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828A -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of denture wear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of denture wear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828A
KR20210126828A KR1020200044181A KR20200044181A KR20210126828A KR 20210126828 A KR20210126828 A KR 20210126828A KR 1020200044181 A KR1020200044181 A KR 1020200044181A KR 20200044181 A KR20200044181 A KR 20200044181A KR 20210126828 A KR20210126828 A KR 20210126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ure
information
washing
wearer
den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1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훈섭
Original Assignee
(주)덴티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덴티로드 filed Critical (주)덴티로드
Priority to KR1020200044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6828A/en
Publication of KR20210126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8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36Cleaning devices for dental prostheses removed from the or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25Ultrason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5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chip tag or any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 e.g. RF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1Pharmaceuticals, e.g. medicaments, artificial body par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the system comprising: an information identifier which store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wash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and is provided in a denture worn by the denture wearer; a denture washing device which washes the denture; and an application which is installed in a subject terminal owned by a subject containing one or more of the denture wearer, a guardian, and a third party. The denture washing device is operated to start washing of the denture when the information identifier is recognized, displays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edical information, and the denture wash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er to the outside, and forms a database by transmitting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including a washing date and a washing time of the denture to a managing server when washing of the denture is completed. The application performs a denture wearer identifying function which displays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medical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er through the subject terminal when the information identifier is recognized, a denture washing history managing function which displays the denture wash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er through the subject terminal, and an information identifier position confirming function which confirms a position in which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er is provided in the denture.

Description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OF DENTURE WEARER}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OF DENTURE WEARER

본 발명은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정보 식별체가 매립된 틀니를 착용한 틀니 착용자에 대한 틀니 세척 및 그 이력 관리와, 틀니 착용자의 실종 등 위급 상황을 감시하는 종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and more particularly, denture washing and history management for a denture wearer wearing a denture with a predetermined information identifier embedded therein, and the disappearance of the denture wearer It relates to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denture wearers that can provide a comprehensive solution to monitor emergency situations.

일반적으로 치아나 치아주변 조직이 손상된 경우에는 인공적인 보철물을 사용하는 보철치료를 통해 치아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시켜주게 된다. 하나 이상의 치아가 부분적으로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된 치아의 상측을 덮는 크라운을 보철물로써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지만, 하나 이상의 치아가 빠져서 결손된 경우에는 주변의 치아를 기둥 삼아 다리를 놓듯이 양쪽 치아와 상실된 부분을 연결한 고정성국소의치, 즉 브릿지를 제작하여 치료하고, 결손된 치아가 많은 경우에는 틀니 또는 부분틀니(이하 '틀니'라고 한다)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틀니는 현대사회가 고령화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으로써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더욱이 틀니에 대한 정부 지원이 늘어남에 따라 그 사용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when a tooth or tissue surrounding the tooth is damaged, the function and aesthetics of the tooth are restored through prosthetic treatment using an artificial prosthesis. When one or more teeth are partially damaged, a crown that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damaged tooth is manufactured and used as a prosthesis. Connected fixed local dentures, that is, bridges, are manufactured and treated, and if there are many missing teeth, dentures or partial dentu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ntures') are used. The use of these dentures is increasing as the modern society enters a super-aging society beyond an aging society, and furthermore, as government support for dentures increases, the use of these dentures is rapidly increasing.

틀니는 자연치아가 결손되었을 경우 대체물로서 인공적으로 제조한 금속과 합성수지(레진) 재질의 의치(義屬)로서 고령의 노인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틀니를 가정에서는 세정제 등으로 간단하게 관리가 가능하지만, 노인들이 대부분인 요양병원, 보건소 등의 공기관(장소)에서 노인들의 복지를 위해 틀니를 관리해주는 시스템은 취약한 실정이다Dentures are artificially manufactured metal and synthetic resin (resin) dentures as a substitute for missing natural teeth, and are mainly used by the elderly. Although these dentures can be easily managed at home with detergents, etc., the system that manages dentures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in public institutions (places) such as nursing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enters, where most of the elderly are present, is weak.

근래 들어 요양병원을 포함한 공기관 등에 틀니 세척기가 사용되고 있긴 하지만, 이러한 틀니 세척기는 식기세척기와 같은 단순 세척 기능만이 수행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틀니를 세척하는데 일정시간이 소요되고, 요양병원 등에는 치매환자를 포함하여 대부분이 고령의 노인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틀니 분실에 대한 우려가 발생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요양병원에서 틀니를 사용하는 치매환자 등은 본인의 틀니를 최근에 언제 세척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본인, 요양보호사 또는 보호자에 의한 틀니세척관리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Recently, although denture cleaners have been used in air pipes including nursing hospitals, these denture cleaners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only a simple cleaning function such as a dishwasher to be performed, and it takes a certain time to wash the dentures, Since most of them, including dementia patients, are elderly people, there were inconveniences such as concerns about the loss of dentures. In addition, since dementia patients using dentures in nursing hospitals cannot know when their dentures have been recently wash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dentures by themselves, caregivers, or guardians.

한편, 틀니를 사용하게 되는 계층은 대부분이 고령자이고, 이러한 고령자들 중에는 치매환자,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이 있으며, 그 환자수는 서서히 증가할 수 밖에 없다.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people who use dentures are elderly people, and among these elderly people, there are dementia patients, potential dementia patients, and the general public with a hospital history, and the number of patients is inevitably increasing.

이러한 고령자들은 언제 어디서 위급상황이 발생할지 모르는데, 이러한 위급상황이 발생되어 병원응급실에 실려가게 되면 고령자의 기본적인 건강상태나 병원이력, 치과 정보 이력 등을 즉시 알 수 없기 때문에 당장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할 수 없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These elderly people do not know when and where an emergency may occur, and when such an emergency occurs and they are taken to the hospital emergency room, they cannot immediately know the basic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hospital history, dental information history, etc. This could lead to fatal consequences.

또한, 치매환자 및 잠재적 치매환자의 경우 치매의 의한 실종이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들은 대부분 고령자들이므로 신분증 또는 휴대폰 등을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적어 실종사고 등이 발생되면 우선 위치파악이 힘들 뿐 아니라, 신분을 즉각 확인하기 힘들어 대응처리가 늦어지게 되고, 이 또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dementia patients and potential dementia patients, disappearances or accidents due to dementia occur frequently. Most of them are elderly people, so they rarely carry ID cards or mobile phones. Rather,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confirm the identity, so the response process is delayed, which can also lead to fatal result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6091호(2017.03.13.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16091 (2017.03.13. Announcemen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틀니 착용자의 틀니 세척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구강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틀니 착용자가 치매 증상이 있는 고령자에 해당할 경우 야기될 수 있는 실종 등의 위급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틀니 착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oral care by systematically managing the denture washing history of the denture wearer, and the denture wearer is the elderly with dementia symptoms It is to provide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denture wearers that can secure the safety of the denture wearer by actively responding to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disappearance that may occur in the case of denture wearer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은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가 저장되어 틀니 착용자가 착용하는 틀니에 구비되는 정보 식별체; 틀니를 세척하기 위한 틀니 세척장치; 및 틀니 착용자, 그 보호자 및 제3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상자가 소지한 대상자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틀니 착용자의 위급 상황 감시 및 구강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틀니 세척장치는, 상기 정보 식별체가 인식될 경우 틀니의 세척을 개시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인식된 정보 식별체에 저장된 개인 신원 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고, 틀니의 세척이 완료될 경우 틀니의 세척일자 및 세척시각을 포함하는 틀니 세척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정보 식별체가 인식될 경우, 상기 인식된 정보 식별체에 저장된 개인 신원 정보 및 의료 정보를 상기 대상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틀니 착용자 식별 기능과, 상기 인식된 정보 식별체에 저장된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상기 대상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틀니 세척이력 관리 기능과, 상기 인식된 정보 식별체가 틀니에 구비된 위치를 파악하는 정보 식별체 위치 파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provided on the dentures worn by the denture wearer by stor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denture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dentures; And as a system for emergency monitoring and oral care of the denture wearer, including; and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ubject terminal possessed by the subject,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denture wearer, its guardian, and a third party, the denture cleaning device comprising: , operates to start washing the dentures when the information identifier is recognized, and display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er to the outside, and when the denture cleaning is complete By transmitting the denture clean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washing date and washing time of the management server to a database, the application, when the information identifier is recognized,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er A denture wearer identification function to display through the target terminal, a denture washing history management function to display the denture wash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through the target terminal, and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provided on the den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the function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정보 식별체는, 틀니의 불투명레진부 중 일부분을 밀링기로 수차례 절삭가공하여 함몰 형태의 부분삭제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부분삭제부에 상기 정보 식별체를 삽입 매립하되, 상기 정보 식별체의 상부표면이 상기 불투명레진부의 표면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하고,상기 정보 식별체의 측부와 상기 부분삭제부의 내측벽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정보 식별체가 삽입 매립된 부분삭제부에 치과용 레진 파우더와 리퀴드를 주입하여 화학반응에 의해 레진부를 형성하되, 상기 레진부에 의해 상기 정보 식별체의 상부면이 덮히도록 상기 정보 식별체와 상기 부분삭제부 사이에 침투되도록 하고, 상기 정보 식별체 상부의 상기 레진부에 상기 불투명레진부의 표면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경화되도록 하는 제3단계; 상기 레진부의 돌출부가 상기 불투명레진부의 표면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형태로 경화된 틀니를 가압기에 넣고 40 - 12O℃ 상에서 5 - 30분 동안 가압하여 상기 레진부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제4단계; 상기 가압된 레진부의 돌출부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상기 불투명레진부의 표면과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연마된 레진부의 상부표면에 광택제를 도포하여 광택층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통해 틀니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a first step of forming a recessed partial deletion part by cutting a part of the opaque resin part of the denture several times with a milling machine; Insert and embed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in the partial deletion part,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and a space between the side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and the inner wall of the partial deletion part a second step to be formed; A resin part is formed by a chemical reaction by injecting dental resin powder and liquid into the partial deletion part in which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is embedded, and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and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are covered by the resin part. a third step of penetrating between the partial deletion parts and hardening by forming a convex protrusion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in the resin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An agent that removes air bubbles inside the resin part and increases strength by putting the hardened denture into a presser in the form of a convex protrusion i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resin part is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and pressing at 40 - 120 ° C. for 5 - 30 minutes Step 4; a fifth step of grinding the protrusion of the pressurized resin part with a polishing machine so that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and the horizontal line are aligned; and a sixth step of forming a glossy layer by applying a varnish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lished resin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mbedded in the dentur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정보 식별체는, 스티커 또는 라벨 타입으로 형성되어 틀니의 불투명레진부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정보 식별체의 상부에 치과용 레진파우더와 리퀴드로 혼합된 레진으로 1.Omm - 3.Omm로 전체적으로 덮히도록 하여 레진부를 형성하되, 상기 불투명레진부의 표면보다 1.0mm - 5.0mm 돌출부를 갖는 둔턱을 형성하며, 상기 불투명레진부와의 접촉면은 라운드형의 곡선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레진부의 상부표면에 광택제를 도포하여 광택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틀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is formed in a sticker or label type,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of the denture, and is a resin mixed with dental resin powder and liquid on the upper part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The resin part is formed so as to be entirely covered with .Omm, but a barrier having a protrusion of 1.0mm - 5.0mm from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is formed, and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opaque resin part is formed in a round curve, and the res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denture through the process of forming a glossy layer by applying a varnish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레진부는 치과용 레진파우더 30 - 70부피%, 리퀴드 30 - 70부피%를 혼합하여 스팻툴라로 저어서 개어 기포가 없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bubble-free state by mixing 30 - 70 vol% of dental resin powder and 30 - 70 vol% of liquid and stirring with a spatula.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부분삭제부는 1.0 - 5.Omm 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al dele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formation of 1.0 - 5.0mm.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불투명레진부 상에서 상기 부분삭제부의 테두리에 함몰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단턱부에 상기 광택층이 형성되어 상기 불투명레진부의 표면과 상기 광택층의 표면이 수평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ecessed step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partially deleted part on the opaque resin part, and the glossy layer is formed on the recessed stepped part, so that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and the surface of the glossy layer are formed on a horizontal straight line.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틀니 세척장치는, 전방측에 개폐문이 구비되는 밀폐 구조의 케이스 형태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 바닥부에 형성되어 피세척물인 틀니를 안착 위치시키는 작업대; 틀니의 세척을 위해 틀니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본체의 내벽에 구비되는 세척수분사부; 상기 세척수분사부에 의한 세척수 분사 후 틀니의 초음파 세척 또는 저주파 세척을 위해 본체의 내벽에 구비되는 초음파/저주파 세척부; 상기 초음파/저주파 세척부에 의한 틀니의 세척 후 건조를 위해 본체의 내벽에 구비되는 건조부; 상기 개폐문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틀니에 구비된 정보 식별체를 인식하기 위한 리더부; 상기 리더부를 통해 인식된 정보 식별체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개폐문, 상기 세척수분사부, 상기 초음파/저주파 세척부, 상기 건조부, 상기 리더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작동 제어하여 틀니의 세척과 상기 정보 식별체에 저장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ture washing device includes: a body having a closed structure case type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door on the front side; a workbench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to seat dentures, which are objects to be washed; a washing water spray unit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to spray washing water toward the dentures for washing the dentures; an ultrasonic/low-frequency cleaning unit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for ultrasonic cleaning or low-frequency cleaning of dentures after the washing water spray by the washing water spraying unit; a drying unit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for drying after washing of the denture by the ultrasonic/low frequency washing unit; A reader unit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recogniz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provided on the dentur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stored in an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recognized through the reader unit 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cleaning of dentures and display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by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he washing water injection unit, the ultrasonic/low frequency washing unit, the drying unit, the reader unit, and the display unit.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작업대에는 피세척물인 틀니의 안착을 위해 그 표면 상에서 안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일측벽에는 틀니를 세척한 세척수가 본체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배수라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table has a seating groove recessed on the surface for seating of the denture, which is an object to be washed, and a drain line is provided on one wall of the seating groove so that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denture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characterized.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작업대의 안착홈에는 상기 안착홈과 이격거리를 두고 걸름망체가 고정 구비되되,상기 걸름망체에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름망체의 상부측 테두리에는 외향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외향단턱부가 상기 작업대의 테두리 상부면에 수평 밀착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ing groove of the workbench is provided with a fixed filter mesh body at a distance from the seating groo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re formed in the filter mesh body, and an outward stepped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edge of the filter mesh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ward steppe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of the work tabl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틀니 세척장치는, 상기 건조부에 의한 틀니 건조 후 틀니의 살균 처리를 위해 상기 본체의 내벽에 구비되는 초음파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ture clean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ltrasonic sterilizing unit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for sterilization of the dentures after drying the dentures by the drying uni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틀니 세척장치의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에 따른 로그인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틀니 세척장치에 의한 틀니의 세척을 개시하도록 동작하며, 틀니의 세척이 완료될 경우 틀니의 세척일자 및 세척시각을 포함하는 틀니 세척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of the denture washing device operates to start washing the dentures by the denture washing device when logi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washing of the dentures is performed When comple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washing date and washing time of the dentures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o be converted into a databas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틀니 세척장치의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관리자 로그인 정보가 입력될 경우,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of the denture wash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administrator logi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the denture wearer'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washing history information ar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틀니 세척장치는, 틀니의 세척이 완료될 경우 틀니의 세척일자 및 세척시각을 포함하는 틀니 세척정보를 상기 대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대상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틀니 세척장치로부터 수신된 틀니 세척정보를 상기 대상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된 틀니 세척정보를 상기 대상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ture washing device transmits to the subject terminal so that the subject can check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washing date and washing time of the denture when the washing of the denture is completed, and the application is the den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shing device is displayed through the target terminal, or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databased in the management server by ac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is displayed through the target terminal.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정보 식별체는, 대상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칩 또는 비콘(Beacon), 또는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hip or beacon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arget terminal, or a GPS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the current location is characterized.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상기 정보 식별체의 GPS 측위 모듈을 통한 틀니 착용자의 위치 모니터링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monitoring function of the denture wearer through the GPS positioning module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틀니 세척이력 관리 기능은, 상기 틀니 세척장치를 통한 틀니의 세척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틀니 착용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로 세척 시작 및 종료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인식된 정보 식별체가 구비된 틀니가 미리 정의된 기간 동안 세척되지 않은 경우 상기 대상자가 소지한 단말로 틀니 세척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ture washing history management function,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for the start and end of washing to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guardian of the denture wearer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when washing the dentures through the denture washing device; When the dentures equipped with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are not washed for a predefined perio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for notifying the need to wash the dentures to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subjec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틀니 착용자 식별 기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이 틀니 착용자의 안면에 근접할 경우 상기 정보 식별체에 구비된 LED 램프가 발광되도록 하여 상기 정보 식별체가 틀니에 구비된 위치가 파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ture wearer identification function is such that the LED lamp provided i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emits light when th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is close to the face of the denture wearer so that the location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provided on the denture is identified.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틀니 착용자의 위치 모니터링 기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이 틀니 착용자의 안면에 근접할 경우 상기 정보 식별체의 GPS 측위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틀니 착용자의 위치 정보가 틀니 착용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 또는 미리 정의된 기관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monitoring function of the denture wearer is, when th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is close to the face of the denture weare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obtained through the GPS positioning module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is the denture wearer's guardia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unction to be transmitted to a possessed terminal or a predefined organizatio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을 소지한 제3자가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기능과, 상기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를 제3자가 발견할 경우 현재 상황을 상기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의 보호자 또는 미리 정의된 기관으로 제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is to manage the personal identity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in the missing state so that a third party holding th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can check the personal identity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in the missing st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unction of registering in the server, and a function of reporting the current situation to the guardian of the missing denture wearer or a predefined institution when a third party discovers the missing denture wear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가 저장되어 틀니 착용자가 착용하는 틀니에 구비되는 정보 식별체와, 틀니를 세척하기 위한 틀니 세척장치와, 틀니 착용자 및 그 보호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상자가 소지한 대상자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틀니 착용자에 대한 틀니 세척 및 그 이력 관리와, 틀니 착용자의 실종 등 위급 상황을 감시하는 종합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실종 등의 위급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틀니 착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nture washing device for cleaning the denture wearer'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provided on the denture worn by the denture wearer, and dentures And, based on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target terminal possessed by the target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denture wearer and its guardian, denture washing and history management for the denture wearer, and monitoring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the disappearance of the denture wearer By providing a solu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oral care for the denture wearer and to secure the safety of the denture wearer by actively responding to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disappear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을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에서 정보 식별체가 틀니에 구비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에서 틀니 세척장치 구조 및 기능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기능을 보인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is provided on the denture in the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4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 denture cleaning device in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21 are exemplary views showing functions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in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을 보인 블록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에서 정보 식별체가 틀니에 구비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에서 틀니 세척장치 구조 및 기능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15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기능을 보인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8 are oral care and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information identifier is provided on the dentures in the system for emergency monitoring, and FIGS. 9 to 14 are denture washing in the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the denture w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device structure and function, FIGS. 15 to 21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functions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in the system for the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the denture w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은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가 저장되어 틀니 착용자가 착용하는 틀니(2)에 구비되는 정보 식별체(3)와, 틀니(2)를 세척하기 위한 틀니 세척장치(100)와, 틀니 착용자, 그 보호자 및 제3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상자가 소지한 대상자 단말(200)(예;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틀니 세척장치(100) 및 대상자 단말(200)과 통신하는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denture wearer'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so that the denture wearer wears dentures. A subject possessed by a subject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provided in (2), the denture washing device 100 for washing the dentures 2, and the denture wearer, its protector, and a third party It may include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200 (eg,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management server 300 that communicates with the denture washing apparatus 100 and the target terminal 200 .

본 실시예에서 틀니 착용자는, 이를테면 요양병원과 같은 기관에 생활하며 보호를 받으며 틀니 착용 대상이 되는 고령자, 치매환자, 잠재적 치매환자 또는 병원 이력이 있는 일반인을 의미할 수 있고, 틀니 착용자의 보호자는 틀니 착용자의 가족 또는 요양병원의 간병인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3자는 틀니 착용자의 인근에 위치한 일반 시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상자는 틀니 착용자, 보호자 및 제3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이에 따라 대상자 단말(200)은 틀니 착용자, 보호자 또는 제3자가 소지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대상자 단말(200)은 본 실시예를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로 표현될 수도 있다). 틀니 세척장치(100)는 요양병원 또는 보건소와 같은 기관에 설치되어 틀니 착용자의 틀니(2)를 세척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하며, 관리 서버(300)는 정보 식별체(3), 틀니 세척장치(100),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과 통신하여 본 실시예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해당한다.In this embodiment, the denture wearer may mean an elderly person, a dementia patient, a potential dementia patient, or a general public with a hospital history who lives in an institution such as a nursing hospital and is protected and subject to wearing dentures, and the guardian of the denture wearer is It may mean a family member of the denture wearer or a caregiver of a nursing hospital, and the third party may mean a general citizen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denture wearer. In this embodiment, the subject is defined as including one or more of a denture wearer, a protector, and a third party, and accordingly, the subject terminal 200 may mean a terminal possessed by the denture wearer, the protector or a third party (target subject) The terminal 200 may be expressed as a terminal in which applications constituting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stalled). The denture washing device 100 is installed in an institution such as a nursing hospital or a public health center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for washing the dentures 2 of the denture wearer,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is an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a denture washing device ( 100), and corresponds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provides the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service of this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구성을, ⅰ)정보 식별체(3)의 구체적인 구성과 정보 식별체(3)가 틀니(2)에 구비되는 과정, ⅱ)틀니 세척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기능, 그리고 ⅲ)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각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s provided in the denture (2), ii) the specific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denture cleaning device 100, And iii) each function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정보 식별체의 구체적인 구성과 정보 식별체가 틀니에 구비되는 과정1.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and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in the denture

먼저, 정보 식별체(3)에는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가 저장된다.First,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stores the denture wearer'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는 틀니 착용자의 성명, 혈액형,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그리고 보호자의 성명 및 전화번호 등 틀니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의료 정보는 치과 등 병원 기관에서의 진단 및 치료 등과 같은 병원 이력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의료 정보는 틀니 착용자의 노인성 질환, 당뇨, 심장질환의 유무 및 상태와 같은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후술하는 것과 같이 틀니 착용자의 위급 상황 발생 시 틀니 착용자의 상태 파악을 위해 허비되는 시간을 제거하여 틀니 착용자의 치료를 위한 골든 타임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의료 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그에 맞는 정확한 진단을 즉시 실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틀니 세척이력정보는 후술하는 틀니 세척장치(100)에 의한 최근 세척일자, 세척시각, 미리 설정된 세척주기와 같은 세척에 대한 이력 정보를 포함한다. 정보 식별체(3)에 저장된 틀니 세척이력정보는 후술하는 틀니 세척장치(100)에 의한 세척이 수행되어 완료될 때마다 대상자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와의 통신을 기반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includes information that can confirm the identity of the denture wearer, such as the denture wearer's name, blood type, phone number,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nd the name and phone number of the guardian. The medical information includes hospital history information such as diagnosis and treatment in a hospital institution such as dentistry. As a specific example, the medica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presence and condition of geriatric diseases, diabetes, and heart disease of the denture wearer, so that the time wasted for understanding the state of the denture wearer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denture wearer occurs,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has the function to ensure the golden time for treatment of the denture wearer by removing it, and to immediately check the medical information so that an accurate diagnosis can be made immediately. The denture washing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history information about washing, such as a recent washing date, a washing time, and a preset washing cycle by the denture washing apparatus 100 to be described later. The denture wash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identifier 3 may be updated based on communication with the target terminal 200 or the management server 300 whenever washing by the denture washing device 100 to be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and completed. have.

상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 식별체(3)는 소정의 통신 칩(chip) 형태로 구현되어 도 2에 도시된 S1 단계 내지 S6 단계를 통해 틀니(2)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틀니(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정보 식별체(3)가 틀니(2)에 매립되는 과정에 대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storing the above informa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chip, and the denture 2 is embedded in the denture 2 through steps S1 to S6 shown in FIG. ),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spect to the process of being embedded in the denture (2).

<제1단계(S1)><Step 1 (S1)>

먼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불투명 레진으로 완성된 틀니(2)의 불투명레진부(2_1) 중 일부분을 밀링기로 수차례 절삭가공하여 함몰 형태의 부분삭제부(2_2)를 형성한다. 참고로 도 3에서 도면부호 5는 치아를 의미한다.First, as shown in FIGS. 3 and 4 , a part of the opaque resin part 2_1 of the denture 2 made of an opaque resin is cut several times with a milling machine to form a recessed partial deletion part 2_2 . For reference, reference numeral 5 in FIG. 3 denotes a tooth.

이때, 부분삭제부(2_2)는 후술하는 고령자, 치매환자,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개인 신원 정보 및 의료 정보가 저장된 정보 식별체(3)를 매립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부분삭제부(2_2)는 불투명레진부(2_1)가 손상되지 않도록 그 상에서 1.0~5.0㎜로 함몰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부분삭제부(2_2)가 1.0㎜ 미만이면 정보 식별체(3)를 매립하는데 기술적으로 곤란하게 되며, 5.0㎜ 초과하게 되면 불투명레진부(2_1)의 파손 또는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rtial deletion unit 2_2 is formed to embed the information identifier 3 in which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of the elderly, dementia patients, potential dementia patients, and general public with hospital histor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embed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deletion portion 2_2 is formed to be recessed to a thickness of 1.0 to 5.0 mm thereon so that the opaque resin portion 2_1 is not damaged. If the partial deletion portion 2_2 is less than 1.0 mm, it will be technically difficult to embed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and if it exceeds 5.0 mm, it may cause breakage or damage to the opaque resin portion 2_1.

<제2단계(S2)><Second Step (S2)>

부분삭제부(2_2)에 정보 식별체(3)를 삽입 매립하되, 정보 식별체(3)의 상부표면이 불투명레진부(2_1)의 표면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하고, 정보 식별체(3)의 측부와 부분삭제부(2_2)의 내측벽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Insert and embed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n the partial deletion part 2_2,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2_1, and the side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A spac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partial deletion portion 2_2 and the partial deletion portion 2_2.

여기서, 정보 식별체(3)의 구현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보 식별체(3)는 후술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칩 또는 비콘(Beacon) 칩과,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위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칩(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 if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s described in detail,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s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hip or a beacon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 chip and a communication chip includ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the current location.

NFC 칩은 개인 신원 정보 및 의료 정보가 저장되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실행된) 단말을 1~30㎝ 가량 이격시켜 접근시키면 NFC 칩이 인식되어 그 저장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NFC 칩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방수성 확보를 위해 외부표면 전체를 보호층(3_1)으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NFC 칩은 종래 GPS 구조처럼 항시 전자파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의 리더부분을 접근시켰을 때에 한해 단발성으로 전자파가 발생되므로 인체에 크게 손상을 주지 않는다. 다만, 단발성의 전자파가 인체, 특히 혀나 목 부위로 이동되지 않도록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파를 차단하는 케이스(3_2)내에 매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3_2)에는 밀폐 단속 가능한 뚜껑(3_3)이 구비된다.The NFC chip store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and when the terminal o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executed) is approached by 1 to 30 cm apart, the NFC chip is recognized and the store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t this time, the NFC chip is preferably coated on the entire outer surface with the protective layer 3_1 to ensure waterproofness as shown in FIG. Electromagnetic waves are generated in a single shot only when the reader part of the installed terminal is approached, so it does not cause much damage to the human body. However, it can be used by embedding in the case 3_2 that blocks the electromagnetic waves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single-shot electromagnetic waves do not move to the human body, particularly the tongue or neck. At this time, the case (3_2) is provided with an intermittent sealing lid (3_3).

상기한 케이스(3_2)는 일측에 단말의 리더부분의 감지범위를 형성하고, 그 감지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전자파가 차단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감지범위가 형성되는 케이스(3_2)의 일측은 인체의 혀나 목 부위를 피해서 입의 개방방향이나 볼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case (3_2) forms a sensing range of the reader part of the terminal on one side, and the other part except for the sensing range is configured to block electromagnetic waves, and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case 3_2 where the sensing range is formed is the It is desirable to avoid the tongue or neck, and to form it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mouth or the direction of the cheek.

또한, 케이스(3_2)는 NFC 칩의 정보가 변경되거나 유실되는 경우, 그리고 NFC 칩 자체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대비하여, 개폐 가능한 뚜껑(3_3)을 갖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se 3_2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n openable and openable lid 3_3 in case the information of the NFC chip is changed or lost, and in case the NFC chip itself malfunctions.

한편, 비콘은 대상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규격으로, 비콘을 통해서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또는 라디오 주파수(RF) 같은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해서 대상이 얼마나 가까이에 있는지, 그리고 어디를 지나는지 파악할 수 있다. 비콘의 측위 범위는 비콘을 기준으로 약 50m 정도에 해당한다. 비콘은 주변에 감지장치가 있는 곳마다 작동하면서 전자파가 발생되므로, 전술한 NFC 칩과 같이 우선 방수성 확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같이 외부표면 전체를 보호층(3_1)으로 코팅할 필요가 있으며, NFC 칩에서와 같은 형태의 전자파 차단이 가능한 케이스 내에 매립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 beacon i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target, and it use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infrared or radio frequency (RF) through the beacon to determine how close the target is and where it passes. can figure out The positioning range of the beacon corresponds to about 50m based on the beacon. Since the beacon generates electromagnetic waves while operating wherever there is a nearby sensing device, it is necessary to first coat the entire outer surface with a protective layer 3_1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be embedded in a case capable of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of the same type as in the NFC chip.

그리고 NFC 칩, 비콘 칩 등의 RFID와 함께 현재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GPS 측위 모듈이 함께 정보 식별체(3)에 매립되어 사용된다.In addition, a GPS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the current location together with RFID such as an NFC chip and a beacon chip is embedded i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and used.

한편, 정보 식별체(3)는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 및 의료 정보가 저장된 식별 시트(스티커 또는 라벨 타입)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식별 시트는 본 출원인의 공개특허 제10-2015-0071699호에서와 같이 하부로는 점착시트, 상부로는 코팅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식별시트에는 도 7의 (a)에서와 같이 고령자 또는 치매환자 등의 개인 신원 정보 및 의료 정보가 직접 기재되거나, 도 7의 (b)에서와 같이 개인 신원 정보 및 의료 정보가 반영된 QR 코드로 마련되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을 통해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의 실종이나 사고발생 시 발견자 누구나 즉각 신분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시트는 틀니(2)에 부착되어 인체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침액이나 세정액 등에 접촉되므로 인체 무해한 의학용 재질 및 방수성 재질로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다. 이의 구현방법으로 틀니(2)에 두께가 0.1mm~2.5mm인 NFC 칩, 비콘 등의 RFID와 위치 추적이 가능한 GPS 등의 정보 식별체(3)가 점착력이 있는 스티커 또는 라벨 type으로 형성되게 하며, 완성된 틀니(2)의 불투명레진부(2_1)의 표면에 부착토록 한다. 이때 불투명레진부(2_1)의 표면에 부착된 정보 식별체(3)는 치과용 레진파우더와 리퀴드로 혼합된 레진으로 1.0mm~3.0mm로 상부 측면등 전체적으로 덮이도록 하며 불투명레진부(2_1)의 표면보다 1.0mm~5.0mm 돌출부를 갖는 둔턱을 형성하며 불투명레진부(2_1)와의 접촉면은 라운드형의 곡선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3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dentification sheet (sticker or label type) in which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are stored. The identification shee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dhesive sheet on the lower side and a coating sheet on the upper side as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71699 of the present applicant, and the identification sheet includes the elderly or dementia as shown in (a) of FIG. By directly writ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of patients, or by providing a QR code reflect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as shown in FIG. Of course, when a potential dementia patient goes missing or an accident occurs, anyone who finds it can immediately check the identity. Since this identification sheet is attached to the denture (2) and used for the human body, it is in contact with immersion liquid or cleaning liquid, so it is preferable to form it with a medical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a waterproof material. As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is, an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such as an NFC chip with a thickness of 0.1mm to 2.5mm and a GPS capable of tracking a location and RFID such as a beacon on the denture 2 is formed as a sticker or label type with adhesive force. , to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2_1) of the completed denture (2).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2_1 is a resin mixed with dental resin powder and liquid, 1.0mm to 3.0mm, so as to cover the entire upper side, etc. of the opaque resin part 2_1. A barrier having a protrusion of 1.0 mm to 5.0 mm from the surface is formed, and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opaque resin part 2_1 may be formed in a round curve.

<제3단계(S3)><Third step (S3)>

정보 식별체(3)가 삽입 매립된 부분삭제부(2_2)에 치과용 레진파우더와 리퀴드를 주입하여 화학반응에 의해 레진부(2_3)를 형성하되, 레진부(2_3)에 의해 정보 식별체(3)의 상부면이 덮히도록 정보 식별체(3)와 부분삭제부(2_2) 사이에 침투되도록 하고, 정보 식별체(3) 상부의 레진부(2_3)에 불투명레진부(2_1)의 표면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부(2_4)가 형성되어 경화되도록 한다.Dental resin powder and liquid are injected into the partial deletion part 2_2 in which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s inserted and embedded, and the resin part 2_3 is formed by a chemical reaction, but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2_3) is formed by the resin part 2_3. 3) to penetrate betwee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and the partial deletion part 2_2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and to the resin part 2_3 on the upper part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than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2_1. A highly convex protrusion 2_4 is formed and hardened.

상기 치과용 레진파우더 및 리퀴드는 치의학 분야에서 레진부(2_3)를 형성, 제작하기 위한 통상의 재료로서, 치과용 레진파우더는 주로 Polymethylmethacrylate가 사용되고, 리퀴드는 Methyl methacrylate monomer가 사용된다.The dental resin powder and liquid are common materials for forming and manufacturing the resin part 2_3 in the field of dentistry. Polymethylmethacrylate is mainly used for dental resin powder, and methyl methacrylate monomer is used for the liquid.

상기 마련된 치과용 레진파우더 30~70부피%, 리퀴드 30~70부피%를 혼합하여 스팻툴라(spatula)로 기포가 없어질 때까지 충분히 저어서 개어 기포가 없는 상태로 레진부(2_3)를 형성한다. 이때, 스팻툴라(spatula)는 나이프 모양의 얇은 주걱을 말한다. 그리고, 레진부(2_3)는 치과용 레진파우더와 리퀴드를 혼합하여 반죽 상태로 만드는 과정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레진이 형성된 후 경화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반죽 및 경화 성질을 고려하여 치과용 레진파우더 30~70부피%, 리퀴드 30~70부피%로 혼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ix 30 to 70 vol% of the dental resin powder and 30 to 70 vol% of the liquid prepared above and stir with a spatula until the bubbles disappear to form the resin part 2_3 in a bubble-free state. . At this time, spatula refers to a thin knife-shaped spatula. And, the resin part (2_3) is hardened after the resin is formed by causing a chemical reaction in the process of mixing dental resin powder and liquid to make a dough. It is preferable to mix in volume %, 30-70 volume % of liquid.

레진부(2_3)의 형성 시, 치과용 레진파우더 상에 리퀴드를 뿌리면서 형성되게 할 수 있으나, 이러한 과정으로 형성된 레진부(2_3)는 그 상에 기포가 잔재할 뿐 아니라, 밀도가 낮아 후술되는 불투명레진부(2_1)의 내부에서 유동의 우려가 있어 안정적인 정보 식별체(3)의 고정이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When the resin part 2_3 is formed, it can be formed by spraying liquid on the dental resin powder, but the resin part 2_3 formed by this process not only has bubbles remaining thereon, but also has a low densit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re is a risk of flow inside the opaque resin part 2_1 , there is a risk that the stabl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may not be fixed.

이러한 우려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치과용 레진파우더와 리퀴드를 혼합(mixing)하여 스팻툴라(spatula)로 기포가 없어질 때까지 충분히 저어서 개어 기포가 없는 상태로 레진부(2_3)를 형성토록 하였으며, 또한 이는 레진부(2_3)의 투명성을 더욱 높이기 위함이다.In order to overcome this concern, in the present invention, dental resin powder and liquid are mixed and stirred with a spatula until the bubbles disappear to form the resin part 2_3 without bubbles. In addition, this is to further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the resin part 2_3.

상기한 치과용 레진파우더 및 리퀴드를 순서에 상관 없이 정보 식별체(3)가 삽입 매립된 부분삭제부(2_2) 내에 주입하게 되면 두 성분의 화학반응에 의해 레진부(2_3)가 형성되고, 이 과정에서 리퀴드는 액상으로서 부분삭제부(2_2)와 정보 식별체(3) 사이가 빈틈없이 채워지게 된다.When the above-mentioned dental resin powder and liquid are injected into the partial deletion part 2_2 in which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s inserted and embedded regardless of the order, the resin part 2_3 is formed by the chemical reaction of the two components, and this In the process, the liquid is completely filled between the partial deletion part 2_2 and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as a liquid.

이때, 다음 공정을 위해 레진부(2_3)가 불투명레진부(2_1)의 표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볼록한 돌출 형태로 경화되도록 해야 한다.At this time, for the next process, the resin part 2_3 should be cured in a convex protrusion form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2_1 .

<제4단계(S4)><Step 4 (S4)>

레진부(2_3)의 돌출부(2_4)가 불투명레진부(2_1)의 표면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형태로 경화된 틀니(2)를 가압기에 넣고 40~120℃ 상에서 5~30분 동안 가압하여 레진부(2_3) 내부의 기포(2_5)를 제거하고, 강도를 증가시킨다.Put the cured denture (2) into a presser in which the protrusion (2_4) of the resin part (2_3) is convex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2_1), and pressurize at 40 to 120 ° C for 5 to 30 minutes to press the resin part ( 2_3) Remove the internal air bubbles (2_5) and increase the strength.

상기 가압기는 통상의 가압매몰기 또는 압력기, 압력밥솥 등으로 사용 가능하며, 상술된 바와 같이 레진부(2_3)의 강도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치과용 레진파우더와 리퀴드의 화학반응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2_5)를 제거하기 위해 실시된다.The pressurizer can be used as a general pressurized burial machine, pressure machine, pressure cooker, etc., as well as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resin part 2_3 as described above, and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hemical reaction between dental resin powder and liquid. It is carried out to remove the bubble (2_5).

<제5단계(S5)><Step 5 (S5)>

상기 가압된 레진부(2_3)의 돌출부(2_4)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불투명레진부(2_1)의 표면과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한다.The protrusion 2_4 of the pressurized resin part 2_3 is polished with a grinder so that it coincides with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2_1 on a horizontal line.

이 과정을 통해 불투명레진부(2_1)의 표면과 수평선상 일치되면서도 불투명레진부(2_1)의 표면에 돌출부분 없이 매끈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불투명레진부(2_1)의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미각적 불순한 느낌이 들지 않도록 한다.Through this process,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unit 2_1 and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unit 2_1 are aligned on a horizontal line, and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unit 2_1 is smoothly formed without protruding parts so as not to damage the appearance of the opaque resin unit 2_1 and also to the user. Avoid the feeling of taste impurity.

<제6단계(S6)><Sixth step (S6)>

상기 연마된 레진부(2_3)의 상부표면에 광택제를 도포하여 광택층(2_6)을 형성한다. 광택층(2_6)의 통상의 광택 기능을 갖는 성분의 것이 사용된다.A gloss layer 2_6 is formed by applying a gloss ag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lished resin part 2_3. A component having a normal gloss function of the gloss layer 2_6 is used.

제6단계(S6)를 수행 시, 도 8에서와 같이 불투명레진부(2_1) 상에서 부분삭제부(2_2)의 테두리에 함몰단턱부(2_7)를 형성하고, 그 함몰단턱부(2_7)에 광택층(2_6)을 형성하여 불투명레진부(2_1)의 표면과 광택층(2_6)의 표면이 수평 일직선상에 형성되도록 하면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When performing the sixth step (S6), as shown in FIG. 8 , a recessed step portion 2_7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partial deletion portion 2_2 on the opaque resin portion 2_1, and the recessed step portion 2_7 is polished. When the layer 2_6 is form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2_1 and the surface of the glossy layer 2_6 are formed in a horizontal straight line, the appearance can be managed more beautifully.

상기와 같이 제1단계(S1) 내지 제6단계(S6)를 거쳐 정보 식별체(3)의 틀니 매립방법을 통해, 틀니(2)를 착용하는 고령자 및 치매환자는 물론 잠재적 치매환자, 병원이력이 있는 일반인 등의 위급상황 발생 시 틀니 착용자의 의료 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실종사고발생 시 위치 및 개인 신원 정보를 즉각 확인할 수 있는 정보 식별체(3)를 틀니(2)의 불투명레진 부위에 선명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매립 부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denture embedding method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through the first step (S1) to the sixth step (S6), as well as the elderly and dementia patients wearing the dentures 2, as well as potential dementia patients, hospital histor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general public with dentures,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heck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and in the event of a disappearance accident, the information identifier (3) that can immediately confirm the location and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laced on the opaque resin part of the denture (2). It can be clearly and stably embedded and attached to the

2. 틀니 세척장치의 구체적인 구조 및 기능2. Specific structure and function of denture cleaning device

도 9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틀니 세척장치(100)는 본체(10), 작업대(40), 세척수분사부(65), 초음파/저주파 세척부(63), 건조부(67), 리더부(81) 및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한다.9 to 14 , the denture cleaning apparatus 100 includes a main body 10, a workbench 40, a washing water spray unit 65, an ultrasonic/low frequency washing unit 63, a drying unit 67, and a leader unit. 81 and a display unit 50 .

본체(10)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방측에 개폐문(20)이 구비되는 밀폐 구조의 케이스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The main body 10 is provided to have a case form of a closed structure in which an opening and closing door 2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as shown in FIG. 9 .

개폐문(20)은 개폐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개폐문(20) 상에는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손잡이(2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문(20)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하 슬라이딩 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opening/closing door 20 may be configured to have various structure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a handle 21 may be provided on the opening/closing door 20 in a protruding form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that slides up and down as shown in FIG. 10 .

본체(10)의 수용공간 내 바닥부(11)에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세척물인 틀니(2)를 안착 위치시키는 작업대(40)가 구비된다. 이때, 틀니 세척장치(100)는 정보 식별체(3)가 매립된 틀니(2)를 세척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보 식별체(3)가 매립되지 않은 일반 틀니를 세척하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on the bottom 11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10 , a workbench 40 for seating the dentures 2 , which is an object to be washed,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denture cleaning device 100 is based on a function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as a configuration for washing the embedded dentures 2,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s not embedded. It can also be used for cleaning general dentures.

작업대(40)는 틀니(2)를 안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상의 받침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세척물인 틀니(2)의 안착을 위해 작업대(40)의 표면 상에서 안착홈(41)이 함몰 형성되며, 안착홈(41)의 일측벽에는 틀니(2)를 세척한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본체(10)의 외부와 연결되는 배수라인(79)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ork table 40 is a configuration for seating the dentures 2,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normal support plate as shown in FIG. 11, and 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 the dentures 2 ), a seating groove 41 is recessed on the surface of the work table 40 for seating, and a side wall of the seating groove 41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so that the washing water washing the dentures 2 is drained. The drain line 79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이때, 작업대(40)의 안착홈(41)에는 안착홈(41)과 이격거리를 두고 걸름망체(70)가 고정 구비되어지되, 걸름망체(70)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다수의 관통공(72)이 형성되고, 걸름망체(70)의 상부측 테두리에는 외향단턱부(74)가 형성되어 외향단턱부(74)가 작업대(40)의 테두리상부면(43)에 수평 밀착지지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eating groove 41 of the work table 40 is provided with a fixed filter mesh body 70 at a distance from the seating groove 41, and the filter mesh body 70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72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 is formed, and an outward stepped portion 74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geolmangche 70 , so that the outward stepped portion 74 is horizontally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im upper surface 43 of the workbench 40 .

작업대(40)는 받침대 형상뿐만 아니라, 틀니(2)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물 형태이면 가능하며, 도 10에서는 한 개의 틀니(2)를 세척하도록 도시되었으나, 요양병원 등의 공공기관에서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 가능하도록, 즉 다수개의 틀니(2)를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work table 40 is not only in the shape of a pedestal, but also in the form of a fixture capable of fixing the dentures 2, and although shown to wash one denture 2 in FIG. To be usable, that is, it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that can wash a plurality of dentures (2) at the same time.

한편, 틀니(2)의 세척을 위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틀니(2)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본체(10)의 내벽에 세척수분사부(65)가 구비된다. 이때, 세척수분사부(65)는 틀니(2)를 향해 정확한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본체(10)의 바닥부(11) 중심측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른 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본체(10)의 천정에 설치된 브라켓 상의 힌지(66)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 for washing the dentures 2, a washing water spraying part 65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10 to spray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dentures 2 . At this time, the washing water spray unit 65 is positioned to face the center side of the bottom 11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sprayed in the correct direction toward the denture 2, but the main body 10 can be adjusted in the direction as needed. ) may be connected to the hinge 66 on the bracket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configured to rotate.

세척수분사부(65)에 의한 세척수 분사 후 틀니(2)의 초음파 세척 또는 저주파 세척을 위해 본체(10)의 내벽에 초음파/저주파 세척부(63)가 구비된다. 이때, 초음파/저주파 세척부(63)는 초음파 또는 저주파를 발생시켜 틀니(2)의 표면을 세척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세척수단,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세척수단, 또는 초음파와 저주파를 모두 발생시키는 세척수단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초음파/저주파 세척부는 높은 진동수와 낮은 진동수를 번갈아가며 생성토록 하여 즉, 진폭의 변화를 계속적으로 유지토록 함으로써 그 변화되는 진폭에 의해 틀니(2)의 표면 이물질 제거 및 세척이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세척시간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발생된다.An ultrasonic/low-frequency cleaning unit 63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10 for ultrasonic cleaning or low-frequency cleaning of the denture 2 after the washing water spray by the washing water spraying unit 65 . At this time, the ultrasonic / low frequency cleaning unit 63 is a means for cleaning the surface of the denture 2 by generating an ultrasonic wave or a low frequency, and a washing means for generating an ultrasonic wave, a washing means for generating a low frequency, or both ultrasonic and low frequency It is meant to include washing means that generate. The ultrasonic / low frequency cleaning unit alternately generates a high frequency and a low frequency, that is, continuously maintains the change in amplitude, so that the surface foreign material removal and cleaning of the denture 2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by the changed amplitude. .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such as reducing the cleaning time due to this.

그리고, 초음파/저주파 세척부(63)에 의한 틀니(2)의 세척 후 건조를 위해 본체(10)의 내벽에는 건조부(67)가 구비된다. 이때, 건조부(67)는 발열히터 및 송풍휀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토록 한다.In addition, a drying unit 67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0 for drying after washing of the denture 2 by the ultrasonic / low frequency cleaning unit 63 . At this time, the drying unit 67 is provided with a heating heater and a blower fan so that it can be selectively used.

또한, 건조부(67)의 틀니(2) 건조 후 틀니(2)의 살균처리를 위해 본체(10)의 내벽에 초음파살균부(64)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an ultrasonic sterilization unit 64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0 for sterilization of the dentures 2 after drying the dentures 2 of the drying unit 67 .

한편, 틀니(2)에 매립된 정보 식별체(3)를 인식하기 위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문(20)의 외측면에 리더부(81)가 구비되고, 또한 리더부(81)를 통해 인식된 정보 식별체(3)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5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embedded in the denture 2, a reader part 8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0 as shown in FIGS. 9 and 10, and also the reader part ( A display unit 50 for display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recognized through 81 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is provided.

그리고, 개폐문(20), 세척수분사부(65), 초음파/저주파 세척부(63), 초음파살균부(64), 건조부(67), 리더부(81) 및 디스플레이부(50)를 작동 제어하여 틀니(2)의 세척과 정보 식별체(3)에 저장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다.In addition, operation control of the opening/closing door 20, the washing water spray unit 65, the ultrasonic / low frequency washing unit 63, the ultrasonic sterilization unit 64, the drying unit 67, the reader unit 81 and the display unit 50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ashing of the denture (2) and the display of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s provided.

디스플레이부(5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고부(51, 52), 일반틀니 로그인부(53) 및 틀니정보표시부(54) 등 다양한 정보 및 광고 등이 표시되며, 통상의 터치 스크린 구조로 구성하여 사용 편리성이 증대되도록 구현하였다.The display unit 50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s such as the advertisement units 51 and 52, the general denture log-in unit 53 and the denture information display unit 54 as shown in FIGS. 13 and 14. It is implemented in a touch screen structure to increase usability.

본 실시예의 틀니 세척장치(100)를 사용하는 일실시예로서, 먼저 정보 식별체(3)가 구비된 틀니(2)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리더부(81)에 정보 식별체(3)가 태깅되어 인식되면 컨트롤러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현재 인식된 정보 식별체(3)에 저장된 개인 신원 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고, 틀니(2)의 세척이 완료될 경우 틀니의 세척일자 및 세척시각을 포함하는 틀니 세척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한다(틀니 세척정보는 현재 틀니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 시점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한 틀니 세척이력정보의 일부를 구성한다). 나아가, 컨트롤러는 틀니(2)의 세척이 완료될 경우 틀니 세척일자 및 세척시각을 포함하는 틀니 세척정보를 대상자(즉, 틀니 착용자 또는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대상자 단말(200)(즉, 틀니 착용자 또는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하며, 이에 따라 대상자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대상자의 조작에 따라, 틀니 세척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틀니 세척정보를 대상자 단말(20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관리 서버(300)에 데이터베이스화된 틀니 세척정보를 대상자 단말(200)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As an embodiment of using the denture washing apparatus 100 of this embodiment, first, if you want to wash the dentures 2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n the reader unit 81 is When tagged and recognized, the controller displays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wash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currently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unit 50 as shown in FIG. 13, and the denture ( When the washing of 2) is completed,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washing date and washing time of the dentures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o be converted into a databas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washing time at which the denture is currently washed) As such, it constitutes a part of the above-mentioned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Furthermore, the controller is the subject terminal 200 (i.e., the denture wearer) so that the subject (ie, the denture wearer or guardian) can check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denture washing date and the washing time when the washing of the dentures 2 is completed. Or transmitted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to a terminal possessed by the guardian), and accordingly,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arget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arget, denture wash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nture washing device 100 Displayed through the target terminal 200, or by ac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300 to display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databased in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target terminal (200).

본 실시예의 틀니 세척장치(100)를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정보 식별체(3)가 구비되지 않은 틀니(2)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50)의 일반틀니 로그인부(53)에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에 따른 로그인 정보(예: 틀니 착용자의 성명, 보호자 성명, 연락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가 디스플레이부(50)에 입력되면, 컨트롤러는 틀니 세척장치(100)에 의한 틀니(2)의 세척을 개시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틀니(2)의 세척이 완료될 경우 틀니의 세척일자 및 세척시각을 포함하는 틀니 세척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한다. 나아가, 컨트롤러는 틀니(2)의 세척이 완료될 경우 틀니의 세척일자 및 세척시각을 포함하는 틀니 세척정보를 대상자(즉, 틀니 착용자 또는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대상자 단말(200)(즉, 틀니 착용자 또는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대상자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대상자의 조작에 따라, 틀니 세척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틀니 세척정보를 대상자 단말(20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관리 서버(300)에 데이터베이스화된 틀니 세척정보를 대상자 단말(200)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As another embodiment of using the denture washing apparatus 100 of this embodiment, if you want to wash the dentures 2 that are not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the display unit 50 as shown in FIG. When the log-in information (eg,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he denture wearer's name, guardian's name, and conta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50 in the general denture log-in unit 53,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entures It operates to start washing of the dentures 2 by the washing device 100 . And, when the washing of the dentures 2 is completed,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washing date and washing time of the dentures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o be converted into a database. Furthermore, the controller is the subject terminal 200 (ie, the dentures) so that the subject (ie, the denture wearer or guardian) can check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washing date and washing time of the dentures when the washing of the dentures 2 is completed.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target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arget, transmits the denture clean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nture washing device 100 to the target terminal 200 through the target terminal 200. Display or display the denture cleaning information databased in the management server 300 by ac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target terminal (200).

이와 같이 블루투스 또는 관리 서버(300)에 통신 연결된 대상자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된 세척정보는 병원마다 연동되도록 하여 의료서비스의 정보공유가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의료의 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target terminal 200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Bluetooth or management server 300 is interlocked for each hospital so that information sharing of medical services is realize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medical care.

또한, 틀니 세척장치(100)의 컨트롤러는 관리자의 필요에 따라 관리자 로그인 정보가 디스플레이부(50)에 입력되면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of the denture washing apparatus 100, when the administrator logi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50 according to the need of the administrat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washing history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50 can be displayed.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체(10) 상에는 컨트롤러에 연결된 스피커가 구비되어 틀니(2)의 세척 시작, 종료, 추후 세척시점, 세척횟수, 틀니 사용기간 등의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50)에 대한 입력을 기반으로 컨트롤러는 틀니(2)의 세척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peake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so that information such as the start and end of washing of the dentures 2, the subsequent washing time, the number of washings, the period of use of the dentures, etc. is guided by voice. Also, based on the input to the display unit 50,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washing time of the dentures (2).

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기능3. Functions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어플리케이션은 틀니 착용자 및 그 보호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상자가 소지한 대상자 단말(200)에 설치되며, 도 15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전체적인 기능의 예시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ⅰ)정보 식별체(3)가 인식될 경우, 인식된 정보 식별체(3)에 저장된 개인 신원 정보 및 의료 정보를 대상자 단말(20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틀니 착용자 식별 기능과, ⅱ)정보 식별체(3)가 인식될 경우, 인식된 정보 식별체(3)에 저장된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상기 대상자 단말(20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틀니 세척이력 관리 기능과, ⅲ)정보 식별체(3)가 인식될 경우, 인식된 정보 식별체(3)가 틀니(2)에 구비된 위치를 파악하는 정보 식별체 위치 파악 기능과, ⅳ)정보 식별체(3)의 GPS 측위 모듈을 통한 틀니 착용자의 위치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target terminal 200 possessed by the target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denture wearer and its guardian, and Figure 15 shows an example of the overall function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Specifically,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is i) whe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s recognized,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are displayed through the target terminal 200. Denture wearer identification function, and ii)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s recognized, denture cleaning history management function to display the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through the target terminal 200, and , iii) whe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s recognized,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s an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location identification function to determine the location provided in the denture 2, iv)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t may include a position monitoring function of the denture wearer through the GPS positioning module.

먼저, 틀니 착용자 식별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단말에 의해 정보 식별체(3)가 인식되면, 인식된 정보 식별체(3)에 저장된 개인 신원 정보 및 의료 정보가 해당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병원 기관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을 정보 식별체(3)가 매립된 틀니(2)를 착용하고 있는 틀니 착용자의 안면에 접근시키는 방식을 통해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 및 의료 정보를 쉽게 파악하여 그 후속 진단 및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도 16), 야외에서 틀니 착용자의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을 소지한 제3자가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 및 의료 정보를 쉽게 확인하여 보호자 또는 병원으로의 연락 등 후속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도 17 및 도 18).First, if the denture wearer identification function is described, whe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s recognized by th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running as shown in FIGS. 16 to 18, the personal identity stored in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are displayed through the corresponding terminal. Accordingly, the hospital institution easily grasps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through a method of accessing th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to the face of the denture wearer wearing the denture 2 with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embedded therein. Therefore, the follow-up diagnosis and measures can be made quickly (FIG. 16), and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denture wearer occurs outdoors, a third party with th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can easily check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Accordingly, follow-up measures such as contacting a guardian or a hospital can be quickly made ( FIGS. 17 and 18 ).

다음으로, 틀니 세척이력 관리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틀니 세척이력 관리 기능은 단말을 통해 인식된 정보 식별체(3)에 저장된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해당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기본적인 관리 기능에 더하여, 틀니 세척장치(100)를 통한 틀니(2)의 세척 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틀니 착용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로 세척 시작 및 종료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과, 인식된 정보 식별체(3)가 구비된 틀니(2)가 미리 정의된 기간 동안 세척되지 않은 경우 대상자가 소지한 단말로 틀니 세척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Next, describing the denture cleaning history management function, the denture cleaning history management function is in addition to the basic management function of displaying the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recognized through the terminal through the terminal, dentures When washing the dentures 2 through the washing device 100,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about the start and end of washing to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guardian of the denture wearer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and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er (3) The provided dentures 2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denture cleaning is necessary to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subject when the dentures 2 are not washed for a predefined period.

즉,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틀니(2)의 세척 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틀니 착용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로 세척 시작 및 종료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틀니 사용자의 보호자가 틀니 착용자가 착용하는 틀니(2)에 대한 세척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틀니(2)가 미리 정의된 기간 동안 세척되지 않은 경우(예: 1일, 일주일 또는 한 달과 같이 사용자가 지정해 놓은 기간 동안 틀니(2)가 세척되지 않은 경우) 대상자(즉, 틀니 착용자 또는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로 틀니 세척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일정 기간이 틀니(2)가 세척되지 않아 틀니(2)의 세척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That is, by sending a notification message about the start and end of washing to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guardian of the denture wearer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when washing the denture 2 as shown in FIG. You can make sure that the dentures you wear are being cleaned on a regular basis, and also if the dentures 2 have not been cleaned for a predefined period of time (e.g. 1 day, a week or a month). If the dentures (2) are not washed during the period specified by the user) by send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notify the need to wash the dentures to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subject (that is, the denture wearer or guardian), the dentures (2)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not cleaned, so it can inform that cleaning of the denture (2) is necessary.

다음으로, 정보 식별체 위치 파악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틀니 착용자 식별 기능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이 틀니 착용자의 안면에 근접할 경우 정보 식별체(3)에 구비된 LED 램프가 발광되도록 하여 정보 식별체(3)가 틀니(2)에 구비된 위치가 파악될 수 있다.Next, when describ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position identification function, the denture wearer identification function is to emit the LED lamp provided i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when th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is close to the face of the denture wearer so that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the position provided on the denture (2) can be grasped.

즉, 정보 식별체(3)에는 LED 램프가 구비되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이 미리 정의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경우 LED 램프가 발광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LED 램프의 발광 위치가 가시적으로 확인되어 정보 식별체(3)가 틀니(2)에 구비된 위치가 쉽게 파악될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정보 식별체(3)의 교체 및 수리 등 보수 작업 과정에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That is,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is provided with an LED lamp, and may be set to emit light when th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pproaches within a predefined distance, and thus the light emission position of the LED lamp is visually confirmed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can be easily grasped the position provided on the denture (2). The above function can be easily utilized in the maintenance work process, such as replacement and repair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3).

다음으로, 틀니 착용자의 위치 모니터링 기능을 설명하면, 틀니 착용자의 위치 모니터링 기능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이 틀니 착용자의 안면에 근접할 경우 정보 식별체(3)의 GPS 측위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틀니 착용자의 위치 정보(GPS 위경도 정보)가 틀니 착용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 또는 미리 정의된 기관(경찰서, 소방서 등)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을 소지한 일반 시민이 길거리의 위급 상황에 놓인 틀니 착용자(도 17 및 도 18)의 안면에 근접시킬 경우, 또는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의 안면에 근접시킬 경우(도 20 및 도 21), 어플리케이션에 구현된 '보호자 연락 기능' 또는 '기관 연락 기능'을 기반으로 틀니 착용자의 위치 정보가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 또는 미리 정의된 기관으로 전송될 수 있다.Next, if the position monitoring function of the denture wearer is described, the position monitoring function of the denture wearer is obtained through the GPS positioning module of the information identifier 3 when th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is close to the face of the denture wearer of the denture wearer. Location information (GP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may include a function to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or a predefined organization (police station, fire station, etc.) possessed by the guardian of the denture wearer. For example, when a general citizen with a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pproaches the face of a denture wearer ( FIGS. 17 and 18 ) placed in an emergency situation on the street, or close to the face of a missing denture wearer (FIG. 20 and 21), based on the 'guardian contact function' or 'organization contact function' implemented in the applic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may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or a predefined institution possessed by the guardian.

나아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을 소지한 제3자가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등록하는 기능과,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를 제3자가 발견할 경우 현재 상황을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의 보호자 또는 미리 정의된 기관으로 제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is to register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issing denture wearer in the management server 300 so that a third party holding th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can check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issing denture wearer. function and, when a third party discovers a missing denture wearer, it may include a function of reporting the current situation to a guardian of the missing denture wearer or a predefined institution.

예를 들어, 틀니(2)를 착용한 노인,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해당하는 틀니 착용자의 실종 또는 응급상황이 소방서, 경찰서 등의 지역 안전망으로 접수되면,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관계자에 의해 실종 또는 응급상황인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가 관리 서버(300)에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지역에 위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을 소지한 제3자는 틀니 착용자가 실종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어플리케이션은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를 제3자가 발견할 경우 해당 상황을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의 보호자 또는 미리 정의된 기관으로 제보하는 기능을 더 지원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sappearance or emergency of a denture wearer who is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the elderly or the disabled who wears dentures (2) is received by a local safety net such as a fire station or a police station, disappearance or emergency situation by the person concerned based on the application The personal identity information of the in-denture wearer may be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accordingly, a third party who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has a terminal to install the application can confirm that the denture wearer is missing. Furthermore, the application may further support a function of reporting the situation to the guardian of the missing denture wearer or a predefined institution when a third party discovers the missing denture wearer.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가 저장되어 틀니 착용자가 착용하는 틀니에 구비되는 정보 식별체와, 틀니를 세척하기 위한 틀니 세척장치와, 틀니 착용자 및 그 보호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상자가 소지한 대상자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틀니 착용자에 대한 틀니 세척 및 그 이력 관리와, 틀니 착용자의 실종 등 위급 상황을 감시하는 종합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실종 등의 위급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틀니 착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such, this embodiment is a denture wearer'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washing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provided on the denture worn by the denture wearer, and a denture washing device for washing the denture, the denture wearer and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solution for monitoring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denture cleaning and history management for denture wearers and the disappearance of denture wearers based on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target terminal possessed by the target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guardian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oral care of the denture wearer and to secure the safety of the denture wearer by actively responding to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disappearan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2: 틀니
3: 정보 식별체
100: 틀니 세척장치
10: 본체
20: 개폐문
40: 작업대
50: 디스플레이부
63: 초음파/저주파 세척부
64: 초음파살균부
65: 세척수분사부
67: 건조부
81: 리더부
200: 대상자 단말(어플리케이션)
300: 관리 서버
2: Dentures
3: information identifier
100: denture cleaning device
10: body
20: opening and closing door
40: workbench
50: display unit
63: ultrasonic / low frequency cleaning unit
64: ultrasonic sterilization unit
65: washing water spray unit
67: drying unit
81: leader unit
200: target terminal (application)
300: management server

Claims (19)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가 저장되어 틀니 착용자가 착용하는 틀니에 구비되는 정보 식별체; 틀니를 세척하기 위한 틀니 세척장치; 및 틀니 착용자, 그 보호자 및 제3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상자가 소지한 대상자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틀니 착용자의 위급 상황 감시 및 구강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틀니 세척장치는, 상기 정보 식별체가 인식될 경우 틀니의 세척을 개시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인식된 정보 식별체에 저장된 개인 신원 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고, 틀니의 세척이 완료될 경우 틀니의 세척일자 및 세척시각을 포함하는 틀니 세척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정보 식별체가 인식될 경우, 상기 인식된 정보 식별체에 저장된 개인 신원 정보 및 의료 정보를 상기 대상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틀니 착용자 식별 기능과, 상기 인식된 정보 식별체에 저장된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상기 대상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틀니 세척이력 관리 기능과, 상기 인식된 정보 식별체가 틀니에 구비된 위치를 파악하는 정보 식별체 위치 파악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The denture wearer'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provided in the denture worn by the denture wearer; denture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dentures; And a denture wearer,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ubject terminal possessed by the subject including one or more of their guardians and a third party; as a system for emergency monitoring and oral care of the denture wearer, including,
The denture cleaning device operates to start washing the dentures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and displays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cleaning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ogniz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cleaning of the dentures When this is completed, the denture clean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cleaning date and cleaning time of the dentures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o be converted into a database,
The application, whe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is recognized, a denture wearer identification function for displaying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through the target terminal, and denture washing stored in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nture cleaning history management function to display the history information through the target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position identification function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recognized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provided on the denture and systems for emergency monit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식별체는,
틀니의 불투명레진부 중 일부분을 밀링기로 수차례 절삭가공하여 함몰 형태의 부분삭제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부분삭제부에 상기 정보 식별체를 삽입 매립하되, 상기 정보 식별체의 상부표면이 상기 불투명레진부의 표면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하고,상기 정보 식별체의 측부와 상기 부분삭제부의 내측벽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정보 식별체가 삽입 매립된 부분삭제부에 치과용 레진 파우더와 리퀴드를 주입하여 화학반응에 의해 레진부를 형성하되, 상기 레진부에 의해 상기 정보 식별체의 상부면이 덮히도록 상기 정보 식별체와 상기 부분삭제부 사이에 침투되도록 하고, 상기 정보 식별체 상부의 상기 레진부에 상기 불투명레진부의 표면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경화되도록 하는 제3단계;
상기 레진부의 돌출부가 상기 불투명레진부의 표면보다 높게 볼록한 돌출형태로 경화된 틀니를 가압기에 넣고 40 - 12O℃ 상에서 5 - 30분 동안 가압하여 상기 레진부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제4단계;
상기 가압된 레진부의 돌출부를 연마기로 연마하여 상기 불투명레진부의 표면과 수평선상 일치되도록 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연마된 레진부의 상부표면에 광택제를 도포하여 광택층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통해 틀니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identifier is
A first step of cutting a part of the opaque resin part of the denture several times with a milling machine to form a partially deleted part in a recessed shape;
Insert and embed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in the partial deletion part,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and a space between the side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and the inner wall of the partial deletion part a second step to be formed;
A resin part is formed by a chemical reaction by injecting dental resin powder and liquid into the partial deletion part in which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is embedded, and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and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are covered by the resin part. a third step of penetrating between the partial deletion parts and hardening by forming a convex protrusion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in the resin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An agent that removes air bubbles inside the resin part and increases strength by putting the hardened denture into a presser in the form of a convex protrusion i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resin part is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and pressing at 40 - 120 ° C. for 5 - 30 minutes Step 4;
a fifth step of grinding the protrusion of the pressurized resin part with a polishing machine so that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and the horizontal line are aligned; and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mbedded in the denture through; a sixth step of forming a glossy layer by applying a varnish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lished resi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식별체는, 스티커 또는 라벨 타입으로 형성되어 틀니의 불투명레진부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정보 식별체의 상부에 치과용 레진파우더와 리퀴드로 혼합된 레진으로 1.Omm - 3.Omm로 전체적으로 덮히도록 하여 레진부를 형성하되, 상기 불투명레진부의 표면보다 1.0mm - 5.0mm 돌출부를 갖는 둔턱을 형성하며, 상기 불투명레진부와의 접촉면은 라운드형의 곡선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레진부의 상부표면에 광택제를 도포하여 광택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틀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is formed in a sticker or label type and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of the denture, and is a resin mixed with dental resin powder and liquid on the upper part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with a total of 1.0mm - 3.0mm The resin part is formed so as to be covered, but a barrier having a protrusion of 1.0 mm - 5.0 mm from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is formed, and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opaque resin part is formed in a round curve,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in part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denture through the process of forming a glossy layer by applying a varnish.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부는 치과용 레진파우더 30 - 70부피%, 리퀴드 30 - 70부피%를 혼합하여 스팻툴라로 저어서 개어 기포가 없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resin part mixes 30 - 70 vol% of dental resin powder and 30 - 70 vol% of liquid and stirs it with a spatula to form a bubble-free st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nture wearer's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system f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삭제부는 1.0 - 5.Omm 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ystem for the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the denture wear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al reduction is formed in a depression of 1.0 - 5.0m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레진부 상에서 상기 부분삭제부의 테두리에 함몰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단턱부에 상기 광택층이 형성되어 상기 불투명레진부의 표면과 상기 광택층의 표면이 수평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 recessed step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partial deletion on the opaque resin part, and the glossy layer is formed on the recessed step, so that the surface of the opaque resin part and the surface of the glossy layer are formed in a horizontal straight line. ,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denture wear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 세척장치는,
전방측에 개폐문이 구비되는 밀폐 구조의 케이스 형태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 바닥부에 형성되어 피세척물인 틀니를 안착 위치시키는 작업대;
틀니의 세척을 위해 틀니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본체의 내벽에 구비되는 세척수분사부;
상기 세척수분사부에 의한 세척수 분사 후 틀니의 초음파 세척 또는 저주파 세척을 위해 본체의 내벽에 구비되는 초음파/저주파 세척부;
상기 초음파/저주파 세척부에 의한 틀니의 세척 후 건조를 위해 본체의 내벽에 구비되는 건조부;
상기 개폐문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틀니에 구비된 정보 식별체를 인식하기 위한 리더부;
상기 리더부를 통해 인식된 정보 식별체에 저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개폐문, 상기 세척수분사부, 상기 초음파/저주파 세척부, 상기 건조부, 상기 리더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작동 제어하여 틀니의 세척과 상기 정보 식별체에 저장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enture cleaning device,
a body having a case form of a closed structure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door on the front side;
a workbench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to seat dentures, which are objects to be washed;
a washing water spray unit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to spray washing water toward the dentures for washing the dentures;
an ultrasonic/low-frequency cleaning unit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for ultrasonic cleaning or low-frequency cleaning of dentures after the washing water spray by the washing water spraying unit;
a drying unit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ody for drying after washing of the denture by the ultrasonic/low frequency washing unit;
A reader unit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for recognizing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provided on the dentur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stored in an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recognized through the reader unit 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cleaning of dentures and display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by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he washing water spray unit, the ultrasonic/low frequency washing unit, the drying unit, the reader unit, and the display unit;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에는 피세척물인 틀니의 안착을 위해 그 표면 상에서 안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의 일측벽에는 틀니를 세척한 세척수가 본체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배수라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A seating groove is recessed on the surface for the seating of the denture, which is an object to be washed, in the work table, and a drain line is provided on one wall of the seating groove so that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denture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denture wearer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안착홈에는 상기 안착홈과 이격거리를 두고 걸름망체가 고정 구비되되,상기 걸름망체에는 세척수가 배출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름망체의 상부측 테두리에는 외향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외향단턱부가 상기 작업대의 테두리 상부면에 수평 밀착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ating groove of the work table is provided with a fixed filter mesh body at a distance from the seating groo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washing water is discharged are formed in the filter mesh body, and an outward stepped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filter mesh body to form an outward facing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horizontally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of the work tab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 세척장치는, 상기 건조부에 의한 틀니 건조 후 틀니의 살균 처리를 위해 상기 본체의 내벽에 구비되는 초음파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enture cleaning device, the denture wearer's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ultrasonic sterilization unit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for sterilization of the dentures after drying the dentures by the drying unit.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 세척장치의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에 따른 로그인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틀니 세척장치에 의한 틀니의 세척을 개시하도록 동작하며, 틀니의 세척이 완료될 경우 틀니의 세척일자 및 세척시각을 포함하는 틀니 세척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ler of the denture washing device operates to start washing the dentures by the denture washing device when the log-i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denture washing is completed, the dentures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denture wear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washing date and washing time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o be converted into a databa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 세척장치의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관리자 로그인 정보가 입력될 경우,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 의료 정보 및 틀니 세척이력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ler of the denture washing device, when the administrator logi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the denture wearer's oral cavity,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nd denture wash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through the display unit. Systems for management and emergency monit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 세척장치는, 틀니의 세척이 완료될 경우 틀니의 세척일자 및 세척시각을 포함하는 틀니 세척정보를 상기 대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대상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틀니 세척장치로부터 수신된 틀니 세척정보를 상기 대상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된 틀니 세척정보를 상기 대상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enture washing apparatus transmits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washing date and washing time of the dentures to the subject terminal so that the subject can check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when the washing of the dentures is completed,
The application,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nture washing device is displayed through the target terminal, or by accessing the management server to display the denture washing information databased in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target terminal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denture wearers.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식별체는, 대상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칩 또는 비콘(Beacon), 또는 현재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1 or 3,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hip or beacon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arget terminal, or a GPS positioning module for positioning the current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nture wearer's oral cavity Systems for management and emergency monitoring.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상기 정보 식별체의 GPS 측위 모듈을 통한 틀니 착용자의 위치 모니터링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of the target terminal, the denture wearer's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monitoring function of the denture wearer through the GPS positioning module of the information identifi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 세척이력 관리 기능은, 상기 틀니 세척장치를 통한 틀니의 세척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틀니 착용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로 세척 시작 및 종료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인식된 정보 식별체가 구비된 틀니가 미리 정의된 기간 동안 세척되지 않은 경우 상기 대상자가 소지한 단말로 틀니 세척이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nture washing history management function include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about the start and end of washing to a terminal possessed by the guardian of the denture wearer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when washing the dentures through the denture washing device, and the recognized information Oral care and emergency of the denture wear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inform that the denture cleaning is necessary to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subject when the denture provided with the identifier has not been cleaned for a predefined period A system for monitoring the situ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 착용자 식별 기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이 틀니 착용자의 안면에 근접할 경우 상기 정보 식별체에 구비된 LED 램프가 발광되도록 하여 상기 정보 식별체가 틀니에 구비된 위치가 파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enture wearer identification fun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is close to the face of the denture wearer, the LED lamp provided in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emits light so that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is located on the dentures, characterized in that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denture wearer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틀니 착용자의 위치 모니터링 기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이 틀니 착용자의 안면에 근접할 경우 상기 정보 식별체의 GPS 측위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틀니 착용자의 위치 정보가 틀니 착용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 또는 미리 정의된 기관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denture wearer's location monitoring function is, when the terminal o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is close to the face of the denture wear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obtained through the GPS positioning module of th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is a terminal possessed by the denture wearer's guardian or A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monitoring of a denture wear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unction to be transmitted to a predefined orga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을 소지한 제3자가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의 개인 신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기능과, 상기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를 제3자가 발견할 경우 현재 상황을 상기 실종 상태의 틀니 착용자의 보호자 또는 미리 정의된 기관으로 제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용자의 구강 관리 및 위급 상황 감시를 위한 시스템.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is to register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in the missing state to the management server so that a third party holding the terminal in which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can check the personal identity information of the denture wearer in the missing state Oral care of the denture wear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unction and a function of reporting the current situation to the guardian of the missing denture wearer or a predefined institution when a third party finds the missing denture wearer. A system for emergency monitoring.
KR1020200044181A 2020-04-10 2020-04-10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of denture wearer KR202101268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181A KR20210126828A (en) 2020-04-10 2020-04-10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of denture wear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181A KR20210126828A (en) 2020-04-10 2020-04-10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of denture wear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828A true KR20210126828A (en) 2021-10-21

Family

ID=7826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181A KR20210126828A (en) 2020-04-10 2020-04-10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of denture wear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682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227A (en) * 2021-11-16 2023-05-23 (주)덴티로드 Automatic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smart denture cleaning robo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227A (en) * 2021-11-16 2023-05-23 (주)덴티로드 Automatic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smart denture cleaning rob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107B1 (en) Application mash-up service of identification for emergency situation and oral care
US11806199B2 (en) Compliance-based cleaning device
KR101716091B1 (en) Denture filling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and missing protection
CN209433203U (en) System, communication system, equipment, the system of mirror assembly, device, phonetic controller and phonetic controller of household appliance
KR101903961B1 (en) Denture filling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and missing protection
US9773402B2 (en) Infectious disease spread prevention
US2014026669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couraging and enforcing hand hygiene
CN102209966B (en) Personnel location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enclosed facilities
US8212653B1 (en) Protected zone system
CN106537869A (en) Wireless patient care system and method
JP2008027436A (en) Hands washing compliance system
CA2682361A1 (en) Hand hygiene compliance system
CN102791190A (en) Remote physiological monitoring
JP2012513052A (en) Hand hygiene system
WO2014162271A2 (en) Light therapy device and method
JP2000505576A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hand cleanliness
US20170316674A1 (en) Digital command prompting device
KR20180096007A (en) Denture filling method for emergency situation and missing protection
KR20210126828A (en) System for oral care and emergency situation monitoring of denture wearer
CN105815890A (en) Medical first-aid intelligent wristband
JP2013109745A (en) Plate denture
KR102503067B1 (en) Tooth embedding method of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for emergency situation and disappearance prevention of denture wearer and application linkage service method of tooth embedded type information identification body
CN109564719A (en) The traceability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prosthesis and corresponding dental prosthesis
KR20210099960A (en)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KR102570448B1 (en) Smart denture cleaning device for oral care of denture wearers with vib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