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773A - 기능성 마스크 - Google Patents

기능성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773A
KR20210123773A KR1020200041385A KR20200041385A KR20210123773A KR 20210123773 A KR20210123773 A KR 20210123773A KR 1020200041385 A KR1020200041385 A KR 1020200041385A KR 20200041385 A KR20200041385 A KR 20200041385A KR 20210123773 A KR20210123773 A KR 20210123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kin
user
functional
mas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0004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3773A/ko
Publication of KR20210123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41D13/1169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부에 착용하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단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를 사용자 안면부에 접착 형태로 고정시키고 사용자의 접착된 피부에 미용 물질을 전달하는 피부 개선 기능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귀에 걸지 않고 접착 형태로 마스크 착용을 할 수 있으며 마스크를 착용하는 동안 착용 부위에 미용 물질의 효과적인 피부 침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마스크{FUNCTIONAL MASK}
본 발명은 기능성 마스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동안에 호흡기 보호라는 마스크 본래의 기능과 동시에 마스크 착용 부위의 피부에 미용 물질의 침투를 제공하여 피부의 주름 및 모공을 개선하는 피부 관리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 황사, 미세 먼지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질이 호흡기 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용되는 환경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마스크는 인체의 코와 입부분 및 턱을 포함한 안면부분을 감쌀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 본체와 귀 후면의 연골부에 걸치게 할 수 있는 고정끈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미세먼지로부터 건강을 지키기 위하여, 그리고 환절기나 전염성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마스크의 사용량 및 착용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2009년 신종플루 유행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전세계적으로 신종플루의 예방을 위하여 마스크의 사용이 늘어났으며, 2019년 후반에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을 위하여 마스크 사용 빈도가 폭증하고 있다.
이처럼, 마스크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하루 종일 혹은 하루의 상당 시간을 마스크를 쓰고 있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마스크 사용의 편리성 및 기능성과 관련한 개발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71177(2020.01.21)호는 피부관리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내에 피부 관리를 위한 빛을 발산하는 광발산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마스크 착용에 의한 피부 기능 저하를 완화할 수 있도록 하고, 광 발산이 마스크의 착용과 동시에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피부 관리를 위한 빛이 피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일정 거리 이격되어 피부를 향해 발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직접 접촉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막고 피부의 넓은 면적에 대한 효과적인 빛의 조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71178(2020.01.21)호는 다기능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본체의 내측에 보습제를 토출할 수 있는 보습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마스크본체와 접촉되는 피부의 수분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고, 진동을 통해 보습제의 토출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마스크본체와 피부 사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토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을 원활하게 하고 마스크본체 내의 이물질 및 먼지 등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71177(2020.01.21)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71178(2020.01.2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동안에 호흡기 보호라는 마스크 본래의 기능과 동시에 마스크 착용 부위의 피부에 미용 물질의 침투를 제공하여 피부의 주름 및 모공을 개선하는 피부 관리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접촉 피부에 콜라겐 등이 함유된 미용 물질을 전달하여 입가 및 코 주위 주름 개선이나 피부에 대하여 미용효과를 부여하여 마스크 착용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마스크 양쪽에 달려있는 고정 끈이 없어도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부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착용에 따른 귀 아픔을 해소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기능성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부에 착용하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단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를 사용자 안면부에 접착 형태로 고정시키고 사용자의 접착된 피부에 미용 물질을 전달하는 피부 개선 기능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기능성 마스크는 상기 피부 개선 기능부의 표면을 덮어 보호하며 제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는 외피와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의 코와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필터가 개재되어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 차단의 마스크 본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피부 개선 기능부는 미용 물질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본체를 착용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상기 미용 물질을 체내로 전달시킬 수 있다.
상기 피부 개선 기능부는 상기 미용 물질이 탑재된 경피 패치나 마이크로 니들 배열을 통해 상기 미용 물질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피부 개선 기능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부 개선 기능부는 상기 마이크 본체의 내피와 일체 또는 내피 상에 형성되는 시트 형태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접착 성분이 함유된 상기 미용 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마이크 본체의 착용시 사용자 안면부와 접착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용 물질은 사용자의 접착된 피부의 주름 개선을 위한 콜라겐이 함유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동안에 호흡기 보호라는 마스크 본래의 기능과 동시에 마스크 착용 부위의 피부에 미용 물질의 침투를 제공하여 피부의 주름 및 모공을 개선하는 피부 관리 기능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마스크의 기능을 다양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접촉 피부에 콜라겐 등이 함유된 미용 물질을 전달하여 입가 및 코 주위 주름 개선이나 피부에 대하여 미용효과를 부여하여 마스크 착용시간을 활용할 수 있고 마스크 팩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는 미용 물질의 점착 성분을 통해 마스크 양쪽에 달려있는 고정 끈이 없어도 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부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착용에 따른 귀 아픔을 해소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피부 개선 기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100)는 마스크 본체(110)와 피부 개선 기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통상의 마스크와 동일하게 형성되되 양측 단부에 귀걸이 형태의 고정끈 없이 착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원단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안면부에 착용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사용자의 안면부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입, 코로 미세먼지, 황사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하는 구성으로, 면 또는 부직포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미세먼지, 황사 등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가 적층되거나 코팅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상측에 사용자의 코부위에 밀착되도록 철심을 이용하여 코 형상을 따라 일정한 형상을 유지시켜주는 코지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10)는 하측에 사용자의 턱부위에 밀착되어 들뜨지 않도록 턱지지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크 본체(110)는 내피(115)와 외피(117), 그리고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119)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크 본체(110)의 내측에는 피부 개선 기능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이란 기능성 마스크(100)의 착용시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는 측을 의미한다.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사용자의 안면부에 마스크 본체(110)를 접착 형태로 밀착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마스크 본체(110)를 착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피부에 미용 물질을 침투시켜 사용자의 피부 개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마스크 본체(110) 상에 적어도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마스크 본체(110)의 양단 내측에 형성되어 마스크 본체(110)를 사용자 안면부에 고정시킬 수 있고 사용자 안면부에 다양한 영양분과 수분 등을 공급하여 피부를 개선시킬 수 있다.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마스크 본체(110)의 입과 코 즉, 호흡기에 대응되는 위치를 제외한 부분의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마스크 본체(1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 안면부의 양측에 접착되는 형태로 마스크 본체(110)를 착용할 수 있게 한다.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마스크 본체(110)의 상측과 하측에 마련된 코지지부(111)와 턱지지부(113)에도 형성되어 사용자의 코와 턱 부위에 접착되는 형태로 마스크 본체(1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착용하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마스크 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을 갖는 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마스크 본체(110)의 내피(115)에 일정 면적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배치 위치 및 면적이 특정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의 안면 형상을 따라 밀착 가능한 위치 및 면적으로 배치되면 된다.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사용자가 마스크 본체(110)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의 안면부에 주름, 모공 등의 피부 개선을 위한 미용 물질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용 물질은 얼굴 부종 개선을 위한 물질, 입가 및 코 주위 주름 개선을 위한 물질, 모공 개선을 위한 물질, 식욕 조절을 위한 물질 등 피부 보호 및 개선을 위한 다양한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사용자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100)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여 미용 물질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여러 개의 마이크로 니들이 패치 안에 부착되어 있고 마이크로 니들(121)이 피부 표면에 작은 구멍들을 뚫어 미용 물질을 전달할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micro needle)은 인간의 감각기관이 통증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미세한 크기의 마이크로 구조체에 해당하고 피하의 진피층까지 생리활성물질을 효과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마스크가 착용되는 얼굴의 주요 부위별로 마이크로 니들이 구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미용 물질이 탑재된 마이크로 니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경피 패치(121)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사용자의 피부 접촉에 따른 가압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마이크로 니들에 탑재된 미용 물질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피부에 투과되도록 적용되었을 때 체내에서 용해됨으로써 탑재된 미용 물질을 방출시키는 용해성 마이크로 니들을 사용할 경우에는 마이크로 니들이 피부에 적용 후 소멸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이온삼투압 방식의 파스 형태로 미용 물질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100)의 착용시 사용자의 안면부에 접촉되면 접촉된 피부를 경유하여 미용 물질이 침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미용 물질에 접착 성분을 포함하여 마스크 본체(110)를 사용자 안면부에 접착 형태로 착용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귀에 걸어 마스크 본체(110)를 사용자 안면부에 고정시키지 않아도 마스크 본체(110)를 사용자 안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마스크 착용시 귀에 걸어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아픈 귀를 쉬게 할 수 있으며 착용하는 동안 피부에 영양을 줄 수 있다. 여기에서, 피부 개선 기능부(120)에는 보호필름(130)으로 덮혀져 보호될 수 있다.
보호필름(130)은 피부 개선 기능부(120)를 덮도록 형성되어 미용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마스크의 미사용시 미용 물질의 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하며 마스크의 착용시에만 보호필름(130)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도 2에 있는 피부 개선 기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베이스(210)와 접착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부직포와 같은 섬유재로 이루어지며 일정 크기의 시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210)는 마스크 본체(110)의 내피(115)와 동일하거나 이종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베이스(210)는 마스크 본체(110)의 내피(115)의 일부에 해당하거나 내피(115) 상에 별도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220)은 베이스(210)의 일면에 콜라겐 등의 피부 개선을 위한 미용 물질과 피부 접착을 위한 접착 물질이 소정 두께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베이스(210)의 일면에 미용 물질을 도포한 상태에서 접착성분을 도포하여 접착층(22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접착층(220)에 도포되는 미용 물질은 마스크 착용시 접착되는 피부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의 조성물이 함유될 수 있다. 예컨대, 입가 및 코 주위에 접착될 경우 주름 개선을 위해 고분자 용액과 폴리우레탄(PU), 히알루론산, 보습제, 주름개선제, 오일류 및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220)은 피부에 콜라겐을 공급하고 주름개선 및 부종개선 등의 기능성 콜로이드 제형 물질로 접착을 하게 할 수 있다.
접착층(220)은 인체에 무해한 접착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안면부에 접착되어 마스크 착용을 위한 고정끈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호필름(130)은 이형지로 형성되어 접착층(220)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마스크 팩용 조성물을 포함하여 마스크 팩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마스크 팩용 조성물은 도라지 추출물, 땅콩새싹 추출물, 산호수 추출물, 벵갈고무나무 추출물, 해조류 추출물, 인삼 추출물, 버섯 추출물 중 1종 이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추출물은 모두 피부에 미세먼지가 흡수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중금속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거나 미세먼지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염, 활성산소, 활성질소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미세먼지로 인한 세포독성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 천연 물질이다.
이중 특히 도라지 추출물은 도라지의 뿌리에서 추출하여 얻은 성분으로, 피부에 해로운 외부 물질의 활성을 방해하고 유해 물질로 인한 피부과민 반응을 축소시키는데 관여하여 건강한 피부 유지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기관지의 보호에도 효과가 있다.
이때, 각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데, 화장료 조성물의 분야에서 공지된 형태의 추출방법이면 족하다. 즉, 각 천연물에 용매를 가용하여 추출하는 것으로, 상기 용매는 그 종류에 제한하지 않는바, 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예시적으로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로는 메탄올(methanol), 에탈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중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고, 물 또는 유기용매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성은 없다.
그리고 그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여기에서, 미용 물질은 통상 화장료 조성물의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각종 마스크 팩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미용 물질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동안 미세먼지 혹은 바이스 차단 효과와 동시에 부종 진정 작용도 함께 할 수 있도록 부종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부종 개선용 조성물에는 호박씨, 비트, 마카 및 아로니아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호박씨는 부종 억제 및 혈행 개선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미용 물질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동안 다이어트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다이어트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녹차 종자, 진피, 맥문동, 지황, 비타민나무열무, 매실, 홍경천, 복분자 미숙과 둥글레, 상백피 및 마테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체지방 축적억제 및 체지방 분해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서, 사용자는 마스크 본체(110)의 내측에 있는 피부 개선 기능부(120) 상의 보호 필름(130)을 제거한 후 코와 턱을 감싸도록 안면을 맞추고 양측면을 가압하여 피부 개선 기능부(120)를 피부에 접착시켜 마스크 본체(110)를 고정시킨다. 코지지부(111)가 코에 밀착되도록 눌러 주어 마스크 본체(110)가 안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하는 동안 마스크 본체(110)는 외부로부터의 미세먼지 유입을 차단하는 마스크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하는 동안 피부 개선 기능부(120)는 접촉된 피부에 미용 물질을 전달하여 미용 물질이 피부에 침투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피부에 침투된 미용 물질은 주름 개선, 모공 개선 등의 피부 개선 기능을 갖는 조성물로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행위만으로 피부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마스크 팩의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는 귀걸이의 고정끈 없이 양 측면에 피부 기능 개선을 위한 미용 물질을 전달하는 접착 시트 형태의 테두리를 형성하여 접착 형태로 마스크를 착용하여 마스크를 착용하는 동안 접착된 피부에 피부 개선을 위한 미용 물질을 침투시켜 피부 개선을 할 수 있고 귀에 걸지 않고도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기능성 마스크
110: 마스크 본체
111: 코지지부 113: 턱지지부
115: 내피 117: 외피
119; 필터
120: 피부 개선 기능부 121: 마이크로 니들 경피 패치
130: 보호필름
210: 베이스 220: 접착층

Claims (8)

  1. 사용자의 안면부에 착용하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단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를 사용자 안면부에 접착 형태로 고정시키고 사용자의 접착된 피부에 미용 물질을 전달하는 피부 개선 기능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 기능부의 표면을 덮어 보호하며 제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외피와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의 코와 입에 대응되는 위치에 필터가 개재되어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 차단의 마스크 본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 기능부는
    미용 물질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본체를 착용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상기 미용 물질을 체내로 전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 기능부는
    상기 미용 물질이 탑재된 경피 패치나 마이크로 니들 배열을 통해 상기 미용 물질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 기능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 기능부는
    상기 마이크 본체의 내피와 일체 또는 내피 상에 형성되는 시트 형태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접착 성분이 함유된 상기 미용 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마이크 본체의 착용시 사용자 안면부와 접착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용 물질은
    사용자의 접착된 피부의 주름 개선을 위한 콜라겐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KR1020200041385A 2020-04-06 2020-04-06 기능성 마스크 KR20210123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385A KR20210123773A (ko) 2020-04-06 2020-04-06 기능성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385A KR20210123773A (ko) 2020-04-06 2020-04-06 기능성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773A true KR20210123773A (ko) 2021-10-14

Family

ID=7815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385A KR20210123773A (ko) 2020-04-06 2020-04-06 기능성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377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177B1 (ko) 2019-05-14 2020-01-29 김동근 피부관리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102071178B1 (ko) 2019-05-14 2020-03-02 김동근 다기능 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177B1 (ko) 2019-05-14 2020-01-29 김동근 피부관리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102071178B1 (ko) 2019-05-14 2020-03-02 김동근 다기능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385B1 (ko) 안면 혈자리 자극을 위한 자석을 구비하는 마스크 팩
KR102227692B1 (ko) 마스크용 필터
KR101614657B1 (ko) 기능성 마스크팩
RU175719U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косметологическая маска с наполнителем
CN111296948A (zh) 一种过滤面积可变的医用口罩
US20040127838A1 (en) Article, system, and method of covering and protecting portions of human skin
US20040163649A1 (en) Disposable face mask with skin-care face-contacting layer
US20080226701A1 (en) Medicated patches
KR20210123773A (ko) 기능성 마스크
KR200489804Y1 (ko) 문양이 인쇄된 화장용 마스크
KR101583449B1 (ko) 목 화장용구
KR102215053B1 (ko) 마스크
KR102227690B1 (ko) 마스크용 에어 필터링수단
KR20220050357A (ko) 마스크용 안면 보호대
KR200452172Y1 (ko) 꿈치용 보습팩
RU94459U1 (ru) Лечебное облачение
KR101875291B1 (ko) 브래지어에 탈부착 가능한 기능성 패치
RU221425U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косметологическая маска с наполнителем
JP3022851B1 (ja) 靴 下
CN215307392U (zh) 三层结构医学修复用生物基材创口贴
CN218737360U (zh) 一种用于面部激光美容祛斑术后的口罩
CN109893750A (zh) 一种磁疗式蒸汽眼贴
CN214342942U (zh) 一种医用的压疮敷贴
CN213822056U (zh) 用于足部的抗菌药贴
CN212014548U (zh) 一种防护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