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928A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928A
KR20210121928A KR1020200039389A KR20200039389A KR20210121928A KR 20210121928 A KR20210121928 A KR 20210121928A KR 1020200039389 A KR1020200039389 A KR 1020200039389A KR 20200039389 A KR20200039389 A KR 20200039389A KR 20210121928 A KR20210121928 A KR 20210121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case
filter memb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3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지욱
조강의
한성경
배세환
이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1928A/en
Publication of KR2021012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9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More specifically, the air cleaner includes: an air blowing device including a case forming an exterior, a suction part provided in a side part of the case to suction air from the outside, a filter member provided to filter the suctioned air in the case, an air blowing fan placed in an upper part of the filter member in the case and provided to discharge the filtered air, a discharge part provided in an upper part of the case to discharg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blowing fan to the outside, a driving part placed in a lower part of the filter member in the case to rotate the filter member, and a cleaning part provided in the case to be brought into contact at least partially with an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and a flow switcher provided to be placed in an upper part of the air blowing device to switch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blowing device. The filter member is rotated by the driving part, and foreign substances of the outer wall can be removed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p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nabling a user to easily clean the filter member without separating the same.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Air Cleaner {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는 장치로 이해되며,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고 토출하도록 마련된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상기 필터의 청소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필터를 직접 탈착한 후 직접 먼지나 세균 등을 제거해야 하므로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가 외부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손상될 위험이 있다.An air purifier is understood as a device that sucks polluted air into the interior, filters it, and then discharges the filtered air, and is configured to purify an indoor space such as a home or office. In general, an air purifier includes a blower provided to suck in and discharge external air to the inside, and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blower to filter dust or bacteria in the air. In this case, in the cleaning method of the filter included in the air purifier, the user has to directly remove dust or bacteria after directly detaching the filter, which not only causes inconvenience, but also causes inconvenience as the filter i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 is a risk of damage.

종래 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1100호)은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유동 전환장치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를 손쉽게 청소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The prior art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101100) discloses an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flow conversion device provided to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but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has an internal It does not suggest a method for easily cleaning the filter member provided in the .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를 탈착하지 않고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f the various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can be easily cleaned without detaching a filter member provided therein to filter air.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외부에서 청소장치를 사용하여 내부와 연통하도록 마련된 청소부를 통해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를 청소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f the various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cleaning a filter member provided inside to filter air through a cleaning unit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using a cleaning device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된 필터부재 및 외측벽에 구비되어 내부와 연통하도록 마련된 청소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외부에서 청소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청소부를 통해 상기 필터부재를 탈착하지 않고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lter member provided inside and provided to filter the sucked air and a cleaning unit provided on the outer wall and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and the user can use the cleaning device from the outside. It can be easily cleaned without detaching the filter member through the cleaning uni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부에 마련된 흡입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된 필터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된 토출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청소부를 포함하는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전환하도록 마련된 유동 전환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외측벽의 이물질이 상기 청소부와 접촉되어 제거될 수 있다.An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forming an exterior, a suction unit provided on a side of the case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a filter member provided to filter the air sucked in from the inside of the case, and the A blowing fan disposed on the filter member in the interior of the case and provided to discharge the filtered air, a discharge unit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discharg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to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case A blower including a driving unit disposed under the filter member to rotate the filter member, and a cleaning unit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provided to at least partially contact an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blower device may include a flow switching device provided to switch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the filter member is rotated by the driving unit, and the foreign material on the outer wall is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unit can be removed.

상기 청소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 일부를 구성하도록 구비된 집진패널, 상기 집진패널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에 접촉하도록 구비된 청소모듈, 상기 집진패널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관통부, 및 상기 제1관통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측벽 상에 구비된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에 부착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재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청소모듈에 의해 탈착되어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cleaning unit includes a dust collecting panel provided to constitute a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case, a cleaning modul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panel and provided to contact the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and a first provided to penetrate the side wall of the dust collecting panel It may include a penetration part,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case to open or close the first penetration part, and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are removed as the filter member is rotated by the driving part. , may be detached by the cleaning modul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through-portion.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 단이 상기 집진패널 내측벽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비된 제1청소부재, 및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청소부재에 고정되도록 구비된 제2청소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청소부재 및 상기 제2청소부재는 상기 집진패널로부터 상기 필터부재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oth ends ar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panel, respectively, a first cleaning member, and the cleaning module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fixed to the first cleaning member and a second cleaning member, wherein the first cleaning member and the second cleaning member may have a sequentially stacked structure from the dust collecting panel toward the filter member.

상기 제1청소부재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청소부재는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브러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leaning member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to remove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and the second cleaning member may be made of a brush to remove relatively small foreign substances.

상기 제1청소부재는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청소부재는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leaning member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the second cleaning member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상기 집진패널의 내측벽은 상기 제1관통부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n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panel may have a concave shape toward the first through portion.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집진패널의 내측벽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may be provided to cross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panel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청소모듈이 구비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집진패널 내측벽 사이의 빈 공간은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으로부터 상기 청소모듈을 통해 털어 내어진 이물질이 이동하는 공기유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empty space between the filter member and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panel, except for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cleaning module, serves as an air flow path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brushed off from the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through the cleaning module move. .

상기 제1관통부는 상기 집진패널 측벽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idewall of the dust collecting panel.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관통부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제2관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hrough-portion provided to penetrate the sidewall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hrough-portion is formed.

상기 제2관통부는 상기 제1관통부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through portion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through portion.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 사이에 구비된 충격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n anti-shock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section.

상기 충격방지부는 외부에서 청소장치가 상기 제2관통부로 접근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ck prevention unit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in order to mitigate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cleaning device approaches the second through-portion from the outside.

상기 충격방지부는 가운데 부분이 관통된 링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관통부보다는 작고 상기 제1관통부보다는 크거나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anti-impact portion may be provided to have a ring shape through which a central portion is penetrated, and may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second through portion and larger than or equal to that of the first through portion.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유동전환장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태 천이를 유도하기 위해 마련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blower device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and provided to induce a state transi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상기 유동 전환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동작에 따라 제1위치, 제2위치 및 제3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위치이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이 상기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위치이며, 상기 제3위치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이 상기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위치일 수 있다.The flow diverter may be arranged to be placed in a first position, a second position, and a third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guide member, and the first position is arranged such that an uppe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is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is dispos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the third position is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t may be a location where it is placed.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 및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청소부는 상기 제1송풍장치 및 상기 제2송풍장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blowers are sequentially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blower provided to filter and blow air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and a second blower to filter and blow air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may be configured, and the cleaning unit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상기 개폐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벽 상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on the outer wall of the case.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에서만 구동되고, 상기 개폐부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is opened, and not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is closed.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며,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송풍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송풍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된 필터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청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lower provided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filter the sucked air, and discharge the filtered air, wherein the blower has an appearance. a case forming a case, a filter member provided to filter the air sucked in the case, a driving unit disposed under the filter member in the inside of the case to rotate the filter member, and provided inside the case It may include a cleaning unit provided to at least partially contact the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이때, 상기 송풍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필터부재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상기 청소부를 통해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에 부착된 이물질이 탈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사용자는 상기 송풍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필터부재를 탈착하지 않고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ter member provided inside the blower may be controlled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unit disposed below, and the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through the cleaning unit provided to at least partially contact the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can be detached and removed. Accordingly, the user of the air purifier can easily clean the air purifier without detaching the filter member provided inside the blower.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단면도 및 입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단면도들, 상면도들 및 입면도들이다.
도 19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및 단면도들이다.
도 27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단면도들 및 배면도이다.
1 to 4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perspective views, cross-sectional views and elevation views for explain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8 are perspective views, cross-sectional views, top views and elevation views for explain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6 are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7 to 34 are perspective views, cross-sectional views, and rear views for explain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some or a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or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이하에서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정의하고, 지면에 평행하고 상기 수직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기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수평 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을 원주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s defined as a vertical directi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nd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defined as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center is the rotation radius. A direction of an imaginary circle formed when rotating is defined as a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상기 공기청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들이다. 이때, 도 2는 상기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 to 4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air purifier, and FIGS. 2 to 4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area A of FIG. 1 . At this time,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mponents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included in the air purifier, and FIGS.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cross sec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respectively.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며,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송풍장치(10, 20), 송풍장치(10, 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송풍장치(10, 20)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유동 전환장치(30), 및 송풍장치(10, 20)와 유동 전환장치(30) 사이에서 일 측이 송풍장치(30)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이 유동 전환장치(3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태 천이를 유도하도록 마련된 가이드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ir purifier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ks air from the outside, filters the sucked air, and a blower 10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filtered air. 20),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lower (10, 20), provided to suck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10, 20) to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ucked air The flow diverter 30 and between the blowers 10 and 20 and the flow diverter 30 are provided such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lower 3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low diverter 30 , , it may include a guide member 40 provided to induce a state transi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송풍장치(10, 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10), 및 제1송풍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와 제2송풍장치(20)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끼워맞춤식 결합, 리벳 결합,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blowers 10 and 20 are provided to be disposed on the first blower 10 and the first blower 10 provided to blow air after suction and filtering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and to be dispos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It may include a second blower 20 provided to blow air after suction and filtering of the location. The first blower 10 and the second blower 20 may b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fitting coupling, riveting coupling, and screw coupling.

유동 전환장치(30)는 제2송풍장치(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40)는 제2송풍장치(20)와 유동 전환장치(30)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40)와 제2송풍장치(20)는 끼워맞춤식 결합, 리벳 결합,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재(40)와 유동 전환장치(30)도 끼워맞춤식 결합, 리벳 결합,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may be provided to be disposed on the second blower 20 , and the guide member 40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blower 20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respectively. can The guide member 40 and the second blower 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fitting coupling, riveting coupling, screw coupling, and the like. , riveting, screwing, etc.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various methods.

한편, 도 1은 송풍장치(10, 20)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송풍장치(10) 및 제2송풍장치(20)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송풍장치는 오직 하나의 송풍장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FIG. 1 shows that the blowers 10 and 20 include a first blower 10 and a second blower 20 sequentially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blower may include only one blower.

제1송풍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0), 제1케이스(1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130), 및 제1케이스(1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00), 제2케이스(2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230), 및 제2케이스(2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2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lower 10 includes a first case 100 forming an exterior, a first filter member 13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inside the first case 100 to filter air, and a first case 100 . It may include a first blower fan 160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to generate air flow, and the second blower 20 includes a second case 200 that forms an external appearance,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case 200 . It may include a second filter member 23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to filter the air, and a second blowing fan 260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200 to generate air flow.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케이스(100) 및 제2케이스(200)는 각각 끝부분이 잘린 원뿔 형상, 또는 상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직경을 갖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each of the first case 100 and the second case 200 may have a conical shape with an end cut off, or a cylindrical shape with a diameter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top.

제1송풍장치(10)는 제1송풍장치(10)의 하부에 배치된 제1베이스(10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베이스(105)는 지면 상에서 제1송풍장치(1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베이스(105)는 지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하부 및 상기 하부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케이스(10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되는 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케이스(100)의 내측벽과 상기 제1베이스(105)의 상부 사이의 공간에는 제1송풍장치(10)의 내부로 연통되는 제1하부 흡입부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상기 제1하부 흡입부를 통해 제1송풍장치(1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The first blower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ase 105 disposed under the first blower 10 , and the first base 105 may support the first blower 10 on the ground. It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first base 105 may include a lower portion provided to contact the ground and an upp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least partially covered by the first case 100 .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ase 1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105 , a first lower suc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blower 10 may be further formed. Accordingly, external air may be sucked into the first blower 10 through the first lower suction unit.

제2송풍장치(20)는 제1송풍장치(20)의 하부에 배치된 제2베이스(20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베이스(105)는 제1송풍장치(10) 상에서 제2송풍장치(2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베이스(205)는 지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하부 및 상기 하부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케이스(20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되는 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케이스(100)의 내측벽과 상기 제2베이스(205)의 상부 사이의 공간에는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연통되는 제2하부 흡입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상기 제2하부 흡입부를 통해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The second blower 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ase 205 disposed below the first blower 20 , and the second base 105 is a second on the first blower 10 . It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blower 20 . The second base 205 may include a lower portion provided to contact the ground and an upper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 portion and at least partially covered by the second case 200 .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 second lower suc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econd blower 20 may be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ase 1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205 . Accordingly, external air may be sucked into the second blower 20 through the second lower suction unit.

제1케이스(100)의 측벽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흡입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흡입부(110)는 제1케이스(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케이스(200)의 측벽 상에도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흡입부(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흡입부(210)는 제2케이스(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A first suction unit 110 provided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first case 100 , and the first suc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ase 100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o be penetrated. In addition, a second suction unit 210 provided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second case 200 , and the second suction unit 210 is the second suction unit 210 of the second case 100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rough at least a portion thereof.

제1흡입부(110)는 제1케이스(10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연장되는 라인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케이스(100)의 측벽 상에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흡입부들(110)은 제1케이스(10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제1케이스(10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흡입부(210)도 제2케이스(20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연장되는 라인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케이스(200)의 측벽 상에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2흡입부들(210)은 제2케이스(20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제2케이스(10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ction unit 110 may be provided to have a line shape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100 , and may be formed in plurality on the sidewall of the first case 100 . The plurality of first suction units 110 may be formed even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ase 100 so that air can be sucked in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100 . In addition, the second suction part 210 may also be provided to have a line shape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case 200 , and may be formed in plurality on the sidewall of the second case 200 . The plurality of second suction parts 210 may be uniformly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ase 10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allow air intake in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ase 200 .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 상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토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토출부(120)는 제1송풍장치(10)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 상에도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토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토출부(220)는 제2송풍장치(20)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A first discharge unit 120 provided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wer 10 , and the first discharge unit 120 is located above the first blower 10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In addition, a second discharge unit 220 provided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220 may include a second blower ( 20)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제1토출부(120)는 제1송풍장치(10) 상부면의 말단 부분에서 중심 부분에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는 라인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 상에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부들(120)은 제1송풍장치(10) 상부면 중 제2베이스(205)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도록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토출부(220)도 제2송풍장치(20) 상부면의 말단 부분에서 중심 부분에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는 라인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 상에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2토출부들(220)은 제2송풍장치(10) 상부면 중 가이드부재(40)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도록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unit 120 may be provided to have a line shape extending from a dist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wer 10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central portion,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wer 10 . It may be formed in plurality.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units 120 may be evenly formed to surround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wer 10 ,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base 205 is formed. In addition, the second discharge unit 220 may also be provided to have a line shape extending from a dist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cent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lower 20 . It may be formed in plurality on the surface. The plurality of second discharge units 220 may be evenly formed to surround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10 ,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guide member 40 is form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부들(120)은 함께 제1송풍장치(10) 상부면의 가장자리 부분을 커버하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제2토출부들(220)은 함께 제2송풍장치(20) 상부면의 가장자리 부분을 커버하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부들(110)이 갖는 고리 형상은 바깥쪽 부분이 안쪽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제2토출부들(210)이 갖는 고리 형상도 바깥쪽 부분이 안쪽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units 120 may have a ring shape that together cover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wer 10 , and the plurality of The second discharge units 220 may have a ring shape to cover an edg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together. In an embodiment, the annular shape of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units 110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higher than an inner portion, and a ring shape of the plurality of second discharge units 210 . Also, the outer portion may be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inner portion.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부들(120)이 배치된 가장자리 부분 및 제2베이스(205)가 배치된 중심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제2토출부들(220)이 배치된 가장자리 부분 및 가이드부재(40)가 배치된 중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송풍장치(10) 상부면의 상기 중심 부분은 상기 가장자리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 상부면의 상기 중심 부분은 상기 가장자리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wer 10 may include an edge por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units 120 are disposed and a central portion in which the second base 205 is disposed, and the second blower 20 ) may include an edge por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discharge units 220 are disposed and a central portion in which the guide member 40 is disposed. In this case,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wer 10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edge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edge portion can be

이하에서는,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제1토출부들(120)이 배치되는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제2베이스(205)가 배치되는 상기 중심 부분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제2토출부들(220)이 배치되는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가이드부재(40)가 배치되는 상기 중심 부분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 및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은 각각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wer 10 is defined as referring only to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second base 205 is disposed, excluding the edge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parts 120 are disposed, , it is defined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refers only to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guide member 40 is disposed, excluding the edge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second discharge units 220 are disposed. In example embodiment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wer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may each have a flat surfac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유동 전환장치(30)는 외관을 형성하고,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방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송풍장치(10, 20)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된 흡입그릴을 포함하는 후방케이스, 및 상기 후방케이스에 결합되어 유동 전환장치(30)의 전방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토출그릴(320)을 포함하는 전방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방면을 커버하는 후면패널(310), 및 후면패널(310)로부터 전방케이스(300)까지 연장되어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방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패널(30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방케이스의 후면패널(310)은 상기 흡입그릴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측면패널(305) 및 후면패널(310)은 함께 상기 후방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The flow diverter 30 forms an exterior, is provided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30, and includes a rear case including a suction grill provided to suck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s 10 and 20, and a front case 300 including a discharge grill 320 coupled to the rear case and provided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and provided to discharg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ill. can The rear case extends from the rear panel 310 to the rear panel 310 cov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and the rear panel 310 to the front case 300 to cover the rear sid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It may include a side panel (305). The rear panel 310 of the rear case may be provided to serve as the suction grill. That is, the side panel 305 and the rear panel 310 may form the rear case together.

가이드부재(40)는 유동 전환장치(30)의 상태 천이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가이드부재(40)의 일 측이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에 연결되고, 다른 일 측이 유동 전환장치(30)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재(40)의 다른 일 측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상태 천이가 유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이드부재(40)는 송풍장치(10, 2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송풍장치(10, 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7 내지 도 34를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The guide member 4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to induce a state transi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For example, in FIG. 1 , one side of the guide member 4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the guide member 40 . Although it is shown that the state transi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is induced as the other side rises or fall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the guide member 40 may be controlled to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blowers 10 and 20 or drawn out from the upper surfaces of the blowers 10 and 20, fo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e FIGS. 27 to 34 .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는 가이드부재(40)의 동작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위치,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위치, 및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3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flow diverter 30 is configured such tha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guide member 40 ,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30 is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 a first position arrang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30 form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flow diverter 30 is dispose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may be disposed at a third posi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lower 20 .

도 1은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7 내지 도 34를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1 shows that the flow diverting device 30 is disposed in the third posi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low diverting device 30 being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is shown in Figs. 34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it.

도 2를 참조하면, 유동 전환장치(30)는 유동 전환장치(30)의 전방면을 커버하는 전방케이스(300),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방 측면을 커버하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된 구조를 갖는 측면패널(305),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방면을 커버하며 흡입그릴의 역할을 수행하는 후면패널(310), 전방케이스(300)와 후면패널(310) 사이에 구비되며, 후면패널(310)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그릴(320)을 향하여 유동시키는 송풍팬(360), 및 송풍팬(360)과 후면패널(310) 사이에서 후면패널(310)의 내부면에 안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3필터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flow diverter 30 covers the front case 300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30 and the rear side of the flow diverter 30 so that air is no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 side panel 305 having a shielded structure, a rear panel 310 that covers the rear surfa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and serves as a suction grill,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case 300 and the rear panel 310 and a blowing fan 360 for flowing air sucked in through the rear panel 310 toward the discharge grill 320, and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panel 310 between the blowing fan 360 and the rear panel 310 It may include a third filter member 350 which is provided to be seated on the suction grill and filters the air sucked in.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에는 공기청정기(1)의 운전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5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유동 전환장치(30) 및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함께 동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500 provided to display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urifier 1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and the display device 500 operate together can be provided. In example embodiments, the display device 500 may be provided to partially or completel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30 .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과 전방케이스(300)의 측벽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과 상기 전방케이스(300)의 측벽 사이의 공간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토출그릴(320)이 구비될 수 있다. 토출그릴(320)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토출그릴(320)의 일 측은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에 연결될 수 있고, 토출그릴(320)의 다른 일 측은 상기 전방케이스(300)의 내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and the side wall of the front case 30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and the side wall of the front case 300 is outside A discharge grill 320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air into the furnace.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discharge grill 320 may have a structure surrou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and accordingly, air intake in any direction ba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It may be provided to enable this. In exemplary embodiments, one side of the discharge grill 32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and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grill 320 is on the inner wall of the front case 300 . can be connect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그릴(320)의 일 측과 상기 토출그릴(320)의 다른 일 측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그릴(320)의 일 측은 상기 토출그릴(320)의 다른 일 측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in a state in which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one side of the discharge grill 320 and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grill 320 ar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can be In one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one side of the discharge grill 320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grill 320 .

전방케이스(300)와 상기 후방케이스는 제1후크결합을 통해 상부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제2후크결합을 통해 하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case 300 and the rear case may be coupled from the upper side through a first hook coupling, and may be coupled from the lower side through a second hook coupling.

구체적으로, 측면패널(305)의 상부는 제1후크(3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전방케이스(300)의 상부는 제1후크걸이(3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패널(305)의 상부 및 상기 전방케이스(300)의 상부는 제1후크(333) 및 제1후크걸이(335)의 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측면패널(305)의 하부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제2후크걸이(34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전방케이스(300)의 하부는 제2후크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제2후크(3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패널(305)의 하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하부는 제2후크걸이(345) 및 제2후크(343)의 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305)의 하부는 자석(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하부는 금속 재질로 구성된 자석결합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패널(305)의 하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하부는 상기 자석 및 상기 자석결합부의 결합을 통해 체결이 유도될 수 있다.Specifically,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panel 305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first hook 333 ,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case 300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first hook hook 335 , and the side sur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panel 305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case 300 may be fastened through the coupling of the first hook 333 and the first hook hook 335 .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panel 305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pair of second hook hooks 345 having a structur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case 300 is a second hook hook.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pair of second hooks 343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 and the lower part of the side panel 305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ase 300 are the second hook hook 345 and the second hook 345 . It may be fastened through the coupling of the two hooks 343 . In one embodiment,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panel 305 may be provided to further include a magnet (not show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300 is a magnetic coupling part (not shown) made of a metal material. ),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panel 305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300 may be coupled through the magnet and the magnet coupling portion to induce fastening.

도 3을 참조하면, 제3필터부재(350)는 후면패널(310)과 측면패널(305)의 경계 상에 마련된 안착부(340)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third filter member 350 may be disposed on the seating portion 340 provid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rear panel 310 and the side panel 305 .

안착부(340)는 상기 후면패널에 비해 상기 전방케이스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후면패널(3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ating part 340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toward the front case compared to the rear panel, and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rear panel 310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후면패널(310)의 내측면과 필터부재(350)는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anel 310 and the filter member 350 may be disposed to contact each other, and may be provided to have the same area as each other.

도 4를 참조하면, 유동 전환장치(30)의 상기 후방케이스는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되면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필터부재(350)는 상기 후방케이스가 전방케이스(300)로부터 분리되면 유동 전환장치(3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rear cas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when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is disposed at the third position, and the filter member 350 includes the rear case of the front case. When separated from the case 30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구체적으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된 상태 즉,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1후크(333)와 제1후크걸이(335)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측면패널(305)의 상부 및 상기 전방케이스(300)의 상부가 먼저 분리될 수 있고, 제2후크걸이(345) 및 제2후크(343)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측면패널(305)의 하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하부가 나중에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패널(305)의 하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하부가 각각 상기 자석 및 상기 자석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2후크걸이(345) 및 제2후크(343)의 결합이 해제되기 전에, 상기 자석 및 상기 자석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측면패널(305)의 하부 및 상기 상부케이스(300)의 하부의 분리가 유도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is disposed in the third position,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 as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hook 333 and the first hook hook 335 is released,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panel 305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case 300 may be separated first, and the second hook hook 345 ) and the second hook 343 is released,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panel 305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300 may be separated lat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part of the side panel 305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ase 300 further include the magnet and the magnet coupling part, respectively, the coupling of the second hook hook 345 and the second hook 343 is Before the release, the separa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panel 305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ase 300 may be induced as the coupling of the magnet and the magnetic coupling portion is releas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필터부재(130) 및 제2필터부재(230)는 서로 동일한 필터로 구성될 수 있고, 제3필터(350)는 제1필터부재(130) 및 제2필터부재(230)와 서로 다른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필터부재(130) 및 제2필터부재(230)는 각각 헤파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필터부재(350)는 프리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first filter member 130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230 may include the same filter, and the third filter 350 includes the first filter member 130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It may be composed of a filter member 230 and a different filter.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filter member 130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230 may be configured as a HEPA filter, and the third filter member 350 may be configured as a pre-filter.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필터부재(130) 및/또는 제2필터부재(230)에 의해 필터링된 후 송풍장치(10, 2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면패널(310)을 통해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로 흡입될 때,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후면패널(310)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3필터부재(350)를 통과하면서 추가적으로 필터링될 수 있으며,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에 구비된 제3송풍팬(360) 및 유동 전환장치(30)의 전방케이스(300)에 구비된 토출그릴(320)은 이물질이 추가적으로 필터링된 공기를 송풍하고 토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는 제3필터부재(350)를 통해 이물질로부터 보다 적게 노출될 수 있으므로,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청소 주기가 길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s 10 and 20 after being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member 130 and/or the second filter member 230 is the rear panel 310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 when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through,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may be additionally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filter member 350 dispos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anel 310, , The third blowing fan 360 provided in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and the discharge grill 320 provided in the front case 300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blows the air that is additionally filtered of foreign substances and can be ejected. Accordingly, the inside of the flow diverter 30 may be less exposed from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third filter member 350 , and thus the internal cleaning cycle of the flow diverter 30 may be lengthened.

한편, 상기 후방케이스 즉, 측면패널(305) 및 후면패널(310)은 상기 제1후크결합 및 상기 제2후크결합을 각각 해제시킴으로써 전방케이스(300)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청소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case, that is, the side panel 305 and the rear panel 31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ront case 300 by releasing the first hook coupling and the second hook coupling, respectively, and thus flow conversion Internal cleaning of the device 30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또한,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그릴의 역할을 수행하는 후면패널(310) 및 후면패널(310)의 내측면에 안착된 제3필터부재(350)는 상기 후방케이스가 전방케이스(300)로부터 분리된 후 개별적으로 세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panel 310 serving as a suction grill to suck air, and the third filter member 350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panel 310, the rear case is separated from the front case (300) Afterwards, they can be individually washed, and thus the maintenan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can be easily performed.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단면도 및 입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제2송풍장치와 유동 전환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상기 제2송풍장치와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이다. 이때, 도 6은 상기 제2송풍장치와 상기 유동 전환장치 각각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to 8 are perspective views, cross-sectional views and elevation views for explain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air purifier,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rea B of FIG. 5 , and FIG. 7 is a second blower and flow conversion device included in the air purifier. It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ure 8 is an elevation view for explain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second blower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At this time,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ross section of each of the second blower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하는 공기청정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공기청정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air purifi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is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to the air purifi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detailed A description is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송풍장치(10, 20), 가이드부재(40) 및 유동 전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10, 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10), 및 제1송풍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equentially stacked blowers 10 and 20 , a guide member 40 , and a flow conversion device 30 . have. At this time, the blowers 10 and 20 are provided to be disposed on the first blower 10 and the first blower 10 provided to suck and filter the air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and then blow the air. It may include a second blower 20 provided to blow the air at a high position to the suction and filter after filtering.

제1송풍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0), 제1케이스(1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130), 및 제1케이스(1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00), 제2케이스(2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230), 및 제2케이스(2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2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lower 10 includes a first case 100 forming an exterior, a first filter member 13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inside the first case 100 to filter air, and a first case 100 . It may include a first blower fan 160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to generate air flow, and the second blower 20 includes a second case 200 that forms an external appearance,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case 200 . It may include a second filter member 23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to filter the air, and a second blowing fan 260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200 to generate air flow.

제1케이스(100)의 측벽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흡입부(11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케이스(200)의 측벽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흡입부(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 상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토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 상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토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suction unit 110 provided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first case 100 , and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second case 200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A second suction unit 210 may be formed, and a first discharge unit 120 provided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wer 10 , and the second A second discharge unit 220 provided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wer 20 .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과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유동 전환장치(30)와 제2송풍장치(2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제2토출부(220)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유동 전환장치(30)의 외측벽을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와 제2송풍장치(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6 to 8,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are horizontally arranged, the flow diverter 30 and the second blower ( 2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scharge unit 220 is disposed between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and the second blower 20 along the outer wall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유동 전환장치(30)는 외관을 형성하고,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방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하부에 구비된 제2송풍장치(20)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된 흡입그릴(310)을 포함하는 후방케이스,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후방케이스에 결합되어 유동 전환장치(30)의 전방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며, 흡입그릴(310)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토출그릴(320)을 포함하는 전방케이스(300), 및 전방케이스(300)와 상기 후방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며, 흡입그릴(310)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그릴(320)을 통해 토출되도록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3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는 후방면을 커버하는 후면패널(310) 및 후면패널(310)로부터 전방케이스(300)까지 연장되어 후방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패널(305)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면패널(310)은 흡입그릴(310)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forms an exterior, is provided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and a suction grill 310 provided to suck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blower 2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 to form a rear case, an exterior, and a discharge grill ( 32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case 300 and the rear case, and generates an air flow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ill 31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grill 320 It may include a blowing fan 360. The rear case may include a rear panel 310 covering the rear surface and a side panel 305 extending from the rear panel 310 to the front case 300 to cover the rear side, and the rear panel 310 may be provided to serve as the suction grill 310 .

이때, 상기 후방케이스의 흡입그릴(310)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측면패널(305)이 형성된 부분은 공기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차폐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토출부(22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흡입그릴(310)을 통해서만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rtion of the rear case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suction grill 310 is formed,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side panel 305 is formed, may have a shielded structure to restrict the movement of air, and thus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 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220)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only through the suction grill 310.

후면패널(310)과 측면패널(305)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패널(305)과 전방케이스(300)는 예를 들어, 후크결합 등을 통해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rear panel 310 and the side panel 305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side panel 305 and the front case 300 may be provided to be fastened through, for example, hook coupling.

유동 전환장치(30)는 가이드부재(4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위치, 상기 제2위치 및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케이스의 측벽은 제2송풍장치(20)의 측벽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low diverter 3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guide member 40 , and the flow diverter 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In this state, the side wall of the rear case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of the second blower 20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송풍장치(20)의 측벽 즉, 제2케이스(200)의 측벽은 후면패널(310)에 대해 수직한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측면패널(305)은 후면패널(310)에 대해 경사진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sidewall of the second blower 20 , that is, the sidewall of the second case 200 may be provided to have a vertical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rear panel 310 , and the side panel 305 . may be provided to have an incl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rear panel 310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측면패널(305)의 하부면 및 상부면은 각각 링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패널(305)의 하부면이 갖는 원주(circumference)는 상기 측면패널(305)의 상부면이 갖는 원주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panel 305 may be provided to have a ring shape, respectively,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panel 305 is the side panel ( 305) may be provid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측면패널(305)의 외측벽은 굴곡진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패널(305)의 외측벽은 전방케이스(300)에 가까워질수록 제2토출부(220)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outer wall of the side panel 305 may be provided to have a curved shape. In one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the outer wall of the side panel 305 is closer to the front case 300 and further away from the second discharge unit 220 . may be provid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토출부(220)는 유동 전환장치(30)의 후면그릴(310)에 의해 부분적으로 커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토출부(220)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측면패널(305)의 외측벽을 따라 외부로 토출될 수 있으며, 제2토출부(220)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나머지 일부는 후면그릴(310)을 통해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in a state in which the flow diverter 30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discharge unit 220 is partially covered by the rear grill 310 of the flow diverter 30 . It can be provided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ly, som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scharge unit 2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outer wall of the side panel 305 ,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scharge unit 220 is at the rear side. It may be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flow diverter 30 through the grill 310 .

제2송풍장치(20)는 제2송풍팬(26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가이드부재(40)가 안착되도록 마련된 가이드부재 안착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 안착부(27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브부재(40)의 작동방향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다.The second blower 20 is provided to be disposed on the second blower fan 260 and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mber seating part 270 provided to seat the guide member 40 . The guide member seating portion 270 may be controlled to rotat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guide member 40 may be freely adjus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2송풍장치(20)는 제2토출부(2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제2케이스(200)의 내측벽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련된 돌출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80)는 상기 제2케이스(200)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blower 20 is provided to be disposed under the second discharge unit 220 and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280 provided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air mov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ase 200 . can do. The protrusion 280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ase 2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도 6 및 도 7은 제2송풍장치(20)의 구조만을 도시하고 제1송풍장치(10)의 구조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1송풍장치(10)도 제1토출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제1케이스(100)의 내측벽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련된 돌출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송풍장치(10)에 포함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케이스(100)의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송풍장치(10) 및 제2송풍장치(20)가 각각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 제1송풍장치(10)에 포함된 돌출부는 제1돌출부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에 포함된 돌출부는 제2돌출부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송풍장치(10)가 상기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특정하지 않고, 제2송풍장치(20)에 포함된 상기 제2돌출부를 돌출부(280)로 지칭하기로 한다.Meanwhile, FIGS. 6 and 7 show only the structure of the second blower 20 and the structure of the first blower 10 is not shown, but the first blower 10 is also the first discharge unit 120 . It is provided to be disposed under the first case 100 and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not shown) provided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air mov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ase 100, included in the first blower 10 The protruding portion may have a shape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ase 100 . When the first blower 10 and the second blower 20 each include a protrusion, the protrusion included in the first blower 1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blower 20 )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protrusion.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not specified whether or not the first blower 10 includes the first protrusion, but the second protrusion included in the second blower 20 includes the protrusion 280 . to be referred to as

제2송풍장치(20)의 내부에 구비된 제2송풍팬(260) 및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에 구비된 제3송풍팬(360)은 모두 사류팬(mixed flow fan)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blowing fan 260 provided inside the second blowing device 20 and the third blowing fan 360 provided inside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are both to be provided as mixed flow fans. can

한편, 도 6 및 도 7은 제2송풍장치(20)의 구조만을 도시하고 제1송풍장치(10)의 구조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제1송풍장치(10)의 내부에 구비된 제1송풍팬(160)도 사류팬으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FIGS. 6 and 7 show only the structure of the second blower 20 and do not show the structure of the first blower 10 , the first blower provided inside the first blower 10 . The fan 160 may also be provided as a flow fan.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과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된 상태 즉,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동 전환장치(30)의 측면패널(305)과 제2송풍장치(20)의 제2토출부(220)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토출부(220)로부터 토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측면패널(305)과 제2토출부(22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are horizontal,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low diverter 30 is arranged in the first position. , the side panel 305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220 of the second blower 2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rom the second discharge unit 220 At least some of the discharged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space between the side panel 305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220 .

즉, 벽면에 접근하여 분출된 기류가 그 면에 빨려서 부착하여 흐르는 경향을 갖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서, 제2송풍팬(260)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제2케이스(200)의 내측벽에 인접하여 분출될 수 있으며, 이후 유동 전환장치(30)를 거치지 않고 제2토출부(220)를 통해 곧장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이 공기유동의 불필요한 저항요소로 작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풍속이 감소하지 않고 도달거리(blowing distance)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2송풍장치(20)가 돌출부(28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2송풍장치(20)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풍속이 증가할 수도 있다.That is, the air blown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using the second blowing fan 260 due to the Coanda effect, in which the airflow that approaches the wall surface is sucked and attached to the surface and has a tendency to flow. At least a part of it may be ejected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ase 200 , and then may be direc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220 without going through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Accordingly, the components provided inside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may not act as unnecessary resistance elements of the air flow, and the wind speed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blower 20 does not decrease and reaches the distance ( blowing distance) can be improved. Meanwhile, when the second blower 20 further includes the protrusion 280 , the wind speed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blower 20 may increase.

도 9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단면도들, 상면도들 및 입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9, 11, 14 및 18은 사시도들이고, 도 10 및 17은 단면도들이며, 도 12 및 15는 상면도들이고, 도 13 및 16은 입면도들이다. 이때, 도 9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 영역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11 내지 도 18은 상기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유로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9 to 18 are perspective views, cross-sectional views, top views and elevation views for explain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S. 9, 11, 14 and 18 are perspective views, FIGS. 10 and 17 are cross-sectional views, FIGS. 12 and 15 are top views, and FIGS. 13 and 16 are elevation views. At this time, FIG.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air purifier, 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region C of FIG. 9 , and FIGS. 11 to 18 are flow control devices included in the air purifier. drawings for

도 9 내지 도 18을 참조로 설명하는 공기청정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공기청정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ir purifi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8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air purifi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A description is omitted.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송풍장치(10, 20), 가이드부재(40) 및 유동 전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10, 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10), 및 제1송풍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equentially stacked blowers 10 and 20 , a guide member 40 , and a flow conversion device 30 . have. At this time, the blowers 10 and 20 are provided to be disposed on the first blower 10 and the first blower 10 provided to suck and filter the air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and then blow the air. It may include a second blower 20 provided to suck air at a high position and blow it after filtering.

제1송풍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0), 제1케이스(1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130), 및 제1케이스(1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00), 제2케이스(2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230), 및 제2케이스(2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2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lower 10 includes a first case 100 forming an exterior, a first filter member 13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inside the first case 100 to filter air, and a first case 100 . It may include a first blower fan 160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to generate air flow, and the second blower 20 includes a second case 200 that forms an external appearance,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case 200 . It may include a second filter member 23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to filter the air, and a second blowing fan 260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200 to generate air flow.

제1케이스(100)의 측벽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흡입부(11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케이스(200)의 측벽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흡입부(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 상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토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 상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토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suction unit 110 provided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first case 100 , and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second case 200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A second suction unit 210 may be formed, and a first discharge unit 120 provided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wer 10 , and the second A second discharge unit 220 provided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wer 20 .

도 10을 참조하면, 제1송풍장치(10)는 제1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제1송풍팬(16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송풍팬(1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유동면적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제1유로 제어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유로 제어장치(170)는 제1송풍팬(160)과 제1토출부(120)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면적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킴으로써, 제1송풍팬(1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특정영역에 선택적으로 집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first blowing device 10 is disposed on the first blowing fan 160 inside the first case 100 and measures the flow area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blowing fan 160 .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low path control device 170 provided to adjust, the first flow path control device 170 is a flow area in which air flows between the first blowing fan 160 and the first discharge unit 120 . By selectively closing a part of the ventilato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blowing fan 160 may be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송풍장치(20)도 제2케이스(200)의 내부에서 제2송풍팬(26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2송풍팬(2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유동면적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제2유로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유로 제어장치는 제2송풍팬(260)과 제2토출부(220)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면적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킴으로써, 제2송풍팬(1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특정영역에 선택적으로 집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blower 20 is also disposed on the second blower fan 260 inside the second case 200 and adjusts the flow area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blower fan 260 .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low path control device (not shown) provided to do so, wherein the second flow path control device controls the flow area through which air flows between the second blowing fan 260 and the second discharge unit 220 . By selectively closing a par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blowing fan 160 may be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도 10 내지 도 18은 제1송풍장치(10)에 포함된 제1유로 제어장치(170)만을 도시하고 있고, 제2송풍장치(20)에 포함된 상기 제2유로 제어장치는 도시하지 않고 있으나, 상기 제2유로 제어장치는 제1유로 제어장치(1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유로 제어장치(17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제2송풍장치(20)에 포함된 상기 제2유로 제어장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0 to 18 show only the first flow path control device 170 included in the first blower 10, and the second flow path control device included in the second blower 20 is not shown. , the second flow path control device may be provided to have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flow path control device 170 . Therefor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the first flow path control device 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flow path control device included in the second blower 20 will be omitted. do.

제1유로 제어장치(170)는 제1송풍팬(16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실린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 제1프레임(170a), 및 제1프레임(170a)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의 상부면을 갖도록 구비되며, 제1프레임(170a)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프레임(170a)의 상부를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 제2프레임(170b)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control device 170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lowing fan 160, the first frame 170a provid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70a The second frame 170b is provided to have an upper surface of ,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170a and provided to have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170a.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유로 제어장치(170)는 제1프레임(170a)과 제2프레임(170b) 사이에서 일단이 제1프레임(170a)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프레임(170b)에 고정되며, 제1프레임(170a)과 제2프레임(170b) 사이의 공간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된 유로 제어패널, 및 제1프레임(170a)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 제어패널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유로 제어패널의 개폐를 유도하도록 마련된 유로 제어링크(1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프레임(170a)과 제2프레임(170b) 사이의 공간 중에서 상기 유로 제어패널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부분 상에 집중 공기유로(190)가 형성될 수 있다.11 to 13 , the first flow path control device 170 has one end fixed to the first frame 170a and the other end between the first frame 170a and the second frame 170b and the second frame ( 170b), a flow path control panel provided to partially cover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170a and the second frame 170b, and provided inside the first frame 170a, the flow path control panel It may include a flow path control link 180 connected to the other end to induc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ow path control panel, and is covered by the flow path control panel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170a and the second frame 170b. A concentrated air flow path 190 may be formed on a portion that is not.

또한, 제1유로 제어장치(170)는 제1프레임(170a)의 내부에 구비되며 유로 제어링크(180)의 상승 및 하강을 구동하도록 마련된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프레임(170a)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프레임(170a)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마련된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프레임(170a) 내부의 공간 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low path control device 170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frame 170a and includes a first driving part provided to drive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 and the inside of the first frame 170a .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riving part provided in the first frame (170a) to drive the rotation, the first driving part and the second driving part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pace inside the first frame (170a). can be

상기 제1구동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183), 제1모터(183)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1축, 및 상기 제1축에 체결된 제1바퀴(184)를 포함할 수 있고, 유로 제어링크(180)의 내측벽 일부 상에는 상기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레일(18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유로 제어링크(180)는 제1바퀴(184)가 제1레일(187)에 맞물려 회전운동함으로써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motor 183 providing power, a first shaf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motor 183 to rotate, and a first wheel 184 coupled to the first shaft. A first rail 187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 and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includes a first wheel 184 . It may be controlled to ascend or descend by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rail 187 .

상기 제2구동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173), 제2모터(173)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2축, 및 상기 제2축에 체결된 제2바퀴(174)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케이스(100)의 내측벽 일부 상에는 지면에 수평한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레일(17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프레임(170a)은 제2바퀴(174)가 제2레일(177)에 맞물려 회전운동함으로써 제1케이스(100)의 내측벽을 따라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includes a second motor 173 providing power, a second shaf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motor 173 to rotate, and a second wheel 174 coupled to the second shaft. may include, and a second rail 177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to the ground may be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ase 100, and the first frame 170a includes a second wheel ( 174 may be controlled to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ase 100 by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second rail 177 .

상기 유로 제어패널은 복수 개의 제어패널들(175), 및 각각의 제어패널들(175)을 관통하며 제어패널(175)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부재들(17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관통부재(171)는 상기 수평 방향 을 따라 제2프레임(170b), 제어패널(175) 및 제1프레임(170a)을 차례로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low path control panel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rol panels 175, and a plurality of penetrating members 171 passing through each of the control panels 175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trol panel 175, One penetrating member 171 may be provided to extend through the second frame 170b, the control panel 175, and the first frame 170a in sequenc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각의 제어패널들(175)은 사다리꼴의 윗변과 아랫변이 모두 라운드진 고리형 부채꼴(annulus sector)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어패널들(175)은 함께 제1프레임(170a)과 제2프레임(170b) 사이의 공간을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배열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each of the control panels 175 may have an annulus sector shape in which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rapezoid are rounded, and the plurality of control panels 175 are formed together. It may be arranged to partially fill a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170a and the second frame 170b.

관통부재(171)는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제1프레임(170a)을 관통하여 유로 제어링크(180)의 상부면 상에서 연장되다가, 상기 수평 방향과 다른 수평 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penetrating member 171 may exte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through the first frame 170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be bent and exte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관통부재(171)는 상기 수평 방향들 중 제1방향을 따라 제1프레임(170a)을 관통하여 유로 제어링크(180)의 상부면 상에서 연장되다가, 상기 수평 방향들 중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penetrating member 171 passes through the first frame 170a in a first direction among the horizontal directions and extend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and then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s. It may be provided to be bent and extend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In an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이하에서는, 관통부재(171)의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을 제1부분으로 지칭하기로 하며, 관통부재(171)의 상기 제2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을 제2부분으로 지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o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171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171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the second direc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portion. decide to do

유로 제어링크(180)는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 관통체결부(18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패널(175)로부터 제2프레임(170b)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부재(171)의 일단은 제2프레임(170b)에 체결될 수 있고, 제어패널(175)로부터 제1프레임(170a)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부재(171)의 타단은 관통체결부(181)를 관통하여 유로 제어링크(180)에 체결될 수 있다.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may include a through fastening portion 181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and one end of the penetrating member 171 extending from the control panel 175 through the second frame 170b.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frame 170b, and the other end of the penetrating member 171 extending from the control panel 175 through the first frame 170a passes through the through fastening portion 181 to control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may be fasten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부에서 보았을 때, 유로 제어링크(180)는 제1프레임(170a)의 내측벽에 의해 둘러싸인 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프레임(170a)의 측벽은 유로 제어링크(18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프레임(170b)은 제1프레임(170a)으로부터 이격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may have a ring shape surrounded by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rame 170a, and the sidewall of the first frame 170a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flow path. The link 180 may have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frame 170b may have a ring shap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170a.

상기 유로 제어패널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제어패널들(175)은 제1프레임(170a)과 제2프레임(170b) 사이의 공간 상에서 제1프레임(170a)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배치될 수 있으나, 제1프레임(170a)과 제2프레임(170b) 사이의 상기 공간 중 일부 공간 상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패널들(175)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상기 일부 공간 상에는 제1송풍팬(1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집중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집중 공기유로(190)가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rol panels 175 included in the flow path control panel may be evenly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rame 170a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170a and the second frame 170b. However, it may not be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first frame 170a and the second frame 170b, and accordingly, the first blower may not be disposed on the portion of the space not covered by the control panels 175 . A concentrated air flow path 190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an 160 can move intensively may be formed.

집중 공기유로(190)는 유로 제어링크(180)가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상승하도록 제어되는 경우에만 형성되고, 유로 제어링크(180)가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하강하도록 제어되는 경우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The concentrated air flow path 190 is formed only when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is controlled to rise by the first driving unit, and is not formed when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is controlled to descend by the first driving unit. may not b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로 제어링크(180)가 상승된 상태에서, 관통체결부(181)의 상부는 제1프레임(170a) 및 제2프레임(170b)보다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when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is raised,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fastening portion 181 is higher than the first frame 170a and the second frame 170b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protrude.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유로 제어링크(180)는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하강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유로 제어패널이 개방될 수 있다.14 to 16 ,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may be controlled to descend by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us the flow path control panel may be opened.

구체적으로, 상기 제1구동부의 제1바퀴(184)가 유로 제어링크(180)의 내측면에 구비된 제1레일(187)에 맞물려 회전운동하여 유로 제어링크(180)가 하강하도록 제어되면, 유로 제어링크(180)의 상부면 상에 구비된 관통체결부(181)도 유로 제어링크(180)와 함께 하강하게 되며, 관통부재(171)의 관통체결부(181)에 체결된 부분 즉, 상기 제2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관통부재(171)의 상기 제2부분도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관통부재(171)의 상기 제2부분을 제외한 관통부재(171)의 나머지 부분 즉, 관통부재(171)의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제1부분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관통부재(171)의 상기 제1부분에 고정된 제어패널(175)도 관통부재(17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first wheel 184 of the first driving unit is controlled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rail 187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to lower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The through fastening part 18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also descends together with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 that is, the part fastened to the through fastening part 181 of the penetrating member 171 , that is, The second po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171 that is bent and extended in the second direction also moves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est of the penetrating member 171 except for the second por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171 . A part, that is, the first part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penetrating member 171 may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the control panel ( 175 may als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penetrating member 171 .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제어패널들(175)이 각각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유로 제어패널이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제1송풍팬(1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제1프레임(170a)과 제2프레임(170b) 사이의 공간 중에서 집중 공기유로(19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서도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plurality of control panels 175 rotate, the flow path control panel may be partially opened,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blowing fan 160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frame 170a and the second frame. In the space between the 170b, the concentrated air flow path 190 may be moved through a portion not formed.

도 16은 측부에서 보았을 때, 복수 개의 제어패널들(175)이 각각 제2프레임(170)과 수직하지 않은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개념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제어패널들(175)은 각각 제2프레임(170)과 수직한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될 수도 있다.16 shows that the plurality of control panels 175 are rotated to form an angle that is not perpendicular to the second frame 170, respectively,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Each of the control panels 175 may be rotated to form an angl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frame 170 .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프레임(170a)의 하부면은 유로 제어링크(180)의 가장자리부분 및 제1레일(187)의 하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부는 유로 제어링크(180)가 하강할 때, 상기 유로 제어링크(180)의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프레임(170a)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개구부는 유로 제어링크(180)가 하강할 때, 상기 제1레일(187)의 하부가 상기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프레임(170a)의 하부면을 관통하는 부분일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city.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70a may be provided to have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ail 187 , respectively. The first opening may be a portion in which an edge portion of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passe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70a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descends. The second opening may be a portion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ail 187 passe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70a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descend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로 제어링크(180)가 하강된 상태에서, 관통체결부(181)의 하부는 제1프레임(170a)의 하부면보다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in a state in which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is lowered, a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fastening portion 181 may protrude lower tha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70a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7을 참조하면, 제1레일(187)은 제1바퀴(184)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로 제어링크(180)의 상승 및 하강이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the first rail 187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wheel 184 , and accordingly,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may be controlled by the first driving unit. can

도 18을 참조하면, 제2레일(177)은 제2바퀴(174)에 맞물려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로 제어링크(180)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이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the second rail 177 may be disposed to engage and contact the second wheel 174 , and accordingly, the rotation of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erformed by the second driving unit. can be controlled.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프레임(170a)은 제1프레임(170a)의 하부면을 상기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구동부 및 제2바퀴(174)에 각각 체결된 상기 제2축은 상기 제3개구부를 따라서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개구부는 제1프레임(170a) 하부면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제1프레임(170a)의 하부면을 부분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first frame 170a may include a third opening penetra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70a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provided in the second driving unit and the second wheel 174, respectively. The fastened second shaft may be mov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third opening. The third opening may be formed to partially penetrate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70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70a.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프레임(170a)이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프레임(170a)에 고정된 상기 유로 제어패널의 타단도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집중 공기유로(190)도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when the first frame 170a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second driving unit,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control panel fixed to the first frame 170a may also be rotated in the one direction. Accordingly, the concentrated air flow path 190 may also be controlled to rotate in the one direc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유로 제어링크(180)가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하강되면, 관통체결부(181)에 체결된 상기 관통부재(171)의 타단도 함께 하강되어 관통부재(17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어패널(175)이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 제어패널이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 제어링크(180)가 상승하도록 제어되는 경우, 제1송풍팬(160)과 제1토출부(120)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면적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폐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송풍팬(1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특정영역에 선택적으로 송풍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is lowered by the first driving part, the other end of the penetrating member 171 fastened to the through fastening part 181 is also lowered to be integral with the penetrating member 171 . The control panel 175 formed of .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flow path control panel may be controlled to be opened. Accordingly, when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is controlled to rise, a portion of the flow area through which air flows between the first blowing fan 160 and the first discharge unit 120 may be selectively closed, and thus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blowing fan 160 may be controlled to selectively blow the air to a specific area.

이와 반대로, 유로 제어링크(180)가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상승되면, 관통체결부(181)에 체결된 상기 관통부재(171)의 타단도 함께 상승되어 관통부재(17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어패널(175)이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유로 제어패널이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 제어링크(180)가 하강하도록 제어되는 경우, 제1송풍팬(160)과 제1토출부(120)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면적이 전체적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송풍팬(16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모든영역에 걸쳐서 고르게 송풍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is raised by the first driving part, the other end of the penetrating member 171 fastened to the through fastening part 181 is also raised together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penetrating member 171 . The control panel 175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and the flow path control panel may be controlled to be closed. Accordingly, when the flow path control link 180 is controlled to descend, the entire flow area through which air flows between the first blowing fan 160 and the first discharge unit 120 may be opene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160 may be controlled to blow evenly over all areas.

또한, 유로 제어패널(180)은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제1케이스(100)의 내측벽을 따라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집중 공기유로(190)도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path control panel 180 may b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ase 100 by the second driving unit, so that the concentrated air flow path 190 is also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be controlled.

도 19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및 단면도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19 및 20은 상기 공기청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1, 22 및 23은 상기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제1필터부재 및 제1청소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24, 25 및 26은 각각 도 19의 D 영역에 대한 확대 사시도들이다.19 to 26 are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S. 19 and 20 are perspective and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air purifier, and FIGS. 21 , 22 and 2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first cleaning unit included in the air purifier. , FIGS. 24 , 25 and 26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region D of FIG. 19 , respectively.

도 19 내지 도 26을 참조로 설명하는 공기청정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공기청정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ir purifi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6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air purifi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A description is omitted.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송풍장치(10, 20), 가이드부재(40) 및 유동 전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10, 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10), 및 제1송풍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19 and 20 , 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quentially stacked blowers 10 and 20 , the guide member 40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may include At this time, the blowers 10 and 20 are provided to be disposed on the first blower 10 and the first blower 10 provided to suck and filter the air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and then blow the air. It may include a second blower 20 provided to blow the air at a high position to the suction and filter after filtering.

제1송풍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0), 제1케이스(1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130), 및 제1케이스(1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00), 제2케이스(2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230), 및 제2케이스(2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2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lower 10 includes a first case 100 forming an exterior, a first filter member 13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inside the first case 100 to filter air, and a first case 100 . It may include a first blower fan 160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to generate air flow, and the second blower 20 includes a second case 200 that forms an external appearance,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case 200 . It may include a second filter member 23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to filter the air, and a second blowing fan 260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200 to generate air flow.

제1케이스(100)의 측벽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흡입부(11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케이스(200)의 측벽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흡입부(2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송풍장치(10)의 상부면 상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토출부(12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 상에는 외부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토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suction unit 110 provided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first case 100 , and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second case 200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A second suction unit 210 may be formed, and a first discharge unit 120 provided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wer 10 , and the second A second discharge unit 220 provided to discharge air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wer 20 .

제1송풍장치(10)는 제1필터부재(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필터부재(13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제3구동부, 및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제1청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필터부재(130)는 상기 제3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상기 제1청소부와 접촉되어 제거될 수 있다.The first blower 10 is disposed under the first filter member 130 and at least partially on the outer wall of the third driving part provided to rotate the first filter member 130 , and the first filter member 130 .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leaning unit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filter member 130 may be rotated by the third driving unit, the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ilter member 130 is the first It can be removed by contact with the cleaner.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송풍장치(20)도 제2필터부재(2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필터부재(23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제4구동부, 및 제2필터부재(230)의 외측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제2청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필터부재(230)는 상기 제4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2필터부재(230)의 외측벽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상기 제2청소부와 접촉되어 제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blower 20 is also disposed below the second filter member 230 to rotate the second filter member 230 and a fourth driving part provided to rotate the second filter member 230 .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leaning unit provided to at least partially contact the outer wall, the second filter member 230 may be rotated by the fourth driving unit,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230 is present on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filter member 230 . Foreign substances may be removed by contact with the second cleaning unit.

제2송풍장치(20)에 포함된 상기 제4구동부 및 상기 제2청소부는 각각 제1송풍장치(10)에 포함된 상기 제3구동부 및 상기 제1청소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송풍장치(10)에 포함된 상기 제3구동부 및 상기 제1청소부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제2송풍장치(20)에 포함된 상기 제4구동부 및 상기 제2청소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ourth driving unit and the second cleaning unit included in the second blower 20 are provid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s as the third driving unit and the first cleaning unit included in the first blower 10, respectively can be Therefor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the third driving unit and the first cleaning unit included in the first blower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fourth part included in the second blower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iving unit and the second cleaning unit will be omitted.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청소부는 제1케이스(100)의 측벽 일부를 구성하도록 구비된 제1집진패널(140), 및 제1집진패널(140)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접촉하도록 구비된 제1청소모듈(145), 제1집진패널(14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관통부(149a), 및 제1관통부(149a)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측벽 상에 구비된 개폐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21 to 23 , the first cleaning unit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nel 140 provided to constitute a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first case 100 , and the first dust collecting panel 140 , The first cleaning module 145 provided to contact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ilter member 130, the first through-portion 149a provided to penetrate the side wall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nel 140, and the first through-portion ( 149a)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part 155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case to open or close.

상기 제3구동부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3모터(131), 제3모터(131)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3축, 및 상기 제3축에 체결된 제3바퀴(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driving unit includes a third motor 131 providing power, a third shaf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third motor 131 to rotate, and a third wheel 132 coupled to the third shaft. may include.

제1필터부재(130)와 상기 제3구동부 사이에는 제1필터부재(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필터부재(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하부 플레이트(125)가 구비될 수 있고, 제1하부 플레이트(125)의 하부에는 제1하부 플레이트(125)의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3레일(133)이 구비될 수 있다. 제3바퀴(132)는 제3레일(133)에 맞물려 회전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필터부재(130)가 상기 제3구동부에 의해 제1회전 플레이트(125)의 내측벽을 따라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A first lower plate 125 for rotating the first filter member 1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130 and the third driving unit, which is disposed under the first filter member 130 and rotates the first filter member 130, A third rail 133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lower plate 125 may be provided under the first lower plate 125 . The third wheel 132 may be provided to rotate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third rail 133 , so that the first filter member 130 moves the inner wall of the first rotation plate 125 by the third driving unit. Accordingly, it may be controlled to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20 및 도 21을 함께 참조하면, 제1필터부재(130)의 상부에는 제1상부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필터부재(130)와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 사이에는 제1필터부재(130)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련된 제1베어링(135)이 구비될 수 있다.20 and 21 together, a first upper plat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member 130, and a first filter member ( A first bearing 135 provided to reduce frictional force generated when the 130 rotates may be provided.

제1필터부재(130)가 상기 제3구동부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부착된 이물질은 제1청소모듈(145)에 의해 탈착되어 제1관통부(149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관통부(149a)는 제1집진패널(140) 측벽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As the first filter member 130 is rotated by the third driving part,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ilter member 130 are detached by the first cleaning module 145 and the first through part 149a. )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one embodiment, the first through portion 149a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idewall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nel 140 .

제1청소모듈(145)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 단이 제1집진패널(140) 내측벽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비된 제1청소부재(145a), 및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청소부재(145a)에 고정되도록 구비된 제2청소부재(14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청소부재(145a) 및 제2청소부재(145b)는 제1집진패널(140)로부터 제1필터부재(130)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청소부재(145a)는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청소부재(145b)는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leaning module 145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first cleaning member 145a ar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wall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nel 140, respectively,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include a second cleaning member (145b) provided to extend to be fixed to the first cleaning member (145a), the first cleaning member (145a) and the second cleaning member (145b) is a first dust collecting panel (140) It may have a sequentially stacked structure from the to the first filter member 130 . In this case, the first cleaning member 145a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ilter member 130 , and the second cleaning member 145b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ilter member 130 . hav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청소부재(145a)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청소부재(145b)는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브러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cleaning member 145a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to remove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and the second cleaning member 145b may be made of a brush to remove relatively small foreign substances. can

상기 제1집진패널(140)의 내측벽은 제1관통부(149a)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청소모듈(145)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집진패널(140)의 내측벽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wall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nel 140 may have a concave shape toward the first through portion 149a, and the first cleaning module 145 is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nel 140 . It may be provided so as to cross the inner wall.

제1청소모듈(145)이 구비된 부분을 제외한 제1필터부재(130)와 제1집진패널(140) 내측벽 사이의 빈 공간은, 상기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으로부터 제1청소모듈(145)을 통해 털어 내어진 이물질이 이동하는 공기유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empty space between the first filter member 130 and the inner wall of the first dust collecting panel 140 excluding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first cleaning module 145 is first cleaned from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ilter member 130 . The module 145 may serve as an air flow path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brushed off move.

한편, 제1케이스(100)는 제1관통부(149a)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제1케이스(10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제2관통부(149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관통부(149a) 및 제2관통부(149b)는 함께 제1관통홀(149)을 형성할 수 있다. 제2관통부(149b)는 제1관통부(149a)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case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hrough portion 149b provided to penetrate the sidewall of the first case 10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hrough portion 149a is formed. The first through portion 149a and the second through portion 149b may form a first through hole 149 together. The second through portion 149b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through portion 149a.

제1관통부(149a)와 제2관통부(149b) 사이에는 충격방지부(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충격방지부(150)는 외부에서 청소장치가 제1관통홀(149)로 접근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n impact prevention part 1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penetration part 149a and the second penetration part 149b, and the impact prevention part 150 approaches the cleaning device from the outside to the first penetration hole 149. In order to alleviate the impact generated when doing so, it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충격방지부(150)는 가운데 부분이 관통된 링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2관통부(149b)보다는 작고 제1관통부(149a)보다는 크거나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impact prevention unit 150 may be provided to have a ring shape through which the middle portion is penetrated, and is smaller than the second through portion 149b and larg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portion 149a. can have

한편, 충격방지부(150)는 외부의 청소장치를 인식할 수 있는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제3구동부가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Meanwhile, the shock prevention unit 150 may include a detection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an external cleaning device, and the third driv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도 22은 제3레일(133)의 내측벽을 도시하기 위해 제3바퀴(132)를 도시하지 않고, 도 23은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3모터(131)를 도시하지 않고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3바퀴(132)가 제3모터(131)의 상부에 체결되어 제1하부 플레이트(125)와 제3모터(131) 사이에 구비된 제3레일(133)을 따라 회전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22 does not show the third wheel 132 to show the inner wall of the third rail 133, and FIG. 23 does not show the third motor 131 to avoid overlapping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how the third wheel 132.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third wheel 132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motor 131, the third rail provided between the first lower plate 125 and the third motor 131 ( 133) can be easily understood.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제1케이스(100)의 외측벽 상에는 제1관통부(149a) 및 제2관통부(149b)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한 제1개폐부(15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개폐부(155)는 상기 제1케이스(100)의 외측벽 상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24 to 26 ,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ase 100, a first opening/closing part 155 for opening or closing the first penetration part 149a and the second penetration part 149b may be provided. ,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55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ase 100 .

도 24 내지 도 26은 제1개폐부(155)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도 24는 제1개폐부(155)가 폐쇄된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25는 제1개폐부(155)가 개방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6은 제1개폐부(155)가 개방된 때 외부에서 청소장치를 이용하여 제1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된 제1필터부재(130)를 청소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24 to 26 show tha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55 is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ore specifically, FIG. 24 shows tha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155 is closed, 25 shows that the first opening/closing part 155 is opened, and FIG. 26 is the first provided inside the first case 100 using a cleaning device from the outside when the first opening/closing part 155 is opened. Cleaning the filter member 130 is show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구동부는 제1개폐부(155)가 개방된 상태에서만 구동되고, 제1개폐부(155)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third driv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only in an open state of the first opening/closing part 155 and not driven in a closed state of the first opening/closing part 155 .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송풍장치(10)의 내부에 구비된 제1필터부재(130)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3구동부에 의해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제1청소모듈(145)을 통해 상기 제1필터부재(130)의 외측벽에 부착된 이물질이 탈착되게 될 수 있다. 이후, 제1송풍장치(10)의 외부에 마련된 청소장치를 사용하여 제1필터부재(130)로부터 탈착된 이물질들이 제1관통홀(149)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청정기(1)의 사용자는 제1송풍장치(10)의 내부에 구비된 제1필터부재(130)를 탈착하지 않고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ilter member 130 provided inside the first blower 10 may be controlled to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third driving unit disposed below, and the first filter member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first filter member 130 may be detached through the first cleaning module 145 provided to at least partially contact the outer wall of the 130 . Thereafter, foreign substances detached from the first filter member 130 may be remov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49 using a cleaning device provided outside the first blower 10 . Accordingly, the user of the air purifier 1 can easily clean without detaching the first filter member 130 provided inside the first blower 10 .

도 27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단면도들 및 배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7은 상기 공기청정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8 내지 도 34는 도 27의 E 영역에 대한 확대 단면도들 및 확대 배면도이다. 이때, 도 28 내지 도 34는 상기 공기청정기에 포함된 유동 전환장치 및 가이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27 to 34 are perspective views, cross-sectional views, and rear views for explaining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air purifier, and FIGS. 28 to 34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and enlarged rear views of area E of FIG. 27 . At this time, FIGS. 28 to 3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low conversion device and the guide member included in the air purifier.

도 27 내지 도 34를 참조로 설명하는 공기청정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공기청정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air purifi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7 to 34 is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to the air purifi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 description is omitted.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송풍장치(10, 20), 가이드부재(40) 및 유동 전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10, 20)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10), 및 제1송풍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링한 후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 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equentially stacked blowers 10 and 20 , a guide member 40 and a flow conversion device 30 . have. At this time, the blowers 10 and 20 are provided to be disposed on the first blower 10 and the first blower 10 provided to suck and filter the air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and then blow the air. It may include a second blower 20 provided to suck air at a high position and blow it after filtering.

제1송풍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00), 제1케이스(1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부재(130), 및 제1케이스(1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송풍팬(1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200), 제2케이스(200)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2필터부재(230), 및 제2케이스(200)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송풍팬(2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lower 10 includes a first case 100 forming an exterior, a first filter member 13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inside the first case 100 to filter air, and a first case 100 . It may include a first blower fan 160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ior to generate air flow, and the second blower 20 includes a second case 200 that forms an external appearance,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case 200 . It may include a second filter member 23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to filter the air, and a second blowing fan 260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200 to generate air flow.

유동 전환장치(30)는 제2송풍장치(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20)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blower 20 , and may be provided to suck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blower 20 and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sucked air. .

가이드부재(40)는 일 측이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인입되고, 다른 일 측이 유동 전환장치(30)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유동 전환장치(30)의 상태 천이를 유도하기 위해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이드부재(40)의 인출 정도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과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이 이루는 각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40 is provided so that one side i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blower 20 ,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to induce a state transi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It may be controlled to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blower 20 or to be drawn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angl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may increase or decrease depending on the degree of withdrawal of the guide member 40 .

유동 전환장치(30)는 가이드부재(40)의 동작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위치,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위치, 및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3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guide member 40, the flow diverter 30 has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30 is disposed to be horizonta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the flow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diverter 30 is dispos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30 is the second blower It may be disposed in a third position disposed to form a vertical with the upper surface of (20).

도 28 및 도 29는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28 and 29 show that the flow diverter 30 is arranged in the first position.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40)는 외관을 형성하고, 일 측이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비되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외부 하우징(400), 및 일 측이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되고 다른 일 측이 유동 전환장치(3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외부 하우징(400)의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비된 상기 일 측과 다른 일 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내부 하우징(405)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400)은 내부 하우징(405)을 둘러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8 and 29 , the guide member 40 forms an exterior, one side is provided to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blower 20 , and is drawn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 The outer housing 400 is provided to be movable and one side is introduced into the outer housing 400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and the second blow of the outer housing 400 . The device 20 may include an inner housing 405 provided to be moved by being drawn out from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provided to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device 20 . The outer housing 400 may have a structure surrounding the inner housing 405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400)은 전체적으로 굽은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부 하우징(405)은 상기 외부 하우징(400)의 기둥 형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하우징(400)의 기둥 형상은 상부면이 개방되도록 구비되어, 내부 하우징(405)이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혹은 상기 개방된 외부 하우징(40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outer housing 400 may have an overall curved column shape, and the inner housing 405 may have a column shape having a relatively smaller size than the column shape of the outer housing 400 . . At this time, the pillar shape of the outer housing 400 is provid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is opened, so that the inner housing 405 is drawn into the outer housing 400 or drawn out from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400 . It can be arranged so that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과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이 이루는 각도는 외부 하우징(400)이 제2송풍장치(20)로부터 인출된 정도에 따라 일차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으며, 내부 하우징(405)이 외부 하우징(400)으로부터 인출된 정도에 따라 추가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The angl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is primarily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the outer housing 400 is drawn out from the second blower 20 . and may be further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inner housing 405 is drawn out from the outer housing 400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외부 하우징(400)은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인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in a state in which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the outer housing 400 may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blower 20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

가이드부재(40)는 제2송풍장치(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 하우징(400)의 외부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된 제4구동부(420), 및 내부 하우징(405)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면에 인접하도록 구비된 제5구동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40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blower 20 and provided inside the fourth driving part 420 provided to be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400 , and the inner housing 405 to the outside. A fifth driving unit 430 provided to be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400 may be included.

제4구동부(420)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4모터(421), 제4모터(421)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4축(423), 및 제4축(423)에 체결된 제4바퀴(4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5구동부(430)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5모터(431), 제5모터(431)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5축(433), 및 제5축(433)에 체결된 제5바퀴(4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driving unit 420 is fastened to a fourth motor 421 providing power, a fourth shaft 423 provid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fourth motor 421 to rotate, and the fourth shaft 423 . and a fourth wheel 425 , the fifth driving unit 430 is a fifth motor 431 providing power, a fifth shaf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fth motor 431 to rotate 433 , and a fifth wheel 435 coupled to the fifth shaft 433 may be included.

도 29 및 도 34를 함께 참조하면, 외부 하우징(400)은 외부 하우징(400)의 외부면을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횡단하도록 구비된 제1가이드레일(410a), 및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면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구비된 제2가이드레일(4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레일(410a) 및 제2가이드레일(410b)은 각각 외부 하우징(400)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가운데 부분에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레일(410a) 및 제2가이드레일(410b)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함께 가이드레일(410)을 형성할 수 있다.29 and 34 together, the outer housing 400 includes a first guide rail 410a provided to cross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uter housing 400 It may include a second guide rail 410b provided to cross the inn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guide rail 410a and the second guide rail 410b may be respectively formed in the middle of the outer housing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guide rail 410a and the second guide rail 410b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guide rail 410 may be formed together.

도 29 및 도 34를 함께 참조하면, 내부 하우징(405)은 내부 하우징(405)의 외부면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구비된 트렌치(407), 및 트렌치(407)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4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29 and 34 together, the inner housing 405 includes a trench 407 provided to cross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0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formed to penetrate a portion of the trench 407 . It may include 4 openings.

트렌치(407)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부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가이드레일(410b)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면 상에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410b)은 내부 하우징(405)의 외부면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때 내부 하우징(405)의 외부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갖는 트렌치(407)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내부 하우징(405)이 제2가이드레일(410b)에 걸리지 않고 외부 하우징(40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The trench 407 may have a shape reces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where the second guide rail 410b is formed. That is, the second guide rail 410b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400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05 , in this cas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405 . Since the trench 407 having a recessed shape may be formed, the inner housing 405 may be drawn out from the outer housing 400 without being caught in the second guide rail 410b.

상기 제4개구부는 다각형 형상 및/또는 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4구동부(430)의 제4바퀴(435)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4바퀴(435)는 상기 제4개구부를 통해 상기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면 상에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410b)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4바퀴(435)가 회전운동함에 따라 내부 하우징(405)이 외부 하우징(400)으로부터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The fourth opening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and/or a circular shape,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where the fourth wheel 435 of the fourth driving part 430 is formed. That is, the fourth wheel 435 may be disposed to engage the second guide rail 410b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400 through the fourth opening, and the fourth wheel 435 rotates. As the movement moves, the inner housing 405 may be drawn in or drawn out from the outer housing 400 .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4개구부는 유동 전환장치(30)에 연결된 상기 내부 하우징(405)의 다른 일 측에 비해,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내부 하우징(405)의 일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fourth opening is the inner housing 405 introduced into the outer housing 400 compar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ner housing 405 connected to the flow diverter 30 . I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제2송풍장치(20)의 내부에 구비된 제4바퀴(425)는 제1가이드레일(410a)에 맞물려 회전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 하우징(405)의 내부에 구비된 제5바퀴(435)는 제2가이드레일(410b)에 맞물려 회전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5바퀴(435)는 유동 전환장치(30)에 연결된 상기 내부 하우징(405)의 다른 일 측에 비해,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내부 하우징(405)의 일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ourth wheel 425 provided inside the second blower 20 may be provided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guide rail 410a, and the fifth wheel 425 provided inside the inner housing 405 ( 435 may be provided to rotate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guide rail 410b. In exemplary embodiments, the fifth wheel 435 is the inner housing ( 435 ) introduced into the outer housing ( 400 ) compar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ner housing ( 405 ) connected to the flow conversion device ( 30 ). 405) may be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도 30 및 도 31은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30 and 31 show that the flow diverter 30 is arranged in the second position.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유동 전환장치(30)는 제4구동부(420)에 포함된 제4바퀴(425)의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구동부(430)에 포함된 제5바퀴(435)는 회전 운동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30 and 31 ,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may be disposed at the first to second positions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ourth wheel 425 included in the fourth driving unit 420 . . In this case, the fifth wheel 435 included in the fifth driving unit 430 may be controlled not to rotate.

구체적으로, 외부 하우징(400)은 제4바퀴(425)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uter housing 400 may be controlled to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blower 20 or drawn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ourth wheel 425 , , thus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즉, 제4바퀴(425)가 제1가이드레일(410a)에 맞물려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외부 하우징(400)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유동 전환장치(30)의 위치도 상승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4바퀴(425)가 제1가이드레일(410a)에 맞물려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외부 하우징(400)이 상기 제2송풍장치(2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유동 전환장치(30)의 위치도 하강할 수 있다.That is, as the fourth wheel 425 rotates in one direction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guide rail 410a, the outer housing 400 may be drawn ou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lower 20, and together with The position of the flow diverter 30 may also be raised. On the contrary, as the fourth wheel 425 engages with the first guide rail 410a and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the outer housing 400 can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blower 20. There, along with this, the posi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may also be lower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5바퀴(435)는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되기 이전에는 회전 운동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된 이후에만 회전 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fifth wheel 435 may be controlled so as not to rotate before the flow diverter 30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flow diverter 30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It can be controlled to rotate only after being placed in posi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2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외부 하우징(400)은 제2송풍장치(20)로부터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나, 내부 하우징(405)은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with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outer housing 400 may be drawn out from the second blower 20 and exposed to the outside, but the inner housing The 405 may be drawn into the outer housing 400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도 32 내지 도 34는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32 to 34 show that the flow diverter 30 is arranged in the third position.

도 32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유동 전환장치(30)는 제5구동부(430)에 포함된 제5바퀴(435)의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제2위치 내지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32 to 34 ,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may be disposed at the second to third positions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fth wheel 435 included in the fifth driving unit 430 . .

구체적으로, 내부 하우징(405)은 제5바퀴(435)의 회전 운동에 의해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 하우징(40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2위치 내지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ner housing 405 may be controlled to be drawn into or drawn out from the outer housing 400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fth wheel 435 , and accordingly,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즉, 제5바퀴(435)가 상기 제4개구부를 통해 제2가이드레일(410b)에 맞물려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내부 하우징(405)이 외부 하우징(400)의 상기 다른 일 측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유동 전환장치(30)의 위치도 상승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5바퀴(435)가 상기 제4개구부를 통해 제2가이드레일(410b)에 맞물려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내부 하우징(405)이 상기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유동 전환장치(30)의 위치도 하강할 수 있다.That is, as the fifth wheel 435 engages with the second guide rail 410b through the fourth opening and rotates in the one direction, the inner housing 405 is drawn out from the other side of the outer housing 400 . can be, and the position of the flow diverter 30 may also be raised with this. On the contrary, as the fifth wheel 435 is engaged with the second guide rail 410b through the fourth opening and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direction, the inner housing 405 is moved inside the outer housing 400 . It can be introduced into, and the posi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can also be lowered with thi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동 전환장치(30)가 상기 제3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외부 하우징(400)은 제2송풍장치(20)로부터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내부 하우징(405)도 외부 하우징(400)로부터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in a state in which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is disposed in the third position, the outer housing 400 may be drawn out from the second blower 20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inner housing 4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405 may also be drawn out from the outer housing 400 and exposed to the outsid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송풍장치(10, 20), 가이드부재(40) 및 유동 전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부재(40)는 송풍장치(10, 2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송풍장치(10, 20)의 상부면으로부터 인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외부 하우징(400), 및 외부 하우징(40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 하우징(400)으로부터 인출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내부 하우징(405)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urifier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equentially stacked blowers 10 and 20, the guide member 40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 the guide member 40 i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blowers 10 and 20 or drawn out from the upper surfaces of the blowers 10 and 20 to be movable in the outer housing 400 , and the inside of the outer housing 400 . It may include an inner housing 405 provided to be moved into or out of the outer housing 400 .

이때,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과 송풍장치(10, 20)의 상부면이 이루는 각도는 외부 하우징(400)이 송풍장치(20)로부터 인출되어 이동함에 따라 일차적으로 상승될 수 있으며, 내부 하우징(405)이 외부 하우징(400)으로부터 인출되어 이동함에 따라 더 상승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ngl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lowers 10 and 20 may be increased primarily as the outer housing 400 is drawn out from the blower 20 and moved, As the inner housing 405 is drawn out from the outer housing 400 and moves, it may further rise.

따라서, 상기 유동 전환장치(30)의 상부면이 상기 송풍장치(10, 20)의 상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송풍장치(20)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동 전환장치(30)를 통해 보다 먼 거리까지 송풍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30 may be dispos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blowers 10 and 20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20 may flow through the flow diverter 30 . can be blown over longer distanc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 공기청정기 10: 제1송풍장치
20: 제2송풍장치 30: 유동 전환장치
40: 가이드부재 100: 제1케이스
105: 제1베이스 110: 제1흡입부
120: 제1토출부 200: 제2케이스
205: 제2베이스 210: 제2흡입부
220: 제2토출부 300: 전방케이스
305: 측면패널 320: 토출그릴
500: 디스플레이 장치
1: air purifier 10: first blower
20: second blower 30: flow conversion device
40: guide member 100: first case
105: first base 110: first suction unit
120: first discharge unit 200: second case
205: second base 210: second suction unit
220: second discharge unit 300: front case
305: side panel 320: discharge grill
500: display device

Claims (19)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부에 마련된 흡입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된 필터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된 토출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된 청소부를 포함하는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전환하도록 마련된 유동 전환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외측벽의 이물질이 상기 청소부와 접촉되어 제거되는 공기청정기.
A case forming an exterior, a suction unit provided on a side of the case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a filter member provided to filter the air sucked in from the inside of the cas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member disposed inside the case A blowing fan provided to discharge the filtered air, a discharge uni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to discharg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to the outside, and disposed under the filter member inside the case to rotate the filter member a blower including a driving unit provided to evacuate and a cleaning unit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provided to at least partially contact an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and
It may include a; is provided to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lower, the flow switching device provided to chang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The filter member is rotated by the driving unit, and the foreign material on the outer wall is removed by contact with the clean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 일부를 구성하도록 구비된 집진패널;
상기 집진패널의 내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에 접촉하도록 구비된 청소모듈;
상기 집진패널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관통부; 및
상기 제1관통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측벽 상에 구비된 개폐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에 부착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재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청소모듈에 의해 탈착되어 상기 제1관통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er,
a dust collecting panel provided to constitute a part of the side wall of the case;
a cleaning modul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panel and provided to contact the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a first through portion provided to penetrate the sidewall of the dust collecting panel; an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case to open or close the first through part; and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as the filter member is rotated by the driving unit, is detached by the cleaning modul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 단이 상기 집진패널 내측벽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비된 제1청소부재, 및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청소부재에 고정되도록 구비된 제2청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청소부재 및 상기 제2청소부재는 상기 집진패널로부터 상기 필터부재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leaning module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oth ends ar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on panel, respectively, a first cleaning member, and the cleaning module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fixed to the first cleaning member Including a second cleaning member,
The first cleaning member and the second cleaning member are air purifier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dust collecting panel toward the filter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청소부재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제2청소부재는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브러쉬로 이루어진 공기청정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cleaning member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to remove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and
The second cleaning member is an air purifier made of a brush to remove relatively small foreign mat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청소부재는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청소부재는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cleaning member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the second cleaning member is an air purifier disposed to contact the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패널의 내측벽은 상기 제1관통부를 향하여 오목한 형상을 갖는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panel has a concave shape toward the first through-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집진패널의 내측벽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된 공기청정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leaning module is an air purifier provided to cross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panel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이 구비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집진패널 내측벽 사이의 빈 공간은, 상기 필터부재의 외측벽으로부터 상기 청소모듈을 통해 털어 내어진 이물질이 이동하는 공기유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기청정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mpty space between the filter member and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panel, except for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cleaning module, serves as an air flow path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brushed off from the outer wall of the filter member through the cleaning module move. purifi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부는 상기 집진패널 측벽의 중심부에 구비된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through portion is an air purifier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ide wall of the dust collecting pane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관통부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제2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ase further includes 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hrough-portion is formed, a second through-portion provided to penetrate the sidewall of the cas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부는 상기 제1관통부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공기청정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through-portion air cleaner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through-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 사이에 구비된 충격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an anti-shock part provided between the first penetration part and the second penetration par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방지부는 외부에서 청소장치가 상기 제2관통부로 접근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갖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공기청정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hock prevention unit is an air purifier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in order to alleviate the shock generated when the cleaning device approaches the second through-portion from the outsid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방지부는 가운데 부분이 관통된 링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관통부보다는 작고 상기 제1관통부보다는 크거나 같은 직경을 갖는 공기청정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anti-shock portion is provided to have a ring shape through which a central portion is penetrated, and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second through portion and larger than or equal to that of the first through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와 상기 유동전환장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태 천이를 유도하기 위해 마련된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blower device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and provided to induce a state transi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환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동작에 따라 제1위치, 제2위치 및 제3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위치이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이 상기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위치이며, 상기 제3위치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의 상부면이 상기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위치인 공기청정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low conversion device is arranged to be placed in a first position, a second position and a third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guide member,
The first position is a posi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is disposed to be horizontal with the ground, and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diverter is arrang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The third position is an air purifier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is dispos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1송풍장치; 및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송풍하도록 구비된 제2송풍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청소부는 상기 제1송풍장치 및 상기 제2송풍장치에 각각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lower may include: a first blower that is sequentially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provided to filter and blow air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and a second blower provided to filter and blow air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The cleaning unit is an air purifier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벽 상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an air purifier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on the outer wall of the ca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에서만 구동되고, 상기 개폐부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되는 공기청정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unit is driven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opened, and the air purifier is controlled not to be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closed.
KR1020200039389A 2020-03-31 2020-03-31 Air Cleaner KR202101219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389A KR20210121928A (en) 2020-03-31 2020-03-31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389A KR20210121928A (en) 2020-03-31 2020-03-31 Ai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928A true KR20210121928A (en) 2021-10-08

Family

ID=7811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389A KR20210121928A (en) 2020-03-31 2020-03-31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192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1919A (en) 2022-11-01 202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1919A (en) 2022-11-01 202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299B1 (en) Air washer
CN104204683B (en) Air cleaning facility
KR102665025B1 (en) Air cleaner
JP2007303770A (en) Air conditioner
KR20040056153A (en) Air purifier
KR20180073760A (en) Air cleaner
JP6777753B2 (en) Air cleaner
US20210395044A1 (en) Elevator having function of removing dust adhered to object aboard
KR20020062558A (en) Cyclonic vacuum cleaner
KR102000499B1 (en) Range hood
KR20210121928A (en) Air Cleaner
JP4983531B2 (en) Air cleaner
KR20210121932A (en) Air Cleaner
KR101902070B1 (en) Air cleaning apparatus
CN109595630A (en) A kind of range hood
KR101893409B1 (en) Apparatus for removing dust of shoes
KR20210121930A (en) Air Cleaner
KR20210121929A (en) Air Cleaner
KR20210121931A (en) Air Cleaner
JP6135630B2 (en) Air cleaner
KR102102980B1 (en) Air cleaner with a mechanical fan
KR102127919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127936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639773B1 (en) Air Cleaner
CN207214200U (en) A kind of range h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