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263A - 항균마스크 - Google Patents

항균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263A
KR20210120263A KR1020200036728A KR20200036728A KR20210120263A KR 20210120263 A KR20210120263 A KR 20210120263A KR 1020200036728 A KR1020200036728 A KR 1020200036728A KR 20200036728 A KR20200036728 A KR 20200036728A KR 20210120263 A KR20210120263 A KR 20210120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iber
antibacterial mask
mask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종수
김문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00036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263A/ko
Priority to PCT/KR2021/002862 priority patent/WO2021194129A1/ko
Priority to US17/907,044 priority patent/US20230113123A1/en
Publication of KR2021012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2Threads containing metallic filaments or strip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03D15/258Noble met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93Stiff materials, e.g. cane or sla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03D15/67Metal wi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04B21/12Open-work fabric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항균마스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마스크는 외부 노출면을 형성하는 제1원단, 상기 제1원단의 일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며,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된 제2원단 및 상기 제1원단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이어밴드;를 구비하여 구현된다. 이에 의하면, 항균마스크는 은 선을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의 타액에 의한 세균발생과 증식한 세균의 재흡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항균성능이 우수하며, 은 선과 범용섬유를 포함하는 합연사를 구비함에 따라 세탁내구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고, 마스크에 포함되는 은 선의 단사가 발생하더라도 항균성능 및 세탁내구성이 유지되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마스크{Antimicrobial mask}
본 발명은 항균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추위를 막아주거나 공기중의 분진(먼지) 및 비말 등의 흡입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한 위생용 생활용품이다.
그러나, 공기 중에는 이러한 분진 이외에도 인체에 직접적으로 해를 주는 세균이나 진균류,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균들이 무수히 많으며, 호흡을 통하여 인체 내로 흡입될 경우 질병이 유발될 수 있고, 특히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 병중인 환자들은 이러한 병원균의 침투로 인하여 질병이 유발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더욱이 유행성 감기나 공기를 통하여 발병할 수 있는 병원균들은 통상의 일반 마스크로는 막을 수 없다.
이에 마스크 본체를 항균 처리하거나, 항균성 직물 등을 이용한 항균 마스크도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별도의 항균처리가 되어 있는 마스크에서는 좋지 않은 냄새가 나며 오랫동안 착용할 경우 피부에 부작용을 유발하거나, 세탁에 의한 항균지속성이 떨어지곤 한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마스크는 오래도록 착용하면, 자신의 입속의 균으로 마스크가 오염되고, 입속의 냄새 등이 탈취되지 않아 새로운 마스크로 자주 교체하여 착용해야 하는 문제점, 즉, 탈취기능이 없거나 미약하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은(Ag)은 살균 및 탈취작용이 뛰어나고, 전자파나 수맥파 차단 등의 효과도 매우 우수하다. 또한, 은(Ag)은 음이온을 비롯한 원적외선의 방사효과가 뛰어나고, 항균 및 항곰팡이의 작용 또한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은(Ag)은 체내에서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필수적인 금속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은(Ag) 이온은 쉽게 인체에 흡수되어 박테리아나 균류 등이 산소대사를 할 때 효소의 기능을 막으면서, 강력한 촉매역할을 하여 이들 병원체들을 살상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은(Ag)은 해독작용이 뛰어나 해독제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중금속이나 각종 유해성분을 중화 또는 흡착하여 변색되어 예로부터, 궁중에서 은수저나 은식기 등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은(Ag)의 효능에 대한 기록으로는 본초강목에, "은(銀)은 몸에 지니고 있으면 오장이 편안하고, 심신이 안정되며, 사기(邪氣)를 내쫓고 몸을 가볍게 하여 명(命)을 길게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동의보감에는, "은(銀)은 간질 및 경기 등 정신질환과 냉, 대하와 같은 부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험이 있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은의 효능으로 인해, 종래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스크에 은(Ag)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은(Ag) 나노가 이슈가 되면서 은 나노를 사용한 제품이 다수 개발되어왔다. 그러나, 은 나노가 적용된 마스크의 경우 사용자의 호흡이나 물리적 자극에 의하여 마스크 본체에서 은 나노가 탈리되어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되고, 세탁내구성이 좋지 않음에 따라 마스크의 항균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타액에 의한 세균발생과 증식한 세균의 재흡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항균성능, 세탁내구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고, 마스크에 포함되는 은 선의 단사가 발생하더라도 항균성능 및 세탁내구성이 유지되는 효과를 발현하는 항균마스크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KR 1999-0008251 A (공개일: 1999.0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의 타액에 의한 세균발생과 증식한 세균의 재흡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항균성능, 세탁내구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고, 마스크에 포함되는 은 선의 단사가 발생하더라도 항균성능 및 세탁내구성이 유지되는 효과를 발현하는 항균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 노출면을 형성하는 제1원단, 상기 제1원단의 일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며,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된 제2원단 및 상기 제1원단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이어밴드;를 구비하는 항균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섬유는, 심사, 상기 심사를 둘러싸도록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커버링사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1커버링부 및, 상기 제1커버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커버링사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2커버링부를 포함하는 합연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는 각각 독립적으로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는 각각 독립적으로 섬도가 20 ~ 100D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링사는 꼬임수 550 ~ 1400 TPM로 연사될 수 있고, 상기 제2커버링사는 꼬임수 350 ~ 1100 TPM로 연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 선은 구리(Cu)를 포함하는 코어(core) 및 은(Ag)을 포함하는 시스(sheath)를 포함하는, 시스코어(sheath-core) 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sheath)는 평균두께가 3 ~ 32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은 선은 섬유평균직경이 10 ~ 6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원단 및 제2원단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물 또는 편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원단은 경사 및 위사를 포함하는 직물일 수 있고, 상기 경사는 상기 제1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사는 제2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섬유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원단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코패드; 및 상기 제1원단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턱받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마스크는, 은 선을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의 타액에 의한 세균발생과 증식한 세균의 재흡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항균성능이 우수하며, 은 선과 범용섬유를 포함하는 합연사를 구비함에 따라 세탁내구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고, 마스크에 포함되는 은 선의 단사가 발생하더라도 항균성능 및 세탁내구성이 유지되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항균마스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항균마스크의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항균마스크에 구비되는 합연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마스크(10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노출면을 형성하는 제1원단(100), 상기 제1원단(100)의 일면에 배치되고,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된 제2원단(200) 및 상기 제1원단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이어밴드(300)을 구비하여 구현된다.
먼저, 상기 제1원단(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원단(100)은 항균마스크(1000)의 외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입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원단(100)은 외부의 물이나 습기 또는, 사용자의 타액에 의한 세균발생과 증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수성, 속건성 및 발수성 등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원단(100)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 외피의 재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소수성, 속건성 및 발수성을 발현하는 측면에서 더욱 유리하다.
상기 천연섬유는 예를 들어, 한지, PLA(poly lactic acid; 생분해성 섬유), 면, 마, 모, 견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섬유는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폴리플로오르에틸렌계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합성섬유는 다음과 같은 중합체를 사용하여 얻어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 폴리에틸렌계 수지,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EVA), 이의 공중합체 등
- 폴리스티렌계 수지, 예를 들면, HIPS, GPPS, SAN 등
-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예를 들면, HOMO PP, RANDOM PP, 이의 공중합체
- 투명 또는 일반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삼원공중합체)
- 경질 PVC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예를 들면, 나일론, PRT, PET, POM(아세탈), PC, 우레탄, 분체수지, PMMA, PES, 등
또한,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는 상기한 섬유 재료 이외에도 주지된 다른 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원단(100)은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제조된 직물 또는 편물일 수 있다.
먼저, 상기 직물의 조직은 평직, 능직, 수자직 및 이중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직, 능직 및 수자직을 삼원조직이라 할 때 삼원조직 각각의 구체적인 제직방법은 통상적인 제직방법에 의하며, 삼원조직을 기본으로 하여 그 조직을 변형시키거나 몇 가지 조직을 배합하여 변화 있는 직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변화평직으로 두둑직, 바스켓직 등이 있고, 변화능직으로 신능직, 파능직, 비능직, 산형능직 등이 있으며, 변화수자직으로 변칙수자직, 중수자직, 확수자직, 화강수자직 등이 있다.
상기 이중직은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이 2중으로 되어있거나 양쪽이 모두 2중으로 된 직물의 제직방법으로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이중직의 제직방법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직물조직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직에서의 경사 및 위사 밀도의 경우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성은 위편성 또는 경편성의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상기 위편성과 경편성의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위편성 또는 경편성의 편성방법에 의할 수 있다.
상기 위편성을 통해 구체적으로 평편, 고무편, 펄편 등의 위편성물이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경편성을 통해 구체적으로 트리코, 밀러니즈, 라셸 등의 경편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원단(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원단(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원단(100)의 일면에 배치되고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섬유(10)는, 심사(11), 상기 심사(11)를 둘러싸도록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커버링사(12a)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1커버링부(12) 및, 상기 제1커버링부(1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커버링사(13a)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2커버링부(13)를 포함하는 합연사일 수 있다.
상기 심사(11) 및 제2커버링사(13a)는 섬유의 유연성과 신축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섬유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사(11) 및 제2커버링사(13a)는 모노사 또는 복수개의 필라멘트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필라멘트로 형성된 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사(11) 및 제2커버링사(13a)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섬도의 섬유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섬도가 20 ~ 100De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섬도가 30 ~ 75De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의 섬도가 각각 독립적으로 20De 미만이면 세탁내구성과, 은 선의 단사에 따른 항균성능과 세탁내구성의 유지력이 저하될 수 있고, 섬도가 100De를 초과하면 신축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커버링사(13a)는 꼬임수 350 ~ 1100 TPM으로 연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50 ~ 1000 TPM으로 연사되어 제2커버링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2커버링가의 꼬임수가 350 TPM 미만이면 세탁내구성과, 은 선의 단사에 따른 항균성능과 세탁내구성의 유지력이 저하될 수 있고, 꼬임수가 1100 TPM을 초과하면 제2원단의 신축성 및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표면에 노출되는 은 선의 면적이 저하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항균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커버링사(12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은 선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은 선은 은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도 있고, 우수한 유연성 발현을 위해 구리(Cu)를 포함하는 코어(core) 및 은(Ag)을 포함하는 시스(sheath)를 포함하는, 시스코어(Sheath-core) 섬유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은 선은 코어로 사용될 구리재료를 소정의 직경으로 인발하는 단계, 시스를 은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클래딩 공법(cladding process)에 의해 구리재료와 은 플레이트를 일체화하여 상기 구리재료에 대하여 은 플레이트가 시스를 이루는 이중구조의 와이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이중구조의 와이어를 신선가공에 의해 시스코어 섬유인 은 선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은 선은 코어로 사용될 구리재료를 소정의 직경으로 인발하는 단계, 액체형 Ag 파우더 용액이 담긴 욕조에서 디핑공정을 통하여 상기 구리재료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Ag를 코팅하여 이중 구조의 와이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이중구조의 와이어를 신선가공에 의해 시스코어 섬유인 은 선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은나노선은 코어로 사용될 구리재료를 소정의 직경으로 인발하는 단계, 상기 구리재료의 표면에 도금의 방법으로 은을 도금하여 시스층을 형성하여 이중 구조의 와이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이중구조의 와이어를 신선가공에 의해 시스코어 섬유인 은 선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시스(sheath)는 평균 두께가 3 ~ 32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평균 두께가 5 ~ 3000㎚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시스의 평균 두께가 3 ㎚ 미만이면 중심금속인 구리가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됨에 따라 은 고유의 기능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은 선에서 은이 탈리되어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될 수 있으며, 평균 두께가 3200㎚를 초과하면 은 선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은 선은 0.1 ~ 15 중량%의 구리, 바람직하게는 0.1 ~ 10 중량%의 구리와 잔량의 은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구리가 0.1 중량% 미만이면 은 선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15 중량%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항균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은 선은 섬유평균직경이 10 ~ 6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섬유평균직경이 15 ~ 5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은나노선은 섬도가 40 ~ 150De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 ~ 120De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은 선의 섬유평균직경이 범위 미만이거나 섬도가 범위 미만이면 목적하는 수준의 항균효과를 발현하지 못할 수 있고, 범위를 초과하면 은 선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링사(12a)는 꼬임수 550 ~ 1400 TPM으로 연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50 ~ 1300 TPM으로 연사되어 제1커버링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커버링사의 꼬임수가 550 TPM 미만이면 목적하는 수준의 항균성능을 발현할 수 없고, 꼬임수가 1400 TPM을 초과하면 제2원단의 신축성 및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섬유는, 은 선을 포함하는 심사 및, 상기 심사를 둘러싸도록 제1커버링사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1커버링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심사 및 제1커버링사에 대한 설명은 각각 상술한 제1커버링사(12a) 및 제2커버링사(13a)에 대한 설명과 동일함에 따라,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섬유는, 제1심사와 은 선을 포함하는 제2심사가 합사된 심사 및, 상기 심사를 둘러싸도록 제1커버링사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1커버링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심사, 제2심사 및 제1커버링사에 대한 설명은 각각 상술한 심사(11), 제1커버링사(12a) 및 제2커버링사(13a)에 대한 설명과 동일함에 따라,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커버링사(12a)는 상기 제2커버링사(13a)와 반대방향으로 연사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커버링사(12a)가 좌연(Z꼬임)인 경우, 상기 제2커버링사(13a)는 우연(S꼬임)일 수 있고, 제1커버링사(12a)가 우연(S꼬임)인 겅우, 상기 제2커버링사(13a)는 좌연(Z꼬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섬유(10)의 유연성이 우수하면서도 제1커버링사(12a)와 제2커버링사(13a)가 더욱 견고하게 구비되는 효과가 있다.
만일 상기 제1커버링사(12a) 및 제2커버링사(13a)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사되면, 제1커버링사(12a)와 제2커버링사(13a)가 상대적으로 견고하지 않음에 따라, 원단 제직 후, 제1커버링부(12) 또는 제2커버링부(13) 중 어느 하나라도 손상이 되면 원사가 한쪽 방향으로 풀려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섬유(10)는 총 섬도가 100 ~ 400De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30 ~ 370De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섬유의 총 섬도가 100 De 미만이면 항균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세탁내구성 및 신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총 섬도가 400 De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원단(200)은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제조된 직물 또는 편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원단(200)은 경사 및 위사를 포함하는 직물일 수 있고, 상기 경사는 제1섬유(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위사는 제2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사가 제1섬유(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경사가 제2섬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섬유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섬유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원단(200)에 구비되는 제1섬유(10)는 원단 내 배치폭이 0.01 ~ 12㎜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배치폭이 1 ~ 7㎜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치폭이 3 ~ 6㎜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섬유의 제2원단 내 배치폭이 0.01㎜ 미만이면 원단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배치폭이 12㎜를 초과하면 목적하는 수준의 항균성능을 발현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원단(200)은 상술한 제1섬유(10)로 형성된 메쉬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원단(200)의 메쉬 수는 40 ~ 450 메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 400 메쉬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제2원단이 40 메쉬 미만이면 항균성능 및 제2원단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400 메쉬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균마스크(1000,1001)는 제1원단(100,101)에 비하여 제2원단(200,201)을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으로 구비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원단(200,201)은 착용자의 코와 입에 밀착되어 덮을 수 있는 소정의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마스크(1000)는 제1원단(100)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이어밴드(300)를 포함하며, 상기 이어밴드(300)는 공지된 이어밴드와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균마스크(1001)는, 제1원단(10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코패드(400) 및 제1원단(10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턱받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패드(400)는 사용자의 호흡 시 제1원단(101)과 제2원단(201)외에 다른 영역에서의 외기 유입과 내기의 배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공지된 코패드와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턱받침(500)은 공지된 턱받침과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0, 1001: 항균마스크
100, 101: 제1원단
200, 201: 제2원단
300: 이어밴드
400: 코패드
500: 턱받침
10: 제1섬유
11: 심사
12a: 제1커버링사
12: 제1커버링부
13a: 제2커버링사
13: 제2커버링사

Claims (12)

  1. 외부 노출면을 형성하는 제1원단;
    상기 제1원단의 일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며,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된 제2원단; 및
    상기 제1원단의 양 측단에 구비되는 이어밴드;를 구비하는 항균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섬유는,
    심사, 상기 심사를 둘러싸도록 은 선을 포함하는 제1커버링사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1커버링부 및, 상기 제1커버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커버링사가 권취되어 구비되는 제2커버링부를 포함하는 합연사인 항균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는 각각 독립적으로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균마스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 및 제2커버링사는 각각 독립적으로 섬도가 20 ~ 100De인 항균마스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링사는 꼬임수 550 ~ 1400 TPM로 연사되고,
    상기 제2커버링사는 꼬임수 350 ~ 1100 TPM로 연사된 항균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 선은 구리(Cu)를 포함하는 코어(core) 및 은(Ag)을 포함하는 시스(sheath)를 포함하는, 시스코어(sheath-core) 섬유인 항균마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sheath)는 평균두께가 3 ~ 3200㎚인 항균마스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 선은 섬유평균직경이 10 ~ 60㎛인 항균마스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 및 제2원단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물 또는 편물인 항균마스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단은 경사 및 위사를 포함하는 직물이고,
    상기 경사는 상기 제1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위사는 제2섬유를 포함하는 항균마스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섬유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균마스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단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코패드; 및 상기 제1원단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턱받침;을 포함하는 항균마스크.
KR1020200036728A 2020-03-26 2020-03-26 항균마스크 KR20210120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28A KR20210120263A (ko) 2020-03-26 2020-03-26 항균마스크
PCT/KR2021/002862 WO2021194129A1 (ko) 2020-03-26 2021-03-09 마스크
US17/907,044 US20230113123A1 (en) 2020-03-26 2021-03-09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28A KR20210120263A (ko) 2020-03-26 2020-03-26 항균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263A true KR20210120263A (ko) 2021-10-07

Family

ID=7860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728A KR20210120263A (ko) 2020-03-26 2020-03-26 항균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02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251A (ko) 1995-05-03 1999-01-25 데이빗 알. 클리브랜드 호흡 마스크용 보안 차폐 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251A (ko) 1995-05-03 1999-01-25 데이빗 알. 클리브랜드 호흡 마스크용 보안 차폐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895B1 (ko) 은사 메쉬 및 이를 이용한 항균마스크
US20070084182A1 (en) Antimicrobial cut-resistant composite yarn and garments knitted or woven therefrom
US20040173216A1 (en) Face mask comprising health-promoting resin
KR102016794B1 (ko) 신축성 및 쾌적성이 우수한 하계용 항균소취원단의 제조방법
KR20210120264A (ko) 항균마스크
KR200407942Y1 (ko) 항균 마스크
CN211641256U (zh) 一种针织提花面料
KR20210120263A (ko) 항균마스크
US9913502B2 (en) Glove base and glove
CN211284698U (zh) 一种透气抗菌的复合纱线
KR20210120555A (ko) 마스크
KR101237025B1 (ko) 기능성 의류제품의 제조방법
US20230113123A1 (en) Mask
CN213113679U (zh) 一种抗菌型石墨烯混纺纱线
CN208855146U (zh) 一种基于纱线的纵横交错式纺织布料
CN214549826U (zh) 一种抗菌舒肤绷带及其医疗产品或家用品
CN213138106U (zh) 一种多功能印花面料
TWM602346U (zh) 內褲構造
WO2004088016A1 (ja) 改良された被服要求品質を有する繊維材料及びその改良方法
CN218948669U (zh) 一种抗菌防紫外面料
US20240017099A1 (en) Mask
CN213428362U (zh) 内裤构造
CN214563535U (zh) 一种防水透气迷彩复合面料
CN214821448U (zh) 一种碘系抗菌锦纶针织面料
JP6933759B1 (ja) 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