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713A -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713A
KR20210119713A KR1020200036179A KR20200036179A KR20210119713A KR 20210119713 A KR20210119713 A KR 20210119713A KR 1020200036179 A KR1020200036179 A KR 1020200036179A KR 20200036179 A KR20200036179 A KR 20200036179A KR 20210119713 A KR20210119713 A KR 20210119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information
driver
rel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308B1 (ko
Inventor
송민석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6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30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60C11/243Tread wear sensors, e.g. electronic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1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통신 단말기를 통해 타이어에 관련한 여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은, 타이어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통신 단말기, 상기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는 통신망, 및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타이어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타이어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ire, computer readable recoding medium storing the method}
본 발명은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고개의 편의를 위해 통신 단말기를 통해 타이어에 관련한 여러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차량의 전체 중량을 분담하여 지지하고, 주행중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여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타이어는 차량이 선회할 때의 원심력과 차량이 기울어졌을 때 발생하는 횡방향의 힘의 견디면서 차량의 진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등 차량의 중요 구성 요소로써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타이어의 역할을 최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타이어의 적절한 교환 시기이다. 이를 위해서는 타이어의 예상 마일리지, 마모도, 수명등의 요구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적절한 교환시기는 운전자가 일반적으로 육안으로 판단하여 오프라인 매장으로 방문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타이어에 대한 정확한 교환시기를 알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타이어의 여러 정보들을 얻기 위해서는 직접 타이어 전문가를 찾아가거나 인터넷 등을 활용한 정보 검색을 활용해야 된다. 이 경우, 오프라인으로 타이어의 매장을 찾아 전문가의 의도된 설명만 듣고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타이어에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없고, 직접 타이어 전문가를 찾아갈 시간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온라인이 발달하면서 타이어도 온라인 구매가 증가했으며 온라인 타이어 판매 사이트도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온라인 구매는 가격비교를 할 수 있어 저렴한 구매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인터넷 등을 활용한 정보검색은 부정확하고 불확실한 정보가 다수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의 기본 정보와 관련이 있는 타이어를 추천받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516264호(등록일자: 2015.04.23)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고개의 편의를 위해 통신 단말기를 통해 타이어에 관련한 여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기본 정보를 바탕으로 타이어에 관련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통신 단말기를 통해 타이어에 관련한 여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은,
타이어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통신 단말기;
상기 통신 단말기가 연결되는 통신망; 및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타이어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타이어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타이어의 표면 외관을 촬영한 촬영 이미지 및 상기 타이어의 타이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이어 정보는 상기 타이어의 표면에 부착되는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바코드를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이어 정보는 타이어 모델, 타이어 제조년도, 제조사, 및 타이어 유형 중 적어도 한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이어 관련 정보는 상기 센싱 정보에 운전자 관리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전자 관리 정보는 운전자 이름, 운전자의 연락처, 운전자의 주소, 운전자가 타이어를 구매한 타이어 구매 이력, 차량의 종류를 나타내는 차종, 및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이어 관련 정보는, 상기 운전자 관리 정보를 바탕으로 한 타이어 추천 정보, 상기 타이어의 교환 시기를 알려주는 타이어 교환 시기 정보, 상기 타이어의 마모도를 알려주는 타이어 마모도 정보, 상기 마모도 정보에 따른 상기 타이어의 남은 마일리지를 나타내는 예상 마일리지 정보, 상기 타이어에 대한 상식을 알려주는 타이어 기본 상식 정보, 출장 지원 서비스를 안내하는 출장 지원 서비스 정보, 및 운전자의 근접 지역에 위치하는 타이어 매장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이어 매장 위치 정보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의 미리 설정되는 범위내에 있는 타이어 매장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이어 교환 시기 정보는 상기 타이어의 사용일수를 미리 설정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산출되며, 상기 사용일수는 상기 타이어의 제조년도 또는 타이어 구매이력을 기준으로 경과된 일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상 마일리지 정보는 상기 마모도와 예상 마일리지가 매칭되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a) 통신 단말기가 타이어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관리 서버가 상기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타이어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타이어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위에 기술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의 기본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타이어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타이어 교환 시기, 타이어 마모도 등의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타이어 기본 상식, 타이어 출장 지원 서비스, 타이어 직영 매장 위치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단말기의 세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알람 정보 생성 단계를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일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알람 정보 생성 단계를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다른 일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센서가 승하강됨에 따른 검사신호의 산란층과 비산란층의 산란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타이어(110)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통신 단말기(120), 통신 단말기(120)가 연결되는 통신망(130), 통신망(130)에 연결되며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타이어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20)는 타이어(110)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망(130)을 통해 관리 서버(14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싱 정보는 타이어(110)의 외관을 촬영한 촬영 이미지, 타이어(110)에 해당하는 타이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 정보는 타이어(110)의 표면에 부착되는 QR(Quick Response) 코드, 바코드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부연하면, 이러한 코드에는 타이어(110)의 모델명, 제조년도, 제조사, 사양 등의 정보가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120)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트 패드,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될 수 있다.
통신망(130)은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1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관리 서버(140)는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타이어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이 타이어 관련 정보를 통신 단말기(12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리 서버(140)는 고객 관리 정보, 타이어 관련 정보, 지리 정보 등의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를 통해 타이어 관련 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140)는 운전자(즉, 고객) 관리 정보를 구축하고 있는 제 1 데이터베이스(141) 및 타이어 관련 정보를 구축하고 있는 제 2 데이터베이스(142)로 구성될 수 있다.
운전자 관리 정보는 운전자 이름, 운전자의 연락처, 운전자의 주소, 운전자가 타이어를 구매한 타이어 구매 이력, 차량의 종류를 나타내는 차종, 차량 번호 등을 들 수 있다.
타이어 관련 정보로는 운전자 관리 정보를 바탕으로 한 타이어 추천 정보, 타이어의 교환 시기를 알려주는 타이어 교환 시기 정보, 타이어의 마모도를 알려주는 타이어 마모도 정보, 타이어에 대한 상식을 알려주는 타이어 기본 상식 정보, 출장 지원 서비스를 안내하는 출장 지원 서비스 정보, 운전자의 근접 지역에 위치하는 타이어 매장 위치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단말기(120)의 세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20)는,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10), 타이어(110)을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220), 센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30), 타이어 정보, 촬영 이미지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40), 센싱 정보를 통신망(130)을 통해 관리 서버(140)로 전송하거나 관리 서버(140)로부터 타이어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회로(2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카메라(220), 메모리(230), 표시부(240), 통신회로(250) 등의 구성요소들과 신호를 주고받으며, 이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220)는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카메라가 될 수 있으며, 타이어(110)의 외관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230)는 센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하며, 제어부(210)에 실행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230)는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RAM(Static RAM), FRAM (Ferro-electric RAM), PRAM (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DR-SDRAM(Double Data Rate-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2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의 경우 입력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입력 수단을 위해 마이크 등의 음성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통신회로(250)는 통신 단말기(120) 자체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관리 서버(140)로 전송하거나 관리 서버(14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서는 일부 구성요소만을 기재하였으나, 스피커 등의 사운드 시스템, 키버튼 등이 구성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140)의 세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40)는, 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센싱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310), 획득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 모듈(320), 분석 결과에 따라 타이어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공 모듈(3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획득 모듈(310)은 통신 단말기(120)로부터 센싱 정보를 획득할 뿐만 아니라 다른 망에 있는 서버들(미도시)과 연결되어 지리 정보, 교통 정보, 운전자 정보, 매매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분석 모듈(320)은 획득된 센싱 정보 및/또는 운전자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적절한 정보를 분석한다. 센싱 정보 및 운전자 관리 정보를 예시로 나타내면 다음 순서와 같다.
세부 사항
타이어 모델 NX-G1
타이어 제조 년도 2018.01.01
제조사 넥센타이어
타이어 유형 사계절 타이어
... ...
위 표는 센싱 정보 중 타이어(110)의 타이어 정보만을 표시한 것이며, 타이어 촬영 이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세부 사항
이름 홍길동
연락처 010-1111-XXXX
차량번호 10가10
주소 서울시 강남구 11~
구매이력 2018.02.01
차종 X사 M1
... ...
따라서, 분석 모듈(320)은 표 1에 따른 센싱 정보만을 대상으로 타이어 교환 시기, 예상 마일리지, 마모도 등의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분석 모듈(320)은 이러한 센싱 정보에 운전자 관리 정보를 매칭하여 더 정밀하게 타이어를 교환하는 시기를 알려주는 타이어 교환 시기, 타이어의 마모 정도를 알려주는 마모도, 마모도에 따른 타이어의 남은 마일리지를 나타내는 예상 마일리지 등의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공 모듈(330)은 분석 모듈(320)의 분석 결과에 따라 타이어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알림 정보로 만들어 통신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타이어 관련 정보는, 상기 운전자 관리 정보를 바탕으로 한 타이어 추천 정보, 상기 타이어의 교환 시기를 알려주는 타이어 교환 시기 정보, 상기 타이어의 마모도를 알려주는 타이어 마모도 정보, 마모도 정보에 따른 타이어의 남은 마일리지를 나타내는 예상 마일리지 정보, 상기 타이어에 대한 상식을 알려주는 타이어 기본 상식 정보, 출장 지원 서비스를 안내하는 출장 지원 서비스 정보, 및 운전자의 근접 지역에 위치하는 타이어 매장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 기재된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소프트웨어 구성 컴포넌트(요소),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컴포넌트, 클래스 구성 컴포넌트 및 작업 구성 컴포넌트, 프로세스, 기능, 속성, 절차, 서브 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배열 및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데이터 등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20)를 통해 타이어(110)를 센싱함으로써 센싱 정보가 생성된다(단계 S410). 통신 단말기(120)에는 특정한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며, 이를 통해 센싱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경우, 앱을 들 수 있다. 운전자는 관리 서버(140)로부터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이를 설치하고, 이 앱을 실행함으로써 센싱 정보를 생설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자 또는 음성으로 안내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이후, 통신 단말기(120)는 생성된 센싱 정보를 관리 서버(140)측으로 전송한다(단계 S420). 전송은 앱을 통해 자동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운전자가 통신 단말기(120)에 표시된 전송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전송 버튼은 물리적 버튼일 수 있고, 화면상의 아이콘 형태일 수 있다.
센싱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관리 서버(140)는 이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생성한다(단계 S430). 부연하면, 관리 서버(140)의 분석 모듈(320)이 센싱 정보만을 대상으로 타이어 교환 시기, 예상 마일리지, 마모도 등의 분석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분석 모듈(320)은 이러한 센싱 정보에 운전자 관리 정보를 매칭하여 더 정밀하게 타이어를 교환하는 시기를 알려주는 타이어 교환 시기, 타이어의 마모 정도를 알려주는 마모도, 마모도에 따른 타이어의 남은 마일리지를 나타내는 예상 마일리지 등의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관리 서버(140)의 제공 모듈(330)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타이어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알림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450). 부연하면, 운전자 관리 정보를 바탕으로 한 타이어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 즉, 운전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타이어와 관련되는 타이어들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타이어의 가격, 제조사, 생산 연도 등이 될 수 있다.
타이어의 교환 시기를 알려주는 타이어 교환 시기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타이어의 경우, 센싱한 타이어 정보에 표시되어 있는 사용 연한이 있으므로, 이를 계산하여 교환 시기를 표시하는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타이어의 마모도를 알려주는 타이어 마모도 정보를 생성한다. 즉, 운전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타이어의 마모도 정도를 산출하여 마모도 정보가 생성된다.
또한, 마모도 정보에 따른 타이어의 남은 마일리지를 나타내는 예상 마일리지 정보를 생성한다. 즉, 마모도 정보가 산출되면 마모도 정도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를 매칭하여 예상 마일리지가 산출된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마모도 예상 마일리지
0%~10% 58,000km
11%~20% 45,000km
21%~30% 36,000km
... ...
또한, 타이어에 대한 상식을 알려주는 타이어 기본 상식 정보를 생성한다. 즉, 타이어에 대한 개념, 유지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출장 지원 서비스를 안내하는 출장 지원 서비스 정보를 생성한다. 즉, 출장 지원을 신청하는 연락처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근접 지역에 위치하는 타이어 매장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즉,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근접 지역에 위치하는 타이어 매장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위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알람 정보 생성 단계를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일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센싱 정보 및 타이어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일수를 산출한다(단계 S510). 부연하면, 사용일수는 타이어의 제조년도 또는 타이어 구매이력을 기준으로 경과된 일수가 될 수 있다.
이후, 산출된 사용일수를 미리 설정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사용일수가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520). 부연하면, 만일 기준값이 제조년도 기준이면 약 4년으로 가정하여 "1400"로 하고, 구매이력의 경우, 하루 평균 50km/h로 가정하면 기준값이 "1150"일 된다.
단계 S520에서 사용일수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단계 S410으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단계 S520에서 사용일수가 기준값 이상이면 타이어 교환시기를 산출한다(단계 S530). 부연하면, 기준값이 제조년도 기준이면 약 4년으로 가정하면 4*365은 "1460"이되고, 60000km/h를 50km/h로 나누면 "1200"이 된다. 이 값을 최종값으로 하면, 타이어 교환 시기는 최종값 - 사용일수가 된다. 예를 들면 사용일수가 1420이면 1460-1420이므로 앞으로 40일이 타이어 교환 시기가 될 수 있다.
타이어 교환 시가가 산출되면 이를 알림 정보로 생성한다(단계 S540).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알람 정보 생성 단계를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다른 일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촬영 이미지로부터 타이어(110)의 마모도를 산출한다(단계 S610). 타이어의 마모도 산출은 수신한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트레드의 마모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타이어의 마모도의 산출 방식이 많이 공개되어 있다.
이후, 표 3에 기술한 바와 같이, 마모도를 기준값과 매칭하여 예상 마일리지를 산출한다(단계 S620,S630). 예를 들면, 마모도가 5%이면 마일리지는 58,000km가 된다. 부연하면, 타이어(110)의 공장 출하시 마일리지가 60,000km라고 하면 여기서 디폴트값으로 약 2,000km를 감하는 방식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센서가 승하강됨에 따른 검사신호의 산란층(842)과 비산란층(841)의 산란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각각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타이어 검사장치는 타이어(110)를 회전시키는 모터(711)와 검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부는 검사신호를 발신하는 송신센서(821)를 갖는 송신부(820)와 검사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센서(811)가 설치된 수신부(8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송신부(820)는 수신부(810)와 대향되며 타이어(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된다.
이때, 수신부(810)에 도달하는 검사신호는 타이어(110)의 간섭을 받아 산란된 산란층(842)과 타이어(110)의 간섭을 받지 않고 도달하는 비산란층(84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검사부는 산란층과 비산란층(842,841)의 산란 변화율을 이용하되, 산란 변화율이 기설정 값을 벗어나는 경우 타이어의 불량을 판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부는 송신센서의 단계적 높이 조절에 따라 송신센서로부터 발신된 검사신호 중 타이어의 간섭없이 수신센서에 도달하는 비산란층(842)과 타이어에 의해 산란되어 도달하는 산란층(841)의 산란 변화율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검사부는 통신 단말기(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산란 변화율에 대한 정보가 관리 서버에 전송되어, 관리 서버에서 타이어에 대한 균일성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통신 단말기(120)에 앱을 설치하여 통신 단말기(120) 상에서 이러한 균일성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산란 변화율 중 타이어가 정상 타이어인 경우에 획득되는 제1 산란변화율과 타이어가 검사 대상 타이어인 경우에 수집되는 제2 산란 변화율을 상호 비교한다.
제2 산란 변화율이 제1 산란 변화율을 벗어나는 경우 검사 대상 타이어의 불량이 판정되는 것이다.
한편, 검사신호의 레인지는 타이어의 사이드월 높이보다 폭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송신센서(821)는 단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송신센서(821)가 송신부(820)에서 단계적 높이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송신센서(821)의 상단은 타이어(110)의 상단 트레드면과 동일한 높이까지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송신센서(821)의 하단은 타이어(110)의 상단 트레드면과 동일한 높이까지 상승할 수도 있다.
검사부는 송신센서(821)의 단계적 높이 조절에 따른 산란비율의 그래프와 실제 측정된 산란비율 그래프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타이어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송신센서(821)의 단계적 높이 조절은 타이어의 트레드면 부근에서 보다 조밀하게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송신센서(821)가 제1 위치에서 수신센서(821)를 향해 검사신호를 발산한다.
검사부는 수신센서(821)로부터 송신된 검사신호 중에서 타이어(110)의 간섭을 받아 산란된 산란층(842)과 타이어(110)의 간섭을 받지 않고 도달하는 비산란층(841)의 비율을 계산한다.
이때, 수신센서(821)는 송신부(820)에서 단계적인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산란층(842)과 비산란층(841)의 비율이 연속적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소정의 그래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얻어지는 그래프는 정상적인 타이어의 것이 바람직하다.
검사부는 송신센서(821)의 단계적 높이 조절에 따른 산란비율의 그래프와 검사 대상인 실제 타이어(110)가 회전되면서 측정된 산란비율 그래프를 상호 비교한다.
검사부는 정상적인 산란비율의 그래프와 실제 측정된 검사대상 타이어로부터 획득된 산란비율 그래프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타이어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송신센서(821)의 단계적 높이 조절은 타이어의 트레드면 부근에서 보다 조밀하게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송신센서(821)의 단계적 높이 조절은 타이어(110)의 회전속도에 반비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타이어(110)의 회전속도가 빠를수록 송신센서(821)의 단계적 높이 조절은 조밀해 질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타이어(110)를 검사하는 타이어(110) 검사장치는 제1 본체부(110), 수신부(810), 송신부(820) 및 검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부는 생산된 타이어를 휠에 조립하고 적정 공기압을 투입한 상태에서 회전시켰을 때 원주방향으로 중량 균일성을 측정하는 동적 밸런스 검사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본체부(110)는 타이어(110)를 회전시키는 모터(711)가 마련된다.
수신부(810)와 송신부(820)는 타이어(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센서(811)가 설치된 수신부(810) 및 수신부(810)과 대향되는 송신센서(821)를 갖는 송신부(820)가 타이어(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있다.
송신센서(821)가 타이어(110)의 상단 트레드면을 향해 검사신호를 발신하면 수신센서(811)는 송신센서(821)로부터 발신된 검사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송신센서(821)는 레이져 센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검사부(미도시)는 수신센서(811)로 수신된 검사신호를 통해 타이어(110)의 검사를 수행한다. 이때, 수신센서(811)의 면적은 송신센서(821)의 면적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수신센서(811)의 면적이 송신센서(821)의 면적보다 넓기 때문에 타이어(110)의 직경 사이즈가 변경되더라도 검사가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송신센서(821)의 최하단은 타이어(110)의 상단 트레드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수신센서(811)의 최하단은 타이어(110)의 상단 트레드와 타이어(110)의 하단 트레드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송신센서(821)의 최상단은 송신센서(821)의 최상단 보다 높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제2 본체부(120)는 타이어(110)의 하단 트레드에 가압 접촉되어 회전 가능한 롤러부(721)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부(721)는 회전중심(72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롤러부(721)는 타이어(110)에 접촉되면서 타이어(110)의 회전력에 의해 타이어(11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롤러부(721)는 실제 타이어(110)가 주행되는 노면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롤러부(721)는 타이어(110)의 회전중심에 인접되도록 승강되거나, 타이어(11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강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롤러부(721)는 타이어(110)의 회전중심에 인접되도록 승강될 때 회전되는 타이어(110)의 외주면, 즉 트레드면을 포함하는 주변 사이드월까지의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롤러부(721)가 타이어(110)의 트레드면에 가하는 압력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주행환경에서의 타이어 성능 검사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변형은 타이어(110)의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 검사부는 송신센서(821) 및 수신센서(811)를 이용하여 위와 같은 타이어 외주면의 변화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정상적으로 생산된 타이어라면 타이어(110)가 소정의 회전속도에서 외주면 변화가 기설정 값 범위 내에 머무르게 될 것이다.
만일 타이어(110)가 소정의 회전속도에서 외주면 변화가 기설정 값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라면 타이어 불량으로 판단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타이어 검사장치는 송신센서(821)가 수신센서(811)를 향해 X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타이어(110) 내부의 카커스 및 벨트의 구조 상태, 이물질의 혼입여부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검사부는 X선을 가시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형광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형광체의 감쇠 시간은 100 ms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10)에 X선을 조사하여 투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투영상에서 타이어(110) 내부의 밀도 분포가 측정 가능해진다. 이로써, 고속 회전하는 타이어(110)에 작용하는 응력에 의해 발생한 내부 조직의 변화를 마이크로적으로 관찰 및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타이어(110)의 각종의 성능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검사부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를 포함한 타이어(110)의 성능을 평가하되, 타이어(110)의 밀도 분포에 기초하여 타이어(110)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또한, 타이어(110)에는 타이어 공기압 측정 장치(TPMS)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검사부는 타이어(110)의 회전량 대비 롤러부(721)의 회전량을 계측하여 얻어진 동하중 반경 데이터를 분석하고, 적정한 공기압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검사부는 계산된 공기압과 타이어 공기압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된 실제 공기압의 차이를 고려하여 타이어(110)의 변형량에 결과에 반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타이어(110)의 공기압 상태에 따른 타이어(110)의 변형량을 고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로서 검사부는 검사신호가 발신되기 전에 타이어(11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타이어(110)를 워밍업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워밍업은 측정의 재시도를 방지함과 동시에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타이어(110) 생산 공정에 있어서 최종 생산된 타이어(110)는 전수검사가 원칙이다.
워밍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은 타이어(110) 생산성 향상과 직결된다. 통상의 타이어(110)는 일정한 회전수 즉, 60rpm로 3.0초 정도의 소정 시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런데, 타이어(110)는 편평율이 55%이하로 낮은 경우 강성이 높아 고강성 타이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고강성 타이어는 편평율이 높은 통상의 타이어와 비교하여 검사에 앞서 실시되는"워밍업"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편평율이 낮은 고강성 타이어의 경우 회전수를 120rpm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블루레이 등과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 코드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반도체 기억 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 코드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한 개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00: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110: 타이어
120: 통신 단말기
130: 통신망
140: 관리 서버
141: 제 1 데이터베이스
142: 제 2 데이터베이스

Claims (20)

  1. 타이어(110)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통신 단말기(120);
    상기 통신 단말기(120)가 연결되는 통신망(130); 및
    상기 통신망(130)에 연결되며, 상기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타이어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타이어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120)에 제공하는 관리 서버(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타이어(110)의 표면 외관을 촬영한 촬영 이미지 및 상기 타이어(110)의 타이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정보는 상기 타이어(110)의 표면에 부착되는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바코드를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정보는 타이어 모델, 타이어 제조년도, 제조사, 및 타이어 유형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관련 정보는 상기 센싱 정보에 운전자 관리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관리 정보는 운전자 이름, 운전자의 연락처, 운전자의 주소, 운전자가 타이어를 구매한 타이어 구매 이력, 차량의 종류를 나타내는 차종, 및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관련 정보는, 상기 운전자 관리 정보를 바탕으로 한 타이어 추천 정보, 상기 타이어(110)의 교환 시기를 알려주는 타이어 교환 시기 정보, 상기 타이어(110)의 마모도를 알려주는 타이어 마모도 정보, 상기 마모도 정보에 따른 상기 타이어(110)의 남은 마일리지를 나타내는 예상 마일리지 정보, 상기 타이어(110)에 대한 상식을 알려주는 타이어 기본 상식 정보, 출장 지원 서비스를 안내하는 출장 지원 서비스 정보, 및 운전자의 근접 지역에 위치하는 타이어 매장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매장 위치 정보는 상기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120)의 미리 설정되는 범위내에 있는 타이어 매장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교환 시기 정보는 상기 타이어(110)의 사용일수를 미리 설정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산출되며, 상기 사용일수는 상기 타이어의 제조년도 또는 타이어 구매이력을 기준으로 경과된 일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마일리지 정보는 상기 마모도와 예상 마일리지가 매칭되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11. (a) 통신 단말기(120)가 타이어(110)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통신망(130)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120)와 연결되는 관리 서버(140)가 상기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타이어 관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140)가 상기 타이어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120)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타이어(110)의 표면 외관을 촬영한 촬영 이미지 및 상기 타이어(110)의 타이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정보는 상기 타이어(110)의 표면에 부착되는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바코드를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정보는 타이어 모델, 타이어 제조년도, 제조사, 및 타이어 유형 중 적어도 한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관련 정보는 상기 센싱 정보에 운전자 관리 정보를 결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관리 정보는 운전자 이름, 운전자의 연락처, 운전자의 주소, 운전자가 타이어를 구매한 타이어 구매 이력, 차량의 종류를 나타내는 차종, 및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관련 정보는, 상기 운전자 관리 정보를 바탕으로 한 타이어 추천 정보, 상기 타이어(110)의 교환 시기를 알려주는 타이어 교환 시기 정보, 상기 타이어(110)의 마모도를 알려주는 타이어 마모도 정보, 상기 마모도 정보에 따른 상기 타이어(110)의 남은 마일리지를 나타내는 예상 마일리지 정보, 상기 타이어(110)에 대한 상식을 알려주는 타이어 기본 상식 정보, 출장 지원 서비스를 안내하는 출장 지원 서비스 정보, 및 운전자의 근접 지역에 위치하는 타이어 매장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매장 위치 정보는 상기 통신 단말기(120)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120)의 미리 설정되는 범위내에 있는 타이어 매장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교환 시기 정보는 상기 타이어(110)의 사용일수를 미리 설정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산출되며, 상기 사용일수는 상기 타이어의 제조년도 또는 타이어 구매이력을 기준으로 경과된 일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방법.
  20. 제 1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0036179A 2020-03-25 2020-03-25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82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179A KR102382308B1 (ko) 2020-03-25 2020-03-25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179A KR102382308B1 (ko) 2020-03-25 2020-03-25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713A true KR20210119713A (ko) 2021-10-06
KR102382308B1 KR102382308B1 (ko) 2022-04-05

Family

ID=7807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179A KR102382308B1 (ko) 2020-03-25 2020-03-25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3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4655A (ja) * 2003-11-28 2005-06-23 Yokohama Rubber Co Ltd:The 2次元コード表示物及び2次元コード表示タイヤ
KR20140021137A (ko) * 2012-08-08 2014-02-20 아이오토 주식회사 온라인을 이용한 타이어 교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50004969A (ko) * 2013-07-03 2015-01-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넷 접속장치를 이용한 타이어 상태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6264B1 (ko) 2013-12-13 2015-05-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타이어 상태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90036897A (ko) * 2017-09-28 2019-04-0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4655A (ja) * 2003-11-28 2005-06-23 Yokohama Rubber Co Ltd:The 2次元コード表示物及び2次元コード表示タイヤ
KR20140021137A (ko) * 2012-08-08 2014-02-20 아이오토 주식회사 온라인을 이용한 타이어 교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50004969A (ko) * 2013-07-03 2015-01-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터넷 접속장치를 이용한 타이어 상태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6264B1 (ko) 2013-12-13 2015-05-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타이어 상태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90036897A (ko) * 2017-09-28 2019-04-0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마모도 측정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308B1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3903B2 (en) Vehicle monitoring
US20220215479A1 (en) Dynamic auto insurance policy quote creation based on tracked user data
US9971991B2 (en) Automated, new spare parts forecasting and demand planning system
US10041850B2 (en) System, method and application for estimating pneumatic pressure state of vehicle tires using a handheld device
US20160009290A1 (en) Assessment of tire condition based on a tire health parameter
US1014078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fuel information of a vehicle
US104275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management
CN110228333A (zh) 用于跟踪轮胎胎面磨损的系统和方法
US1158062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vehicle condition inspection
CA3011640A1 (en) Tire pressure optimization system
US8544319B2 (en) Tire uniformity through dispersion optimization
CN113424039B (zh) 用于预测轮胎的磨损和寿命终止的模型
JP2016504643A (ja) 部品のデジタル画像に基づく部品の磨耗判定方法及びシステム
US202101180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Trade-In With Limited Human Interaction
US11830295B2 (en) Determining vehicle service timeframes based on vehicle data
US20180054704A1 (en) Modifying a stream media service for a mobile radio device
US94650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eddy current device dynamic gain adjustment
EP3774405B1 (en) System for tire performance alerts and assisted remediation
US1043720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workflow prioritization and tasking
CN114379482A (zh) 轮胎保养预测方法及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82308B1 (ko) 타이어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81005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delivery trip events and improving delivery driver safety
US202000432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entivized Vehicle Diagnostics
JP6968745B2 (ja) 近赤外分光法及び機械学習技術による、製造工程におけるエンドポイント検出
US20190102793A1 (en) Generating Media Content Using Connected Vehicle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