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1617A - 장갑형 aed 및 aed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장갑형 aed 및 aed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617A
KR20210121617A KR1020200038670A KR20200038670A KR20210121617A KR 20210121617 A KR20210121617 A KR 20210121617A KR 1020200038670 A KR1020200038670 A KR 1020200038670A KR 20200038670 A KR20200038670 A KR 20200038670A KR 20210121617 A KR20210121617 A KR 20210121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aed
insulator
patien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수
이제욱
이주형
소진수
박명근
Original Assignee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1617A/ko
Publication of KR2021012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61B5/6806Gl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61N1/39046User protection from sh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r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ritical Car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갑형 AED에 관한 것으로, 휴대형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에 있어서, 가동용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스위치(5)와; 절연재질로 되어 사용자의 손에 착용하는 절연체 장갑(10)과;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손목부 상단에 거치하여 외부의 의료기관 또는 의료인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단말부(20)와; 상기 전원스위치(5)로부터 가동전원을 공급받아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강도 조절부(30)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40)와; 상기 충전포트(4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50)와;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중앙부 위치에 원형상으로 부착되어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하기 위한 전기충격용 패드(60)와;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일 단부에 손가락 부위에 설치되어 피시술 환자의 심전도파형을 검출하기 위한 심전도 센서부(70);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통신단말부(20)를 사용자의 신체에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 밴드(8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갑형 AED 및 AED 관리방법{Armor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출력 심장 충격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인이 원격지의 의료전문가 지시를 소통하고 확인하면서 환자에게 저출력 심장 충격기(AED)를 안전하게 사용하여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갑형 AED 및 원격시술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공개된 AED관리방법 및 AED관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공개된 기술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AED의 기기정보 및 매니저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매니저정보에 대응되는 제1사용자단말과의 통신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 상기 기기정보에 매칭되는 점검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사용자단말로부터 기기점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AED관리방법 및 AED관리장치는 AED 사용에 익숙치 않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AED장치는 휴대 및 활용이 불편하여 개인이 긴급시에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공개번호/일자 1020140121090(2014.10.15),'AED관리방법 및 AED관리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전문가의 안내를 받아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는 장갑형 AED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형 AED장치를 활용하여 응급환자를 처방할 수 있는 장갑형 AED의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갑형 AED는, 휴대형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로서, 가동용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스위치(5)와; 절연재질로 되어 사용자의 손에 착용하는 절연체 장갑(10)과;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손목부 상단에 거치하여 외부의 의료기관 또는 의료인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단말부(20)와; 상기 전원스위치(5)로부터 가동전원을 공급받아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강도 조절부(30)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40)와; 상기 충전포트(4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50)와;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중앙부 위치에 원형상으로 부착되어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하기 위한 전기충격용 패드(60)와;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일 단부에 손가락 부위에 설치되어 피시술 환자의 심전도파형을 검출하기 위한 심전도 센서부(70);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통신단말부(20)를 사용자의 신체에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 밴드(8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단말부(20)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또는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모니터단말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갑형 AED의 관리방법은, 휴대형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를 이용한 원격시술방법으로서, S10: 모니터 / 핸드폰 켠 후 의료기관과 통신하는 통신연결단계; S20: 시술자가 장갑형 AED 패드를 착용하는 패드착용 단계; S30: 환자상태 또는 의료기관 지시에 의해 충격강도을 조절하는 충격도 조절단계; S40: 원격지로부터 송달되는 음성인식 명령을 인식하고 따르는 음성인식 처방단계; S50: 환자상태를 원격지에 통지하고 확인하는 환자상태 전자통지단계; S60: AED 패드 접착 및 원격시술 단계; 를 단계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저출력 심장 충격기(AED)를 간편하게 휴대하여 응급환자에게 원격 안내를 받아 시술할 수 있는 장갑형 AED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형 AED장치를 활용하여 응급환자를 안전하게 처방할 수 있는 장갑형 AED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공개된 AED관리방법 및 AED관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갑형 AED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갑형 AED를 활용하여 응급환자를 시술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작용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갑형 AED의 활용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갑형 AED는, 휴대형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에 있어서, 가동용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스위치(5)와; 절연재질로 되어 사용자의 손에 착용하는 절연체 장갑(10)과;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손목부 상단에 거치하여 외부의 의료기관 또는 의료인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단말부(20)와; 상기 전원스위치(5)로부터 가동전원을 공급받아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강도 조절부(30)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40)와; 상기 충전포트(4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50)와;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중앙부 위치에 원형상으로 부착되어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하기 위한 전기충격용 패드(60)와;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일 단부에 손가락 부위에 설치되어 피시술 환자의 심전도파형을 검출하기 위한 심전도 센서부(70);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통신단말부(20)를 사용자의 신체에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 밴드(80);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갑형 AED의 구성 및 작용을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도면의 부호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부호 5는 가동용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스위치(5)를 도시한다.
부호 10은 절연재질로 되어 사용자의 손에 착용하는 절연체 장갑(10)을 도시한다. 절연재질 중에서 고무재질을 이용하였고 사용자의 손에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부호 20은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손목부 상단에 거치하여 외부의 의료기관 또는 의료인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단말부(20)를 도시한다. 상기 통신단말부(20)는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손목부 상단에 거치하여 외부의 전문의료인 또는 의료기관, 구급기관 등에 근무하는 전문가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면서 응급심장질환자 처방을 하게 된다.
부호 30은 상기 전원스위치(5)로부터 가동전원을 공급받아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강도 조절부(30)를 도시한다. 단계별로 1단계, 2단계 및 3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는 응급환자의 연령이나 건강정도에 따라 충격의 세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부호 4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40)를 도시한다. 즉, AC전원을 인가받아 전원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충전할 수 있다.
부호 50은 상기 충전포트(4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50)를 도시한다.
부호 60은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중앙부 위치에 원형상으로 부착되어 응급처치 대상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하기 위한 전기충격용 패드(60)를 도시한다.
부호 70은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일 단부에 손가락 부위에 설치되어 피시술 환자의 심전도파형을 검출하기 위한 심전도 센서부(70)를 도시한다.
부호 80은 상기 통신단말부(20)를 사용자의 신체에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 밴드(80)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갑형 AED(100)는 의료지식을 전문적으로 배우지 못한 일반인인 경우에도 통신을 통해 원격지의 전문가의 조언에 따라 환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간단한 응급처리를 함으로써 소중한 생명을 살릴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부(20)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또는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모니터단말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반인들이 상시 휴대하는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통신기능을 구비한 테블릿이나 노트북 등의 통신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갑형 AED의 관리방법은, 휴대형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를 이용한 원격시술방법에 있어서, S10: 모니터 / 핸드폰 켠 후 의료기관과 통신하는 통신연결단계; S20: 시술자가 장갑형 AED 패드를 착용하는 패드착용 단계; S30: 환자상태 또는 의료기관 지시에 의해 충격강도을 조절하는 충격도 조절단계; S40: 원격지로부터 송달되는 음성인식 명령을 인식하고 따르는 음성인식 처방단계; S50: 환자상태를 원격지에 통지하고 확인하는 환자상태 전자통지단계; S60: AED 패드 접착 및 원격시술 단계; 를 단계적으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갑형 AED의 관리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S10은 사용자가 모니터 또는 핸드폰 켠(ON) 후 의료기관의 전문가들과 통신하는 통신연결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용자는 휴대폰 또는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전문가에게 응급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충격을 줄일 수 있는 절연재 장갑을 이용한 장갑형 AED를 이용하여 응급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S20은 시술자가 장갑형 AED 패드를 착용하는 패드착용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절연재 장갑을 착용한 후 응급환자에게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S30는 환자상태 또는 의료기관 지시에 의해 충격강도를 조절하는 충격도 조절단계를 도시한다.사용자는 환자의 상태와 연령, 건강정도를 파악한 후 원격 연결된 전문인의 지시를 받아서 환자에게 가해질 충격강도를 선택 및 조절한다.
S40는 원격지로부터 송달되는 음성인식 명령을 인식하고 따르는 음성인식 처방단계이다. 시술자는 의료전문인력이 아니고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항상 원격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문인력의 지시를 음성인식처리를 통해 받도록 하는 단계이다.
S50은 환자상태를 원격지에 통지하고 확인하는 환자상태 전자통지단계를 도시학, S60은 AED 패드 접착 및 원격시술 단계를 각각 도시한다. 이 단계는 사용자가 원격지의 의료전문인의 지시 및 검토에 의해 상태를 파악하고 지시받은 처방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절차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장갑형 AED의 관리방법에 의하면 휴대형 AED장치를 활용하여 응급환자를 안전하게 처방할 수 있는 장갑형 AED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 본 발명은 그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해당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그 기술적인 사상이 동일 또는 유사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형, 및 부가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것들은 모두 본원의 권리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 할 수 있다.
5: 전원스위치
10: 절연체 장갑
20: 스마트 폰
30: 강도 조절부
40: 충전포트
50: 배터리
60: 전기충격용 패드
70: 심전도 센서부
80: 탈부착 밴드
100: 장갑형 AED

Claims (3)

  1. 휴대형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에 있어서,
    가동용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스위치(5)와;
    절연재질로 되어 사용자의 손에 착용하는 절연체 장갑(10)과;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손목부 상단에 거치하여 외부의 의료기관 또는 의료인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단말부(20)와;
    상기 전원스위치(5)로부터 가동전원을 공급받아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강도 조절부(30)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40)와;
    상기 충전포트(4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50)와;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중앙부 위치에 원형상으로 부착되어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가하기 위한 전기충격용 패드(60)와;
    상기 절연체 장갑(10)의 일 단부에 손가락 부위에 설치되어 피시술 환자의 심전도파형을 검출하기 위한 심전도 센서부(70);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통신단말부(20)를 사용자의 신체에 탈부착하기 위한 탈부착 밴드(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부(20)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또는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모니터단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AED(100).
  3. 휴대형 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를 이용한 원격시술방법에 있어서,
    S10: 모니터 / 핸드폰 켠 후 의료기관과 통신하는 통신연결단계;
    S20: 시술자가 장갑형 AED 패드를 착용하는 패드착용 단계;
    S30: 환자상태 또는 의료기관 지시에 의해 충격강도을 조절하는 충격도 조절단계;
    S40: 원격지로부터 송달되는 음성인식 명령을 인식하고 따르는 음성인식 처방단계;
    S50: 환자상태를 원격지에 통지하고 확인하는 환자상태 전자통지단계;
    S60: AED 패드 접착 및 원격시술 단계; 를 단계적으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AED의 관리방법.




KR1020200038670A 2020-03-30 2020-03-30 장갑형 aed 및 aed 관리방법 KR20210121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670A KR20210121617A (ko) 2020-03-30 2020-03-30 장갑형 aed 및 aed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670A KR20210121617A (ko) 2020-03-30 2020-03-30 장갑형 aed 및 aed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617A true KR20210121617A (ko) 2021-10-08

Family

ID=7861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670A KR20210121617A (ko) 2020-03-30 2020-03-30 장갑형 aed 및 aed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16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090A (ko) 2013-04-05 2014-10-15 (주)에이이디스토어 Aed관리방법 및 aed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090A (ko) 2013-04-05 2014-10-15 (주)에이이디스토어 Aed관리방법 및 aed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1914B2 (en) Brain-controlled body movement assistance devices and methods
US20230285744A1 (en) Compact muscle stimulator
US106389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data
US20230277131A1 (en) Proximity based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US200902402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operat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ncorporated into a hand-held device
US906708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motely-operated automated external defribrallator incorporated into a handheld device
US9737723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motely-operated automated external defribrallator incorporated into a handheld device
EP1578264A2 (en) Emergency medical devices with multiple displays
CN202488528U (zh) 一种实时心电监测手机
KR20210121617A (ko) 장갑형 aed 및 aed 관리방법
CN209884120U (zh) 一种智能癌痛评分手环
KR20130056716A (ko) 자동 제세동 기능을 갖는 휴대기기
CN110496308B (zh) 可提供定制化康复训练的功能性电刺激系统及控制方法
US20240099630A1 (en) Electrocardiogram Systems and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N108025177A (zh) 包括用于与可植入医疗设备交互并用于监视网络通信链路的本地用户系统的系统和相关方法
CN112828882A (zh) 一种分布式外肢体手指机器人控制系统
CN109709672A (zh) 无线操控式数据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