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954A - Insulation frame system - Google Patents

Insulation fram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954A
KR20210123954A KR1020200041856A KR20200041856A KR20210123954A KR 20210123954 A KR20210123954 A KR 20210123954A KR 1020200041856 A KR1020200041856 A KR 1020200041856A KR 20200041856 A KR20200041856 A KR 20200041856A KR 20210123954 A KR20210123954 A KR 20210123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frame
co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8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9354B1 (en
Inventor
김희일
Original Assignee
김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일 filed Critical 김희일
Priority to KR102020004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354B1/en
Publication of KR2021012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9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3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with thin strips, e.g. defining a hollow space between the metal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06B2003/2631Screw or pin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insulating frame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insulating frame system comprises an asymmetrical T-shape fixture which is coupled to an end of the horizontal frame.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can be combin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frame through the T-shape fixture. The T-shape fixture includes a horizontal insert plate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and a vertical coupling plate to which the horizontal insert plate is asymmetrically coupled. A portion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formed relatively short by the horizontal insert plate is formed to have a short length such that only one vertical coupling hole is formed, so that only one vertical coupling hol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frame.

Description

단열 프레임 시스템{INSULATION FRAME SYSTEM}INSULATION FRAME SYSTEM

본 발명은 단열 프레임 구조체 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용접에 의한 결합을 지양하고 스크류 결합으로 현장에서 구조 형성이 가능한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ated frame structure o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ulated frame system in which a structure can be formed in the field by screw coupling while avoiding bonding by welding.

강화유리 등을 이용한 벽면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창호 프레임을 이용하고 있으며, 창호 프레임은 단일 또는 이중 유리를 고정시킬 수가 있다. 한 장의 유리를 이용하게 되면 이중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단열이나 방음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최근 관공서나 학교, 병원, 상가 등의 현관에 시공되는 창호에는 대부분 페어 글라스와 같은 이중 유리를 사용하고 있다. In forming a wall structure using tempered glass, etc., a window frame is used, and the window frame can fix single or double glass. When a single piece of glass is used, the insulation and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is lowered than when using double glass. .

그러나, 이중 유리를 사용한다고 해도 종래의 창호 프레임은 실내 및 실외 공기와 직접 접하기 때문에 실외 온도를 직접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종래의 창호 프레임은 알루미늄 코어에 스테인리스 프레임 커버를 이용하기 때문에, 열전도도가 높아 내외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고, 열 손실의 주범이 되기도 한다.However, even if double glass is used, the conventional window frame serves to directly transmit the outdoor temperature because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indoor and outdoor air, and the conventional window frame uses a stainless steel frame cover for an aluminum core, so heat conduction Due to the high temperature, it can cause dew condensation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and it can also be the main culprit of heat loss.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알루미늄 코어의 중앙에 아존(Azon)이나 PVC 프레임 등을 삽입하여 프레임의 내외를 열적으로 분리시키는 단열 프레임이 종래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단열 프레임은 금속에 비해 경도가 낮은 아존이나 PVC가 사용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구조가 다소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중간에 삽입되는 아존이나 PVC 구조로 인해 단가나 프레임 무게가 증가하기도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insulating frame that thermally separat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by inserting an Azon or a PVC frame in the center of the aluminum core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However, the conventional insulation frame may have poor durability because Azone or PVC, which has a lower hardness than metal, is used, and the structure tends to be somewhat complicated. In addition, the unit price or weight of the frame may increase due to the Azone or PVC structure inserted in the middle.

한국등록특허 제10-1708286호에는 "원가절감형 창호용 단열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단열 프레임을 이용하여 창호, 도어 또는 벽 등을 형성하기 위해서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상호 결합시키며,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 등은 상호 용접에 의해서 연결되고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08286 discloses "a cost-saving insulation frame for windows and doors". A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ar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window, a door, or a wall using these insulating frames, and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re connected by mutual welding.

이렇게 용접에 의해서 프레임들을 결합하게 되면, 현장에서 용접을 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공장에서 미리 재단 및 용접을 하여 현장으로 이송하고 있다. 그런데 실제로 현장에서 반가공된 프레임들을 설치하면서 설치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보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When the frames are combined by welding in this way, it is very difficult to weld in the field, and they are cut and welded in advance at the factory and transported to the field. However, an installation error may occur while actually installing semi-processed frames in the fiel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cannot be corrected.

물론, 현장에서 용접하는 경우도 있지만, 미리 재단된 수직 및 수평 프레임들을 결합하면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용접은 작업 속도를 현저하게 낮추는 원인이 될 수 있다.Of course, there are cases where welding is performed in the field, but errors may occur while combining pre-cut vertical and horizontal frames, and welding in the field may cause significantly lowering the work speed.

본 발명은 용접에 의한 프레임 결합을 지양하여 용접에 의한 문제점 발생을 최소로 할 수 있는 단열 프레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al insulation frame system capable of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problems due to welding by avoiding frame coupling by welding.

본 발명은 현장에서의 작업 속도가 빠르고, 재단 등의 오차가 있어도 이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쉽게 보정할 수 있는 단열 프레임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al insulation frame system that can be easily corrected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it even if there is an error such as cutting and fast working speed in the field.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프레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al insulation frame system may be provided including at least one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수직 프레임은 수직 단열부, 수직 단열부를 중심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수직 코어, 내부 수직 코어에 대향하는 외부 수직 코어, 내부 수직 코어에 양단이 결속되어 수직 프레임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수직 마감재, 및 외부 수직 코어에 양단이 결속되어 수직 프레임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수직 마감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frame includes a vertical insulation portion, an inner vertical core positioned inside the vertical insulation portion as a center, an outer vertical core facing the inner vertical core, an inner vertical finishing material having both ends bound to the inner vertical core to form an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and Both ends are bound to the outer vertical core may include an external vertical finishing material to form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수평 프레임은 2개 이상의 수직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수직 프레임과 주변 벽, 기타 구조물을 연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하나의 수직 프레임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수평 프레임이 균일 간격 또는 비균일 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A horizontal frame may function to connect two or more vertical frames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to connect a vertical frame to a surrounding wall or other structure. One or two or more horizontal frames may be coupled to one vertical frame at uniform or non-uniform intervals.

구체적으로 수평 프레임은 수평 단열부, 수평 단열부에 대해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수평 코어, 내부 수평 코어에 대향하는 외부 수평 코어, 내부 수평 코어에 양단이 결속되어 수평 프레임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수평 마감재, 및 외부 수평 코어에 양단이 결속되어 수평 프레임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수평 마감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rizontal frame includes a horizontal thermal insulation part, an internal horizontal core positioned insid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insulating part, an external horizontal core facing the internal horizontal core, and an internal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having both ends bound to the internal horizontal core to form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both ends are bound to the outer horizontal core may include an external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to form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수직 단열부를 중심으로 내부 수직 코어 및 외부 수직 코어의 각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슬릿 돌기 및 제2 슬릿 돌기가 T-자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A first slit protrusion and a second slit protrusion facing each other may protrude in a T-shape on the inside of each of the inner vertical core and the outer vertical core based on the vertical heat insulating part.

서로 마주하면서 T-자형으로 돌출된 제1 슬릿 돌기 및 제2 슬릿 돌기를 이용하여 T-결속구가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상호 밀착 및 결합시킬 수 있다. By using the first slit protrusion and the second slit protrusion protruding in a T-shape while facing each other, the T-binding sphere may closely and coupl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결합 평판은 제1 슬릿 돌기 및 제2 슬릿 돌기에 의해서 내측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에 수직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T-결속구는 결합 평판에 대응하여 제1 슬릿 돌기 및 제2 슬릿 돌기에 의해서 외측으로 형성된 외부 공간에 결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upling plate may b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into the inner space formed inside by the first slit protrusion and the second slit protrusion, and the T-binding sphere corresponds to the coupling plate with the first slit protrusion and the second slit protrusion. It may be coupled to an external space formed outside by the slit protrusion.

T-결속구는 결합 평판에 결합되는 수직 결합판 및 수직 결합판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 수평 삽입판을 포함할 수 있고, 수평 삽입판은 수직 결합판에 대해 비대칭 위치에 결합되고, 수직 결합판에는 수평 삽입판의 상하로 적어도 하나의 수직 결합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T-binding sphere may include a vertical coupling plate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and a horizontal insertion plate protruding at right angles to the vertical coupling plate, and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is coupled at an asymmetric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oupling plate, and the vertical coupling plate has At least one vertical coupling hole may be formed above and below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respectively.

수평 삽입판은 내부 수평 코어 및 외부 수평 코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고, 수평 단열부는 삽입부가 형성된 내부 수평 코어 또는 외부 수평 코어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위치하도록 편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The horizontal insert plate may be inserted into an insert formed in any one of the inner horizontal core and the outer horizontal core, and the horizontal insulating portion may be biased to be positioned relatively far from the inner horizontal core or the outer horizontal core on which the insert is formed.

작업자는 현장에서 수평 프레임의 삽입부에 T-결속구의 수평 삽입판을 삽입하고, 수평 삽입판에 형성된 수평 결합홀을 통과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T-결속구를 수평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 The operator inserts the horizontal inserting plate of the T-bundle into the insertion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in the field, and can fix the T-binder to the horizontal frame by using a screw passing through the horizontal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inserting plate.

그리고 T-결속구가 고정된 수평 프레임의 단부를 수직 프레임에 접근시키고, 결합 평판을 매개로 수직 프레임에 수평 프레임의 단부를 스크류 결합을 밀착 및 결합시킬 수 있다. 용접의 경우,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의 오차가 차츰 누적되면서 마지막 작업에 가서야 설치 불가가 드러날 수 있지만, 스크류를 이용하여 수평 프레임을 수직 프레임에 장착함으로써 오차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마지막 조정작업의 스크류의 조절을 통해서 오차를 분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T-결속구의 수직 결합판에 형성된 수직 결합홀을 통과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수직 프레임에 수평 프레임의 단부를 이동시키면서 결합 간격을 조절할 수가 있다.And it is possible to bring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to which the T-bundling ball is fixed close to the vertical frame, 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to the vertical frame through the coupling plate to closely and couple the screw coupling. In the case of welding, the error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gradually accumulates and the installation impossibility can be revealed only at the last operation. It is also possible to disperse the error by adjusting the screw of the operation. That is, the coupling interval can be adjusted while moving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to the vertical frame by using a screw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coupling hole formed in the vertical coupling plate of the T-binding sphere.

T-결속구는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결속구의 수직 결합판 중 수평 삽입판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부분은 수직 결합홀이 하나만 형성될 정도로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부분에는 수직 결합홀이 하나 또는 그 이상 형성될 수가 있다.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T-binding sphere is formed asymmetrically. Specifically, the portion formed relatively short by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among the vertical coupling plates of the T-binding sphere is formed in a short length such that only one vertical coupling hole is formed, and one or more vertical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relatively long portion. can be formed.

수직 결합판 중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에도 수직 결합홀을 형성하되, 수평 프레임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을 작게 유지하여 수평 프레임의 상하에서 모두 스크류에 의한 고정이 가능하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작게 유지할 수 있다.A vertical coupling hole is also formed in a relatively short part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but the portion exposed from the horizontal frame is kept small, so that both the top and bottom of the horizontal frame can be fixed with screws, but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kept small .

수직 단열부 및 수평 단열부는 아존(azon)으로 제공되며, 아존에 의한 수직 단열부를 형성하기 전에 내부 수직 코어 및 외부 수직 코어는 연결부에 의해서 연결되어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단열부를 형성한 다음에 연결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제거하여 단열을 완성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서는 아존 이외에도 PVC 등의 단열 부속으로 코어들을 상호 연결하여 단열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vertical insulation portion and the horizontal insulation portion are provided as an azon, and before forming the vertical insulation portion by the azone, the inner vertical core and the outer vertical core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and provided integrally. In addition, after forming the heat insulating par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art may be re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mplete the heat insulation. Of course, in the insulation fram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n insulation portion by interconnecting the cores with insulation parts such as PVC in addition to the Azone.

아존에 의한 수평 단열부를 형성하기 전에 내부 수평 코어 및 외부 수평 코어는 일체로 연결되며, 수평 삽입판이 삽입되는 코어의 삽입부는 일체로 연결된 내부 수평 코어 및 외부 수평 코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단열부는 삽입부가 형성된 내부 수평 코어 또는 외부 수평 코어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위치하도록 편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The inner horizontal core and the outer horizontal core are integrally connected before forming the horizontal insulation part by the azone, and the insertion part of the core into which the horizontal insert plate is inserted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tegrally connected inner horizontal core and the outer horizontal core, As such, the horizontal insulation may be biased to be positioned relatively far from the inner horizontal core or the outer horizontal core on which the insert is formed.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수직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단열 프레임 시스템은,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 결속되는 비대칭 T-결속구를 포함하고, T-결속구를 매개로 수평 프레임의 단부가 수직 프레임에 밀착되면서 결합될 수 있고, T-결속구는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는 수평 삽입판 및 수평 삽입판이 비대칭으로 결합되는 수직 결합판을 포함하고, 수직 결합판 중 수평 삽입판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부분은 수직 결합홀이 하나만 형성될 정도로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의 외측으로 수직 결합홀이 하나만 노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al insulation frame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It includes an asymmetric T-binding sphere that is bound, 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frame through the T-binding sphere, and the T-binding sphere is asymmetrical with the horizontal insert plate and the horizontal insert plate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Including a vertical coupling plate coupled to, the portion formed relatively short by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is formed with a length short enough to form only one vertical coupling hole, so that only one vertical coupling hol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frame can be

본 발명의 단열 프레임 시스템은 단열 성능을 유지하되,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상호 결속함에 있어서 용접에 의한 프레임 결합을 지양하고, 용접에 의한 문제점 발생을 최소로 할 수 있다.The thermal insulation fram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but in bonding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avoid frame coupling by welding an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problems due to welding.

그 예로, 용접은 현장에서 용이하게 진행할 수 없으며, 작업 속도도 현저하게 늦추는 원인이 될 수 있는데, 현장에서 T-결속구를 통해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면, 작업 속도를 현저하게 빠르게 개선할 수가 있다.For example, welding cannot be easily carried out in the field, and it can cause the work speed to be significantly slowed down. can be

또한, 용접의 경우, 작업이나 설계 오차가 누적되면서 최종적으로는 단열 프레임 시스템의 마지막 작업에서 큰 문제로 발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 따르면 스크류 조절을 통해서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분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welding, as work or design errors are accumulated, it may eventually be expressed as a big problem in the last work of the insulation frame system, and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work has to be restarted from the beginning due to this problem. However, according to the heat insulation fram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rrors can be reduced through screw adjustment, and even when errors occur, they can be disper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서 결합 평판 및 T-결속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열 프레임 시스템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서 수직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서 수직 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서 수평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 시스템의 수평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a thermal insulation fr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plate and a T-binding sphere in the thermal insulation frame system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process of the heat insulation frame system of FIG. 1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vertical frame in the thermal insulation frame system of FIG. 1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orming a vertical frame in the heat insulation frame system of FIG. 1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orizontal frame in the heat insulation frame system of FIG. 1 .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horizontal frame of the thermal insulation fr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is description, the same number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contents described in other drawings under the above rules may be cited and described, and contents determined to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may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서 결합 평판 및 T-결속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열 프레임 시스템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서 수직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서 수직 프레임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서 수평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view for explaining an insulating fr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plate and a T-binding sphere in the insulating frame system of FIG. 1 , FIG. 3 is FIG. 1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heat insulation frame system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vertical frame in the heat insulation frame system of FIG. 1, FIG. 5 is the process of forming a vertical frame in the heat insulation frame system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horizontal frame in the heat insulation frame system of FIG.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 프레임(110) 및 수직 프레임(110)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14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1 to 6 , the heat insulation fr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by at least one vertical frame 110 and a horizontal frame 140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110 in a horizontal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는 창호, 강화 유리 구조물, 유리 도어, 샌드위치 판넬 프레임 등 다양한 구조에 사용될 수 있으며, 프레임으로 만들어진 구조물에는 강화 유리, 샌드위치 판넬, 기타 등이 장착될 수 있다.The heat insulation fr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used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windows, tempered glass structures, glass doors, sandwich panel frames, and the like, and tempered glass, sandwich panels, etc. may be mounted on the structure made of the frame.

수직 프레임(110)은 수직 단열부(112), 수직 단열부(112)를 중심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수직 코어(122), 내부 수직 코어(122)에 대향하는 외부 수직 코어(126), 내부 수직 코어(122)에 양단이 결속되어 수직 프레임(110)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수직 마감재(132), 및 외부 수직 코어(126)에 양단이 결속되어 수직 프레임(110)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수직 마감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rtical frame 110 includes a vertical insulation portion 112 , an inner vertical core 122 positioned inside the vertical insulation portion 112 , an outer vertical core 126 opposite to the inner vertical core 122 , an inner Both ends are bound to the vertical core 122 to form an inner vertical finishing material 132 that forms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10 , and both ends are bound to the outer vertical core 126 to form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10 . A vertical finisher 136 may be included.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수직 마감재(132) 및 외부 수직 마감재(136)는 코어의 내측에 형성된 홈에 결속되거나 코어의 내면에 접착되어 결속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수직 코어(122) 및 외부 수직 코어(126)는 프레임의 외면 전체를 지지하도록 중공의 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부만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즉, 코어가 프레임의 외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단면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이는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the inner vertical finishing material 132 and the outer vertical finishing material 136 may be bound to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re or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re. In addition, the inner vertical core 122 and the outer vertical core 126 may be provid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o support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frame, but in some cases, they are formed to support only a portion and are provided in an open form can be That is, it is not necessary for the core to be formed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 section as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and this can be applied to both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수평 프레임(140)은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프레임으로서, 2개 이상의 수직 프레임(110)을 연결하거나 수직 프레임(110)과 주변 벽이나 기타 구조물을 연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하나의 수직 프레임(110)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수평 프레임(14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수평 프레임(140)들은 균일 간격 또는 비균일 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frame 140 is a frame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serve to connect two or more vertical frames 110 or connect the vertical frame 110 and a peripheral wall or other structure. . One or two or more horizontal frames 140 may be connected to one vertical frame 110 , and the horizontal frames 140 may be coupled at uniform or non-uniform intervals.

수평 프레임(140)은 수평 단열부(142), 수평 단열부(142)에 대해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수평 코어(152), 내부 수평 코어(152)에 대향하는 외부 수평 코어(156), 내부 수평 코어(152)에 양단이 결속되어 수평 프레임(140)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수평 마감재(162), 및 외부 수평 코어(156)에 양단이 결속되어 수평 프레임(140)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수평 마감재(166)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frame 140 has a horizontal insulation 142 , an inner horizontal core 152 positioned therei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insulation 142 , an outer horizontal core 156 opposite the inner horizontal core 152 , and an inner horizontal core 152 . An inner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162 having both ends bound to the core 152 to form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40 , and an outer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162 having both ends bound to the outer horizontal core 156 to form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40 . A finishing material 166 may be included.

수직 프레임(110)에서 수직 단열부(112)는 아존(azon)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수직 코어(122)와 외부 수직 코어(126)는 연결부(114)를 매개로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수직 단열부(112)가 형성될 부분은 아직 연결부(114)가 분리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된다.In the vertical frame 110 , the vertical heat insulating part 112 may be formed using an azon. That is, as shown in FIG. 4 , the inner vertical core 122 and the outer vertical core 126 may be integrally provided via the connecting portion 114 , and the portion where the vertical thermal insulation portion 112 is to be formed is still The connection part 114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it is not separated.

본 실시예에서 내부 수직 코어(122) 및 외부 수직 코어(126), 그리고 외부 수평 코어(156) 및 외부 수평 코어(156)는 알루미늄 압출 성형물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성형물을 일정 길이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ner vertical core 122 and the outer vertical core 126, and the outer horizontal core 156 and the outer horizontal core 156 may be provided by using an aluminum extrusion molding, and the aluminum molding is cut to a certain length. It can be cut and used.

수직 단열부(112)가 형성된 자리를 기준으로 내부 수직 코어(122) 및 외부 수직 코어(126)의 내측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슬릿 돌기(124) 및 제2 슬릿 돌기(128)가 T-자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을 기준으로 T-자형의 제1 슬릿 돌기(124) 및 제2 슬릿 돌기(128)는 내부 수직 코어(122) 및 외부 수직 코어(126)의 상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수직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상하로 수평 프레임(140)이 각각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며, 수직 프레임(110)과 수평 프레임(140)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면 모두 프레임 시스템에서 내측이 될 수가 있다.The first slit protrusion 124 and the second slit protrusion 128 facing each other inwardly of the inner vertical core 122 and the outer vertical core 126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vertical heat insulating part 112 is formed are T-shaped. can be protruded into For reference, the T-shaped first slit protrusion 124 and the second slit protrusion 128 are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vertical core 122 and the outer vertical core 126 based on the drawings, which are vertical This is because the horizontal frame 140 can be connect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rame 110 , and when the vertical frame 110 and the horizontal frame 1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oth of them can be inside the frame system.

서로 마주하면서 T-자형으로 돌출된 제1 슬릿 돌기(124) 및 제2 슬릿 돌기(128)에 의해서 결합 평판(170)이 길이 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1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116)에 대응하여 결합 평판(170)과 T-결속구(180)가 결속될 수 있는 외부 공간(118)이 형성될 수 있다.An inner space 116 into which the coupling plate 170 can b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by the first slit protrusion 124 and the second slit protrusion 128 protruding in a T-shape while facing each other, An outer space 118 in which the coupling plate 170 and the T-binding sphere 180 can be bound may be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ner space 116 .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평판(170)은 제1 슬릿 돌기(124) 및 제2 슬릿 돌기(128)에 의해서 내측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116)에 삽입될 수 있으며, 수직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T-결속구(180)와 체결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1 and 3, the coupling plate 170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6 formed inwardly by the first slit protrusion 124 and the second slit protrusion 128, and a vertical frame. It can be fixed while being fastened with the T-binding sphere 180 at a desired position by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10 .

이에 대응하여 T-결속구(180)는 결합 평판(170)과 함께 제1 슬릿 돌기(124) 및 제2 슬릿 돌기(128)에 의해서 외측으로 정의되는 외부 공간(118)에 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Correspondingly, the T-binding sphere 18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nd fixed to the external space 118 defined outwardly by the first slit protrusion 124 and the second slit protrusion 128 together with the coupling plate 170 . have.

도 2를 보면, T-결속구(180)는 결합 평판(170)에 결합되는 수직 결합판(184) 및 수직 결합판(184)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 수평 삽입판(18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삽입판(182)은 수직 결합판(184)에 대해 상하 비대칭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T-binding sphere 180 may include a vertical coupling plate 184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170 and a horizontal insertion plate 182 protruding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to the vertical coupling plate 184 . have.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182 may be coupled to the vertical coupling plate 184 in an asymmetric position up and down.

수직 결합판(184)에는 복수개의 수직 결합홀(18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 결합홀(188)은 수평 삽입판(182)의 상하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과 같이, 수평 삽입판(182)은 내부 수평 코어(152)에 형성된 삽입부(144)에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부(144)가 수평 프레임(140)에서 중앙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평 단열부(142)는 삽입부(144)가 형성된 내부 수평 코어(152)보다 외부 수평 코어(156)에 치우친 위치에 편향되어 위치할 수 있다. 반대로 삽입부가 외부 수평 코어에 같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평 단열부는 내부 수평 코어에 편향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vertical coupling holes 188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coupling plate 184 , and at least one vertical coupling hole 188 may be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182 . 1 and 6 ,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182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44 formed in the inner horizontal core 152 , and the insertion portion 144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frame 140 . For this reason, the horizontal heat insulating part 142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external horizontal core 156 rather than the internal horizontal core 152 in which the insertion part 144 is formed. Conversely, the insert may be formed on the outer horizontal core as well, and in this case, the horizontal insulat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inner horizontal core.

작업자는 현장에서 수평 프레임(140)의 삽입부(144)에 T-결속구(180)의 수평 삽입판(182)을 삽입하고, 수평 프레임(140)의 내측 저면에서부터 스크류(187)를 체결하여 수평 삽입판(182)을 삽입부(144) 내부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수평 삽입판(182)에는 스크류 결합을 위한 수평 결합홀(186)이 형성될 수 있다.The operator inserts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182 of the T-binding sphere 180 into the insertion portion 144 of the horizontal frame 140 in the field, and fastens the screw 187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40 to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182 may be fixed inside the insertion part 144 . To this end, a horizontal coupling hole 186 for screw coupling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182 .

T-결속구(180)가 수평 프레임(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원하는 위치에 결합 평판(170)을 위치시키고, 내부 공간(116)에 위치한 결합 평판(170)과 외부 공간(118)에서 접근한 T-결속구(180)의 수직 결합판(184)을 또 다른 스크류(189)로 체결할 수 있다. 이 스크류(189)로 체결하면서, 수평 프레임(140)이 수직 프레임(110)에 밀착 및 접근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T-binding sphere 180 is fixed to the horizontal frame 140, the operator places the coupling plate 170 at a desired position, and the coupling plate 170 and the external space 118 located in the inner space 116. The vertical coupling plate 184 of the T-binding sphere 180 approached from can be fastened with another screw 189 . While fastening with the screw 189 , the horizontal frame 140 may be fixed while closely adhering to and approaching the vertical frame 110 .

도 3과 같이, 수평 프레임(140)의 상면으로 T-결속구(180)의 수직 결합판(184) 중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이 최소 높이로만 노출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수평 프레임(140) 상부로 노출된 하나 정도의 수직 결합홀(188)에 스크류(189)를 체결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3, a relatively short portion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184 of the T-binding sphere 18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40 may be exposed only at a minimum height, and the operator mov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40 By fastening the screw 189 to about one exposed vertical coupling hole 188, a stable coupling can be formed.

종래 기술에서 적용하고 있는 용접의 경우, 수평 프레임을 수직 프레임에 고정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한번 잘못 용접을 하면 이를 수정하거나 다시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용접의 부담이 없어 정확한 위치 조정 및 고정이 가능하며, 설령 실수가 있더라도 이를 수정하기도 매우 용이하다. 물론 전체적인 작업 속도는 더 빨라질 수 있다.In the case of welding applied in the prior art, it is very difficult to fix the horizontal frame to the vertical frame, and once incorrectly welded, it is very difficult to correct it or separate it again.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burden of welding, so accurate positioning and fixing are possible, and even if there is a mistake, it is very easy to correct it. Of course, the overall work speed can be faster.

상술한 바와 같이, T-결속구(180)는 상하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결속구(180)의 수직 결합판(184) 중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부분은 수직 결합홀(188)이 하나만 형성될 정도로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평 삽입판(182)이 삽입부(144)에 삽입되는 것과 동시에 바로 위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 길이를 최소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결합 구조를 이룬다.As described above, the T-binding sphere 180 may be preferably formed vertically asymmetrically. Specifically, the relatively short portion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184 of the T-binding sphere 180 is preferably formed in a short length such that only one vertical coupling hole 188 is formed, and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182 is formed. Since it is exposed directly upward at the same time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44, it forms a coupling structure that can minimize this length.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상단에 위치한 수평 프레임(140)의 상부로 수직 결합판(184)의 짧은 부분이 노출되지만, 반대로 가장 하단에 위치한 수직 프레임(110)에서는 수직 결합판(184)의 짧은 부분이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As shown, a short portion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184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40 located at the top, but on the contrary, in the vertical frame 110 located at the bottom, a short portion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184 This can be exposed underneath.

또한, 그 사이에 위치한 수평 프레임(140)에 결합되는 T-결속구는 반드시 비대칭일 필요는 없으며, 상하 대칭을 이루는 T-결속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수직 프레임에 대해 상단 또는 하단에 결속되는 수평 프레임에는 비대칭 T-결속구가 사용되거나 대칭형 T-결속구 중 노출되는 부분을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binding sphere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140 located therebetween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symmetrical,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T-binding sphere that is vertically symmetrical. However, it may be preferable to use an asymmetric T-bundle or cut an exposed portion of the symmetrical T-bundle for the horizontal frame that is bound to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수직 결합판(184) 중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에도 수직 결합홀(188)을 형성하되, 수평 프레임(140)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을 작게 유지하여 수평 프레임(14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모두 스크류에 의한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A vertical coupling hole 188 is also formed in a relatively short portion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184 , but the portion exposed from the horizontal frame 140 is kept small and fixed by a screw a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40 . This may be possibl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수직 단열부(112) 및 수평 단열부(142)는 아존(azon)으로 제공되며, 도 5과 유사한 과정을 통해서 수평 단열부(142)도 형성될 수 있다. 5 and 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heat insulating part 112 and the horizontal insulating part 142 are provided as an azon, and the horizontal insulating part 142 through a process similar to that of FIG. can also be formed.

우선, 도 5를 보면, 아존에 의한 수직 단열부(112)를 형성하기 전에 내부 수직 코어(122) 및 외부 수직 코어(126)는 연결부(114)에 의해서 연결되어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액상의 수지를 공간에 주입하고 이를 경화시켜 수직 단열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수직 단열부(112)를 경화시킨 다음, 연결부(114)에 해당하는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제거하여 수직 프레임(110)에서의 단열을 완성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5 , before forming the vertical insulation portion 112 by the Azone, the inner vertical core 122 and the outer vertical core 126 may be integrally provided by being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ortion 114 . And the liquid resin can be injected into the space and hardened to form the vertical heat insulating part 112 . After hardening the vertical heat insulating part 112 ,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art 114 may be re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mplete the insulation in the vertical frame 110 .

본 실시예에서는 단열부로서 아존 등의 충진하는 단열재를 사용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서는 아존 이외에도 PVC 등의 압출로 성형한 단열 부속을 코어 사이에 개재시키고, 코어를 변형시켜 단열 부속을 고정시키는 방법 등으로 단열 프레임을 형성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zone is used as the insulating part, but in the insulating fram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addition to Azone, an insulating part molded by extrusion such as PVC is interposed between the cores, and the core is deformed to heat insulating parts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n insulating frame by a method of fixing the .

도 6을 보면, 아존에 의한 수평 단열부(142)를 형성하기 전에 내부 수평 코어(152) 및 외부 수평 코어(156)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수평 삽입판(182)이 삽입되는 코어의 삽입부(144)는 일체로 연결된 내부 수평 코어(152) 및 외부 수평 코어(156) 전체에서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before forming the horizontal insulating portion 142 by the Azone, the inner horizontal core 152 and the outer horizontal core 156 may be integrally connected, and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182 is inserted into the core. The portion 144 may be centrally located throughout the integrally connected inner horizontal core 152 and outer horizontal core 156 .

수평 단열부(142)는 삽입부가 형성된 내부 수평 코어(152)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위치에 편향되게 위치하며, 삽입부(144)에 삽입된 수평 삽입판(182)기 수평 프레임(140)에 고정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The horizontal heat insulating part 142 is relatively far from the inner horizontal core 152 in which the insertion part is formed, and is biased to the left position based on the drawing, and the horizontal insert plate 182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44 is a horizontal frame. (14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xation.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 단열부가 외부 수평 코어에 편향된 위치에 위치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평 단열부가 내부 수평 코어에 편향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삽입부의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izontal insulation portion is located at a position biased to the outer horizontal core,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horizontal insulation portion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biased to the inner horizontal core, or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ortion may be form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 프레임 시스템의 수평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horizontal frame of the thermal insulation fr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수평 프레임의 용도에 따라 내부 수평 코어(152) 및 외부 수평 코어(156)의 상하부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상하로 동일한 강화유리가 결속되는 경우라면, (a)와 같이 동일한 폭의 유리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지만, (b)와 같이 상하로 다른 종류의 격벽이 삽입되는 경우 또는 전체 프레임 시스템의 상부 마감을 위한 경우라면 상하로 다른 폭의 유리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upper and lower shapes of the inner horizontal core 152 and the outer horizontal core 156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horizontal frame. If the same tempered glass is bound up and down, a glass receiving part of the same width can be formed as shown in (a), but when different types of bulkheads are inserted up and down as shown in (b), or the upper finish of the entire frame system If for the case, the glass receiving portion of different width up and down may be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10 : 수직 프레임 112 : 수직 단열부
122 : 내부 수직 코어 126 : 외부 수직 코어
140 : 수평 프레임 142 : 수평 단열부
144 : 삽입부 152 : 내부 수평 코어
156 : 외부 수평 코어 170 : 결합 평판
180 : T-결속구 182 : 수평 삽입판
184 : 수직 결합판
110: vertical frame 112: vertical insulation
122: inner vertical core 126: outer vertical core
140: horizontal frame 142: horizontal insulation
144: insert 152: inner horizontal core
156: outer horizontal core 170: combined plate
180: T-binding sphere 182: horizontal insert plate
184: vertical coupling plate

Claims (6)

적어도 하나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수직 단열부, 상기 수직 단열부를 중심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수직 코어, 상기 내부 수직 코어에 대향하는 외부 수직 코어, 상기 내부 수직 코어에 양단이 결속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수직 마감재, 및 상기 외부 수직 코어에 양단이 결속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수직 마감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은 수평 단열부, 상기 수평 단열부에 대해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수평 코어, 상기 내부 수평 코어에 대향하는 외부 수평 코어, 상기 내부 수평 코어에 양단이 결속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의 내면을 형성하는 내부 수평 마감재, 및 상기 외부 수평 코어에 양단이 결속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수평 마감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수직 코어 및 상기 외부 수직 코어의 각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슬릿 돌기 및 제2 슬릿 돌기가 T-자형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슬릿 돌기 및 상기 제2 슬릿 돌기에 의해서 내측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에 상기 수직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결합 평판 및 상기 결합 평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슬릿 돌기 및 상기 제2 슬릿 돌기에 의해서 외측으로 형성된 외부 공간에 결합되는 비대칭 T-결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T-결속구는 상기 결합 평판에 결합되는 수직 결합판 및 상기 수직 결합판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된 수평 삽입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삽입판은 상기 수직 결합판에 대해 비대칭 위치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 결합판에는 상기 수평 삽입판의 상하로 적어도 하나의 수직 결합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 삽입판은 상기 내부 수평 코어 및 상기 외부 수평 코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수평 단열부는 상기 삽입부가 형성된 상기 내부 수평 코어 또는 상기 외부 수평 코어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위치하도록 편향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프레임 시스템.
In the thermal insulation frame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vertical frame includes a vertical heat insulating part, an internal vertical core positioned inside the vertical insulating part as a center, an external vertical core facing the internal vertical core, and both ends are bound to the internal vertical core to form an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An inner vertical finishing material, and an external vertical finishing material having both ends bound to the outer vertical core to form an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The horizontal frame includes a horizontal heat insulating portion, an inner horizontal core positioned insid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heat insulation portion, an outer horizontal core facing the inner horizontal core, and both ends are bound to the inner horizontal core to form an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An internal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and an external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having both ends bound to the external horizontal core to form an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A first slit protrusion and a second slit protrusion facing each other in each inner side of the inner vertical core and the outer vertical core protrude in a T-shape,
By the first slit protrusion and the second slit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late and the coupling plat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into the inner space formed inside by the first slit protrusion and the second slit protrusion Including an asymmetric T-binding sphere coupled to the outer space formed outward,
The T-binding sphere includes a vertical coupling plate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and a horizontal insertion plate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coupling plate, wherein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is coupled at an asymmetric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oupling plate, and At least one vertical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vertical coupling plate above and below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respectively,
The horizontal insert plate is inserted into an insert formed in any one of the inner horizontal core and the outer horizontal core, and the horizontal heat insulating part is positioned relatively far from the inner horizontal core or the outer horizontal core on which the insert is formed. Insulated fram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ia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기 삽입부에 상기 수평 삽입판을 삽입하고, 상기 수평 삽입판에 형성된 수평 결합홀을 통과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T-결속구를 상기 수평 프레임에 고정하고,
상기 T-결속구의 상기 수직 결합판에 형성된 상기 수직 결합홀을 통과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에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를 이동시키면서 결합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프레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nserting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into the insertion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and fixing the T-binding sphere to the horizontal frame using a screw passing through a horizontal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Insulation fram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adjusting the coupling interval while moving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to the vertical frame by using a screw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coupling hole formed in the vertical coupling plate of the T-binding sphe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결속구의 상기 수직 결합판 중 상기 수평 삽입판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부분은 상기 수직 결합홀이 하나만 형성될 정도로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수직 결합홀이 하나 또는 그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프레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portion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of the T-binding sphere formed relatively short by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is formed in a short length such that only one vertical coupling hole is formed, and the vertical coupling hole has one or a relatively long portion formed therein. Insulation fram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단열부 및 상기 수평 단열부는 아존(azon)으로 제공되며, 아존에 의한 상기 수직 단열부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내부 수직 코어 및 상기 외부 수직 코어는 일체로 연결되며,
아존에 의한 상기 수평 단열부를 형성하기 전에 상기 내부 수평 코어 및 상기 외부 수평 코어는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삽입부는 일체로 연결된 상기 내부 수평 코어 및 상기 외부 수평 코어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프레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insulation portion and the horizontal insulation portion are provided with an azon, and before forming the vertical insulation portion by the azon, the inner vertical core and the outer vertical core are integrally connected,
The inner horizontal core and the outer horizontal core are integrally connected before forming the horizontal insulation part by the azone, and the inser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tegrally connected inner horizontal core and the outer horizontal core frame system.
적어도 하나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단열 프레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에 결속되는 비대칭 T-결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T-결속구를 매개로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에 밀착되고,
상기 T-결속구는 상기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는 수평 삽입판 및 상기 수평 삽입판이 비대칭으로 결합되는 수직 결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프레임 시스템.
In the thermal insulation frame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vertical frame and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asymmetric T-binding sphere that is bound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frame through the T-binding sphere,
The T-binding sphere is a thermal insulation fram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rizontal insertion plate coupled to the horizontal frame and a vertical coupling plate to which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is asymmetrically coupl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T-결속구의 상기 수직 결합판 중 상기 수평 삽입판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부분은 상기 수직 결합홀이 하나만 형성될 정도로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의 외측으로 상기 수직 결합홀이 하나만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프레임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 portion of the vertical coupling plate of the T-binding sphere formed relatively short by the horizontal insertion plate is formed to have a short length such that only one vertical coupling hole is formed, so that only one of the vertical coupling holes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frame Insulated fram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KR1020200041856A 2020-04-06 2020-04-06 Insulation frame system KR1024393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856A KR102439354B1 (en) 2020-04-06 2020-04-06 Insulation fram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856A KR102439354B1 (en) 2020-04-06 2020-04-06 Insulation fram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54A true KR20210123954A (en) 2021-10-14
KR102439354B1 KR102439354B1 (en) 2022-09-01

Family

ID=7815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856A KR102439354B1 (en) 2020-04-06 2020-04-06 Insulation fram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35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892Y1 (en) * 1991-12-16 1994-07-22 럭키산업 주식회사 Prefabricating apparatus of door frame
KR200478951Y1 (en) * 2015-10-05 2015-12-03 배진영 Connecting device of door fr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892Y1 (en) * 1991-12-16 1994-07-22 럭키산업 주식회사 Prefabricating apparatus of door frame
KR200478951Y1 (en) * 2015-10-05 2015-12-03 배진영 Connecting device of door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354B1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1906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2439354B1 (en) Insulation frame system
KR101571468B1 (en) Curtain Wall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102013454B1 (en) Exterior panels for construction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KR102134510B1 (en) Corner connecting panels for sandwich panels for refrigeration and refrigerator walls
JP2591638Y2 (en) Standing structure of windows
KR20180132199A (en) Manufacturing method stainless window frame for thermal insulation
KR102200996B1 (en) Frame for Windows and Doors
KR102013455B1 (en) Exterior panels for construction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JPS6328297Y2 (en)
JP6836463B2 (en) Parts fixing structure and fittings
JP2019203247A (en) Water stop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water stop structure
JP2023056417A (en) Renovation fitting
JPS6238168Y2 (en)
JPH0229183Y2 (en)
KR101976732B1 (en) A bracket for mounting window frame
JPH0688386A (en) Heat insulating wall
EP0897437A1 (en) Window system, and section and connecting piece suitable for use in such a window system
KR101793064B1 (en) Insulating window with triple insulation structure
JP2023056413A (en) Renovation fitting
KR101887580B1 (en) Improved window system for general purpose assembly
KR200219011Y1 (en) Window assembly structure
JP2023056414A (en) Renovation fitting
JPS6326494Y2 (en)
JP2023056416A (en) Renovation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