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8728A - 척추간 인공인대 및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 - Google Patents

척추간 인공인대 및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8728A
KR20210118728A KR1020200188748A KR20200188748A KR20210118728A KR 20210118728 A KR20210118728 A KR 20210118728A KR 1020200188748 A KR1020200188748 A KR 1020200188748A KR 20200188748 A KR20200188748 A KR 20200188748A KR 20210118728 A KR20210118728 A KR 20210118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present
ligament
band portion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206B1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이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호 filed Critical 이상호
Priority to KR1020200188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206B1/ko
Publication of KR20210118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42Flexible wires, band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61F2002/0847Mode of fixation of anchor to tendon or ligament
    • A61F2002/0852Fixation of a loop or U-turn, e.g. eyelets, anchor having multiple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63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elastic means or damping means, different from springs, e.g. including an elastomeric core or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6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spr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간 인공인대에 관한 것으로, 종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극돌기 둘레를 휘감아 O-링형상으로 권취되는 결속 스트랩과; 상하로 인접한 극돌기 사이에서 O-링형상으로 권취된 결속 스트랩 둘레를 횡방향으로 휘감아 O-링형상으로 권취되는 극간 스트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극돌기 둘레에 전술된 척추간 인공인대를 위한 재건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척추간 인공인대 및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 {Intervertebral prosthetic ligament and method for reconstructing ligament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척추간 인공인대에 관한 것으로, 특별하기로 환자의 척추골에 분열을 조장하지 않고 인접해 있는 극돌기를 스트랩으로 휘감아 묶어 인대 기능을 재건(再建)할 수 있는 인공인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척추간 인공인대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등쪽으로 위치된 다수의 극돌기(3;spinous process)와, 극돌기의 전방측에 위치된 추체(7;vertebral body), 및 극돌기와 추체 사이에 추간공을 따라 상하로 길게 뻗어 있는 척추 신경(1)을 포함한다. 각각의 극돌기 사이에는 극간인대(6;interspionous ligment)와 황색인대(5;ligmentum flavum)가 위치되는 한편 극돌기(3)에서 인체의 등쪽을 향하여 극상인대(4)와 피부(2)가 존재한다.
이러한 척추는 노화 또는 사고 등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퇴행성 변화를 야기하는데, 극돌기 간의 간격이 가까워지거나 황색인대가 탄력을 잃고 두꺼워져 극돌기 및/또는 황색인대가 척추 신경 또는 척추 신경과 연결되는 신경 돌기를 압박하여 심한 통증을 느끼게 하는 척추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과 같은 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이러한 척추 협착증은 인접한 극돌기 사이에 임플란트(implant), 삽입체(insert)라 명명되는 구조 형상물을 삽입하여 척추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술로 치료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임플란트는 면접해 있는 극돌기와 유합(fusion)되지 못해 극돌기와는 따로 움직이면서 극돌기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종종 극돌기 사이에서 이탈되기도 한다. 또한 환자의 체형에 따라 극돌기의 형상과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임플란트가 2개의 극돌기 사이에서 견고하게 위치고정되도록 시술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이러한 대안으로, 특헌문헌 1에서는 가요성 인대를 제안하고 있다. 가요성 인대는 특허문헌 1의 도 9에 도시되었듯이 2개의 극돌기 사이를 8자 모양으로 매듭을 묶다보니 시술후 척추의 굴신에 따라 2개의 극돌기 사이에서 겉돌게 되면서 극돌기의 표면에 손상을 유발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특허문헌 1 또한 도 8에 도시되었듯이 2개의 극돌기 사이에 블록을 추가로 삽입배치하고 있으며 극돌기와 블록을 가요성 인대로 묶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앞서 기술된 임플란트 혹은 삽입체를 2개의 극돌기 사이에 삽입배치해야 하는 종래기술과 매우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밖에는 없다.
미국 등록특허 제US 5,609,634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환자의 척추골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극돌기 둘레에서 스트랩들을 상호 직교되게 각각 휘감아서 극돌기 둘레를 확실하게 결박할 수 있는 척추간 인공인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다수의 극돌기 둘레에 전술된 척추간 인공인대를 치환하여 인대 기능을 재건할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인공인대는 종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극돌기 둘레를 휘감아 O-링형상으로 권취되는 결속 스트랩과; 상하로 인접한 극돌기 사이에서 O-링형상으로 권취된 결속 스트랩 둘레를 횡방향으로 휘감아 O-링형상으로 권취되는 극간 스트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속 스트랩은 소정의 길이로 길이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밴드부와, 밴드부의 양 단부에 배치된 호형상의 후크부, 및 밴드부의 양 단부와 후크부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극간 스트랩은 소정의 길이로 길이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밴드부와, 밴드부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호형상의 후크부, 및 밴드부의 일측 단부와 후크부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은 결속 스트랩의 후크부 자유단을 돔형 혹은 구형상의 팁으로 라운딩(rounding)되게 형성하는 한편 극간 스트랩의 후크부 자유단을 돔형 혹은 구형상의 팁으로 라운딩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극간 스트랩에서 밴드부의 타측 단부에 마감부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으며, 마감부는 내부영역에 아일릿을 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속 스트랩의 연결부를 밴드부의 양 단부에 고정되는 첨두와, 후크부의 고정단에 고정되는 체결편, 및 첨두와 체결편 사이에 개재된 루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극간 스트랩의 연결부를 밴드부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첨두와, 후크부의 고정단에 고정되는 체결편, 및 첨두와 체결편 사이에 개재된 루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척추간 인공인대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을 포함하는데, 결속 스트랩의 일 단부를 극돌기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관통시키는 단계(S100)와; 결속 스트랩의 타 단부를 다른 극돌기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관통시키는 단계(S200); 종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극돌기 둘레를 휘감아 결박할 수 있도록 결속 스트랩을 권취하고 O-링형상으로 결속시키는 단계(S300); O-링형상으로 권취된 결속 스트랩과 상호 직교하면서 중첩되게 극간 스트랩의 일 단부를 극돌기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관통시키는 단계(S400); O-링형상으로 권취된 결속 스트랩 둘레를 횡방향으로 휘감아 권취하는 단계(S500); 및 극간 스트랩을 죄어 O-링형상으로 결속시키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속 스트랩은 소정의 길이로 길이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밴드부와; 밴드부의 양 단부에 배치된 호형상의 후크부; 및 밴드부의 양 단부와 후크부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극간 스트랩은 소정의 길이로 길이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밴드부와; 밴드부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호형상의 후크부; 및 밴드부의 일측 단부와 후크부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극간 스트랩에서 밴드부의 타측 단부에 마감부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으며, 마감부는 내부영역에 아일릿을 천공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은 단계(S500) 이후에 극간 스트랩의 일 단부를 마감부의 아일릿을 관통시켜 권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극돌기 둘레를 종방향으로 휘감는 결속 스트랩과, 극돌기 사이를 가로질러 결속 스트랩와 상호 직교하면서 중첩되게 결속 스트랩 둘레를 횡방향으로 휘감는 극간 스트랩으로 극돌기를 확실하게 결박시킬 수 있는 척추간 인공인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갖는 결속 스트랩과 극간 스트랩을 수단으로 하여 극돌기와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극돌기와 극돌기 사이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고 결손된 인대를 척추간 인공인대로 치환하여 인대 재건을 통한 신뢰할 수 있는 척추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결속 스트랩과 극간 스트랩의 신축성에 위해 척추의 굴신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컨대 척추관 협착증이 있는 1단계(Grade 1) 척추전방전위증 환자에게 경질 재질의 임플란트/삽입체를 삽입하거나 나사 체결을 통한 척추골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전술된 시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인체 척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인공인대를 구성하는 결속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인공인대를 구성하는 극간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극돌기 둘레에 각각의 스트랩을 결속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극간 스트랩의 다른 결속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인공인대는 연속배열된 다수의 극돌기를 확실하게 결속(結束)하는 한편 인접배치된 극돌기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손된 인대 기능을 복원시켜 척추의 안정화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인공인대는 하나의 결속 스트랩(10)과 하나 이상의 극간 스트랩(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인공인대를 구성하는 결속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 스트랩(1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밴드부(11)와, 밴드부(11)의 양 단부에 배치되고 호(arc)형상으로 만곡된 한쌍의 후크부(12), 및 밴드부(11)와 후크부(12) 사이에 배치된 연결부(13)로 이루어진다.
밴드부(11)는 연속배열된 다수의 극돌기 둘레를 휘감아 각 극돌기의 운동을 제한하는 구성부재이며, 도시되었듯이 상대적으로 큰 폭과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극돌기의 외주면과의 접촉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참고로, 밴드부(11)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등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고 거부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며 일정 수준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의료용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밴드부(11)는 앞서 기술된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합하여 가늘고 긴 실을 직조(織造)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전술되었듯이, 직조된 밴드부(11)는 신축성을 갖춰, 극돌기의 외부면 형상에 대응되게 밀착될 수 있어 더욱 견고하게 극돌기 둘레에 고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쌍의 후크부(12)는 극돌기의 외주면을 따라 결속 스트랩(10)을 측방향(횡방향)으로 관통시키는 구성부재로, 니들 홀더(needle holder; 미도시)로 파지된 상태로 인접한 극돌기들 사이에서 측방향 관통될 때 후크부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의료용 강질 재질, 예컨대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후크부(12)는 척추 상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극돌기 중 시술 부위에 놓여진 최상단 극돌기 위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결속 스트랩의 일 단부를 극돌기 사이로 관통하여 인출시킬 수 있는 한편, 타 후크부(12)는 척추 상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극돌기 중 시슬 부위에 놓여진 최하단 극돌기 아래를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결속 스트랩의 타 단부를 극돌기 사이로 관통하여 인출시킬 수 있다(도 4b에 도시됨). 이를 위해서, 밴드부(11)는 최상단에 배치될 극돌기와 최하단에 배치될 극돌기를 충분히 휘감을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야 한다.
또한, 후크부(12)는 이의 자유단을 구성하는 팁(121;tip)을 돔형 혹은 구형상으로 둥글게 형성하여 밴드부(11)로 감싸는 최상단 및/또는 최하단의 극돌기를 측방향으로 관통할 때에 극돌기 양측으로 지나가는 기립근 등과 같은 신체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밴드부(11)와 후크부(12) 사이에 연결부(13)를 수단으로 하여 상호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3)는 연결부의 내측단에 배치되어 밴드부(11)의 양 단부에 고정되는 첨두(131)와, 연결부의 외측단에 배치되어 후크부(12)의 고정단에 고정되는 체결편(132), 및 첨두(131)와 체결편(132)에 개재된 루프(133;loop)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첨두(131)는 광폭의 밴드부(11)에서 바깥방향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연결부(13)와 밴드부(11) 간에 폭 크기의 단차를 제거하여 시술시 극돌기 사이로 밴드부의 용이한 삽입을 허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연결부(13)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간 지점에 루프(133)를 형성할 수 있다. 만약 극돌기 주변의 형상 또는 후크부의 파손 등의 이유로 인해 결속 스트랩(10)만으로 극돌기 사이를 관통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시술자는 훅 도구(미도시)를 인접한 극돌기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삽입관통한 다음에 루프(133)의 고리에 걸어 결속 스트랩을 반대편으로 강제로 인출시켜 결속 스트랩의 밴드부(11)를 극돌기의 측방향으로 관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술 방법으로 밴드부를 관통시키기 위해서는 체결편(132)을 절단하여 결속 스트랩(10)에서 후크부(12)를 먼저 제거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간 인공인대를 구성하는 극간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극간 스트랩(2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밴드부(21)와, 밴드부(21)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고 호형상으로 만곡된 후크부(22), 및 밴드부(21)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 마감부(24)로 이루어진다. 덧붙여서, 극간 스트랩(20)은 연결부(23)를 수단으로 하여 밴드부(21)의 일측 단부와 후크부(2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밴드부(21)는 상하로 인접한 극돌기의 양 측면 상에 밀착된 결속 스트랩(10)의 밴드부(11;도 2 참조) 둘레를 죄여 각 극돌기의 운동과 결속 스트랩의 불필요한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부재이며, 도시되었듯이 상대적으로 큰 폭과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극돌기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극돌기 간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밴드부(21)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등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고 거부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며 일정 수준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의료용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밴드부(21)는 앞서 기술된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합하여 가늘고 긴 실을 직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전술되었듯이, 직조된 밴드부(21)는 신축성을 갖춰, O-링형상으로 귄취된 결속 스트랩(10)의 여러 위치에서 탄성적인 장력을 가할 수 있어 상호 격자로 묶여질 결속 스트랩(10)과 극간 스트랩(20)의 풀림 및 이탈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하나의 후크부(22)는 인접해 있는 극돌기 사이로 극간 스트랩(20)을 측방향(혹은 횡방향)으로 관통시키는 구성부재로, 니들 홀더(미도시)로 파지된 상태로 인접한 극돌기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관통될 때 후크부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있는 의료용 강질 재질, 예컨대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후크부(22)는 이의 자유단을 구성하는 팁(221)을 돔형 혹은 구형상으로 둥글게 형성하여 극돌기 사이를 관통할 때에 극돌기 양측으로 지나가는 기립근 등과 같은 신체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밴드부(21)의 일측 단부와 후크부(22) 사이에 연결부(23)를 수단으로 하여 상호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23)는 연결부의 내측단에 배치되어 밴드부(21)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첨두(231)와, 연결부의 외측단에 배치되어 후크부(22)의 고정단에 고정되는 체결편(232), 및 첨두(231)와 체결편(232)에 개재된 루프(233)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첨두(231)는 광폭의 밴드부(21)에서 바깥방향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연결부(23)와 밴드부(21) 간에 폭 크기의 단차를 제거하여 시술시 극돌기 사이로 밴드부의 용이한 삽입을 허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연결부(23)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간 지점에 루프(233)를 형성할 수 있다. 만약 극돌기 주변의 형상 또는 후크부의 파손 등의 이유로 인해 극간 스트랩(20)만으로 극돌기 사이를 관통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시술자는 훅 도구(미도시)를 인접한 극돌기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삽입관통한 다음에 루프(233)의 고리에 걸어 극간 스트랩을 반대편으로 강제로 인출시켜 극간 스트랩의 밴드부(21)를 극돌기의 측방향으로 관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술 방법으로 밴드부를 관통시키기 위해서는 체결편(232)을 절단하여 극간 스트랩(20)에서 후크부(22)를 먼저 제거해야 한다.
또한, 극간 스트랩(20)은 밴드부(210의 타측 단부에 마감부(24)로 마감처리할 수 있다. 마감부(24)는 이의 내부영역에 후크부(22)를 따라 밴드부(21)의 관통을 허용하는 아일릿(241;eyelet)을 천공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극돌기 둘레에 2종류의 스트랩(10,20)을 결속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결속 스트랩(10)의 일 후크부(12)를 극돌기 위에서 관통시킨다(단계 S100). 일 후크부(12)는 척추 상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극돌기 중 시술 부위에 놓여진 최상단 극돌기(3;3a) 위에서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밴드부(11)의 일측을 극돌기의 외주면과 대면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결속 스트랩을 관통배치하기에 앞서서, 시술자는 시술 부위에 위치한 황색인대와 극간인대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대응되게, 본 발명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 스트랩(10)의 타 후크부(12)를 극돌기 아래에서 관통시킨다(단계 S200). 타 후크부(12)는 척추 상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극돌기 중 시술 부위에 놓여진 최하단 극돌기(3;3b) 아래에서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밴드부(11)의 타측을 극돌기의 외주면과 대면하도록 배치한다. 바람직하기로, 한쌍의 후크부(12)는 척추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동일 측면 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 본 발명은 한쌍의 후크부(22)와 한쌍의 연결부(23)를 잘라내고 밴드부(11)의 양 단부를 엇갈리게 하여 잡아당겨 다수의 극돌기 둘레를 휘감은 상태에서 양 가닥의 밴드부를 상호 매듭짓는데, 전반적으로 최상단 극돌기와 최하단 극돌기 둘레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도록 휘감아 다수의 극돌기 배열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결속 스트랩(10)을 O-링(O-ring)형상으로 권취하여 결속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도 4c 참조). 물론, 밴드부(11)의 양 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매듭으로 묶어 마감처리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봉합사로 꿰매 재봉을 통해 마감처리할 수도 있다. 이때, O-링형상의 결속 스트랩(10), 구체적으로 O-링형상으로 권취된 밴드부(11)는 최상단 극돌기(3a)와 최하단 극돌기(3b)에 견고하게 밀착고정되는 동시에 종방향으로 연속배열된 다수의 극돌기(3;3a,3c,3b)의 양 측면에 근접배치될 수 있다.
단계(S300)를 통해 O-링형상으로 권취된 밴드부(11)는 황색인대를 대신하여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극돌기의 운동을 제한하여 근육과 신경막의 유착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과 달리 척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배열된 다수의 극돌기(3;3a,3b,3c) 둘레를 결속 스트랩(10)의 밴드부를 수단으로 하여 종방향으로 확실하게 결박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하로 인접배치된 2개의 극돌기에 결속 스트랩을 결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속배열된 3개 이상의 극돌기 둘레를 하나의 결속 스트랩으로 한번에 결박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결속 스트랩(10)의 결박 과정이 완료되면, 시술자는 도 4d에 도시되었듯이 상하로 인접배치된 극돌기(3a와 3c 및/또는 3b와 3c) 사이를 따라 극간 스트랩(20)의 일 후크부(22)를 삽입관통한다(S400). 이때, 극간 스트랩(20)의 일 단부는 O-링형상으로 권취된 결속 스트랩의 밴드부(11) 아래에 위치되어 길게 뻗는다.
단계(S500)는 극간 스트랩(20)의 일 후크부(22)를 결속 스트랩(10)의 권취된밴드부(11) 둘레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자면, 시술자는 연속배열된 다수의 극돌기 둘레를 따라 O-링형상으로 결박한 밴드부(11) 둘레를 횡방향으로 여러 번에 걸쳐 다수회 휘감아 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계(S500)를 통해 극돌기 사이에 이격 간격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O-링형상으로 권취된 극간 스트랩(20)의 후크부(22)와 연결부(23)를 잘라내고 밴드부의 양측 단부를 잡아당겨 결속 스트랩의 밴드부(11) 둘레에 권취된 극간 스트랩(20)을 죄이고서 재봉을 통해 마감처리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밴드부의 양 단부를 상호 매듭으로 묶어 극간 스트랩을 결속 스트랩 상에 확실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이로써, O-링형상으로 권취된 밴드부(21)는 극간인대를 대신하여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극돌기 사이에 공간 유지를 제공하여 상호 간에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극간 스트탭(20)의 밴드부(21)를 통해 종방향으로 권선된 결속 스트랩의 밴드부(11)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상하로 인접한 극돌기 사이에서 임플란트 또는 삽입체를 대신하여 O-링형상의 극간 스트랩(20)으로 O-링형상의 결속 스트랩(10) 둘레를 권취하여 극돌기 사이에 간격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질의 임플란트 또는 삽입체에서 오는 거부감을 배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갖는 결속 스트랩(10)의 밴드부(11)와 극간 스트랩(20)의 밴드부(21)로 극돌기 둘레를 감싸고 있어 척추의 굴신에 연동되어 휨을 위한 어느 정도의 자유도를 허용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상하로 배열된 극돌기 사이를 종방향으로 권취한 결속 스트랩의 밴드부(11)와, O-링형상의 밴드부(11)와 이에 직교되게 횡방향으로 권취한 극간 스트랩의 밴드부(21)를 통해 허리 굴곡시 과도한 움직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척추의 안정화 및 결손된 인대를 재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앞서 충분히 기술된 바와 같이 각 극돌기의 둘레면을 결속 스트랩과 극간 스트랩으로 둘러싸고 있어 극돌기와 극돌기 사이를 확실하게 지지하여 이들 사이에서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한다.
도 5는 마감부를 이용한 극간 스트랩(20)의 다른 결속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해하는 것으로, 단계(S400) 이후에 극간 스트랩(20)의 일 후크부(22)를 O-링형상으로 권취된 결속 스트랩(10)의 밴드부(11) 위로 넘겨 마감부(24)의 아일릿(241)을 가로질러 관통시킨다(도 5(a) 참조). 극간 스트랩(20)은 이의 일 단부가 타 단부에 배치된 마감부를 관통하여 O-링형상의 결속 스트랩(10)의 중간 위치 둘레를 횡방향으로 완전히 둘러쌀 수 있게 고리를 형성하게 된다.
그런 다음에, 본 발명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O-링형상으로 권취된 극간 스트랩(20)에서 후크부(22)와 연결부(23)를 잘라내고 밴드부(21)의 일측 단부를 잡아당겨 극간 스트랩(20)을 죄이고서 아일릿(241)을 관통한 밴드부의 일측 단부를 밴드부의 일부와 결합한다. 물론, 밴드부의 일측 단부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매듭 및/또는 재봉을 통해 마감처리될 수 있다.
극간 스트랩(20)은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결속 스트랩의 밴드부(11) 둘레를 1회 권취하여 결속시킬 수 있으며, 도 4e 내지 도 4f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결속 스트랩의 밴드부 둘레를 다수회에 권취하여 결속시킬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척추간 인공인대와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결속 스트랩,
11 ----- 밴드부,
12 ----- 후크부,
13 ----- 연결부,
20 ----- 극간 스트랩,
21 ----- 밴드부,
22 ----- 후크부,
23 ----- 연결부,
24 ----- 마감부.

Claims (2)

  1. 종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극돌기(3;3a,3c,3b) 둘레를 휘감아 O-링형상으로 권취되는 결속 스트랩(10)과;
    상하로 인접한 극돌기 사이에서 O-링형상으로 권취된 상기 결속 스트랩(10) 둘레를 횡방향으로 휘감아 O-링형상으로 권취되는 극간 스트랩(2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결속 스트랩(10)은 소정의 길이로 길이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밴드부(11)와, 상기 밴드부(11)의 양 단부에 배치된 호형상의 후크부(12), 및 상기 밴드부(11)의 양 단부와 상기 후크부(12)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13)를 구비하고,
    상기 극간 스트랩(20)은 소정의 길이로 길이연장되고 직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밴드부(21)와, 상기 밴드부(21)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호형상의 후크부(22), 및 상기 밴드부(21)의 일측 단부와 상기 후크부(22)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23)를 구비하는, 척추간 인공인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12)의 자유단은 돔형상의 팁(121)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22)의 자유단은 돔형상의 팁(221)으로 형성되는, 척추간 인공인대.
KR1020200188748A 2020-03-23 2020-12-31 척추간 인공인대 및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 KR102517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748A KR102517206B1 (ko) 2020-03-23 2020-12-31 척추간 인공인대 및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815A KR102234843B1 (ko) 2020-03-23 2020-03-23 척추간 인공인대 및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
KR1020200188748A KR102517206B1 (ko) 2020-03-23 2020-12-31 척추간 인공인대 및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815A Division KR102234843B1 (ko) 2020-03-23 2020-03-23 척추간 인공인대 및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728A true KR20210118728A (ko) 2021-10-01
KR102517206B1 KR102517206B1 (ko) 2023-03-31

Family

ID=752380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815A KR102234843B1 (ko) 2020-03-23 2020-03-23 척추간 인공인대 및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
KR1020200188748A KR102517206B1 (ko) 2020-03-23 2020-12-31 척추간 인공인대 및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815A KR102234843B1 (ko) 2020-03-23 2020-03-23 척추간 인공인대 및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348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634A (en) 1992-07-07 1997-03-11 Voydeville; Gilles Intervertebral prosthesis making possible rotatory stabilization and flexion/extension stabilization
KR20090076473A (ko) * 2008-01-09 2009-07-13 이상호 인공인대
US20190357947A1 (en) * 2006-10-19 2019-11-28 Empirical Spin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laterally stabilized constraint of spinous process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573B1 (ko) * 2004-05-17 2007-03-30 (주)우리들척추건강 척추간 삽입체
KR101013094B1 (ko) * 2008-11-07 2011-02-14 신재혁 극돌기간 지지체 및 그 고정방법
KR101622289B1 (ko) * 2014-09-12 2016-05-18 (주)강앤박메디컬 척추 극돌기 고정용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634A (en) 1992-07-07 1997-03-11 Voydeville; Gilles Intervertebral prosthesis making possible rotatory stabilization and flexion/extension stabilization
US20190357947A1 (en) * 2006-10-19 2019-11-28 Empirical Spin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laterally stabilized constraint of spinous processes
KR20090076473A (ko) * 2008-01-09 2009-07-13 이상호 인공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206B1 (ko) 2023-03-31
KR102234843B1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7105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pinal deformity
US10582953B2 (en) Spinal fixation construct and methods of use
US830877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king a band
US83375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a spinal segment
US8715297B1 (en) Flat suture banding system and methods
US20080262619A1 (en) Interspinous process cushioned spacer
US20130325065A1 (en) Spinous process cerclage for bone graft containment
EP2465457B1 (en) Device for securing a ligature to an osseous structure
US200700732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lexible correction of bony motion segment
US20110313435A1 (en) Suture buckle with selective friction
CA2142836A1 (en) Surgical implants, etc.
EP1322241A1 (en) Cable-anchor system for spinal fixation
CA2465982A1 (en) Devices and methods to correct spinal deformities
US94334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ing fissures in the annulus fibrosus
KR20210118728A (ko) 척추간 인공인대 및 이를 이용한 인대 재건방법
KR100620115B1 (ko) 척추간 삽입체
KR100620114B1 (ko) 척추간 삽입체
EP3162304A1 (en) Implant devices with a pre-set pulley system
US20230210514A1 (en) Fixation device, implant and implant assembly for use in tissue repair
CN115349937A (zh) 一种可在体内破拆取出的新型椎弓根螺钉
EP2572662A1 (en) Stabilization device for vertebrae
KR20070069018A (ko) 척추간 삽입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