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167A - Drone comprising self camera and method of operating of the same - Google Patents

Drone comprising self camera and method of operating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167A
KR20210126167A KR1020200043100A KR20200043100A KR20210126167A KR 20210126167 A KR20210126167 A KR 20210126167A KR 1020200043100 A KR1020200043100 A KR 1020200043100A KR 20200043100 A KR20200043100 A KR 20200043100A KR 20210126167 A KR20210126167 A KR 20210126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drone
photographing
terminal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1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1516B1 (en
Inventor
이수현
김창우
Original Assignee
디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3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516B1/en
Publication of KR20210126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1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5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27
    • B64C2201/141
    • B64C2201/1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A drone equipped with a selfie camera is provided. The drone equipped with a selfie camera comprises: a body part; a propeller part mounted on the body part to separate the body part from the ground; a communication part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and is mounted in the body part; a photographing terminal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including a camera to photograph an object having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propeller part so that the photographing terminal and the object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range by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drone equipped with a selfie camera, which is maintained to be position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range from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Description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Drone comprising self camera and method of operating of the same}Drone comprising self camera and method of operating of the same

본 출원은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대상체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원격 제어하여 촬영 대상체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drone having a self-camera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drone having a self-camera capable of easily photographing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by remote control so as to b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range from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and the same It has to do with how it works.

드론(Drone)은 조종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로 항행할 수 있는 비행체로, 자동 또는 원격 조종으로 비행하며 일회용 또는 재사용할 수 있는 동력 비행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근래에는 농업, 광업, 치안, 물류, 에너지, 방송 산업 분야로 활발히 활용되며 민간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A drone is an air vehicle that can navigate without a pilot on board, and it means a disposable or reusable powered vehicle that flies automatically or remotely. It is actively used in the fields of , security, logistics, energy, and broadcasting industries, and the private market is rapidly expanding.

드론은 사업용 드론과 개인용 드론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사업용 드론은, 운송, 농수산업, 인프라 관리에서 사용되는 드론으로, 각 산업계에서 드론은 운송을 위한 배송 및 유인드론, 농수산업에서 사용되는 방제 무인헬기와 농업드론, 접근성이 떨어지는 인프라 관리를위한 전력선, 교량 관리 드론 등으로 분류되며, 개인용 드론은 오락 및 스포츠 분야에서 사용되는 드론으로 촬영 레이싱 드론 등이 대표적이다. Drones can be divided into commercial drones and personal drones. Commercial drones are drones used in transportation, agriculture and fishery industry, and infrastructure management. It is classified into agricultural drones, power lines for infrastructure management with inaccessibility, and bridge management drones.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에 대한 활용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의 니즈에 따른 기능을 갖는 드론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As the field of application of drones in various fields expand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rones having functions according to consumer needs is in progress.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공개 공보 10-2020-0027265에는, 드론의 둘레면 일측을 함몰시켜 형성되는 이동몸체장착홈, 상기 이동몸체장착홈에 끼워져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크로 구성된 이동몸체부, 상기 레크와 기어물림되며 상기 드론의 내부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축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성된 구동부, 상기 이동몸체에 카메라 렌즈가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카메라모듈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카메라모듈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레크와 피니언을 작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메라모 듈부의 셔터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드론을 일정 고도만큼 이륙시킨 후, 드론 자체는 그 고도를 유지하면서 이동몸체를 수직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카메라렌즈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점검 대상 부위를 상·하로 촬영하여 점검 대상물의 이상 유무를 정확하게 판단 가능한 드론이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27265, a moving body mounting groove formed by recessing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one, a moving body inserted into the moving body mounting groove and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oving body portion consisting of a rack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body, a pinion geared with the rack and installed inside the drone, and a motor that is shaft-coupled with the pinion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pinion The configured driving unit, the camera module unit installed on the moving body so that the camera lens faces outw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the camera module unit, and rotates the motor of the driving unit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By operating the rack and pinion, the moving body is moved up and down,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hutter signal of the camera module. Disclosed is a drone capable of accuratel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to be inspected by photographing a part to be inspected up and down while the camera lens is maintained horizontally by being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촬영 대상체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유지되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drone having a self-camera maintained to be position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range from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진 촬영이 용이한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drone equipped with a self-camera for easy photo taking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휴대용 단말기를 드론에 부착하여 촬영을 수행하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drone equipped with a self-camera that attaches a portable terminal to the drone and performs photographing,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촬영 각도로 촬영할 수 있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drone having a self-camera capable of taking pictures at various shooting angle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drone having a self-camera.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프로펠러부,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바디부 내에 장착된 통신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갖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용 단말기와 상기 대상체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로펠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one equipped with the self-camera includes a body part, a propeller part mounted on the body part to separate the body part from the ground, and a communication part mounted in the body part to communicate with a user terminal, and A photographing terminal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includ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object having the user terminal, and u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photographing terminal and the object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range,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peller uni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은, 상기바디부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 제어 플레이트, 및 상기 제어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결합된 일단, 및 상기 촬영용 단말기와 결합된 타단을 갖고, 상기 제어 플레이트의 하부면에서 아래로 연장하는 복수의 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one equipped with the self-camera includes a control plate detachably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plat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photographing terminal. an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leg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plat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레그의 상기 일단들은, 상기 제어 플레이트의 하부면의 가장자리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레그의 상기 타단들은, 상기 촬영용 단말기의 가장자리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ne ends of the plurality of legs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edg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plate, and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legs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edges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레그의 상기 타단들은, 상기 촬영용 단말기의 뒷면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촬영용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갖는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legs may be coupled to an edge of a rear surface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and a front camera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may photograph an object having the user termina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은, 상기 촬영용 단말기가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user terminal communicate using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drone equipped with the self-camera stores an image and an image file in which the photographing terminal captures the object. It may include more wealth.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르면,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프로펠러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바디부 내에 장착된 통신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갖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용 단말기와 상기 대상체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로펠러부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정한 기준 거리 범위 내에 드론이 비행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제어하면서 셀프 촬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동시에 활동 장면을 이미지 파일 및 영상 파일로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는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기를 상기 촬영용 단말기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drone having a self-camera includes a body part, a propeller part mounted on the body part to separate the body part from the ground, a communication part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mounted in the body part, the A terminal for photographing including a camera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to photograph an object having the user terminal, and the propeller unit so that the terminal for photographing and the object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range u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t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perform self-photography while easily controlling the drone to fly within a certain reference distance range, enjoy various activities, and easily store the activity scenes as image files and video files. In addition,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at is not used and left unattended can be easily utilized as the terminal for the photographing.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히나 드론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의 다양항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에 포함된 제어 플레이트 및 촬영용 단말기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에 포함된 제어 플레이트 및 촬영용 단말기의 각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lf-camera or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drone having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one equipped with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a drone having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ntrol plate and a photographing terminal included in a drone having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adjusting an angle of a control plate and a photographing terminal included in a drone having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a complementary embodiment thereof.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or' is used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the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ele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configura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히나 드론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rone with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drone having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rone equipped with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바디부(105), 제어부(110), 프로펠러부(120), 촬영용 단말기(130), 통신부(140), 및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 the drone 100 having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05 , a control unit 110 , a propeller unit 120 , a photographing terminal 130 ,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40 and a data storage unit 150 .

상기 바디부(105)는 상기 드론(100)의 몸체일 수 있다. The body part 105 may be the body of the drone 100 .

상기 프로펠러부(120)는 상기 바디부(105)에 장착되어,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을 비행시킬 수 있다. The propeller unit 120 may be mounted on the body unit 105 to fly the drone 100 equipped with the self-camera.

상기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기(160)와 다양한 무선 통신 방법(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등)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바디부(105) 내에 장착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transmit/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the user terminal 160 through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eg, Bluetooth, wi-fi, etc.).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mounted in the body unit 105 .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에 포함된 카메라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를 갖는 대상체(예를 들어, 사람, 동물 등)를 촬영하여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카메라에서 생성된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은 상기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는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의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는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의 상기 바디부(105)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The camera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generate images and video files by photographing an object (eg, a person, an animal, etc.) having the user terminal 160 . Images and video files generated by the camera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5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5 of the drone 100 equipped with the self-camera. Alternatively, unlike shown in FIGS. 1 and 2 ,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be mounted on the body portion 105 of the drone 100 having the self-camera.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와 상기 대상체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로펠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와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1:1로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이 대상체의 주변에 자동으로 위치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propeller unit 120 so that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and the object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range by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60 . In other words, the user terminal 160 and the drone 100 having the self-camera may be connected through 1:1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drone 100 equipped with the self-camera may be automatically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object.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무선충전 패드 등일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60 may b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wireless charging pad, or the like.

상기 대상체의 주변에서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에 의해 촬영된 상기 대상체의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로부터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전송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대상체의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은, 상기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로 실시간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체의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은 외부 서버로 실시간 전송될 수 있다. The image and image file of the object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in the vicinity of the object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5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when a transmission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6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 the image and image files of the objec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60 in real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 have.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mage and video file of the object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server in real time.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자동 고도 센서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기준 고도 범위 내에서 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의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는 자동촬영방식, 또는 수동촬영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의 명령에 따라 상기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m~30m 까지 수동지정하여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이 상기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항공법에 걸리지 않는 30M로 제한될 수 있다. The drone 100 equipped with the self-camera may have an automatic altitude sensor. For this reason, the drone 100 equipped with the self-camera can fly within the reference altitude range. 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of the drone 100 equipped with the self-camera may photograph the object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user terminal 160 in an automatic photographing method or a manual photographing method. For example, the drone 100 equipped with the self-camera may photograph the object by manually designating 2m to 30m. In addition, the drone 100 equipped with the self-camera may be limited to 30M not subject to the Aviation 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은, 라즈베리파이 + ( NAVIO+ ), 가속도센서 + 자이로센서 (IMU 센서), GPS 모듈, Wifi 모듈, Bluetooth 모듈, 초음파 센서, 무선충전방식(공진방식), 카메라(1080p), 짐벌, 리모콘컨트롤러, 및 리튬폴리늄배터리를 포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구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one equipped with the self-camera includes a Raspberry Pi + ( NAVIO + ), an acceleration sensor + a gyro sensor (IMU sensor), a GPS module,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ultrasonic sensor, a wireless charging method (resonance method) ), a camera 1080p, a gimbal, a remote controller, and a lithium polynium battery,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에 자율 비행 시스템, 충돌 방지 시스템, 고도 제한 시스템, 다이폴코일을 이용한 무선자기공진방식 충전부가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utonomous flight system, a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 altitude limiting system, and a wireless self-resonance charging unit using a dipole coil may be mounted on the drone equipped with the self-camera.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의 다양항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embodiments of a drone having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를 갖는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거나, 암벽 등반을 하는 등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동안에도,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자동적으로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4 and 5 , in the drone 100 having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having the user terminal 160 enjoys leisure sports such as riding a bicycle or rock climbing. Even during the period, it is automatically located within the reference distance range from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be easily photographed.

이로 인해, 상기 사용자는 사진 촬영에 신경쓰지 않고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활동 장면을 용이하게 촬영, 저장, 및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enjoy various activities without worrying about taking pictures, and at the same time, can easily capture, store, and check the user's activity scene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에 포함된 제어 플레이트 및 촬영용 단말기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에 포함된 제어 플레이트 및 촬영용 단말기의 각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ntrol plate and a photographing terminal included in a drone equipped with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and 8 are views illustrating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angle adjustment method of the control plate and the photographing terminal included in the provided drone.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를 갖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6 to 8 , as described above, the drone 100 having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5 to the user terminal 160 . may include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includ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object having a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는 단말기 교체 후 사용하지 않고 방치된 단말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되지 않고 방치된 단말기를 드론의 상기 바디부(105)에 부착하여, 촬영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be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be a terminal that is left unused after replacing the terminal.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used terminal may be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105 of the drone and utilized for photographing.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는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은, 제어 플레이트(138) 및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5 . Specifically, the drone 100 with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plate 138 and the plurality of legs 136a, 136b, 136c, and 136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는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는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자석 또는 후크 등을 이용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일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는 상기 바디부(105)와 별개의 구성이 아닌, 상기 바디부(105)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는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지 않고, 상기 바디부(105)와 일체(one body)를 이룰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plate 138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5 . For example, the control plate 138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5 using a magnet or a hook. Alternatively, according to a modification, the control plate 138 may be a part of the body 105 rather than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body 105 . In this case, the control plate 138 may not be detachably mounted, but may form one body with the body part 105 .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일단들이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의 하부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일단들은,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의 하부면의 가장자리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plurality of legs 136a , 136b , 136c , and 136d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plate 138 . Specifically,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legs 136a , 136b , 136c , and 136d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edg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plate 138 .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타단들에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타단들에 각각 제1 자석 패드가 제공되고,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뒷면에 제2 자석 패드들이 부착되어, 상기 제1 자석 패드 및 상기 제2 자석 패드 사이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가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타단들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legs 136a, 136b, 136c, and 136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first magnetic pa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legs (136a, 136b, 136c, 136d), respectively, and second magnetic pads are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By the magnetic attraction between the first magnetic pad and the second magnetic pad,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legs 136a, 136b, 136c, 136d to be detachably coupled. .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일단들이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의 하부면의 가장자리에 고정 결합되는 경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타단들은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뒷면의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촬여용 단말기(130)의 전면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를 갖는 상기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legs 136a, 136b, 136c, and 136d are fixedly coupled to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plate 138, the plurality of legs 136a, 136b, 136c, 136d ), the other ends may be coupled to the edg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 Accordingly, the front camera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photograph the object having the user terminal 160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는 각각, 유니버셜 조인트(134a) 및 변동 로드(13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동 로드(134b)는,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 내부에 구비된 모터부(예를 들어, 리니어 모터(linear motor))에 의해 구동되어,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제어 플레이트(138)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105)의 상기 통신부(140) 및 상기 제어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결론적으로, 상기 변동 로드(134b)의 길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legs 136a , 136b , 136c , and 136d may include a universal joint 134a and a variable rod 134b . The variable rod 134b may be driven by a motor (eg, a linear motor) provided in the control plate 138 to change its length.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plate 138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5 , and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plate 138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5 , the It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10 . Accordingly, the motor unit may be controlled by the user terminal 160 , and consequently, the length of the variable rod 134b may be controlled by the user terminal 160 .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변동 로드(134b)의 길이가 변화되어,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전면 카메라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를 갖는 상기 대상체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에 포함된 상기 변동 로드(134b)의 길이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길이가 제어되는 상기 변동 로드(134b)에 의해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길이가 변화되고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길이 변화에 맞춰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34a)가 벤딩(bending)되어,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기울기가 조절되고, 이로 인해, 촬영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variable rod 134b of the plurality of legs 136a, 136b, 136c, and 136d may be changed, so that the angle of the front camera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be chang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photograph the object having the user terminal 160 . Specifically, the length of the variable rod 134b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legs 136a, 136b, 136c, 136d may be individually controlled, and the length of the variable rod 134b is individually controlled.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legs (136a, 136b, 136c, 136d) is changed and the universal joint (134a) is ben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length of the plurality of legs (136a, 136b, 136c, 136d). The inclination of the terminal 130 is adjusted, so that the shooting angle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어, 제3 레그(136c) 및 제4 레그(136d)의 길이가 길어지고, 제1 레그(136a) 및 제2 레그(136b)의 길이가 고정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길어진 상기 제3 레그(136c) 및 상기 제4 레그(136d)에 의해,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34a)가 벤딩(bending)되면서,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가 기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레그(136c) 및 상기 제4 레그(136d)에 인접한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일변이, 상기 일변에 대향하는 타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전면 카메라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third leg 136c and the fourth leg 136d is increased and the length of the first leg 136a and the second leg 136b is fixed, as shown in FIG. , as the universal joint 134a of the plurality of legs 136a, 136b, 136c, and 136d is bent by the third leg 136c and the fourth leg 136d, the length of which is increased, while the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be inclined.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adjacent to the third leg 136c and the fourth leg 136d may be located at a relatively lower level than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and thus , the angle of the front camera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be changed.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1 레그(136a) 및 상기 제4 레그(136d)의 길이가 길어지고, 상기 제2 레그(136b) 및 상기 제3 레그(136c)의 길이가 고정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길어진 상기 제1 레그(136a) 및 상기 제4 레그(136d)에 의해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6d)의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34a)가 벤딩(bending)되면서,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가 기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레그(136a) 및 상기 제4 레그(136d)에 인접한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일변이, 상기 일변에 대향하는 타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전면 카메라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lengths of the first leg 136a and the fourth leg 136d are increased and the lengths of the second leg 136b and the third leg 136c are fixed, FIG. 8 As shown in Fig., the universal joint 134a of the plurality of legs 136a, 136b, 136c, 136d is bent by the first leg 136a and the fourth leg 136d, the length of which is increased. ),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be inclined.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adjacent to the first leg 136a and the fourth leg 136d may be located at a relatively lower level than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and thus , the angle of the front camera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may be chang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상기 드론(100)은, 바디부(105), 상기 바디부(105)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부(105)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프로펠러부(120),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와 통신하고 상기 바디부(105) 내에 장착된 통신부(140),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를 갖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용 단말기(1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용 단말기와 상기 대상체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로펠러부(12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는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기를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와 결합된 상기 복수의 레그(136a, 136b, 136c, 1356d)의 길이 제어를 통해,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촬영용 단말기(130)의 전면 카메라의 각도를 용이하게 제어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 가능한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100)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 100 having a self-camera has a body 105 and a propeller unit 120 mounted on the body 105 to separate the body 105 from the ground. ), a communication unit 140 mounted in the body unit 105 and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160 , and a camera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unit 105 to photograph an object having the user terminal 160 . The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the propeller unit 120 so that the photographing terminal and the object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range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and the user terminal 160, including: may include. Accordingly, an unused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can be easily utilized as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legs (136a, 136b, 136c, 1356d) coupled to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the front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130 By easily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camera, the drone 100 having a self-camera capable of taking pictures from various angles may be provided.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의 변형 예가 설명된다. Hereinafter, a modified example of a drone having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 drone equipped with a self-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르면, 상술된 상기 드론(100)의 상기 바디부(105)의 하부면에 하우징(210)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에 카메라(2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40)의 상단은 연결 로드(236) 및 유니버셜 조인트(232)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상단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하단은 개방되어, 개방된 영역을 통해 상기 카메라(240)를 통해 대상체가 촬영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210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5 of the drone 100 described above, an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10 . A camera 240 may be mounted on the . The upper end of the camera 24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210 by a connecting rod 236 and a universal joint 232 .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210 is open, so that an object may b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240 through the open area.

상기 하우징(210)의 측벽의 내벽 상에는 코일부(252, 254)가 제공되고, 상기 코일부(252, 254)와 마주보는 상기 카메라(240)의 측벽 상에는 자성부(242, 244)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부(252, 254)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및 세기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코일부(252, 254)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상기 코일부(252, 254) 및 상기 자성부(242, 244)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여, 상기 카메라(240)가 제1 코일부(252) 또는 제2 코일부(254)에 인접하도록,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232)에 의해 기울여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240)의 각도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Coil units 252 and 254 ar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210, and magnetic units 242 and 244 are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camera 240 facing the coil units 252 and 254. c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units 252 and 254 may be controlled by the user terminal 16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and the coil uni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252 and 254, attractive or repulsive force acts between the coil units 252 and 254 and the magnetic units 242 and 244, so that the camera 240 operates the first coil unit. It may be tilted by the universal joint 232 so as to be adjacent to the 252 or the second coil unit 254 . Accordingly, the angle of the camera 240 can be easily controlled.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1 코일부(252) 및 제1 자성부(242)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1 코일부(252)에 전류가 흐르거나, 또는 상기 제2 코일부(254) 및 제2 자성부(244)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2 코일부(254)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카메라(240)가 상기 제1 코일부(252)에 인접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1 코일부(252) 및 상기 제1 자성부(242)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1 코일부(252)에 전류가 흐르거나, 또는 상기 제2 코일부(254) 및 상기 제2 자성부(244)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2 코일부(254)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카메라(240)가 상기 제2 코일부(254)에 인접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for example, a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coil unit 252 so that an attractive force acts between the first coil unit 252 and the first magnetic unit 242 , or the second coil unit 254 . ) and the second magnetic part 244 , when a current flows in the second coil part 254 to act as a repulsive force, the camera 240 may be inclined to be adjacent to the first coil part 252 . . Alternatively, for another example, a current flows in the first coil unit 252 such that a repulsive force acts between the first coil unit 252 and the first magnetic unit 242 , or the second coil unit When a current flows in the second coil unit 254 so that an attractive force acts between the 254 and the second magnetic unit 244 , the camera 240 is tilted to be adjacent to the second coil unit 254 . can get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하우징(210)의 측벽에는 3개 이상의 코일부가 제공되고, 상기 3개 이상의 코일부와 마주보는 상기 카메라(240)의 측벽에는 3개 이상의 자성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로드(236)가 연장하는 방향을 바라보는 뷰(view)에서, 상기 카메라(240)의 측벽에 4개의 자성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4개의 자성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210)의 측벽에 4개의 코일부가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하우징(210)의 제1 내지 제4 측벽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의 내벽 상에 상기 4개의 코일부가 제공되고, 상기 4개의 코일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카메라(240)의 측벽에 4개의 자성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3개 이상의 코일부는 각각 개별적으로 전류의 방향 및 세기가 제어되되, 2개 이상의 코일부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240)는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unlike shown in FIG. 9 , three or more coil parts are provided on the sidewall of the housing 210 , and three or more magnetic parts are provided on the sidewall of the camera 240 facing the three or more coil parts. can For example, in a view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rod 236 extends, four magnetic parts are disposed on the sidewall of the camera 240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face the four magnetic parts. Four coil units may be provided on the sidewall of the housing 210 for viewing.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to fourth sidewalls of the housing 210 are included, the four coil units are provided on the inner walls of the first to fourth sidewalls, and the camera ( 240) may be provided with four magnetic parts on the side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the current may be individually controlled by the three or more coil units, and current may be applied to the two or more coil units. Accordingly, the camera 240 can be easily controlled to be inclined at various angles.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당업자들에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odied in the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the instructions perform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not shown in the flowchart block(s). It creates a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may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 manufactured item containing an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step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Additionally,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unctions mentioned in blocks to occur out of order in some alternative implementations. For example, two blocks shown one after another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it is possible that the blocks are sometime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110: 제어부
120: 프로펠러부
130: 촬영용 단말기
134a: 유니버셜 조인트
134b: 변동 로드
136a, 136b, 136c, 136d: 레그
140: 통신부
150: 데이터 저장부
160: 사용자 단말기
210: 하우징
232: 유니버셜 조인트
236: 연결 로드
240: 카메라
242, 244: 자성부
252, 254: 코일부
100: drone with selfie camera
110: control unit
120: propeller unit
130: terminal for shooting
134a: universal joint
134b: variable load
136a, 136b, 136c, 136d: leg
140: communication department
150: data storage unit
160: user terminal
210: housing
232: universal joint
236: connecting rod
240: camera
242, 244: magnetic part
252, 254: coil unit

Claims (5)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상기 바디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프로펠러부;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바디부 내에 장착된 통신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갖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용 단말기와 상기 대상체가 기준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로펠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body part;
a propeller part mounted on the body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body part from the ground;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nd mounted in the body unit;
a photographing terminal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includ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object having the user terminal;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ropeller unit so that the photographing terminal and the object are located within a reference distance range by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된 제어 플레이트; 및
상기 제어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결합된 일단, 및 상기 촬영용 단말기와 결합된 타단을 갖고, 상기 제어 플레이트의 하부면에서 아래로 연장하는 복수의 레그를 더 포함하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 plate detachably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A drone having a self-camera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plat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photographing terminal, and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eg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plat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의 상기 일단들은, 상기 제어 플레이트의 하부면의 가장자리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레그의 상기 타단들은, 상기 촬영용 단말기의 가장자리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ne ends of the plurality of legs are fixedly coupled to the edg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plate,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legs, the drone having a self-camera compris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edge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의 상기 타단들은, 상기 촬영용 단말기의 뒷면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상기 촬영용 단말기의 전면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갖는 대상체를 촬영하는 것을 포함하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4. The method of claim 3,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legs are coupled to the edg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A drone equipped with a self-camera comprising, by the front camera of the photographing terminal, photographing an object having the user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촬영용 단말기가 상기 대상체를 촬영한 이미지 및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셀프 카메라를 구비한 드론.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user terminal communicate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drone having a self-camera further comprising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image and an image file obtained by the photographing terminal photographing the object.
KR1020200043100A 2020-04-09 2020-04-09 Drone comprising self camera and method of operating of the same KR1023215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100A KR102321516B1 (en) 2020-04-09 2020-04-09 Drone comprising self camera and method of operating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100A KR102321516B1 (en) 2020-04-09 2020-04-09 Drone comprising self camera and method of operating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167A true KR20210126167A (en) 2021-10-20
KR102321516B1 KR102321516B1 (en) 2021-11-19

Family

ID=7826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100A KR102321516B1 (en) 2020-04-09 2020-04-09 Drone comprising self camera and method of operating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5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311A (en) 2022-04-05 2023-10-12 주식회사 아르고스다인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lf-drone photography ser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003A (en) * 2015-11-18 2017-05-26 최현일 Portable remote control unmanned drones equipped with smartphones
KR20170059893A (en) * 2015-11-20 2017-05-31 주식회사 드론메이트 Drone comprising self camera
KR20170095056A (en) * 2016-02-12 2017-08-22 전준필 Security system using a drone having a plurality of rotor
US20190127084A1 (en) * 2016-11-23 2019-05-02 Chi Pang Yau Camera mounting apparatus for airborne oblique photogrammetric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003A (en) * 2015-11-18 2017-05-26 최현일 Portable remote control unmanned drones equipped with smartphones
KR20170059893A (en) * 2015-11-20 2017-05-31 주식회사 드론메이트 Drone comprising self camera
KR20170095056A (en) * 2016-02-12 2017-08-22 전준필 Security system using a drone having a plurality of rotor
US20190127084A1 (en) * 2016-11-23 2019-05-02 Chi Pang Yau Camera mounting apparatus for airborne oblique photogrammetric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516B1 (en)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96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nomous photography and videography
US11377211B2 (en) Flight path generation method, flight path generation system, flight vehicle,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10185318B2 (en) Return path configuration for remote controlled aerial vehicle
WO2018193574A1 (en) Flight path gener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light path generation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70059893A (en) Drone comprising self camera
WO2018123062A1 (en) Flight path display method, mobile platform, flight system,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US20160124435A1 (en) 3d scanning and imaging method utilizing a self-actuating compact unmanned aerial device
US20200150662A1 (en) Flying body, living body detection system, living body detection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7580161B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mobile photographing device, moving body for photographing, and control device thereof
CN107205111B (en) Image pickup apparatus, mobile apparatus, image pickup system, image pickup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WO2018198313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ction plan cre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17212528A (en) Imaging system, imaging control method, imaging control system, mobile body,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7231518A (en) Photographic equipment, photography are with moving body and moving body photography control device
WO2019009171A1 (en) Imaging device, camera-equipped drone, and mod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2321516B1 (en) Drone comprising self camera and method of operating of the same
WO2020014953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WO202022597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220345607A1 (en) Image exposure method and device, unmanned aerial vehicle
JP6481228B1 (en) Determination device, control device, imaging system, flying object,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JP6495562B1 (en) Aerial imag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using unmanned air vehicle
JP6329219B2 (en) Operation terminal and moving body
KR20210136191A (en) Drone comprising self camera
JP6475568B2 (en) Imaging apparatus and flight control method
JP6471272B1 (en) Long image gener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US11238281B1 (en) Light source detection in field of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