연결을 설정하는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은 PLMN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능에 의존하지 않고 NPN operator에 의해 운영되는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SNPN is operated by an NPN operator and not relying on network functions provided by a PLMN). 따라서, 단말이 SNPN 접속 모드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일반적인 PLMN 선택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UE is set to operate in SNPN access mode the UE does not perform normal PLMN selection procedures).
SNPN 접속 모드로 운영되는 단말은 브로드캐스팅 되는 시스템 정보로부터 가능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 ID와 가능한 NID(Network Identifier) 리스트를 수신하고, 이를 네트워크 선택 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다(UEs operating in SNPN access mode read the available PLMN IDs and list of available NIDs from the broadcast system information and take them info account during network selection).
즉, SNPN이 가능한 단말은 PLMN ID와 NID의 조합으로 식별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NPN에 대한 구독자 식별자들과 자격 증명 정보가 설정되어 SNPN 접속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An SNPN-enabled UE is configured with subscriber identifiers and credentials for one or multiple SNPNs identified by the combination of PLMN ID and NID, so can support the SNPN access mode). SNPN (Stand-alone Non-Public Network) 접속 모드로 설정된 단말(If a UE is set to operate in SNPN access mode)은 하기 조건들을 충족할 경우 적합한 셀(suitable cell)로 간주할 수 있다.
- 조건 1: 셀이 단말이 선택한 SNPN 또는 등록한 SNPN에 속하는 경우(The cell is part of either the selected SNPN or the registered SNPN of the UE)
- 조건 2: 셀 선택 기준(Cell selection criteria)를 충족하는 셀인 경우
상기 셀 선택 기준이란 하기 수학식 1을 의미할 수 있다.
[수학식 1]
Srxlev > 0 AND Squal >0
where:
Srxlev = Qrxlevmeas - (Qrxlevmin + Qrxlevminoffset) - Pcompensation - Qoffsettemp
Squal = Qqualmeas - (Qqualmin + Qqualminoffset) - Qoffsettemp
수학식 1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의 정의는 3GPP 표준 문서 “38.304: User Equipment (UE) procedures in idle mode”를 참고할 수 있으며, 파라미터들은 셀이 방송하는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SIB1, SIB2)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수학식 1이 적용되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상술한 파라미터들의 정의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 조건 3: NAS (Non-access stratum) 장치로부터 가장 최근에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서 셀이 금지되지 않고(The cell is not barred), 조건 1을 충족하는 SNPN에 대해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이하 TA) 중 적어도 하나가 금지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의 일부에 속하지 않는 셀인 경우(The cell is part of at least one TA that is not part of the list of “?Forbidden Tracking Areas”which belongs to either the selected SNPN or the registered SNPN of the UE)
--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따라, 셀이 금지되는 경우는 적어도 MIB에서 'cellBarred'지시자가 “barred”로 설정된 경우, SIB1에서 Rel-16 “cellReservedForOperatorUse” 지시자 “reserved”로 설정된 경우, 또는 Rel-16“”지시자가 “reserved”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를 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셀이 금지되는 경우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g를 참조하면, 단말(1g-01)은 기지국(1g-02)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1g-05).
기지국(1g-02)은 소정의 이유로 또는 일정 시간 동안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경우, 단말(1g-01)에게 RRC 연결 해제 메시지(RRC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1g-10). 메시지에 유보 설정 정보(suspendConfig)가 포함되면 단말(1g-01)은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할 수 있고, 유보 설정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단말(1g-01)은 RRC 유휴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1g-15).
SNPN access mode로 설정된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로 천이한 단말(1g-01)은 SNPN을 선택할 수 있다(1g-21). 일 예로, 단말(1g-01)의 NAS 계층의 요청으로 인해, 단말(1g-01)의 AS 계층은 능력에 따라 NR 밴드에서 모든 RF 채널을 스캔하여 가능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NPN를 찾을 수 있다 (In the UE on request of NAS, the AS shall scan all RF channels in the NR bands according to its capabilities to find available SNPNs).
각 캐리어에서 단말(1g-01)은 적어도 가장 신호가 센 셀을 찾고, 해당 셀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읽어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NPN 식별자를 NAS 계층 장치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일 예로, HRNN (Human-readable network name)이 시스템 정보에서 방송된다면 단말(1g-01)의 AS 계층은 수신한 HRNN도 함께 NAS 계층에게 보고할 수 있다 (On each carrier, the UE shall at least search for the strongest cell, read its system information and report SNPN identifiers together with their HRNN (if broadcast) to the NAS). 상위 계층 장치에서 SNPN를 선택하여 AS 계층 장치에게 이를 알려줄 수 있다(If NAS has selected a SNPN and provided this selection to AS).
단말(1g-01)은 시스템 정보를 수신/획득(1g-20)하여 셀 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1g-25). 즉, 단말(1g-01)은 적어도 MIB과 SIB1을 수신/획득하여 선택한 CAG에 속한 적합한 셀에 캠프-온 하기 위해 셀 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IB1에서 방송되는 CellAccessRelatedInfo 정보 요소를 통해 조건 1을 판단할 수 있다.
CellAccessRelatedInfo 정보 요소에는 적어도 plmn-IdentityList, npn-IdentityInfoList 정보 요소 중 하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plmn-IdentityList 정보 요소는 전술한 실시 예를 따를 수 있다. npn-IdentityInfoList에는 NPN 식별 정보의 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plmn-IdentityList와 npn-IdentityInfoList 정보 요소에 포함된 PLMN의 총 개수는 12개를 넘지 않게 제한이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PLMN의 개수는 다음 중 하나의 방법을 통해 제한을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상기 CellAccessRelatedInfo 정보 요소에 대한 ASN.1 구조는 하기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9
- 본 실시 예에 따른 NPN에서의 RAN sharing 구조에 따라 npn-IdentityInfoList 정보 요소는 cag-Identity와 관련된 정보만 포함되거나 또는 snpn-Identity 관련 정보만 포함되거나 또는 cag-Identity와 관련된 정보와 snpn-Identity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만약 NG-RAN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NI-NPN들이 공유 하거나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NI-NPN과 plmn-IdentityList 정보에서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이 공유 할 때 npn-IdentityInfoList에는 cag-Identity 관련 정보만 포함될 수 있다.
- 마찬가지로 만약 NG-RAN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NPN들이 공유 하거나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NPN과 plmn-IdentityList 정보에서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이 공유 할 때 npn-IdentityInfoList에 snpn-Identity 관련 정보만 포함될 수 있다.
- 만약 NG-RAN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NI-NPN과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NPN들이 공유할 경우, npn-IdentityInfoList에는 cag-Identity 관련 정보와 snpn-Identity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일반적인 접속을 위한 plmn-IdentityList 정보에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NG-RAN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NI-NPN과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NI-NPN과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과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NPN들이 공유할 경우, plmn-IdentityList, npn-IdentityInfoList에 cag-Identity 관련 정보와 snpn-Identity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상기 snpn-Identity 관련 정보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NPN-Identity 정보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 각 snpn-Identity 관련 정보 요소에는 복수 개의 SNPN identity를 포함하기 위해 복수 개의 PLMN identity와 해당 PLMN identity에 매핑된 NID 리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즉, snpn-Identity 관련 정보 요소에는 다음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CellIdentity 값
-- plmn-Identity 값 또는 plmn-index 값. 일례로, SIB1의 plmn-IdentityList에 포함된 plmn-Identity 값을 동일하게 사용하는 경우 plmn-index 값을 포함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plmn-Identity 값 자체가 포함될 수 있다. SNPN에 사용되는 plmn-identity는 일반적인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PLMN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plmn-IdentityList에 포함된 plmn-Identity 값과 동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plmn-index 값은 정수 값으로서 하기 설명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10
-- 상기 plmn-Identity 값 또는 plmn-index 값에 매핑된 NID
-- 트래킹 영역 코드(Tracking area code)
-- 랜 영역 코드를 나타내는 ranac
-- 셀이 operator use를 위해 reserved 되어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지시자 (cellReservedForOperatorUse). 해당 지시자는 plmn 별로 적용될 수 있다.
-- 셀이 미래를 위해서 reserved 되어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지시자 (cellReservedForFutureUse). 해당 지시자는 상기 plmn에게 적용될 수 있다.
적합한 셀에 캠프-온 한 단말(1g-01)은 셀 재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1g-30). 즉, 단말(1g-01)은 셀 재선택 파라미터가 포함된 SIB2, SIB3, SIB4, SIB5, SIB6 등을 기반하여 셀을 재선택할 수 있다.
1g-35 단계에서 단말(1g-01)은 소정의 이유로 또는 기지국(1g-02)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RRC 연결을 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g-35 단계에서 단말(1g-01)이 RRC 유휴 모드에 있을 경우, 기지국(1g-02)과 RRC 연결 확립 절차(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RRC 유휴 모드에 있는 단말(1g-01)은 기지국(1g-02)과 역방향 동기를 수립하여 RRC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RRCSetupRequest message)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1g-40). RRC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의 식별자(ue-Identity)와 RRC 연결을 확립하고자 하는 이유(establishmentCaus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확립 요청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상기 기지국(1g-02)은 RRC 연결 설정 메시지(RRCSetup message)를 단말(1g-01)에게 전송할 수 있다(1g-45). RRC 연결 설정 메시지에는 무선 자원 설정 정보(radioBearerConfig)와 마스터 셀 그룹 설정 정보(masterCellGroup)가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단말(1g-01)은 메시지에 포함된 설정 정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1g-50). 그리고 단말(1g-01)은 현재 셀은 주요한 셀(Primary cell, 이하 PCell)로 간주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한 단말(1g-01)은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RRCSetupComplete message)에는 하기 컨텐츠를 포함하여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1g-55).
본 실시 예에서는 selectedPLMN-Identity를 SIB1에서 방송되는 plmn-IdentityList 또는 npn-IdentityInfoList 에 포함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PLMN 중 상위 계층 장치에서 선택한 PLMN으로 설정(set the selectedPLMN-Identity to the PLMN selected by upper layers from the PLMN(s) included in the plmn-IdentityList or npn-IdentityInfoList in SIB1)하여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때, 1g-21 단계 또는 1g-25 단계 또는 1g-30 단계에서 적합한 SNPN 셀을 선택한 경우 선택한 SNPN 정보를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때 다음 옵션 중 하나의 방법을 통해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선택한 selectedPLMN-Identity를 설정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다.
- SIB1에 포함된 plmn-IdentityList와 npn-IdentityInfoList 필드들을 함께 고려하여 선택한 PLMN index를 포함 (Index of the PLMN selected by the UE from the plmn-IdentityList and npn-IdentityInfoList fields included in SIB1)
- SNPN은 PLMN identity 와 NID의 조합으로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PLMN과 NID는 일대일 매핑이기 때문에 NID를 RRC 연결 해제 메시지에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상기 방법 2 또는 방법 3이 적용될 경우, 선택한 PLMN과 이에 매핑된 (단말이 지원가능한) NID 또는 NID 리스트를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NID 또는 NID 리스트는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수납된 NAS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또는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 자체에 포함될 수 있다.
[표 3]
Figure pat00011
만약 1g-35 단계에서 단말(1g-01)이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을 경우, 단말(1g-01)은 기지국(1g-02)과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1g-01)은 기지국(1g-02)과 역방향 동기를 수립하여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RRCResumeRequest or RRCResumeRequest1 message)를 기지국(1g-02)에게 전송할 수 있다(1g-40). RC 연결 재개 요청메시지에는 단말의 식별자(resumeIdentity), 연결 재개를 위한 무결성을 위한 메시지 인증 코드(resume Message Authentication Code for Integrity, 이하 resumeMAC-I), 연결을 재개하고자 하는 이유(resumeCaus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기지국(1g-02)은 RRC 연결 재개 메시지(RRCResume message)를 단말(1g-01)에게 전송할 수 있다(1g-45). RRC 연결 재개 메시지에는 무선 자원 설정 정보(radioBearerConfig), 마스터 셀 그룹 설정 정보(masterCellGroup), 측정 설정 정보(measConfig), full configuration을 지시하는 지시자(fullConfig), 제 2 무선 자원 설정 정보(radioBearerConfig2), sk-Counter 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단말(1g-01)은 RRC 연결 재개 메시지에 포함된 설정 정보를 적용하고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1g-50). 그리고 현재 셀이 PCell로 간주될 수 있다.
그리고 RRC 연결 모드로 전환한 단말(1g-01)은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ResumeComplete message)를 기지국(1g-02)에게 전송할 수 있다(1g-55). 메시지에는 전술한 옵션에 따라 선택한 PLMN 정보 및/또는 NI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1e에서 단말의 일반적인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 도 1f에서 단말이 PNI-NPN으로의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 도 1g에서 단말이 SNPN으로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전술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셀의 타입은 하기의 표 4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표 4]
Figure pat00012
상기의 NPN 전용 셀을 위한 세팅으로, SIB1에서 하기와 같은 CellAccessRelatedInfo를 제공하고, 다음과 같이 세팅하게 된다.
- cellReservedForOtherUse를 true로 세팅
- npn-IdentityInfoList에 관련 정보 세팅
Figure pat00013
[표 5]
Figure pat00014
단말의 타입은 하기의 표 6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표 6]
Figure pat00015
시스템별로 예상되는 단말의 동작은 하기의 표 7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표 7]
Figure pat00016
*이때, CAG also 단말에 대해서는 shared cell이 일반 단말과 CAG 단말에 대한 접속을 모두 허용할 때, CAG 접속을 우선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즉, 이는 NPN 리스트에 존재하는 PLMN을 선택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The motivation of CAG also UE would be to prioritize the CAG access if the shared cell provides both normal access and CAG access (i.e select PLMN in NPN list when both lists contains selected PLMN).
전술한 셀 타입에 따른 SIB1에 포함되는 내용은 하기의 표 8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표 8]
Figure pat00017
** NPN-only Cell 에서는 PLMN-IdentityInfoList는 불필요하지만, 해당 필드가 mandatory 시그널링이므로 존재한다.
전술한 셀 타입에 따른 셀 타입 지시 방법 및 접속 제한은 하기의 표 9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표 9]
Figure pat00018
도 1h는 본 개시의 상기 실시 예들에 대해 적용되는 단말이 NPN 셀에 접속하는 단말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전술한 단말의 일반적인 접속, PNI-NPN으로의 접속, SNPN으로의 접속의 과정을 정리를 참고하며, 정확한 단말 동작을 제안한다.
1h-05 단계에서, 단말은 셀 선택/재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적어도 MIB과 SIB1을 수신 또는 획득하여 선택한 PLMN이 속한 적합한 셀에 캠프-온 하기 위해 셀 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IB1에서 방송되는 CellAccessRelatedInfo 정보 요소를 통해 이를 판단할 수 있다.
1h-10 단계에서, 단말은 SIB1에 포함된 파라미터, 특히 CellAccessRelatedInfo를 확인하고 이후 다른 셀에서 저장된 시스템 정보의 사용 여부를 판단(시스템 정보 유효성 판단)할 때 사용할 파라미터들을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단말이 SIB1에 포함된 특정 정보를 선택하여 저장하는 동작에 해당하며, SIB1에 포함된 특정 정보에는 하기의 값들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 areaScope 값: 시스템 정보가 area 단위로 유지되는지를 지시하는 지시자, 해당 값은 각 SIB 별로 하나의 값을 가지며, si-SchedulingInfo내의 SIB-TypeInfo IE내에 설정된다. 단말은 각 SIB 별로 지시되는 해당 areaScope 값을 저장한다.
- PLMN-Identity: PLMN-IdentityInfoList 내에 포함된 복수의 PLMN-identity 값들 중에서 첫 번째 PLMN-Identity를 저장한다.
- NPN-Identity: NPN-IdentityInfoList 내에 포함된 복수의 NPN-Identity 값들 중에서 첫 번째 NPN-Identity를 저장한다. (참고로, NPN-Identity는 SNPN의 경우에는 SNPN identity를 지시하고, PNI-NPN의 경우에는 PNI-NPN identity를 의미한다.)
- cellIdentity: 상기에서 선택된 PLMN-Identity 및 NPN-Identity가 포함된 PLMN-IdentityInfoList에 포함된 cellIdentity 값을 저장한다. 즉, PLMN-IdentityInfoList 내에 포함된 복수의 PLMN-identity 값들 중에서 첫 번째 PLMN-IdentityInfo 혹은 NPN-IdentityInfo에 포함된 cellIdentity 값에 해당한다.
- systemInformationAreaID: SIB1에 저장된 하나의 값으로써 해당 셀에서 방송되는 전체 SIB들에 적용된다. SI-SchedulingInfo IE 내에 직접 포함된다. 해당 값으로 설정된 셀에서 방송하는 시스템 정보는 PLMN 내에 유니크한 area ID로써, 같은 area ID를 사용하는 셀에서는 같은 시스템 정보가 적용된다.
- ValueTag: 시스템 정보가 이전에 방송된 값과 변화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파라미터로 0~31 사이의 값으로 정의된다. 해당 값도 SIB 별로 설정되며 si-SchedulingInfo 내의 SIB-TypeInfo IE에 포함되며, 단말은 이를 전부 저장한다.
[표 10]
Figure pat00019
하기의 ASN.1 코드는 본 개시에서의 필드 및 IE의 구조적 설명을 위해 추가하며, 참고할 수 있다.
Figure pat00020
1h-15 단계에서 단말은 선택한 PLMN 또는 SNPN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제 1 TAC (tracking area code), 제 1 Cell identity, 제 1 ranac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추후에 시스템 정보의 유효성 검사 및 선택된 TA와 셀, ranac(RAN Area Code)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할 때, 선택한 정보들(연관된 제 1 TAC (tracking area code), 제 1 Cell identity, 제 1 ranac)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이 단계에서 적용되는 네트워크 타입 및 단말의 종류에 따라 동작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제 1 조건: PN-only cell에 해당하며 이는 일반 단말에 대한 접속만을 허용하는 셀이다, 즉, 해당 셀의 SIB1의 cellAccessRelatedInfo에 NPN-IdentityInfoList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이다.
- 하기의 방법 1을 적용
2. 제 2 조건: Shared cell에 해당하며, 이는 일반 단말과 NPN 단말이 모두 접속할 수 있는 셀이다.
A. 제 2-1 조건: CAG-only 단말이 해당 셀에 접속하는 경우
- 하기의 방법 2을 적용
B. 제 2-2 조건: CAG-also 단말과 일반 단말이 해당 셀에 접속하는 경우
- 하기의 방법 1을 적용
C. 제 2-3 조건: NPN-only 단말이 해당 셀에 접속하는 경우
- 하기의 방법 2을 적용
3. 제 3 조건: NPN-only cell에 해당하며, 이는 NPN 단말만이 접속 가능한 셀이다. 즉, 해당 셀의 SIB1의 cellAccessRelatedInfo에 NPN-IdentityInfoList가 포함되고 cellReservedForOtherUse가 true로 설정된 경우이다.
- 하기의 방법 2을 적용
상술하였듯이 본 개시는, 네트워크 선택 조건들에 따라 단말이 선택하고 적용하는 하기 파라미터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방법 1: 해당 단말이 PLMN-IdentityInfo를 적용하고 관련 값들을 이후의 절차에서 사용. 즉, plmn-IdentityList 에 포함된 trackingAreaCode, rnaac, 그리고 cellIdentity를 제 1 TAC, 제 1 RNAAC, 제 1 cellidentity로 선택한다.
(in the remainder of the procedures use plmn-IdentityList, trackingAreaCode, rnaac and cellIdentity for the cell as received in the corresponding PLMN-IdentityInfo containing the selected PLMN;)
2. 방법 2: 해당 단말이 NPN-IdentityInfo를 적용하고 관련 값들을 이후의 절차에서 사용. 즉, npn-IdentityList 에 포함된 trackingAreaCode, rnaac, 그리고 cellIdentity를 제 1 TAC, 제 1 RNAAC, 제 1 cellidentity로 선택한다.
(in the remainder of the procedures use npn-Identity, trackingAreaCode, rnaac and cellIdentity for the cell as received in the corresponding NPN-IdentityInfo containing the selected NPN;)
1h-2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1h-15 단계)에서 선택된 제 1 TAC와 제 1 Cell Identity를 이용해서 선택된 TA 및 셀이 접속이 금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TA 업데이트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h-20 단계의 단말의 동작은 NAS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참고해서 금지된(forbiden) TA 리스트 내에 선택된 제 1 TAC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금지된(forbiden) 셀 리스트 내에 선택된 제 1 cell identity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선택된 제 1 TAC가 유효한 TA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비교해서 만약 유효한 TAC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TA 업데이트 필요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h-25 단계에서 단말은 SNPN을 선택하였거나, 단말이 PLMN을 선택하였는지에 따라, 선택된 PLMN이 npn-IdentityInfoList에 포함되는 경우, 선택된 PLMN과 associate된 HRNN(Human-Readable Network Name)을 사용자 화면에 display 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SIB으로부터 수신한 HRNN 정보를 NAS로 전달할 수 있다.
1h-25 단계에서 하기와 같은 ASN.1 코드를 통해 HRNN 정보가 NAS로 전달될 수 있으며, HRNN 정보는 npn-IdentityInfoList에 포함된 각 NPN identity에 1:1 매핑이 될 수 있다. 즉 선택된 NPN에 매핑되는 HRNN 정보를 NAS에 전달할 수 있다. 만약, n-th entry of HRNN-List가 소정의 값 (예를 들어 hx00) 혹은 소정의 크기 (1 바이트 혹은 0 바이트)이면 n-1 th HRNN과 동일한 HRNN이라는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복되는 HRNN 정보를 내려주는 것을 줄여서 시그널링 감소를 얻을 수 있다.
Figure pat00021
[표 11]
Figure pat00022
1h-30 단계에서 단말은 해당 셀에 대한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셀에 대한 시스템 정보는 상기 1h-10~1h-25 단계에서 사용된 값들에 해당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상기 절차를 만족한 제 1 Cell Identity를 제 2 Cell Identity로 저장하여 향후 다른 셀에서 저장된 시스템 정보 사용 여부 판단/유효성 확인에 사용할 수 있다.
1h-35 단계에서 단말은 저장된 제 1 Cell identity 및 제 1 TAC와 제 1 RANAC 값을 통해 TA 업데이트 및 RNA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에 따라 하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해당 동작을 판단하는 동작은 상기 1h-20 단계에서의 결과이며, 1h-35 단계는 1h-30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거나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 TA update만 필요하면 TA update 수행
- TA update와 RNA update가 모두 필요하면 TA update 수행
- RNA update만 필요하면 rna UPDATE 수행
도 1i는 본 개시의 상기 실시 예들에 대해 적용되는 단말이 NPN 셀에 연결한 후에 선택된 PLMN을 보고하는 단말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들에서 단말이 PLMN 혹은 SNPN 선택 여부와 선택된 PLMN이 NPN 리스트에 속하는지 혹은 PLMN 리스트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selectedPLMNIdentity를 RRCSetupComplete 메시지(혹은 RRCResumeComplete 메시지)에 포함하는 동작을 제안한다. NPN-only cell의 경우에는 PLMN-identityInfoList는 하나의 element만 포함하며, PLMN-identityList는 하나의 PLMN identity만 포함하고, plmn-identity, TAC, cellIdentity는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되고 RNAAC는 포함하지 않는다.
특히 본 도면 1i의 단말 동작은 상기 도면 1h의 단말 동작에 이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1i-05 단계에서 단말은 TA update 혹은 RNA update가 트리거되면, RRC 연결 관련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RRCSetupRequest 혹은 RRCResume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1i-1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단계에서 전달한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Setup 메시지 혹은 RRCResum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해당 단계에서 RRCRelease 및 RRCReject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그에 따른 단말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해당 응답 메시지로 RRCSetup 메시지 혹은 RRCResume를 수신하는 경우를 다룬다.
1i-15 단계에서는 단말은 상기 1i-10 단계에서 RRCSetup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RRCSetupComplete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기지국에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RRCSetupComplete 메시지에는 하기와 같은 파라미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 selectedPLMN-Identity: SIB1의 plmn-IdentityList 혹은 npn-IdentityInfoList에 대해 선택된 PLMN이나 SNPN의 인덱스
- registeredAMF: 단말이 등록된 AMF의 GUAMI 정보 (PLMN과 AMF 식별자 포함)
- guami-Type: GUAMI 정보가 5G-GUTI와 EPS GUTI 중 어디와 매핑되는지 나타내는 정보
- s-NSSAI-List: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련 정보
- dedicatedNAS-Message: NAS 메시지 정보를 transparent 하게 전달
- ng-5G-S-TMSI-Value: 5G-S-TMSI 정보
- 추가적인 정보: Rel-16 이후에서 추가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 지시자 및 정보
Figure pat00023
특히, 상기 단계에서는 단말이 선택한 PLMN이 PLMN 리스트, SNPN 리스트, 혹은 PMI-NPN 리스트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이 이를 구분하여 selectedPLMN-Identity에 관련 PLMN 인덱스를 세팅하고 RRCSetupComplete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작이 필요하다. 상세한 구분 및 단말 동작은 하기와 같다.
- Case 1: 상위 계층에서 SNPN을 선택한 경우 (즉, SNPN과 연관된 PLMN 인덱스가 선택된 경우), 단말은 상위 계층에서 선택한 SNPN에 대한 PLMN 값을 selectedPLMN-Identity로 세팅. 즉, npn-IdentityInfoList에 포함된 PLMN 값을 선택하여 selectedPLMN-Identity로 세팅.
- Case 2: 상위 계층에서 PLMN을 선택한 경우 (SNPN이 아닌 PLMN 리스트에서 해당 인덱스가 선택)
-- Case 2-1: 단말이 CAG 리스트로 설정되어 있고, npn-IdentityInfoList에 포함된 PLMN이 선택된 경우, 단말은 상위 계층에서 선택한 PLMN 값을 selectedPLMN-Identity로 세팅. 즉, npn-IdentityInfoList에 포함된 PLMN 값을 선택하여 selectedPLMN-Identity로 세팅.
-- Case 2-2: 단말이 CAG 리스트로 설정되지 않고, plmn-IdentityInfoList에 포함된 PLMN이 선택된 경우, 단말은 상위 계층에서 선택한 PLMN 값을 selectedPLMN-Identity로 세팅. 즉, plmn-IdentityInfoList에 포함된 PLMN 값을 선택하여 selectedPLMN-Identity로 세팅.
하기의 표는 상기에서 SNPN 단말과 SNPN이 아닌 단말이 PLMN을 선택하는 방법과 Complete 메시지에 선택된 PLMN을 세팅하여 전달하는 방법을 정리한 표이다.
[표 12]
Figure pat00024
하기의 표는 상기의 동작을 표준 문서에 포함될 수 있는 문장의 예로 정리한 것이다.
[표 13]
Figure pat00025
또한, 해당 셀이 SNPN 을 지원하는 셀, 즉 NPN-only 셀일 경우, CellAccessRelatedInfo에 plmn-IdentityList와 npn-IdentityInfoList-r16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plmn-IdentityList는 오직 하나의 element만을 가지며, plmn-IdentityList의 값은 실제 적용되는 PLMN 개수를 계산할 때 포함되지 않는다.(즉, 전체 제약 개수에서 카운트하지 않음) 이는 npn-IdentityInfoList-r16에 포함되는 SNPN에 대한 PLMN 개수가 최대 12개로 독립적으로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으로써, 하기의 두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 방법 1: CellAccessRelatedInfo 내의 plmn-IdentityList에 포함되는 PLMN-IdentityInfoList, 그리고 상기 PLMN-IdentityInfoList에 포함되는 plmn-IdentityList가 모두 하나로 제약되고, 해당 값을 전체 제약 갯수에 카운트하지 않는 방법.
- 방법 2: CellAccessRelatedInfo 내의 plmn-IdentityList에 포함되는 PLMN-IdentityInfoList는 하나로 제약되지만, PLMN-IdentityInfoList에 포함되는 plmn-IdentityList의 갯수는 제약 없이 반영하고, 대신에 시그널링되는 값 전체를 제약 갯수에서 카운트하지 않는 방법.하기의 ASN.1 코드는 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로 추가되었다.
하기의 ASN.1 코드는 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로 추가되었다.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NPN-IdentityInfoList-r16 ::= SEQUENCE (SIZE (1..maxNPN-r16)) OF NPN-IdentityInfo-r16
NPN-IdentityInfo-r16 ::= SEQUENCE {
npn-IdentityList-r16 SEQUENCE (SIZE (1..maxNPN-r16)) OF NPN-Identity-r16,
trackingAreaCode-r16 TrackingAreaCode,
ranac-r16 RAN-AreaCode OPTIONAL, -- Need R
cellIdentity-r16 CellIdentity,
cellReservedForOperatorUse-r16 ENUMERATED {reserved, notReserved},
...
}
NPN-Identity-r16 ::= CHOICE {
pni-npn-r16 SEQUENCE {
plmn-Identity-r16 PLMN-Identity,
cag-IdentityList-r16 SEQUENCE (SIZE (1..maxNPN-r16)) OF CAG-Identity-r16
},
snpn-r16 SEQUENCE {
plmn-Identity PLMN-Identity,
nid-List-r16 SEQUENCE (SIZE (1..maxNPN-r16)) OF NID-r16
}
}
CAG-Identity-r16 ::= BIT STRING (SIZE (32))
NID-r16 ::= BIT STRING (SIZE (52))
PLMN-IdentityInfoList ::= SEQUENCE (SIZE (1..maxPLMN)) OF PLMN-IdentityInfo
PLMN-IdentityInfo ::= SEQUENCE {
plmn-IdentityList SEQUENCE (SIZE (1..maxPLMN)) OF PLMN-Identity,
trackingAreaCode TrackingAreaCode OPTIONAL, -- Need R
ranac RAN-AreaCode OPTIONAL, -- Need R
cellIdentity CellIdentity,
cellReservedForOperatorUse ENUMERATED {reserved, notReserved},
...,
[[
iab-Support-r16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
}
도 1j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j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송수신부(1j-05), 제어부(1j-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j-15), 각 종 상위 계층 처리부(1j-20, 1j-25), 제어 메시지 처리부(1j-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은 도 1j에 도시된 구성보다 더 적은 구성을 포함하거나,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j-05)는 서빙 셀의 순방향 채널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역방향 채널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다수의 서빙 셀이 설정된 경우, 송수신부(1j-05)는 상기 다수의 서빙 셀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j-15)는 상위 계층 처리부(1j-20, 1j-25)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j-30)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송수신부(1j-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적절한 상위 계층 처리부(1j-20, 1j-25)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j-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메시지 처리부(1j-30)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는 RRC 메시지 및 MAC CE와 같은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고, CBR 측정값의 보고 및 자원 풀과 단말 동작에 대한 RRC 메시지 수신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상위 계층 처리부(1j-20, 1j-25)는 DRB(data radio bearer) 장치를 의미하며 서비스 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위 계층 처리부(1j-20, 1j-25)는 FTP(File Transfer Protocol)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과 같은 사용자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j-15)로 전달하거나,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j-15)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처리해서 상위 계층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j-10)는 송수신부(1j-05)를 통해 수신된 스케줄링 명령, 예를 들어 역방향 그랜트들을 확인하여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전송 자원으로 역방향 전송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1j-05)와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j-15)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단말이 복수 개의 블록들로 구성되고 각 블록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1j-15)가 수행하는 기능을 제어부(1j-1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j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은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는 제어부(1j-1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저장부는 롬 (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복수 개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k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k의 기지국 장치는 송수신부(1k-05), 제어부(1k-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k-20), 제어 메시지 처리부(1k-35), 각 종 상위 계층 처리부(1k-25, 1k-30) 및 스케줄러(1k-15)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지국은 도 1k에 도시된 구성보다 더 적은 구성을 포함하거나,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k-05)는 순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역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다수의 캐리어가 설정된 경우, 송수신부(1k-05)는 상기 다수의 캐리어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k-20)는 상위 계층 처리부(1k-25, 1k-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k-35)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송수신부(1k-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적절한 상위 계층 처리부(1k-25, 1k-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k-35), 혹은 제어부 (1k-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메시지 처리부(1k-35)는 제어부(1k-10)의 지시를 받아, 단말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생성해서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위 계층 처리부(1k-25, 1k-30)는 각 단말의 서비스 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FTP나 VoIP 등과 같은 사용자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k-20)로 전달하거나,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k-20)로부터 전달한 데이터를 처리해서 상위 계층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스케줄러(1k-15)는 단말의 버퍼 상태, 채널 상태 및 단말의 Active Time 등을 고려해서 단말에게 적절한 시점에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송수신부(1k-05)에게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처리하거나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도 1k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지국은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장부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는 제어부(1k-1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저장부는 롬 (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복수 개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단말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5G, NR 시스템을 기준으로 제시되었지만, LTE, LTE-A, LTE-A-Pro 시스템 등 다른 시스템에도 상기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단말이 NPN 셀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네트워크와 연관된 네트워크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TA(Tracking Area) 및 셀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셀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선택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TA 업데이트 또는 RNA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044789A 2020-04-13 2020-04-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26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789A KR20210126993A (ko) 2020-04-13 2020-04-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US17/229,115 US11647453B2 (en) 2020-04-13 2021-04-1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network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8/296,178 US20230247545A1 (en) 2020-04-13 2023-04-05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network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789A KR20210126993A (ko) 2020-04-13 2020-04-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993A true KR20210126993A (ko) 2021-10-21

Family

ID=7826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789A KR20210126993A (ko) 2020-04-13 2020-04-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69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5097B1 (en) Method and device for effectively performing standby mode operation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603169B1 (en) Byte alignment in octet units of status packet data unit (pdu) for rlc status reporting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5534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UE capability of terminal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WI762491B (zh) 由於蜂巢物聯網特性不相容造成的註冊拒絕
US1148389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5890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pag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002603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003517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providing access control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next-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70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apability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4386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pag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3108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ethod when terminal receives RRC reconfiguration message including configuration of secondary cell group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2289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list of cells to be measured in reselection of cell in idle mode in next-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588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re network suitable for service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343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ode coordination for auto neighbor relation
US202302475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network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2646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vehicle-to-everyt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4304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3089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0589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17755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Slice) 기반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2699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2699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초기 접속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073247A1 (en) Method for terminal to control connection to base station on basis of load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7734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설망에서 선택한 plmn의 보고 및 자동 이웃 관계를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