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121A - 수도관 등의 관체 접속용 소켓 - Google Patents

수도관 등의 관체 접속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121A
KR20210119121A KR1020200035594A KR20200035594A KR20210119121A KR 20210119121 A KR20210119121 A KR 20210119121A KR 1020200035594 A KR1020200035594 A KR 1020200035594A KR 20200035594 A KR20200035594 A KR 20200035594A KR 20210119121 A KR20210119121 A KR 20210119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fastening cap
push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은정
Original Assignee
임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은정 filed Critical 임은정
Priority to KR102020003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9121A/ko
Publication of KR2021011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16L37/091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retaining members associated with the pack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65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on the ma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관 등의 PV 관체를 삽입으로 결속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면서 관체의 불안전관 결합이나 보수를 위해 관체를 분리할 때 누름기능으로 끼워 결속 접속된 관체 만을 안전하게 접속용 소켓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관체의 교체 접속작업 및 보수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관 등의 관체 접속용 소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디(10), 오링(20), 워셔링(30) 및 그랩링(40), 체결캡(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관체 접속용 소켓로서,
상기 바디(10)의 내부 깊숙히 내입되어 걸려지도록 단턱부(71)를 내측단에 형성하고 후단의 둘레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관체(60)의 내경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서포트 슬리브(70)를 구비함과,
상기 체결캡(50)에 끼워지면서 그랩링(40)의 탄성물림편(41)을 밀어줄 수 있도록 구비하는 푸쉬언락(80)은 체결캡(50)의 내측단부에 단턱형상으로 형성한 작동홈(51)에 후단이 걸려지도록 형성한 걸림단턱(81)의 전방부가 그랩링(40)의 탄성물림편(41)을 밀어줄 수 있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조립된 체결캡(50)의 외측단에서 소정길이로 돌출되도록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도관 등의 관체 접속용 소켓{Socket for connecting pipes such as water pipes}
본 발명은 수도관 등의 관체 접속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수도관 등에 적용되는 PE 관체를 간단한 삽입으로 결속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접속된 관체의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관 등의 관체 접속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파이프 등의 합성수지관을 끼워 결속되도록 하는 합성수지관 접속용 소켓은,
외측에 체결부를 형성하고 내측에 다단턱을 갖는 삽입공을 형성된 바디와, 상기 삽입공에 내입되는 오링, 워셔링 및 그랩링과, 상기 바디의 삽입공 입구에 나사 체결되어 워셔링을 압지하도록 하는 캡으로 구성되어 캡을 통해 수합성수지관 등의 합성수지관을 끼우면 합성수지관의 입구 둘레부분이 압착되는 오링에 압입되어 밀폐기능을 갖도록 결합되면서 동시에 그랩링에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방사상으로 형성한 물림편에 물려지면서 끼워진 합성수지관은 빠지지 않고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합성수지관 접속용 소켓는 합성수지관을 한번 끼우면 그랩링에 의해 물려져 후방으로 빠지지 않게 되어 합성수지관의 끼움이 불안전하게 끼워지거나 끼워진 합성수지관이 불량이 있는 경우에는 끼워진 합성수지관을 교체하여야 하거나 보수를 하기 위하여 신 합성수지관으로 교환할 경우에는 일일히 조립된 부품의 조립 역순으로 분리하게 되면 합성수지관에 그랩링은 빠지지 않고 물린 상태로 분리가 됨에 따라 합성수지관에 물려진 그랩링이 위치하는 부분의 합성수지관 외측부분을 절단한 후 그랩링을 외측방향으로 강제로 당기어 분리하여야 하는 상당한 번거로움이 뒤따른다.
또한, 합성수지관에 물린 그랩링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그랩링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사례가 많아 새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합성수지관은 절단으로 인하여 길이가 작아져 새 합성수지관을 설치하여야 하고 이 합성수지관에 연결되는 경우 함께 교체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로 유지 보수비용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제10-1339840호 등록특허공보(공고일자;2013.12.1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도관 등의 PV 관체를 삽입으로 결속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면서 관체의 불안전관 결합이나 보수를 위해 관체를 분리할 때 누름기능으로 끼워 결속 접속된 관체 만을 안전하게 접속용 소켓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관체의 교체 접속작업 및 보수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관 등의 관체 접속용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해결수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측에 체결부를 형성하고 내측에 다단턱을 갖는 결합공을 형성된 바디와, 상기 결합공에 내입되는 오링, 워셔링 및 그랩링과, 상기 바디의 삽입공 입구에 나사 체결되어 워셔링을 압지하도록 하는 체결캡을 포함하는 관체 접속용 소켓로서,
상기 바디의 내부 깊숙히 내입되어 걸려지는 단턱부를 내측단에 형성하고 후단의 둘레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관체의 내경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서포트 슬리브를 구비함과,
상기 체결캡의 내측 내측부에 형성하는 작동홈에 걸려지도록 전방부에 형성하는 단턱부의 전방부가 그랩링의 탄성물림편을 밀어줄 수 있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조립된 상태에서 캡의 외측단보다 소정길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푸쉬언락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관체 접속용 소켓에 끼워지는 관체를 서포트하여 접속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푸시안락의 구비로 수도관 등의 관체을 부정확하게 끼우거나 유지보수를 위하여 관체를 접속용 소켓로부터 분리할 경우 접속용 소켓를 분리하지 않고 관체만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과 유지 보수가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구성을 보인 반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면서 도면은 기술적 구성의 일 적용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관체 접속용 소켓(S)은,
외측 둘레에 나사체결부(11)를 형성하고 내측에 다단형태로 단턱을 형성되어 삽입공(12)을 형성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삽입공(12)에 순차적으로 삽입시키는 오링(20), 워셔링(30) 및 그랩링(40)과, 상기 바디(10)의 삽입공(12) 입구에 나사 체결되어 압지하도록 하는 체결캡(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캡(50)을 조여 주면 그 전방에 위치하는 워셔링(30)이 오링(20)에 가압되어져 오링(20)에 끼워지는 관체(60) 둘레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그랩링(40)은 끼워는 관체(60)를 물어 주어 후방으로 빠지지 않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바디(10)의 내부 깊숙히 내입되어 걸려지도록 단턱부(71)를 내측단에 형성하고 후단의 둘레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관체(60)의 내경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서포트 슬리브(70)를 구비하여 PV관 등의 관체(60)를 서포트시키어 주어 결속성을 높여줄 수 있게 한다.
상기 체결캡(50)에 끼워지면서 그랩링(40)의 탄성물림편(41)을 밀어줄 수 있도록 하는 푸쉬언락(80)을 구비한다.
상기 푸쉬언락(80)은 체결캡(50)의 내측단부에 단턱형상으로 형성한 작동홈(51)에 후단이 걸려지도록 형성한 걸림단턱(81)의 전방부가 그랩링(40)의 탄성물림편(41)을 밀어줄 수 있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조립된 체결캡(50)의 외측단에서 소정길이로 돌출되도록 결합한 구성이다.
상기 푸쉬언락(70)은 끼워 결속된 관체(60) 결속으로 부터 해제하여 분리할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푸쉬언락(70)을 외측에서 강하게 밀어주면 이동하여 그 전방에 위치한 그랩링(40)의 탄성물림편(41)을 밀어주게 되어 끼워진 관체(60)로부터 물림이 해제됨에 따라 관체(60)를 외측으로 잡아당기어 주어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관체(60)를 분리할 때에는 푸쉬언락(70)을 눌러준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그랩링(40)의 탄성물림편(41)이 원상 복귀하지 않고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관체(60)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관체 소켓(S)에 삽입되는 것은 수도관용 PV관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유체를 공급 배출하는 합상수지관이나 금속관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푸시언락(70)의 구비로 관체(60)을 부정확하게 끼우거나 유지보수를 위하여 관체(60)를 분리할 경우 접속용 소켓(S)를 분리하지 않고 관체만 간편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고, 끼워진 관체(60)를 서포트시키어 결합성을 높여줄 수 있다.
10: 바디 20: 오링
30: 워셔링 40: 그랩링
50; 체결캡 70: 서포트 슬리브
80: 푸쉬언락

Claims (1)

  1. 외측 둘레에 나사체결부(11)를 형성하고 내측에 다단형태로 단턱을 형성되어 삽입공(12)을 형성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삽입공(12)에 순차적으로 삽입시키는 오링(20), 워셔링(30) 및 그랩링(40)과, 상기 바디(10)의 삽입공(12) 입구에 나사 체결되어 압지하도록 하는 체결캡(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관체 접속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내부 깊숙히 내입되어 걸려지도록 단턱부(71)를 내측단에 형성하고 후단의 둘레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관체(60)의 내경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서포트 슬리브(70)를 구비함과,
    상기 체결캡(50)에 끼워지면서 그랩링(40)의 탄성물림편(41)을 밀어줄 수 있도록 구비하는 푸쉬언락(80)은 체결캡(50)의 내측단부에 단턱형상으로 형성한 작동홈(51)에 후단이 걸려지도록 형성한 걸림단턱(81)의 전방부가 그랩링(40)의 탄성물림편(41)을 밀어줄 수 있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조립된 체결캡(50)의 외측단에서 소정길이로 돌출되도록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 등의 관체 접속용 소켓.
KR1020200035594A 2020-03-24 2020-03-24 수도관 등의 관체 접속용 소켓 KR20210119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94A KR20210119121A (ko) 2020-03-24 2020-03-24 수도관 등의 관체 접속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94A KR20210119121A (ko) 2020-03-24 2020-03-24 수도관 등의 관체 접속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121A true KR20210119121A (ko) 2021-10-05

Family

ID=78077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594A KR20210119121A (ko) 2020-03-24 2020-03-24 수도관 등의 관체 접속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912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840B1 (ko) 2012-07-17 2013-12-10 조산옥 관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840B1 (ko) 2012-07-17 2013-12-10 조산옥 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8605B2 (ja) 急速連結継手
US4632437A (en) Pipe coupling
AU743185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pipe socket, a tubular mounting part or a fitting to a pipe
JP2004526911A5 (ko)
US2547889A (en) Pipe connector
RU2003129897A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быстрого соединения
US20080100062A1 (en) Coupling Device
US5125694A (en) Quick-connect and disconnect pipe-joint fitting
JP5417589B2 (ja) 管継手
US3030129A (en) High pressure fitting for flexible conduits
KR20210119121A (ko) 수도관 등의 관체 접속용 소켓
PL375549A1 (en) Pipe coupling and method of connecting a pipe to its associated stub pipe thereby
EP0200339A2 (en) Pipe couplings
EP1432943B1 (en) Connections
NO328491B1 (no) Kobling
KR20040062712A (ko) 배관 연결구의 원터치식 배관 고정장치
KR101296670B1 (ko)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JP4045305B1 (ja) 管継手
US9216498B2 (en) Tube clamp detaching tool
JP7483870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CN114087445A (zh) 一种连接接头和取管装置
CN210716453U (zh) 一种软管的快接装置
AU2010100882A4 (en) A pipe coupling having a collet and seal ring where the seal ring is removably attached to the collet
CN216666836U (zh) 一种连接接头和取管装置
CN201521744U (zh) 一种内缩式快速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