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712A - 필터교환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필터교환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712A
KR20210119712A KR1020200036177A KR20200036177A KR20210119712A KR 20210119712 A KR20210119712 A KR 20210119712A KR 1020200036177 A KR1020200036177 A KR 1020200036177A KR 20200036177 A KR20200036177 A KR 20200036177A KR 20210119712 A KR20210119712 A KR 20210119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cover
filter
frame
mas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가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그린텍
남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그린텍, 남동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그린텍
Priority to KR1020200036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9712A/ko
Publication of KR20210119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 고정대를 포함하여 사용자 안면의 코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의 곡률을 가지고 안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측 마스크 프레임 및 상측 마스크 프레임에 결합하고 좌우 방향으로만 곡률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는 직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전면 마스크 프레임를 포함하고, 전면 마스크 프레임은 마스크필터와 접하는 곡면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앙 수직 리브 및 상기 곡면 영역 외곽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 홈을 포함하는, 필터교환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터교환용 마스크{FILTER CHANGEABLE MASK}
본 발명은 필터교환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교환용 마스크 필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마스크 내부에 격리된 공간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호흡을 용이하게 하며 마스크와 입 등의 접촉을 방지하여 청결 상태나 위생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필터교환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가 널리 이용된다. 마스크는 꽃가루, 미세먼지, 비말, 바이러스 등의 차단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 마스크는 내부에 필터를 구비하여 일정 직경 이상의 입자를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꽃가루, 미세먼지, 비말, 바이러스 등을 차단할 수 있다.
천 마스크와는 달리 미세 입자를 필터링하기 위해서는 마스크 내에 필터가 구비된다. 마스크필터는 마스크본체 내에 내장되는 데 일회용 마스크는 그 필터가 일체로 성형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여 천 마스크 등에 필터를 끼우거나 재봉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여러 시도가 존재한다.
마스크는 사용자 안면의 입과 코에 밀착되어 입과 코로부터의 각종 분비물이 묻게 된다. 사용자 안면에서의 위생 상태를 높이기 위해서는 마스크의 형태를 최대한 입과 코와 분리된 입체적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필터의 교체가 가능한 재사용 마스크를 입체적인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교체 가능한 마스크필터 또한 입체적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는 마스크필터 제작에 비용과 시간을 요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마스크필터는 평면 형태의 필터 원단으로부터 제작되기에 입체적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마스크필터의 양, 제작 시간 및 비용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마스크필터의 교체를 통한 재사용 가능한 마스크 구성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필터교환용 마스크가 필요하다.
공개특허 10-2019-0125751, 2019년11월07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마스크의 형태를 입체적으로 구성하면서도 재사용 가능한 마스크필터를 평면 형태로 구성하여 마스크필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그 소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필터교환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착용시 사용자의 입과 코의 호흡에 따른 마스크필터와 접촉을 최소화하여 마스크 내부의 청결 상태를 유지하거나 지속시킬 수 있는 필터교환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과 코의 접촉과 호흡으로도 무해하고 세척, 소독 등이 가능한 필터교환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교환용 마스크는 코 고정대를 포함하여 사용자 안면의 코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의 곡률을 가지고 안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측 마스크 프레임 및 상측 마스크 프레임에 결합하고 좌우 방향으로만 곡률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는 직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전면 마스크 프레임을 포함하고, 전면 마스크 프레임은 마스크필터와 접하는 곡면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앙 수직 리브 및 상기 곡면 영역 외곽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 홈을 포함한다.
상기한 필터교환용 마스크에 있어서, 전면 마스크 프레임에 결합하고 전면 마스크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마스크필터를 수용하며 전면 마스크 프레임과 동일한 좌우 방향의 곡률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는 직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마스크커버를 더 포함하고, 전면 마스크 프레임은 중앙 수직 리브 좌우에 형성되는 주변 수직 리브 및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리브를 더 포함하고, 마스크커버는 곡면 영역 외곽에 접하는 커버 외곽 프레임,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커버 수직 리브 및 커버 외곽 프레임 외곽에 돌출되어 복수의 고정 홈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커버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마스크커버 및 마스크필터는 전면 마스크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하거나 외측면에 결합하고, 상측 마스크 프레임, 전면 마스크 프레임 및 마스크커버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한 필터교환용 마스크에 있어서, 전면 마스크 프레임에 결합하고 전면 마스크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마스크필터를 수용하며 전면 마스크 프레임과 동일한 좌우 방향의 곡률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는 직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마스크커버 및 결합된 마스크커버 및 마스크필터를 삽입하여 전면 마스크 프레임 내부에 위치시키는 커버삽입 홈을 더 포함하고, 전면 마스크 프레임은 중앙 수직 리브 좌우에 형성되는 주변 수직 리브 및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리브 더 포함하고, 마스크커버는 곡면 영역 외곽에 접하는 커버 외곽 프레임 및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커버 수직 리브를 포함하고, 주변 수직 리브 및 커버 수직 리브는 아치형 리브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교환용 마스크는 마스크의 형태를 입체적으로 구성하면서도 재사용 가능한 마스크필터를 평면 형태로 구성하여 마스크필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그 소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교환용 마스크는 사용자 착용시 사용자의 입과 코의 호흡에 따른 마스크필터와 접촉을 최소화하여 마스크 내부의 청결 상태를 유지하거나 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교환용 마스크는 사용자의 입과 코의 접촉과 호흡으로도 무해하고 세척, 소독 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마스크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마스크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마스크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마스크 조립과 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마스크 조립과 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마스크커버가 생략하여 구성된 예시적인 마스크 전체 외형과 조립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를 나타낸다.
도 1은 마스크(10)의 조립 후 전체 외형을 도시하고 도 2는 마스크(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시하고 도 3은 분해 구성 요소들의 조립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를 살펴보면, 조립을 통해 구성되는 마스크(10)는 마스크본체(100), 마스크필터(300) 및 마스크커버(500)를 포함하고 좌측 귀걸이 및 우측 귀걸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스크(10)는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고, 사용자 안면의 코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대(도 1의 ⓐ 참조)와 신축성을 가지는 귀걸이를 걸 수 있는 홀(도 1의 ⓑ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마스크(10)는 전면에 마스크필터(300)를 삽입,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마스크(10) 전면은 한 방향으로만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성형(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의 전면은 사용자 안면의 좌우 방향(도 1의 ① 참조)에 대해서만 휘어진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사용자 안면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휘어지지 않은 형태(직선인)(도 1의 ② 참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10)의 코 부위(주면)에 고정되거나 접촉하는 상측과 턱 부위(주변)에 고정되거나 접촉하는 하측은 마스크필터(300)를 설치되는 전면과는 달리 상하 방향으로도 휘어진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구성)된다.
이에 따라, 마스크(10)는 상측과 하측에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마스크필터(300)가 설치되고 상측과 하측과 결합하고 코 하단이나 입을 수용하는 전면은 돌출된 만큼의 공간을 가질 수 있어 입이나 코를 위한 호흡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분해 구성을 나타내는 데, 도 2의 (a)는 마스크본체(100)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2의 (b)는 마스크커버(500)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2의 (c)는 마스크필터(3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a)에 따르면, 마스크본체(100)는 2개 이상의 귀걸이홀(110), 상측 마스크 프레임(120), 하측 마스크 프레임(130) 및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을 포함하고 마스크본체(100)는 착용 사용자의 안면의 코 하단과 입술 부위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도록 입체적으로 구성된다.
귀걸이홀(110)은 귀걸이용 스트랩을 끼우고 고정하기 위한 홀이다. 마스크본체(100)는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의 좌측 상하 단에 2개의 귀걸이홀(110)을 구비하고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의 우측 상하 단에 2개의 귀걸이홀(110)을 구비하여 좌측용 및 우측용 스트랩(귀걸이)을 삽입하고 마스크(10)를 귀에 걸수 있다.
상측 마스크 프레임(120)은 코 고정대(121)를 포함하여 착용하는 사용자 안면의 코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코 부위와 그 주변을 밀착하여 외부와 분리한다. 코 고정대(121)는 사용자 코에 걸칠 수 있도록 'V'자 형상을 가지고 'V'자 형상을 통해 사용자 코에 마스크(10)가 고정된다.
상측 마스크 프레임(120)은 사용자 안면의 외측(사용자가 바라보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측 마스크 프레임(120)은 상하 방향(도 1의 ② 참조)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상하 방향으로 휘어진 곡면)으로 안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얼굴의 좌우 형상을 반영하여 좌우 방향(도 1의 ① 참조)으로도 지정된 곡률의 곡면(좌우 방향으로 휘어진 곡면)을 가질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은 상측 마스크 프레임(120)에 결합하고 마스크커버(500) 및 마스크필터(3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은 적어도 마스크커버(500) 및 마스크필터(300)를 수용하는 영역이 한쪽 방향으로(만) 휘어진 곡면으로 구성된다. 즉,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은 좌우 방향으로만 설계에 따른 하나 이상의 곡률을 가지고 상향 방향으로는 직선에 대응하는 곡률(0의 곡률값)을 가질 수 있다. 좌우 방향에서의 좌우 위치별 곡률값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예를 들어, 곡면 영역의 중앙에서 가장 높은 곡률값을(가장 많이 휜) 가지고 중앙으로부터 떨어진 외곽의 위치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곡률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의 일부 영역)은 원기둥과 같이 수평 방향으로 휘어지고 수직 방향으로 직선인 곡면을 가진다.
하측 마스크 프레임(130)은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에 결합하고 사용자 안면의 턱 부위에 밀착하여 외부와 분리한다. 하측 마스크 프레임(130)은 사용자 안면의 외측(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하측 마스크 프레임(130)은 상하 방향(도 1의 ② 참조)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상하 방향으로 휘어진 곡면)으로 안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얼굴의 형상을 반영하여 좌우 방향(도 1의 ① 참조)으로도 지정된 곡률의 곡면(좌우 방향으로 휘어진 곡면)을 가질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도 2의 (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은 중앙 수직 리브(141), 하나 이상의 수평 리브(142), 하나 이상의 주변 수직 리브(143), 하나 이상의 커버고정 홈(145) 및 커버수용 외곽 프레임(146)을 포함한다.
커버수용 외곽 프레임(146)은 마스크커버(500) 및 마스크필터(300)를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에 안착시키고 내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커버수용 외곽 프레임(146)은 마스크커버(500) 및 마스크필터(30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외곽 라인을 가지고 내측으로 마스크커버(500) 및 마스크필터(300)의 두께만큼의 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수용 외곽 프레임(146)을 포함하는 영역이 적어도 마스크필터(300)와 마스크커버(500)와 접하는 곡면 영역을 구성하고 이 곡면 영역은 좌우 방향으로만 휘어지고 상하 방향으로는 직선인 곡면을 구성한다. 커버수용 외곽 프레임(146)의 바깥면과의 단차(턱에 의한 차이)로 인해 커버수용 외곽 프레임(146) 내에 마스크커버(500)와 마스크필터(3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중앙 수직 리브(141)는 곡면 영역의 좌우 방향의 중앙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구성)된다. 중앙 수직 리브(141)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수직 바(bar)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수평 리브(142)는 곡면 영역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형성(구성)된다.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은 2개 이상의 수평 리브(142)를 가질 수 있고 곡면 영역의 좌측 끝에서 우측 끝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는 수평 바 형태의 수평 리브(142)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주변 수직 리브(143)는 중앙 수직 리브(141) 좌우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구성)된다. 주변 수직 리브(143)는 곡면 영역의 상측 끝에서 하측 끝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형성되고 곡선 형태를 가지는 아치형 리브일 수 있다.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의 중앙 수직 리브(141), 수평 리브(142) 및 주변 수직 리브(143)는 커버수용 외곽 프레임(146)과 결합하고 내부에 수용되는 마스크필터(300)의 지지하고 사용자 안면과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이 다수의 중앙 수직 리브(141), 수평 리브(142) 및 주변 수직 리브(143)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호흡시(특히 흡입시) 마스크필터(300)와 입술이나 코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커버고정 홈(145)은 마스크커버(500)를 고정한다. 커버고정 홈(145)은 곡면 영역 외곽에 형성되고 예를 들어 곡면 영역(커버수용 외곽 프레임(146))의 좌측 끝 중앙, 우측 끝 중앙, 상측 끝 중앙, 하측 끝 중앙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커버고정 홈(145)은 마스크커버(500)의 돌기(510)를 수용할 수 있는 대응하는 크기의 홈을 가진다.
여기서, 상측 마스크 프레임(120), 하측 마스크 프레임(130) 및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은 일체로 성형되고 고무재질(예를 들어, TPE, NBR(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 등)로 구성될 수 있다. 상측 마스크 프레임(120), 하측 마스크 프레임(130) 및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은 바람직하게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상측 마스크 프레임(120), 하측 마스크 프레임(130) 및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은 투명하거나 색상(예를 들어, 흰색, 검은색 등)을 가질 수 있다. TPE 재질은 무해, 무독성 재질로서 세척, 소독 등을 통해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의 (b)에 따르면 마스크커버(500)는 마스크필터(300)를 마스크본체(100)에 고정하기 위한 커버로서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에 결합한다. 마스크커버(500)는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내에 마스크필터(3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스크커버(500)는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에 형성되는 곡면 영역 외곽에 접하는 커버 외곽 프레임(520), 커버 외곽 프레임(520)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커버 수직 리브(530) 및 커버 외곽 프레임(520)에서 외곽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커버고정 돌기(510)를 포함한다. 마스크커버(500)는 고무재질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TPE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커버 외곽 프레임(520)은 곡면 영역 외곽의 커버수용 외곽 프레임(146)에 접하도록 일정한 폭을 가지고 곡면 영역의 형태로 성형(구성)된다. 커버 수직 리브(530)는 커버 외곽 프레임(52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형성되고 곡선 형태를 가지는 아치형 리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커버 수직 리브(530)에 의해 내장된 마스크필터(300)가 외부로 돌출되거나 빠져 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고정 돌기(510)는 곡면 영역 외곽에 형성(구성)되고 예를 들어 곡면 영역(커버 외곽 프레임(520))의 좌측 끝 중앙, 우측 끝 중앙, 상측 끝 중앙, 하측 끝 중앙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커버고정 돌기(510)는 커버고정 홈(145)에 삽입될 수 있는 폭과 두께(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마스크커버(500)는 이 마스크커버(500)를 결합하는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과 동일한 좌우 방향의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향 방향으로는 직선에 대응하는 곡률을 바람직하게 가진다. 이에 따라, 마스크커버(500)는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에 밀착하여 내부에 마스크필터(300)를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커버(500)는 마스크본체(100)와 반드시 별도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동일한 형상의 마스크본체(100) 자체가 마스크커버(500)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의 (c)에 따르면 마스크필터(3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미세 입자를 필터링한다. 마스크필터(300)는 예를 들어 KF80, KF94 등의 표준화된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마스크 필터는 곡면 영역의 형상에 따라 재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마스크필터(300)는 입체적(3차원적)으로 구성되거나 제조될 필요가 없고 평면 형태로 마스크필터(300) 원단에서 곡면 영역의 형태에 따라 재단(절단)하여 구성하면 충분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르는 마스크(10)의 구성 요소를 결합하여 마스크(10)를 구성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는 데, 마스크본체(100)의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의 커버수용 외곽 프레임(146)에 마스크필터(300)를 위치시키고 커버고정 돌기(510)를 커버고정 홈(145)에 삽입하여 마스크커버(500)를 마스크필터(300) 위에 고정시킨다.
마스크필터(300)는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 및 마스크커버(500) 사이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호흡시에도 중앙 수직 리브(141), 수평 리브(142) 및 주변 수직 리브(143)에 의해 마스크필터(300)의 사용자 안면 접촉을 방지하고 커버 수직 리브(530)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거나 돌출 되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의 결합 형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따라 구성되는 마스크(10)는 마스크본체(100)의 외측면(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면과 반대되는 바깥쪽 면)에 마스크필터(300)와 마스크커버(500)가 결합하는 예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마스크(10)는 외측면에 커버수용 외곽 프레임(146), 커버고정 홈(145) 등이 형성되어 마스크필터(300)와 마스크커버(500)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마스크커버(500) 및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의 좌우 방향으로만 형성되는 곡면에 의해 마스크필터(300)는 입체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없고 입체적인 구성(예를 들어, 3차원 입체 형상)에 따른 마스크필터(300)의 변형 형상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필터(300)와 마스크커버(500)가 분리된 상태에서 마스크(10)를 조립하는 예를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마스크커버(500) 내에 마스크필터(300)가 미리 결합되거나 내장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과는 다른 형태의 마스크(10)의 구성과 그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미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마스크(10)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마스크(10)와 차이나는 내용을 위주로 하여 살펴보고 공통되는 내용은 도 1 내지 도3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4의 마스크(10)는 도 1 내지 도 3과는 달리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내측면에 마스크필터(300)와 마스크커버(500)가 결합하는 마스크(10)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은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는 내측면에 커버수용 외곽 프레임(146), 커버고정 홈(145)이 형성되어 마스크필터(300)와 마스크커버(5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크커버(500)의 커버 수직 리브(530)가 사용자의 호흡시(특히 흡입시) 마스크필터(300)와 입술이나 코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이 다수의 중앙 수직 리브(141), 수평 리브(142) 및 주변 수직 리브(143)가 내장된 마스크필터(300)의 외부 유출이나 빠져 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필터(300)와 마스크커버(500)가 분리된 상태에서 마스크(10)를 조립하는 예를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마스크커버(500) 내에 마스크필터(300)가 미리 결합되거나 내장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과는 또 다른 형태의 마스크(10)의 구성과 그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미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마스크(10)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마스크(10)와 차이나는 내용을 위주로 하여 살펴보고 공통되는 내용은 도 1 내지 도3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5의 마스크(10)는 도 1 내지 도 3과는 달리 커버고정 돌기(510) 및 커버고정 홈(145)을 통한 마스크커버(500)의 고정 대신에 마스크커버(500)를 위에서 아래로(상하 방향)의 삽입을 통해 마스크커버(500)를 고정할 수 있는 마스크(1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마스크본체(100)는 상측 마스크 프레임(120)과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곡면 영역과 곡률을 가지는 기다란 커버삽입 홈(150)을 포함하여 커버삽입 홈(150)에 마스크필터(300)가 결합된 마스크커버(500)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하여 마스크필터(300)를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 내부에 위치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커버삽입 홈(150)은 관통되어 마스크필터(300)를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마스크필터(300)와 마스크커버(500)는 미리 결합되고 예를 들어, 마스크커버(500)의 내부에 마스크필터(300)가 삽입되어 미리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따른 마스크(10)는, 마스크커버(500)가 커버고정 돌기(510)를 포함하지 않고 곡면 영역 외곽에 접하는 커버 외곽 프레임(520) 및 하나 이상의 커버 수직 리브(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스크커버(500)는 그 외 수평 방향의 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커버 수직 리브(530)와 나아가 수평 방향의 리브는 사용자의 호흡시(특히 흡입시) 마스크필터(300)와 입술이나 코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따른 마스크(10)는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의 내부에 커버고정 홈(145)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은 마스크커버(500)와 형성되는 공간에서의 마스크필터(300)와 접하는 곡면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앙 수직 리브(141)와 중앙 수직 리브(141) 좌우에 형성되는 복수의 주변 수직 리브(143)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리브(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외,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은 마스크필터(300)와 결합된 마스크커버(500)를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홈(147)(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은 곡면 영역의 좌측 끝 상하 방향으로 하나의 가이드 홈(147)과 곡면 영역의 좌측 끝 상하 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가이드 홈(147)을 구비하고 가이드 홈(147)을 통해 마스크커버(500)의 좌우 끝 측면이 상하 이동하고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와는 달리 마스크커버(500)가 마스크(10)에서 생략되고 마스크필터(300)가 마스크본체(100)에 직접 결합되는 마스크(10) 예의 구성과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미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마스크(10)의 주요한 구성 요소를 살펴보았으므로, 여기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마스크(10)와 차이나는 내용을 위주로 하여 살펴보고 공통되는 내용은 도 1 내지 도3의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6의 (a)는 마스크본체(100)에 마스크필터(300)가 직접 결합되어 구성되는 마스크 전체 외형을 나타내고 도 6의 (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6의 마스크(10)는 마스크커버(500)를 생략하고 마스크본체(100) 및 마스크필터(300)만으로 구성된다.
마스크(10)는 귀걸이홀(110) 및 코 고정대(121)를 가지고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은 중앙 수직 리브(141), 수평 리브(142), 주변 수직 리브(143), 필터고정 홈(145) 및 필터 외곽 프레임(146)을 포함한다.
마스크(10)는 복수의 필터고정 홈(145)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이 마스크필터(300)가 위치하고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에 의해 형성되는 곡면 영역의 좌측 및 우측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2 개의 필터고정 홈(145)을 가질 수 있다. 필터고정 홈(145)은 마스크필터(300)의 상하 폭(높이) 만큼(이상)의 관통되는 상하 길이를 가지고 필터고정 홈(145)에 마스크필터(300)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다.
좌측 필터고정 홈(145) 및 우측 필터고정 홈(145)에 마스크필터(300)의 좌측 및 우측 끝단이 삽입되고 사용자가 내측면(사용자의 안면측)에서 필터고정 홈(145)을 통해 돌출되는 마스크필터(300)의 양쪽 끝단을 곡면 영역 외측 양(좌측 및 우측 ) 방향으로 당겨 마스크필터(300)를 곡면 영역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필터 외곽 프레임(146)은 마스크필터(300)를 전면 마스크 프레임(140)에 안착시키고 내부(마스크(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필터 외곽 프레임(146)은 마스크필터(30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외곽 라인을 가지고 내측으로 마스크필터(300)의 두께만큼의 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터 외곽 프레임(146)을 포함하는 영역이 적어도 마스크필터(300)와 접하는 곡면 영역을 구성하고 이 곡면 영역은 좌우 방향으로만 휘어지고 상하 방향으로는 직선인 곡면을 구성한다. 필터 외곽 프레임(146)의 바깥면과의 단차(턱에 의한 차이)로 인해 필터 외곽 프레임(146) 내에 마스크필터(3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의 예와 같이, 마스크(10)는 마스크커버(500) 없이 마스크필터(300) 및 마스크본체(100)로 구성되어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재사용 가능하고 사용자 안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위생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마스크(10)는 마스크필터(300)가 설치되는 전면이 좌우 방향으로만 휘어져 있고 상하 방향으로는 휨이 없도록 구성되어 마스크필터(300)의 특별한 제작이나 구성없이 간단하게 피팅된 마스크필터(300)를 교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안면에 접촉하는 상측 및 하측 프레임(120, 130)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안면 내부에 호흡을 편하게 하기 위한 공간을 마스크(10)가 제공한다. 또한, 마스크커버(500) 없이도 마스크본체(100) 및 마스크필터(300)만으로 마스크(10)를 구성하여 이용 가능하다. 마스크필터(300)와 마스크본체(100)의 결합 구성은 살펴본 예 외에도 다양한 변형 예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 마스크
100 : 마스크본체
110 : 귀걸이홀
120 : 상측 마스크 프레임
121 : 코 고정대
130 : 하측 마스크 프레임
140 : 전면 마스크 프레임
141 : 중앙 수직 리브
142 : 수평 리브
143 : 주변 수직 리브
145 : 고정 홈
146 : 외곽 프레임
147 : 가이드 홈
150 : 커버삽입 홈
300 : 마스크필터
500 : 마스크커버
510 : 커버고정 돌기
520 : 커버 외곽 프레임
530 : 커버 수직 리브

Claims (3)

  1. 코 고정대를 포함하여 사용자 안면의 코에 고정되고 상하 방향의 곡률을 가지고 상기 안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측 마스크 프레임; 및
    상기 상측 마스크 프레임에 결합하고 좌우 방향으로만 곡률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는 직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전면 마스크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마스크 프레임은 마스크필터와 접하는 곡면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앙 수직 리브 및 상기 곡면 영역 외곽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 홈을 포함하는,
    필터교환용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마스크 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전면 마스크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상기 마스크필터를 수용하며 상기 전면 마스크 프레임과 동일한 좌우 방향의 곡률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는 직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마스크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마스크 프레임은 상기 중앙 수직 리브 좌우에 형성되는 주변 수직 리브 및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커버는 상기 곡면 영역 외곽에 접하는 커버 외곽 프레임,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커버 수직 리브 및 상기 커버 외곽 프레임 외곽에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 홈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커버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커버 및 상기 마스크필터는 상기 전면 마스크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하거나 외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상측 마스크 프레임, 상기 전면 마스크 프레임 및 상기 마스크커버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재질로 구성되는,
    필터교환용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마스크 프레임에 결합하고 상기 전면 마스크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에 마스크필터를 수용하며 상기 전면 마스크 프레임과 동일한 좌우 방향의 곡률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는 직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마스크커버; 및
    결합된 상기 마스크커버 및 상기 마스크필터를 삽입하여 상기 전면 마스크 프레임 내부에 위치시키는 커버삽입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마스크 프레임은 상기 중앙 수직 리브 좌우에 형성되는 주변 수직 리브 및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리브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커버는 상기 곡면 영역 외곽에 접하는 커버 외곽 프레임 및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커버 수직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수직 리브 및 상기 커버 수직 리브는 아치형 리브인,
    필터교환용 마스크.
KR1020200036177A 2020-03-25 2020-03-25 필터교환용 마스크 KR20210119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177A KR20210119712A (ko) 2020-03-25 2020-03-25 필터교환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177A KR20210119712A (ko) 2020-03-25 2020-03-25 필터교환용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712A true KR20210119712A (ko) 2021-10-06

Family

ID=7807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177A KR20210119712A (ko) 2020-03-25 2020-03-25 필터교환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97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488A (ko) * 2020-06-10 2021-12-17 김은주 세척사용이 가능한 비말차단마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751A (ko) 2018-04-30 2019-11-07 김용운 방진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751A (ko) 2018-04-30 2019-11-07 김용운 방진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488A (ko) * 2020-06-10 2021-12-17 김은주 세척사용이 가능한 비말차단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445B1 (ko) 위생 마스크
KR101821595B1 (ko) 공기 정화 기능을 구비하는 마스크
US7524054B2 (en) Eyewear having lens retaining member
KR20160062808A (ko) 휴대용 마스크
JP3226969U (ja) マスク支持具
KR20190025300A (ko) 필터 교체형 마스크
KR20200116334A (ko) 필터 교체형 방진 마스크
KR20210119712A (ko) 필터교환용 마스크
KR101797701B1 (ko) 마스크
KR20200138981A (ko) 필터 교체형 마스크
KR20160135568A (ko) 코마개 탈착형 마스크
KR102282711B1 (ko) 귀편한 착탈식 마스크
KR100928385B1 (ko) 비강 마스크
KR20220048600A (ko) 마스크 가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KR101527776B1 (ko) 한지사를 이용한 마스크
KR20210143516A (ko) 필터 교체형 보건 마스크
KR20090065620A (ko) 아이마스크
KR20200113604A (ko) 필터교체형 마스크
KR102461924B1 (ko) 안경을 위한 김서림 방지장치
CN216927279U (zh) 镜框透气结构及具有该结构的按摩眼镜
KR20210000125U (ko) 마스크
CN215136179U (zh) 一种生物病毒防护面罩和口罩
KR102368936B1 (ko) 마스크 착용시 안면부와의 공간확보를 위한 지지체.
TWI725887B (zh) 面罩結構
KR102440298B1 (ko) 턱받이 조절이 가능한 투명위생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