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715A - Emergency driving system and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Emergency driving system and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715A
KR20210123715A KR1020200041207A KR20200041207A KR20210123715A KR 20210123715 A KR20210123715 A KR 20210123715A KR 1020200041207 A KR1020200041207 A KR 1020200041207A KR 20200041207 A KR20200041207 A KR 20200041207A KR 20210123715 A KR20210123715 A KR 20210123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construction equipment
input
input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정권
박덕우
Original Assignee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filed Critical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to KR102020004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3715A/en
Publication of KR20210123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7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driving system and an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a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driving system using a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comprises: a first display for displaying first display information on a first screen; and a second display for displaying second display information on a second scree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each other. When the second display receives a signal for requesting a change of the input setting of the first display, the second display receives and displays an input interface from the first display, and transmits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to the first display.

Description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시스템 및 비상구동방법 {Emergency driving system and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Emergency driving system and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Emergency driving system and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시스템 및 비상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driving system and an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a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굴삭기, 휠 로더와 같은 건설장비는 복수 개의 유압 실린더들을 동작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주행 모터와 같은 주행 장치를 이용하여 주행할 수 있다.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excavators and wheel loaders may operate a plurality of hydraulic cylinders to perform work, and may travel using a traveling device such as a traveling motor.

도 1은 종래의 건설장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construction equipment.

도 1을 참조하면, 건설장비는 하부 주행체(20), 하부 주행체(20) 상에 선회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상부 선회체(30), 및 상부 선회체(30)에 설치된 운전실(50)과 프론트 작업 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construction equipment includes a lower traveling body 20 , an upper revolving body 30 mounted so as to be able to turn on the lower traveling body 20 , and a cab 50 installed in the upper revolving body 30 , and It may include a front working device (60).

하부 주행체(20)는 상부 선회체(30)를 지지하고,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굴삭기와 같은 건설장비를 주행시킬 수 있다. 하부 주행체(20)는 주행 휠들(22)을 포함하는 휠 타입의 주행체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하부 주행체(20)는 무한궤도를 포함하는 무한궤도식 타입의 주행체일 수 있다. 건설장비는 주행 모터와 같은 주행 장치를 이용하여 주행할 수 있다.The lower traveling body 20 supports the upper revolving body 30 and may drive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an excavator by using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engine. The undercarriage 20 may be a wheel-type traveling body including driving wheels 22 . Alternatively, the lower traveling body 20 may be a traveling body of a caterpillar type including a caterpillar. Construction equipment may be driven using a traveling device such as a traveling motor.

상부 선회체(30)는 베이스로서의 상부 프레임(32)을 구비하고, 하부 주행체(20) 상에서 지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회전하여 작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운전실(50)은 상부 프레임(32)의 좌측 전방부에 설치되고, 프론트 작업 장치(60)는 상부 프레임(32)의 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The upper revolving body 30 has an upper frame 32 as a base, and can be rotated on a lower traveling body 20 on a plane parallel to the ground to set a working direction. The cab 50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front portion of the upper frame 32 , and the front working device 6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frame 32 .

프론트 작업 장치(60)는 붐(70), 암(80) 및 버켓(90)을 포함할 수 있다. 붐(70)과 상부 프레임(32) 사이에는 붐(7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붐 실린더(72)가 설치될 수 있다. 붐(70)과 암(80) 사이에는 암(8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암 실린더(8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암(80)과 버켓(90) 사이에는 버켓(9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버켓 실린더(92)가 설치될 수 있다. 붐 실린더(72), 암 실린더(82) 및 버켓 실린더(92)가 신장 또는 수축함에 따라 붐(70), 암(80) 및 버켓(90)은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고, 프론트 작업장치(60)는 여러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붐 실린더(72), 암 실린더(82) 및 버켓 실린더(92)는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The front working device 60 may include a boom 70 , an arm 80 , and a bucket 90 . A boom cylinder 72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boom 7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boom 70 and the upper frame 32 . An arm cylinder 82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arm 8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boom 70 and the arm 80 . In addition, a bucket cylinder 92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bucket 9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arm 80 and the bucket 90 . As the boom cylinder 72 , the arm cylinder 82 and the bucket cylinder 92 extend or contract, the boom 70 , the arm 80 , and the bucket 90 may implement various movements, and the front working device 60 ) can perform several tasks. At this time, the boom cylinder 72 , the arm cylinder 82 , and the bucket cylinder 92 may be extended or contracted by the hydraulic oil supplied from the hydraulic pump.

운전실(50)은 내부에 운전자의 작업 지시 및 운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복수의 모니터를 구비한다. 복수의 모니터는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cab 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nitors for displaying the driver's work instructions and driving information therein. The plurality of monitors may display different information.

운전실 내부에 복수의 모니터가 구비되어 있음에도, 하나의 모니터의 입력 수단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모니터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Even though a plurality of monitors are provided in the cab,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input means of one moni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of the monitor cannot be used normal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임의의 모니터의 입력수단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다른 모니터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계속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비상구동시스템 및 비상구동방법이 요구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input means of an arbitrary monitor, an emergency drive system and an emergency drive method are required that allow an operator to continue to perform work using another moni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시스템은, 제1 화면에 제1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제2 화면에 제2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제1 디스플레이의 입력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제1 디스플레이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전달받아 표시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에 전송한다. An emergency drive system using a dual display for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for displaying first display information on a first screen; a second display for displaying second display information on a second screen, wherei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display requests a change of an input setting of the first display When receiving a signal, the second display receives and displays the input interface from the first display, and transmits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to the first display.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입력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입력 인터페이스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When the second display receives a signal requesting to change the input setting, the second display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an input interface to the first display.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제2 디스플레이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받으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2 디스플레이에 전달한다. When the first display receives a signal for requesting an input interface from the second display, the first display transmits the input interface to the second display.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건설장비의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건설장비에 탑재된 카메라의 촬상정보를 포함한다. The first display information includes state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and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includes imaging information of a camera mounted on the construction equipment.

제2 디스플레이는 제1 디스플레이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수신받으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2 표시 정보에 우선하여 표시한다. When the second display receives the input interface from the first display, the second display displays the input interface in preference to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상기 입력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는 2 회 이상의 연속된 터치 입력 신호 또는 2 지점 이상의 복수지점의 동시 터치 입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The signal for requesting change of the input setting includes any one of a continuous touch input signal of two or more times or a simultaneous touch input signal of two or more poi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가 제1 표시 정보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가 제2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제1 디스플레이의 입력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제1 디스플레이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제1 디스플레이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a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ing, by a first display, first display information, and displaying, by a second display, second display information; receiving, by the second display, a signal requesting to change the input setting of the first display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first display; receiving, by the second display, an input interface from the first display and displaying the received input interface; and receiving, by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interface and transmitting the inputted information to the first display.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의 입력장치 고장시에도 작업자가 계속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even when the input device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fails, the operator can continue to perform the work.

도 1은 종래의 건설장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제1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제2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해제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struction equipment.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drive system using a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dual display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display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a dual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drive release method using a dual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바, 특정의 실시예만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렇다고 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nly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the tex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m.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and all changes, equivalents or replacement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in which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or thir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or third component may be alternately named.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ergency drive system using a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ual display device of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시스템(10)은 제1 디스플레이(100) 및 제2 디스플레이(200)를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100)와 제2 디스플레이는(200)는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100)와 제2 디스플레이는(200)는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한다. 제1 디스플레이(100)와 제2 디스플레이는(200)는 LVDS(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통신하여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emergency drive system 10 using a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includes a first display 100 and a second display 200 . The first display 100 and the second display 200 may be directly connected, but may also be connected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Wi-Fi. The first display 100 and the second display 200 display different information. The first display 100 and the second display 2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제1 디스플레이(100)는 건설장비의 메인 디스플레이로서 예컨대 계기판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00)는 후술할 제1 정보 제공장치(300)와 연결되어, 제1 정보 제공장치(30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에 기초한 제1 표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The first display 100 may be, for example, an instrument panel as the main display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The first display 100 is connected to a firs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displays first display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on the screen.

제1 정보 제공장치(300)는 건설장비의 구동 또는 작업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100)에 제공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장비 전자제어 시스템일 수 있다. 장비 전자제어 시스템은 건설 장비에 설치되어 건설 장비의 성능, 작업 및 상태 등과 같이 건설 장비와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고, 건설장비의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각각의 구성요소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태를 점검하거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건설장비의 각각의 구성요소의 예로는 장비의 작업 동작, 주행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각종 스위치, 센서 또는 전기 조이스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is a de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r working state of construction equipment to the first display 100, and may be, for example, an electronic equipment control system. The equipment electronic control system is installed in construction equipment to perform overall control related to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performance, operation and status of construction equipment, and is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of construction equipment to receive signals from each component to determine the status. Check or control each component. An example of each component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is a component that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work operation and a driving operation of the equipment, and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various switches, sensors, and electric joysticks.

제1 디스플레이(100)는 건설장비의 구동 또는 작업상태와 관련된 정보로서, 각종 경고 정보, 건설장비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연결 정보, 건설장비의 설정 메뉴 정보, 건설장비 운행 정보 및 작동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display 100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r working state of construction equipment, and any one of various warning information, connection information of components related to construction equipment, setting menu informa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informa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and ope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more than one.

제2 디스플레이(200)는 건설장비의 서브 디스플레이로서 예컨대 네비게이션일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200)는 후술할 제2 정보 제공장치(400)와 연결되어, 제1 정보 제공장치(30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에 기초한 제2 표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The second display 200 may be, for example, a navigation as a sub-display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The second display 200 is connected to a seco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displays second display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on the scree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제1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제2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도 4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1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10), 제1 터치 입력부(120), 제1 구동부(130) 및 제1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display 100 may include a first display unit 110 , a first touch input unit 120 , a first driving unit 130 , 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

제1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1 표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first display unit 11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visually delivering information to a user. The first display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such a display device.

제1 터치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터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입력부(120)는 사용자에게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터치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The first touch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touch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from a user. The first touch input unit 120 may provide an input interface to the user to receive a touch input signal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device.

제1 터치 입력부(120)는 제1 디스플레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touch input unit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display unit 110 .

제1 구동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의 각 구성요소를 연결시키고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구동부(130)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제1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The first driving unit 130 serves to connect each component of the first display and control driving. The first driver 130 provides an input interface and generates first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제1 통신부(140)는 외부의 장치 및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may transmit/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erminal.

예를들어 제1 통신부(140)는 복수의 CAN 포트(#0~#N)를 구비하여 제1 정보 제공장치(300)와 연결되어 차량제어장치로부터 건설장비의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1 통신부(140)는 제2 디스플레이(200)와 연결되어 제1 디스플레이(100)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2 디스플레이(200)에 제공한다.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has a plurality of CAN ports (#0 to #N)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to receiv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from the vehicle control device. Als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splay 200 to provide an input interface of the first display 100 to the second display 200 .

이를 위하여, 제1 통신부(140)는 제1 정보 제공장치(300) 및 제2 디스플레이(200)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for connection with the firs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and the second display 200 .

도 5를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200)는 제2 디스플레이부(210), 제2 터치 입력부(220), 제2 구동부(230) 및 제2 통신부(2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second display 200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210 , a second touch input unit 220 , a second driving unit 230 ,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

제2 디스플레이부(21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2 표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2 표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표시 정보는 제2 정보 제공장치(400) 예컨대, AVM 제어장치로부터 획득한 촬영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210)는 촬영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The second display unit 210 visually displays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to the user on the screen.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such a display device. Specifically,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may be photograph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con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400 , for example, the AVM control device. Accordingly, the second display unit 210 may display the captured image on the scr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스플레이부(210)는 제1 디스플레이부(110)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부(210)는 제1 디스플레이부(110)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splay unit 210 may have a siz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 For example, the second display unit 210 may have a larger size than the first display unit 110 .

제2 터치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터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터치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제2 터치 입력 신호 또는 제2 표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 터치 입력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The second touch input unit 220 may include a touch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from a user. A touch signal by a user may be received through such a touch device. For example, a second touch input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or a second touch input signal for moving a posi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may be received.

제2 터치 입력부(220)는 제2 디스플레이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econd touch input unit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display unit 210 .

제2 구동부(230)는 제2 디스플레이(200)의 각 구성요소를 연결시키고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구동부(230)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제2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The second driving unit 230 connects each component of the second display 200 and serves to control driving. The second driver 230 provides an input interface and generates second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제2 통신부(240)는 외부의 장치 및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may transmit/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erminal.

예를들어 제2 통신부(240)는 복수의 CAN 포트(#0~#N)를 구비하여 제2 정보 제공장치(400)와 연결되어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2 통신부(240)는 제1 통신부(140)와 연결되어 제1 디스플레이(100)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2 디스플레이(200)에 제공한다.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includes a plurality of CAN ports (#0 to #N)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400 to receiv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0 to provide an input interface of the first display 100 to the second display 200 .

이를 위하여, 제2 통신부(240)는 제2 정보 제공장치(400) 및 제1 디스플레이(100)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for connection with the seco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400 and the first display 100 .

이와 같은 제1 디스플레이(100) 및 제2 디스플레이(200)의 구성요소의 구분은 설명의 편의상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물리적 구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부(110)와 제1 터치 입력부(120)는 터치패널과 같은 하나의 물리적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ivision of the components of the first display 100 and the second display 200 as described above is only functionally divid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mean a physical division. For example,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first touch input unit 120 may be formed of one physical component such as a touch pane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a dual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디스플레이(100)의 터치입력기능이 정상작동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200)를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100)의 입력에 대한 비상구동시스템을 비상모드로 변경한다.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200)에 미리 마련된 입력버튼을 선택하여 제1 디스플레이(100)의 비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디스플레이(200)는 비상모드 진입 또는 해제를 위한 입력버튼을 미리 마련하고 있을 수 있다. When the touch input function of the first display 100 does not operate normally, the user uses the second display 200 to change the emergency driving system for the input of the first display 100 to the emergency mode. The user may select an input button provided in advance on the second display 200 to perform the emergency mode of the first display 100 . To this end, the second display 200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button for entering or releasing the emergency mode in advance.

다시말하면, 제1 디스플레이(100)의 비상모드는 제1 디스플레이(100)의 입력 설정을 변경에 의해 수행되며, 제1 디스플레이(100)의 입력을 제2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수행하는 모드이다. In other words, the emergency mode of the first display 100 is performed by changing the input setting of the first display 100 , and is a mode in which the input of the first display 100 is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display 200 . .

제2 디스플레이(200)가 사용자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100) 입력에 대한 비상모드의 진입을 입력받음으로써, 비상모드가 수행된다. When the second display 200 receives an input of the emergency mode for the input of the first display 100 from the user, the emergency mode is performed.

다른 변형예에서, 미리 정해진 터치 이벤트에 따라 입력 설정의 변경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터치 이벤트는 예를 들어, 2 회 이상의 연속된 터치 입력 신호 또는 2 지점 이상의 복수지점의 동시 터치 입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modification, the change of the input setting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ouch event. The touch event may include, for example, two or more consecutive touch input signals or a simultaneous touch input signal of two or more points or multiple points.

도 6을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200)는 제1 디스플레이(100)의 비상모드 즉, 제1 디스플레이(100)의 입력 설정 변경에 대한 요청을 입력받는다(S110). Referring to FIG. 6 , the second display 200 receives an emergency mode of the first display 100 , that is, a request for changing the input setting of the first display 100 ( S110 ).

제2 디스플레이(200)는 입력된 입력 설정 변경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제1 디스플레이(100)에 입력 설정 변경을 요청한다(S120).The second display 200 requests the input setting change to the first display 100 in order to process the inputted input setting change request (S120).

제1 디스플레이(100)는 상기 입력 설정 변경 요청에 응답하여 입력 설정을 변경한다(S130). 제1 디스플레이(100)의 입력 설정 변경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100)의 입력은 제1 디스플레이(100)에서 제2 디스플레이(200)로 변경된다.The first display 100 changes the input setting in response to the input setting change request (S130). By changing the input setting of the first display 100 , the input of the first display 100 is changed from the first display 100 to the second display 200 .

제1 디스플레이(100)는 입력 설정을 변경한 후에, 제1 디스플레이(100)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2 디스플레이(200)에 전달한다(S140). After changing the input setting, the first display 100 transfers the input interface of the first display 100 to the second display 200 (S140).

제2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입력 설정 변경에 대한 요청을 제1 디스플레이(100)에 전송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제1 디스플레이(100)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전송받지 못한 경우, 비상모드로의 진입 실패를 제2 디스플레이(200)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second display 200 transmits a request for changing the input setting to the first display 100 and does not receive any signal from the first display 100 while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t enters the emergency mode. The entry failure may b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second display 200 .

단계 S140 이후, 제2 디스플레이(200)는 제1 디스플레이(100)로부터 수신받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S150). 제2 디스플레이(200)는 제1 디스플레이(100)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수신받으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2 표시 정보에 우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200)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팝업 형식으로 제2 디스플레이(20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 디스플레이(200)는 제1 디스플레이(100)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표시 정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 디스플레이(200)는 제1 디스플레이(100)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2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 밖의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After step S140 , the second display 200 displays the input interface received from the first display 100 ( S150 ). When receiving the input interface from the first display 100 , the second display 200 may display the input interface in preference to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The second display 200 may display the input interface on the second display 200 in a pop-up format. Alternatively, the second display 200 may display the input interface of the first display 100 on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for a preset time. Alternatively, the second display 200 may display the input interface of the first display 100 in an area outside the area displaying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제2 디스플레이(200)는 제1 디스플레이(100)로부터 제공받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으면(S155), 입력된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100)에 전달한다(S160). When the second display 200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interface provided from the first display 100 (S155), the second display 200 transmits the inputted information to the first display 100 (S160).

제1 디스플레이(100)는 제2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전달받은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제1 표시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한다(S170). The first display 100 generates and displays the first displa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display 200 (S17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해제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drive release method using a dual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디스플레이(100)의 제1 터치 입력부(120)가 정상 동작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100)의 제1 터치 입력부(120)를 통해 비상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비상 모드가 해제되면 제1 디스플레이(100)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2 디스플레이에 전달하지 않고, 제1 디스플레이(100)의 제1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한다. When the first touch input unit 120 of the first display 100 can operate normally, the user may release the emergency mode through the first touch input unit 120 of the first display 100 . When the emergency mode is released, the first display 100 displays the input interface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of the first display 100 without transferring the input interface to the second display.

제1 디스플레이(100)는 제1 디스플레이(100)의 제1 터치 입력부(120)를 통해 비상 모드의 종료를 입력받는다(S210). The first display 100 receives an end of the emergency mode through the first touch input unit 120 of the first display 100 ( S210 ).

이를 위해, 제1 디스플레이(100)는 비상모드 해제를 위한 입력버튼을 미리 마련하거나, 비상모드 해제를 위한 터치 이벤트가 미리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To this end, the first display 100 must provide an input button for releasing the emergency mode in advance, or a touch event for releasing the emergency mode must be set in advance.

다시말하면, 제1 디스플레이(100)의 비상모드해제는 제1 디스플레이(100)의 입력 설정의 변경에 의해 수행된다. In other words, the emergency mode release of the first display 100 is performed by changing the input setting of the first display 100 .

제1 디스플레이(100)가 사용자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100) 입력해제에 대한 입력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비상모드가 해제된다. When the first display 100 obtains an input signal for canceling the input of the first display 100 from the user, the emergency mode is released.

제1 디스플레이(100)는 비상 모드의 종료(해제)를 입력받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00)는 비상 모드를 종료하고, 제1 디스플레이(100)의 입력 설정을 변경한다(S220). When the first display 100 receives an input to end (release) the emergency mode, the first display 100 ends the emergency mode and changes the input setting of the first display 100 ( S220 ).

즉, 제1 디스플레이(100)는 비상 모드 설정에 의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2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하지 않고, 제1 디스플레이(100)의 제1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한다. 다른 변형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100)는 비상 모드의 종료에 대한 알림을 제2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first display 100 displays the input interface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of the first display 100 without transmitting the input interface to the second display 200 by setting the emergency mode. In another modified example, the first display 100 may transmit a notification of termination of the emergency mode to the second display 200 .

제1 디스플레이(100)의 비상 모드가 종료되면 제1 디스플레이(100)는 정상적으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2 디스플레이(200)에 전송하지 않고, 자신의 화면에만 표시하게 한다. When the emergency mode of the first display 100 is terminated, the first display 100 does not normally transmit the input interface to the second display 200, but displays it only on its own screen.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제1 디스플레이 110: 제1 디스플레이부
120: 제1 터치 입력부 130: 제1 구동부
140: 제1 통신부 200: 제2 디스플레이
210: 제2 디스플레이부 220: 제2 터치 입력부
230: 제2 구동부 240: 제2 통신부
100: first display 110: first display unit
120: first touch input unit 130: first driving unit
140: first communication unit 200: second display
210: second display unit 220: second touch input unit
230: second driving unit 240: second communication unit

Claims (9)

제1 화면에 제1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화면에 제2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제1 디스플레이의 입력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제1 디스플레이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전달받아 표시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시스템.
a first display for displaying first display information on a first screen; and
a second display for displaying second display information on a second screen;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each other,
When the second display receives a signal for requesting a change of the input setting of the first display, the second display receives and displays the input interface from the first display, and displays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interface on the first display Emergency drive system using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transmitted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입력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입력 인터페이스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display is an emergency driving system using a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that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an input interface to the first display when receiving a signal for requesting a change in input setting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제2 디스플레이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받으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2 디스플레이에 전달하는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first display receives a signal for requesting an input interface from the second display, the emergency drive system using a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transmits the input interface to the second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건설장비의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건설장비에 탑재된 카메라의 촬상정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isplay information includes state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and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captured by a camera mounted on the construction equipment. An emergency driving system using a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제1 디스플레이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수신받으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2 표시 정보에 우선하여 표시하는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econd display receives the input interface from the first display, the emergency driving system using the dual display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displays the input interface in preference to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는 2 회 이상의 연속된 터치 입력 신호 또는 2 지점 이상의 복수지점의 동시 터치 입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for requesting the change of the input setting is an emergency driving system using a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including any one of a continuous touch input signal of two or more times or a simultaneous touch input signal of two or more points.
제1 디스플레이가 제1 표시 정보를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가 제2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제1 디스플레이의 입력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제1 디스플레이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제1 디스플레이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방법.
displaying, by the first display, the first display information, and the second display displaying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receiving, by the second display, a signal for requesting a change of an input setting of the first display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first display;
receiving, by the second display, an input interface from the first display and displaying the received input interface;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a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comprising: the second display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interface and transmitting the inputted information to the first displa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건설장비의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건설장비에 탑재된 카메라의 촬상정보를 포함하는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display information includes state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and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includes image information of a camera mounted on the construction equipment. An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a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제1 디스플레이로부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수신받으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2 표시 정보에 우선하여 표시하는 건설장비의 듀얼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비상구동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second display receives the input interface from the first display, the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the dual display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to display the input interface in preference to the second display information.


KR1020200041207A 2020-04-03 2020-04-03 Emergency driving system and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KR202101237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207A KR20210123715A (en) 2020-04-03 2020-04-03 Emergency driving system and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207A KR20210123715A (en) 2020-04-03 2020-04-03 Emergency driving system and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715A true KR20210123715A (en) 2021-10-14

Family

ID=7815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207A KR20210123715A (en) 2020-04-03 2020-04-03 Emergency driving system and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371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1605B2 (en) Hydraulic excavator
JP7474192B2 (en) Excavator
US11732439B2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ain control device
CN108205316B (en) Automatic driving operation vehicle
US10415212B2 (en) Bulldozer
JP2016194237A (en) Work machine
KR20210140723A (en) Shovel and construction system
CN113597772A (en) Remote operation system
EP3739131A1 (en) Construction machine
KR20210123715A (en) Emergency driving system and emergency driving method using dual display of construction equipment
US20220170237A1 (en) Operating mechanism for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equipped with same
US10026242B2 (en) Status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wheeled work vehicle, maintenance-screen display method for wheeled work vehicle, and maintenance-screen display program for wheeled work vehicle
EP3904608A1 (en) Work machine
JP2001140286A (en) Monitoring camera system of construction equipment
US11821171B2 (en) Work machine
JP6789880B2 (en) Work equipment status management system
CN211774104U (en) Auxiliary visual field system and loader-digger
WO2021241591A1 (en) Excavator and excavator operation device
KR20210112586A (en) Contruction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gauge panel for contruction machine
WO2021166559A1 (en) Remote operation system for work machine
KR20230131491A (en) construction machinery
US11939744B2 (en) Display system, remote operation system, and display method
CN113359691B (en) Remot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non-road mobile equipment
US20230050071A1 (en) Work machine and remote control system for work machine
CN116888330A (en) Engineering machin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