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997A -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질병진단방법 - Google Patents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질병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997A
KR20210123997A KR1020200170971A KR20200170971A KR20210123997A KR 20210123997 A KR20210123997 A KR 20210123997A KR 1020200170971 A KR1020200170971 A KR 1020200170971A KR 20200170971 A KR20200170971 A KR 20200170971A KR 20210123997 A KR20210123997 A KR 20210123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is
unit
data
disease diagnosis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겸
박성근
Original Assignee
김봉겸
박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겸, 박성근 filed Critical 김봉겸
Publication of KR20210123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83Viru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0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viruses
    • G01N2333/08RNA viruses
    • G01N2333/165Coronaviridae, e.g. avian infectious bronchitis vir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질병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은, 바이러스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진단키트의 진단 결과를 개인의 여권번호에 연동하여 개인정보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기초진단정보 저장부, 및 개인의 국가간 이동시 데이터로서 저장한 진단 결과를 근거로 재검사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에 따라 재검사를 수행하는 재검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질병진단방법{DISEASE DIAGNOSIS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ND DISEASE DIAGNOSIS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질병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일회의 시료 채취로 바이러스진단 검사결과의 정확도를 상승시키고, 이를 여권 번호에 연동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로 저장하여 서로 협약된 국가별 공동 서버에 저장하여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질병을 관리하게 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질병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병원 또는 건물 내에 배치된 기기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고 있으며, 진단장치에서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개발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기기와 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서버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각각의 기기에 고유 IP가 부여되어, 각 기기는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있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짐에 따라 진단장치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질병 및 전염병의 전염 경로 및 확산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진단기기를 사용하여 측정값을 얻은 담당자가 전염병 혹은 질병에 걸린 환자의 수, 감염경로 및 국가별, 도시별, 개인별, 질병 별로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7081호(2018.03.05. 등록)인 "질병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살펴보면 시료가 주입되는 진단키트와 상기 진단키트의 시료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진단장치와 상기 진단장치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진단장치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단말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개인의 질병 진단 및 결과를 각 국가별로 표준화하지 못하여 국가 간의 질병 정보의 신뢰성이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바이러스 질병이 전염되는 경우 국가별 개인의 입출국을 막음으로써, 세계 경제의 공항이 도래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37081호(2018.03.05)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일회의 시료 채취로 바이러스진단 검사결과의 정확도를 상승시키고, 이를 여권번호에 연동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로 저장하여 서로 협약된 국가별 공동 서버에 저장하여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질병을 관리하게 하는 새로운 구조의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질병진단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코로나, 사스, 메르스의 항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를 진단하는 질병 진단키트, 상기 질병 진단키트에서 진단결과를 개인의 여권번호에 연동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기초진단정보 저장부, 각 국가의 출입국 관리사무소에서 상기 여권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기초진단정보 저장부로부터 개인정보 데이터를 전달받아 바이러스 진단 결과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부, 상기 정보확인부에서 상기 바이러스 진단 결과에 따라 재검사 여부를 확인하는 재검사부, 상기 재검사부에서 전달받은 진단결과의 개인정보를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 개인정보로 각각 저장하고, 각기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블록체인 서버, 및 상기 블록체인 서버의 개인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를 서로 협약된 각
국가별 공동 서버에 전송하여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은, 상기 기초진단정보 저장부는 개인의 거주지역, 개인이 바이러스 진단 받은 병원과 해당 시간의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개인의 바이러스 진단 횟수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여권번호를 확인 시, 상기 진단 횟수 정보를 알려주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은, 상기 재검사부는 상기 정보확인부에서 바이러스 진단을 받은 개인의 항체를 AI가 패턴분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바이러스의 감역이 확정되면, 개인에게 진단 비용을 항공료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은, 상기 관리서버는 WHO, 질병관리본부, 각국 출입국 사무소, 각국 건강관리 사무처에서 상기 블록체인 서버의 데이터를 확인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은, 상기 질병 진단키트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획되어 이중구조로 형성된 키트 본체부; 상기 키트 본체부의 일측에 시약을 투여하는 시약부; 상기 시약부에 인접하여 시료를 투여하는 시료부; 및 상기 키트 본체부의 타측에 바이러스 감염 결과를 확인하는 검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은, 바이러스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상기 진단키트의 진단 결과를 개인의 여권번호에 연동하여 개인정보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기초진단정보 저장부, 및 개인의 국가간 이동시 상기 데이터로서 저장한 상기 진단 결과를 근거로 재검사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에 따라 재검사를 수행하는 재검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은, 상기 개인의 여권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한 개인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아 바이러스 진단 결과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부, 상기 재검사부에서 전달받은 진단결과의 개인정보를 다수개로 분할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블록체인 서버, 및 상기 분할한 개인정보의 일부를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협약국의 공동 서버로 전송하여 서로 공유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초진단정보 저장부는, 진단 횟수 정보를 저장하며, 여권번호의 확인시 상기 저장한 진단 횟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재검사부는 진단을 받은 상기 개인에게서 채취한 체액의 전자현미경(SEM) 사진 및 기저장된 바이러스 관련 비교 데이터를 이용해 감염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재검사부는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상기 SEM 사진의 바이러스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비교 데이터와의 바이러스 패턴 비교를 통해 감염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진단키트는, 하나의 시약에 대해 동시에 2회 검사를 수행하는 이중 구조의 시약부, 하나의 시료에 대해 동시에 2회 검사를 수행하는 이중구조의 시료부, 및 바이러스의 감염 결과를 확인하는 이중구조의 검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의 질병진단방법은, 진단키트가, 바이러스를 진단하는 단계, 기초진단정보 저장부가, 상기 진단키트의 진단 결과를 개인의 여권번호에 연동하여 개인정보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단계, 및 재검사부가, 개인의 국가간 이동시 상기 데이터로서 저장한 상기 진단 결과를 근거로 재검사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에 따라 재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은 서로 협약된 국가별 공동 서버에 개인의 바이러스 및 질병 정보를 암화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각 국가별 개인의 입출국을 가능하게 하여 세계경제의 공항을 막을 수 있고, 효율적으로 전염병을 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은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바이러스 진단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을 증대시키고 이를 빅데이터로 저장하므로 개인의 질병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
반 질병진단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의 기초진단정보 저장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의 질병 진단키트의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1의 진단 키트를 재도시한 도면,
도 6a는 여권번호에 연동하여 각종 질병을 진단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b는 도 6a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질병진단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질병통합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염 판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의 기초진단정보 저장부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의 질병 진단키트의 개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10)은 질병 진단키트(100), 기초진단정보 저장부(200), 정보확인부(300), 재검사부(400), 블록체인 서버(500) 및 관리서버(6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10)은 코로나, 사스, 메르스의 항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를 진단하는 질병 진단키트(100), 질병 진단키트에서 진단결과를 개인의 여권번호에 연동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기초진단정보 저장부(200), 각 국가의 출입국 관리사무소에서 여권번호를 확인하고, 기초진단정보 저장부로부터 개인정보 데이터를 전달받아 바이러스 진단 결과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부(300), 정보확인부에서 바이러스 진단 결과에 따라 재검사 여부를 확인하는 재검사부(400), 재검사부에서 전달받은 진단결과의 개인정보를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 개인정보로 각각 저장하고, 각기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블록체인 서버(500) 및 블록체인 서버의 개인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를 서로 협약된 각 국가별 공동 서버에 전송하여 관리하는 관리서버(60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질병 진단키트(100)는 코로나, 사스, 메르스의 항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를 진단하는 키트이다.
여기서, 진단키트(100)는 감기, 독감 및 전염병과 같은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고 결과를 검사할 수 있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조건, 방법 및 시간에 진단하여 정확도를 99%까지 신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질병 진단키트(100)는 키트 본체부(110), 시약부(120), 시료부(130) 및 검사부(140)를 더 포함한다.
키트 본체부(1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되어 이중구조로 형성된다.
즉, 키트 본체부(110)는 일반적으로 형성된 질병 진단키트와 달리 이중구조를 형성하여, 하나의 시약과 하나의 시료를 동시에 2회 검사할 수 있게 하여 진단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특히, 일반적인 질병 진단키트는 1회의 검사로 인해 통계적으로 91%의 정확도의 신뢰성을 가지나, 본 발명의 질병 진단키트(100)를 구성하는 키트 본체부(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분리하여 1회의 검사로 2회의 검사결과를 얻는 것이다. 이로 인해, 통계적으로 99% 정확도의 신뢰성을 가지는 것이다.
시약부(120)는 키트 본체부(110)의 일측에 시약을 투여하는 부분이다.
시료부(130)는 시약부(120)에 인접하여 시료를 투여하는 부분으로 개인의 항체 또는 체액을 투여하여 시약부(120)로부터 이동된 시약과 함께 후술하는 검사부(140)로 이동하여 검사결과를 보여주게 하는 역할을 한다.
검사부(140)는 키트 본체부(110)의 타측에 바이러스 감염 결과를 확인하는 부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초진단정보 저장부(200)는 질병 진단키트(100)에서 진단결과를 개인의 여권번호에 연동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기초진단정보 저장부(200)는 수집부(210) 및 알림부(220)를 더 포함한다.
수집부(210)는 개인의 거주지역, 개인이 바이러스 진단 받은 병원과 해당 시간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로 저장을 한다.
이때, 수집부(210)는 각 국가별로 개인의 기초체력 및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한 기록과 개인의 질병에 대한 의무기록을 병원으로부터 전달받도록 한다.
또한, 수집부(210)는 개인의 일반적인 의무기록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전염병이나 바이러스의 진단 검사결과도 데이터로 저장을 한다.
알림부(220)는 개인의 바이러스 진단 횟수 정보를 저장하여 여권번호를 확인 시, 진단 횟수 정보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국가 간의 이동을 위한 공항 내 출입국 관리소에서 여권번호만으로 개인의 의무기록 및 바이러스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기초진단정보 저장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권을 소지한 개인이 진단서를 작성하거나 진단서를 병원으로부터 발부받아 사전에 출입국 관리소에 제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정보확인부(300)는 각 국가의 출입국 관리사무소에서 여권번호를 확인하고, 기초진단정보 저장부(100)로부터 개인정보 데이터를 전달받아 바이러스 진단 결과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정보확인부(300)는 여권번호를 통해 개인의 의무기록 및 바이러스 진단기록이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하여 현재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여권번호에 진단횟수의 정보를 저장하여 각 국가의 출입국 사무소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재검사부(400)는 정보확인부(300)에서 바이러스 진단 결과에 따라 재검사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재검사부(400)는 정보확인부(300)에서 확인한 결과가 양성인 경우, 바이러스에 감염된 개인을 공항 내 출입국 관리사무소에 마련된 진료소로 이동을 시킨다. 그리고 개인은 진료소에 구비된 고성능의 장비를 통해 바이러스를 감염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특히, 재검사부(400)는 정보확인부(300)에서 바이러스 진단을 받은 개인의 항체를 AI가 패턴분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바이러스의 감염이 확정되면, 개인에게 진단 비용을 항공료에 추가하는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국가별 정부의 예산을 사용하지 않고 세계적인 표준화를 통한 진단 방법으로 각 국가의 신뢰에 기반하여 출입국 통제를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 서버(500)는 재검사부(400)에서 전달받은 진단결과의 개인정보를 다수개로 분할된 분할 개인정보로 각각 저장하고, 각기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되어 저장되는 서버이다.
이러한 블록체인 서버(500)는 하나의 개인정보를 분할하여 생성된 개인정보를 암호화된 데이터로 저장하고, 다수의 서버에 분할하여 저장한다.
특히, 개인정보는 국가 통합시스템에 회원가입을 하게 하되, 국가별 이동사는 의무적으로 회원가입을 시킨다.
그리고 분할된 개인정보는 각기 다른 암호화 방식을 적용하여 분할 개인정보를 보호한다.
이로 인해, 개인정보에 대하여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서버(600)는 블록체인 서버(500)의 개인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를 서로 협약된 각 국가별 공동 서버에 전송하여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블록체인 서버(500)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일시적으로 국가별 공동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국가에서 개인정보를 확인하면, 자동으로 개인정보를 삭제할 수 있게한다.
또한, 관리서버(600)는 국가별 공동 서버에서 개인정보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더라도, 블록체인 서버(500)에서 이를 감지하고, 재 암호화로 설정하여 개인의 정보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관리서버(600)는 WHO, 질병관리본부, 각국 출입국 사무소, 각국 건강관리 사무처에서 블록체인 서버(500)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서버로 활용된다.
이로 인해, 각 국가에서 감염된 사람들의 입국 및 출국을 금지하고, 격리를 통한 전염병을 통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진단 키트를 재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 키트(100')는 앞서 언급한 대로 통계적 기법을 응용하여 바이러스 진단 키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간이 바이러스 진단 키트 등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일회의 시료 채취로 이 시료를 다중의 동일 키트를 이용하여 동시에 시험하게 한다. 이렇게 하면 통계적으로 예를 들어 91% 정확도의 진단 키트를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시료로 동일한 시간에 진단 키트를 2개의 진단 키트로 함께 진단하면 정확도가 99%로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진단 키트는 일회성으로 시료와 시약으로 구분되며 시료는 피 또는 침 등을 사용하고, 여기에 진단 시약을 섞은 후 특정 반응을 관찰하여 감염 여부 등을 판단한다. 하지만 시료의 채취 및 시약 혼합의 부정확도, 시약 자체의 부정확도 등에 의하여 진단 정확도가 약 80%에서 90% 내외다. 이러한 낮은 정확도를 가진 진단 키트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시간에 진단하면 정확도를 99% 이상까지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좀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료를 채취하여 시료부(131, 133)에 투입하면 시료부(131, 133)가 입구는 원형으로 하나지만 반으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시료가 반으로 나누어지고, 시약 역시 시약부(121, 123)에 투입하면 시약부(121, 123) 역시 입구는 원형으로 하나지만 반으로 나눠져 있어 시약도 반으로 나눠져 각각의 독립된 검사를 거치게 된다. 즉, 한번의 시료 채취/투입 및 시약 투입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시료와 시약으로 동일한 시간에 진단이 진행된다. 현재 진단키트는 약 91%의 정확도를 가지고 있어 도 4 및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조건하에 동일한 시료와 시약으로 동일한 시간에 진단이 진행되면 확률적으로 99%의 진단 확률이 된다. 확률은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진단 못 할 확률 키트 1 (9%) × 진단 못할 확률 키트 2 (9%) = 진단 못할 확률 0.081%
도 5에서 도면번호 140은 검사부를 나타내며, 검사부(140)의 경우에도 검사부 1(혹은 제1 검사부)(141)과 검사부 2(혹은 제2 검사부)(143)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항온항체 방식으로 바이러스의 유무를 진단하는 방법은 진단 시간이 15분 정도로 짧지만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면 시간은 15분 이내로 진단하면서 정확도를 99%까지 높이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100')는 일반적인 항온항체 방식의 단일 시험키트를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이중 또는 다중으로 동일 시간에 동일한 시료의 동일한 시험을 가능하게 하여 정확도를 99%까지 높이면서 가장 최적의 비용으로 검사를 수행한다. 그 결과 일반적으로 90% 대의 진단키트를 중복 또는 다중 시험을 함으로써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a는 여권번호에 연동하여 각종 질병을 진단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b는 도 6a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항 등에서 전 세계가 합의한 동일한 테스트로 질병을 진단하고 여권번호에 연동하여 이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DB)하여 저장하고 이 데이터베이스를 블록체인화하여 저장하여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이를 출입국 관리사무소, 질병관리센터 등의 각국 기관에 제공하여 전 세계적으로 동일한 표준하에 질병으로 인한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려는 것에 대하여는 앞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중복 진단키트 성능 제고 방법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기술한 바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단 및 결과 보고 등을 체계화하여 출입국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출입국관리소, 질병관리센터 등 정부기관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게 한다. 또한 진단 비용을 비행기표에 추가하여 정부의 예산을 사용하지 않고 전 세계적인 표준화를 통한 진단 방법으로 각국간의 신뢰에 기반한 출입국 통제를 가능하게 해 준다.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등 전염병들이 발생하면 각 나라들은 감염된 사람들의 입국 및 출국을 금지함으로써 격리를 통해 전염병을 통제한다. 문제는 이러한 무분별한 통제를 함으로써 여행관련 산업 및 경제가 위축된다. 따라서 전 세계가 공인하는 진단 방법을 사용하여 제3기관이 각국을 대신하여 검사를 하고 음성 판정을 받은 사람들만 입/출국을 시키게 하여 전 세계적인 공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지만, 공항 등에서 전 세계가 합의한 동일한 테스트로 질병을 진단하고 여권번호에 연동하여 이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이 데이터베이스를 블록체인화하여 저장하여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이를 출입국 관리사무소, 질병관리센터 등의 각국 기관에 제공하여 전 세계적으로 동일한 표준하에 질병으로 인한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때, 도 1, 도 5에서와 같은 진단키트(100')를 병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 세계적인 나라간의 입출국을 가능하게 해주어 전세계 경제의 공황을 막을 수 있으며 효율적인 전염병의 통제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여권번호와 진단 결과를 연동하여 간편하게 자료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화하여 저장하고, 또 진단 비용을 비행기표 비용에 추가하도록 SABRE 등 발권 시스템에 추가하며, 진단을 전자 현미경(SEM)으로 바이러스를 인공지능(AI)으로 패턴분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SEM 패턴 분석은 바이러스의 초기 진단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재검사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7에서 좀더 다루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질병진단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질병진단시스템(이하, 질병진단시스템)(190)은 진단장치(700), 사용자단말장치(710), 통신망(720), 질병통합관리장치(730) 및 서드파티장치(7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740)와 같은 일구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질병진단시스템(190)이 구성되거나, 질병통합관리장치(7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7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진단장치(700)는 앞서 도 4 및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 있는 진단키트(100, 100')를 포함할 수 있지만, 좀더 정확하게는 바이러스를 전자 현미경 등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진단장치(700)는 진단자, 가령 출입국자의 침 등의 체액을 샘플로 채취하여 이에 대하여 사진 촬영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바람직하다. 침 등의 체액에 대한 샘플을 채취하여 글래스 등의 검체기판에 담은 후 이를 전자 현미경 등을 통해 SEM 사진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자 현미경 등을 이용한 진단은 앞서 언급한 대로 도 4나 도 5의 진단키트(100, 100')를 적용한 후에 재검사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초기에도 얼마든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것에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진단장치(700)에서 취득한 진단자의 SEM 사진에 대한 촬영영상 즉 SEM 데이터는 의료진의 사용자 단말장치(710)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710)는 의료진의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진단장치(700)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장치(710)는 의료진장치라 명명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사용자 단말장치(710)은 공항의 출입구에서 출입국 관리소의 직원이 관리하는 관리자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710)는 앞서 언급한 대로 통신망(720)을 경유하여 질병통합관리장치(730)에 접속하여 특정 국가에 입출국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가령 코로나 등과 관련한 진단 결과를 제공받아 이를 활용할 수 있으며, 진단이 완료된 사용자의 진단 정보를 질병통합관리장치(730)로 제공하여 국가 차원에서 관리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710)는 물론 이의 동작은 질병통합관리장치(730)에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감염여부를 판정하는 검사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710)는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저장 및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710)는 질병통합관리장치(730)로부터 가령 기존의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한 사진(혹은 바이러스) 패턴과 관련한 비교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710)는 진단장치(700)의 SEM 데이터와 기저장된 비교 데이터 즉 바이러스 관련 패턴 등의 데이터를 AI 패턴 분석을 통해 바이러스의 감염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통신망(7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7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7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7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7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7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71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71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질병통합관리장치(7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질병통합관리장치(730)는 적어도 도 1의 관리서버(600)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1의 블록체인 서버(500)의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병통합관리장치(730)는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진단이 완료되고 이에 대한 결과를 DB(730a) 내에 개인정보(혹은 개인정보 데이터)로서 갱신하고자 할 때, 체인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장치 가령 서버의 승인이 있을 때 즉 트랜잭션 승인이 있을 때 데이터의 갱신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해킹 등으로부터 내부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물론 앞서서는 해킹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정보 데이터를 분할하고, 즉 쪼개고 분할한 데이터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서로 다른 장치에서 각각 저장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블록체인 방식과 데이터를 쪼개어 암호화하여 서로 다른 장치에서 각각 저장하는 방식, 그리고 이의 두가지 방식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질병통합관리장치(730)는 각 국가 차원에서 운영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720)을 경유하여 타국가에서 운영하는 질병관리서버 즉 서드파티장치(740)와 연계하여 국가간 공항을 입출국하는 사용자들의 질병을 관리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통합관리장치(730)는 고성능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앞서 사용자 단말장치(710)에서 수행할 수 있는 감염 여부 판정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내부에 기존의 바이러스 패턴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장치(710)로부터 특정 진단자 가령 출입국자의 SEM 사진의 SEM 데이터를 전송하면 비교 데이터와 AI 패턴 분석을 통해 감염여부를 판정한 후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장치(71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다만, 통신망(720)의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는 여지가 많으므로, 검사는 사용자 단말장치(71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가령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장치(710)에서 검사 즉 감염여부 판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AI 패턴 분석에 오류가 의심될 때 선택적으로 질병통합관리장치(730)에서 검사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반대로, 평상시에는 질병통합관리장치(730)에서 이루어지지만, 통신망(720)의 불통이 있거나 불통이 예상될 때 사용자 단말장치(710)에서 선택적으로 검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서드파티장치(740)는 타 국가에서 국가 차원에서 운영되는 질병관리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국가간 연계를 통해 공항을 출입국하는 사용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이를 통해 국가간 협력뿐 아니라,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한 표준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서드파티장치(740)는 질병통합관리장치(730)와 연동하여 개인들의 질병관리 데이터를 서로 공유할 수 있고, 이의 과정에서 데이터 보호를 위하여 블록체인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트랜잭션 승인 처리를 위한 노드(Node)로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7의 질병진단시스템(190)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8은 도 7의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질병통합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을 도 7의 사용자 단말장치(710)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7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800), 제어부(810), 감염관리부(820) 및 저장부(8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8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사용자 단말장치(710)가 구성되거나, 감염관리부(8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8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앞선 도 1 내지 도 7에서의 내용을 모두 반영할 수 있지만, AI 패턴 분석 동작에 국한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는 도 7의 통신망(720)을 경유하여 질병통합관리장치(7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는 통신을 통해 기존의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한 사진 패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이에 앞서 바이러스의 패턴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프로그램, 가령 AI 패턴 비교 프로그램을 제공받아 제어부(810)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는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810)는 도 8의 사용자 단말장치(71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800), 감염관리부(820) 및 저장부(8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를 통해 수신되는 기존의 바이러스 패턴과 관련한 데이터를 비교 데이터로서 수신하여 저장부(8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810)는 도 7의 진단장치(700)로부터 제공되는 피검사자의 체액 즉 샘플로서 채취된 침 등에 대한 SEM 사진 등의 SEM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부(830)에 임시 저장한 후 감염관리부(8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10)는 SEM 데이터의 비교 분석을 위하여 감염관리부(820)를 제어하여 내부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감염관리부(820)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탑재할 수 있으며, 제어부(810)로부터 특정 피검사자의 SEM 데이터가 제공되면, 기존의 바이러스에 대한 사진 패턴 데이터 즉 비교 데이터와 비교 동작을 수행하여 감염 여부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경우 딥러닝을 수행하므로 비교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오인식이 있는 경우에도 딥러닝을 통해 인식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화소의 특성분석을 통해 비교가 이루어지므로 사람이 육안으로 판별할 때와는 정확도가 매우 다르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딥러닝에 의한 비교는 통상적인 템플릿 기반으로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 혹은 룰(rule)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방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인공지능의 경우에는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결과를 항시 출력할 수 있다는 점과, 이러한 점에서 예측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룰 정책에 없을 때, 또는 오류가 발생할 때 결과를 출력하지 못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대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염관리부(820)는 피검사자의 SEM 데이터와, 기존의 바이러스 사진을 분석하여 얻은 바이러스 패턴의 비교 데이터를 근거로 피검사자의 감염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저장부(830)는 제어부(8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830)는 피검사자의 샘플로서 채취된 침 등의 체액에 대한 SEM 사진의 SEM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저장한 SEM 데이터와 AI 패턴 분석을 위한 비교 데이터로서 기존의(혹은 지금까지 알려진) 바이러스 사진을 분석한 비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사용자 단말장치(710) 또는 질병통합관리장치(7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8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도 7의 사용자 단말장치(710)의 동작 초기에 감염관리부(8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염 판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를 도 7의 질병진단시스템(190)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단장치(700)는 침 등의 체액에 대한 샘플을 채취하여 전자 현미경 등을 통해 SEM 사진 촬영이 이루어진다(S900, S910). 전자 현미경에는 채취된 샘플 체액이 담긴 글래스 기판 등이 놓일 수 있으며, 샘플을 확대 후 이에 대한 사진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해당 SEM 데이터는 도 7의 사용자 단말장치(710)로 제공되어 인공지능의 패턴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S920). 여기서, 사용자 단말장치(710)는 다양한 유형의 검사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분석 동작을 위한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710)는 패턴 분석 후 분석 결과와 기저장된 바이러스의 사진 패턴 데이터를 비교한 후 바이러스의 감염여부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출력한다(S930). 예를 들어, 인공지능의 딥러닝 분석을 통해 기존의 바이러스 패턴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감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7의 질병진단시스템(190)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은 진단 키트(100, 100')를 이용해서도 다양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질병 진단키트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
100 : 질병 진단키트 110 : 키트 본체부
120 : 시약부 130 : 시료부
140 : 검사부 200 : 기초진단정보 저장부
210 : 수집부 220 : 알림부
300 : 정보확인부 400 : 재검사부
500 : 블록체인 서버 600 : 관리서버
700: 진단장치 710: 사용자 단말장치
720: 통신망 730: 질병통합관리장치
740: 서드파티장치 800: 통신 인터페이스부
810: 제어부 820: 감염관리부
830: 저장부

Claims (7)

  1. 바이러스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상기 진단키트의 진단 결과를 개인의 여권번호에 연동하여 개인정보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기초진단정보 저장부; 및
    개인의 국가간 이동시 상기 데이터로서 저장한 상기 진단 결과를 근거로 재검사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에 따라 재검사를 수행하는 재검사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의 여권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한 개인정보 데이터를 제공받아 바이러스 진단 결과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부;
    상기 재검사부에서 전달받은 진단결과의 개인정보를 다수개로 분할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블록체인 서버; 및
    상기 분할한 개인정보의 일부를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데이터를 협약국의 공동 서버로 전송하여 서로 공유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진단정보 저장부는, 진단 횟수 정보를 저장하며, 여권번호의 확인시 상기 저장한 진단 횟수 정보를 제공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검사부는 진단을 받은 상기 개인에게서 채취한 체액의 전자현미경(SEM) 사진 및 기저장된 바이러스 관련 비교 데이터를 이용해 감염 여부를 판정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검사부는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상기 SEM 사진의 바이러스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비교 데이터와의 바이러스 패턴 비교를 통해 감염 여부를 판정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키트는,
    하나의 시약에 대해 동시에 2회 검사를 수행하는 이중 구조의 시약부;
    하나의 시료에 대해 동시에 2회 검사를 수행하는 이중구조의 시료부; 및
    바이러스의 감염 결과를 확인하는 이중구조의 검사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
  7. 진단키트가, 바이러스를 진단하는 단계;
    기초진단정보 저장부가, 상기 진단키트의 진단 결과를 개인의 여권번호에 연동하여 개인정보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단계; 및
    재검사부가, 개인의 국가간 이동시 상기 데이터로서 저장한 상기 진단 결과를 근거로 재검사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 결과에 따라 재검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 시스템의 질병진단방법.
KR1020200170971A 2020-04-06 2020-12-09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질병진단방법 KR202101239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1314 2020-04-06
KR1020200041314 2020-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97A true KR20210123997A (ko) 2021-10-14

Family

ID=7815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971A KR20210123997A (ko) 2020-04-06 2020-12-09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질병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39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538B1 (ko) 2022-08-19 2023-03-16 주식회사 마크헬츠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비대면 진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081B1 (ko) 2017-08-24 2018-03-09 주식회사 제트바이오텍 질병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081B1 (ko) 2017-08-24 2018-03-09 주식회사 제트바이오텍 질병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538B1 (ko) 2022-08-19 2023-03-16 주식회사 마크헬츠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비대면 진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nnell et al. All health care is not local: an evaluation of the distribution of Emergency Department care delivered in Indiana
Kalantri et al. Accuracy and reliability of pallor for detecting anaemia: a hospital-based diagnostic accuracy study
US202103130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lerated epidemic recovery
Black et al. Field evaluation of standard Diagnostics' bioline HIV/syphilis duo test among female sex workers in Johannesburg, South Africa
CN113962672B (zh) 信息查验系统、移动终端、查验机具和信息查验方法
JP2011070248A (ja) 感染症患者行動履歴収集・分析システム
Quadrini et al. A flow cytometric assay for HLA‐DR expression on monocytes validated as a biomarker for enrollment in sepsis clinical trials
Das et al. CoviLearn: A machine learning integrated smart X-ray device in healthcare cyber-physical system for automatic initial screening of COVID-19
KR20210123997A (ko)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질병진단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질병진단방법
KR20200100361A (ko) 감염병 의심 환자 모니터링 방법 및 감염병 의심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Chandna et al. Anticipating the future: prognostic tools as a complementary strategy to improve care for patients with febrile illnesses in resource-limited settings
Lim et al. Cross-sectional study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and a cost-effectiveness evaluation of screening and preventive treatment strategies for latent tuberculosis among migrants in Singapore
Goyal et al. Frequency of pregnancy testing among adolescent emergency department visits
Moore et al. mHAT app for automated malaria rapid test result analysis and aggregation: a pilot study
Frichi et al. The contribution of reduced COVID-19 test time in controlling the spread of the disease: A simulation-based approach
Negedu-Momoh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BD FACSPresto™ point of care CD4 analyzer to enumerate CD4 counts for monitoring HIV infected individuals in Nigeria
Jethi et al. Asymptomatic COVID-19 patients and possible screening before an emergency aerosol related endodontic protocols in dental clinic-A Review
de Cortina et al. Laboratory evaluation of a smartphone-based electronic reader of rapid dual point-of-care tests for antibodies to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and Treponema pallidum infections
Ter Riet et al. Individual patient data meta-analysis of diagnostic studi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Chao et al. HPV self-sampling for primary cervical cancer screening: a review of diagnostic test accuracy and clinical evidence
Lévesque et al. Evaluation of water gargle samples for SARS‐CoV‐2 detection using Abbott ID NOW COVID‐19 assay
Rutz et al. Impacts of misclassification on Lyme disease surveillance
US20210379580A1 (en) Easily deployed lateral flow test instrument and management system for antigen detection in high throughput test centers
Wiesen et al. Conducting public health surveillance in areas of armed conflict and restricted population acces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polio surveillance in conflict-affected areas of Borno State, Nigeria
Mashat et al. Blockchain-Based Contact Tracing and Information Sharing Model for COVID-19 Pandem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