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089A - 일체형 비강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일체형 비강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089A
KR20210119089A KR1020200035520A KR20200035520A KR20210119089A KR 20210119089 A KR20210119089 A KR 20210119089A KR 1020200035520 A KR1020200035520 A KR 1020200035520A KR 20200035520 A KR20200035520 A KR 20200035520A KR 20210119089 A KR20210119089 A KR 20210119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pace
inlet
tightening
na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순차
Original Assignee
배순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차 filed Critical 배순차
Priority to KR102020003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9089A/ko
Publication of KR20210119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절첩부 하부에 외경에 상부 또는 전면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 1 조임부;가 형성되며, 제 1 조임부 하부에 두개의 연장부가 형성되며, 연장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입구부에 거치할 수 있도록 제 2 조임부와 마감부가 구비되며, 상기 입구부 하부에는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며, 제 1 공간부 내경에는 타원형의 돌출부가 구비되며, 제 1 공간부 하부는 제 2 공간부가 구비되며, 제 2 공간부 외부에는 제 2 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입으로 호흡시에 다단으로 필터가 구비되어 있어 효과적으로 비말을 막을 수 가 있으며 별도로 비강 마스크를 구매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경제적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비강용 마스크.{integrated nose mask}
본 발명은 비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마스크에 비강에 삽입할 수 있는 비강용 마스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속에는 수많은 미세먼지 및 자동차 매연 등의 유해 가스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유해한 공기를입이나 코를 통해 들이마시고 있으며, 더욱이 산업의 발전으로 공해가 심화되고, 자연이 오염되면서 청정 지역이 점점 사라져 깨끗한 공기를 더 이상 호흡하기 어려운 실정에 이르고 있다.이와 같은 각종의 공해물질로 인해 신체가 질병에 쉽게 노출됨은 물론 정신적으로도 건강하지 못하다. 미세먼지는 직경이 약 10㎍ 내지 2.5㎍ 이하로 호흡기에 흡입될 때 걸러지지 않아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최근에 들어서 메리스 다음으로 코로나 19와 같이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이 유행하고 있는 실정으로 전세계적으로 마스크 부족 사태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로는 특허공개번호 10-2020-0028646 "비강 마스크"에서는 선단과 기단이 연통된 관의 형태를 갖고 착용자의 콧구멍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흐름을 삽입부의 선단에서 기단으로 흐르게 단속하는 밸브;삽입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필터; 및 상기 착용자의 콧구멍에 삽입된 한 쌍의 삽입부를 일체로 연결하며 착용자의 콧구멍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가스나 미세먼지가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입과 코를가릴 수 있는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게 되는데, 일상 생활을 하면서 마스크를 지속적으로 착용하고 다니는 것은 숨을 쉬는데 있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날숨 시의 공기압으로 인하여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다수개의 필터부로 형성된 마스크와 귀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마스크 결착부와 코에 밀착할 수 있도록 마스크 절첩부와 관통공이 형성된 일체형 비강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절첩부 하부에 외경에 상부 또는 전면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 1 조임부;가 형성되며, 제 1 조임부 하부에 두개의 연장부가 형성되며, 연장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입구부에 거치할 수 있도록 제 2 조임부와 마감부가 구비되며,
상기 입구부 하부에는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며, 제 1 공간부 내경에는 타원형의 돌출부가 구비되며, 제 1 공간부 하부는 제 2 공간부가 구비되며, 제 2 공간부 외부에는 제 2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비강에 거치할 수 있도록 입구부가 있으며, 입으로 호흡시에 다단으로 필터가 구비되어 있어 효과적으로 비말을 막을 수 가 있으며, 별도로 비강 마스크를 구매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경제적 효과가 있다. 또한, 호흡이 곤란 정도일 경우에는 제 1 조임부를 하부(마스크 방향)로 내려 호흡이 가능하고, 사람들이 밀집된 장소에 있을 경우 제 1 조임부를 상부(마스크 반대방향)로 올려 호흡함에 따라 본인이 선택적으로 호흡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도.
도 3은 도 2의 제 1 조임부를 마스크 전면(상부)로 당겼을때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상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다수개의 필터부로 형성된 마스크(100)와 귀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마스크 결착부(101)와 코에 밀착할 수 있도록 마스크 절첩부(102)와 관통공(103)이 형성된 일체형 비강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절첩부(102) 하부 외경에 상부 또는 전면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 1 조임부(10);가 형성되며, 제 1 조임부(10) 하부에 두개의 연장부 (11)(11')가 각각 형성되며, 연장부(11)(11')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입구부(21)에 거치할 수 있도록 제 2 조임부(12)와 마감부(13)가 구비되며,
상기 입구부(21) 하부에는 제 1 공간부(22);가 형성되며, 제 1 공간부(22) 내경에는 타원형의 돌출부(23)가 형성되며, 제 1 공간부(22) 하부는 제 2 공간부 (24)가 구비되며, 제 2 공간부(24) 외부에는 제 2 부재(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마스크와 비강용 필터를 일체형으로 제조한 것이다.
미세먼지용 제거용 마스크(KF94,KF80)의 종류 중 코에 밀착할 수 있도록 마스크 절첩부(102)가 형성된 마스크에 비강용 필터를 일체로 구비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마스크 절첩부(102) 하부에 제 1 부재 고정부 (10)를 거치할 수 있도록 관통공(10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03)이 구비되어 제 1 조임부(10)가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제 1 조임부(10)를 전방으로 당길경우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제 1 조임부 (10)와 연결된 연장부(11)(11')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입구부(21) 상부와 하부에 고정된 제 2 조임부(12)와 마감부(13)도 함께 이동되어 입구부(21) 하부에 구비된 제 2 부재(100)는 마스크(100) 배면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 입구부(21) 하부 내경에는 제 1 공간부(22)가 형성되며, 마스크 착용시 내쉼과 들쉼에 따라 제 1 공간부(22)가 좁아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타원형의 돌출부(23)가 형성되어 진다. 즉, 제 1 조임부(10)를 전방으로 당길 경우에도 입구부(21)의 돌출부(23)에 의하여 제 1 공간부(22)는 협소해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 2 부재(100)가 마스크(100) 배면에 밀착하기 때문에 이중 구조로 되어 있어 외부의 비말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호흡이 힘들 경우 제 1 조임부(10)를 마스크쪽으로 내려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 2 부재(100) 내경에는 제 2 공간부(24)가 구비된다. 즉, 입구부(21)의 제 1 공간부(22)와 제 2 부재(20)의 제 2 공간부(24)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마스크 표면의 필터로 1차 비말이 제거되고, 제 2 부재(20)로 2차 비말이 제거됨에 따라 효율적으로 비말로 인한 전염병을 벗어날 수 있으며 제 1 조임부(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원활하게 비강을 통하여 호흡이 가능하다록 한 것이다.
100 마스크. 101 마스크 결착부. 102 절첩부. 103 관통공.
10 제 1 조임부.
11, 11' 연장부.
20 제 2 부재.
21 입구부.
22 제 1 공간부.
23 돌출부.
24 제 2 공간부.

Claims (1)

  1. 다수개의 필터부로 형성된 마스크와 귀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마스크 결착부와 코에 밀착할 수 있도록 마스크 절첩부와 관통공이 형성된 일체형 비강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절첩부 하부에 외경에 상부 또는 전면으로 이동이 가능한 제 1 조임부;가 형성되며, 제 1 조임부 하부에 두개의 연장부가 형성되며, 연장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입구부에 거치할 수 있도록 제 2 조임부와 마감부가 구비되며,
    상기 입구부 하부에는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며, 제 1 공간부 내경에는 타원형의 돌출부가 구비되며, 제 1 공간부 하부는 제 2 공간부가 구비되며, 제 2 공간부 외부에는 제 2 부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비강 마스크.
KR1020200035520A 2020-03-24 2020-03-24 일체형 비강용 마스크. KR20210119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20A KR20210119089A (ko) 2020-03-24 2020-03-24 일체형 비강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520A KR20210119089A (ko) 2020-03-24 2020-03-24 일체형 비강용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089A true KR20210119089A (ko) 2021-10-05

Family

ID=7807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520A KR20210119089A (ko) 2020-03-24 2020-03-24 일체형 비강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90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3875B (zh) 呼吸器
RU2622824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вы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редства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органов дыхания
KR20200029979A (ko) 안면 마스크
KR200480161Y1 (ko) 복식호흡 구조를 갖는 패션형 마스크
KR102083314B1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102471392B1 (ko) 기능성 마스크
JP2006500142A (ja) 呼吸マスク
KR101951239B1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고글
KR20190097802A (ko) 마스크
CN105797289A (zh) 一种双向透气呼吸阀
KR101944969B1 (ko)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KR20210119089A (ko) 일체형 비강용 마스크.
KR102120473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KR20200028646A (ko) 비강 마스크
KR101461173B1 (ko) 코마스크와 필터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호흡기
US20210220679A1 (en) Filter-type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KR20190002556U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102526903B1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어셈블리
JP3124579U (ja) 鼻の部分のみをマスクしたことで、運動時の息苦しさやメガネの曇りを少なくし、スポーツに適したマスク
KR102365511B1 (ko) 코마스크
KR102185275B1 (ko) 마스크용 호흡기
KR102541741B1 (ko) 공기유동을 따른 편안한 호흡이 가능한 안면 마스크장치
KR102280232B1 (ko) 입과 코를 가리는 위생 마스크
KR200497810Y1 (ko) 비강 호흡 유도형 마스크
KR102349712B1 (ko) 통기성이 향상된 안면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