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683A -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21683A KR20210121683A KR1020200038818A KR20200038818A KR20210121683A KR 20210121683 A KR20210121683 A KR 20210121683A KR 1020200038818 A KR1020200038818 A KR 1020200038818A KR 20200038818 A KR20200038818 A KR 20200038818A KR 20210121683 A KR20210121683 A KR 202101216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gear
- cloud
- power
- switchboard
- serv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1931 therm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19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46 outsourc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1 electric ar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5 electric 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06—Measuring power fact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클라우드서버를 통해 수배전반 설비별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및 암호화하여 이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하고, 자원 풀 내 물리서버들의 자원의 사용률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실제 검출되는 평균 자원사용률이 현저히 낮은 경우 잉여 물리서버을 전원 오프하고, 자원 풀내 평균 자원사용률이 상한 임계치를 넘어가는 경우 전원 오프된 물리서버를 온 시킴으로 풀 내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배전반 감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술 발전에 따라, 각 단말의 독립적인 하드웨어 성능에 의존하던 기존의 컴퓨팅 환경은, 네트워크상의 모든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란,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망을 통한 '컴퓨팅 자원의 온 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 센터(클라우드 센터)들을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클라이언트)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데이터 저장부(Storage), 가상의 컴퓨터 서버(이하,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이라 함), 보안(Security)등의 필요한 IT자원을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공간 상의 서비스를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 골라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클라우드 센터들로 구성된 클라우드 센터 망을 구축하고, 각 클라우드 센터에서 컴퓨팅 자원을 가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므로, 재난이 발생하거나 일시적으로 수요(자원 사용량)가 급증/급감하는 경우에 각 클라우드 센터의 컴퓨팅 자원 즉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을 실시간으로 생성/이동/삭제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클라우드와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수많은 가상화 서버 사용자들에게 원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어 서비스 이용이 가장 많은 시간대의 자원 사용량을 측정하여 이에 부합하는 양의 자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업무시간이 지나면 이러한 시간대에 맞춰 제공된 자원들은 과잉할당으로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여 데이터 센터의 운용비용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학교, 빌딩, 아파트 단지 및 공장 등과 같은 전력 수요처에서는 그 각각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얻기 위해 수배전반(distributing board)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수배전반 시스템은 특고압을 받아서 저압으로 다운한 다음 분배하는 시스템으로서, 전력 계통의 제어, 감시, 및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전력기기부를 통칭하는 용어로서 간략하게 수배전반 시스템이라고도 지칭한다. 이러한 수배전반 시스템의 고장은 전력기기부의 파손, 폭발, 화재 등의 사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이와 더불어 수배전반 시스템에 연결된 부하 즉, 학교, 빌딩, 아파트 단지 및 공장 등과 같은 전력 수요처까지 사고가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수배전반 시스템의 상태가 항시 감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수배전반 시스템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하여, 수배전반 시스템이 설치된 전력 수요처에서는 정기적으로 차단기의 개폐 동작 시험, 누설 전류 측정, 절연저항 측정 및 접촉저항 측정 등의 오프라인 점검 방식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오프라인 점검 방식의 실시를 위해서는 차단기가 내장된 수배전반 시스템의 전력기기부를 계통 전원으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외부 전문 업체에 의뢰하여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력 수요처에게 비용 및 시간측면에서 많은 부담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오프라인 점검 방식의 번거로움 및 부담 없이 전력기기부의 운전 중에도 차단기의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신호들의 파형을 원격지에 위치한 외부 전문 업체에 온라인으로 알려줌으로써 차단기의 점검이 가능한 온라인 점검 방식을 이용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현재 수배전반 시스템은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온라인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노출 등의 보안 문제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안성이 구비된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자원 풀(pool)별 물리서버의 평균 자원사용량을 검출하여 잉여 물리서버의 전원을 내리고(power-off), 자원사용의 요구량이 늘어나면 전원 오프(power-off)된 물리서버를 다시 전원 온(power-on)시켜 자원 풀(pool) 내 물리서버의 전원을 자동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전력계통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변환하여 부하로 제공하는 수배전반;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된 기기들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고 제어하는 감시제어모듈; 감시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아 수배전반 설비별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및 암호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서버; 클라우드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클라우드서버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단말기;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배전반은, 전력계통장치로부터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력을 입력받는 입력단자들을 포함하는 입력단부; 입력단자들로부터 제공받은 고전압 전력 또는 특고압 전력을 저압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기들과 과전류 발생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차단되는 차단기들을 포함하는 전력기기부; 전력기기부로부터 제공받은 저압 전력을 부하로 출력하는 출력단자들을 포함하는 출력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시제어모듈은 복수의 감시센서를 통해 상기 수배전반의 상태를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획득된 전기신호에 기반하여 수배전반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서버로 전송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감시센서는 상기 수배전반의 입력단부, 전력기기부, 출력단부의 전압, 전류, 전력 및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전압센서, 전류센서, 전력센서 및 온도센서와, 출력단부의 역률을 감지하기 위한 역률감지센서와 출력단부의 과부하를 감지하기 위한 과부하 감지센서 및 상기 입력단자들, 변압기들, 차단기들 및 출력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온도를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클라우드서버는 다수의 물리서버(PM)와, 상기 각 물리서버 상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다수의 가상서버 (VM)와, 소정 시간 주기로 상기 각 물리서버의 자원사용률을 체크하고 저장하는 클러스터 수집 관리부와, 상기 클러스터 수집 관리부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물리서버(PM)들 간 자원사용률의 평균치를 검출하는 클러스터 통계 관리부와, 상기 자원사용률의 평균치가 하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물리서버들 중 자원 사용률이 최소인 서버를 선택하여, 선택된 서버에서 실행 중인 가상 서버들을 나머지 다른 물리서버로 이동시키고 선택된 서버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클러스터제어관리부;로 구성되어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클러스터제어관리부는 상기 자원사용률의 평균치가 하한 임계치 이하인 경우 그 원인이 물리서버의 일시적인 성능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체크하고, 상기 원인이 물리서버의 일시적 성능에 의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물리서버들 중 자원 사용률이 최소인 서버를 선택하며, 클러스터제어관리부는 상기 자원사용률의 평균치가 상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파워오프 상태의 물리서버들 중 보유자원이 최대인 서버를 선택하여, 선택된 서버의 전원을 켜고 나머지 다른 물리서버에서 실행 중인 가상 서버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상기 선택된 서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각 수배전반 설비를 통해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클라우드서버를 통해 수배전반 설비별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및 암호화하여 이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어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안성 또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배전반 설비에서 측정된 데이터들의 저장을 위해 서버의 추가 설치 없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비용 증가 및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원 풀 내 물리서버들의 자원의 사용률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실제 검출되는 평균 자원사용률이 현저히 낮은 경우 잉여 물리서버을 전원 오프하고, 자원 풀내 평균 자원사용률이 상한 임계치를 넘어가는 경우 전원 오프된 물리서버를 온 시킴으로 풀 내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물리서버(PM)와 가상서버에 관한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물리서버(PM)와 가상서버에 관한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은 크게, 수배전반(100), 감시제어모듈(200), 통신망(30), 클라우드서버(300) 및 클라우드단말기(4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수배전반(100)은 전력계통장치(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수배전반(100)은 전력계통장치(10)로부터 특고압 전력 또는 고압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수배전반(100)은 특고압 전력 또는 고압 전력을 저압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저압 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부하(20a 내지 20n)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대한민국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르면, 특고압은 7000 볼트를 초과하는 교류 또는 직류 전압을 의미하고, 고압은 600 볼트를 초과하고 7000 볼트 이하의 교류 전압과 750 볼트를 초과하고 7000 볼트 이하의 직류 전압을 의미하며, 저압은 600 볼트 이하의 교류 전압과 750 볼트 이하의 직류 전압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고압, 고압 및 저압의 범위는 다른 법률 및 기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전력계통장치(10)는 특고압 전력 또는 고압 전력을 제공하는 장치뿐만 아니라 이들의 장치를 운영하는 운영자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계통장치는 수배전반(100)과 접속하여 수배전반(100)과 전력을 거래할 수 있다. 즉, 전력계통장치(10)는 수배전반(100)으로 전력을 판매하거나 수배전반(100)으로부터 전력을 구매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계통장치(10)는 발전회사로부터 전기를 구매하여 전기를 판매하는 회사(일 예로, 한국전력), 전력계통을 운영하는 계통운영자(일 예로, 한국전력거래소) 및 자신이 직접 발전하여 소비자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사업자(일 예로, 민자발전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부하(20a 내지 20n)는 수배전반(100a 내지 100n)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부하(20a 내지 20n)는 변환된 저압 전력을 수배전반(100a 내지 100n)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부하(20a 내지 20n)는 수배전반(100a 내지 100n)으로부터 변환된 저압 전력을 제공받는 수용가의 전기 기기들일 수 있다.
예컨대, 부하(20a 내지 20n)는 수용가의 조명기기, 전열기기, 동력기기, 전동기기기, 전력기기, 설비기기, 수처리기기, 가스기기, 방재기기, 상수도처리기기, 지하수처리기기, 보일러기기 및 소각로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기 기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배전반(100a 내지 100n)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는 수용가의 전기 기기라면 어떠한 전기 기기라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부하(20a 내지 20n)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부하(20a 내지 20n)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 개일 수도 있다.
또한, 감시제어모듈(200)은 수배전반(100)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전압, 전류, 전력 및/또는 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예에서, 감시제어모듈(200a)은 실시간으로 수배전반(100a)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전압, 전류, 전력 및/또는 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감시제어모듈(200a)은 주기적으로 수배전반(100a)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전압, 전류, 전력 및/또는 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감시제어모듈(200)은 임의의 시간(일 예로,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에서 생성된 제어신호가 클라우드서버(300)를 통해 수배전반(100a)으로 제공하고, 되는 시점에 수배전반(100a)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전압, 전류, 전력 및/또는 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감시제어모듈(200)은 수배전반(100)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입출력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과 관련된 전압, 전류 및 전력이라면 내부의 어떠한 부분에 대한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감시제어모듈(200)은 수배전반(100)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 자체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과 관련된 온도라면 이 부분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감시제어모듈(200)은 수배전반(100)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전압, 전류, 전력 및/또는 온도를 측정하여 획득된 전기신호를 바탕으로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배전반(100)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배전반(100)의 상태정보는 측정된 전압, 전류, 전력 및 온도에 포함된 정보뿐만 아니라 측정된 이들의 정보들을 처리하여 생성된 어떠한 정보들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배전반(100)의 상태정보는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전류, 전압 및 전력에 대한 크기 정보, 위상 정보, 주파수 정보, 전력 정보, 역률 정보, 총 고조파 왜곡률 정보, 기본파 정보, 고조파 정보, 실효값 정보, 평균값 정보, 피크값 정보, 순시값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배전반(100)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전류, 전압 및 전력에 대한 어떠한 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배전반(100)의 상태정보는 수배전반(100)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열화정보, 온도정보, 과부하정보, 절연유상태정보, 아크방전정보, 코로나방전정보, 부분방전정보, 마모정도정보, 동작불량정보, 고장정보, 접촉상태정보, 과전류정보, 과전압정보 및 노이즈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배전반(100)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의 상태와 관련된 어떠한 정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시제어모듈(200)은 생성된 상기 수배전반(100)의 상태정보와 함께 미리 설정되어 데이터 저장부(270)에 저장된 장치식별정보를 통신망(30)을 통해 후술할 클라우드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식별정보는 다른 장치들과 구별하기 위한 해당 장치만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식별정보는 수배전반(100)의 생산자 및/또는 사용자(일 예로, 관리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수배전반(100) 내의 데이터 저장부(270)에 미리 저장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식별정보는 수배전반(100)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수배전반(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일 예로, 수배전반(100a), 전력기기부(103) 및 감시제어모듈(200a) 등)에 대한 식별정보들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장치식별정보는 장치의 이름정보, 장치의 비밀번호정보, 장치의 일련번호정보, 장치의 종류정보, 장치의 제조회사정보, 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정보, 장치의 모델정보, 장치의 버전정보, 장치의 라벨링책임자 정보, 장치의 생산일자정보 및 장치의 배치장소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장치식별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서버(300)는 통신망(3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수배전반(100a)과 연결될 수 있다. 즉, 클라우드서버(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30)을 통해 복수개의 수배전반(100a 내지 100n)들과 연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신망(30)을 통해 한 개의 수배전반(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3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WiFi, Wibro,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 있다.
만약, 통신망(3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서버(300)는 수배전반(100)에 대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클라우드서버(300)과 연결되어, 클라우드서버(300)의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는 수배전반(100)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는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PDA),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무선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TV 응용 서버와 서비스 서버 등 서버 단말기일 수 있으며, 각종 기기 또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이거나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클라우드서버(300)의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서버(300)는 네트워크상에서 복수의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와 연결되어 시스템 자원(이는 OS, CPU, 메모리, 저장장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을 제공하는 물리적 장비로,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에서는 복수의 서버가 네트워크상에서 복수의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와 연결되며, 이때 클라우드서버(300)는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도시된 것이며, 예컨대,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 공간상의 게스트 머신을 통해 복수의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가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분배하게 된다. 이러한 사항들은 공지의 일반적인 개념들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Cloud) 서비스 환경이란, 인터넷 기반(클라우드)의 컴퓨팅(Computing)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은 컴퓨터 네트워크 구성도에서 인터넷을 구름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 구조를 가지며 IT 관련된 기능들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팅 스타일을 갖는다.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가상화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주문형 서비스 컴퓨팅 등과 같이 다양한 컴퓨팅 개념과 통신 기술이 혼합되어 적용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다수의 컴퓨터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데이터센터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하나의 가상 컴퓨터 또는 서비스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이에 접속하여 각종 소프트웨어, 보안 솔루션 및 컴퓨팅 능력 등을 주문형 서비스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한 IT자원의 온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로서, 개인용 컴퓨터나 기업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던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인터넷 기반의 가상 서버 또는 데이터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한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저 등의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저장부(270), OS 및 보안 등의 컴퓨팅 자원을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만 골라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량에 기반하여 대가를 지불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클라우드서버(300)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클라우드서버(300)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가 요청하는 컴퓨팅 자원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해준다. 클라우드서버(300)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가 요청하는 디바이스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클라우드서버(300)에는 예컨대,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 파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파일, 게임 프로그램 파일, 텍스트 데이터 파일, 문서 파일, 그림 파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및 바코드 파일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업자(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파일들을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장치 즉, 데이터 저장부(270)(Storage)를 구비한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서버(300)는 각 수배전반(100)으로부터 상태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송받거나 직접 수집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클라우드서버(300)는 실시간으로 각 수배전반(100)으로부터 상태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송받거나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클라우드서버(300)는 주기적으로 각 수배전반(100)으로부터 상태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송받거나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클라우드서버(300)는 임의의 시간에 각 수배전반(100)으로부터 상태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전송받거나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서버(300)는 각 수배전반(100)으로부터 전송된 상태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수배전반(100)별로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및 암호화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서버(300)는 수배전반(100)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 암호화된 상태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수배전반(100)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 암호화된 상태정보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데이터 저장부(27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서버(300)는, 안전한 데이터 및 정보의 전송을 위해, 해시함수, HMAC(keyed-Hash Message Authentication Code) 또는 암호키(일예로, 대칭키, 공개키 또는 개인키) 등의 암호화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수배전반(100)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상태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일 예에서, HMAC(keyed-Hash Message Authentication Code) 암호화 메커니즘 또는 암호키(일예로, 대칭키, 공개키 또는 개인키) 암호화 메커니즘과 같이 암호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키가 필요한 경우, 클라우드서버(300)는 키를 설정하고, 설정된 키를 관리할 수 있는 키 설정 관리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키 설정 관리모듈은 클라우드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암화화된 데이터(일 예로, 수배전반(100)별로 암호화된 상태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해,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에도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설정된 키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 갱신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서버(300)의 설정된 키와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의 설정된 키는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해시함수 암호화 메커니즘과 같이 키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 키 설정 관리모듈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서버(300)는 수배전반(100)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및 암호화된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은, 각 수배전반 설비를 통해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클라우드서버(300)를 통해 수배전반 설비별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및 암호화하여 이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안성 또한 높일 수 있다.
즉, 수배전반 시스템에서 측정된 데이터들의 저장을 위해 서버의 추가 설치가 필요하여 비용 증가 및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종래의 온라인 점검방식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은, 수배전반 설비에서 측정된 데이터들의 저장을 위해 서버의 추가 설치 없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비용 증가 및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노출 등의 보안 문제에 취약한 종래의 온라인 점검방식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은, 수배전반 설비별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를 암호화하여 이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정보 노출 등의 보안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서버(300)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로부터 수배전반(100)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상태정보를 요청받을 수 있고,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의 요청에 응답해서 수배전반(100)별로 암호화된 상태정보를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로 제공되도록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가 수배전반(100)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상태정보를 클라우드서버(300)로 요청하는 경우, 클라우드서버(300)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가 접근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접근권한 여부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 인증은 로그-온 암호(일 예로, 사용자 ID 또는 비밀번호)의 확인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의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를 통해 암호를 입력할 수 있고, 클라우드서버(300)는 입력되는 암호가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되는 경우,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에게 접근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은 보안카드 또는 공인인증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의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를 통해 보안카드 또는 공인인증서에 대한 암호를 입력할 수 있고, 클라우드서버(300)는 입력되는 보안카드 또는 공인인증서 암호가 미리 저장된 보안카드 또는 공인인증서 암호와 일치되는 경우,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에게 접근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증은 일회용 비밀 번호(One-Time Password, OTP) 인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가 클라우드서버(300)로 요청하는 경우, 클라우드서버(300)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의 요청마다 일회용 비밀 번호(OTP)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의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를 통해 일회용 비밀번호(OPT)를 입력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서버(300)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로부터 입력되는 일회용 비밀번호(OPT)와 생성된 일회용 비밀 번호(OTP)와 일치되는 경우,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에게 접근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일회용 비밀 번호(OTP) 인증은 질의응답(Challenge/Response) 방식 또는 동기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기화 방식은 시간 동기화 방식 또는 이벤트 동기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에 접근권한이 부여된 경우, 클라우드서버(300)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의 요청에 응답해서, 수배전반(100)별로 암호화된 상태정보를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는 클라우드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은 수배전반(100)별로 암호화된 상태정보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수배전반(100)별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배전반(100)별 상태정보는 대칭 키 또는 비대칭 키를 이용한 대칭 암호화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 및 복호화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는 복호화된 수배전반(100)별 상태정보를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은, 클라우드서버(300)를 통해,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가 접근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수배전반 설비별로 암호화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를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로 제공되도록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안성이 더욱 강화되어 수배전반 설비를 보다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서버(300)는 각 수배전반(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들의 상태를 모니터링 및 관리되도록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클라우드서버(300)는 각 수배전반(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서버(300)는 제공받은 실시간 수배전반(100a)의 상태정보와, 제공받은 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수배전반(100a)의 정상상태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수배전반(100a)의 정상상태정보는 상술한 수배전반(100a)의 상태정보에 대한 정상상태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특히, 정상상태 범위는 하나의 값으로 나타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의 값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수배전반(100a)의 정상상태정보는 룩업테이블(Look Up Table, LUT)로 생성되어 데이터 저장부(27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서버(300)는, 비교결과 - 실시간 수배전반(100a)의 상태가 기 설정된 수배전반(100a)의 정상상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수배전반(100a)의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알림메세지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로 전송되도록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메시지는 단문 문자 메시지(SMS) 형태로 생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배전반(100)의 이상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형태라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클라우드서버(300)는 각 수배전반(10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서버(300)는 미리 저장된 바이러스 또는 해킹 감시수단을 통해 제공받은 실시간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가 정상적인 정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러스 및 해킹 감시수단은 클라우드서버(30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이러스 및 해킹을 감시할 수 있는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서버(300)는, 판단 결과 - 실시간 수배전반(100a)의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가 정상적인 정보가 아닌 경우,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차단하거나, 수배전반(100a)의 경보 및 긴급상태를 나타내는 경보메세지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로 전송되도록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클라우드서버(300)는, 판단 결과 - 실시간 수배전반(100a)의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가 정상적인 정보가 아닌 경우, 수배전반(100a)의 경보 및 긴급상태를 나타내는 경보메세지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로 전송되도록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한 후,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보메세지는 단문 문자 메시지형태로 생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배전반(100a)의 경보 및 긴급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형태라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은, 클라우드서버(300)를 통해, 수배전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배전반의 이상상태와 바이러스 및 해킹의 침입을 감지 및 조치되도록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수배전반의 이상상태와 바이러스 및 해킹의 위협으로부터 보다 빠르게 벗어날 수 있어 수배전반 설비를 보다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수배전반(100)은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신호는 감시제어모듈(200a)(일 예로, 수배전반(100a)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 및 카메라 등과 같은 측정장치 또는 제어부(22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배전반(100a)의 내부에 구비된 기기들(일 예로, 차단기(CB)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클라우드서버(300)이 상기 수배전반(100)에 접근권한이 있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로부터 수배전반(1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클라우드서버(300)는 제어신호를 상기 수배전반(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가 수배전반(1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클라우드서버(300)로 제공하는 경우, 클라우드서버(300)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인증정보에 기반하여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가 수배전반(100)에 접근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가 수배전반(100)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 경우, 클라우드서버(300)는 제어신호를 상기 수배전반(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수배전반(100)은,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입출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를 클라우드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에서 생성되어 클라우드서버(300)릍 통해 수배전반 설비에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수배전반 설비 내에 구비된 측정장치들(일 예로, 센서 및 열화상 카메라) 및 감시제어모듈(200)을 제어함으로써, 수배전반 설비 내에 구비된 기기 및 모듈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수배전반 설비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감시제어모듈(200a)은 크게, 센서부(210), 통신부(230) 및 제어부(22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210)는 제어부(2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10)는 제어부(22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10)는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수배전반(100a) 내부에 구비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센서부(210)는 실시간으로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수배전반(100a) 내부에 구비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센서부(210)는 주기적으로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수배전반(100a) 내부에 구비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센서부(210)는 임의의 시간(일 예로,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에서 생성된 제어신호가 클라우드서버(300)을 통해 제공되는 시점)에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수배전반(100a) 내부에 구비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센서부(210)는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수배전반(100a) 내부에 구비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출력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배전반(100a)의 내부에 구비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과 관련된 전압, 전류 및 전력이라면 수배전반(100a) 내부의 어떠한 부분에 대한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을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10)는 수배전반(100a) 내부에 구비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류, 전압 및/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들(미도시) 및; 복수의 센서들(미도시)로부터 측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기신호를 획득하는 AD 컨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미도시)은 전압 센서, 전류 센서 및 전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류, 전압 및 전력 등과 같은 전기 파라미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센서라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센서들(미도시)은 수배전반(100a) 내부에 구비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어떠한 센서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10)는 수배전반(100a)의 내부에 구비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을 측정하여 획득된 전기신호를 제어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D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22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후술할 데이터 저장부(270)에 저장되고, 제어부(2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20)는 감시제어모듈(200a)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20)는 센서부(210) 및 통신부(230)에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센서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센서부(210)로부터 수배전반(100a)의 내부에 구비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을 측정하여 획득된 전기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수배전반(100a)의 내부에 구비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압, 전류 및/또는 전력을 측정하여 획득된 전기신호를 바탕으로 수배전반(100a)의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생성된 수배전반(100a)의 상태정보와 함께 미리 설정되어 데이터 저장부(270)에 저장된 장치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후술하는 통신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에서 생성되어 클라우드서버(300)을 통해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은 감시제어모듈(200a)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예컨대, LTE 무선통신 기술이 이용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는다.
또한 통신부(230)는, 무선 통신모듈과 함께 이동 통신을 위한 이동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여 무선 통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의 기술로는 예컨대,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30)는 통신망(30)을 통해 클라우드서버(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30)는 제어부(220)과 연결되어, 제어부(22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수배전반(100a)의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를 클라우드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감시제어모듈(200a)은 열화상 카메라(260) 및 데이터 저장부(270)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열화상 카메라(260)은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260)은 제어부(2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260)은 제어부(22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260)은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표면온도를 촬영하여 전기적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열화상 카메라(260)은 실시간으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표면온도를 촬영하여 전기적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열화상 카메라(260)은 주기적으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표면온도를 촬영하여 전기적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열화상 카메라(260)은 임의의 시간(일 예로,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ㅣ 400n)에서 생성된 제어신호가 클라우드서버(300)을 통해 제공되는 시점)에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표면온도를 촬영하여 전기적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열화상 카메라(260)은 수배전반(100a) 내부에 구비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자체 표면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배전반(100a)의 내부에 구비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과 관련된 표면온도라면 수배전반(100a) 내부의 어떠한 부분에 대한 온도를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열화상 카메라(260)에서 촬영된 입력단부(101)의 전력기기부(103)의 입력단자들(IT), 변압기들(TF), 차단기들(CB) 및 출력단부(105)의 출력단자들(OT)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표면온도에 기반하여 수배전반(100a)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수배전반(100a)의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를 클라우드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70)은 제어부(2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270)은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220)에서 출력되는 모든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저장부(270)은 수배전반(100a)의 상태정보,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 등을 제어부(22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부(270)은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라우드서버(300)는 자원 풀(pool)별 물리서버의 평균 자원사용량을 검출하여 잉여 물리서버의 전원을 내리고(power-off), 자원사용의 요구량이 늘어나면 전원 오프(power-off)된 물리서버를 다시 전원 온(power-on)시켜 자원 풀(pool) 내 물리서버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물리서버(PM)와, 상기 각 물리서버 상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다수의 가상서버(VM)와, 소정 시간 주기로, 상기 각 물리서버의 자원사용률을 체크하고 저장하는 클러스터 수집 관리부와, 상기 클러스터 수집 관리부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물리서버(PM)들간 자원사용률의 평균치를 검출하는 클러스터 통계 관리부와, 상기 자원사용률의 평균치가 하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물리서버들 중 자원 사용률이 최소인 서버를 선택하여, 선택된 서버에서 실행 중인 가상 서버들을 나머지 다른 물리서버로 이동시키고 선택된 서버의 전원을 오프(power-off)시키는 클러스터 제어 관리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착안점은, 자원 풀(pool)별 물리서버의 자원사용량에 따라 잉여 물리서버로 판단되면 해당 물리서버의 전원을 내리고(power-off) 자원사용의 요구량이 늘어나면 전원 오프(power-off)된 물리서버를 다시 전원 온(power-on)시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물리서버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지능형 전력제어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의 클라우드서버는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물리서버(PM)들 중 자원 사용률이 최소인 서버(PM)를 전원오프(power-off)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의 전력제어 시스템(100)은 다수의 물리서버(PM), 다수의 가상서버(VM), 클라우드 제어센터(110), 클러스터 제어 관리부(340), 클러스터 통계 관리부(330), 클러스터 수집 관리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물리서버(PM)는 CPU, 메모리, 스토리지(Storage) 등과 같은 컴퓨팅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하드웨어 자원의 서버이다.
상기 다수의 가상서버(VM)는 상기 각 물리서버(PM) 상에 소프트웨어 적으로 구현되어 독립적으로 혹은 상호작용하며 동작하는 서버이다.
상기 클러스터 수집 관리부(320)는 자원여유율 또는 자원사용률을 체크하고 모니터링하는 구성요소로서, 소정 시간(예: 10분, 40분) 주기로 체크하고 저장한다.
상기 자원여유율은 각 물리서버(PM)의 CPU 여유율, 자원(CPU)풀 여유율, 물리서버 MEM 여유율, 자원(MEM)풀 여유율 등을 의미하고, 상기 자원사용률은 자원(CPU)풀 사용률과 자원(MEM)풀 사용률 등을 의미한다. 상기 CPU 사용률 체크는 동작 중인의 물리서버들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러스터 통계 관리부(330)은 소정 시간(예: 10분, 40분) 주기로 체크&저장된 상기 클러스터 수집 관리부(320)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전체 물리서버(PM)의 평균 CPU 사용률과 평균 메모리 사용률을 검출한다. 이렇게 검출된 정보들은 10분 통계, 전일 통계, 동일 요일통계 등의 자료로서 관리된다.
클러스터 제어 관리부(340)는 상기 클러스터 통계 관리부(330)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최근 1시간내의 10분통계와 전일 동시간대의 10분통계를 상관분석한다. 그리고, 상기 상관분석한 계수값이 기준 계수값(예: 0.7)이상인 경우, 전일 동시간에서 1시간 경과된 시점의 10분통계에 따른 자원 사용률이 하한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자원 사용률이 하한 임계치 이하인 경우, 클러스터 제어 관리부(340)는 상기 원인이 물리서버의 일시적 성능에 의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명한다.
상기 클러스터 제어 관리부(340)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각 물리서버(PM)의 전력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자원사용률(예: CPU 사용률 or 메모리 사용률)의 평균치가 하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자원 사용률이 최소인 물리서버(PM)를 전원 오프(power-off)시키고, 만일 상기 자원사용률의 평균치가 상한 임계치 이상인 경우 꺼져있는 물리서버(PM)들 중 보유자원이 최대인 물리서버를 전원 온(power-on)시켜 해당 클러스터 내의 전력을 관리한다.
상기 클러스터 수집 관리부(320)는 사실상, 일정한 주기(예: 10분 간격)로 각 물리서버(PM)의 자원사용률(예: CPU 사용률, 메모리 사용률 등)을 체크하고 저장한다.
클러스터 제어 관리부(340)는 관리의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시간 간격으로 상기 저장된 정보를 모니터한다. 예를 들어, 자원사용률의 오버로드는 시스템에 치명적일 수 있는 문제이므로, 클러스터 제어 관리부(340)는 상대적으로 빈번한 시간 간격(예: 10분 간격)으로 물리서버(PM)의 평균 자원사용률이 상한 임계치(예: 80%)에 근접하거나 넘기는지 여부를 모니터한다. 반면, 클러스터 내 물리서버(PM)들의 자원 사용률이 낮은 경우(예: 하한 임계치 30%이하) 혹은 물리서버의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막고자 하는 경우, 비교적 시간 텀을 길게(예: 30분 간격)하여 물리서버(PM)의 평균 자원사용률을 모니터한다.
상기 클라우드 제어센터(110)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클러스터(자원 풀(pool))와, 각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상기 클러스터 제어 관리부(340), 클러스터 통계 관리부(330), 클러스터 수집 관리부(32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원 풀(pool)내 물리서버들의 리소스(자원) 사용률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실제 검출되는 평균 자원사용률이 현저히 낮은 경우 잉여 물리서버를 전원 오프(power-off)시키고, 자원 풀(pool)내 평균 자원사용률이 상한 임계치를 넘어 증가하는 경우 전원 오프(power-off)된 물리서버를 온(power-on)시킴으로 풀(pool)내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물리서버 운용에 소비되는 전력비용이 감소된다.
100(100a, 101b, 100n): 수배전반
101: 입력단부
103: 전력기기부
105: 출력단부
200: 감시제어모듈
210: 센서부
220: 제어부
230: 통신부
240: 모니터링부
250: 음성알림부
260: 열화상 카메라
270: 데이터 저장부
280: 입력장치
300: 클라우드서버
300a: 클러스터a
300b: 클러스터b
300n: 클러스터n
320: 클러스터 수집 관리부
330: 클러스터 통계 관리부
340: 클러스터 제어 관리부
400(400a, 400b, 400n): 클라이언트단말기
101: 입력단부
103: 전력기기부
105: 출력단부
200: 감시제어모듈
210: 센서부
220: 제어부
230: 통신부
240: 모니터링부
250: 음성알림부
260: 열화상 카메라
270: 데이터 저장부
280: 입력장치
300: 클라우드서버
300a: 클러스터a
300b: 클러스터b
300n: 클러스터n
320: 클러스터 수집 관리부
330: 클러스터 통계 관리부
340: 클러스터 제어 관리부
400(400a, 400b, 400n): 클라이언트단말기
Claims (9)
- 전력계통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변환하여 부하로 제공하는 수배전반;
상기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된 기기들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를 클라우드서버(300)로 전송하고 제어하는 감시제어모듈(200);
상기 감시제어모듈(200)로부터 전송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와 함께 장치식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아 수배전반 설비별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및 암호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서버(300);
상기 클라우드서버(300)와 연결되어 상기 클라우드서버(300)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받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은,
상기 전력계통장치로부터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력을 입력받는 입력단자들을 포함하는 입력단부(101);
상기 입력단자들로부터 제공받은 고전압 전력 또는 특고압 전력을 저압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기들과 과전류 발생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차단되는 차단기들을 포함하는 전력기기부(103);
상기 전력기기부(103)로부터 제공받은 저압 전력을 부하로 출력하는 출력단자들을 포함하는 출력단부(10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제어모듈(200)은,
복수의 감시센서를 통해 상기 수배전반의 상태를 측정하여 전기신호를 획득하는 센서부(210);
상기 센서부(210)에서 획득된 전기신호에 기반하여 수배전반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서버(30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230)를 제어하는 제어부(220); 및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서버(300)로 전송하는 통신부(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시센서는 상기 수배전반의 입력단부(101), 전력기기부(103), 출력단부(105)의 전압, 전류, 전력 및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전압센서, 전류센서, 전력센서 및 온도센서와,
출력단부(105)의 역률을 감지하기 위한 역률감지센서와
출력단부(105)의 과부하를 감지하기 위한 과부하 감지센서 및
상기 입력단자들, 변압기들, 차단기들 및 출력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온도를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가 수배전반 설비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서버(300)로 요청하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서버(300)는,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가 접근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의 요청에 응답해서, 수배전반 설비별로 암호화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로 제공되도록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서버(300)는, 각 수배전반 설비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수배전반의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수배전반의 정상상태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실시간 수배전반의 상태가 기 설정된 수배전반의 정상상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수배전반의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알림메세지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로 전송되도록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서버(300)가 상기 수배전반 설비에 접근권한이 있는 클라이언트단말기(400a 내지 400n)로부터 수배전반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클라우드서버(300)는 제어신호를 상기 수배전반 설비로 제공하고,
상기 수배전반 설비는, 제어신호에 따라 수배전반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들 또는 기기들에 대한 입출력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수배전반의 상태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장치식별정보를 상기 클라우드서버(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서버(300)는
다수의 물리서버(PM);
상기 각 물리서버 상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다수의 가상서버 (VM);
소정 시간 주기로, 상기 각 물리서버의 자원사용률을 체크하고 저장하는 클러스터 수집 관리부(320);
상기 클러스터 수집 관리부(320)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물리서버(PM)들간 자원사용률의 평균치를 검출하는 클러스터 통계 관리부(330);
상기 자원사용률의 평균치가 하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물리서버들 중 자원 사용률이 최소인 서버를 선택하여, 선택된 서버에서 실행 중인 가상 서버들을 나머지 다른 물리서버로 이동시키고 선택된 서버의 전원을 파워오프(power-off)시키는 클러스터 제어 관리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제어 관리부(340)는 상기 자원사용률의 평균치가 하한 임계치 이하인 경우 그 원인이 물리서버의 일시적인 성능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체크하고, 상기 원인이 물리서버의 일시적 성능에 의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물리서버들 중 자원 사용률이 최소인 물리서버를 선택하며,
상기 클러스터 제어 관리부(340)는
상기 자원사용률의 평균치가 상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파워오프 (power-off)인 상태의 상기 물리서버들 중 보유자원이 최대인 물리서버를 선택하여, 선택된 물리서버의 전원을 켜고 나머지 다른 물리서버에서 실행 중인 가상 서버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상기 선택된 물리서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8818A KR20210121683A (ko) | 2020-03-31 | 2020-03-31 |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8818A KR20210121683A (ko) | 2020-03-31 | 2020-03-31 |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1683A true KR20210121683A (ko) | 2021-10-08 |
Family
ID=7811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8818A KR20210121683A (ko) | 2020-03-31 | 2020-03-31 |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21683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7590B1 (ko) | 2023-02-22 | 2023-05-30 |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 클라우드 기반 재난 정보 제공 및 전력 소모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KR20230133625A (ko) * | 2022-03-11 | 2023-09-19 | 주식회사 보다 | 설비 제어기 연동 방식의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 |
KR102615935B1 (ko) * | 2022-12-27 | 2023-12-20 | 강원숙 | 변전소의 변압기 안전 시스템 |
KR102702688B1 (ko) * | 2024-04-02 | 2024-09-04 | (주)신한중전기 | Ai 기반의 수배전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2175B1 (ko) | 2011-09-16 | 2015-05-26 | 주식회사 케이티 |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터링 방법 |
KR101608859B1 (ko) | 2014-09-17 | 2016-04-04 | (주)엔키아 | 클라우드 기반의 지능형 전력제어 시스템 |
KR101631679B1 (ko) | 2015-10-26 | 2016-06-17 |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
KR102069841B1 (ko) | 2018-06-21 | 2020-01-23 |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 클라우드 기반 전력계통 소프트웨어 에코시스템 |
-
2020
- 2020-03-31 KR KR1020200038818A patent/KR20210121683A/ko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2175B1 (ko) | 2011-09-16 | 2015-05-26 | 주식회사 케이티 |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터링 방법 |
KR101608859B1 (ko) | 2014-09-17 | 2016-04-04 | (주)엔키아 | 클라우드 기반의 지능형 전력제어 시스템 |
KR101631679B1 (ko) | 2015-10-26 | 2016-06-17 |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
KR102069841B1 (ko) | 2018-06-21 | 2020-01-23 |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 클라우드 기반 전력계통 소프트웨어 에코시스템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3625A (ko) * | 2022-03-11 | 2023-09-19 | 주식회사 보다 | 설비 제어기 연동 방식의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 |
KR102615935B1 (ko) * | 2022-12-27 | 2023-12-20 | 강원숙 | 변전소의 변압기 안전 시스템 |
KR102537590B1 (ko) | 2023-02-22 | 2023-05-30 | 주식회사 빛가람시스템 | 클라우드 기반 재난 정보 제공 및 전력 소모 제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KR102702688B1 (ko) * | 2024-04-02 | 2024-09-04 | (주)신한중전기 | Ai 기반의 수배전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121683A (ko) | 클라우드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
KR101631679B1 (ko) |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수배전반 통합관리 시스템 | |
KR20210123042A (ko) |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기반의 에너지 공유형 수배전반 통합 감시제어 시스템 | |
US1141197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ybersecurity analysis based on operational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 |
Adepu et al. | Attacks on smart grid: Power supply interruption and malicious power generation | |
US8335596B2 (en) | Remote energy management using persistent smart grid network context | |
WO2020218715A1 (ko) | 제로에너지 빌딩에서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 |
JP3923860B2 (ja) | 電気管理サービス方法 | |
Saini et al. | Modelling for improved cyber security in Smart distribution system | |
Jelacic et al. | STRIDE to a secure smart grid in a hybrid cloud | |
Cárdenas et al. | Security and privacy in the smart grid | |
Ugale et al. | Role of cloud computing for smart grid of India and its cyber security | |
Lee et al. | User privacy-enhanced security architecture for home area network of Smartgrid | |
Tuinema et al. | Cyber-physical system modeling for assessment and enhancement of power grid cyber security, resilience, and reliability | |
Schomaker et al. | The energy demand of data centers | |
Ahern | Cybersecurity in power systems | |
Shrestha et al. | Criteria for security classification of smart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s | |
Fawaz et al. | A response cost model for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s | |
Enescu et al. | Issues in Securing Critical Infrastructure Networks for Smart Grid Based on SCADA, Other Industrial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s | |
Cleemput et al. | High assurance smart metering | |
Seo | Towards the advanced security architecture for Microgrid systems and applications | |
Ristov et al. | Business continuity challenges in cloud computing | |
Wang | Smart grid, automation, and scada systems security | |
Berl et al. | Smart grid considerations: Energy efficiency vs. security | |
Kleineidam et al. | The Cellular Approach-Security of Micro Smart Gri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