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738A - Pet Dry Room - Google Patents

Pet Dry 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738A
KR20210119738A KR1020200036254A KR20200036254A KR20210119738A KR 20210119738 A KR20210119738 A KR 20210119738A KR 1020200036254 A KR1020200036254 A KR 1020200036254A KR 20200036254 A KR20200036254 A KR 20200036254A KR 20210119738 A KR20210119738 A KR 20210119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air
pet
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2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민
Original Assignee
다윈그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윈그룹(주) filed Critical 다윈그룹(주)
Priority to KR1020200036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9738A/en
Publication of KR20210119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738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dry roo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t dry room that comprises: a housing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a door provided to allow a pet to enter and exit the housing; and a shower unit for showering the pet. It is possible to easily shower the pet in the housing.

Description

펫드라이룸{Pet Dry Room}Pet Dry Room

본 발명은 펫드라이룸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내에서 반려동물을 에어샤워시킬 수 펫드라이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t dry room, and to a pet dry room in which a companion animal can be air showered in a housing.

현재 우리나라는 반려동물의 소유인구가 가파르게 증가하여 반려동물과 관련한 산업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따라 반려동물과 관련한 여러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Currently, in Korea, as the number of people owning companion animals is rapidly increasing, the industry related to companion animals is also rapidly increasing, and accordingly, various products related to companion animals are appearing.

반려동물과 관련한 제품은 대다수가 미용이나 위생과 관련이 깊다. 반려동물은 보통 견주와 주거공간에서 생활하게 되는데, 견주는 주기적으로 목욕이나 샤워를 통해 반려동물의 위생상태를 청결히 해야한다.Most of the products related to companion animals are deeply related to beauty and hygiene. A companion animal usually lives in a living space with the dog owner, and the dog owner must regularly bathe or shower to keep the pet's hygiene condition clean.

위생상태를 소홀히 할 경우, 털 또는 피부에 기생하는 기생충이나 세균이 번식하여 반려동물이 질병에 걸리는등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려동물이 질병을 앓게될 경우, 새끼견이나 노견들은 다시 회복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치료할 때 발생되는 비용이 고가이므로 견주에게 상당한 부담을 지도록 한다.If hygiene is neglected, problems such as parasites or bacteria that parasitize hair or skin multiply and cause companion animals to become ill. When a companion animal becomes ill, it is difficult for puppies or older dogs to recover, and the cost of treatment is expensive, which puts a considerable burden on the dog owner.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반려동물의 질병을 사전에 예방하고, 반려견의 건강을 도모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event diseases of companion animals in advance, and to promote the health of dogs,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상기 제안된 선행기술은 반려동물용 세척장치(한국실용신한등록공보 제20-0373466호)로서, 세척장치 본체의 정면에는 외부에서 상기 세척실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투명도어의 중앙에는 상기 도어의 두께를 기준으로 상기 세척실의 내부로 연장 형성된 돌출테 및 호흡구를 가지는 호흡관체가 설치되고, 상기 호흡관체의 일측단에는 그물망이 부착된 커버가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투명도어의 하측으로는 상기 세척실내의 열풍 또는 외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순환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통로에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망체가 부착된다. The proposed prior art is a wash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73466), and a transparent door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washing device body so that the inside of the washing room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In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door, a breathing tube having a protruding frame and a breathing apparatus extending into the washing chamber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door is installed, and a cover with a mesh is attached to one end of the breathing tube by a hinge. become; A circulation passage for discharging hot air or external air in the washing chamber to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ansparent door, and a mesh body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s attached to the circulation passage.

상기 선행기술은 열풍 또는 외부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세척장치의 내부를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공기의 흐름이 아래에서 위로 강제 순환되지 않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세척 또는 건조 중에 애완견의 호흡에 지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 prior art makes it possible to keep the inside of the washing device in a dry state at all times by smoothing the flow of hot air or external air, and can shorten the drying time. It has the advantage of not interfering with the breathing of the dog during washing or drying by allowing the air to flow forward.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반려동물이 세척 또는 건조때 발생하는 소음에 의해 두려움을 느끼고 세척을 실시하는 것을 기피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mpanion animal feels afraid by the noise generated during washing or drying and avoids washing.

한국실용신한등록공보 제20-0373466호: 반려동물용 세척장치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Publication No. 20-0373466: Wash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하우징내에서 반려동물을 에어샤워시킬 수 펫드라이룸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t dry room in which a companion animal can be air showered in a hous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드라이룸은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도어부와, 상기 반려동물을 샤워하는 샤워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chieve the object, a pet dry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unit, a door unit provided to allow companion animals to enter and exit the housing unit, and shower the companion animal. including a shower unit.

상기 샤워유닛은 상기 반려동물과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공간의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감지부와, 상기 반려동물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샤워부와, 상기 미세먼지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에어샤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shower unit includes a fine dust sensing unit that detects fine dust in the inner spac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housing unit, an air shower unit that sprays air toward the companion animal,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ine dust sensing uni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ir shower unit.

본 발명인 펫드라이룸은 샤워유닛이 구비되어 반려동물을 하우징내에서 용이하게 샤워시켜 미세먼지와 털 또는 피부에 기생하는 기생충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et dry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quipped with a shower unit to easily shower companion animals in the housing to remove fine dust and parasites or bacteria parasitic on hair or ski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펫드라이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pet dry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 도어부 및 샤워유닛을 포함한다.It includes a housing unit, a door unit, and a show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하우징부는 반려동물이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하우징, 하우징결합부, 발판부재 및 주행부재를 포함한다.The housing unit is provided to place the companion animal, and includes a housing, a housing coupling unit, a footrest member, and a traveling member.

상기 하우징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내부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은 공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in the shape of a polygon. The housing is formed with an outlet so that air is discharged.

상기 하우징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The housing coupl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housing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상기 발판부는 반려동물이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ootrest part is for the companion animal to be located, and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상기 주행부재는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을 파지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된다.The travel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o allow a user to grip and move the housing.

상기 도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The door part is provided to allow companion animals to enter and exit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is detachably installed at an end of the housing.

상기 샤워유닛은 상기 반려동물을 에어샤워시키는 것으로서, 미세먼지감지부, 에어샤워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shower unit air showers the companion animal, and includes a fine dust sensing unit, an air shower unit, and a control unit.

상기 미세먼지센서부는 반려동물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결합부에 설치된다.The fine dust sensor unit detects fine dust in the inner spac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housing, and is installed in the housing coupling unit.

상기 에어샤워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반려동물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회전팬, 제1 필터, 윈드커버 및 제2 필터를 포함한다.The air shower unit sprays air toward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includes a rotating fan, a first filter, a wind cover, and a second filter.

상기 회전팬은 상기 외부의 에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결합부에 설치된다.The rotating fan is installed in the housing coupling portion as the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상기 제1 필터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나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상기 하우징결합부에 설치된다.The first filter filters fine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is installed in the housing coupling part.

상기 윈드커버는 다수의 통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설치된다.The wind cover has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nd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미세먼지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다.The second filter is installed in the housing as filtering fine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에어샤워부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ir shower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ine dust sens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제어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에어샤워부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결합부에 설치된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ir shower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ine dust control unit, and is installed in the housing coupl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드라이룸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et dry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진입하여 상기 발판부에 위치하고, 이때, 사용자가 상기 도어부를 폐쇄하면, 상기 샤워유닛의 미세먼지감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미세먼지를 감지하게된다.When a companion animal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is located on the footrest, when the user closes the door, the fine dust sensing unit of the shower unit detects fine dust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감지부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정보를 토대로 상기 에어샤워부를 작동시킨다. 상기 에어샤워부의 회전팬에 의해 상기 외부의 에어가 상기 제1 필터를 통과하여 미세먼지나 이물질이 필터링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air shower unit based on the fine dus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ine dust sensing unit. The external air passes through the first filter by the rotating fan of the air shower unit, and fine dust or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and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유입된 에어는 상기 윈드커버에 형성된 다수의 통풍구를 통해 여러방향으로 분산된 에어에 의해 반려동물을 샤워하여 이물질(털 또는 피부에 기생하는 기생충이나 세균)이나 미세먼지를 털어내며, 이후 상기 제2 필터를 통과하며,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를 털어낸 공기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제거된 공기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The introduced air showers the companion animal with air dispersed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formed in the wind cover to shake off foreign substances (parasites or bacteria parasitic on the hair or skin) or fine dust, and then It passes through the filter and removes the air that has brushed off foreign substances or fine dust. At this time, the remov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펫드라이룸은 반려동물을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에어샤워시켜 이물질(털 또는 피부에 기생하는 기생충이나 세균)이나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pet dry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parasites or bacteria parasitic on hair or skin) or fine dust by air showering companion animals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

또한, 사용자가 반려동물을 물로 샤워한 후, 물기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에어샤워시켜 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easily remove water by taking an air shower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in order to remove the water after the user showers the companion animal with water.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Claims (1)

청구항 1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도어부와;
상기 반려동물을 샤워하는 샤워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드라이룸.
claim 1
a housing unit;
a door unit provided to allow companion animals to enter and exit the housing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ower unit for showering the companion animal.
Pet Drying Room.
KR1020200036254A 2020-03-25 2020-03-25 Pet Dry Room KR202101197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254A KR20210119738A (en) 2020-03-25 2020-03-25 Pet Dry 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254A KR20210119738A (en) 2020-03-25 2020-03-25 Pet Dry Roo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738A true KR20210119738A (en) 2021-10-06

Family

ID=7807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254A KR20210119738A (en) 2020-03-25 2020-03-25 Pet Dry 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973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466Y1 (en) 2004-11-04 2005-01-17 주식회사 다이와테쿠노 washing apparatus for p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466Y1 (en) 2004-11-04 2005-01-17 주식회사 다이와테쿠노 washing apparatus for p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605B2 (en) Pet dry room and tray used therefor
KR200472302Y1 (en) Pet Drying Equipment
WO2017150805A1 (en) Pet dryer having brush
KR102137572B1 (en) Total care system for pets
JP7004278B2 (en) Pet drying device
KR102396809B1 (en) Low noise pet-only dryer
KR102410419B1 (en) the apparatus for removing of the hair attached to companion animal and clothes
KR20210119738A (en) Pet Dry Room
KR102354338B1 (en) Companion animal shower and dry room
KR102560980B1 (en) Nude-type companion animal cleaning gloves and nude-type companion animal cleaning tools including the same
KR200398311Y1 (en) pet dryer
KR20230000088U (en) Pet dry clothes
KR200351910Y1 (en) A bathing vehicle for a pet
CN216492707U (en) Pet nest for cleaning pet
KR20160026939A (en) A pet bathing apparatus
KR100460591B1 (en) Apparatus for washing a pet
KR102349761B1 (en) Companion dog shower device
CN216492706U (en) Pet cleaning device
KR200331705Y1 (en) A pet drier
KR20210047560A (en) Cat smart aroma house
CN113994895B (en) Pet nursing device and pet nursing method
KR200315478Y1 (en) A pet bathing apparatus
KR102546641B1 (en) Pet bathing apparatus
KR200340451Y1 (en) Dryer for pet
KR102573953B1 (en) Pet bubble spa and dry app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