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503A -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503A
KR20210117503A KR1020200033784A KR20200033784A KR20210117503A KR 20210117503 A KR20210117503 A KR 20210117503A KR 1020200033784 A KR1020200033784 A KR 1020200033784A KR 20200033784 A KR20200033784 A KR 20200033784A KR 20210117503 A KR20210117503 A KR 20210117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exposure chamber
diffusion
experimental animal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4140B1 (ko
Inventor
전기수
이재성
김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탈스
Priority to KR1020200033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14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46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manure-loaders, manure-ramps or manure-elevators associated with in-house remov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4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induced by stimuli or drugs
    • A61B5/1105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induced by stimuli or drugs of laboratory animals, e.g.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전신 노출 챔버 장치와 달리 대형 설비 구조 및 복잡한 구조가 아니라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형성되어 소규모 실험실 등에서도 전신 노출 흡입 독성 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홀더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노출 챔버의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노출 챔버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더욱 다양한 방식의 흡입 독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테스트 물질 입자 노출 과정 중에 실험 동물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한 흡입 독성 평가에 대해 정확도 및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MOUSE HOLDER FOR WHOLE BODY EXPOSURE}
본 발명은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전신 노출 챔버 장치와 달리 대형 설비 구조 및 복잡한 구조가 아니라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형성되어 소규모 실험실 등에서도 전신 노출 흡입 독성 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홀더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노출 챔버의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노출 챔버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더욱 다양한 방식의 흡입 독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며, 테스트 물질 입자 노출 과정 중에 실험 동물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한 흡입 독성 평가에 대해 정확도 및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세기가 마이크로로 대별되는 시대였다면 21세기는 나노 시대라 할 수 있는데, 나노기술은 그 응용분야에 따라 나노소재와 나노소자, 그리고 환경 및 생명공학 기반기술 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나노기술은 원자나 분자단위의 극미세 물질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성질과 기능을 갖는 물질이나 장치를 만드는 것으로, 이는 오늘날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 IT) 및 기타 생명공학기술(biotechnology : BT)을 실현시키기 위한 하나의 최첨단 기술로 추앙받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나노기술은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새로운 기술혁명이라 인식될 정도로 많은 이로움과 유익함을 제공하는 것이기는 하나, 그 반면에 잠재적 위험성을 지니고 있는 것 또한 주지의 사실인 바, 이러한 잠재적 위험성은 바로 나노기술의 특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작은 입자일수록 비표면적비는 넓어지고, 이와 같이 비표면적비가 넓어진 작은 입자는 생체조직과 반응시 독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그 일 예로서 이산화티타늄, 탄소분말, 디젤입자 등과 같은 몇 가지 나노입자는 크기가 줄어들수록 염증을 유발하는 등 독성이 강해진다는 것이 그동안의 학문적 실험을 통해 이미 밝혀진 사실이다. 또한, 초미세 나노입자는 기도나 점막에 걸러지지 않고 폐포 깊숙이 박히거나 뇌로 이동할 수도 있고, 더욱이 최근 여러 연구에 의하면 나노입자가 체내에 축적될 경우 질병이나 중추신경 장애를 일으킨다는 이론들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나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나노 기술에 대한 안정성 평가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나노 입자가 인체에 흡입 축적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독성에 대해 평가하는 나노 입자 흡입 독성 평가 시험이 다양한 실험 동물들을 상대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나노 입자 흡입 독성 평가 시험을 통해 얻어진 인체 유해성 자료들은 나노 섬유, 화장품, 반도체, 약물 전달체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나노 입자에 대한 다양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나노 입자에 대한 흡입 독성 평가 뿐만 아니라 각종 유해 물질, 예를 들면, 미스트, 분진, 가스, 증기, 미세 입자, 초미세 입자, 스모그 등 호흡을 통해 신체에 유입되는 다양한 물질들에 대한 흡입 독성 평가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흡입 독성 평가 시험은 대부분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나노 입자를 포함한 다양한 유해물질 입자들을 모두 통칭하여 유해물질 입자라고 기술한다.
이러한 유해물질 입자에 대한 흡입 독성 평가 시험은 일반적으로 유해물질 입자를 에어로졸 상태로 발생시켜 일정 크기의 노출 챔버에 공급하고, 이러한 노출 챔버에 실험 동물을 투입시켜 유해물질 입자에 노출시킨 후 실험 동물의 다양한 변화 상태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흡입 독성 평가 시험을 수행하는 노출 챔버 장치는 실험 동물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 투입되고 투입된 공간 내에서 생활하며 유해 물질 입자에 노출되도록 하는 전신 노출 챔버 장치(whole body exposure chamber)와, 실험 동물이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투입되어 위치 고정되고 투입된 공간 내에서 코를 통해 유해 물질 입자를 흡입하도록 하는 비부 노출 챔버 장치(nose only exposure chamber)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비부 노출 챔버 장치로는 실험 동물로 마우스를 투입하여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마우스 홀더 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마우스 홀더 장치는 내부에 실험 동물이 투입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는 유해물질 입자가 공급되는 유해물질 공급 챔버와 연통되게 연통홀이 형성되는데, 마우스 홀더 장치가 유해물질 공급 챔버와 연통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투입된 실험 동물이 유해물질 입자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마우스 홀더 장치를 통해 실험 동물에 유해물질 입자를 노출시킨 이후, 실험 동물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해당 유해물질 입자에 대한 흡입 독성 상태를 평가한다. 이때, 실험 동물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실험 동물을 별도의 대사 케이지에 투입하고, 이 상태에서 실험 동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과 같은 배설물이나 또는 혈액 등을 추출하여 실험 동물의 건강 상태를 측정한다.
이러한 방식은 실험 동물이 유해물질 입자에 노출되고 있는 시점에 실험 동물에 대한 건강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험 동물이 유해물질 입자에 노출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된 이후에 실험 동물에 대한 건강 상태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므로, 실험 동물에 대한 유해물질 입자의 영향이 일정 정도 회복된 상태에서 건강 상태가 측정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유해물질 입자에 대한 흡입 독성 평가를 수행하는 경우, 그 결과의 정확도 및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실험 동물이 유해물질 입자에 노출되고 있는 과정 중에 실험 동물의 건강 상태를 측정할 수 없어 유해물질 입자의 흡입 독성 영향을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이러한 마우스 홀더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로 비부 노출 챔버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신 노출 챔버 장치는 일반적으로 대형 챔버 형태로 그 규모가 크고 구조 또한 상대적으로 복잡한 형태로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전신 노출 챔버를 이용한 흡입 독성 평가 시험은 그 규모 및 비용이 매우 커서 소규모 실험실 등에서는 이러한 시험을 거의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64214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전신 노출 챔버 장치와 달리 대형 설비 구조 및 복잡한 구조가 아니라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형성되어 소규모 실험실 등에서도 전신 노출 흡입 독성 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홀더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노출 챔버의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노출 챔버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더욱 다양한 방식의 흡입 독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홀더 본체의 내부에 테스트 물질 입자를 확산 분포시킬 수 있는 입자 확산 수단을 장착함으로써, 노출 챔버 내부 공간에서 테스트 물질 입자의 분포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흡입 독성 시험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험 동물이 투입되는 홀더 본체에 소변 수집 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실험 동물이 홀더 본체 내부에서 테스트 물질 입자에 노출되는 동안에 실험 동물의 소변을 수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테스트 물질 입자 노출 과정이 완료된 이후가 아닌 테스트 물질 입자 노출 과정 중에 실험 동물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하게 하고, 이를 기초로 한 흡입 독성 평가에 대해 정확도 및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실험 동물이 투입되며, 투입된 실험 동물이 테스트 물질 입자에 노출되도록 별도의 테스트 물질 공급 챔버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로서, 내부 공간에 실험 동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중공 파이프 형상의 바디부와,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끝단에는 상기 테스트 물질 공급 챔버에 연통되도록 연통홀이 형성되는 확산 연장부를 포함하는 홀더 본체; 및 상기 홀더 본체의 바디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단판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판은 외주면이 상기 바디부의 내주면에 밀봉되게 결합되어 상기 연통홀과 차단판 사이 공간에 노출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차단판의 위치 조절을 통해 상기 노출 챔버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바디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별도의 고정 볼트가 상기 가이드 홈을 하향 관통하여 상기 차단판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연성 재질의 차단 판막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홀에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노출 챔버로 유입되는 테스트 물질 입자가 확산되도록 별도의 입자 확산 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자 확산 수단은, 테스트 물질 입자의 흐름이 상기 확산 연장부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중심 부분으로 유도되도록 외주면이 상기 확산 연장부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확산 유입홀이 형성되는 확산 유도판을 포함하고, 상기 확산 유도판은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확산 유입홀에 근접할수록 상기 차단판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 유도판에는 상기 확산 유입홀의 외측 영역에 위치하며 테스트 물질 입자의 유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복수개의 순환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 연장부 및 바디부에는 실험 동물의 소변이 배출되도록 소변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소변 배출홀의 하부에는 소변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실험 동물의 소변을 수집할 수 있도록 소변 수집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변 수집 수단은, 상기 소변 배출홀에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파이프; 및 상기 연결 파이프의 끝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변 수집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실험 동물의 소변은 상기 연결 파이프를 통해 상기 소변 수집 튜브로 수집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파이프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소변이 하부측으로 흘러가도록 유도하는 수직 관로부와, 상기 수직 관로부의 하단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 관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 수집 튜브는 상기 경사 관로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 연장부 및 바디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소변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실험 동물의 소변이 상기 연결 파이프를 향해 흘러가도록 상기 연결 파이프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소변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파이프는 상기 소변 가이드홈의 끝단에 연통 결합되고, 상기 소변 가이드홈과 연결 파이프의 연결 부위에는 실험 동물의 소변이 상기 소변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연결 파이프 측으로 누수 없이 흘러가도록 별도의 가이드 날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전신 노출 챔버 장치와 달리 대형 설비 구조 및 복잡한 구조가 아니라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형성되어 소규모 실험실 등에서도 전신 노출 흡입 독성 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더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노출 챔버의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노출 챔버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더욱 다양한 방식의 흡입 독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더 본체의 내부에 테스트 물질 입자를 확산 분포시킬 수 있는 입자 확산 수단을 장착함으로써, 노출 챔버 내부 공간에서 테스트 물질 입자의 분포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흡입 독성 시험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험 동물이 투입되는 홀더 본체에 소변 수집 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실험 동물이 홀더 본체 내부에서 테스트 물질 입자에 노출되는 동안에 실험 동물의 소변을 수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테스트 물질 입자 노출 과정이 완료된 이후가 아닌 테스트 물질 입자 노출 과정 중에 실험 동물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하게 하고, 이를 기초로 한 흡입 독성 평가에 대해 정확도 및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확산 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 본체에 소변 수집 수단이 적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수집 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 확산 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홀더 장치는 내부에 마우스와 같은 실험 동물(P)이 투입되며, 투입된 실험 동물(P)이 테스트 물질 입자에 노출되도록 별도의 테스트 물질 공급 챔버(C)에 연통되게 결합되는데, 일반적인 비부 노출 챔버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전신 노출 챔버로 적용된다.
따라서, 내부에 투입되는 실험 동물(P)은 비부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에 투입되는 실험 동물보다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작은 실험 동물이 투입된다. 예를 들면, 비부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에는 쥐(rat)이 투입되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에는 생쥐(mouse)가 투입된다.
이러한 마우스 홀더 장치는, 홀더 본체(100)와, 차단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홀더 본체(100)는 내부 공간에 실험 동물(P)이 투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중공 파이프 형상의 바디부(110)와, 바디부(110)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는 확산 연장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확산 연장부(120)는 테스트 물질 공급 챔버(C)에 연통되도록 끝단에 연통홀(121)이 형성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바디부(1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확산 연장부(120)는 이러한 바디부(110)의 일단에 연장되어 중공의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뿔형 확산 연장부(120)의 꼭지점 부위에 연통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본체(100) 내부에 투입되는 실험 동물(P)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생쥐 등이 투입될 수 있으며, 홀더 본체(100)는 생쥐와 같은 실험 동물(P)이 내부 공간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홀더 본체(100)의 연통홀(121)이 형성된 일단과 반대측 일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마감캡(미도시)이 홀더 본체(100)의 개방된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홀더 본체(100)의 외부에는 홀더 본체(100)의 외부 공간을 밀봉되게 감싸는 형태로 별도의 외부 커버(300)가 결합될 수 있다. 외부 커버(300)는 고정 커버와 분리 커버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커버는 홀더 본체(100)의 확산 연장부(120)에 밀봉되게 결합되고, 분리 커버는 고정 커버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홀더 본체(100)의 외부에 별도의 외부 커버(300)가 결합됨으로써, 실험 동물(P)이 투입되는 홀더 본체(100)의 내부 공간은 홀더 본체(100) 및 외부 커버(300)의 2중 케이스 구조로 보호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테스트 물질 입자가 홀더 본체(100)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더라도 홀더 본체(100)의 외부를 감싸는 외부 커버(300)에 의해 다시 한번 외부와 밀봉 차단되므로, 테스트 물질 입자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어 실험실에 출입하는 관리자의 건강에 대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판(200)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이 홀더 본체(100)의 바디부(110)의 내주면에 밀봉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차단판(200)의 외주면과 바디부(110)의 내주면 사이에 밀봉을 위한 별도의 실링 부재(미도시)가 삽입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차단판(200)이 홀더 본체(100)의 바디부(110)에 밀봉되게 삽입 결합됨으로써, 홀더 본체(100)의 연통홀(121)과 차단판(200) 사이 공간에 노출 챔버(C1)가 형성된다. 노출 챔버(C1)는 테스트 물질 공급 챔버(C)와 연통되는 연통홀(121)을 통해 테스트 물질 입자가 유입되는 공간으로, 실험 동물(P)이 노출 챔버(C1) 내부에 배치되어 테스트 물질 입자에 노출되고 이를 호흡 기관을 통해 흡입하게 된다.
이러한 차단판(200)은 바디부(11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차단판(200)이 바디부(110)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차단판(200)이 위치 조절되어 노출 챔버(C1)의 크기가 조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는 내부에 투입되는 실험 동물(P)의 수량 또는 크기 등에 따라 차단판(200)의 위치 조절을 통해 노출 챔버(C1)의 크기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노출 챔버(C1)의 크기를 차단판(200)의 위치 조절을 통해 편리하게 조절 가능하므로, 노출 챔버(C1)에 투입되는 실험 동물(P)의 개체수 밀도 등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흡입 독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등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흡입 독성 시험을 수행할 수 있어 활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한편, 차단판(200)의 이동을 위해 바디부(1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가이드 홈(111)이 형성되고, 차단판(200)의 외주면에는 별도의 고정 볼트(201)가 가이드 홈(111)을 하향 관통하여 결합되며, 고정 볼트(201)의 상단부는 바디부(110)의 상부에 돌출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차단판(200)이 특정 위치에 위치 고정될 수 있고, 고정 볼트(201)를 가이드 홈(111)을 따라 이동시켜 차단판(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홈(111)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홈(111)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연성 재질의 차단 판막(113)이 장착될 수 있고, 차단 판막(113)은 중심부를 따라 절개 라인이 형성되며, 고정 볼트(201)는 이러한 차단 판막(113)의 절개 라인을 통해 관통하여 차단판(20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홀더 본체(100)가 테스트 물질 공급 챔버(C)에 결합되면, 테스트 물질 공급 챔버(C)로부터 연통홀(121)을 통해 홀더 본체(100) 내부 의 노출 챔버(C1)로 테스트 물질 입자가 유입되어 노출 챔버(C1) 내부의 실험 동물(P)에게 노출되고, 실험 동물(P)이 테스트 물질 입자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실험 동물(P)은 코 부위가 연통홀(121) 주변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노출 챔버(C1)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노출 챔버(C1) 내부 공간 전체 영역에서 테스트 물질 입자가 고르게 확산 분포해야 실험 동물(P)에 대한 테스트 물질 입자의 흡입 노출 정도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정확한 흡입 독성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통홀(121)에 인접한 부위에 노출 챔버(C1)로 유입되는 테스트 물질 입자가 확산되도록 별도의 입자 확산 수단(EX)이 장착된다.
입자 확산 수단(EX)은 테스트 물질 입자의 흐름이 확산 연장부(120)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중심 부분으로 유도되도록 외주면이 확산 연장부(12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확산 유입홀(151)이 형성되는 확산 유도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확산 유도판(150)은 외주면으로부터 확산 유입홀(151)에 근접할수록 차단판(200)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물질 공급 챔버(C)로부터 유입되는 테스트 물질 입자는 확산 유도판(150)에 의해 가이드되어 홀더 본체(100)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중심부의 확산 유입홀(151)을 통과하여 흘러가게 된다. 이후, 노출 챔버(C1) 내부 공간에서 확산 연장부(120)의 형태에 따라 확산하여 전체 공간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게 된다. 확산 유도판(150)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노출 챔버(C1)로 유입되는 테스트 물질 입자의 흐름은 주로 홀더 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가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중심부에서는 테스트 물질 입자의 분포 농도가 낮게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확산 유도판(150)을 통해 테스트 물질 입자의 흐름을 홀더 본체(100)의 중심 공간으로 유도함으로써, 노출 챔버(C1) 전체 공간에서 테스트 물질 입자가 더욱 균일하게 분포하게 된다.
확산 유도판(150)은 테스트 물질 입자의 유입 방향을 따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물질 입자의 유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테스트 물질 입자의 흐름이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노출 챔버(C1)에 유입되는 테스트 물질 입자의 유입 흐름에 대응하여 노출 챔버(C1)의 내부 공기가 외부 배출되는 순환 흐름이 발생해야 테스트 물질 입자가 계속해서 노출 챔버(C1)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내부 공기의 배출을 위해 확산 유도판(150)에는 복수개의 순환 배출홀(152)이 형성된다.
순환 배출홀(152)은 확산 유입홀(151)의 외측 영역에 위치하며 테스트 물질 입자의 유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순환 배출홀(152)을 통해 테스트 물질 입자의 유입이 최소화되고 내부 공기의 배출이 최대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는 일반적인 전신 노출 챔버 장치와 달리 대형 설비 구조 및 복잡한 구조가 아니라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조로 형성되어 소규모 실험실 등에서도 전신 노출 흡입 독성 시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 본체에 소변 수집 수단이 적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홀더 장치는 테스트 물질 입자를 실험 동물(P)에 노출시키는 과정 중에 실시간으로 실험 동물(P)의 건강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별도의 소변 수집 수단(400)이 구비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홀더 본체(100)의 바디부(110) 및 확산 연장부(120)에는 실험 동물(P)의 소변이 배출되도록 홀더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소변 배출홀(112)이 형성되고, 소변 수집 수단(400)은 소변 배출홀(112)에 연통되게 장착되어 실험 동물(P)의 소변을 수집하도록 형성된다.
소변 수집 수단(400)은, 소변 배출홀(112)에 연통되도록 바디부(1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파이프(410)와, 연결 파이프(410)의 끝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변 수집 튜브(420)를 포함하고, 소변 배출홀(112)을 통해 배출되는 실험 동물(P)의 소변(P2)은 연결 파이프(410)를 통해 소변 수집 튜브(420)로 수집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변 수집 튜브(420)는 연결 파이프(4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변 수집이 완료된 이후 소변 수집 튜브(420)를 별도로 분리하여 내부 저장된 소변을 별도로 분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 파이프(410) 또한 홀더 본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소변 수집이 완료된 이후 연결 파이프(410)를 홀더 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세척할 수 있다.
연결 파이프(410)는 바디부(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소변이 하부측으로 흘러가도록 유도하는 수직 관로부(411)와, 수직 관로부(411)의 하단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 관로부(4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소변 수집 튜브(420)는 경사 관로부(412)에 결합된다. 연결 파이프(410)의 형태를 수직 관로부(411)와 경사 관로부(412)로 형성함으로써, 소변이 원활하게 소변 수집 튜브(420) 측으로 흘러갈 수 있고, 아울러, 소변 수집 튜브(420)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경사 관로부(412)를 따라 흘러가게 되므로,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고 더욱 안정적으로 소변을 수집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확산 연장부(120) 및 바디부(110)에는 소변 배출홀(112)을 통해 배출되는 실험 동물의 소변(P2)이 연결 파이프(410)를 향해 흘러가도록 연결 파이프(41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소변 가이드홈(130)이 형성된다. 연결 파이프(410)는 소변 가이드홈(130)의 끝단에 연통되게 결합되며, 연결 파이프(410)의 수직 관로부(411)에는 소변 가이드홈(130)과 연통되도록 측면에 측면 개방홀(411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홀더 본체(100) 내부에 투입된 실험 동물(P)로부터 배출된 소변(P2)은 소변 배출홀(112)을 통해 소변 가이드홈(130)으로 유입되고, 소변 가이드홈(130)을 따라 연결 파이프(410)로 유입되고, 연결 파이프(410)를 따라 소변 수집 튜브(420)에 수집 저장된다.
이때, 소변 가이드홈(130)과 연결 파이프(410)의 연결 부위에는 실험 동물(P)의 소변(P2)이 소변 가이드홈(130)으로부터 연결 파이프(410) 측으로 누수 없이 흘러가도록 별도의 가이드 날개(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날개(131)는 소변 가이드홈(130)의 끝단 부위에 연성 재질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홀더 장치는 홀더 본체(100) 내부에서 실험 동물(P)이 테스트 물질 입자에 노출되는 과정 중에 실험 동물(P)의 소변(P2)을 소변 수집 튜브(420)를 통해 수집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소변 수집 튜브(420)를 연결 파이프(410)로부터 분리하여 소변 수집 튜브(420)에 저장된 소변(P2)을 분석함으로써, 실험 동물(P)의 건강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실험 동물(P)이 테스트 물질 입자에 노출되는 과정 중에 실험 동물(P)의 소변을 수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험 동물(P)의 건강 상태를 테스트 물질 입자 노출 과정 중에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수집 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 수집 수단(4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성과 일부 구성이 다르게 형성되는바, 여기에서는 서로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서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 방지를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소변 수집 수단(400)은, 소변 배출홀(112)에 연통되도록 바디부(11)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파이프(410)와, 외부 커버(300)에 관통 결합되는 중간 파이프(430)와, 연결 파이프(410)와 중간 파이프(430)를 연결하는 연결 튜브(440)와, 중간 파이프(430)의 외측 끝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소변 수집 튜브(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중간 파이프(430)의 외측 끝단에는 별도의 외부 연결 튜브(450)가 결합되고, 소변 수집 튜브(420)는 외부 연결 튜브(4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소변 배출홀(112)을 통해 배출되는 실험 동물(P)의 소변은 연결 파이프(410)로부터 연결 튜브(440), 중간 파이프(430) 및 외부 연결 튜브(450)를 통해 소변 수집 튜브(420)로 유도되어 소변 수집 튜브(420)에 수집 저장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소변 수집 튜브(420)가 외부 커버(300)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실험 동물(P)에 테스트 물질을 노출시키는 과정 중에 소변 수집 튜브(420)를 편리하게 분리하여 실험 동물(P)의 소변을 별도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중간 파이프(430) 등을 폐쇄할 수 있는 별도의 마개 등을 구비하여 소변 수집이 불필요한 상황에서는 소변 수집 튜브(420)를 제거하고 해당 마개를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밀봉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홀더 본체
110: 바디부
111: 가이드 홈
112: 소변 배출홀
120: 확산 연장부
121: 연통홀
130: 소변 가이드홈
200: 차단판
201: 고정 볼트
300: 외부 커버
400: 소변 수집 수단
410: 연결 파이프
420: 소변 수집 튜브

Claims (10)

  1. 내부에 실험 동물이 투입되며, 투입된 실험 동물이 테스트 물질 입자에 노출되도록 별도의 테스트 물질 공급 챔버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로서,
    내부 공간에 실험 동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중공 파이프 형상의 바디부와,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끝단에는 상기 테스트 물질 공급 챔버에 연통되도록 연통홀이 형성되는 확산 연장부를 포함하는 홀더 본체; 및
    상기 홀더 본체의 바디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단판
    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판은 외주면이 상기 바디부의 내주면에 밀봉되게 결합되어 상기 연통홀과 차단판 사이 공간에 노출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차단판의 위치 조절을 통해 상기 노출 챔버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별도의 고정 볼트가 상기 가이드 홈을 하향 관통하여 상기 차단판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연성 재질의 차단 판막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에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노출 챔버로 유입되는 테스트 물질 입자가 확산되도록 별도의 입자 확산 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확산 수단은
    테스트 물질 입자의 흐름이 상기 확산 연장부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중심 부분으로 유도되도록 외주면이 상기 확산 연장부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확산 유입홀이 형성되는 확산 유도판
    을 포함하고, 상기 확산 유도판은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확산 유입홀에 근접할수록 상기 차단판을 향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유도판에는 상기 확산 유입홀의 외측 영역에 위치하며 테스트 물질 입자의 유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복수개의 순환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연장부 및 바디부에는 실험 동물의 소변이 배출되도록 소변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소변 배출홀의 하부에는 소변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실험 동물의 소변을 수집할 수 있도록 소변 수집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수집 수단은
    상기 소변 배출홀에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파이프; 및
    상기 연결 파이프의 끝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변 수집 튜브
    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실험 동물의 소변은 상기 연결 파이프를 통해 상기 소변 수집 튜브로 수집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파이프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소변이 하부측으로 흘러가도록 유도하는 수직 관로부와, 상기 수직 관로부의 하단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 관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 수집 튜브는 상기 경사 관로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연장부 및 바디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소변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실험 동물의 소변이 상기 연결 파이프를 향해 흘러가도록 상기 연결 파이프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소변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파이프는 상기 소변 가이드홈의 끝단에 연통 결합되고,
    상기 소변 가이드홈과 연결 파이프의 연결 부위에는 실험 동물의 소변이 상기 소변 가이드홈으로부터 상기 연결 파이프 측으로 누수 없이 흘러가도록 별도의 가이드 날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KR1020200033784A 2020-03-19 2020-03-19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KR102404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784A KR102404140B1 (ko) 2020-03-19 2020-03-19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784A KR102404140B1 (ko) 2020-03-19 2020-03-19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503A true KR20210117503A (ko) 2021-09-29
KR102404140B1 KR102404140B1 (ko) 2022-06-02

Family

ID=7792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784A KR102404140B1 (ko) 2020-03-19 2020-03-19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6016A (zh) * 2021-12-02 2022-03-15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伸缩式遮光隔音的动物行为学实验箱体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192A (ja) * 1996-01-10 1997-07-22 Shibata Kagaku Kikai Kogyo Kk 実験動物の吸入試験装置
US6651587B1 (en) * 2002-03-29 2003-11-2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Container for containing an experimental test animal
KR20090078966A (ko) * 2008-01-16 2009-07-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실험동물의 건강상태 체크가 용이한 실험동물 사육용케이지
KR100970170B1 (ko) * 2009-12-04 2010-07-14 계룡과학주식회사 설치류용 뇨 대사 케이지
KR101088864B1 (ko) * 2010-12-10 2011-12-06 (주)에이치시티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나노 입자 노출 장치
KR20130038041A (ko) * 2011-10-07 2013-04-17 한국화학연구원 마우스 홀더 장치
KR20150083551A (ko) * 2014-01-10 2015-07-20 김제원 미세 입자 흡입 실험용 챔버 및 이를 구비한 실험 장치
KR101642143B1 (ko) 2014-12-23 2016-07-29 주식회사 에이치시티엠 복수 농도 나노 입자 흡입 독성 시험 챔버 장치
KR101989226B1 (ko) * 2017-06-21 2019-06-1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실험용 쥐의 영상촬영용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192A (ja) * 1996-01-10 1997-07-22 Shibata Kagaku Kikai Kogyo Kk 実験動物の吸入試験装置
US6651587B1 (en) * 2002-03-29 2003-11-2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Container for containing an experimental test animal
KR20090078966A (ko) * 2008-01-16 2009-07-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실험동물의 건강상태 체크가 용이한 실험동물 사육용케이지
KR100970170B1 (ko) * 2009-12-04 2010-07-14 계룡과학주식회사 설치류용 뇨 대사 케이지
KR101088864B1 (ko) * 2010-12-10 2011-12-06 (주)에이치시티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나노 입자 노출 장치
KR20130038041A (ko) * 2011-10-07 2013-04-17 한국화학연구원 마우스 홀더 장치
KR20150083551A (ko) * 2014-01-10 2015-07-20 김제원 미세 입자 흡입 실험용 챔버 및 이를 구비한 실험 장치
KR101642143B1 (ko) 2014-12-23 2016-07-29 주식회사 에이치시티엠 복수 농도 나노 입자 흡입 독성 시험 챔버 장치
KR101989226B1 (ko) * 2017-06-21 2019-06-1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실험용 쥐의 영상촬영용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6016A (zh) * 2021-12-02 2022-03-15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伸缩式遮光隔音的动物行为学实验箱体
CN114176016B (zh) * 2021-12-02 2023-02-10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伸缩式遮光隔音的动物行为学实验箱体
WO2023097760A1 (zh) * 2021-12-02 2023-06-08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动物行为学实验箱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140B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106B1 (ko) 케이지형 흡입 독성 평가 시험 장치
KR100784763B1 (ko) 이중노출챔버수단 및 이를 구비한 나노입자 흡입 독성평가용 장치
KR102404139B1 (ko) 혈액 채취가 가능한 마우스 홀더 장치
KR102271148B1 (ko) 인비트로 독성 시험용 유해물질 노출 챔버 장치
CN105929145B (zh) 用于从呼出气体采样药物物质的便携式采样装置及方法
US20070006876A1 (en) Add-on spacer design concept for dry-powder inhalers
KR101642143B1 (ko) 복수 농도 나노 입자 흡입 독성 시험 챔버 장치
KR102001770B1 (ko) 미세먼지 생성을 통한 대기질 환경 모사 시험장치
KR101758813B1 (ko) 다중 믹싱챔버를 구비한 환경위해성 평가용 독성물질 혼합장치
KR102404140B1 (ko) 전신 노출 챔버용 마우스 홀더 장치
CN113995441A (zh) 用于收集呼出气流中的颗粒的装置
KR102148394B1 (ko) 소변 수집이 가능한 마우스 홀더 장치
CN101959473A (zh) 暴露装置
KR101332949B1 (ko) 나노 입자 흡입 독성 평가 시험용 케이지형 챔버 장치
Lucci et al.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investigation of a nose-only exposure chamber
CN104374928B (zh) 多浓度动物口鼻吸入动态暴露设备
WO2014017825A1 (ko) 영장류에 대한 나노 입자 흡입 독성 평가 시험용 노출 챔버 장치
KR102112720B1 (ko) 흡입 독성 평가용 전신 노출 챔버 장치
KR101088864B1 (ko) 인비보 인비트로 시험 겸용 나노 입자 노출 장치
KR101614151B1 (ko) 흡입 독성 시험용 폐 모델 장치
CN105592879A (zh) 柱状流气体取样与测量系统
KR101160307B1 (ko) 인비트로 시험이 가능한 나노 입자 노출 장치
KR101598082B1 (ko) 이중챔버로 구성된 나노물질 독성 평가 장치
Givehchi Filtration of NaCl and WOx nanoparticles using wire screens and nanofibrous filters
KR101216589B1 (ko) 휴대용 나노 입자 노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