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596A - 포트 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포트 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596A
KR20210126596A KR1020217025432A KR20217025432A KR20210126596A KR 20210126596 A KR20210126596 A KR 20210126596A KR 1020217025432 A KR1020217025432 A KR 1020217025432A KR 20217025432 A KR20217025432 A KR 20217025432A KR 20210126596 A KR20210126596 A KR 20210126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meter
port
configuring
terminal
re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룬쿠안 미아오
사 장
다웨이 마
Original Assignee
스프레드트럼 세미컨덕터 (난징)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드트럼 세미컨덕터 (난징)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프레드트럼 세미컨덕터 (난징)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2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7/061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2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포트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에 적합한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와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로, 단말의 전송 능력에 적합한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안테나 포트 데이터에 기초해서 DMRS 포트를 취득해서 포트를 구성한다. 단말의 포트를 맹목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회피하고, 단말에 있어서의 구성의 효율을 향상시켜서, 구성에 관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포트 구성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포트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접속을 확립할 때, 안테나 포트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에서 안테나 포트를 구성할 때, 통상, 완전한 다운 링크 포트 컨피규레이션 테이블을 채용한다. 이로써, UE의 안테나 포트의 구성을 완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안테나 포트를 구성할 때 완전한 다운 링크 포트 컨피규레이션 테이블이 채택되었기 때문에, 구성에 신호가 많이 사용되어서, 전송 리소스가 낭비된다.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전송 리소스를 절약하며,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 방안이 시급하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포트 구성 방법은, 단말의 전송 능력 정보에 적합한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와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와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한 후에, 상기 방법은, 타깃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으로부터 상기 타깃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대응지어지는 타깃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타깃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에 기초해서 포트를 구성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단말의 카테고리와 전송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복조 참조 신호 패턴(Pattern)을 구성하기 위한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 및 복조 참조 신호 최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스트림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의 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은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포함한 무선 리소스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타깃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은,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는 1 비트 이상 6 비트 이하의 2진수 데이터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포트 구성 방법은, 상기 단말의 종류와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 정보에 적합한 상기 단말의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과,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복조 참조 신호의 패턴을 구성하기 위한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 및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스트림의 수를 결정하는 위한 전송 스트림의 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것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에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것과, 다운 링크 제어 정보 단말로,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의 선택을 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는 3 비트 이상 6 비트 이하의 2진수 데이터이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장치는,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에 적합한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 모듈과, 상기 제 1 수신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와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수신 모듈은 또한 타깃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의 수신에 이용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결정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으로부터 상기 타깃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대응지어지는 타깃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번호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 모듈과, 상기 취득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타깃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에 기초해서 포트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모듈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장치는, 단말의 카테고리와 전송 능력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복조 참조 신호의 패턴을 구성하기 위한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 및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스트림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수신 모듈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으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수신 모듈은,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포함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수신 서브 모듈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는 1 비트 이상, 6 비트 이하의 2 진수 데이터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의하면, 포트 구성 장치는,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와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수신 모듈과,
상기 제 2 수신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에 적합한 상기 단말의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듈과,
상기 설정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 2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복조 참조 신호의 패턴을 구성하기 위한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 및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스트림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 2 송신 모듈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으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 파라미터 송신 서브 모듈과,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 단말에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의 선택을 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위한 선택 파라미터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는 1 비트 이상, 6 비트 이하의 2 진수 데이터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의하면, 포트 구성 장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커멘드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의하면, 컴퓨터 프로그램 커멘드가 기억되어 있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커멘드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방법을 실현한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본 개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한 후,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단말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단말의 전송 능력에 적합한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한다. 이로써,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수신한 후에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으로부터 DMRS 포트를 결정하고, 상기 DMRS 포트 번호를 이용해서 단말의 안테나 포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단말의 전송 능력에 적합한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안테나 포트 데이터에 기초해서 DMRS 포트를 취득해서 포트를 구성함으로써, 단말의 포트를 맹목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회피하고, 단말에 있어서의 구성의 효율을 향상시켜서, 구성에 관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면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른 특징 및 방면은 명료하게 된다.
여기서,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되는 도면은, 명세서와 함께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양태를 나타내고,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포트 구성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포트 구성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포트 구성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포트 구성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포트 구성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포트 구성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포트 구성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여러가지 예시적인 실시예, 특징 및 방면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의 같은 부호는 같은 또는 유사한 기능의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실시예의 여러 가지 방면을 나타냈지만,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도면을 비례에 따라 그릴 필요는 없다.
여기서의 용어 '예시적'이란, '예를 들어, 실시예로서 이용되는 것 또는 설명적인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예시적'으로 설명되는 이러한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보다 바람직한 것이라고 또는 뛰어난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또한, 본 개시를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여러가지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나타낸다. 당업자라면, 본 개시는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 사항이 없어도 마찬가지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몇가지 실시예에서는, 본 개시의 취지를 강조하기 위해서, 당업자가 숙지하고 있는 방법, 수단, 요소 및 회로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행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포트 구성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은 단말에 응용 가능하다. 상기 단말은 유저 기기(User Equipment, UE), 예를 들어, 휴대전화, 태블릿 등의 이동 단말을 포함해도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에 적합한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스텝 S110과,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와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하는 스텝 S120을 포함한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본 개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한 후,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단말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단말의 전송 능력에 적합한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한다. 이로써,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수신한 후에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으로부터 DMRS 포트를 결정하고, 상기 DMRS 포트 번호를 이용해서 단말의 안테나 포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단말의 전송 능력에 적합한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안테나 포트 데이터에 기초해서 DMRS 포트를 취득해서 포트를 구성함으로써, 단말의 포트를 맹목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회피하고, 단말에 있어서의 구성의 효율을 향상시켜서, 구성에 관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은 단말의 최대 전송 스트림 수(최대 전송층 수)를 가리켜도 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DMRS-Type),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mnaxLength),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maxRank) 등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 및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는 복조 참조 신호의 패턴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스트림 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의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에 적합한 대응 관계의 집합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기기 정보는, 상기 단말의 종류, 예를 들어, Type A, Type B 등을 포함해도 된다. 단말이 서포트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단말은 다른 카테고리로 나누어진다. 상기 기기 정보는 또한 단말이 서포트하는 최대 전송 스트림 수를 포함해도 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은 미리 단말과 기지국에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에는 적어도 상기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와 DMRS 포트 번호의 대응 관계가 기록되어 있다. 본 개시는,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의 구체적인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은 표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의 값이 1,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의 값이 1, 상기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어도 된다.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 DMRS 포트 번호
0 0
1 1
2 0
3 1
4 2
5 3
6 ~ 7 보류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의 값이 1,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의 값이 1, 상기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의 값이 2, 3, 4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어도 된다.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 DMRS 포트 번호
0 0
1 1
2 0,1
3 0
4 1
5 2
6 3
7 0,1
8 2,3
9 0 ~ 2
10 0-3
11 0,2
12 ~ 15 보류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의 값이 1,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길이 파라미터의 값이 2, 상기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어도 된다.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 DMRS 포트 번호
0 0
1 1
2 0
3 1
4 2
5 3
6 0
7 1
8 2
9 3
10 4
11 5
12 6
13 7
14 ~ 15 보류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의 값이 1,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의 값이 2, 상기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의 값이 2, 3, 4, 5, 6, 7, 8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어도 된다.
부호어 1 부호어 2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 DMRS 포트 번호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 DMRS 포트 번호
0 0 0 0-4
1 1 1 0,1,2,3,4,6
2 0,1 2 0,1,2,3,4,5,6
3 0 3 0,1,2,3,4,5,6,7
4 1 4 ~ 31 보류
5 2    
6 3    
7 0,1    
8 2,3    
9 0 ~ 2    
10 0-3    
11 0,2    
12 0    
13 1    
14 2    
15 3    
16 4    
17 5    
18 6    
19 7    
20 0,1    
21 2,3    
22 4,5    
23 6,7    
24 0,4    
25 2,6    
26 0.1.4    
27 2,3,6    
28 0,1,4,5    
29 2,3,6,7    
30 0,2,4,6    
31 보류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의 값이 2,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의 값이 1, 상기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은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어도 된다.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 DMRS 포트 번호
0 0
1 1
2 0
3 1
4 2
5 3
6 0
7 1
8 2
9 3
10 4
11 5
12 ~ 15 보류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의 값이 2,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의 값이 1, 상기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의 값이 2, 3, 4, 5, 6, 7, 8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은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어도 된다.
부호어 3 부호어 4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 DMRS 포트 번호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 DMRS 포트 번호
0 0 0 0~4
1 1 1 0~5
2 0,1 2~31 보류
3 0    
4 1    
5 2    
6 3    
7 0,1    
8 2,3    
9 0~2    
10 0~3    
11 0    
12 1    
13 2    
14 3    
15 4    
16 5    
17 0,1    
18 2,3    
19 4,5    
20 0~2    
21 3-5    
22 0-3    
23 0,2    
24 ~ 31 보류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의 값이 2,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의 값이 2, 상기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은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어도 된다.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 DMRS 포트 번호
0 0
1 1
2 0
3 1
4 2
5 3
6 0
7 1
8 2
9 3
10 4
11 5
12 0
13 1
14 2
15 3
16 4
17 5
18 6
19 7
20 8
21 9
22 10
23 11
24 0
25 1
26 6
27 7
28~31 보류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의 값이 2, 상기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의 값이 2, 상기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의 값이 2, 3, 4, 5, 6, 7, 8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은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어도 된다.
부호어 a 부호어 b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 DMRS 포트 번호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 DMRS 포트 번호
0 0 0 0~4
1 1 1 0~5
2 0,1 2 0,1,2,3,6
3 0 3 0,1,2,3,6,8
4 1 4 0,1,2,3,6,7,8
5 2 5 0,1,2,3,6,7,8,9
6 3 6~63 보류
7 0,1    
8 2,3    
9 0~2    
10 0-3    
11 0    
12 1    
13 2    
14 3    
15 4    
16 5    
17 0,1    
18 2,3    
19 4,5    
20 0~2    
21 3-5    
22 0-3    
23 0,2    
24 0    
25 1    
26 2    
27 3    
28 4    
29 5    
30 6    
31 7    
32 8    
33 9    
34 10    
35 11    
36 0,1    
37 2,3    
38 4,5    
39 6,7    
40 8,9    
41 10,11    
42 0,1,6    
43 2,3,8    
44 4,5,10    
45 0,1,6,7    
46 2,3,8,9    
47 4,5,10,11    
48 0    
49 1    
50 6    
51 7    
52 0,1    
53 6,7    
54 0,1    
55 2,3    
56 6,7    
57 8,9    
58~63 보류    
표 1~표 8에 의하면, 서로 다른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서로 다른 대응 관계의 집합에 대응해도 된다. 기지국이 지시한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단말의 전송 능력에 적합한 대응 관계의 집합으로부터 DMRS 포트를 선택해서 단말의 안테나 포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여기에서는, 상기의 대응 관계의 집합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개시는 대응 관계의 집합의 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DMRS 포트 번호도 다른 것이어도 되고, 본 개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포트 구성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와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한 후에,
상기 방법은,
타깃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스텝 S130와,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으로부터 상기 타깃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대응지어지는 타깃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를 취득하는 스텝 S140와,
상기 타깃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에 기초해서 포트를 구성하는 스텝 S150을 더 포함한다.
상기의 표 1~표 8에 의하면,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와 DMRS 포트 번호는 하나 하나 대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한 후,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로부터 대응의 DMRS 포트 번호를 취득하고, 포트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지국에,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와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송신하는 스텝 S200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단말의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 및 상기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구성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이 상기 기기 정보를 수신했을 때,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단말의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 및 상기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에 적합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상기 스텝 S110는,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포함한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타깃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은,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포함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과 단말과는 RRC 접속을 확립하고, RRC에 의해 단말에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은 DCI에 의해 단말에 상기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001, 010, 011, 1111 등이 같은 1 비트 이상, 6 비트 이하의 2 진수 데이터이다. 이들 2 진수의 데이터는, 1, 2, 3 … 등의 자연수이어도 된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기지국은, 단말의 포트를 구성할 때에, 단말이 프로토콜에 따라 서포트 가능한 모든 층으로 구성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프로토콜에 따라 서포트 가능한 최대 전송층 수가 8인 경우, 종래 기술은 구체적인 단말의 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1~8층의 모든 층으로 구성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DCI에 의해 1~8층에 대응하는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대량의 DCI 데이터 비트가 사용됨으로써, 대량의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발생해서 리소스가 낭비된다.
본 개시는 단말의 포트에 적합한 구성에 의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포트 구성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은 기지국에 응용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와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를 포함한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스텝 S600과,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에 적합한 상기 단말의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스텝 S610과,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스텝 S620을 포함한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본 개시에 기재된 기지국은 단말의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단말의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 및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단말의 안테나 포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전송 능력은 단말의 최대 전송 스트림 수이어도 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복조 참조 신호의 패턴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 및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스트림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에 적합한 대응 관계의 집합을 선택하도록 이용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단말에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 및 상기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것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으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것과,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 단말에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의 선택을 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는 1~6 비트의 2 진수 데이터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포트 구성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에 적합한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 모듈(10)과,
상기 제 1 수신 모듈(10)에 접속되고,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와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20)을 포함한다.
상기의 장치에 의해, 본 개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한 후,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단말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현재의 단말의 전송 능력에 적합한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수신한 후에, 취득된 대응 관계의 집합에 기초해서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으로부터 DMRS 포트를 결정하며, 상기 DMRS 포트 번호를 이용해서 단말의 안테나 포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단말의 전송 능력에 적합한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안테나 포트 데이터에 기초해서 DMRS 포트를 취득해서 포트를 구성함으로써, 단말의 포트를 맹목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회피하고, 단말에 있어서의 구성의 효율을 향상시켜서, 구성에 관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저감시킬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복조 참조 신호의 패턴을 구성하기 위한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 및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스트림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의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에 적합한 대응 관계의 집합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포트 구성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장치는,
상기 결정 모듈(20)에 접속되고,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으로부터 상기 타깃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대응지어지는 타깃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번호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 모듈(30)과,
상기 취득 모듈(30)에 접속되고, 상기 타깃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에 기초해서 포트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모듈(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수신 모듈(10)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으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 서브 모듈(11)과,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포함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수신 서브 모듈(12)을 포함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장치는,
단말의 카테고리와 전송 능력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모듈(50)을 더 포함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포트 구성 장치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의 카테고리와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수신 모듈(60)과,
상기 제 2 수신 모듈(60)에 접속되고,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에 적합한 상기 단말의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듈(70)과,
상기 설정 모듈(70)에 접속되고,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 2 송신 모듈(80)을 포함한다.
상기의 장치에 의해, 본 개시에 기재된 기지국은 단말의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단말의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 및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구성하고, 단말의 안테나 포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복조 참조 신호의 패턴을 구성하기 위한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 및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스트림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에 적합한 대응 관계의 집합을 선택하도록 이용된다.
가능한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 2 송신 모듈(80)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으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 파라미터 송신 서브 모듈(81)과,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 단말에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의 선택을 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위한 선택 파라미터 송신 서브 모듈(83)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포트 구성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장치(800)는 휴대전화,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 메시지 송수신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형 기기, 의료기기, 피트니스 기기, 퍼스널·디지털·어시스턴트 등의 단말이어도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기기(800)는 처리 컴포넌트(802), 메모리(804), 전원 컴포넌트(8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 오디오 컴포넌트(8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812), 센서 컴포넌트(814), 및 통신 컴포넌트(81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해도 된다.
처리 컴포넌트(802)는 통상, 전자기기(800)의 전체적인 동작, 예를 들어 표시, 전화의 콜,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 동작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처리 컴포넌트(802)는, 명령을 실행해서 상기 방법 중 일부 또는 모든 스텝을 실행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20)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처리 컴포넌트(802)는, 다른 컴포넌트와의 인터렉션을 위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처리 컴포넌트(802)는,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와의 인터렉션을 위해서,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해도 된다.
메모리(804)는 전자기기(800)에서의 동작을 서포트하기 위한 여러가지 타입의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데이터는, 예로서 전자기기(800)에서 조작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픽처,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804)는, 예를 들어 정적 RAM(SRAM),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의 모든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전원 컴포넌트(806)는 전자기기(800)의 각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컴포넌트(8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1개 이상의 전원, 및 전자기기(800)를 위한 전력 생성, 관리 및 배분과 관련된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해도 된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는 상기 전자기기(800)와 유저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터치 패널(TP)을 포함해도 된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유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터치 패널은,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 패널에서의 제스체를 검지하기 위해서, 1개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움직임의 경계를 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드 조작과 관련된 지속 시간 및 압력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는 하나의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를 포함한다. 전자기기(800)가 동작 모드, 예를 들어 사진 모드 또는 촬영 모드가 되는 경우, 전면 카메라 및/또는 후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해도 된다. 각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는, 고정된 광학 렌즈계, 또는 촛점거리 및 광학 줌 능력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마이크(MIC)를 포함하고, 마이크(MIC)는 전자기기(800)가 동작 모드, 예를 들어 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로 되는 경우에,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다시 메모리(804)에 기억되거나, 또는 통신 컴포넌트(816)에 의해 송신되어도 된다. 몇개의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나아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812)는 처리 컴포넌트(8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이어도 된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시작 버튼 및 락 버튼을 포함해도 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전자기기(800)의 각 방면의 상태 평가를 위해서 1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컴포넌트(814)는 전자기기(800)의 온/오프 상태, 예를 들어 전자기기(800)의 표시 장치 및 키패드와 같은 컴포넌트의 상대적 위치 결정을 검출할 수 있고, 센서 컴포넌트(814)는 나아가 전자기기(800) 또는 전자기기(800)가 있는 컴포넌트의 위치의 변화, 유저와 전자기기(800)와의 접촉의 유무, 전자기기(800)의 방위 또는 가감속 및 전자기기(8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어떠한 물리적 접촉도 없는 경우에 근방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나아가 CMOS 또는 CCD 화상 센서와 같은 이메징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기 위한 광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해당 센서 컴포넌트(814)는 나아가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해도 된다.
통신 컴포넌트(816)은 전자기기(800)와 다른 기기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실현하도록 구성된다. 전자기기(800)는 통신 규격에 기초하는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통신 컴포넌트(816)는 방송 채널에 의해 외부의 방송 관리 시스템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 컴포넌트(816)는 나아가 근거리 통신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술, 적외선 데이터 협회(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luetooth)(BT) 기술 및 다른 기술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800)는 1개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SPD),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다른 전자 요소에 의해 실현되어서,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나아가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한 메모리(804)가 제공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전자기기(800)의 프로세서(820)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는, 5G(5 generation) 통신 시스템에 더해서 4G, 3G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고, 나아가 예를 들어, 6G, 7G 등의 후속하는 여러가지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개시는, 다양한 네트워크 아키텍쳐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의 네트워크 아키텍쳐는, 릴레이 네트워크 아키텍쳐, 듀얼 링크 아키텍쳐, Vehicle-to-Everything(차량과 다양한 것과의 통신, V2X) 아키텍쳐 등의 아키텍쳐를 포함하지만,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의 5G CN는, 새로운 타입의 코어 네트워크(new core), 또는 5G NewCore, 또는 차세대 코어 네트워크(next generation core, NGC) 등이라고도 불린다. 5G-CN는, 기존의 코어 네트워크, 예를 들어, 진화형 데이터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에 독립적으로 설정된다.
본원의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base station, BS)은 기지국 기기라고도 불리며,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에 구성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2G 네트워크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에는 무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과 기지국 제어장치(base station controller, BSC)가 포함되고, 3G 네트워크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에는 노드 B(NodeB)와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adio network controller, RNC)가 포함되며, 4G 네트워크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에는 진화형 노드 B(evolved NodeB, eNB)가 포함되고, 와이어리스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라고 약칭함)으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이다. 5G 신무선(New Radio, NR이라고 약칭함)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에는 계속해서 진화하는 노드 B(gNB)와, 장래의 새로운 통신 시스템으로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 등이 포함된다.
본원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은, 여러가지 형식의 유저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 유저 유닛, 유저 스테이션, 이동국,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MS), 리모트 스테이션, 리모트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유저 단말, 단말 기기(terminal equipment), 무선 통신 기기, 유저 에이전트 또는 유저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단말 기기는, 나아가 휴대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와이어리스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와이어리스 통신 기능을 구비한 소형 디바이스, 컴퓨팅 기기 또는 와이어리스 모뎀에 접속된 기타 처리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장래의 5G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단말 기기 또는 장래에 진화하는 공중 육상 이동 통신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 있어서의 단말 기기 등이어도 되고, 본 개시에서는 특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원 실시 형태에서는,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단말로의 단방향 통신 링크를 다운링크로서 정의하고, 다운링크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다운링크 데이터이며,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 방향은 다운링크 방향이라고 부른다. 한편, 단말로부터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단방향 통신 링크를 업링크로서 정의하고, 업링크로 송신되는 데이터는 업링크 데이터이며,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 방향은 업링크 방향이라고 부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과의 관련 관계를 기술하는 것이며, 3개의 관계가 존재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이 존재하거나, A와 B 양쪽 모두가 존재하거나, B만이 존재한다고 하는 3가지 경우를 나타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호 '/'은, 전후의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원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수'는 2개 또는 2개 이상을 나타낸다.
본원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용어 '제 1', '제 2' 등은 서로 다른 설명 대상을 구분해서 나타내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순서를 나타내는 것도 아니고,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장치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도 아니며, 본 개시에 대한 어떠한 한정도 아니다.
본원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속'이란, 기기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직접 접속 또는 간접 접속 등의 다양한 접속 모양을 가리키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와 '시스템'은 같은 개념을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이다.
본원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프로세스의 순서 번호는 실행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지 않기를 바란다.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프로세스의 기능 및 내부 논리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은 당연하다. 전술한 프로세스의 순서 번호는, 본원의 실시 형태의 실행 프로세스에 대한 어떠한 한정으로도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도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의 실시 형태는 단순한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닛을 분할하는 것은 단순한 논리적 기능의 분할로, 실제로 실장될 때에는 다른 분할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혹은 컴포넌트가 조합되어도 되고, 다른 시스템에 통합되어도 되며, 혹은 일부의 기능은 무시되거나 또는 실시되지 않아도 된다. 나아가 표시 또는 설명된 상호 결합 혹은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몇가지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실현되어도 된다. 장치간의 또는 유닛 간의 간접적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전기적 형태, 기계적 형태, 또는 다른 형태로 실현되어도 된다.
별개의 부분으로서 설명된 각 유닛은, 물리적으로는 나누어져 있지 않아도 되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분은, 물리적인 유닛이 아니어도 되며, 즉, 1곳에 위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어도 된다. 유닛의 일부 또는 모두가, 실시 형태의 해결 수단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실제의 필요성에 따라 선택되어도 된다.
나아가 본원의 실시 형태의 기능 유닛이 1개의 처리 유닛에 통합되어도 되고, 또는 이러한 유닛 각각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해도 되며, 또는 2개 혹은 그보다 많은 유닛이 1개의 유닛에 통합되어도 된다. 상기의 통합되는 유닛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와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각 실시예를 기술했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망라하는 것이 아니고, 한편 피로된 각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당업자에게 있어서 설명된 각 실시예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여러가지 수정 및 변경이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 선택된 용어는, 각 실시예의 원리, 실제의 적용 또는 기존 기술에 대한 개선을 매우 적합하게 해석하거나, 또는 다른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에 피로된 각 실시예를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다.

Claims (24)

  1.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에 적합한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와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는 포트 구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와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한 후에,
    타깃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으로부터 상기 타깃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대응지어지는 타깃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타깃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에 기초해서 포트를 구성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전에,
    단말의 카테고리와 전송 능력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송신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복조 참조 신호의 패턴(Pattern)을 구성하기 위한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 및 복조 참조 신호 최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스트림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은,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포함한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은,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포함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는, 1 비트 이상, 6 비트 이하의 2 진수 데이터인
    방법.
  8. 단말의 카테고리와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에 적합한 상기 단말의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과,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하는 포트 구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복조 참조 신호의 패턴을 구성하기 위한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 및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스트림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것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으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것과,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 단말에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의 선택을 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는 3 비트 이상, 6 비트 이하의 2 진수 데이터인
    방법.
  12.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에 적합한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 모듈과,
    상기 제 1 수신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기초해서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와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 사이의 대응 관계의 집합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
    을 포함하는 포트 구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모듈은 또한 타깃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의 수신에 이용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결정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대응 관계의 집합으로부터 상기 타깃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에 대응지어지는 타깃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번호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 모듈과,
    상기 취득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타깃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에 기초해서 포트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단말의 카테고리와 전송 능력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복조 참조 신호의 패턴을 구성하기 위한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 및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스트림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모듈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으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모듈은,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포함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수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는 1 비트 이상, 6 비트 이하의 2 진수 데이터인
    장치.
  19. 단말의 카테고리와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수신 모듈과,
    상기 제 2 수신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기기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의 정보에 적합한 상기 단말의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듈과,
    상기 설정 모듈에 접속되고,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 2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포트 구성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는, 복조 참조 신호의 패턴을 구성하기 위한 복조 참조 신호 종류 파라미터 및 복조 참조 신호 최대 OFDM 심볼 길이 파라미터,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스트림 수를 결정하기 위한 전송 스트림 수 구성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모듈은,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으로 상기 안테나 포트 구성용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 파라미터 송신 서브 모듈과,
    다운링크 제어 정보로, 단말에 복조 참조 신호 DMRS 포트 식별자의 선택을 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를 송신하기 위한 선택 파라미터 송신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포트 선택용 파라미터는, 1 비트 이상, 6 비트 이하의 데이터인 것을
    장치.
  23. 프로세서와,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커멘드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또는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포트 구성 장치.
  24. 컴퓨터 프로그램 커멘드가 기억되어 있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커멘드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또는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
KR1020217025432A 2019-01-11 2020-01-07 포트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2101265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028645.9A CN111294229B (zh) 2019-01-11 2019-01-11 端口配置方法及装置
CN201910028645.9 2019-01-11
PCT/CN2020/070650 WO2020143609A1 (zh) 2019-01-11 2020-01-07 端口配置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596A true KR20210126596A (ko) 2021-10-20

Family

ID=7101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432A KR20210126596A (ko) 2019-01-11 2020-01-07 포트 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400050A1 (ko)
JP (1) JP7389122B2 (ko)
KR (1) KR20210126596A (ko)
CN (1) CN111294229B (ko)
WO (1) WO2020143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75136A (zh) * 2022-08-12 2024-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Dmrs端口指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58302B (zh) * 2010-02-11 2013-09-1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息指示的方法及设备
CN102164372A (zh) * 2011-05-12 2011-08-24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天线端口的配置方法
WO2014113971A1 (zh) * 2013-01-25 2014-07-31 华为技术有限公司 解调参考信号传输方法、用户设备和基站
JP6118842B2 (ja) 2015-06-11 2017-04-19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情報受信方法
US20180254868A1 (en) 2015-11-27 2018-09-06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8632193B (zh) * 2017-03-24 2023-05-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指示方法及网络设备、终端设备
CN108809575B (zh) * 2017-05-05 2024-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上报端口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08809609B (zh) * 2017-08-11 2019-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dmrs指示和接收方法,发射端和接收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94229B (zh) 2021-07-27
WO2020143609A1 (zh) 2020-07-16
JP7389122B2 (ja) 2023-11-29
CN111294229A (zh) 2020-06-16
JP2022517999A (ja) 2022-03-11
US20220400050A1 (en)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2745B (zh) 数据传输方法、基站、用户设备及存储介质
US111910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10336737A1 (en) Measurement configuration method, apparatus, devices, system, and storage medium
US11902954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base station, and storage medium
WO2020019351A1 (zh) 传输配置指示的配置方法及装置
US11350394B2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pparatus,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CN111294177B (zh) 资源发送方法及装置、终端配置方法及装置
CN111294937A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18086063A1 (zh) 配置工作带宽的方法及装置
WO2022082382A1 (zh) 辅助资源集发送接收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2188076A1 (zh) 传输配置指示状态配置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5402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KR20230159614A (ko) 디폴트 빔 결정 방법, 장치 및 통신 기기(default beam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US11071137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10126596A (ko) 포트 구성 방법 및 장치
EP3826208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9618564B (zh) 传输方向的指示方法及装置
WO2022120535A1 (zh) 资源确定方法、资源确定装置及存储介质
WO2022120649A1 (zh) 接入控制方法、装置、通信设备和介质
US20230283352A1 (en) Beam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9451860A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0904797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JP6925441B2 (ja) 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ネルの受信方法、送信方法、受信装置、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および送信装置を備えるシステム
CN110546914A (zh) 资源配置的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2178787A1 (zh) 信道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